KR20230110988A -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 Google Patents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988A
KR20230110988A KR1020220006629A KR20220006629A KR20230110988A KR 20230110988 A KR20230110988 A KR 20230110988A KR 1020220006629 A KR1020220006629 A KR 1020220006629A KR 20220006629 A KR20220006629 A KR 20220006629A KR 20230110988 A KR20230110988 A KR 2023011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lip
protrusion
insertion hole
c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석
박진우
강묘선
좌동훈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988A/ko
Publication of KR2023011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2Joints produced by deformation or tying of ends of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클립과,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립의 표면에 일체화된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가요성 케이블 본체와,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1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돌기와, 제1돌기에 대향하여 제1방향과 180도 각도로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2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는 제1돌기와 제2돌기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입된 결합부가 제1돌기와 제2돌기의 배치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클립의 삽입공 단면 형상은 케이블 본체와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과 동일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Detachable and reusable cable tie}
본 발명은 케이블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체결 과정에서 방향성을 갖지 않고 양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며 공구로 절단하지 않고도 분리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케이블타이를 제안한다.
케이블타이는 전선, 통신용선 등 직경이 비교적 작은 선과 케이블들을 한단위로 묶어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현장이나 가정, 회사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타이는 플라스틱제 수지로 되어 있고, 띠 형상의 케이블 일면에 방향성을 갖는 톱니부가 연속되어 형성되고 케이블이 삽입되는 클립 내부에 톱니부의 일방향 삽입은 허용하되 반대 방향의 이동은 억제하는 형태의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톱니부와 고정부의 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케이블타이는 케이블을 클립에 삽입하여 폐곡선 형태로 직경을 줄일 수는 있어도 반대로 직경을 크게 하여 케이블과 클립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하여 케이블타이로 고정한 전선 다발 등을 고정상태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케이블의 일측을 니퍼 등의 절단 도구로 잘라야만 했는데 케이블이 절단된 후 케이블타이를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케이블 절단 작업의 불편함과 케이블타이 폐기물이 발생하는 단점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상용화된 케이블타이는 대부분 케이블 일면에만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어, 클립에 삽입하는 방향도 톱니부가 형성된 면을 내부면으로 하여 케이블을 클립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획일화될 수밖에 없었다. 종래에 공개실용신안 20-1999-0034914호에 따르면, 케이블타이의 케이블 통과 클립 내부에 걸림 부분을 양방향으로 2개 형성하는 한편, 케이블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소정 크기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타이를 앞, 뒤 방향에 구애 없이 결합하여 물건을 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기술은 케이블타이를 양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할다는 점에서 물건을 고정하는데 좀더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한 번 고정된 케이블타이는 분리가 어려워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피고정물로부터 케이블타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절단 공구가 필요하였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20-0420687호에 따르면, 띠 형태의 케이블 일면에 톱니부가 마련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를 갖는 끼움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결합부에 내측의 끼움공과 통하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케이블타이를 제안하였다. 몸체부를 결합부에 삽입하여 톱니부와 스토퍼의 결합에 의해 케이블타이를 고정하는 한편, 몸체부를 비틀어 절개부를 통해 빼내는 동작을 통해 톱니부와 스토퍼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케이블타이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절개부를 통해 몸체부를 빼낼 수 있다면 몸체부와 결합부간의 결합 고정력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술은 결합부에 형성된 절개부의 간격(t)을 몸체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케이블타이가 경질 수지를 사용하고 케이블은 납작한 띠 형상으로 제조되는 점을 감안하면, 절개부 간격이 띠 형상의 몸체부 폭보다 작을 때 몸체부가 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띠 형상의 몸체부를 비틀어 절개부를 통해 빼내기가 쉽지 않다. 또한 몸체부를 분리하기 위해 공구 등을 사용하여 강한 물리력을 몸체부 또는 결합부에 가함으로써 몸체부를 비틀거나 결합부의 절개부에 변형을 가하게 되면 케이블타이 자체의 형상이 왜곡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고정력이 우수하면서도 분리가 가능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 과정에서 공구 등 다른 수단이 필요없이 쉽게 작업이 가능한 새로운 케이블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방향으로 케이블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상태에서 자유롭게 해체 상태로 전환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클립과,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립의 표면에 일체화된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가요성 케이블 본체와,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1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돌기와, 제1돌기에 대향하여 제1방향과 180도 각도로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2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는 제1돌기와 제2돌기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입된 결합부가 제1돌기와 제2돌기의 배치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클립의 삽입공 단면 형상은 케이블 본체와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과 동일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타이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 본체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타이는 피고정물을 체결할 때, 케이블의 끝단을 클립의 삽입공에 90도 비틀어 삽입하여 고정 길이를 조정한 후 비틀어진 케이블을 클립 삽입공에서 최초 상태를 회복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고정물에 대해 케이블타이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을 갖지 않고 양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이나 와이어 다발을 케이블타이로 체결하여 고정한 후,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타이를 절단 공구 등을 사용하여 절단하지 않고도 분리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피고정물에 대해 쉽게 체결 및 고정이 가능하고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타이를 손으로 쉽게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케이블타이 외관을 보인 모식도
도 2a 내지 2c는 케이블타이의 케이블 본체 및 돌기를 보인 실시예
도 3a 내지 3c는 케이블타이의 클립 및 결합부를 보인 실시예
도 4는 케이블 본체를 클립에 삽입하는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5는 클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블 본체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케이블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 형상의 케이블타이로 위아래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케이블타이를 제안한다.
케이블타이는 군대, 공사장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며 전원 케이블 정리, 컴퓨터 내부선 정리 등 일상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고정 방식이나 연결 등 사용 방법이 제각각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타이의 기술적 특징으로는 먼저, 통상 띠 형태의 케이블을 봉상의 구조로 변경하며, 예를 들어 원형 단면 구조의 케이블로 고안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며 휘어지는 성질에 의해 방향성이 획일적이지 않고 유연하게 구부리거나 비트는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 표면의 적어도 양면에 고정용 돌기를 형성하여 케이블이 클립에 양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하였다. 양방향으로 케이블타이를 구부려 피고정물을 고정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전선 등의 정리 작업 효율을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케이블타이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클립의 삽입공 단면 형태를 케이블 단면 형태와 일치하지 않고 소정 각도로 비틀어진 방향,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결합 및 고정 동작과 더불어 분리 및 해체 작업이 가능하다. 클립의 일단에 케이블이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케이블의 끝단을 클립에 90도 비틀어 삽입한 후 비튼 상태를 회복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클립에서 케이블 해체 시 케이블을 다시 비틀어 클립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공구 없이 분리 가능하고, 케이블타이를 재사용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동작,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케이블타이 외관을 보인 모식도로서, 도 1a는 일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 1b는 90도 회전하여 다른 측면을 보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케이블타이(100)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122)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클립(120)과, 상기 클립 표면에 일단이 일체화되고 타단은 선형적으로 길게 연장된 케이블을 포함한다. 클립 내부의 삽입공의 방향과 클립 일측에 연장된 케이블의 길이 방향은 상호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은 가요성(flexible) 케이블 본체(110)와,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1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돌기(112a)와, 제1돌기에 대향하여 제1방향과 180도 각도로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2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기(112b)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의 삽입공 단면 형상은 케이블 본체와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과 동일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면,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는 제1돌기와 제2돌기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입된 결합부가 제1돌기와 제2돌기의 배치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된다. 클립의 삽입공 형태 및 와 결합부 배치 구조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본체를 비틀어 클립 삽입공에 진입시킬 수 있고, 다시 원상태로 회복시켜 (최초 상태로 비틀어) 케이블 본체의 각 돌기가 결합부에 맞물린 채로 케이블과 클립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는 케이블타이의 케이블 본체 및 돌기를 보인 실시예로서, 도 2a는 케이블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 단면 구조를, 도 2b 및 2c는 케이블 본체의 길이 방향 부분 단면 구조의 예를 보이고 있다. 가요성 케이블 본체(110)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도 2a). 케이블이 납작한 띠 형태가 아니고 비틀기가 용이한 봉 형태이어서 케이블 본체를 클립에 삽입할 때 방향성이 고정되지 않고 양방향으로 삽입하기에 용이하며, 케이블 본체 자체를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비틀기가 수월하다. 케이블 본체 표면에 형성되는 제1돌기(112a) 및 제2돌기(112b)는 도 2b에서와 같이 나사산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c에서와 같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각형 바(bar) 형상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각 돌기의 형태나 이격 간격 등은 클립 내부의 결합부 형태와 연동하여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케이블타이의 클립 및 결합부를 보인 실시예로서, 도 3a는 클립의 삽입공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 구조를, 도 3b 및 3c는 클립의 측 단면 구조를 보이고 있다. 클립(12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공(122)과 더불어 클립 내부면에 만입되어 형성한 결합부(124)를 볼 수 있다(도 3a). 케이블과 돌기 전체 단면 구조와 클립의 삽입공 단면 구조는 상호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반면, 클립의 결합부는 케이블 양면에 형성된 돌기의 각도와 클립 내부의 결합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하여 배치된다. 결합부의 형태는 도 3b와 같이 나사산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c에서와 같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각형 바 형태로 만입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케이블 본체를 클립에 삽입하는 동작을 보인 모식도로서, 클립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케이블 본체(110)를 클립 삽입공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부려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시 케이블 본체와 돌기의 단면 구조가 클립 삽입공 형태에 맞도록 케이블 본체의 끝단(110a)을 비틀은 상태로 클립 내부에 진입시킨다.
도 5는 클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블 본체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클립 표면에 일체화되어 연장된 케이블 본체는 최초 S1의 상태이며, 케이블 본체의 제1돌기와 제2돌기의 방향은 클립 내부 결합부(124)의 방향과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케이블 본체를 구부리고 케이블 본체 끝단을 90도 회전시켜(R1) 비틀은 S2의 상태로 클립 내부의 삽입공(122)에 삽입한다. S2의 상태에서 케이블 본체의 제1돌기와 제2돌기는 클립 삽입공의 단면 구조와 일치하게 되어 케이블 본체는 아무런 장애없이 클립 내부에 진입할 수 있다. 케이블 본체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구부리고 케이블 본체 끝단을 비틀어 회전시켜 클립의 삽입공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다.
클립 삽입공에 케이블 본체를 비틀어 삽입한 후 비튼 케이블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가요성 케이블 본체의 회전 탄성력에 의해 클립에 삽입된 케이블 본체의 돌기가 함께 회전하여(R2) 케이블 본체가 S3의 상태로 복귀하며, 그 결과 케이블 본체의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클립 내부의 결합부에 각각 맞물리게 된다. 삽입공 내부의 결합부는 케이블 본체 표면의 돌기들이 삽입되어 걸림 작용을 통해 케이블 본체의 제1돌기와 제2돌기에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케이블을 클립 삽입공에 고정시킨다.
피고정물의 외면에 케이블 본체와 클립 사이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비틀어 삽입한 케이블 본체를 회전시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면 케이블 본체와 클립 사이의 결합력이 발생되어 피고정물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공 내부에 케이블 본체를 비틀어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 피고정물의 외면을 감싸는 케이블 타이의 전체 길이를 줄이면서 케이블타이와 피고정물 사이의 내부 간격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피고정물의 고정 상태 복귀 동작은 케이블 본체와 클립의 삽입 및 결합 동작의 반대로 진행하여 케이블타이를 피고정물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즉, 클립에 삽입되어 삽입공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 본체의 끝단을 클립의 삽입공 단면 구조와 일치하도록 90도 비틀어 결합부와 각 돌기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고, 클립으로부터 케이블 본체를 뒤쪽으로 당겨 분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는 체결 과정에서 방향성을 갖지 않고 양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며, 클립에 케이블 본체를 삽입하여 피고정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공구로 케이블 본체를 절단하지 않고도 분리가 용이하다. 고정 및 분리 과정에서 케이블타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며, 남녀노소 쉽게 케이블 타이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타이 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자원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케이블타이 110:케이블본체
112,112a,112b:케이블 돌기 120:클립
122:삽입공 124:결합부

Claims (3)

  1. 내부에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클립과,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립의 표면에 일체화된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가요성 케이블 본체와,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1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돌기와, 제1돌기에 대향하여 제1방향과 180도 각도로 케이블 본체 표면의 제2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의 삽입공에는 제1돌기와 제2돌기의 형상과 동일하게 만입된 결합부가 제1돌기와 제2돌기의 배치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클립의 삽입공 단면 형상은 케이블 본체와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과 동일하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 본체는 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타이로 피 고정물을 체결할 때, 케이블의 끝단을 클립의 삽입공에 90도 비틀어 삽입한 후 비틀어진 케이블을 클립 삽입공에서 최초 상태를 회복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KR1020220006629A 2022-01-17 2022-01-17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KR20230110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29A KR20230110988A (ko) 2022-01-17 2022-01-17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29A KR20230110988A (ko) 2022-01-17 2022-01-17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988A true KR20230110988A (ko) 2023-07-25

Family

ID=8742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629A KR20230110988A (ko) 2022-01-17 2022-01-17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09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660B2 (en) Cable tie
US10604317B2 (en) Reusable tie strap with multiple apertures
JP6603800B2 (ja) コードロック
US9828151B2 (en) Securing mechanism
US20170204995A1 (en) Connectable Cable Organizer
KR20230110988A (ko)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타이
KR20100010426A (ko) 이중 결속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WO2012150641A1 (ja) シートキャッチフック
JP4177511B2 (ja) 壁面や天井面に器具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
KR20090099982A (ko) 재사용 가능한 다용도 케이블 타이
KR101649419B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케이블타이
CN215923148U (zh) 扎带
JP5660921B2 (ja) 配線・配管材保持具および配線・配管材の固定方法
KR100845579B1 (ko) 케이블 타이
KR101242723B1 (ko) 케이블타이
KR101292638B1 (ko) 결속용 금속 밴드
KR100724643B1 (ko) 건축물용 목재 프레임의 체결구
JP3065298U (ja) 配線用ダクト固着具
KR101778125B1 (ko) 전선 결속부재
US20170095919A1 (en) Magazine structure of wire staple press
US20170321449A1 (en) An improved fencing element
JP6325436B2 (ja) 支持装置、取着体及びボルト体立設装置
JP2004316764A (ja) 返しを有する固定具
KR20220069538A (ko) 체결과 풀림이 용이한 타이
KR101138232B1 (ko) 가구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