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860A -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 Google Patents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860A
KR20230110860A KR1020220006306A KR20220006306A KR20230110860A KR 20230110860 A KR20230110860 A KR 20230110860A KR 1020220006306 A KR1020220006306 A KR 1020220006306A KR 20220006306 A KR20220006306 A KR 20220006306A KR 20230110860 A KR20230110860 A KR 2023011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adhesive tape
adhesive
tap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6226B1 (en
Inventor
김초희
Original Assignee
김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초희 filed Critical 김초희
Priority to KR102022000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26B1/en
Publication of KR2023011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8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가 제공된다.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는, 반원형의 제1 심지 및 제1 심지와 대응되는 제2 심지, 제1 심지와 제2 심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심지와, 제1 심지 및 제2 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지관과 제2 지관, 제1 지관 및 제2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각각 다수 적층되는 제1 점착테이프 및 제2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롤 테이프와, 심지의 단부에 결합되어 심지 및 롤 테이프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와 롤 테이프 사이에 결합되고, 손잡이부의 가압에 따라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간격을 벌리는 간격벌림부를 포함한다.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dhesive tape is provide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includes a semicircular first wick, a second wi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ck, a wick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a first and second branch tube coupled to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respectively, a roll tape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adhesive tapes each lamin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tubes, and a wick, It includes a handle portion coupled to an end portion to rotate the wick and the roll tape, and a spacer portion coupl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roll tape and widening a gap between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according to pressing of the handle portion.

Description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롤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지를 분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거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capable of removing an adhesive tape by separating a wick.

일반적으로 롤 클리너는 바닥 또는 의류나 카펫 등과 같은 직물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떼어내기 위하여 점착테이프가 롤 형태로 권취된 것으로, 점착테이프를 롤링시키면서 바닥 또는 직물에 붙여있는 각종 이물질들이 점착테이프에 점착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청소 도구이다. In general, a roll cleaner is one in which adhesive tape is wound in a roll form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a floor or fabric such as clothes or carpets. It is a cleaning tool that removes various foreign substances by allow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loor or fabric to adhere to the adhesive tape while rolling the adhesive tape.

상기 점착테이프는 띠 형상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면을 갖도록 권취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칼이나 가위 등의 절단수단으로 점착테이프를 절단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The adhesive tape is wound on one side of a strip-shaped substrate to have an adhesive surface coated with an adhesive, but this causes many inconveniences because the user has to cut the adhesive tape with a cutting means such as a knife or scissors.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7586호에 테이프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 보호구가 구비된 테이프크리너가 공개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다겹으로 권취되는 테이프의 절취가 가능하도록 칼선을 낸 절취선이 형성된 점착롤테이프와 상기 점착롤테이프를 삽설하여 고정지지하는 원통고정부 및 상기 원통고정부에 삽설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단부에 작동손잡이가 구비된 회동축으로 구성되는 테이프크리너에 있어, 상기 테이프크리너는, 상기 원통고정부의 중앙부에서 삽설되는 상기 회동축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끝단고정부와 상기 끝단고정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점착롤테이프에 칼선을 내어 형성된 상기 절취선을 따라 탈부착되는 몸체부로 형성되는 절취선 보호구가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테이프절취가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cent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7586 has disclosed a tape cleaner equipped with a perforation line protector to facilitate tape cutting. This prior art is a tape cleaner composed of an adhesive roll tape having perforated lines cut so as to be able to cut multi-layered tape, a cylindrical fixing portio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adhesive roll tape, and a rotating shaft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fixing portion to enable rotation and having an operating handle at the end. It is configured to facilitate cutting of the tape by installing an end fixing part and a perforation line protector formed of a body part that is attached and detached along the perforated line formed by cutting the adhesive roll tap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nd fixing par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절취선을 따라 점착롤테이프를 절취한 후, 절취선에 절취선 보호구를 설치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since the adhesive roll tape must be cut along the perforated line and then the perforated line protector must be installed on the perforated line.

또한, 점착롤테이프가 다겹으로 권취되어 있으므로 절취선을 따라 점착롤테이프를 절취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roll tape is wound in multiple layers, it is difficult to cut the adhesive roll tape along the perforation line.

또한, 점착롤테이프에 절취선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perforated line must be formed in the adhesive roll tap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758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758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관에 권취된 점착테이프에 골을 형성하는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that forms valleys in an adhesive tape wound around a paper tube.

또한, 심지를 분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거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by separating the wick to remove the adhesive tape.

또한, 점착테이프에 절취선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since no perforation i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관과, 상기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권취되고,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테이프와, 상기 점착테이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골, 및 상기 지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관과 점착테이프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aper tube having a circular tube shape, an adhesive tape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per tub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n adhesive surface formed thereon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outer surface, valle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dhesive tape, and a handle coupled to an end of the paper tube to rotate the paper tube and the adhesive tape.

상기 골은 Y축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물결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lley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wavy shape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는, 반원형의 제1 심지 및 제1 심지와 대응되는 제2 심지, 상기 제1 심지와 제2 심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심지와, 상기 제1 심지 및 제2 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지관과 제2 지관, 상기 제1 지관 및 제2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각각 다수 적층되는 제1 점착테이프 및 제2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롤 테이프와, 상기 심지의 단부에 결합되어 심지 및 롤 테이프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롤 테이프 사이에 결합되고, 손잡이부의 가압에 따라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간격을 벌리는 간격벌림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emicircular first wick, a second wi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ck,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a first and second branch tube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nch tube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dhesive tapes stack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tubes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respectively. A roll tape including a loop, a handle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wick to rotate the wick and the roll tape, and a gapping portion coupl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roll tape and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according to pressing of the handle portion.

상기 제1 심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측 부분이 걸려 고정되는 제1 고정편, 및 상기 제2 심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의 타측 부분이 걸려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fix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ck to which one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hooked and fixed, and a second fix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ck and hook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벌어짐을 안내하는 벌어짐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may further include a splay guide for guiding the splay.

상기 벌어짐 안내부는, 상기 제1 심지 또는 제2 심지 중 어느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벌어짐 안내돌기, 및 상기 벌어짐 안내돌기가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제2 심지 또는 제1 심지 중 어느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요입형성된 벌어짐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ared guide part may include a flared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wick or the second wick, and a flared guide groove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second wick or the first wick so that the flared guide protrusion is coupled and moved.

상기 지관을 심지에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upling fixing unit for fixing the branch pipe to the wick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외면 또는 제1 지관과 제2 지관의 내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돌출형성된 결합고정돌기, 및 상기 결합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제1 지관과 제2 지관 또는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요입형성된 결합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fix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ei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or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tube and the second branch tube, and a coupling fixing groove formed concavely formed on any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ranch tube and the second branch tub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tube and the second branch so that the coupling fixing protrusion is coupled.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대향하게 연장되고 심지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part may include a handle and connection pieces extending oppositely from the handle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ck, respectively.

상기 간격벌림부는, 내부에 통공이 관통된 간격벌림몸체와, 상기 간격벌림몸체의 외주면에 대향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사이의 작업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gapping unit may include a gapping body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 pair of inclined surfaces formed to fac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pping body, and a working spa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상기 롤 테이프는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점착테이프를 권취시킨 후, 롤 테이프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제1 지관과 제2 지관 및 제1 점착테이프와 제2 점착테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The roll tape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adhesive t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cut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ll tape to form a first branch pipe, a second branch pipe, and a first adhesive tape and a second adhesive t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에 의하면, 지관에 권취된 점착테이프에 골을 형성하거나 심지를 분리하여 점착테이프를 제거할 수 있는 사용이 완료된 점착테이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tape that has been used can be easily separated by forming valleys in the adhesive tape wound around the paper tube or by separating the wick to remove the adhesive tape.

또한, 점착테이프에 절취선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no perforation i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의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의 간격벌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dhesive tape of th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gap opening part of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의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hesive tape of a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100)는, 지관(110), 점착테이프(120), 골(130),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roll cleaner 100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ranch tube 110, an adhesive tape 120, a trough 130, and a handle portion 140.

지관(110)은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점착테이프(120)를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관(110)의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손잡이부(140)가 결합되는 캡부가 끼움고정될 수도 있다.The branch pipe 110 is formed in a circular tubular shape with a penetrating inside, and may support the adhesive tape 120 . In some embodiments, the cap portion to which the handle portion 140 is coupled may be fitted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branch pipe 110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점착테이프(120)는 지관(110)과 동일한 폭을 갖고, 지관(110)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권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점착테이프(120)의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면이 바닥 또는 직물 등에 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붙여 제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점착테이프(120)의 Y축 반대방향 단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 점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120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branch pipe 110 and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11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some embodiments, the adhesive surface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120 may attach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or dust attached to the floor or fabric. In some embodiments, a non-adhesive surface on which no adhesive is appli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adhesive tape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Y-axis.

골(130)은 점착테이프(12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골(130)은 Y축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Y축 방향으로 물결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골(130)을 통해 비 점착면을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점착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점착테이프(12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valleys 130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tape 120 at regular intervals. The valley 1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Y-axis direction or wavy in the Y-axis direction. Since the non-adhesive surface can be lifted through the valley 130, the adhesive tape 120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손잡이부(140)는 지관(110)의 Y축 방향 또는 Y축 반대방향으로만 결합되어 지관(110)과 점착테이프(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40)는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The handle part 140 is coupled only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110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Y-axis, so that the branch pipe 110 and the adhesive tape 120 can be rotated. In some embodiments, the handle part 140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Y-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200)는, 심지(210), 롤 테이프(220), 결합고정부(230), 손잡이부(240), 간격벌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roll cleaner 200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wick 210, a roll tape 220, a coupling fixing part 230, a handle part 240, and an opening part 250.

심지(21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롤 테이프(220)를 지지할 수 있다. 심지(210)는 제1 심지(211), 제2 심지(212), 탄성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ck 210 may support the roll tape 220 described below. The wick 210 may include a first wick 211 , a second wick 212 , and an elastic member 213 .

제1 심지(211)는 Y축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관을 Y축 방향으로 1/2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심지(211)는 제1 고정편(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편(211')은 제1 심지(211)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213)의 X축 반대방향인 일측 부분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고정편(211')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ick 211 may be formed into a semicircular tube by cutting a circular tub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assed in the Y-axis direction into 1/2 in the Y-axis direction.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wick 211 may include a first fixing piece 211'. The first fixing piece 211' is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ck 211, and a portion of one side opposite to the X-axis of the elastic member 213 may be hooked and fixed.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fixing pieces 211' may be formed as a pair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2 심지(212)는 제1 심지(211)와 대응되도록 Y축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관을 Y축 방향으로 1/2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심지(212)는 제2 고정편(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편(212')은 제2 심지(212)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213)의 X축 방향인 타측 부분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고정편(212')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ick 212 may be formed into a semi-circular tube by cutting a circular tube having an inside penetrated in the Y-axis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wick 211 in half in the Y-axis direction.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wick 212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iece 212'. The second fixing piece 212'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ck 212 so that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213 in the X-axis direction can be hooked and fixed.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fixing pieces 212' may be formed as a pair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탄성부재(213)는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를 연결하여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벌어진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를 복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13)의 X축 반대방향인 일측 부분은 제1 고정편(211')에 걸려 고정되고, X축 방향인 타측 부분은 제2 고정편(2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13 connects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to prevent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from opening, and restores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In some embodiments, one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213 opposite to the X-axis may be caught and fixed by the first fixing piece 211', and the other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caught and fixed by the second fixing piece 212'.

몇몇 실시예에서 심지(210)는 벌어짐 안내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벌어짐 안내부(214)는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벌어짐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벌어짐 안내부(214)는 벌어짐 안내돌기(214a), 벌어짐 안내홈(214b)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ick 210 may further include a flare guide 214 . The opening guide part 214 may guide opening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 In some embodiments, the flaring guide part 214 may include a flaring guide protrusion 214a and a flaring guide groove 214b.

벌어짐 안내돌기(214a)는 제1 심지(211) 또는 제2 심지(212) 중 어느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벌어짐 안내돌기(214a)는 제1 심지(211) 또는 제2 심지(212) 중 어느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widening guide protrusion 214a may protrude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 A pair of flared guide protrusions 214a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벌어짐 안내홈(214b)은 벌어짐 안내돌기(214a)가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제2 심지(212) 또는 제1 심지(211) 중 다른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요입형성될 수 있다. 벌어짐 안내홈(214b)은 제2 심지(212) 또는 제1 심지(211) 중 다른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요입형성될 수 있다.The flaring guide groove 214b may be recess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wick of the second wick 212 or the first wick 211 so that the flaring guide protrusion 214a is coupled and moved. The flaring guide grooves 214b may be formed as a pair of recess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one of the second wick 212 or the first wick 211 .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심지(211)의 내주면에 벌어짐 안내돌기(214a)와 벌어짐 안내홈(214b)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2 심지(212)의 내주면에 벌어짐 안내홈(214b)과 벌어짐 안내돌기(214a)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opening guide protrusion 214a and the opening guide groove 214b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opening guide groove 214b and the opening guide protrusion 214a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ck 212.

롤 테이프(220)는 심지(210)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바닥 또는 직물에 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붙여 제거할 수 있다. 롤 테이프(220)는 제1 지관(221), 제2 지관(222), 제1 점착테이프(223), 제2 점착테이프(224)를 포함할 수 있다.As the roll tape 220 is coupled to the wick 210 and rotat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or dust attached to the floor or fabric can be attached and removed. The roll tape 220 may include a first branch tube 221 , a second branch tube 222 , a first adhesive tape 223 , and a second adhesive tape 224 .

제1 지관(221)은 제1 심지(2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Y축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관을 Y축 방향으로 1/2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ranch tube 221 may be formed into a semi-circular tube by cutting a circular tube having an inside penetrated in the Y-axis direc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ck 211 in half in the Y-axis direction.

제2 지관(222)은 제2 심지(212)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Y축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관을 Y축 방향으로 1/2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ranch tube 222 may be formed into a semi-circular tube by cutting a circular tube having an inside penetrated in the Y-axis direc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ick 212 in half in the Y-axis direction.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관(221)의 내면이 제2 심지(212) 외면에 밀착되고, 제2 지관(222)의 내면이 제1 심지(211) 외면에 밀착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22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ick 2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22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ck 211.

제1 점착테이프(223)는 제1 지관(221)과 동일한 폭을 갖고, 제1 지관(221)의 외주면에 다수 적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점착테이프의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면이 형성되고, 점착면이 바닥 또는 직물 등에 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붙여 제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점착테이프(223)의 Y축 반대방향 단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 점착면(2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tape 223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first branch pipe 221 and may be stacked in pluralit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221 . In some embodiments,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tape to form an adhesive surface, and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dust adhering to the floor or fabric can be attached and removed. In some embodiments, a non-adhesive surface 223' on which no adhesive is appli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adhesive tape 22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Y axis.

제2 점착테이프(224)는 제2 지관(222)과 동일한 폭을 갖고, 제2 지관(222)의 외주면에 다수 적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점착테이프의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면이 형성되고, 점착면이 바닥 또는 직물 등에 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붙여 제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점착테이프(224)의 Y축 반대방향 단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 점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비 점착면(223')을 들어올리 수 있으므로 점착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제1 점착테이프(223) 또는 제2 점착테이프(224)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tape 224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branch pipe 222 and may be stacked in pluralit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pipe 222 . In some embodiments,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tape to form an adhesive surface, and foreign matter such as hair or dust adhering to the floor or fabric can be attached and removed. In some embodiments, a non-adhesive surface on which no adhesive is appli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Y-axis. Therefore, since the non-adhesive surface 223' can be lifted, the first adhesive tape 223 or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여기서, 롤 테이프(220)는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점착테이프를 권취시킨 후, 롤 테이프(220)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 및 제1 점착테이프(223)와 제2 점착테이프(22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을 결합하고,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점착테이프를 권취시킨 상태에서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의 밀착면을 따라 점착테이프를 절단하여 제1 점착테이프(223)와 제2 점착테이프(224)를 형성할 수도 있다.Here, for the roll tape 220, the first branch pipe 221, the second branch pipe 222, and the first adhesive tape 223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adhesive tap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per pipe and then cut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ll tape 220. In addition, the first branch pipe 221 and the second branch pipe 222 are coupled, and the adhesive tape is cut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221 and the second branch pipe 222 in a state where the adhesive tape is woun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ranch pipe 221 and the second branch pipe 222 to form the first adhesive tape 223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may be

결합고정부(230)는 지관을 심지(210)에 고정할 수 있다. 결합고정부(230)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양면테이프는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의 내면에 부착하여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제1 지관(221)과 제1 심지(211) 및 제2 지관(222)과 제2 심지(212)를 고정할 수 있다.The coupling fixing part 230 may fix the branch pipe to the wick 210 . Coupling fixing part 230 may be a double-sided tape. The double-sided tap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branch tube 2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222 a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ranch tube 211 and the second branch tube 212, thereby fixing the first branch tube 221, the first branch tube 211, the second branch tube 222, and the second branch 212.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고정부(230)는 결합고정돌기(231), 결합고정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upling fixing part 230 may include a coupling fixing protrusion 231 and a coupling fixing groove 232 .

결합고정돌기(231)는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외면 또는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의 내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Coupling fixing protrusion 231 may protrude on any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or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branch pipe 221 and the second branch pipe 222 .

결합고정홈(232)은 결합고정돌기(231)가 결합되도록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의 내면 또는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요입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fixing groove 232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pipe 221 and the second branch pipe 222 o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so that the coupling fixing protrusion 231 is coupled. It may be recessed on any one of the surfaces.

여기서, 결합고정돌기(231)와 결합고정홈(232)은 외력에 의해서는 분리되나, 손잡이부(240)의 이동에 따라 롤 테이프(220)가 회전할 때는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만을 유지하면 된다.Here, the coupling fixing protrusion 231 and the coupling fixing groove 232 are separated by external force, but when the roll tape 220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240, only a frictional force sufficient to prevent separation is required.

손잡이부(240)는 심지(210)의 Y축 반대방향과 Y축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심지(210) 및 롤 테이프(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40)는 손잡이(241)와 손잡이(241)로부터 대향하게 연장되어 심지(2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편(24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편(242)은 탄성에 의해 유동할 수 있어야 된다.The handle portion 240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ck 210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to rotate the wick 210 and the roll tape 220 . In some embodiments, the handle portion 240 may include a handle 241 and connection pieces 242 extending oppositely from the handle 241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ck 210, respectively.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ng piece 242 must be able to flow by elasticity.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간격벌림부(250)는 손잡이부(240)와 롤 테이프(220) 사이에 결합되고, 손잡이부(240)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의 간격을 벌릴 수 있다. 간격벌림부(250)는 간격벌림몸체(251), 경사면(252), 작업공간(252)을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spacer 250 is coupled between the handle part 240 and the roll tape 220, and while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handle part 240,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The gap can be widened. The spacer 250 may include a spacer 251, an inclined surface 252, and a work space 252.

간격벌림몸체(251)는 내부에 통공이 관통된 몸체일 수 있다.The gapping body 251 may be a body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경사면(252)은 간격벌림몸체(251)의 외주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사면(252)은 간격벌림몸체(251)에 대향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25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r widening body 251 . In some embodiments, the inclined surface 252 may be formed as a pair to face the gapping body 251 .

작업공간(252)은 경사면(252)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The working space 252 may be a spa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252 .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바닥 또는 직물에 롤 테이프(220)의 점착테이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241)를 이동시키면, 상기 점착테이프 및 심지(210)가 손잡이부(240)의 연결편(2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점착테이프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면이 바닥 또는 직물에 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붙여 제거할 수 있다.First, when the handle 241 is moved while the adhesive tape of the roll tape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r fabric, the adhesive tape and the wick 210 rotate around the connecting piece 242 of the handle portion 240, and the adhesive surface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adhesive tape can attach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or dust attached to the floor or fabric.

상기의 과정으로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점착면에 붙어 점착테이프의 기능이 떨어질 경우, 점착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점착테이프를 제거할 수 있다.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or dust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function of the adhesive tape deteriorates, the adhesive tape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can be remov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40)의 연결편(242)을 롤 테이프(22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연결편(242)의 가압에 따라 간격벌림부(250)의 경사면(252)이 심지(210)의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면(252)에 의해 제1 심지(211) 및 제2 심지(212)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connection piece 242 of the handle portion 240 may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roll tape 220 .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252 of the spacer 250 moves to the inside of the wick 210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of the connecting piece 242,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can be widened by the inclined surface 252.

상기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벌어지면서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 및 제1 점착테이프(223)와 제2 점착테이프(22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간격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는 벌어짐 안내부(214)의 벌어짐 안내돌기(214a)가 벌어짐 안내홈(214b)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13)는 인장되면서 압축력이 생성될 수 있다.As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move and sprea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first branch pipe 221, the second branch pipe 222, the first adhesive tape 223,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may spread in opposite directions to create a gap. Here,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are separated while the flaring guide protrusion 214a of the flaring guide 214 moves to the other side of the flaring guide groove 214b,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ember 213 may be tensioned and a compressive force may be generated.

이 상태에서 간격벌림부(250)의 작업공간(252)을 통해 제1 점착테이프(223)의 비 점착면(223')을 들어올림으로써 점착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제1 점착테이프(22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제2 점착테이프(224)의 비 점착면을 들어올림으로써 점착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제2 점착테이프(22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non-adhesive surface 223' of the first adhesive tape 223 can be easily separated by lifting the non-adhesive surface 223' of the first adhesive tape 223 through the working space 252 of the spacer 250, and by lifting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with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can be easily removed. can be separated.

또한, 점착면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제1 점착테이프(223) 또는/및 제2 점착테이프(224)의 분리가 완료되면, 연결편(242)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편(242)은 자체 복원력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간격벌림부(250)가 복원되면서 제1 심지(211) 및 제2 심지(212)의 가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of the first adhesive tape 223 or/and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adhesive surface is completed,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piece 242 may be releas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ece 242 is restored by its own restor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r 250 is restor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can be released.

또한, 가압력이 해제된 제1 심지(211) 및 제2 심지(212)는 탄성부재(213)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1 심지(211)와 제2 심지(212), 제1 지관(221)과 제2 지관(222) 및 제1 점착테이프(223)와 제2 점착테이프(224)의 절단된 단부가 밀착되어 제1 점착테이프(223)와 제2 점착테이프(224)는 원형을 유지하면서 다음의 과정을 대기하게 되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first wick 211 and the second wick 212, from which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are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3, the first wick 211, the second wick 212, the first branch tube 221, the second branch tube 222, and the first adhesive tape 223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ut ends of the first adhesive tape ( 223)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224 wait for the next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ir original shape, and the above process can be used repeated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롤 클리너
110: 지관
120: 점착테이프
130: 골
140: 손잡이부
200: 롤 클리너
210: 심지
211: 제1 심지
211': 제1 고정편
212: 제2 심지
212': 제2 고정편
213: 탄성부재
214: 벌어짐 안내부
214a: 벌어짐 안내돌기
214b: 벌어짐 안내홈
220: 롤 테이프
221: 제1 지관
222: 제2 지관
223: 제1 점착테이프
224: 제2 점착테이프
230: 결합고정부
231: 결합고정돌기
232: 결합고정홈
240: 손잡이부
241: 손잡이
242: 연결편
250: 간격벌림부
251: 간격벌림몸체
252: 경사면
253: 작업공간
100: roll cleaner
110: branch pipe
120: adhesive tape
130: goal
140: handle part
200: roll cleaner
210: wick
211: first wick
211': first fixing piece
212: second wick
212': second fixing piece
213: elastic member
214: flaring guidance unit
214a: flared guide protrusion
214b: opening guide groove
220: roll tape
221: first branch pipe
222: second branch pipe
223: first adhesive tape
224: second adhesive tape
230: coupling fixing part
231: coupling fixing protrusion
232: coupling fixing groove
240: handle part
241: handle
242: connecting flight
250: spacing part
251: spacing body
252: slope
253: workspace

Claims (11)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관;
상기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권취되고,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테이프;
상기 점착테이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골; 및
상기 지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관과 점착테이프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Branch pipe made of a circular tube shape;
an adhesive tap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per pip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n adhesive surface formed thereon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outer surface;
valley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at regular intervals; an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handle coupled to an end of the paper tube to rotate the paper tube and the adhesive t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은 Y축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물결모양으로 형성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in which the valley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wavy shape in the Y-axis direction.
반원형의 제1 심지 및 제1 심지와 대응되는 제2 심지, 상기 제1 심지와 제2 심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심지;
상기 제1 심지 및 제2 심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지관과 제2 지관, 상기 제1 지관 및 제2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각각 다수 적층되는 제1 점착테이프 및 제2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롤 테이프;
상기 심지의 단부에 결합되어 심지 및 롤 테이프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롤 테이프 사이에 결합되고, 손잡이부의 가압에 따라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간격을 벌리는 간격벌림부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A wick including a semicircular first wick, a second wi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ck,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A roll tap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wicks, and first and second adhesive tapes laminated in plurality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respectively;
a handle coupled to an end of the wick to rotate the wick and the roll tape; an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including a spacer that is coupl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roll tape and widens the gap between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according to pressurization of the hand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일측 부분이 걸려 고정되는 제1 고정편; 및
상기 제2 심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의 타측 부분이 걸려 고정되는 제2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fix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ck and having one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hooked and fixed; and
The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ck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by being caugh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벌어짐을 안내하는 벌어짐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According to claim 3,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guiding portion for guiding opening of the first and second wick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벌어짐 안내부는,
상기 제1 심지 또는 제2 심지 중 어느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벌어짐 안내돌기; 및
상기 벌어짐 안내돌기가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제2 심지 또는 제1 심지 중 어느 하나의 심지 내주면에 요입형성된 벌어짐 안내홈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laring guide unit,
a flared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wick or the second wick; an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dhesive tape including a flare guide groove concave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ither a second wick or a first wick so that the flare guide protrusion is coupled and mov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을 심지에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According to claim 3,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aper pipe to the wick.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외면 또는 제1 지관과 제2 지관의 내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돌출형성된 결합고정돌기; 및
상기 결합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제1 지관과 제2 지관 또는 제1 심지와 제2 심지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요입형성된 결합고정홈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upling fixing part,
coupling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ither outer surfaces of the first wick and the second wick or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an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coupling fixing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aper tubes or the first and second wicks so that the coupling fixing protrusions are coupl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대향하게 연장되고 심지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ndle; an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including connecting pieces extending oppositely from the handle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ck, respectivel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벌림부는,
내부에 통공이 관통된 간격벌림몸체;
상기 간격벌림몸체의 외주면에 대향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사이의 작업공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acing portion,
A spacer body with a through hole therein;
Inclined surfaces formed in a pair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pping body; and
An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working spa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테이프는 지관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로 점착테이프를 권취시킨 후, 롤 테이프의 중앙 부분을 절단하여 제1 지관과 제2 지관 및 제1 점착테이프와 제2 점착테이프를 형성하는 점착 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접착 롤 클리너.
According to claim 3,
The roll tape is formed by winding the adhesive tap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per tube, and then cut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ll tape to form the first branch tube, the second branch tube, the first adhesive tape,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Adhesive roll cleaner capable of partially removing the adhesive tape.
KR1020220006306A 2022-01-17 2022-01-17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KR102646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06A KR102646226B1 (en) 2022-01-17 2022-01-17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06A KR102646226B1 (en) 2022-01-17 2022-01-17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860A true KR20230110860A (en) 2023-07-25
KR102646226B1 KR102646226B1 (en) 2024-03-11

Family

ID=8742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306A KR102646226B1 (en) 2022-01-17 2022-01-17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2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898A (en) * 1997-03-24 1998-10-06 Toshihiro Tsuchiya Adhesive roller sweeper
KR20150137586A (en) 2014-05-30 2015-12-09 고종택 A Tape Cleaner
KR20170009095A (en) * 2015-07-15 2017-01-25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KR20190091183A (en) * 2018-01-26 2019-08-05 최종옥 Roll tape and adhesive tape cleaner using it
KR20210009932A (en) * 2019-07-18 2021-01-27 김제훈 Multifunctional tape cleaner
KR102265954B1 (en) * 2020-02-10 2021-06-15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Roll cleaner easy to cut an adhesion tap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898A (en) * 1997-03-24 1998-10-06 Toshihiro Tsuchiya Adhesive roller sweeper
KR20150137586A (en) 2014-05-30 2015-12-09 고종택 A Tape Cleaner
KR20170009095A (en) * 2015-07-15 2017-01-25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Telescopic pipe of vacuum cleaner
KR20190091183A (en) * 2018-01-26 2019-08-05 최종옥 Roll tape and adhesive tape cleaner using it
KR20210009932A (en) * 2019-07-18 2021-01-27 김제훈 Multifunctional tape cleaner
KR102265954B1 (en) * 2020-02-10 2021-06-15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Roll cleaner easy to cut an adhesion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226B1 (en)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6148B2 (en) Rotating connector device
US20160120392A1 (en) Tape cleaner
KR20050049408A (en) Tube joint
KR20230110860A (en) Roll cleaner that removes the adhesive tape
JP2018202276A (en) Pipe inside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pipe inside by pipe inside cleaning device
JP2006288605A (en) Holder and sticking-type cleaner
EP1654093B1 (en) Roller construction for detritus removal
KR102265954B1 (en) Roll cleaner easy to cut an adhesion tape
JP2015531262A (en) Tape cleaner
US20210153718A1 (en) Tape cleaner
KR20140141828A (en) Friction Collar For A Winding Machine
JPH10234644A (en) Cleaning instrument
KR200488949Y1 (en) Roll tape for tape type cleaner having cutting position guide groove
JP2017114587A (en) Tape holder
JP3272710B2 (en) Adhesive tape roll
JP4815507B2 (en) Perforated adhesive tape roll manufacturing method and perforated adhesive tape roll
KR101778678B1 (en) Cleaner
KR102499803B1 (en) Tape cleaner with reverse rotation prevention means
JP6982547B2 (en) Tape removal method and tape remover
US4119280A (en) Core for rolled label strip
JP3471129B2 (en) Adhesive roll cleaning tool
JP3040749U (en) Adhesive tape cutting machine
JP2018089174A (en) Cutter for adhesive tape roll cleaner
KR102347952B1 (en) Friction Shaft
KR200276412Y1 (en) One Touch Cutting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