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327A - 문합구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문합구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327A
KR20230110327A KR1020237020772A KR20237020772A KR20230110327A KR 20230110327 A KR20230110327 A KR 20230110327A KR 1020237020772 A KR1020237020772 A KR 1020237020772A KR 20237020772 A KR20237020772 A KR 20237020772A KR 20230110327 A KR20230110327 A KR 2023011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connecting member
anastomosis
protectiv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텡 샨
왕동 첸
위안양 카오
Original Assignee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314455.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515200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704636.8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78760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714234.6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78760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311153.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51517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714425.2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78760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714356.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23155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714586.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787604U/zh
Application filed by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1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5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5Reinforcements for sutur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55Implan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9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관상 조직의 내부에서 문합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보호 슬리브(1); 및 관상 조직의 외벽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2) 및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서 제1 고정 부재(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3)를 포함하고,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가 자성 흡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호 슬리브(1)에 의해 문합구의 내면을 보호하고, 제1 고정 부재(1)와 제2 고정 부재(2) 사이의 자성 흡착 위치만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둘레 방향의 길이가 탄성 신축 가능하여 조직에 충분한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 내부에 내용물이 있거나 조직 자체가 연동할 때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Description

문합구 보호 장치
본 발명은 의료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문합구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관에서 절제 봉합 수술을 시행한 후, 배설물이 문합구에 장력을 가하는 것을 피면하거나, 배설물이 문합구를 오염하여 문합구가 감염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문합구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문합구 보호 방식은 일반적으로 장관 내부에 관상 캐뉼러(cannula)를 설치하고, 문합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캐뉼러가 장관의 내면을 덮어, 캐뉼러에 의해 배설물을 인체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문합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합구의 생리학적 조직이 성장한 후, 2회의 수술을 시행할 필요가 없이 직접 캐뉼러를 꺼내면 된다. 캐뉼러를 필요한 위치에 더 잘 고정하기 위해서는, 캐뉼러의 외부에 고정 직경을 갖고 장관에 위치 결정되게 둘러싸도록 배치된 고정 밴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고정 밴드는 불가피하게 장관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여, 장관의 정상적인 연동에 장애를 형성하고 고정 밴드의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문합구 부근에 혈액 공급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관상 어셈블리에 둘레 방향의 신축 공간을 제공하여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상 조직의 내부에서 문합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보호 슬리브;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관상 조직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서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자성 흡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각각 관상 조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대응하여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여 배열된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대응하여 배열된 제2 고정 부재는 모두 자성 부재이거나, 적어도 하나는 자성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비자성 부재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고정 부재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고정 부재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에 위치하는 일단에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 및 하류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싼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연결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구조에서 연결되어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거나, 상기 연결 구조에서 단절되어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와 일체로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관상 조직에 장착될 경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 연결 부재이고, 상기 연결 부재는 탑재부와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탑재하고, 상기 탄성 연결 부재는 2개의 인접한 상기 탑재부 사이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는 하기의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탑재부의 탄성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탄성보다 작다.
상기 탑재부의 폭은 상기 제1 고정 부재 또는 제2 고정 부재의 폭에 적합하고, 상기 탑재부의 폭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폭보다 크다.
상기 탑재부의 두께는 상기 탄성 연결부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탑재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또는 제2 고정 부재를 둘러싸는 환상 구조이고, 상기 환상 구조의 벽의 폭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폭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1 연결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대응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내주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되거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된다.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내주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되거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장착홈에 끼움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장착홈은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설치된 구멍이거나, 상기 장착홈은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서 돌출된 환상 장착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상기 관상 조직에 대향하는 표면은 호형 표면이고,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상기 보호 슬리브에 대향하는 표면은 호형 표면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자성 고정 부재이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자성 고정 부재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자성 고정 부재이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자성 고정 부재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순차적으로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환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접속 위치는 신축 가능한 연결 구조를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순차적으로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환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접속 위치는 신축 가능한 연결 구조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자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에는 모두 자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동일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동일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와 상기 제2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반대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표면에는 제1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거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제1 흡인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흡인부의 표면에는 제3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거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고,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내벽에 위치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에는 제2 흡인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흡인부의 표면에는 제4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거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제2 자성 입자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 입자 코팅층은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코팅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조작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 및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작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조작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체외로 나오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작 부재와 분리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폐쇄되지 않은 막대기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관상이고,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제2 조작 부재의 외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조작 부재의 제1 단부 중의 축 방향이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제2 단부에는 제1 나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의 제1 단부에는 제2 나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는 나사에 의해 서로 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제3 상태와 제4 상태를 포함하는 공기 충전 가능한 기낭; 및
제1 단부가 상기 기낭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기낭에 대해 공기 충전하거나 배기하도록 구성된 공기 충전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제2 단부에는 기낭 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은 상기 제3 상태에 있고, 상기 기낭은 상기 기낭 배합부와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공기 충전 튜브의 제2 단부는 체외로 나오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은 제4 상태에 있고, 상기 기낭은 상기 기낭 배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착탈 가능한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는 체외에 위치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보호 슬리브에 의해 문합구의 내면을 보호하고, 관상 조직의 내용물 통과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문합구를 오염시키지 않고,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 사이의 자성 흡착에 의해 보호 슬리브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고, 해당 장치에서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 사이의 자성 흡착 위치만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둘레 방향의 길이가 탄성 신축 가능하여 조직에 충분한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 내부에 내용물이 있거나 조직 자체가 연동할 때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문합구 보호 장치가 적용되는 관상 조직은 장관일 수 있고, 인체 내의 기타 관상 조직, 예를 들어, 소화관 중의 기타 위치의 관상 조직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부재와 제1 연결 부재의 배합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슬리브와 제2 고정 부재의 배합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 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 부재가 분리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제1 연결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구멍를 설치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환상 부착 부재를 설치한 모식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머리와 꼬리가 접하는 제1 고정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 부재가 분리된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어셈블리와 조작 어셈블리가 끼움 설치진 모식도이다.
도 36은 도 2의 A1 중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2의 B 중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 어셈블리와 조작 어셈블리가 끼움 설치진 모식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제2 조작 부재의 나사 구멍의 모식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구조 모식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 기술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형태를 제공하여 본 발명을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하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상을 전면적으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전달되게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호 슬리브 및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호 슬리브는 관상 조직의 내부에서 문합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보호 슬리브는 문합구의 내면에 보호 작용을 발휘하고, 관상 조직의 내용물 통과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문합구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관상 조직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서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자성 흡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 사이의 자성 흡착에 의해 보호 슬리브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된다.
종래 기술의 고정 밴드는 둘레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고, 탄성 신축이 없고, 조직의 자연 수축에 적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 사이의 자성 흡착 위치만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둘레 방향의 길이는 탄성 신축 가능하고, 조직에 충분한 둘레 방향 신축의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 내부에 내용물이 있거나 조직 자체가 연동하는 경우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구체적인 실시예의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각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각 실시예에서 장관 조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기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관상 조직은 장관 조직에 한정되지 않고, 인체 내의 기타 관상 조직, 예를 들어, 소화관 중의 기타 위치의 관상 조직 등일 수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를 장관 조직(9)에 적용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보호 슬리브(1) 및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장관 조직(9)의 내부에서 문합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즉 보호 슬리브(1)의 양단은 각각 문합구의 양측에 위치하여, 문합구를 전면적으로 덮고,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피보호 조직의 조직벽을 접합한다. 상기 보호 슬리브(1)는 문합구의 내면에 대해 보호 작용을 발휘하고, 장관 내용물의 통과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문합구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장관 조직(9)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자성 흡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3)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성 고정 부재이고, 제1 고정 부재(2) 및 대응하는 제2 고정 부재(3)는 서로 자기 흡인할 수 있어, 제1 고정 부재(2)는 장관 조직(9)의 외벽에 부착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의 고정에 의해 장관 조직(9)에 대한 보호 슬리브(1)의 위치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모두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자성재료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친자성 금속 및 그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자성 재료, 예를 들어, 자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일부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자성 고정 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일부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성에 흡착 가능한 고정 부재를 사용하고,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는 제1 고정 부재(2)와 대향하는 제2 고정 부재(3)는 자성 고정 부재이고, 자성의 제1 고정 부재(2)와 대향하는 제2 고정 부재(3)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는 고정 부재 또는 자성 고정 부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일부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자성 고정 부재를 사용하고, 제2 고정 부재(3)의 일부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성에 흡인 가능한 고정 부재를 사용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고정 부재(2)의 일부는 자성을 가지고 일부는 자성을 갖지 않거나 제1 고정 부재(2)는 모두 자성을 가진다.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에 설치되고, 보호 슬리브(1)가 문합구의 하류 일측으로 이동하여 문합구에 대한 보호를 잃지 않도록 보호 슬리브(1)를 고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문합구의 상류란, 장관 내용물이 장관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참조로 하고, 장관 내용물이 장관을 따라 문합구의 상류 일측으로부터 문합구의 하류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해당 문합구 보호 장치를 장관의 저위에 적용하는 경우, 보호 슬리브(1)는 배설물을 장관을 따라 배출하고 문합구의 상류 일측으로부터 문합구의 하류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해당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 사이의 자성 흡착 위치만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둘레 방향의 길이가 탄성 신축 가능하여 장관에 충분한 둘레 방향으 신축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조직 내부에 내용물이 있거나 조직 자체가 연동할 때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장관 조직(9)이 연동할 때,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는 장관 조직(9)의 연동에 따라 운동할 수 있고, 인접하는 2개의 제1 고정 부재(2) 사이에 거리는 변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제2 고정 부재(3) 사이의 거리는 변할 수 있고, 이로써 문합구 보호 장치 전체가 하나의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1)는 문합구에 대해 둘레 방향의 보호를 형성할 수 있는 관상의 보호 캐뉼러이다. 상기 보호 슬리브(1)는 두께가 얇고 유연성이 있는 필름 캐뉼러, 예를 들어, 고무 필름 캐뉼러, 실리콘 필름 캐뉼러 등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1)는 기타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문합구의 내벽을 덮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슬리브(1)의 상기 문합구의 상류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지지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1)가 반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경우,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전체가 장관 조직(9)의 내부에 넣거나 장관 조직(9)의 내부로부터 꺼낼 수 있고, 상기 보호 슬리브(1)가 제자리에 배치된 후, 상기 지지부(11)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하여 보호 슬리브(1)에 대한 지지를 형성하고, 보호 슬리브(1)의 보다 양호한 장벽과의 밀착 밀봉을 실현하고, 내용물의 문합구에의 진입을 방지한다. 지지부(11)는 공기를 충전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환상의 탄성 기낭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낭의 외벽은 탄성을 갖고, 예를 들어, 탄성 고무, 실리콘, TPU 등일 수 있거나 얇은 PC 재질일 수 있고, 공기 충전 후에 조직 벽과 밀착되어 내용물이 통과할 때 둘레 방향의 길이가 커져, 장관을 적합하게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는 기타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스프링 또는 반경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슬라이더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지지부(11)의 외경의 증대 또는 축소를 실현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와 상기 지지부(11)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부(11)와의 배합에 의해 보호 슬리브(1)를 문합구 위치에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각각 상기 장관 조직(9)의 둘레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보호 슬리브(1)에 대해 균일하고 안정한 고정을 형성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2)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3) 사이에 간격이 설치된다.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의 개수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마련될 수 있고,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 사이는 일대일로 대응하는 관계, 일대 복수의 관계 또는 복수 대 일의 관계 등을 형성할 수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2)는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고, 및/또는 제2 고정 부재(3)는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의 자성 흡착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대응하여 배열된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대응하여 배열된 제2 고정 부재(3) 모두 자성 부재이거나, 적어도 하나는 자성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비자성 부재, 즉 각 제1 고정 부재(2) 및 그에 대응하여 배열된 하나의 제2 고정 부재(3)는 한 쌍의 고정 부재이고, 모두 자성 부재이거나 하나는 자성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비자성 부재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상기 장관 조직(9)에 대향하는 표면은 호형 표면이고, 해당 호형 표면의 형상은 장관 조직(9)의 외벽에 기본적으로 적합하여 제1 고정 부재(2)와 장관 조직(9)의 외벽과의 보다 양호한 밀착을 실현한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상기 보호 슬리브(1)에 대향하는 표면은 호형 표면이고, 해당 호형 표면의 형상은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기본적으로 적합하여 제2 고정 부재(3)와 보호 슬리브(1)의 내면과의 보다 양호한 밀착을 실현한다.
더 나아가,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3)의 표면은 물결 모양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상기 장관 조직(9)을 향하는 표면이 상기 장관 조직(9)의 길이방향(도 4에서 S 방향)을 따라 고저기복을 갖는 물결 모양의 표면이고, 장관 조직(9)의 외벽에 보다 양호하게 적응할 수 있어, 제1 고정 부재(2)와 장관 조직(9)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제1 고정 부재(2)와 장관 조직(9)의 외벽의 배합 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상기 보호 슬리브(1)를 향하는 표면이 상기 장관 조직(9)의 길이 방향(도 4에서 S 방향)을 따라 고저기복을 갖는 물결 모양의 표면이고, 제2 고정 부재(3)와 보호 슬리브(1)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제2 고정 부재(3)와 보호 슬리브(1)의 내벽의 배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물결 모양의 표면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의 제1 고정 부재(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3)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2)를 탑재하는 제1 연결 부재(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장관 조직(9)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 하나의 환상 연결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함께 보호 슬리브(1)에 대해 하나의 둘레 방향의 고정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제1 탑재부(41)와 제1 연결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탑재부(41)는 제1 고정 부재(2)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1 고정 부재(2)를 탑재한다. 상기 제1 연결부(42)는 인접하는 2개의 제1 탑재부(41)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고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탄성 연결 부재일 수 있고, 적어도 제1 연결부(42)는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장관 연동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4)는 장관 연동에 따라 탄성 변형을 발생할 수 있고, 장관에 제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장관에 신축 가능한 운동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 연결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지지부(1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2) 및 제1 탑재부(41)가 모두 탄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탑재부(41)의 탄성은 상기 제1 연결부(42)의 탄성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탑재부(41)는 제1 고정 부재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제1 연결부(42)는 보다 양호한 둘레 방향 신축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연결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연결 구조에 연결되어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된 환상 구조를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 구조에서 단절하여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으로부터 이탈한다. 즉 제1 연결 부재(4)는 폐쇄된 환상 또는 비폐쇄 형상의 2 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4)는 두 가지 응용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하나의 방식은 제1 연결 부재(4)의 초기 상태가 폐쇄된 하나의 링이고, 장관 조직(9)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을 경우, 해당 연결 구조에서 단절하여 상기 장관 조직(9)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식은 제1 연결 부재(4)의 초기 상태가 폐쇄되지 않는 구조이고, 장관 조직(9)의 외부에 장착된 후 연결 구조에서 하나의 링으로 폐쇄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연결 구조는 2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연결 돌기(43) 및 연결 홈(44)을 포함하고, 연결 돌기(43)가 연결 홈(44)에 끼움 설치된 경우, 제1 연결 부재(4)는 환상이고, 연결 돌기(43)와 연결 홈(44)이 분리된 경우, 제1 연결 부재(4)는 막대기 형상 또는 기타 비폐쇄 형상이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구조는 기타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단부에 각각 연결 링과 연결 후크를 설치하여, 양자를 서로 걸거나 분리하여 제1 연결 부재(4)의 2개의 상태를 실현할 수 있거나 2개의 단부에 접착 구조를 설치하여 접착 또는 접착 분리에 의해 제1 연결 부재(4)의 2개의 상태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2)를 장관 조직(9)의 외벽에 배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1연결 부재(4) 및 제1 고정 부재(2)를 전체적으로 복강 내에 함께 넣을 수 있고, 이때 제1 연결 부재(4)는 폐쇄되지 않은 하나의 링일 수 있거나 2개의 단부를 가지고 제1 연결 부재(4)가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고 연결 부재(4)의 양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포트를 갖는 폐쇄 환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긴 선형 구조일 수 있다. 해당 포트 중의 연결은, 끼움 결합, 부가 고정 부재의 연결 등의 방식에 의해 진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재부(41)의 폭(w1)은 제1 연결부(42)의 폭(w2)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1 탑재부(41)는 폭이 넓은 제1 고정 부재(2)를 탑재할 수 있어, 제1 고정 부재(2)의 보호 슬리브(1)에 대한 보다 양호한 고정 작용을 실현하고, 제1 연결부(42)의 폭이 작아, 제1 연결부(42)의 탄성 변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관 조직(9)의 연동에 대한 영향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탑재부(41)의 환상 벽의 폭(w5)은 제1 연결부(42)의 폭(w2)보다 클 수 있어, 제1 탑재부(41)와 제1 고정 부재(2)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탑재부(41)의 두께(t1)은 제1 연결부(42)의 두께(t2)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재부(41)의 두께(t1)는 제1 연결부(42)의 두께(t2)보다 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탑재부(41)는 두께가 두꺼운 제1 고정 부재(2)를 탑재할 수 있어, 보호 슬리브(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2)의 보다 양호한 고정 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42)의 두께가 작아, 제1 연결부(42)의 탄성 변형 능력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여기서 두께 방향은 환상 구조를 형성한 후의 제1 연결 부재(4)의 반경 방향(보호 슬리브(1)의 반경 방향에 대응)에 상당한다.
상기 제1 탑재부(41)는 상기 제1 연결부(42)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제1 탑재부(41)는 제1 고정 부재(2)를 둘러싸는 중공 환상 구조이고, 즉 상기 제1 탑재부(41)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제1 고정 부재(2)는 장착 구멍에 끼움 설치된다. 더 편리하게 제1 고정 부재(2)를 제1 연결 부재(4)에 장착하고 제1 연결 부재(4)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상기 장착 구멍의 내벽이 맞닿는 각 측벽은 라운드 코너(21) 구조를 가진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재부(41)는 기타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1 연결부(42)와 독립적으로 성형되어 고정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에 둘레 방향의 제1 고정 부재 장착홈(23)이 설치되고, 환상의 상기 제1 탑재부(41)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장착홈(23)에 끼움 설치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탑재부(41)의 중공 환상 구조의 가장자리 내측의 적어도 일부에는 둘레 방향의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측면이 상기 장착홈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상기 제1 탑재부(41)의 안정적인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3)를 탑재하는 제2 연결 부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5)가 상기 장관 조직(9)에 장착될 경우,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을 둘러싸 하나의 환상 연결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함께 보호 슬리브(1)에 대해 하나의 둘레 방향의 고정을 형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연결 부재(5)는 폐쇄되지 않는 기타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위치에 대응하여 보호 슬리브(1)에 대한 고정 링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제2 탑재부(51)와 제2 연결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탑재부(51)는 제2 고정 부재(3)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2 고정 부재(3)를 탑재한다. 상기 제2 연결부(52)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탑재부(51)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5)가 상기 장관 조직(9)에 장착될 경우,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탄성 연결 부재일 수 있고, 적어도 제2 연결부(52)는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장관 연동에 있어서, 제2 연결 부재(5)는 장관 연동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장관에 제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장관에 신축 가능한 운동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 연결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지지부(1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폐쇄된 환상 구조일 수 있고, 포트를 갖는 하나의 연결 부재일 수도 있고, 상기 장관 조직(9)에 장착될 경우,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연결 링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연결부(52) 및 제2 탑재부(51)가 모두 탄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제2 탑재부(51)의 탄성은 상기 제2 연결부(52)의 탄성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탑재부(51)는 제2 고정 부재(3)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연결부(42)는 보다 양호한 둘레 방향 신축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재부(51)의 폭(w3)은 제2 연결부(52)의 폭(w4)보다 크다. 폭 방향은 도 1의 제1 탑재부(41)의 폭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탑재부(51)는 폭이 넓은 제2 고정 부재(3)를 탑재할 수 있어, 제2 고정 부재(3)의 보호 슬리브(1)에 대한 보다 양호한 고정 작용을 실현하고, 제2 연결부(52)의 폭이 작아, 제2 연결부(52)의 탄성 변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관 조직(9)의 연동에 대한 영향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탑재부(51)의 환상 벽의 폭(w6)은 제2 연결부(52)의 폭(w4)보다 클 수 있어, 제2 탑재부(51)와 제2 고정 부재(3)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탑재부(51)의 두께(t3)와 제2 연결부(52)의 두께(t4)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재부(51)의 두께(t3)는 제2 연결부(52)의 두께(t4)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탑재부(51)는 두께가 두꺼운 제2 고정 부재(3)를 탑재하여 보호 슬리브(1)에 대한 제2 고정 부재(3)의 보다 양호한 고정 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52)의 두께가 작아도 제2 연결부(52)의 탄성 변형 능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탑재부(51)는 상기 제2 연결부(52)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제2 탑재부(51)는 제2 고정 부재(3)를 둘러싸는 중공 환상 구조이고, 즉 상기 제2 탑재부(51) 장착 구멍이 설치되고, 제2 고정 부재(3)는 장착 구멍에 끼움 설치된다. 보다 용이하게 제2 고정 부재(3)를 제2 연결 부재(5)에 장착하고 제2 연결 부재(5)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2 고정 부재(3)와 상기 장착 구멍의 내벽이 맞닿는 각 측벽은 라운드 코너(31) 구조를 가진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재부(51)는 기타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2 연결부(52)와 독립적으로 성형되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에 둘레 방향의 제2 고정 부재 장착홈(32)이 설치되고, 환상의 상기 제2 탑재부(51)는 상기 제2 고정 부재 장착홈(32)에 끼움 설치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재부(51)의 중공 환상 구조의 가장자리 내측의 적어도 일부에는 둘레 방향의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측면은 상기 장착홈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 부재(3)와 상기 제2 탑재부(51)의 안정적인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상기 보호 슬리브(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상기 보호 슬리브(1)와 별도로 성형된 후 접착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보호 슬리브(1)에 미리 고정되지 않고 수술 시 의사에 의해 보호 슬리브(1)의 대응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의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탄성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유연성 연결 부재만을 사용할 수 있고,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잉여 길이가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장관에 배치하지 않기 전에, 제1 연결 부재(4)의 직경이 장관의 외경보다 크다. 장관이 연동할 때, 제1 연결 부재(4)의 잉여 길이는 제1 연결 부재(4)의 직경의 신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장관의 정상적인 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문합구 중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탄성 연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 11의 제1 연결 부재(4)의 형상과 유사한 유연성 연결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잉여 길이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를 장관에 적용한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에는 제1 연결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된다. 수술 시, 제1 고정 부재(2)를 제2 고정 부재(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씩 배치하여,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의 상대적인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연결 부재의 구조물을 생략하여 장치가 더 적은 부품을 가진다.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서, 장치는 조직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고 문합구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장관 조직(9)이 연동할 때, 복수의 제1 고정 부재(2)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는 장관 조직(9)의 연동에 따라 자유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즉 마찬가지로 장관 조직(9)에 둘레 방향의 신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체 흡수성의 철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고정 부재(3)는 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1 고정 부재(2)와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 부재(2)는 생체 흡수성의 자화된 철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고정 부재(3)는 자성 재료 또는 자성에 흡인 가능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 내부에 설치된 후, 제1 고정 부재(2)는 후속에 제거할 필요 없이 서서히 인체에 흡수될 수 있어, 수술 후 제1 고정 부재(2)를 제거하는 단계를 절약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3)는 보호 슬리브(1)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수술 후 문합구가 아물면, 보호 슬리브(1)와 제2 고정 부재(3)의 전체 구조를 함께 꺼내면 되고, 수술 조작이 보다 간편하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제2 고정 부재(3)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체 흡수성의 철계 재료 또는 생체 흡수성의 자화된 철계 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수술 후 제2 고정 부재(3)를 제거하는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연결 부재(5)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체 흡수성의 의료용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일정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유연성 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수술 후 제2 연결 부재(5)를 제거하는 단계가 생략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체 흡수성의 의료용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일정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유연성 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수술 후 제1 연결 부재(4)를 제거하는 단계가 생략된다.
본 발명의 후술하는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 상기 제2 고정 부재(3), 상기 제1 연결 부재(4) 및 제2 연결 부재(5)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적어도 일부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여 수술 후 인공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 인체에서 일정 시간 후에 자연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가 자성 고정 부재인 경우,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생체 흡수성의 자성 고정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가 자기 고정 부재인 경우,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생체 흡수성의 자기 고정 부재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를 장관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는 제2 연결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2 고정 부재(3)가 설치된다. 수술 시, 제1 고정 부재(2)를 제1 고정 부재(2)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씩 배치하여,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의 상대적인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연결 부재의 구조물을 생략하고 장치가 적은 부품을 가진다. 제2 고정 부재(3)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서, 장치는 조직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고 문합구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장관 조직(9)이 연동할 때, 복수의 제2 고정 부재(3)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는 장관 조직(9)의 연동에 따라 자유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즉 마찬가지로 장관 조직(9)에 둘레 방향의 신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를 장관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에는 제1 연결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는 제2 연결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수술 시,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를 위치 대응하여 필요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는 보호 슬리브,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만을 포함한다. 제2 고정 부재(3)는 수술 전에 보호 슬리브(1)에 미리 장착될 수 있어, 수술 과정에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의 정렬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그리고 제2 고정 부재(3)는 보호 슬리브(1)에 미리 장착되지 않고, 수술 과정에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를 필요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상기 장관 조직을 향하는 내면(2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내면(25)은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에 밀착한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상기 보호 슬리브(1)를 향하는 외면(3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외면(35)은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밀착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보다 양호한 위치결정 및 더 안정한 연결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 부재(2)의 내면(25)의 형상과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외면(35)의 형상이 매칭됨으로써,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내면(25)과 이에 대응하는 제2 고정 부재(3)의 외면(35) 사이에 장관 벽과 보호 슬리브(1)를 두고 양호한 밀착을 형성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내면(25)과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외면(35)은 각각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 형상에 적합한 호면이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내면(25)과 장관 조직(9)의 외벽과의 양호한 밀착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내면(35)과 장관 조직(9)의 내면과의 양호한 밀착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상기 제2 고정 부재(3)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장착홈이 더 설치될 수 있어, 보호 슬리브(1)의 내면 중의 제2 고정 부재(3)의 위치 결정을 보다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대응하는 장착홈에 끼움 설치되어 제2 고정 부재(3)와 보호 슬리브(1)의 내면의 착탈 가능한 고정을 실현한다. 도 16 및 도 17은 2종류의 상이한 장착홈 구조를 나타내고, 도 16 중의 장착홈은 보호 슬리브(1)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함몰된 구멍(12)이고, 도 17 중의 장착홈은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서 돌출된 환상 장착 부재(13)에 의해 둘러싸인 홈이다. 제2 고정 부재(3)는 수술 전에 보호 슬리브(1)의 내면의 장착홈에 미리 끼움 설치한 후, 보호 슬리브(1) 및 제2 고정 부재(3) 전체를 장관 조직(9)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3)를 미리 장착하지 않고 수술 과정에서 제2 고정 부재(3)를 대응하는 장착홈에 끼움 설치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 중의 장착홈의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구멍(12)에의 장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적어도 상기 구멍(12)의 위치에서 탄성을 가진다. 더 나아가,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전체적으로 탄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멍(12)의 형상은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형상에 적합하고, 제2 고정 부재(3)의 각 측변은 라운드 코너를 가지므로, 이에 따라 제2 고정 부재(3)의 구멍(12)에의 장착 및 제거가 보다 순조롭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상 장착 부재(13)는 보호 슬리브(1)와 고정 연결 또는 일체 성형된다. 상기 환상 장착 부재(13)는 탄성이므로, 제2 고정 부재(3)를 환상 장착 부재(13)에 장착하기 쉽다. 또한 상기 보호 슬리브(1) 및 상기 환상 장착 부재(13)는 전체적으로 탄성일 수 있다. 상기 환상 장착 부재(13)는 중공의 환상 구조이고, 상기 환상 장착 부재(13)의 중공 부분의 형상은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형상에 적합하다. 제2 고정 부재(3)는 수술 전에 보호 슬리브(1)의 내면의 환상 장착 부재(13)에 미리 끼움 설치한 후, 보호 슬리브(1) 및 제2 고정 부재(3) 전체를 장관 조직(9)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3)를 미리 장착하지 않고 수술 과정에서 제2 고정 부재(3)를 대응하는 환상 장착 부재(13)에 끼움 설치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2)는 제1 연결 부재(4)의 내부에 끼워져, 제1 고정 부재(2)와 제1 연결 부재(4)는 분리 불가능하다. 도 18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4)는 제1 고정 부재(2)가 끼움 설치된 제1 탑재부와 제1 연결부의 폭이 동일하고, 제1 연결 부재(4)의 전체는 균일한 폭의 자성 링을 형성한다. 제1 연결 부재(4)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 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부재(4) 전체는 1개의 띠 형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수납하기 더욱 편리하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부재(5)는 제1 연결 부재(4)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제2 연결 부재(5)는 제2 고정 부재(3)가 끼움 설치된 제2 탑재부와 제2 연결부의 폭이 동일하고, 제2 고정 부재(3)도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여 제2 연결 부재(5)에 끼워져, 하나의 제2 고정 부재(3)가 분리 불가능한 전체 자성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 부재(5)는 1개의 띠 형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수납하기 더욱 편리하다.
도 19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2)는 제1 탄성 연결 부재(4)의 내부에 끼워져, 제1 고정 부재(2)와 제1 탄성 연결 부재(4)는 분리 불가능하다. 제1 탄성 연결 부재(4)는 제1 고정 부재(2)가 끼움 설치된 제1 탑재부(41)의 폭이 제1 고정 부재(2)의 폭에 적합하고, 제1 탑재부(41)의 폭이 제1 연결부(42)의 폭보다 크고, 제1 탄성 연결 부재(4)의 전체가 문합구 위치에 장착될 경우 균일한 폭의 자성 링을 형성한다. 제1 탄성 연결 부재(4)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 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 연결 부재(4) 전체는 1개의 띠 형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수납하기 더욱 편리하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 연결 부재(5)는 제1 탄성 연결 부재(4)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제2 탄성 연결 부재(5)는 제2 고정 부재(3)가 끼움 설치된 제2 탑재부의 폭은 제2 연결부의 폭보다 크고, 제2 고정 부재(3)는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여 제2 탄성 연결 부재(5)에 끼워져, 하나의 제2 고정 부재(3)가 분리 불가능한 전체 자성 링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탄성 연결 부재(5)는 1개의 띠 형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수납하기 더욱 편리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머리와 꼬리가 접하는 제1 고정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고, 제1 고정 부재(2)는 장관 조직(9)을 향하는 일 측이 호형 표면이다. 복수의 제1 고정 부재(2)는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하나의 환상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장관 조직(9)에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인접하는 2개의 제1 고정 부재(2)의 접속 위치에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배합 구조(24)를 형성함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일부만이 자성을 갖거나 자성에 흡인될 수 있다. 즉 일부만이 제2 고정 부재(3)와 함께 흡착함으로써, 장관 연동에 장애를 형성하는 것을 피면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고정 부재(3)는 도 20의 제1 고정 부재(2)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고정 부재(3)는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하나의 고정 링을 형성하고, 인접한 두개의 제2 고정 부재(3)의 접속 위치에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결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일부만이 자성을 갖거나 자성에 흡인될 수 있다. 즉 일부만이 제1 고정 부재(2)와 함께 흡착되어 장관 연동에 장애를 형성하는 것을 피면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의 문합구 보호 장치는 장관의 저위의 문합구 보호에 적용되어도 되고, 장관의 상위의 문합구 보호에 적용되어도 된다. 장관의 상위의 문합구 보호에 적용하는 경우, 보호 슬리브(1)를 사용하여 복벽 위치로 유도하려고 하면, 긴 보호 슬리브(1)가 필요하게 되어, 장착 및 사용에 모두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이 경우, 짧은 보호 슬리브(1)를 이용하여 문합구 위치만을 보호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각각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 및 하류 일측에 설치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장관의 상위 문합구 보호에 사용된다. 문합구의 상류 일측의 장관 조직(9)의 외벽에 한 쌍의 제1 연결 부재(4)와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 제2 고정 부재가 설치되고, 문합구의 하류 일측의 장관 조직(9)의 외벽에 기타 한 쌍의 제1 연결 부재(4)와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 제2 고정 부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필요한 보호 슬리브(1)의 길이를 크게 절약할 수 있고, 수술 과정에서 보호 슬리브(1)의 배치 및 문합구가 회복된 후 보호 슬리브(1)의 제거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한편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보다 양호하게 고정하여, 사용 과정 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가 장관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장관의 상위 문합구 보호에 사용될 수도 있다. 문합구의 상류 일측의 장관 조직(9)의 외벽에 한 쌍의 제1고정 부재(2)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 제2 고정 부재가 설치되고, 문합구의 하류 일측의 장관 조직(9)의 외벽에는 기타 한 쌍의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 제2 고정 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의 고정 어셈블리의 기타 구조 및 다양한 조합은 장관의 상위 문합구 보호에 적용될 수 있고, 각각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 및 하류 일측에 위치하는 2개의 고정 어셈블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상기 장관 조직(9)의 내부에서 문합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문합구의 내면에 보호 작용을 발휘하고, 장관 내용물의 통과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문합구를 오염시키지 않는 보호 슬리브(1);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에 설치되는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고정 부재(3)를 포함한다.
제9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에 외부 자성 입자(6)가 분포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에 내부 자성 입자(7)가 분포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 중의 외부 자성 입자(6)의 자성이 동일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 중의 내부 자성 입자(7)의 자성이 동일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 중의 자성 입자와 제2 고정 부재(3)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반대된다.
상기 외부 자성 입자(6)는 제1 자성 입자 코팅의 형태로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장관 조직(9)을 향한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내면에 코팅될 수 있다. 자성 입자는 바인더, 용제 등과 자성 입자 코팅을 제조하여 플라스틱 또는 금속 시트의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자성 입자(6)는 자성 입자가 도핑된 형태로 상기 제1 고정 부재(2)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자성 입자(7)는 제2 자성 입자 코팅의 형태로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보호 슬리브(1)를 향한 상기 제2 고정 부재(3)의 외면에 코팅될 수 있다. 자성 입자는 바인더, 용제 등과 자성 입자 코팅을 제조하여 플라스틱 또는 금속 시트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자성 입자(7)는 자성 입자가 도핑된 형태로 상기 제2 고정 부재(3)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 중의 자성 입자의 사이즈 및 분포 방식은 예시적일 뿐, 실제 응용에 사용되는 자성 입자의 사이즈는 도면에 나타내는 예보다 크거나 작아도 좋고, 자성 입자의 분포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에 자성 입자가 분포되고, 양자는 자성 흡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한다. 해당 어셈블리에서,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 사이의 자성 흡착 위치는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둘레 방향의 길이는 탄성 신축 가능하고, 조직에 충분한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 내부에 내용물이 있거나 조직 자체가 연동할 때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제1 연결 부재(4) 및 제2 연결 부재(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 및 제2 연결 부재(5)의 구조, 상기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고정 부재(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3)는 생체 흡수성의 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 및/또는 제2 연결 부재(5)는 생체 흡수성의 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와 제9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1 연결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독립적이다. 제2 연결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제1 고정 부재(2)의 위치에 대응하고, 내부 자성 분말 입자(7)와 외부 자성 분말 입자(6)가 각각 분포되어 있다. 수술 시, 우선 제2 고정 부재(3)를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고정하고, 그 후, 제1 고정 부재(2)를 제2 고정 부재(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씩 배치하여,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의 상대적인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9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연결 부재의 구조물을 생략하고, 어셈블리는 더 적은 부품을 가진다.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서, 해당 어셈블리는 조직에 어떠한 압력도 가하지 않고, 문합구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장관 조직(9)이 연동할 때, 복수의 제1 고정 부재(2)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는 장관 조직(9)의 연동에 따라 자유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즉 마찬가지로 장관 조직(9)에 둘레 방향의 신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고정 부재(3)와 보호 슬리브(1)의 내면의 배합 방식은 상기 제4 실시예 중의 배합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즉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제2 고정 부재(3)를 장착하는 구멍 또는 환상 부착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0 실시예의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상 조직의 외부에 제1 고정 부재(2) 및 제1 연결 부재(4)를 설치하지만,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 제2 고정 부재(3)만을 설치하고,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상 조직의 외부에 제1 고정 부재(2)가 설치되지만,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보호 슬리브(1)의 내부에 제2 고정 부재(3) 및 제2 연결 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와 제9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1 고정 부재(2)에만 외부 자성 입자(6)가 분포되고, 제2 고정 부재(3)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친자성 금속 및 그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자성은 제1 고정 부재(2)의 외부 자성 입자(6)의 자성과 반대이고, 마찬가지로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 사이의 자기 흡인을 실현하여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와 제9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2 고정 부재(3)에만 내부 자성 입자(7)가 분포되고, 제1 고정 부재(2)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친자성 금속 및 그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자성은 제2 고정 부재(3)의 내부 자성 입자(7)의 자성과 반대이고, 마찬가지로 제1 고정 부재(2)와 제2 고정 부재(3) 사이의 자기 흡인을 실현하여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와 제9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일부 제1 고정 부재(2)에 자성 입자가 분포되고, 자성 입자가 분포되지 않은 제1 고정 부재(2)에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친자성 금속 및 그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자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제2 고정 부재(3)에 자성 입자가 분포되고, 자성 입자가 분포되지 않은 제2 고정 부재(3)에는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친자성 금속 및 그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자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제1 고정 부재(2) 및 하나의 제2 고정 부재(3)는 하나의 고정 부재 쌍을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 부재 쌍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제1 고정 부재(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3))는 자성을 가진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관상 조직의 외부에 설치되는 블록 형상의 제1 고정 부재(2)와 환상의 제1 연결 부재(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내부 자성 입자(7)로 형성된 제2 자성 입자 코팅층(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 입자 코팅층(33)은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직접 코팅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의 위치는 상기 제2 자성 입자 코팅층(33)의 위치에 대응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제1 자성 입자 코팅층 또는 내부에 자성 입자가 도핑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자체로 자성을 갖지 않지만, 자석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등의 친자성 금속 및 그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자체로 자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자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제1 고정 부재(2)와 상기 제2 자성 입자 코팅층(33)은 마찬가지로 자성 흡착을 실현할 수 있어,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고, 장관의 정상적인 연동 및 조직 주변의 혈액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는 제1 연결 부재(4)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표면에는 외부 자성 입자(6)에 의해 형성된 제3 자성 입자 코팅층 또는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내부에는 외부 자성 입자(6)가 도핑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임이의 상기 실시예 중의 제2 고정 부재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 부재(3)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거나 제2 자성 입자 코팅층을 직접 코팅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3)는 자성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고, 자성을 갖는 경우에는 자성 입자가 분포되는 구조 또는 자체로 자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해당 실시예 중의 제1 고정 부재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 부재(3)는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는 제2 연결 부재(5)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5)의 표면에는 제4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어 있거나 상기 제2 연결 부재(5)의 내부에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는 제2 연결 부재(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5)의 표면에는 제4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어 있거나 상기 제2 연결 부재(5)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전술한 임이의 실시예 중의 제1 고정 부재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 부재(2)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2)는 자성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고, 자성을 갖는 경우에는 자성 입자가 분포되는 구조이거나 자체로 자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장착 및 제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연결 구조를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연결 구조에 연결되어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쌀 수 있고, 예를 들어, 폐쇄된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거나 상기 연결 구조 위치에서 단절하여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연결 구조는 2개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연결 돌기(43) 및 연결 홈(44)을 포함하고, 연결 돌기(43)가 연결 홈(44)에 끼움 설치된 경우, 제1 연결 부재(4)는 환상이고, 연결 돌기(43)와 연결 홈(44)이 분리된 경우, 제1 연결 부재(4)는 막대기 형상 또는 기타 비폐쇄 형상이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구조는 기타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단부에 각각 연결 링과 연결 후크를 설치하여, 양자를 서로 걸거나 분리하여 제1 연결 부재(4)의 2개의 상태를 실현할 수 있거나 2개의 단부에 접착 구조를 설치하여 접착 또는 접착 분리에 의해 제1 연결 부재(4)의 2개의 상태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 및 제17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를 장관 조직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해당 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합구 보호 어셈블리는 장관의 상위 문합구 보호에 사용될 수 있다. 문합구의 상류 일측의 장관 조직(9)에 고정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문합구의 하류 일측의 장관 조직(9)에 기타 고정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필요한 보호 슬리브(1)의 길이를 크게 절약할 수 있고, 수술 과정에서 보호 슬리브(1)의 배치 및 문합구가 회복된 후 보호 슬리브(1)의 제거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한편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보다 양호하게 고정하여, 사용 과정 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두 가지 유형의 고정 보호 슬리브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문합구의 상류의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는 임이의 상기 실시예의 고정 부재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관상 조직의 외부에 장착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제거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조작 어셈블리를 더 제공하여, 조작 어셈블리를 통해 제1 연결 부재(4)의 단절 또는 폐쇄 환상의 형성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고, 이에 탑재된 제1 고정 부재(2)에 의해 상기 보호 슬리브(1)의 위치에 대한 고정을 실현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폐쇄되지 않은 막대기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조작 어셈블리는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 및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문합구의 성장이 회복된 후, 상기 제1 고정 부재(2) 및 상기 보호 슬리브(1)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체외에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조작 부재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분리하여 폐쇄하지 않는 막대기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이탈할 수 있고,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직접 꺼낼 수 있어, 2회의 수술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조작이 간단하고, 환자에 대한 2차의 상처를 피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4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 내지 제20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4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를 장관 조직(9)에 적용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보호 슬리브(1), 제1 고정 구조 및 조작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슬리브(1)의 구조 및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구조는 제1 고정 부재(2) 및 제1 연결 부재(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장관 조직(9)을 둘러싸는 제1 상태와 상기 장관 조직(9)과 착탈 가능한 제2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어셈블리는 제1 조작 부재(83) 및 제2 조작 부재(8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83)는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84)는 상기 제1 조작 부재(83)와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작 부재(8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조작 부재(8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외로 나온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작 부재(84)와 분리되어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폐쇄되지 않은 막대기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장관 조직(9)의 외벽을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 슬리브(1) 및 제1 연결 부재(4)를 문합구에 고정하여 조직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를 제2 조작 부재(84)에 연결할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조작 어셈블리에 의해 연결되어 환상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문합구의 성장이 회복된 후,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체외에서 상기 제2 조작 부재(84)를 조작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조작 부재(84)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분리하여 폐쇄하지 않는 막대기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장관 조직 9의 외벽을 이탈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가 여전히 제1 조작 부재(83)과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조작 부재(83)를 통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직접 꺼낼 수 있어, 2 회의 수술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조작이 간단하고 환자에 대한 2차의 상처를 피할 수도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83)는 관상이고, 상기 제1 조작 부재(83)는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외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의 축 방향이다. 즉 도 38의 D 방향이고,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는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조작 부재(84)는 상기 제1 조작 부재(83)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에는 제1 나사부(823)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1 단부(841)에는 제2 나사부(843)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나사부(823)와 상기 제2 나사부(843)는 나사에 의해 서로 배합된다. 즉 상기 제1 나사부(823)와 상기 제2 나사부(843)를 배합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상기 제1 상태에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823)는 나사이고, 상기 나사는 상기 제1 방향(D)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나사부(843)는 나사 구멍이고, 상기 나사 구멍도 상기 제1 방향(D)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1 상태에 진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나사를 상기 나사 구멍의 단부에 삽입한 후, 상기 제2 조작 부재(84)를 조작하여 제1 조작 부재(83)에 대해 회전시키고,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와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는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조작 부재(84)도 제1 연결 부재(4)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나사를 상기 나사 구멍의 내부에 회전 인입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1 단부(841)의 서로 연결을 실현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2 상태에 진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2 조작 부재(8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나사를 나사 구멍으로부터 회전 인출하면 된다. 상기 제1 조작 부재(83) 및 상기 제2 조작 부재(84)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실리콘, 플라스틱, 고무, 폴리염화 비닐(PVC) 등의 일정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각 도면에 도시된 제1 조작 부재(83) 및 제2 조작 부재(84)의 형상은 고정된 형상이 아니라 유연성 효과의 모식도이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823)는 나사 구멍이고, 상기 제2 나사부(843)는 나사이고, 그 작동 원리는 도 38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823)와 상기 제2 나사부(843)의 배합에는 변속 나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외에서 상기 제2 조작 부재(84)를 직접 조작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2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2 단부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2 단부는 체외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2 단부를 체외에서 직접 조작하고, 설정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조작을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2 단부에는 조작 핸들(842)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 핸들(842)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1 조작 부재(83) 제2 단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 핸들(842)의 외경이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2 단부의 내경보다 크므로, 상기 조작 핸들(842)이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내부 들어가는 것을 피면할 수 있어, 상기 제1 조작 부재(83)와 상기 제2 조작 부재(84) 사이의 축 방향(D)을 따른 상대적인 고정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2 단에는 단차부(832)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832)의 단면은 상기 조작 핸들(842)의 단면과 서로 배합된다. 즉 상기 단차부(832)가 상기 조작 핸들(842)을 향하는 하나의 단면과 상기 조작 핸들(842)의 상기 단차부(832)를 향하는 하나의 단부가 서로 배합되어, 상기 제1 조작 부재(83)와 상기 제2 조작 부재(84) 사이의 배합 방식을 보다 안정시키는 것을 실현한다.
도 36은 해당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의 배합 방식을 나타낸다. 도 36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에는 걸림링(824)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에는 걸림 홈(833)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는 상기 걸림링(824)을 관통하고, 상기 걸림링(824)은 걸림 홈(833)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는 안정한 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걸림링(824)과 상기 계 정지 홈(833)과의 배합은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1 단부(841) 사이의 필요에 따른 연결 및 분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걸림링(824)은 탄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성의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걸림링(824)이 상기 걸림 홈(833)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링 824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 홈(833)의 위치를 체결하여 양자의 안정적인 연결을 실현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걸림 홈(833)을 상기 걸림링(824)으로부터 꺼내어 상기 제1 연결 부재(4)와 상기 제1 조작 부재(83) 사이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사용하기 전에 상기 제1 연결 부재(4)와 상기 제1 조작 부재(83) 사이에 각각 보관할 수 있고, 수술 시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걸림링(824)을 상기 걸림 홈(833)에 걸어, 상기 제1 연결 부재(4)와 상기 제1 조작 부재(83)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 후,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체내에 배치하여 상기 제2 조작 부재(8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1 상태에 진입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833)의 내경은 상기 제2 조작 부재(84)의 제1 단부(841)의 외경보다 작아, 상기 제2 조작 부재(84)가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것을 보장하여 제2 조작 부재(4)와 상기 제1 조작 부재(83) 사이의 축 방향(D) 중의 상대적인 고정을 보증할 수 있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에는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제1 단부(831)에는 상기 걸림 홈과 서로 배합되는 걸림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조작 부재(83)의 걸림링에 삽입되어, 제1 연결 부재(4)와 조작 부재(83) 사이의 상대적인 연결 고정을 실현한다.
도 40 및 도 41은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슬리브(1)에 대해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합구 보호 장치는 제2 고정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구조는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구조는 제2 고정 부재(3) 및 제2 고정 부재(3)를 탑재하는 제2 연결 부재(5)를 포함하고, 제2 고정 부재(3)와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자성에 의해 흡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고정 구조와 상기 제1 고정 구조는 공동으로 상기 보호 슬리브(1)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1)는 상기 장관 조직(9)의 둘레 방향을 따라 분포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2)는 대응하는 제2 고정 부재(3)와 자성 흡착한다. 대응하는 한 쌍의 제1 고정 부재(2) 및 제2 고정 부재(3)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성을 갖고, 양자가 모두 자성을 갖는 경우, 자성은 서로 반대이고, 단지 하나만 자성을 갖는 경우, 다른 하나는 자성에 흡인되는 재료, 예를 들어, 철 등과 같은 친자성 금속 재료이다.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에 지지부(11)(즉 도 41에서 S 방향의 우측)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보호 슬리브(1)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11)가 반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경우, 상기 보호 슬리브(1)는 전체가 장관 조직(9)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장관 조직(9)의 내부로부터 꺼낼 수 있고, 상기 보호 슬리브(1)가 제자리에 배치된 후, 상기 지지부(11)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하여 보호 슬리브(1)에 대한 지지를 형성하여, 보호 슬리브(1)의 보다 양호한 장벽과의 밀착 밀봉을 실현하여, 내용물의 문합구에의 진입을 방지한다. 지지부(11)는 공기를 충전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환상의 탄성 기낭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낭의 외벽은 탄성을 갖고, 예를 들어, 탄성 고무, 실리콘, TPU 등일 수 있거나 얇은 PC 재질일 수 있고, 공기 충전 후에 조직 벽과 밀착되어 내용물이 통과할 때 둘레 방향의 길이가 커져, 장관을 적합하게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는 문합구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상기 지지부(11)와 상기 문합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11)와 상기 문합구 사이 및 상기 문합구의 하류에 각각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구조와 제2 고정 구조의 조합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85)는 공기 충전 가능한 기낭(851)을 포함하고, 상기 기낭(851)과 상기 제1 조작 부재(83)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기낭(851)은 제3 상태 및 제4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충전 튜브(852)의 제1 단부는 상기 기낭(851)의 내부와 연통하여 상기 기낭(851)에 대해 공기 충전 및 공기 배출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에는 기낭 배합부(825)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은 제3 상태에 있고, 상기 기낭(851)과 상기 기낭 배합부(825)는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공기 충전 튜브(852)의 제2 단부가 체외로 나오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851)은 제4 상태에 있고, 상기 기낭(851)은 상기 기낭 배합부(825)와 분리 가능하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낭의 내부에 배합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1 상태에 진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기낭 배합부(825)를 배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기낭(851)의 배합 구멍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상기 기낭(851)을 공기 충전 튜브(852)에 의해 공기를 충전하고, 상기 기낭 배합부(825)와 상기 기낭(851)이 상대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공기 충전 튜브(852)에 의해 상기 기낭(851)에 대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기낭(851)의 배합 구멍의 내경이 커지고, 상기 기낭 배합부(825)는 상기 기낭(851)의 배합 구멍에서 꺼낼 수 있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낭 배합부(825)에 배합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은 배합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기낭과 상기 배합 구멍이 긴밀하게 배합되도록 상기 기낭(851)에 상기 공기 충전 튜브(852)에 의해 공기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4)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공기 충전 튜브(852)를 통해 상기 기낭(851)에 대해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기낭을 상기 배합 구멍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문합구 보호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작 부재(86)는 착탈 가능한 연결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는 체외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에 조작 부재 배합부(8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착탈 가능한 연결 구조는 상기 제2 조작 부재(86) 및 상기 조작 부재 배합부(826)에 설치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86)가 상기 슬롯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작 부재(86)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86)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꺼낼 때, 상기 제1 연결 부재(4)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조작 부재(86)가 분리된다. 기타 대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86)는 후크, 스트랩 등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조작 부재 배합부(826)는 서로 배합되는 구멍, 홈 또는 범프 등의 구조를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제2 조작 부재(86)와 상기 조작 부재 배합부(826)의 착탈 가능한 연결을 실현할 수 있고, 해당 연결 구조는 체외에서 조작할 수 있다.
제18 실시예 내지 제2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4)는 탄성 연결 부재일 수 있고, 상기 제1 나사부(823)는 비탄성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의 각 실시예의 재질은 모두 생체 적합성을 만족하는 재질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보호 슬리브에 의해 문합구의 내면을 보호하고, 관상 조직의 내용물 통과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문합구를 오염시키지 않고,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 사이의 자성 흡착에 의해 보호 슬리브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고, 해당 장치에서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 사이의 자성 흡착 위치만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둘레 방향의 길이가 탄성 신축 가능하여 조직에 충분한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조직 내부에 내용물이 있거나 조직 자체가 연동할 때 문합구 부근의 정상적인 혈액 공급을 확보한다.
이상은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는 이들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간단한 유추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33)

  1. 관상 조직의 내부에서 문합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보호 슬리브; 및
    관상 조직의 외벽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서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자성 흡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각각 상기 관상 조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대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여 배열된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대응하여 배열된 제2 고정 부재는 모두 자성 부재이거나, 적어도 하나는 자성 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비자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에 위치하는 일단에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반경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문합구의 상류 일측 및 하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연결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구조에서 연결되어 상기 관상 조직 외벽을 둘러싸거나, 상기 연결 구조에서 단절되어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관상 조직에 장착될 경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 연결 부재이고, 상기 연결 부재는 탑재부와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탑재하고, 상기 탄성 연결 부재는 2개의 인접한 상기 탑재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 및 상기 탄성 연결부는 하기의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상기 탑재부의 탄성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탄성보다 작다.
    상기 탑재부의 폭은 상기 제1 고정 부재 또는 제2 고정 부재의 폭에 적합하고, 상기 탑재부의 폭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폭보다 크다.
    상기 탑재부의 두께는 상기 탄성 연결부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탑재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 또는 제2 고정 부재를 둘러싸는 환상 구조이고, 상기 환상 구조의 벽의 폭은 상기 탄성 연결부의 폭보다 크다.
  15.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1 연결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탑재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내주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되거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내주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되거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부재 장착홈이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 장착홈과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장착홈에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장착홈은 억지 끼워맞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설치된 구멍이거나, 상기 장착홈은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서 돌출된 환상 장착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상기 관상 조직에 대향하는 표면은 호형 표면이고,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상기 보호 슬리브에 대향하는 표면은 호형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자성 고정 부재이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자성 고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 보호.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자성 고정 부재이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자성 고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순차적으로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환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접속 위치는 신축 가능한 연결 구조를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순차적으로 머리와 꼬리가 접하여 환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접속 위치는 신축 가능한 연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자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에는 모두 자성 입자가 분포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동일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동일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와 상기 제2 고정 부재 중의 자성 입자는 자성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표면에는 제1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거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제1 흡인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흡인부의 표면에는 제3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거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고, 및/또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내벽에 위치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에는 제2 흡인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흡인부의 표면에는 제4 자성 입자 코팅층이 코팅되거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내부에는 자성 입자가 도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제2 자성 입자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 입자 코팅층은 상기 보호 슬리브의 내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30. 제8항에 있어서,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조작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 및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작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을 둘러싸고, 상기 제2 조작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체외로 나오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조작 부재와 분리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폐쇄되지 않은 막대기 형상을 나타내어 상기 관상 조직의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관상이고, 상기 제1 조작 부재는 상기 제2 조작 부재의 외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조작 부재의 제1 단부 중의 축 방향이고,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조작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에는 제1 나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조작 부재의 제1 단부에는 제2 나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는 나사에 의해 서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상기 제1 조작 부재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제3 상태와 제4 상태를 포함하는 공기 충전 가능한 기낭; 및
    제1 단부가 상기 기낭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기낭에 대해 공기 충전하거나 배기하도록 구성된 공기 충전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에는 기낭 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은 상기 제3 상태에 있고, 상기 기낭은 상기 기낭 배합부와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공기 충전 튜브의 제2 단부는 체외로 나오고,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기낭은 제4 상태에 있고, 상기 기낭은 상기 기낭 배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조작 부재는 착탈 가능한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는 체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구 보호 장치.
KR1020237020772A 2020-11-20 2021-11-19 문합구 보호 장치 KR20230110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2704636.8 2020-11-20
CN202022714425.2 2020-11-20
CN202022714586.1 2020-11-20
CN202011314455.2A CN114515200A (zh) 2020-11-20 2020-11-20 基于磁性颗粒的吻合口保护组件
CN202011314455.2 2020-11-20
CN202022704636.8U CN213787601U (zh) 2020-11-20 2020-11-20 吻合口保护装置
CN202022714356.5 2020-11-20
CN202022714234.6 2020-11-20
CN202022714234.6U CN213787602U (zh) 2020-11-20 2020-11-20 组织吻合口保护组件
CN202011311153.X 2020-11-20
CN202011311153.XA CN114515177B (zh) 2020-11-20 2020-11-20 吻合口保护装置
CN202022714425.2U CN213787603U (zh) 2020-11-20 2020-11-20 组织吻合口保护组件
CN202022714356.5U CN214231551U (zh) 2020-11-20 2020-11-20 基于磁性颗粒的吻合口保护组件
CN202022714586.1U CN213787604U (zh) 2020-11-20 2020-11-20 吻合口保护装置
PCT/CN2021/131646 WO2022105853A1 (zh) 2020-11-20 2021-11-19 吻合口保护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327A true KR20230110327A (ko) 2023-07-21

Family

ID=8170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772A KR20230110327A (ko) 2020-11-20 2021-11-19 문합구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23964A1 (ko)
EP (1) EP4248903A1 (ko)
JP (1) JP2023550454A (ko)
KR (1) KR20230110327A (ko)
AU (1) AU2021383888A1 (ko)
CA (1) CA3202598A1 (ko)
WO (1) WO20221058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458860U (zh) * 2015-12-31 2016-08-17 南京大学医学院附属鼓楼医院 一种用于结肠造口的磁性吻合装置
CN105496487B (zh) * 2016-01-15 2018-06-08 江苏特普优微创医疗科技有限公司 胃肠微创吻合器以及胃肠微创吻合方法
CN205625990U (zh) * 2016-04-19 2016-10-12 杭州铭众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肠造瘘手术的旁口器
WO2018057613A2 (en) * 2016-09-20 2018-03-29 Neurotronic, Inc. Magnetic anastomosis devices
CN207886292U (zh) * 2017-10-10 2018-09-21 昆明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肠道造瘘口还纳术保护器
CN213787603U (zh) * 2020-11-20 2021-07-27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组织吻合口保护组件
CN213787604U (zh) * 2020-11-20 2021-07-27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吻合口保护装置
CN213787602U (zh) * 2020-11-20 2021-07-27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组织吻合口保护组件
CN213787601U (zh) * 2020-11-20 2021-07-27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吻合口保护装置
CN214231551U (zh) * 2020-11-20 2021-09-21 天臣国际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磁性颗粒的吻合口保护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5853A1 (zh) 2022-05-27
EP4248903A1 (en) 2023-09-27
US20240023964A1 (en) 2024-01-25
CA3202598A1 (en) 2022-05-27
AU2021383888A9 (en) 2024-05-02
AU2021383888A1 (en) 2023-06-29
JP2023550454A (ja)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3786B2 (en) Bariatric clamp with suture portions, magnetic inserts and curvature
CN213787604U (zh) 吻合口保护装置
CN109805978B (zh) 聚合物包覆成型的肥胖症治疗钳和安装方法
JP5595419B2 (ja) 磁気牽引装置
CN213787602U (zh) 组织吻合口保护组件
US20070203398A1 (en) Surgical device for retracting and/or sealing an incision
KR101557510B1 (ko) 가변 부착 수단을 구비한 카테터
BR112017025205B1 (pt) Montagem de cateter urinário, e, kit de partes
CN110639115B (zh) 医疗制品固定系统
US20090139061A1 (en) Support clamp for medical line
KR20210010950A (ko)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WO2018009669A1 (en) Inflatable bariatric clamp
US20230210511A1 (en) Wound retractor with multi-segment outer ring
WO2008117078A1 (en) Dressings
CN214231551U (zh) 基于磁性颗粒的吻合口保护组件
CA3060660C (en) Sterile covers for ultrasound transducer
KR20230110327A (ko) 문합구 보호 장치
CN213787601U (zh) 吻合口保护装置
US20140275973A1 (en) Mri coil drape and method of using
CN213787603U (zh) 组织吻合口保护组件
EP2707065A1 (en) Clamp for a catheter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20200330732A1 (en) Catheter dressing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210019461U (zh) 一种腹腔镜手术用的牵引装置
RU281965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анастомоза
CN114515177B (zh) 吻合口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