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105A - 단백질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백질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105A
KR20230110105A KR1020220006204A KR20220006204A KR20230110105A KR 20230110105 A KR20230110105 A KR 20230110105A KR 1020220006204 A KR1020220006204 A KR 1020220006204A KR 20220006204 A KR20220006204 A KR 20220006204A KR 20230110105 A KR20230110105 A KR 2023011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protein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주)리턴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턴라이프 filed Critical (주)리턴라이프
Priority to KR102022000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105A/ko
Publication of KR2023011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9/00Puddings; Cream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9/20Cream substitutes
    • A23L9/22Cream substitutes containing non-milk fats but no proteins other than mil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함량이 15 중량% 이상인 단백질 식품 조성물로서, 겨우살이 추출물; 및 아밀라아제, 락타아제 및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효소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백질 식품 조성물{PROTEIN FOOD COMPOSITION}
본 발명은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헬스 보충제라고도 불리는 단백질 식품은 매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식품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백질 보충제의 단백질 공급원은 우유에서 추출한 유청단백질, 계란흰자에서 추출한 난단백질, 대두에서 추출한 대두단백질 등이 사용되며, 이 중에서도 알러지 발생 예방 및 흡수력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유청단백질이 주로 사용된다.
단백질(protein)은 다양한 기관, 효소, 호르몬 등 신체를 이루는 주성분으로, 몸에서 물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한다. 단백질의 구성단위 물질은 아미노산이며, 주로 인체 구성에 사용되고 에너지원으로도 드물게 사용된다. 특히, 단백질은 근육과 뼈의 조직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기도 하며, 음식물로부터 흡수된 아미노산은 각 조직으로 운반되어 새로운 조직을 구성한다. 따라서 근육형성을 위해서 필요한 가장 중요한 영양소가 단백질이며, 운동으로 손상된 근육 등을 다시 생성하고 단단하게 만들어주기 위해서도 반드시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한편, 체중조절용 식품은 체중의 증가 또는 체중의 감소 등 체중조절이 필요한 사람들이 식사의 일부나 전부를 대신할 수 있도록 비타민이나 무기질 등 필요한 영양소를 가감하여 열량을 조절한 식품을 말한다. 체중조절용 식품은 크게 체중 감소용 식품과 체중 증가용 식품으로 구분된다. 다이어트와 체중 관리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짐에 따라 시중에 유통되는 체중조절용 식품은 대부분 체중 감소용 식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근육 증진이나 건강상의 문제로 체중 증가를 보조할 수 있는 체중 증가용 식품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체중 증가용 식품은 보충제로도 불리며 증량 대상에 따라 근육을 늘리기 위한 단백질 보충제와, 체중과 근육을 함께 늘리는 단백질 및 탄수화물 보충제, 또는 체중을 늘리기 위한 탄수화물 보충제 등으로 구분된다.
체중조절용 식품은 주로 시리얼 형태로 제조되어 그대로 섭취하거나,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분말을 물이나 우유와 혼합하여 음용하는 형태로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체중조절용 식품은 한끼 또는 하루의 식사를 대신하여 섭취되므로 식음자의 영양균형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열량, 조단백질, 비타민류와 무기질 등이 일정량 이상 함유되도록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하루 식사 모두를 대신하는 체중조절용 식품인 경우, 800kcal 내지 1200kcal의 열량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품을 3 내지 4회로 나누어서 식사 대신 섭취하는 식품인 경우 식품 1회에 제공되는 열량이 하루 총 열량의 1/3 내지 1/4 되어야 한다. 또한 조단백질은 1일 영양소 기준치의 10% 이상을 함유하여야 하며, 비타민류는 1일 영양소 기준치의 25% 이상을 함유하여야 하고, 무기질류는 1일 영양소 기준치의 10% 이상을 함유되도록 제조되고 있다.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2078호)과 선행기술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9023호)와 같이, 종래의 체중조절용 식품에는 단백질원으로 대두단백분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대두단백분말은 대두를 알코올이나 물로 세척한 후 탈지시킨 상태에서 설탕과 식이섬유를 제거한 것으로,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지 않으며 단백질 함량이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대두단백분말은 가격이 저렴하고 수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으나 피틴산(phytates)를 함유하고 있어 각종 미네랄의 체내 흡수를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대두는 심한 과민성 반응을 유발하는 주요 알레르기의 유발 물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대두에 함유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갑상선 및 생식기계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변형농산물(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작물 섭취에 따른 인체 유해성 및 식품 안전성이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유전자변형농산물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대부분의 콩(대두)들은 수입되고 있으나, 해외에서 수입된 콩에 대한 GMO표시가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아 대두단백분말 함유 식품의 안정성 문제가 거론되며,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겨우살이는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으로 다른 나무에 기생하며 스스로 광합성하여 엽록소를 만드는 만드는 반기생식물로 사계절 푸른 잎을 지니고 있다. 학명은 유럽산 겨우살이의 경우 Viscum album Loranthaceae 이고,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과 같이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는 Viscum album var. coloratum 이다.
겨우살이는 기생관목으로 주로 참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팽나무 등에 기생한다.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 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 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다. 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 ~ 6 cm이다.
꽃은 3 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 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 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이 잘 발달되어 산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되며 이 새들에 의해 나무로 옮겨져 퍼진다.
생약에서 기생목(寄生木)은 이것 전체를 말린 것이며, 산의 나무에 해를 주지만 약용으로 쓴다. 한방에서 줄기와 잎을 치한(治寒), 평보제(平補劑), 치통, 격기(膈氣), 자통(刺痛), 요통(腰痛), 부인 산후 제증, 동상, 동맥경화에 사용한다.
열매가 적색으로 익는 것을 붉은겨우살이(Viscum album var. rubroauranticum)라고 하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겨우살이는 여러 종류의 나무를 숙주로 하여 생장하는 반 기생식물로서 세계전역에 30 속 1,500 여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겨우살이는 오래 전부터 고혈압, 동맥경화, 암 등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종양에 대한 치료 및 그 보조제로서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특허번호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2078호 (특허번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902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정성이 높은 단백질 원료를 포함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중조절용 식품의 영양 기준치를 충족하면서 맛과 체중조절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물성크림분말, 결정과당분말, 탈지분유분말, 농축유청단백분말, 코코아분말, 폴리덱스트로스분말, 분리유청단백분말, 완두단백분말, 구운현미분말,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곡물혼합분말,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타우린분말, 생선콜라겐분말, 귀리식이섬유분말, 히알루론산분말 및 야채혼합농축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정과당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탈지분유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코코아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완두단백분말 3 내지 8중량부, 상기 구운현미분말 1 내지 5중량부,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곡물혼합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타우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생선콜라겐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귀리식이섬유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 0.01 내지 1중량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중조절용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은 겨우살이 추출물 및 아밀라아제, 락타아제 및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효소 혼합물을 포함하고, 단백질원으로 완두단백 및 유청단백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식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식품의 영양 기준치를 충족하며 체중조절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은 식품의 맛과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인체에 안전한 원료를 포함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은 단백질 함량이 15 중량% 이상인 단백질 식품 조성물로서, 단백질원과, 겨우살이 추출물과 아밀라아제, 락타아제 및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효소 혼합물을 포함한다.
겨우살이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냉수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겨우살이를 먼저 냉수수출한 후 잔사를 열수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효소 혼합물은 아밀라아제, 락타아제 및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며, 효소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아밀라아제는 15 내지 90 중량부, 락타아제는 18 내지 90 중량부, 브로멜라인은 6 내지 80 중량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함량이 15 중량%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단백질원 성분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식물성크림분말, 결정과당분말, 탈지분유분말, 농축유청단백분말, 코코아분말, 폴리덱스트로스분말, 분리유청단백분말, 완두단백분말, 구운현미분말,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곡물혼합분말,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타우린분말, 생선콜라겐분말, 귀리식이섬유분말, 히알루론산분말 및 야채혼합농축분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각 성분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단백질 함량이 15 중량% 이상이 되도록 하고, 맛과 풍미를 좋게 하고, 체중 조절 효과를 우수하게 하기 위해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 5 내지 20 중량부, 효소 혼합물 0.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결정과당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탈지분유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코코아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완두단백분말 3 내지 8중량부, 상기 구운현미분말 1 내지 5중량부,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곡물혼합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타우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생선콜라겐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귀리식이섬유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 0.01 내지 1중량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크림분말은 식물성 유지를 주원료를 하며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유화제, 완충제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해 가공한 분말 형태의 조성물을 말한다. 통상의 식물성크림분말은 식물성 유지 30 내지 45중량부에 대하여, 당질 30 내지 70중량부, 단백질 2 내지 10중량부, 유화제 2 내지 10중량부 및 완충제 2 내지 10중량부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함량이 다른 원료들의 함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체중조절용 식품의 영양기준치를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경우,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식물성크림분말을 다량 섭취하게 되어 콜레스테롤 수치의 상승이나 이에 따른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정함량을 유지하도록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정과당(fructose)분말은 주로 과일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당 성분으로, 이당류인 설탕에서 포도당을 제외한 과당성 분말을 결정화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상기 결정과당분말은 설탕과 비교하여 적은 양으로도 단맛을 더 느낄 수 있으며 열량이 높은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과당분말의 혈당 지수(glycemic index, GI)도 19 정도로 설탕의 혈당 지수 65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과당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결정과당분말이 1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식품 전체 단맛이 저하되면서 식음자의 높은 기호도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결정과당분말이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당 성분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체중조절 기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탈지분유(powdered skim milk)분말은 지방이 분리된 우유를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로리가 낮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지분유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탈지분유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식품 전체의 단백질 함량이 낮아지면서 단백질 식품 조성물로써 요구되는 영양기준치를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탈지분유분말이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로 식품 제조시 점도나 굳기 등 식품의 제형에 영향을 주거나 식품의 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및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은 유청으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청(whey)은 우유로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응고되어 가라앉은 카제인(casein)을 제외한 액상 형태의 조성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청에서 비단백질 성분을 제거하고 단백질을 추출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한 것이 유청단백분말이다. 유청단백분말은 제조공법에 따라 농축유청단백분말, 분리유청단백분말 및 가수분해유청단백분말로 구분된다.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은 단백질 함량이 30 내지 89% 정도이며 소량의 콜레스테롤, 지방 및 유당을 일부 포함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활성 물질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은 단백질 함량이 90 내지 94% 정도로 유당은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및 상기 분리유청단백분을 포함하는 유청단백분말은 섭취 후 체내에 빠르게 흡수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상세하게는, Kasim- Karakas의 논문에 따르면, 근육 단백질의 합성 여부는 단백질의 흡수율에 달려있어 체내에 빠르게 흡수되는 유청단백분말은 대두단백질을 비롯한 다른 단백질에 비해 근육합성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출처: Kasim-Karakas SE, Cunningham WM, Tsodikov A: Relation of nutrients and hormone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Am J Clin Nutr 2007, 85:688-694.).
또한, 유청단백분말은 류신(leucine)이라는 성분을 다른 단백질분말에 비해 50 내지 75% 정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류신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한 종류로,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하고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면서 근육의 생성을 도와주는 작용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류신이 다량 함유된 유청단백분말을 섭취시 근육 생성률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영양 기준치를 충족하기 위한 단백질원으로, 인체 무해한 안정성이 검증된 원료인 유청단백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식품의 품질과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청단백분말이 갖는 빠른 체내흡수율과 다량 함유된 류신으로 인한 근육 생성률 증가 및 필수 아미노산으로서의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체중조절 관련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이 1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이 1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식품에 포함된 단백질의 함량이 낮아짐에 따라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이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이 3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식품에 포함된 유당 함량이 높아지면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품 제조시 용해도가 저하되거나 제품의 유동성(흐름성)이 낮아져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코코아분말은 카카오열매를 볶은 후 껍질을 벗겨서 마쇄하고 착유한 후, 코코아 밀로 분쇄함에 따라 지방을 제거한 분말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최근, 카카오 열매에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바놀(flavanol)과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지면서 카카오열매를 가공한 코코아분말의 우수한 영양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영양학적 기능성 및 맛과 풍미가 우수한 코코아분말을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포함됨에 따라, 코코아분말이 갖는 항산화 활성을 통해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체중조절용 식품의 영양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코아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코코아 분말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식품 조성물 전체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코코아분말이 1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의 용해성이 저하될 수 있어 침전물 형성이나 식음자의 섭취가 불편해지면서 소비자의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분말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포도당과 소르비톨 및 구연산을 89:10:1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은 용해성과 안정성이 높아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용해도를 개선시켜줄 수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로도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식품 조성물의 용해성이 저하되어 식품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폴리덱스트로스분말이 1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난소화성 물질인 폴리덱스트로스분말의 과다 섭취로 인해 소화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완두단백분말(pea protein powder)은 완두콩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 성분을 분말화한 것을 말한다. 상기 완두단백분말은 비유전자변형(non-GMO) 비율이 높으며 알레르기(allergie) 유발률이 매우 낮아 대두단백분말에 비해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이다. 또한, 상기 완두단백분말은 콩 중에서 대두 다음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하고 섬유질, 미네랄, 비타민C 및 비타민K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 내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완두단백분말은 90 내지 95%의 높은 소화율을 가지며, 가격이 저렴한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주로 첨가되는 대두단백분말 대신 완두단백분말을 적정비율로 포함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알레르기 유발문제 및 GMO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에게 안전성이 높은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두단백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상기 완두단백분말이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단백질 함량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완두단백분말이 8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제형에 영향을 주거나 제조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구운현미분말은 세척한 현미에 열을 가해 구운 후 분쇄시켜 분말화한 것을 말한다. 상기 구운현미분말은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구운현미 고유의 구수한 향과 맛을 더해주도록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운현미분말은 다양한 곡류를 구워 분말화시킨 곡류가공품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운현미분말은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운현미분말이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로 제조된 식품의 풍미를 증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아 식품의 풍미 개선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운현미분말이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탄수화물 함량이 많아져 식품의 영양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 상기 곡물혼합분말,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 상기 타우린, 상기 생선콜라겐, 상기 귀리식이섬유, 상기 히알루론산,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은 체중 조절용 식품의 영양 기준치를 충족하기 위해 포함되는 당류, 비타민, 무기질 등으로 시판되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곡물혼합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타우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생선콜라겐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귀리식이섬유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 0.01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각 원료의 함량비율은 상기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각 원료별로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식약처에서 고시한 영양성분 기준치를 충족하지 않아 식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식품의 제품화 및 판매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정과당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탈지분유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코코아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완두단백분말 3 내지 5중량부, 상기 구운현미분말 1 내지 5중량부,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곡물혼합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타우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생선콜라겐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귀리식이섬유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 0.01 내지 1중량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정과당분말 16중량부, 상기 탈지분유분말 16중량부,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15중량부, 상기 코코아분말 11중량부,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04중량부,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 1중량부, 상기 완두단백분말 4중량부, 상기 구운현미분말 3중량부,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2중량부, 상기 곡물혼합분말 0.5중량부,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4중량부,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중량부, 상기 타우린분말 0.01중량부, 상기 생선콜라겐분말 0.01중량부, 상기 귀리식이섬유분말 0.01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분말 0.01중량부 및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 0.0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은 안전한 원료로 구성되며 원료들 간의 최적의 함량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체중조절용 식품으로써의 영양 기준치를 만족할 수 있으며, 맛과 풍미가 개선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중조절용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은 체중조절용 식품에 그대로 첨가되거나, 실시예에 따라 다른 성분 또는 다른 식품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체중조절용 식품은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료, 스낵류, 과자류, 스프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상술한 단백질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체중조절용 식품에 대한 실험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1: 겨우살이 추출물의 제조
겨우살이 추출물은 열수추출법과 냉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겨우살이 200g에 물 1L를 가하여 4℃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냉수추출액을 얻은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냉수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상기 냉수추출액을 얻은 후 남은 한국산 겨우살이 잔사 200g에 물 1L를 가하여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열수추출액을 얻은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열수추출물 분말을 얻어 냉수추출물 분말과 혼합하여 겨우살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 농축유청단백분말의 함량을 달리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관능평가
하기의 실험은 본 발명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서 농축유청단백분말의 함량에 따른 체중조절용 식품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농축유청단백분말의 함량을 달리하여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 항목은 맛과 향, 색, 전반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1]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겨우살이 추출물 15중량부, 효소 혼합물 5중량부, 결정과당분말 16중량부, 탈지분유분말 16중량부, 농축유청단백분말 15중량부, 코코아분말 11중량부,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04중량부, 분리유청단백분말 1중량부, 완두단백분말 4중량부, 구운현미분말 3중량부,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2중량부, 곡물혼합분말 0.5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4중량부,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중량부, 타우린분말 0.01중량부, 생선콜라겐분말 0.01중량부, 귀리식이섬유분말 0.01중량부, 히알루론산분말 0.01중량부 및 야채혼합농축분말 0.01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시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겨우살이 추출물 10중량부, 효소 혼합물 8중량부, 결정과당분말 16중량부, 탈지분유분말 16중량부, 농축유청단백분말 20중량부, 코코아분말 11중량부,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04중량부, 분리유청단백분말 1중량부, 완두단백분말 4중량부, 구운현미분말 3중량부,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2중량부, 곡물혼합분말 0.5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4중량부,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중량부, 타우린분말 0.01중량부, 생선콜라겐분말 0.01중량부, 귀리식이섬유분말 0.01중량부, 히알루론산분말 0.01중량부 및 야채혼합농축분말 0.01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시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겨우살이 추출물 20중량부, 효소 혼합물 1중량부, 결정과당분말 16중량부, 탈지분유분말 16중량부, 농축유청단백분말 25중량부, 코코아분말 11중량부,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04중량부, 분리유청단백분말 1중량부, 완두단백분말 4중량부, 구운현미분말 3중량부,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2중량부, 곡물혼합분말 0.5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4중량부,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중량부, 타우린분말 0.01중량부, 생선콜라겐분말 0.01중량부, 귀리식이섬유분말 0.01중량부, 히알루론산분말 0.01중량부 및 야채혼합농축분말 0.01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시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결정과당분말 16중량부, 탈지분유분말 16중량부, 농축유청단백분말 10중량부, 코코아분말 11중량부,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04중량부, 분리유청단백분말 1중량부, 완두단백분말 4중량부, 구운현미분말 3중량부,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2중량부, 곡물혼합분말 0.5중량부,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4중량부,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중량부, 타우린분말 0.01중량부, 생선콜라겐분말 0.01중량부, 귀리식이섬유분말 0.01중량부, 히알루론산분말 0.01중량부 및 야채혼합농축분말 0.01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시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를 요약하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와 비교예1에서 제조된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농축유청단백분말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단위)
식물성크림분말 농축유청단백분말 겨우살이 추출물
비교예1 21 10 0
실시예1 21 15 15
실시예2 21 20 10
실시예3 21 25 20
실험예1에서 수행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비교예1에서 제조된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목
전반적인 기호도
비교예1 6.5 7.3 7.1 6.8
실시예1 9.3 9.4 9.2 9.4
실시예2 9.0 9.2 9.1 9.0
실시예3 8.5 8.3 8.5 8.6
표 2를 참조하면, 실험결과 실시예1 내지 실시예2의 관능평가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1에서 제조된 농축유청단백분말을 15중량부로 포함하고, 겨우살이 추출물 15 중량부 포함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관능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1의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비교예1에서 제조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은 다른 실시예에 비해 밍밍한 맛이었으며, 섭취 후 느꼈던 포만감이 다른 실시예에 비해 빨리 사라졌다는 의견이 있었다. 실시예3의 경우에는 우유맛이 살짝 강하게 나타나면서 이에 따른 선호도가 나뉘었으며, 겨우살이 추출물이 20 중량부 포함되어 관능평가가 다소 보통으로 나타났다.
실험예2.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체중조절 효과 분석
1) 실험내용
상기 실험예1에서 제조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및 비교예1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의 체중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용 쥐에게 30일간 경구투여 하며, 쥐의 일당 평균 증체량을 분석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쥐의 행동변화에 대해서도 관찰하였다.
실험용 쥐로는 고지방식이등을 섭취하며 비만이 유도된 쥐로 표준체중보다 40% 이상 체중이 더 많이 나오는 비만쥐를 대상으로 하였다. 6주령 수컷쥐 5마리를 1개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실시예별 분석을 위해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그룹별로 실시예들과 비교예1의 조성물을 구분하여 급여를 수행하며 체중을 측정하였다.
1그룹(비교예1): 비교예1의 조성물(100mg/kg/day)을 30일간 경구투여
2그룹(실시예1): 실시예1의 조성물(100 mg/kg/day)을 30일간 경구투여
3그룹(실시예2): 실시예2의 조성물(100 mg/kg/day)를 30일간 경구투여
4그룹(실시예3): 실시예3의 조성물(100 mg/kg/day)를 30일간 경구투여
그룹별로 30일간 경구투여하면서 체중을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실험 전과 실험 후의 각 그룹별 쥐들의 평균 체중감소율을 분석한 결과, 1그룹(35%), 2그룹(78%), 3그룹(64%), 4그룹(73%)의 평균 체중감소율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1그룹 쥐들은 30일간 비교예1에서 제조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체중이 실험 전에 비해 체중이 35%정도 감소하였다. 1그룹 쥐들은 실험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체중이 줄어듦에 따라 실험 전에 비해서는 움직임이 많아졌으나, 1그룹을 구성하는 5마리 쥐 중에서 4마리 정도는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2그룹 쥐들은 30일간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체중이 점차 감소하며 가장 높은 평균 체중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많은 양의 체중이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기간 동안 2그룹의 쥐들은 활발하게 활동량을 보이며 큰 행동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그룹 쥐들은 30일간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체중이 감소하며 실험 전에 비해 약64% 정도의 평균 체중감소율을 보였다. 활동량은 2그룹 쥐들과 유사하게 활발한 활동모습을 보였다.
4그룹 쥐들은 30일간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체중이 감소하며 실험 전에 비해 약 73% 정도의 평균 체중감소율을 보였다. 실험기간 동안 행동변화를 살펴보면, 2그룹 및 3그룹 쥐들과 같이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나, 4그룹에 속한 2마리 정도의 쥐들의 배설상태가 묽거나 좋지 않은 경우가 가끔 있었다.
실험예2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비만쥐에게 비교예1 및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서 제조된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일정기간 섭취시 섭취 전에 비해 체중이 감소하면서 체중이 조절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1과 같이 상기 단백질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농축단백분말이 소량 첨가된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 단백질 부족으로 활동량이 저하된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단백질 함량이 15 중량% 이상인 단백질 식품 조성물로서,
    겨우살이 추출물; 및
    아밀라아제, 락타아제 및 브로멜라인을 포함하는 효소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성크림분말, 결정과당분말, 탈지분유분말, 농축유청단백분말, 코코아분말, 폴리덱스트로스분말, 분리유청단백분말, 완두단백분말, 구운현미분말,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곡물혼합분말,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타우린분말, 생선콜라겐분말, 귀리식이섬유분말, 히알루론산분말, 야채혼합농축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크림분말 2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 5 내지 20 중량부, 효소 혼합물 0.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결정과당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탈지분유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농축유청단백분말 15 내지 20중량부, 상기 코코아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폴리덱스트로스분말 10 내지 15중량부, 상기 분리유청단백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완두단백분말 3 내지 8중량부, 상기 구운현미분말 1 내지 5중량부, 상기 비타민무기질혼합제제분말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곡물혼합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분말 0.1 내지 2중량부, 상기 아미노산혼합제제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타우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생선콜라겐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귀리식이섬유분말 0.01 내지 1중량부, 상기 히알루론산분말 0.01 내지 1중량부 및 상기 야채혼합농축분말 0.01 내지 1중량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식품 조성물.
  4. 제1항의 단백질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용 식품.
KR1020220006204A 2022-01-14 2022-01-14 단백질 식품 조성물 KR20230110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204A KR20230110105A (ko) 2022-01-14 2022-01-14 단백질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204A KR20230110105A (ko) 2022-01-14 2022-01-14 단백질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105A true KR20230110105A (ko) 2023-07-21

Family

ID=8742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204A KR20230110105A (ko) 2022-01-14 2022-01-14 단백질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01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078B1 (ko) 2016-01-21 2019-02-26 김현준 체중 조절용 식품 조성물
KR101949023B1 (ko) 2017-06-27 2019-04-29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효소활성 개선 및 위장 보호효과를 갖는 체중 증가용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078B1 (ko) 2016-01-21 2019-02-26 김현준 체중 조절용 식품 조성물
KR101949023B1 (ko) 2017-06-27 2019-04-29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효소활성 개선 및 위장 보호효과를 갖는 체중 증가용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evanhema et al. Potential of bambara groundnut (Vigna subterranea (L.) Verdc) milk as a probiotic beverage—a review
Leakey Potential for novel food products from agroforestry trees: a review
Kari et al. Palm date meal as a non-traditional ingredient for feeding aquatic animals: a review
Niazi et al. An overview: Date palm seed coffee, a functional beverage
CN106615119A (zh) 一种含藜麦酸奶及其制作方法
Abdullah et al. Assessment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quality attributes of yoghurt enriched with Cinnamomum verum, Elettaria cardamomum, Beta vulgaris and Brassica oleracea
Barot et al.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of bottle gourd in food products
KR20220008475A (ko) 체중조절용 식품 조성물
CN105360247A (zh) 一种野菜饼干
CN105918854A (zh) 一种百香果味复合藜麦即溶麦片及其制备方法
Boublenza et al. Carob as source for sustainable ingredients and products
JP4352030B2 (ja) 健康食品
Mahunu et al. Food use of whole and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Devi et al. Enrichment of wheatgrass (Triticum aestivum L.) juice and powder in milk and meat-based food products for enhanced antioxidant potential
KR20230110105A (ko) 단백질 식품 조성물
KR101536714B1 (ko) 참외 양갱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9374A (ko) 혼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947013B1 (ko) 아로니아, 꾸지뽕 및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푸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1009A (ko) 안토시아닌 함유 갈색거저리 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영양, 고단백 젤리의 제조방법
JP2006306852A (ja) 抗肥満剤
KR102560046B1 (ko) 비타민 캔디
Dwitanti et al. Saga (Adenanthera pavonina Linn) seeds milk as an alternative source of protein from tree species
Sharma et al. Formula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fig (Anjeer) incorporated camel and buffalo milk based khoa burfi
KR20120072911A (ko)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