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824A -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824A
KR20230109824A KR1020220005509A KR20220005509A KR20230109824A KR 20230109824 A KR20230109824 A KR 20230109824A KR 1020220005509 A KR1020220005509 A KR 1020220005509A KR 20220005509 A KR20220005509 A KR 20220005509A KR 20230109824 A KR20230109824 A KR 2023010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user
information
module
heal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구
Original Assignee
고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구 filed Critical 고인구
Priority to KR102022000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824A/ko
Publication of KR2023010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서 생성되는 헬스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정보 수신 모듈; 상기 헬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히스토리 모듈;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접근 가능한 이용자인 허가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근을 허용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모듈은, 복수의 이용자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A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ING A HEALTH CARE INTERFACE FOR MANY AND A INTEGRATED HEALTH CARE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자에게 헬스 정보 표시와 웨어러블 장치와 연계되어 통합 관리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에 대한 것이다.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가 도래됨에 따라 1인 또는 고령자 생활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불균형으로 인해, 헬스 케어를 위한 인력과 사회망이 부족하여, 의료 서비스의 양과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새로운 헬스 케어 방법들이 고려되고 있다.
일례로, 기술 개발과 발맞춰 ICT와 의료를 융합한 헬스케어 방법이 새로운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로 고려되고 있다. 그 중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노령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 경보 및 건강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운영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해 상용화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웨어러블 장치와 연계되어 통합적인 헬스 케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서 생성되는 헬스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정보 수신 모듈; 상기 헬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히스토리 모듈;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접근 가능한 이용자인 허가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근을 허용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모듈은, 복수의 이용자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헬스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의료 정보 수신 모듈; 및 상기 의료 정보와 상기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하는 건강 예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예측 모듈은,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하는 건강 예측 모델을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예측 모듈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개선점을 산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과 건강 개선점이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의료 기관을 중개하여 상기 의료 기관의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약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모듈은,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이미 예약된 시간을 포함한 모든 진료 시간에 대해서 예약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모듈은, 이미 예약된 시간에 사용자가 진료 예약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진료 비용 안내 및 결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방법은,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헬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헬스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인 헬스 정보 수신 단계; 상기 헬스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관리 단계;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가 가공되어 가공 정보가 산출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가공 단계; 및 허가된 이용자인 허가자에게만 상기 가공 정보가 전달되도록,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확인하는 단계인 인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단계는, 복수의 허가자에게 상기 가공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계인 의료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와 상기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이 예측되는 단계인 건강 예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헬스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은
헬스 케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노인 케어 복지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수 있다.
또한, 노인 의료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이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이 진행하는 헬스 케어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이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것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이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것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이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웨어러블 장치(20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200)와 연동되어 상기 웨어러블 장치(200)의 사용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탈착 될 수 있는 밴드부(I21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측정 모듈(210), 외부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220),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응급 상황 발생 조건인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응급 신호를 생성하는 판단 모듈(230), 상기 측정 모듈(210), 상기 통신 모듈(220)과 상기 판단 모듈(23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모듈(240) 및 상기 밴드부(I210)에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측정 모듈(210), 상기 통신 모듈(220), 상기 판단 모듈(230)과 상기 전원 모듈(240)이 배치되는 하우징부(I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200)는 상기 측정 모듈(21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생체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집된 정보인지와 관련된 조건인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오탐 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0)는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측정 모듈(210)의 고장 여부와 관련된 조건인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0)는 상기 하우징부(I220)에 배치되며, 상기 예비적 응급 신호가 발생될 경우, 비 이상적인 상태임을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모듈(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0)는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하는 표시 모듈(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0)는 상기 하우징부(I220)에 배치되며, 상기 예비적 응급 신호로 인해 상기 알림 모듈(270)이 생성하는 알림을 중단하는 중단 모듈(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I2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계의 밴드일 수 있다.
상기 밴드부(I210)는 공지된 기수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I220)는 상기 밴드부(I210)에 결합되어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290)이 탑재될 수 있다.
측정 모듈(21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맥박(심박수) 및 체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생체 정보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측정 모듈(210)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사용자의 맥박을 센싱하는 맥박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모듈(210)은 웨어러블 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센서는 GPS 모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위치 센서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정 모듈(210)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운동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운동 센서는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외부 서버, 외부 기기와 무선을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220)은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NFC 모듈, RF 모듈, 5G 모듈, LTE 모듈, NB-IOT 모듈 및/또는 LoRa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신 모듈(220)이 포함하는 모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상기 응급 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전화망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사 서버와 직접적으로 응급 신호를 포함하는 헬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220)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단거리 무선 통신을 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응급 신호를 포함하는 헬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헬스 정보의 전달 경로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헬스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200)의 사용자의 인적 정보(또는, 고유 식별 코드), 응급 신호, 예비적 응급 신호, 고장 정보, 생체 정보등 웨어러블 장치(200)에서 생성되고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모듈(230)은 후술하는 조건들을 판단하고 응급 신호, 예비적 응급 신호 및 고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수 있다.
전원 모듈(240)은 웨어러블 장치(200)의 구성들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오탐 모듈(250)은 측정 모듈(210)에 의해 측정되는 생체 정보들이 정상적으로 수집된 정보인지와 관련된 조건인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적으로 수집된 생체 정보란, 사람이 정상적인 상태일 때 수집될 수 있는 생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정상 여부가 판단될 때 생체 정보들 간의 관계, 사용자 위치, 사용자의 운동 여부 등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체온이 38도이고, 심박수가 80회/분이더라도, 사용자가 격하게 움직이고 있다면, 이러한 생체 정보는 정상적으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운동했기에, 체온과 심박수가 올라간 것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사용자 체온이 38.5도이고, 심박수가 60/분이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비할 경우, 이러한 생체 정보는 비 정상적으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측정 모듈(210)의 고장 혹은 비 정상적으로 수집된 생체 정보일 수 있다.
기계 학습으로 산출된 점검 모델을 기초로 상기 생체 정보의 정상 여부(오탐를 판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오탐 모듈(250)은 그 동안의 오탐되지 않은 정상적인 생체 정보, 오탐 시의 생체 정보들을 기계 학습 및/또는 딥러닝시켜 점검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을 위한 알고리즘은 공지된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오탐 모듈(250)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생체 정보들이 정상적으로 취득된 건지 잘못 취득(오탐)된건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장 모듈(260)은 미리 설정된 판단 방법을 통해 측정 모듈(21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은 미리 설정된 판단 방법을 통해 고장 모듈(260)이 측정 모듈(210)을 판단한 결과 고장 모듈(260)이 측정 모듈(210)을 고장났다고 판단할 조건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판단 방법은 자체적으로 센서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알림 모듈(270)은 고장 신호, 예비적 응급 신호, 응급 신호가 생성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 방법, 청각적 방법 및 촉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한가지 방법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알림 모듈(270)은 사용자가 구분해서 각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신호마다 다르게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중단 모듈(280)은 상기 하우징부(I2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중단입력부(281a, 281b) 및 상기 하우징부(I2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 중단입력부(28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중단입력부(281a, 281b)는 버튼 형식으로서 상기 하우징부(I2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단이력부는 제1-1 중단입력부(281a)와 상기 제1-1 중단입력부(281a)와 이격된 제1-2 중단입력부(281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비적 응급 상황이 발생되어, 이에 대응되는 알람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가 제1-1 중단입력부(281a)를 누르면, 예비적 응급 상황이 중단될 수 있다. 제1-1 중단입력부(281a)는 알람만을 중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몸 상태의 이상을 느낄 때 예비적 응급 상황임을 인지한 후 알람을 종료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예비적 응급 신호가 발생되어, 이에 대응되는 알람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가 제1-2 중단입력부(281b)를 누르면, 예비적 응급 상황이 중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몸 상태 이상을 느끼지 않고, 다른 원인(긴장 상황 발생 등)으로 몸 상태가 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예비적 응급 상황을 부정하는 것의 의미로서 알람을 종료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중단입력부(282)도 제1-2 중단입력부(281b)와 동일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제2 중단입력부(282)는 거리센서, 제2 중단입력부(282)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200)의 착용 여부를 숨기고자 할 때, 주위 사람들으로부터 인식되지 않게 예비적 응급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끄고 싶어할 때가 있을 수 있다.
제2 중단입력부(282)는 하우징부(I220)의 측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손등을 팔목 쪽으로 가까이함으로서, 제2 중단입력부(28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1 중단입력부(281a, 281b)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서 활성되거거나 제2 중단입력부(282)가 활성화되면 상기 중단 모듈(280)은 활성화된 상황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헬스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정보 수신 모듈(410), 상기 헬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히스토리 모듈(420),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D10)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430)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430)의 접근 가능한 이용자인 허가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430)에 접근을 허용하는 인증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은 의료 기관 서버(M10)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의료 정보 수신 모듈(450) 및 상기 의료 정보와 상기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하는 건강 예측 모듈(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은 사용자와 의료 기관을 중개하여 상기 의료 기관의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약 모듈(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은 일종의 컴퓨팅 시스템 및/또는 서버로서, 웹 상에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필요한 정보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컴퓨팅 장치는 정보 처리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및/또는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서버는 서버의 서버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웹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버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헬스 정보 수신 모듈(410)은 웨어러블 장치(200)의 통신 모듈(220)로부터 전달되는 헬스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헬스 정보는 전화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을 수도 있고, 인터넷 통신 망을 통해서 헬스 정보 수신 모듈(410)로 전달될 수 있다.
헬스 정보 수신 모듈(410)은 수신 받은 헬스 정보를 히스토리 모듈(420)로 전달할 수 있다.
히스토리 모듈(420)은 사용자 별로 헬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히스토리 모듈(420)은 저장 모듈로서,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440)에는 사용자의 헬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이용자인 허가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허가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사람들일 수 있다.
허가자 정보는 허가자의 아이디일 수 있다.
인증 모듈(440)은 허가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에 접근하여 특정 사용자의 헬스 정보에 접근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허가자가 헬스 정보에 접근하려 한다면, 인증 모듈(440)은 이를 허가하고,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허가나에게가용자의 헬스 정보가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허가자에게 제공하 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모듈(440)은 복수의 이용자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430)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즉,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의 이용자 중에서 복수의 인원이 허가자로 지정될 수 있다.
일례로, 허가자는 웨어러블 장치(200)의 사용자의 보호자 혹은 자녀들일 수 있다.
허가자는 웨어러블 장치(200)의 사용자의 헬스 정보를 자신의 단말기로 실시간 확인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에서 응급 신호가 발생될 경우,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은 응급 알람을 미리 정해진 주소로 응급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주소는 허가자의 단말기 혹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주소는 응급 상황이 발생될 경우, 응급 알람이 전송될 IP 주소일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주소란 웨어러블 장치(200)의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기 IP 주소를 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미리 정해진 주소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헬스 정보가 사용자 혹은 허가자의 단말기에 효과적으로 표시되도록, 헬스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헬스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 정보는 그래프, 숫자, 도형, 표 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표시 정보를 사용자 또는 허가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수신 모듈(450)은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의료 기관 서버에 전달하면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일례로, 인적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민번호, 주소, 진료받은 병원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 기관 서버는 사설 의료 기관에서 운영하고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도 있고, 공공 의료 기관 혹은 의료와 관련된 공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 기관 서버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정보를 의료 정보 수신 모듈(450)로 전달할 수 있다.
건강 예측 모듈(460)은 의료 정보 수신 모듈(450)로부터 전달받은 의료 정보와 웨어러블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건강 예측 모듈(460)은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하는 건강 예측 모델을 기계 학습 및/또는 딥러닝을 통해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건강 예측 모듈(460)은 다수의 사람들의 헬스 정보들과 의료 정보들을 기계 학습 및/또는 딥러닝 시켜 건강 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기계 학습 및/또는 딥러닝은 공지된 방법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미래 건강은 혈압, 맥박, 골밀도, 체중, 위험 질병 등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사용자가 나이 들어감에 따라 예측되는 혈압, 맥박, 골밀도, 체중이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나이 들어감에 따라 걸릴 수 있는 위험 질병들이 예측될 수 있다.
일례로, 위험 질병은 치사율이 소정 기준 이상인 질병으로서, 암, 당뇨병, 뇌출혈, 부정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의료 정보에 기초된 사용자의 혈압과 헬스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기반으로 나이들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혈압이 예측될 수 있다.
상기 건강 예측 모듈(460)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개선점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예측 모듈(460)은 예측된 미래 건강과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의료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건강 차이점을 산출하고, 건강 차이점을 기초로 사용자가 개선할 점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건강 개선점은 추천 식단, 운동 종류, 운동 량, 수면 시간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과 건강 개선점이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생체 정보를 직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또한 미래의 건강과 개선될 점을 살펴보아, 미래의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정보들을 허가자도 모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서 의료 기관의 진료를 예약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은 의료 기관들과 서로 정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의료 기관으로부터 진료 정보와 진료 일정 및 예약 현황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 예약된 시간에는 진료를 예약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일 수 있다.
예약 모듈(470)은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예약 모듈(470)은 이미 예약된 시간을 포함한 모든 진료 시간에 대해서 예약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은 웨어러블 장치(200)에서 예비적 응급 신호가 발생된 후 소정 횟수 이상 제1-1 중단입력부(281a)가 활성화될 조건일 수 있다.
일례로, 소정 횟수는 3회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 횟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중단입력부의 활성화된 횟수도 웨어러블 장치(200)로부터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약 모듈(470)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예약 인터페이스에는 설사 예약이 이미 되어있는 진료 시간이더라도, 예약 가능하다고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진료 예약을 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사용자는 건강에 위험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위험 신호가 있는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진료 예약 시간을 부여함으로써, 위급한 상황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기존에 예약된 시간에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예약하는 경우, 기존에 예약한 사람에게 다른 시간으로 예약할 것을 권유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약 변경에 따른 불만이 속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미 예약된 시간에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사용자가 진료 예약하는 경우, 예약 모듈(470)은 사용자에게 추가 진료 비용 안내 및 결재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 진료 비용을 납부하고, 미리 예약된 시간에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추가 납부한 진료 비용 만큼 사용자로 인해 예약을 미뤄야하는 진료자의 진료 비용에서 차감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납부한 진료 비용은 의료 기관에 납부되어, 선제적으로 진료자의 진료 비용에서 차감될 수 있으며, 이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400), 결제 기관 서버 의료 기관 서버가 서로 연계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헬스 케어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헬스 케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취득되는 단계인 생체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응급 상황 발생 조건인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응급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인 응급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응급신호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단계인 응급 신호 전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 케어 방법은 상기 생체 정보가 정확하게 수집된 정보인지와 관련된 조건인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 만족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인 오탐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헬스 케어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이 진행하는 헬스 케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 모듈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잇으며, 오탐 모듈은 생체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판단 모듈은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소정 값 이상 혹은 이하일 경우 응급하다고 판단될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에 만족되지는 않으나, 소정 값 이상 혹은 이하로서 응급 상황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고 판단될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체온의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40도 이상 33도 이하일 경우를 말할 수 있으며, 체온의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38도 이상 40도 미만, 33도 초과 35도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과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은 생체 정보들 마다 지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와 측정 모듈이 모두 정상이므로, 어떠한 알람 없이 계속해서 생체 정보가 취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알림 모듈은 응급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판단 모듈은 측정 모듈이 고장났다고 판단하며, 이를 근거로 알림 모듈을 고장 알림을 발생시키고, 판단 모듈은 고장 신호를 생성하여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고장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 모듈은 비 이상적인 상태라고 판단되고 예비적 응급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 모듈은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와 측정 모듈이 모두 문제가 없으므로, 어떠한 알람 없이 계속해서 생체 정보가 취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판단 모듈은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이 만족되며,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판단 모듈은 상기 예비적 응급 신호가 아닌 응급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은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악 예비적 응급 신호에 대한 알람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대응하지 못한 상황을 만족할 조건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은 사용자의 위치, 시간, 움직임, 체온, 맥박, 사용자 단말기의 가동 여부 등을 기초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수면한다고 판단될 경우,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사람이 수면할 경우, 체온이 낮아지고, 맥박의 변화량이 줄어드는 등의 신체적 특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판단 모듈은 예외적 판단 모델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따.
판단 모듈은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을 통해서 예외적 판단 모델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사람들이 수면할 때의 생체 정보, 위치 정보, 운동 정보, 단말기 사용 패턴들을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하여 예외적 판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런한, 기계학습 및/또는 딥러닝을 위한 알고리즘은 공지된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이 만족될 경우, 미리 정해진 응급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에도 예비 응급 신호가 발생되지 않고, 응급 신호가 발생되어, 보호자에게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응급 알람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미리 정해진 오탐 조건이 만족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고장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예비 응급 조건이 만족되며, 미리 정해진 예외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판단 모듈(230)은 상기 예비적 응급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비적 응급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을 듣고서, 상황에 적합한 중단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판단 모듈에서 응급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은 응급 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소로 응급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판단 모듈에서 예비적 응급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은 예비적 신호 발생 사실을 히스토리 모듈에 저장하하여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방법은,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헬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헬스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인 헬스 정보 수신 단계, 상기 헬스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관리 단계,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가 가공되어 가공 정보가 산출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가공 단계 및 허가된 이용자인 허가자에게만 상기 가공 정보가 전달되도록,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확인하는 단계인 인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단계는 복수의 허가자에게 상기 가공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헬스 정보 관리 방법은,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계인 의료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와 상기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이 예측되는 단계인 건강 예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이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은 헬스 정보를 기초로 그 동안 측정된 사용자의 맥박, 체온, 운동량, 이동거리(양)들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위로 그래프로 표시될 경우에는 일단위 평균값을 기초로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정보의 종류 및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시간 단위, 월 단위 또는 년 단위로 구분되어 헬스 정보 각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 정보가 표현되는 방법을 그래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표현 방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 정보가 표현되는 방법은 그래프 형식 뿐만 아니라, 표, 도형, 숫자가 활용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이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모듈은 건강 예측 모듈이 예측한 미래 건강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예측 건강 데이터(U10)와 건강과 위험의 경계 정보 데이터(U20)가 함께 그래프에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에 대한 정보에 더해서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될 시기(E10)도 그래프에 함께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된 사용자 미래 건강 정보가 표현되는 방법을 그래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표현 방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예측된 사용자 미래 건강 정보가 표현되는 방법은 그래프 형식 뿐만 아니라, 표, 도형, 숫자가 활용되어 표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200 : 웨어러블 장치
400 :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Claims (11)

  1.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서 생성되는 헬스 정보를 수신하는 헬스 정보 수신 모듈;
    상기 헬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히스토리 모듈;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접근 가능한 이용자인 허가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근을 허용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모듈은,
    복수의 이용자에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접근을 허용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헬스 정보가 시계열적으로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를 가공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의료 정보 수신 모듈; 및
    상기 의료 정보와 상기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하는 건강 예측 모듈;을 더 포함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예측 모듈은,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예측하는 건강 예측 모델을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하고 관리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예측 모듈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개선점을 산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예측된 사용자의 미래 건강과 건강 개선점이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와 의료 기관을 중개하여 상기 의료 기관의 진료 예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약 모듈;을 더 포함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모듈은,
    미리 정해진 우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이미 예약된 시간을 포함한 모든 진료 시간에 대해서 예약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모듈은,
    이미 예약된 시간에 사용자가 진료 예약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진료 비용 안내 및 결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9.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헬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헬스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인 헬스 정보 수신 단계;
    상기 헬스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관리 단계;
    상기 헬스 정보가 인증된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헬스 정보가 가공되어 가공 정보가 산출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가공 단계; 및
    허가된 이용자인 허가자에게만 상기 가공 정보가 전달되도록, 허가자에게 부여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확인하는 단계인 인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단계는,
    복수의 허가자에게 상기 가공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인,
    헬스 정보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계인 의료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와 상기 헬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미래 건강이 예측되는 단계인 건강 예측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헬스 정보 관리 방법.
  11. 제1항에 따른 헬스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



KR1020220005509A 2022-01-13 2022-01-13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30109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509A KR20230109824A (ko) 2022-01-13 2022-01-13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509A KR20230109824A (ko) 2022-01-13 2022-01-13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824A true KR20230109824A (ko) 2023-07-21

Family

ID=8743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509A KR20230109824A (ko) 2022-01-13 2022-01-13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8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3023B2 (en) Techniques for emergency detection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KR10214453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US8847767B2 (en) Health care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197082B1 (en) Techniques for power source management using a wrist-worn device
WO2014148037A1 (ja) 生活見守り支援装置
EP264812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US20160161985A1 (en) Techniques for power source management using a wrist-worn device
EP3468467B1 (en) Assessing the functional ability of a person to perform a task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KR101501280B1 (ko) 당뇨병 관련 의료정보 송수신 장치
WO2015143085A1 (en) Techniques for wellness monitoring and emergency alert messaging
KR102285597B1 (ko) 웨어러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간호지원 시스템
JP5830488B2 (ja) 健康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Moser et al. Personal health monitoring using a smartphone
KR101501281B1 (ko)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관리 방법
KR2019000324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JP7399092B2 (ja) 潜在的な甲状腺異常のアラートを提供する方法
CN11444994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US10492725B2 (en) Method and system of facilitating monitoring of an individual based on at least one wearable device
JP2008178651A (ja) 緊急医療システム
Seong et al. Self M2M based wearable watch platform for collecting personal activity in real-time
KR20230109824A (ko) 다수를 위한 헬스 케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가능한 헬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헬스 케어 시스템
CA2856649A1 (en) Wellness application for data-capable band
Abdulmalek et al. IoT-Based Healthcare-Monitoring System to-wards Improving Quality of Life: A Review. Healthcare 2022, 10, 1993
KR102157436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