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549A - Novel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a lesion and mac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ovel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a lesion and mac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549A
KR20230109549A KR1020220178024A KR20220178024A KR20230109549A KR 20230109549 A KR20230109549 A KR 20230109549A KR 1020220178024 A KR1020220178024 A KR 1020220178024A KR 20220178024 A KR20220178024 A KR 20220178024A KR 20230109549 A KR20230109549 A KR 2023010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lesion
composition
marking
lesion
hyalur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기
이상혁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PCT/KR2023/0006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36639A1/en
Publication of KR2023010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54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89Particulate, powder, adsorbate, bead, sphere
    • A61K49/0091Microparticle, microcapsule, microbubble, microsphere, micr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higher or equal to 1 micr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2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A61K49/0034Indocyanine green, i.e. ICG, cardiogre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4Macromolecular compounds, i.e. oligomers, polymers, dendr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6Peptides, proteins, poly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Biological staining of tissues in vivo, e.g. methylene blue or toluidine blue O administered in the buccal area to detect epithelial cancer cells, dyes used for delineating tissues during surgery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친화적 고분자 및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를 포함하는 미립구 입자; 및 상기 미립구 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표면개질제;를 포함하고, 표지 부위 수술 중 목적 병변에 직접적으로 투여되어 실시간으로 목적 병변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목적 병변에 주사되면 수 개월까지 지속적으로 머물며 표지 병변의 위치, 크기 등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어, 목적 병변의 외과적 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정상조직의 과다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수술 표지자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sphere particle containing a biocompatible polymer and a pigment for staining living tissue; And a surface modifi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s;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hich are directly administered to the target lesion during surgery to determin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it's about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jected into the target lesion, stays continuously for up to several months and can det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during surgery,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surgical operation of the target lesion as well as However, since it can prevent excessive loss of normal tissue, it can be widely used as an effective surgical marker.

Description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NOVEL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A LESION AND MACUFACTURING METHOD THEREOF}Composition for labeling biocompatible target les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 친화적 고분자에 생체조직 염색용 색소와 생체단백질을 포함시킨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병변의 부위에 표지한 정보를 영상화하는 방법 및 체내 안정성과 영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과 생체 고분자를 혼합한 목적 병변 수술용 표지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labeling a bio-friendly target les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labeling a target lesion in which a pigment for staining a living tissue and a bioprotein are included in a bio-friendly polymer, and using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aging labeled information on a lesion site and a marker for surgery of a target lesion in which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and a biopolymer are mixed to improve in vivo stability and imaging capability.

항암치료의 경우, 다양한 항암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외과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과수술적인 방법을 사용할 경우, 수술 후 환자의 건강 및 복지를 위하여 수술 중에 수술범위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유방암의 경우, 유방이 작은 국내여성의 수술 시 절제하는 병변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적어야 유방보존적 치료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수술범위는 병변과 병변 주위의 가장자리 여분 부위로 결정된다. 집도의가 병변 부위와 범위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병변 주위의 가장자리 여분을 크게 두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무작정 수술범위를 줄이다가는 종양이 절제면에 남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 임상수술에서는 수술집도의가 수술 중에 병변을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 많지 않다. 매우 정밀한 진단방법이 개발되었음에도 이러한 진단방법은 수술 중에는 사용하지 못해 실제 수술 중에는 주로 수술자의 촉감이나 시각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병변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병변이 작은 경우는 더욱 구별되지 않는다. 미세침습수술 및 수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술자에게 병변을 수술 중에 알려주는 기술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chemotherapy, methods using various anticancer agents have been developed, but a method of removing cancer cells through a surgical method is still most commonly used. However, when using a surgical method, a technique for minimizing the surgical range during surgery is essential for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patient after surger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reast cancer, the goal of breast-conserving treatment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number of lesions to be resected during surgery for small breasts in Korea is smaller than in other countries. The surgical scope is determined by the lesion and the extra marginal area around the lesion. If the surgeon does not know exactly the area and extent of the lesion, he or she has to leave a large margin around the lesion. This is because if the surgical scope is recklessly reduced, the tumor may remain on the resection margin. However, in actual clinical surgery, there are not many methods for the operating surgeon to accurately check the lesion in real time during surgery. Although very precise diagnos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ese diagnostic methods cannot be used during surgery, so during actual surgery, the surgeon mainly relies on the operator's sense of touch or vision. In particular, when the lesion is small, it is mo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micro-invasive surgery and surgery, a technique for informing an operator of a lesion during surgery is required.

종래의 종양제거 수술, 특히 유방암 수술 시에는 환자의 미세병변의 위치를 수술 전에 초음파, 맘모그라피, 혹은 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병변의 위치를 표시한 다음, 표시된 부위의 조직을 제거하게 되는데, 확인된 병변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피부표면에 그림을 그리는 방법, 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 차콜(charcoal)과 같은 검은 색소를 주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병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피부 위에 펜을 이용하여 그림으로 그리는 방법은, 매우 유연한 유방조직의 특성상, 진단할 때와 수술장에서 유방의 모양이 많이 변화한다는 점, 유방심부의 병변인 경우에는 피부표면에 표시한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점 등 때문에, 가장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정확도가 가장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유방병변에 찌르는 방법은, 본래 와이어를 피부표면으로 수직으로 삽입시켜야 하지만, 초음파 탐침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부득이하게 사선으로 삽입시켜야 한다는 점, 와이어의 위치가 유방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는 점 등 때문에 예상보다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삽입된 와이어는 수술에 방해가 되며, 와이어의 삽입부위를 추가로 절제하는 시술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끝으로 차콜과 같은 색소를 주사하는 방법은, 주사된 색소가 병변에 결합하여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표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유방심부의 병변인 경우 외부에서는 흑색의 색소를 확인할 수 없고, 색소에 의하여 수술부위가 오염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열거한 단점은 유방암 이외의 암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외과적 수술 시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conventional tumor removal surgery, especially breast cancer surgery, the location of the patient's microlesion is confirmed by ultrasound, mam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before surgery,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lesion is marked, and then tissue in the marked area is removed. However, as a method of marking the position of the confirmed lesion, a method of drawing a picture on the skin surface, a method of using a wire, a method of injecting a black pigment such as charcoal, etc. are used. However, the method of drawing a picture using a pen on the skin to mark the location of the lesion, due to the nature of very flexible breast tissue, the shape of the breast changes greatly during diagnosis and in the operating room. Due to the fact that only marking on the skin surface is insufficient, it can be used most easily, but has the disadvantage of the lowest accuracy. Next, the method of piercing the breast lesion using a wire originally requires the wire to be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skin surface, but it is inevitably inserted obliquely because it can affect the ultrasound probe, and the location of the wire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breas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it shows lower accuracy than expected due to the fact that it can move according to, etc., the inserted wire interferes with surgery, and a procedure to additionally resect the insertion site of the wire must be performed. Finally, the method of injecting a pigment such as charco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jected pigment binds to the lesion and accurately marks the location of the les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urgical site may be contaminated by the pigment. The above-listed disadvantages can be commonly applied even during a surgical operation for removing cancer tissues other than breast cancer.

이처럼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로는 외과적으로 암병변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범위를 정밀하게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외과적으로 암병변을 제거할 경우에는 절제범위가 필요이상으로 확대될 수 밖에 없고, 수술 후에도 병변이 정상적으로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수반되어야만 한다.As such,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determine the surgical range for surgically removing cancer lesions with the technology developed so far. However, after surgery, an examination to confirm whether the lesion was normally removed should be followed.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암병변을 외과적으로 제거할 때 대응집 알부민에 생체조직 염색용 색소가 결합된 형태의 복합체를 표지자로 사용하는 표지자 (KR-10-2012-0153793)는 암의 병변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표지할 수 있고, 수술중에 상기 색소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병변의 범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Under this backgrou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marker (KR-10-2012-0153793), which uses a complex in which a pigment for staining living tissue is combined with albumin of the corresponding group as a marker when the cancer lesion is surgically remo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sion could be effectively adsorbed to accurately mark the location of the lesion, and the range of the lesion to be removed could be accurately identified by tracking the pigment in real time during surgery.

일반적인 색소 등은 색소나 형광색소가 주사부위 오래 머물지 못하고 수 시간 이내에 주변으로 번지고 결국 체내로 배설되어서 병변을 표지하는 능력을 상실한다. 기존 발명(KR-10-2012-0153793)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신 (형광)색소에 비해서는 오래 주사부위에 머무르지만 수일을 넘기기 어렵다. 특히 주사부위가 위장과 같은 계속 움직이거나 혈류가 많은 조직이거나 상대적으로 조직이 단단하지 않고 느슨한 곳에 주사되는 경우 특히 그러하다. 즉, 종래 표지자는 색소가 주사 부위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수시간 이내에 주변으로 확산됨에 따라, 병변을 표지하는 능력이 단기간에 상실된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In general, dyes or fluorescent dyes do not stay long at the injection site, spread to the surroundings within a few hours, and are eventually excreted into the body, losing the ability to mark lesion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invention (KR-10-2012-0153793), compared to the existing general new (fluorescent) pigment, it stays on the injection site for a long time, but it is difficult to exceed several day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injection site is injected into a tissue that is constantly moving or has a lot of blood flow, such as the stomach, or where the tissue is relatively loose and not rigid. That is, conventional mark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 ability to label lesions is lost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the pigment does not stay at the injection site for a long time and diffuses to the surroundings within several hours.

암환자 중에 병변이 커서 바로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 등에 먼저 항암치료를 하고 이어서 암을 절제하는 수술을 진행하는 선행항암치료가 늘어나고 있다. 이때 수개월이 걸리는 항암치료 전에 미리 병변을 표시하고 이 부위를 항암치료 후 절제하게 된다. 이 때 항암치료에 종양이 잘 치료되어 미세한 크기로 줄어들 경우 수술 중에 암 부위를 잘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금속성 클립을 항암치료 중에 넣어 두는 방법으로 암 부위를 확인하지만 실제 수술에서 금속성 클립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고, 오랜 항암치료기간 중에 움직이는 경우가 드물지 않아 개선책이 필요하다. 형광색소등이 주사된 부위에서 수개월 머무를 수 있고 형광이나 색깔이 수개월 후에도 확인할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하다.Among cancer patients, when the lesion is so large that surgery cannot be performed immediately, chemotherapy is performed first and then surgery to remove the cancer is increasing. At this time, the lesion is marked in advance before chemotherapy, which takes several months, and the area is excised after chemotherapy. At this time, if the tumor is well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is reduced to a fine size,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the cancer site during surgery. A metal clip is placed during chemotherapy to check the cancer site,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metal clip in actual surgery, and it is not uncommon for it to move during a long period of chemotherapy, so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It is very useful if the fluorescent dye can stay in the injected area for several months and the fluorescence or color can be confirmed several months later.

(형광)색소가 주사부위에 오래 머무르기 위해서는 주변으로 퍼지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의 입자이거나 그러한 입자에 결합하여야 하고(직경: 수 ~ 수백 마이크로미터), 색소가 오랜 기간 안정적이도록 생체반응으로 분해되거나 변성되어 색깔이나 형광을 잃어버리지 않아야 한다.In order for the (fluorescent) pigment to stay at the injection site for a long time, it must be particles of an appropriate size or bonded to such particles (diameter: several to hundreds of micrometers) so that they do not spread to the surroundings, and the pigment is decomposed or denatured by biological reactions to be stable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fluorescence should not be lost.

일반적인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의 미립구는 다양한 재료로 개발되어 있다. (형광)색소를 담지할 수 있는 미립구로는 다양한 다공성 미립구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주로 담지된 물질, 여기서는 (형광)색소를 천천히 통제된 속도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이다. 주로 약물을 배출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배출하는 목적이라 요구되는 목적과 전혀 다르다. 즉 (형광)색소가 미립구에서 생체 내로 배출되지 않는 형태이어야 하고, 미립구는 생체에 사용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Microspheres of general micrometer-sized particl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materials. Various porous microspheres have been developed as microspheres capable of carrying (fluorescent) dyes, but these are mainly used to release the supported material, here the (fluorescent) dyes, at a slow and controlled rate. It is not mainly for the purpose of not releasing the drug, but for the purpose of properly releasing it,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quired purpose. That is, the (fluorescent) pigment must be in a form in which the microspheres are not discharged into the living body, and the microspheres must be made of a material usable in the living body.

이러한 배경하에, 가장 쉽게 고안할 수 있는 방법은 생체친화적 고분자에 (형광)색소를 섞어 미립구를 만드는 방식이나, 일반적으로 단량체에서 합성하는 중합과정에서 열과 라디칼이 발생하고 (형광)색소를 변성시켜 색깔이나 형광이 없어져서 목적을 이룰 수가 없다.Under this background, the easiest way to devise is to make microspheres by mixing (fluorescent) pigments with biocompatible polymers. However, the fluorescence is lost, so the purpose cannot be achieved.

본 발명은 생체적합한 고분자를 용매에 녹이고 이중 이멀션 방법을 활용하여 (형광)색소를 완전히 포매하여 봉입하는 방법을 고안하였고, 적절한 제작된 생체적합 고분자 미립구에 봉입된 색소는 흘러나오지 않아서 앞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devised a method of completely embedding and encapsulating a (fluorescent) pigment by dissolving a biocompatible polymer in a solvent and utilizing a double emulsion method. can solve

또한 봉입되는 (형광)색소가 고분자 미립구내에서 오랜 기간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는 데, 색소 단독보다는 단백질과 결합 시킨다면 더욱 오래 색깔이나 형광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a method for stabilizing the encapsulated (fluorescent) dye in the polymer microspheres for a long period of time was devi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color or fluorescence can be display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f the dye is combined with a protein rather than the dye alone.

또한 표면을 히알루론산으로 개질하면 주사된 후 주변조직에 섬유아세포를 활성화 시켜 콜라겐 조직이 생성되어 잘 고착될 수 있다. 하지만 히알루론산은 유기용매에 녹지 않아, 고분자 미립구에 히알루론산를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코팅하기가 어렵다. 미립구를 제조하는 과정의 수용성 용매에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을 용해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 미립구를 만드는 과정에서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으로 코팅할 수 있는 제조법을 개발하였다.In addition, if the surface is modified with hyaluronic acid, after injection, fibroblasts are activated in the surrounding tissue to generate collagen tissue, which can be well adhered. However, since hyaluronic acid is insoluble in organic solvents, it is difficult to coat the polymeric microspheres with hyaluronic acid using a general method. A method of dissolving hyaluronic acid or collagen in a water-soluble solven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microspheres was devis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coated with hyaluronic acid or collagen in the process of making biocompatible polymer microspheres was developed.

특허문헌 1 : KR 10-2012-0153793Patent Document 1: KR 10-2012-0153793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소 혹은 형광색소, 생체단백질을 포함하는 생체 친화적 고분자 합성물질을 포함하는 체내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labeling lesions in the body comprising a biocompatible polymeric synthetic material including a pigment or fluorescent pigment and a bioprotei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a) 체내 병변을 색깔이나 형광색소로 주사부위에서 수개월 이상 머물러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 (b) 이러한 상기 체내 병변 표지용 합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주사물의 조성 (c) 이를 이용하여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 provide a method for keeping lesions in the body at the injection site for several months or longer with color or fluorescent dye, (b)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for marking the lesion in the body and composition of the injection ( c)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lesion using th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생체 친화적 고분자 및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를 포함하는 미립구 입자; 및 상기 미립구 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표면개질제;를 포함하고, 표지 부위 수술 중 목적 병변에 직접적으로 투여되어 실시간으로 목적 병변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sphere particle containing a biocompatible polymer and a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and a surface modifi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s, and is directly administered to the target lesion during surgery for the target region to confirm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여기서 상기 생체 친화적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GA),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PCL), 락트산-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lactic acid-ε-caprolactone copolymer, PLCL), 폴리다이옥산온(polydioxanone, PDO), 폴리트라이메틸렌카보네이트(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zene),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polyiminocarbonate), 폴리포스포에스테르(polyphosphoester),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polyhydroxyvalate),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biocompatible polymer i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copolymer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GA), poly-ε-caprolactone (PCL), lactic acid-ε-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dioxanone (PDO) ), 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polyamino acid, polyanhydride, polyorthoester, polyphosphazene, polyiminocarbonate, It may be any one of polyphosphoester, polyhydroxyvalate, copolymers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여기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 또는 형광 색소일 수 있다.Here, the dye for dyeing the living tissue may be a dye or a fluorescent dye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여기서 상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는 중성적, 나일청, 비스마르크브라운, 리튬카민, 트리판블루, 야누스그린, 메틸 바이올렛, 오-라민, 마라가이트 그린, 사프라닌, 에오신, 콩고레드, 에리스로신, 니그로신, 알시안블루 헤마톡실린, 아닐린블루, 라이트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pigments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are neutral, Nile blue, Bismarck brown, lithium carmine, trypan blue, Janus green, methyl violet, o-lamin, maragaite green, safranin, eosin, congo red, erythrosin, and nigrosin. , alcian blue hematoxylin, aniline blue, light green,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상기 형광 색소는 근적외선 형광 색소일 수 있다.Here, the fluorescent dye may be a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여기서 상기 형광 색소는 인도시아닌그린(indocyanine green, ICG)일 수 있다.Here, the fluorescent dye may be indocyanine green (ICG).

여기서 상기 형광 색소는 단독으로 또는 생체 단백질과 컨쥬게이션(conjuga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luorescent dy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alone or conjugated with a biological protein.

여기서 상기 표면개질제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콜라겐(collage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surface modifier may be any one of hyaluronic acid, collagen, and mixtures thereof.

여기서 상기 미립구 입자는 생체 단백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icrosphere particle may further include a biological protein.

여기서 상기 생체 단백질은 알부민(albumin)일 수 있다.Here, the biological protein may be albumin.

여기서 상기 미립구 입자는 직경이 10 내지 100 ㎛일 수 있다.Here, the microsphere particles may have a diameter of 10 to 100 μm.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평균 밀도가 1 내지 3 g/mL일 수 있다.Here, the composition may have an average density of 1 to 3 g/mL.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체 친화적 고분자가 첨가된 유기 용매와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가 첨가된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용액을 표면개질제가 첨가된 수용성 용매에 투입 후 교반하여 상기 미립구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립구 입자 표면에는 상기 표면개질제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ixing an organic solvent to which a biocompatible polymer is added and distilled water to which a dye for dyeing living tissue is added; and injecting the mixed solution into an aqueous solvent to which a surface modifier is added, followed by stirring to form the microsphere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modifi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s, for target lesion mark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교반 용액을 세척하고 필터링하여 특정한 크기의 미립구 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target lesion-label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microsphere particles having a specific size by washing and filtering the stirring solution.

여기서 상기 증류수는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생체 단백질 결합체가 더 첨가된 것일 수 있다.Here, the distilled water may be further added with a pigment-biological protein conjugate for staining living tissue.

여기서 상기 유기 용매는 디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DCM), 오쏘크실렌(o-xylene), 메타크실렌(m-xylene), 파라크실렌(p-xyl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organic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chloromethane (DCM), orthoxylene (o-xylene), m-xylene (m-xylene), para-xylene (p-xylene),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여기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의 농도는 1 내지 100 μM일 수 있다.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may be 1 to 100 μM.

여기서 상기 수용성 용매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m, PVP),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 amide, PAAm),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water-soluble solvent is polyvinylpyrrolidonem (PVP), polyacrylic acid (PAA), polyacryl amide (PAAm),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PVA) and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상기 수용성 용매의 농도는 0.1 내지 10 % w/w이고, 상기 표면개질제의 농도는 0.01 내지 0.3 % w/v일 수 있다.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solvent may be 0.1 to 10% w/w,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urface modifier may be 0.01 to 0.3% w/v.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항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및 평균 분자량이 0.5 내지 3.0 MDa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를 포함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of claim 1; and hyaluronic acid (HA)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0.5 to 3.0 MDa.

여기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0.3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Here,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injectable composition, hyaluronic acid (HA)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1% by weight.

여기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는 상온에서 24 내지 15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hyaluronic acid (HA) may have a viscosity of 24 to 1500 cps at room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이 주사된 목적 병변은 4 내지 12 개월 동안 표지가 유지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lesion to which the injectable composition is injected may maintain a label for 4 to 12 months.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목적 병변에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이 투여된 조직으로부터 색이 변화되는 위치를 목적 병변으로 인지하여, 표지 부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rectl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arget lesion;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where the color changes from the tissue to which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is administered as the target lesion, and confirming in real time during operation of the marked area;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including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목적 병변에 주사되면 수 개월까지 지속적으로 머물며 표지 병변의 위치, 크기 등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어, 목적 병변의 외과적 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정상조직의 과다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수술 표지자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jected into the target lesion, stays continuously for up to several months and can det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during surgery,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surgical operation of the target lesion as well as However, since it can prevent excessive loss of normal tissue, it can be widely used as an effective surgical marker.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 (a)는 ICG와 HSA를 포함한 PMMA의 실제사진과 형광카메라로 찍은 사진이다.
도 3 (b)는 ICG와 HSA 포함유무에 따른 PMMA를 형광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4는 증류수에 대한 본 발명의 미립구 입자 농도에 따른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ICG와 알부민의 농도 변화에 따른 미립구의 근적외선형광 신호세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농도에 따른 미립구 입자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in vitro 조건에서 ICG, ICG-HSA, ICG-HSA-PMMA 입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의 변화 비교를 IVIS(Perkin Elmer, Hopkinton, MA)로 측정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ICG-HSA-PMMA 입자를 각각 HSA, 증류수에 넣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자의 안정성 비교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b는 ICG-HSA-PMMA 입자를 Agarose gel에 넣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자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in vivo 조건에서 ICR 마우스에 주사된 ICG-HSA-PMMA 입자가 히알루론산 또는 증류수와 함께 주사되었을 때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 변화를 IVIS로 측정 비교한 결과이다.
도 10은 in vivo 조건에서 ICR 마우스에 주사된 ICG-HSA-PMMA 입자가 히알루론산 또는 증류수와 함께 주사되었을 때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 변화를 형광카메라로 촬영하여 Image J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그래프와 mouse를 형광카메라로 찍은 결과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labeling lesions for biocompatible purpo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biocompatible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real picture of PMMA including ICG and HSA and a picture taken with a fluorescence camera.
Figure 3 (b) is a photograph taken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of PMM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CG and HSA.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microsphere particle concen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istilled water.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intensity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change of ICG and albumin.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egree of dispersion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n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labeling biocompatible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intensity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s of ICG, ICG-HSA, and ICG-HSA-PMMA particles over time under in vitro conditions measured by IVIS (Perkin Elmer, Hopkinton, MA).
Figure 8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particle stability over time after putting ICG-HSA-PMMA particles in HSA and distilled water, respectively.
Figure 8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bility of ICG-HSA-PMMA particles with the passage of time after putting them in an agarose gel.
9 is a result of IVIS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the intensity change of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over time when ICG-HSA-PMMA particles injected into ICR mice were injected with hyaluronic acid or distilled water in vivo.
10 shows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over time when the ICG-HSA-PMMA particles injected into the ICR mouse were injected with hyaluronic acid or distilled water under in vivo conditions, photographed with a fluorescence camera and analyzed with the Image J program. This is the result of taking a graph and a mouse with a fluorescence camera.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number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are intended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this disclosure.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due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lso,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step of"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치환 또는 변경하는 것이 자명한 부분에까지 미친다.Sinc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obvious part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belonging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bstitute or change using the prior art based 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necessary.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labeling lesions for biocompatible purpos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생체 친화적 고분자 및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를 포함하는 미립구 입자; 및 상기 미립구 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표면개질제;를 포함하고, 표지 부위 수술 중 목적 병변에 직접적으로 투여되어 실시간으로 목적 병변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sphere particle containing a biocompatible polymer and a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and a surface modifi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s, and is directly administered to the target lesion during surgery for the target region to confirm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상기 조성물에 의해 표지되는 조직은 상기 조성물이 침투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형암 등 고형조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암, 피부암, 자궁경부암, 폐암, 뇌종양, 위장관 종양, 간암, 연조직육종, 림프종 등이 될 수 있으나, 상기 합성물질이 침투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직을 내포하는 암이나 기타 양성 병변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issue to be labeled by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a solid tissue such as a solid cancer into which the composition can be penetrated and fixed, more preferably prostate cancer,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skin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brain tumor, gastrointestinal tumor, liver cancer, It may be soft tissue sarcoma, lymphoma, etc.,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cancer or other benign lesions containing tissues into which the synthetic material can penetrate and be fixed.

본 발명의 용어 "생체친화적 고분자"란, 체내에서 독성이 없거나 적어,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로서, 일례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가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고분자는 체내 병변 조직에 주입하여 표지한 후, 그 병변에 오랫동안 머물며 병변 조직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term "biocompatibl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that is non-toxic or less toxic in the body and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fter the biocompatibl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into the lesion tissue in the body and labeled, it can be used to stay in the lesion for a long time and confirm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lesion tissue.

여기서 상기 생체 친화적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GA),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PCL), 락트산-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lactic acid-ε-caprolactone copolymer, PLCL), 폴리다이옥산온(polydioxanone, PDO), 폴리트라이메틸렌카보네이트(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zene),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polyiminocarbonate), 폴리포스포에스테르(polyphosphoester),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polyhydroxyvalate),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친화적 고분자는 본 발명에서 색소 혹은 형광색소를 포매(embedding)하므로 투명하여 빛이 잘 투과하는 성격을 가지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biocompatible polymer i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copolymer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GA), poly-ε-caprolactone (PCL), lactic acid-ε-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dioxanone (PDO) ), 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polyamino acid, polyanhydride, polyorthoester, polyphosphazene, polyiminocarbonate, It may be any one of polyphosphoester, polyhydroxyvalate, copolymers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In addition, since the biocompatible polymer embeds a pigment or a fluorescent pig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characteristics of being transparent and transmitting light well.

본 발명의 용어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란, 생체 조직에 결합하여 결합된 위치를 표지함으로써, 표지된 위치를 육안으로 또는 검출용 도구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 또는 형광색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생체조직 염색용 색소는 생체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로 생체 친화적 고분자 속에 포함되어 병변 부위를 표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 결합부위에서 형광을 발생시켜서 형광 카메라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는 형광색소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term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ubstance that binds to a living tissue and marks the bound position, thereby enabling the marked position to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or using a detection tool. Here, the dye for dyeing the living tissue may be a dye or a fluorescent dye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gment for staining biological tissue may be included in a biocompatible polymer in a form combined with a bioprotein and used for labeling a lesion site. Fluorescent dyes that can be generated and detected using equipment such as a fluorescent camera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용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란, 생체조직에 결합한 표지물질이 가시광선 영역의 색을 나타내어 표지된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색소의 일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는 체내 병변 부위에 주사하여 수술장에서 그 병변을 명확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는 바람직하게는 중성적, 나일청, 비스마르크브라운, 리튬카민, 트리판블루, 야누스그린, 메틸 바이올렛, 오-라민, 마라가이트 그린, 사프라닌, 에오신, 콩고레드, 에리스로신, 니그로신, 알시안블루 헤마톡실린, 아닐린블루, 라이트그린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목적 병변 조직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dye visible to the naked eye" refers to a type of dye that allows a labeled material bound to a biological tissue to display a color in the visible ray region so that a labeled reg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gment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can serve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by injecting the pigment into the lesion site in the body so that the les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the operating room. The pigments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are preferably neutral, Nile blue, Bismarck brown, lithium carmine, trypan blue, Janus green, methyl violet, auramine, maragaite green, safranin, eosin, congo red, erythrosin, Nigrosin, alcian blue hematoxylin, aniline blue, light green,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target lesion tissue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용어 "형광색소"란, 일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여기상태를 형성한 후, 빛의 침투거리가 최대가 되고, 수분에 의한 오류신호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광을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을 의미하는데, 바람직하게는 700nm 내지 30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nm 내지 900nm의 근적외선 파장의 형광을 발생하는 유기 화합물인 근적외선 형광색소가 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형광색소로부터 발생하는 근적외선 파장의 형광은 형광 카메라, 형광 센싱 프로브(PCT/KR2011/009271), 수술용 형광카메라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사진형태로 촬영하거나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파장의 형광은 생체 내에서의 흡수가 다른 파장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비교적 생체내의 깊은 부위에서 발생하는 근적외선도 생체외부에서 검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근적외선 영역 형광색소는 체내 병변 부위에 주사하여 수술장에서 그 병변을 형광영상장비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와는 달리, 절개하여 직접적인 병변을 확인하기 전에 체외에서도 병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수술의 수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근적외선 형광색소로는 바람직하게는 인도시아닌그린(indocyanine green, ICG)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사용 가능한 근적외선 형광색소인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The term "fluorescent dy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organic compound that absorbs light of a certain wavelength to form an excited state, maximizes the light penetration distance, and generates fluorescence capable of minimizing error signals caused by moisture. In other words, it may be a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which is an organic compound that generates fluorescence of a near-infrared wavelength of preferably 700 nm to 3000 nm, more preferably 750 nm to 900 nm. The near-infrared wavelength fluorescence generated from the near-infrared fluorochrome can be photographed or monitored in real time using equipment such as a fluorescence camera, a fluorescence sensing probe (PCT/KR2011/009271), and a surgical fluorescence camera. The fluorescence of the near-infrared wave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latively low absorption in the body compared to other wavelength bands, so even near-infrared rays generated in a relatively deep part of the body can be detected outside the body.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ar-infrared fluorochrome can be injected into the lesion site in the body so that the les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using fluorescence imaging equipment in the operating room,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In particular, unlike the pigments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since the location of the lesion can be detected outside the body before direct examination of the lesion by incis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surgery quickly and accurately. Preferably, indocyanine green (ICG) may be used as the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and as long as it is a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usable in the human body, it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근적외선 형광색소가 생체 친화적 고분자에 결합된 복합체는 목적 병변을 표지하는 것으로, 다른 물질에 근적외선 형광색소가 결합된 복합체에 비하여 검출되는 형광신호의 안정성 및 정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나타내므로, 미세병변을 발견할 수 있는 비율이 높고, 병변 절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mplex in which the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is bound to a biocompatible polymer marks the target lesion, and has the advantage of superior stability and accuracy of the detected fluorescence signal compared to the complex in which the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is bound to other materials, so that micro-lesions is high, and the accuracy of lesion excision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용어 "인도시아닌그린(indocyanine green, ICG)"이란, 생물학 또는 의학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근적외선 영역의 형광 영상용 염료를 의미하는데, 인체에 주입된 후 한 시간 정도 지나면 분해되어 없어지거나 대소변으로 배출되는 특성이 있어 인체에 사용 가능한 형광염료로 임상적 적용에 유리하다. 실제로, 인도시아닌그린을 이용하여 인체에 적용한 사례는 여러 논문에 보고된 바 있고, 일례로 유방암환자 18명에서 안전하게 임상적으로 사용하였음이 보고되었다(T. Kitai, et al., Breast Cancer, 12:211-215, 2005). 현재는 이미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 term "indocyanine green (ICG)"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ye for fluorescence imaging in the near-infrared region widely used in biology or medicine. It is advantageous for clinical application as a fluorescent dye that can be used in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excreted in feces. In fact, cases of applying indocyanine green to the human body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papers, and for example,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was safely used clinically in 18 breast cancer patients (T. Kitai, et al., Breast Cancer, 12:211-215, 2005). Currently, it is already widely used clinically.

인도시아닌그린 등의 형광색소는 조직에서 간으로 섭취되어 분해되어 담도계를 통해 배출된다. 인도시아닌그린 등 색소가 주변조직의 정맥이나 림프관으로 이동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10 ~ 100 ㎛)의 비교적 큰 입자에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조성물의 미립구가 주사부위에서 수개월 머무르면서 형광을 계속 발생하도록 형광색소를 미립구에 완전히 봉입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미립구에 보입된 수용성인 형광색소는 소수성의 고분자 미립구의 벽에 갇히게 되므로 주사부위에 오래도록 머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luorescent pigments such as indocyanine green are ingested from tissues into the liver, decomposed, and excreted through the biliary tract. It is advantageous for pigments such as indocyanine green to be bound to relatively large particles of a certain size (10 to 100 μm) in order not to migrate to veins or lymphatic vessels of surrounding tissues. The microspheres of the present composition can be prepared in a form in which the fluorescent dye is completely encapsulated in the microspheres so that the microspheres stay at the injection site for several months and continue to generate fluorescence. Since the water-soluble fluorescent dye introduced into the microsphere is trapped in the wall of the hydrophobic polymer microsphere, the effect of staying at the injection site for a long time can be expected.

또한 형광색소가 미립구에 잘 봉입되어 주변으로 흘러가지 않더라도 색소가 지속적인 여기광에 의해 소광(quenching)되거나, 생체반응에 의해 분해되어 색소의 성질을 잃어버리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소광이라 함은, 형광색소에 여기광을 쬐면 여기상태에서 형광을 발생하면서 안정상태로 떨어지지만 이때 발생하는 발생기 산소 등에 의해 분해되거나 이량체 등(diner, tetramer)을 형성하면서 형광을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 형광발생 능력을 잃어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소광이 일어나면 비록 색소가 주사부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형광을 발생하지 않아 표지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형광색소가 수개월 걸쳐 유지되기 위해서는 인도시아닌그린 등의 형광색소가 주사한 자리에 머물도록 적절한 크기의 미립구에 포매되는 등 잘 결합되고, 또한 소광이 적게 일어나야만 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fluorescent dye is well encapsulated in the microsphere and does not flow to the surroundings, the dye should not lose its properties by being quenched by continuous excitation light or decomposed by a biological reaction. Here, quenching means that when a fluorescent dye is exposed to excitation light, it emits fluorescence in an excited state and falls into a stable state, but is decomposed by the oxygen generated at this time or forms a dimer (diner, tetramer) so that fluorescence does not occur. This means that the fluorescence generating ability is lost. When quenching occurs, even if the dye is present at the injection site, it cannot function as a marker because it does not generate fluorescence. Therefore, in order for the fluorescent dye to be maintained for several months, the fluorescent dye, such as indocyanine green, must be well bound, such as being embedded in microspheres of an appropriate size so as to stay at the injected site, and also have to be less quenched.

여기서 상기 형광색소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생체 단백질과 컨쥬게이션(conjugation)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 입자는 생체 단백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색소가 상기 생체 단백질과 컨쥬게이션을 형성할 경우, 상기 형광색소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보다 강한 형광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보다 긴 지속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단백질은 일례로 알부민(Albumi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형광색소와 컨쥬게이션 결합을 형성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fluorescent dy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biological protein. That is, in the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ing target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sphere particles may further include a biological protein. When the fluorescent dye forms a conjugation with the biological protein, stronger fluorescence and a longer duration can be exhibited compared to when the fluorescent dye is used alone. Here, the biological protein may be, for example, album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forms a conjugation bond with the fluorescent dye.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상기 생체 단백질이 높은 농도로 포함될수록 형광의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 단백질은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20 %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체 단백질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단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onger fluorescence intensity as the biological protein is included in a higher concentration. More specifically, the biological protein may be included in a concentration of 0.5 to 20% w/v with respect to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Details of the biological protei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표면개질제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콜라겐(collage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고분자 및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를 포함하는 미립구 입자는 병변의 추적 관찰을 위해 생체 내에서 오랜 시간 머무르게 됨에 따라, 대식세포나 이물질 거대세포 등에 의한 이물반응(foreign body reaction)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작용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생체 내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생체 고분자 물질인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이 표면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e surface modifier may be any one of hyaluronic acid, collagen, and mixtures thereof. Side effects such as foreign body reaction by macrophages or foreign substance giant cells, etc. Since this may occur,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uch side effects, hyaluronic acid or collagen, which is a biopolymer material widely present in the body, may be used as a surface modifier.

여기서 상기 미립구 입자는 직경이 10 내지 100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직경으로는 30 내지 70 ㎛일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40 ㎛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우리 몸의 조직은 수십 ~ 수백 nm 굵기의 collagen fiber, reticular fiber, elastic fiber로 촘촘히 구성되어 있고, 조직내로 통과하는 모세혈관벽과 림프관 벽의 pore size도 수십 nm이다. 본 발명의 미립구 입자(ICG-albumin-PMMA microsphere)가 조직 밖으로 흘러가지 않기 위해서는 조직내의 섬유나 모세혈관/림프관의 벽에 뚫린 pore size보다 큰 micrometer 크기가 적절하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위의 입자크기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미립구 입자 직경을 얻기 위해 상기 미립구는 필터링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Here, the microsphere particles may have a diameter of 10 to 100 μm. A more preferable diameter may be 30 to 70 μm, and may exhibit an average diameter of 40 μm. Tissues in our body are densely composed of collagen fibers, reticular fibers, and elastic fibers with a thickness of tens to hundreds of nm, and the pore size of the walls of capillaries and lymphatic vessels passing through tissues is also tens of nm. In order for the microsphere particles (ICG-albumin-PMMA micro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not flow out of the tissue, a micrometer size larger than the pore size pierced in the wall of the fiber or capillary/lymphatic vessel in the tissue is appropriate, and through animal experiments, the above particle size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order to obtain the above microsphere particle diameter, the microsphere may be obtained through filtering.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평균 밀도가 1 내지 3 g/㎖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밀도는 상온에서의 증류수의 밀도(0.99821g/㎖)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주사제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증류수에 희석하게 되면,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주사제에 있어서, 이러한 침전의 발생은 주사시 주사바늘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목적 병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균일한 도입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제 조성물은, 침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과 히알루론산 등의 생체 적합 고분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에 관한 평균 밀도 및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하단의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 및 {실시예 및 평가} 단락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composition may have an average density of 1 to 3 g/ml. The density of this composition is high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0.99821 g/ml), and when diluted in distilled water for use as an injection, precipitation may occur. In injections, the occurrence of such precipitates may cause clogging of the needle during injection or make it difficult to uniformly introduc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target lesion. Therefore, the inject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be used by mixing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with a biocompatible polymer such as hyaluronic aci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recipitation. The average density and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and {Examples and evaluation} section below.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ion for biocompatible target lesion labeling>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생체 친화적 고분자가 첨가된 유기 용매와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가 첨가된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용액을 표면개질제가 첨가된 수용성 용매에 투입 후 교반하여 미립구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ixing an organic solvent to which a biocompatible polymer is added and distilled water to which a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is added; and injecting the mixed solution into a water-soluble solvent to which a surface modifier is added, followed by stirring to form microsphere particles.

상기 형성된 미립구 입자 표면에는 상기 표면개질제가 코팅될 수 있다.The surface modifier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ormed microsphere particle.

여기서 상기 유기 용매는 디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DCM), 오쏘크실렌(o-xylene), 메타크실렌(m-xylene), 파라크실렌(p-xyl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organic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chloromethane (DCM), orthoxylene (o-xylene), m-xylene (m-xylene), para-xylene (p-xylen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상기 수용성 용매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 amide, PAAm),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water-soluble solvent is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acrylic acid (PAA), polyacryl amide (PAAm),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PVA)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상기 증류수는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생체 단백질 결합체가 더 첨가된 것일 수 있다.Here, the distilled water may be further added with a pigment-biological protein conjugate for staining living tissue.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친화적 고분자,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 상기 표면개질제 및 상기 생체 단백질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biocompatible target lesion-label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compatible polymer, the pigment for staining biological tissue, the surface modifier, and the biological protein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 친화적 고분자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로서 인도시아닌그린(ICG), 상기 표면개질제로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상기 생체 단백질로서 인혈청알부민(HSA)를 이용하여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labeling lesions for biocompatible purpo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s the biocompatible polymer, indocyanine green (ICG) as the pigment for staining biological tissue, hyaluronic acid as the surface modifier, and phosphorus serum albumin as the biological protein. (HSA) shows a process of preparing a composition for labeling biocompatible target lesions.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직경 크기가 10 내지 100 ㎛인 구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육안으로는 흰색의 분말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ing lesions for biocompatible purpose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ppears in a sphe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10 to 100 μm, and is in the form of a white powder to the naked eye. there is.

여기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의 농도는 1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농도는 3 내지 30 μ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의 농도가 상술한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형광의 강도가 보다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의 농도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하단의 {실시예 및 평가}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may be 1 to 100 μM. A more preferred concentration may be 3 to 30 μM.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centration of the dye for dyeing the living tissue i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may appear stronger. Specific details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dye for dyeing the living tissu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xamples and Evaluation} below.

여기서 상기 수용성 용매의 농도는 0.1 내지 10 % w/w이고, 상기 표면개질제의 농도는 0.01 내지 0.3 % w/v일 수 있다.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solvent may be 0.1 to 10% w/w,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urface modifier may be 0.01 to 0.3% w/v.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 입자를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으로 코팅하기 위해서는 히알루론산이나 콜라겐을 고분자 미립구의 원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히알루론산은 가열 용융되지 않으며, 가열 용융과정에서 히알루론산이 변성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을 용매에 녹여 히알루론산 용액을 만들고 이를 미립구에 코팅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상기 히알루론산은 일반적인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아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미립구 입자를 만드는 단계에서 히알루론산이 잘 용해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개발하여 히알루론산의 코팅을 제공하였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을 생성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콜라겐은 조직에 주사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이 주사부위에 잘 고착되어 수개월의 기간이 경과하여도 흘러가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at the microsphere particles with hyaluronic acid or collagen, there may be a method of adding hyaluronic acid or collagen to the raw material of the polymer microspheres, but hyaluronic acid is not heated and melted, and hyaluronic acid is denatured during the heat melting process. It is likely to be. In addition, a method of dissolving the hyaluronic acid in a solvent to form a hyaluronic acid solution and coating the microspheres may be considered, but the hyaluronic acid is not easily soluble in general organic solvents, so it is im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hyaluronic acid is well dissolved in the step of making microsphere particles was developed to provide a coating of hyaluronic acid. The hyaluronic acid is known to stimulate fibroblasts to produce collagen. The collagen produced in this way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that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injected into the tissue is well adhered to the injection site and does not flow even after several months.

여기서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교반 용액을 세척하고 필터링하여 특정한 크기의 미립구 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인도시아닌그린 등 색소가 주변조직의 정맥이나 림프관으로 이동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10 ~ 100 ㎛)의 비교적 큰 입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교반 용액을 세척하고 필터링하여 10 내지 100 ㎛ 크기의 미립구 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target lesion-label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microsphere particles having a specific size by washing and filtering the stirring solu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pigments such as indocyanine green to not move to veins or lymphatic vessels of surrounding tissues, it is preferable to bind to relatively large particles of a certain size (10 to 100 μm).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washing and filtering the stirring solution to select microspheres having a size of 10 to 100 μm.

<목적 병면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Injectabl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bottle>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항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및 평균 분자량이 0.5 내지 3.0 MDa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를 포함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of claim 1; and hyaluronic acid (HA)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0.5 to 3.0 MDa.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가 포함된 생체 친화적 고분자의 생체 내 표지자로서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생체 고분자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물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생체 내의 병변 부위에 주입되어 병변을 표시함으로써 수술 시에 병변 부위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같은 조성물이 상술한 표지자로서의 목적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입된 병변 부위에서 확산을 최대한 방지하고 높은 형광신호가 꾸준히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히알루론산 용액에 혼합할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의 생체 내 잔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biocompatible polymer containing the pigment for staining biological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 vivo mark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arget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nhanced by using the biopolymer. That is, the target lesion mark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learly recognize the lesion site during surgery by marking the lesion by being injected into the lesion site in the living body.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ly, diffusion must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at the site of the injected lesion and a high fluorescence signal must be consistently produced. As one means for achieving this purpose, "hyaluronic acid" can be used. When the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mar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a hyaluronic acid solution, the persistence of the composition in vivo can be improved by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이 주사제에 추가로 혼합되는 경우, 미립구의 침전을 늦추거나 막아서 침전된 미립구에 의해 주사기 바늘이 막혀 주사를 실패하는 것을 예방해 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하단의 {실시예 및 평가}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mar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yaluronic acid is additionally mixed with the inj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ection failure due to clogging of the syringe needle by the precipitated microspheres by slowing down or blocking the precipitation of the microspheres. . Content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xamples and Evaluation} below.

여기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0.3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이 0.3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이 침전되어, 상기 침전된 조성물로 인해 주사기 바늘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히알루론산이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주사제 조성물에 과도하게 점성이 부여되어, 역시 주사 시에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은 본 발명의 주사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하단의 {실시예 및 평가}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injectable composition, hyaluronic acid (HA)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1% by weight. When the hyaluronic acid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3% by weight,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is precipitated, and the precipitated composition may cause clogging of the syringe need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yaluronic acid exceeds 1% by weight, excessive viscosity is imparted to the injectable composition, which may also cause discomfort during injection. Accordingly, the hyaluronic acid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3 to 1%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injectab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xamples and Evaluation} below.

여기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는 상온에서 24 내지 15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점도가 24 cps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주사제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서 주사시에 주사량의 조절이 어렵거나,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점도가 1500 cps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높은 점도로 인해 주사기에 걸리는 힘이 과도하게 필요하게 되므로, 주사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히알루론산의 점도는 상온에서 24 내지 1500 cps 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yaluronic acid (HA) may have a viscosity of 24 to 1500 cps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viscosity of the hyaluronic acid is less than 24 cps, the viscosity of the injectabl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o low,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injection amount during injection or precipitation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cosity exceeds 1500 cps,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syringe is required due to the too high viscosity, so that injection may not be easy. Accordingly, the viscosity of the hyaluronic acid is preferably 24 to 1500 cps at room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이 주사된 목적 병변은 수개월 이상 표지가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사제 조성물을 통한 목적 병변의 표지는 4 내지 12 개월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선행항암치료(수술 전 항암치료) 전에 상기 조성물을 목적 병변에 주사한 후에, 상기 목적 병변의 추적 관찰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성물은 선행항암치료 후에도 계속 형광이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선행항암치료의 구체적인 기간은 기간은 암의 종류와 항암치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항암치료의 발전에 따라 변화될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4 내지 8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이 주사된 목적 병변은 표지(형광)가 4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제 조성물의 목적 병변 내에서의 안정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하단의 {실시예 및 평가}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target lesion to which the injectable composition is injected may maintain a label for several months or more.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labeling of the target lesion through the injectable composition be maintained for 4 to 12 months. After the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the target lesion before pre-cancer treatment (pre-operative chemotherapy), the composition should maintain fluorescence even after the pre-chemo treatment so that follow-up of the target lesion is possible. The specific period of the pre-cancer treatmen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ancer and the type of chemotherapy, and may chang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emotherapy, but can generally be performed for a period of about 4 to 8 months.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abel (fluorescence) of the target lesion injected with the injection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is maintained for 4 months or more, more preferably 6 month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8 months or more. . Details related to the stability of the injectable composition in the target les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xamples and Evaluation} below.

<목적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목적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목적 병변 또는 목적 병변 주변에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이 투여된 조직으로부터 색이 변화되는 위치를 목적 병변으로 인지하여, 표지 부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a target lesion using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rectl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arget lesion or around the target lesion;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where the color changes from the tissue to which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is administered as the target lesion, and confirming in real time during operation of the marked area;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including to provid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생체 내의 병변 조직에 투여할 경우, 병변의 위치를 색깔, 근적외선 형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표지할 수 있고,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목적 병변의 위치, 크기 등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외과적인 목적 병변의 제거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상조직의 과다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to a lesion tissue in a living body, the position of the lesion can be marked through color, near-infrared fluorescenc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arget lesion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mark. Since the back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during surgery, it is possible to improve accuracy when removing a lesion for surgical purposes and to prevent excessive loss of normal tissue.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생체 친화적 고분자를 포함함에 따라, 다른 물질에 생체조직 염색용 색소를 결합시킨 복합체에 비하여, 생체내의 주사 병변에서 높은 형광신호를 보이면서 장기간 동안 잔류할 수 있으므로, 목적 병변의 외과적인 절제 정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전 미세병변의 위치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주입하고, 수 일 ~ 수 주 후의 수술 중에서도 육안 및 형광카메라 등을 통하여 안정하고 정확하게 병변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mar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biocompatible polymer, it can remain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showing a high fluorescence signal in the injection lesion in vivo compared to a complex in which a dye for dyeing a living tissue is bound to another material. , the accuracy of surgical resection of the target lesion can be easily confirmed. For example, by inject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location of the microlesion before surgery,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accurately check the lesion site with the naked eye and a fluorescence camera even after several days to weeks of surgery.

이하, 첨부한 도면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가 청구하는 바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면 내지 실시예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의 기재사항은 본 발명을 특정 개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w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s. However,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have various forms, and the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Rather, it should be regarded as including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esented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than actual.

{실시예 및 평가}{Example and evaluation}

<실시예><Example>

제조예 1. 인도시아닌그린(ICG)에 인혈청알부민(HSA)이 결합된 용액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a solution in which human serum albumin (HSA) is bound to indocyanine green (ICG)

25 ㎎의 인도시아닌그린(ICG)을 증류수 10 ㎖에 용해시켜 제조한 3.2 mM 농도의 용액을 준비한다. 이 10 ㎖용액에서 312.5 ㎕를 1.5 ㎖ Eppendorf tube에 옮겨 담고 증류수 687.5 ㎕를 희석해주면 ICG가 78 ㎍ 포함된 0.1 mM 용액 1 ㎖가 제조된다. 한편 20% 인혈청알부민(HSA) 용액 0.4 ㎖를 준비하여 증류수 0.6 ㎖와 희석해 주면 부피 1 ㎖인 8%의 용액이 제조된다. 제조된 0.1 mM ICG 1 ㎖와 8% HSA 1 ㎖ 두 종류 용액에서 각각 125 ㎕씩 하나의 1.5 ㎖ Eppendorf tube에 옮겨 담게 되면 최종적으로 50 ㎛ ICG와 4% HSA가 결합된 용액 0.25 ㎖이 제조된다.A solution of 3.2 mM concentration prepared by dissolving 25 mg of indocyanine green (ICG) in 10 ml of distilled water is prepared. 312.5 μl of this 10 ml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1.5 ml Eppendorf tube and diluted with 687.5 μl of distilled water to prepare 1 ml of a 0.1 mM solution containing 78 μg of ICG. Meanwhile, when 0.4 ml of a 20% phosphorus serum albumin (HSA) solution is prepared and diluted with 0.6 ml of distilled water, an 8% solution having a volume of 1 ml is prepared. When 125 μl of each of the prepared 0.1 mM ICG 1 ml and 8% HSA 1 ml solutions is transferred to one 1.5 ml Eppendorf tube, 0.25 ml of a solution in which 50 μm ICG and 4% HSA are combined is finally prepared.

제조예 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용액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solution

ACRY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PMMA bead, 롯데 MRC) 300 ㎎(15 개)을 Dichloromethane(DCM) 용액 3 ㎖에 완전히 용해시켜 제조하였다.It was prepared by completely dissolving 300 mg (15 pieces) of ACRYPET polymethyl methacrylate beads (PMMA bead, Lotte MRC) in 3 ml of dichloromethane (DCM) solution.

제조예 3.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을 포함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현탁안정제 용액 제조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PVP) Suspension Stabilizer Solu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폴리비닐피롤리돈(PVP) 4 g을 100 ㎖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켜 4% 농도의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용액을 제조한 다음,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를 0.15 g을 첨가하여, 현탁안정제 용액을 제조하였다.4 g of polyvinylpyrrolidone (PVP) was completely dissolved in 100 ml of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4% concentration polyvinylpyrrolidone (PVP) solution, and then 0.15 g of hyaluronic acid was added and suspended. A stabilizer solution was prepared.

제조예 4. 인도시아닌그린(ICG)-인혈청알부민(HSA)과 결합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미립구 입자 제작Preparation Example 4. Produc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microsphere particles combined with indocyanine green (ICG)-phosphorus serum albumin (HSA)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ICG-HSA 수용액 0.25 ㎖와 제조예 2에서 제조된 PMMA 용액 3 ㎖를 15 ㎖ tube에 넣고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7500 rpm의 속도로 20분 동안 수용액층과 유기용액층이 서로 격렬하게 혼합 되도록 한다. 이 혼합액을 실온에서 900 rpm으로 교반 중인 현탁안정제 용액 40 ㎖(제조예 3)에 넣어준다. 90분 동안 교반하여 유기용매 기체가 날아가게 한 후, 이 혼합물을 2 ㎖ Eppendorf tube에 각각 나눠 담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000 rpm 속도로 10 분간 세 번 세척한다. 분산된 ICG-HSA-PMMA 미립구 입자를 한 개의 tube에 모두 합한다. 이 물질을 70 ㎛와 30 ㎛ 크기의 filter로 걸러내어 30-60 ㎛ 크기의 결과물로 얻어낸다. Filter 후 상온 건조된 가루상태의 ICG-HSA-PMMA를 gamma irradiator에 넣고 17 초 동안 75 Gy 세기로 소독하여 얻는다.0.25 ml of the ICG-HSA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3 ml of the PMMA solu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put in a 15 ml tube, and the aqueous solution layer and the organic solution layer were mixed at room temperature at a speed of 7500 rpm for 20 minutes using a homogenizer. Mix vigorously with each other. This mixture was added to 40 ml of a suspension stabilizer solution (Preparation Example 3) being stirred at room temperature at 900 rpm. After stirring for 90 minutes to blow off the organic solvent gas, the mixture was divided into 2 ml Eppendorf tubes and washed three times for 10 minutes at 2000 rpm using a centrifuge. Combine all the dispersed ICG-HSA-PMMA microspheres into one tube. Filter this material with 70 ㎛ and 30 ㎛ size filters to obtain a product with a size of 30-60 ㎛. After filtering, powdered ICG-HSA-PMMA dried at room temperature is put into a gamma irradiator and disinfected at 75 Gy for 17 seconds.

상기 실시예의 과정을 도 2에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술한 실시예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process of the above embodiment is shown schematically in FIG. 2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biocompatible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FIG. 2, the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ing lesions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평가><evaluation>

1. ICG-HSA-PMMA의 물성 평가1.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ICG-HSA-PMMA

1-1. 물성 평가1-1. Property evaluation

도 3 (a)는 ICG와 HSA를 포함한 PMMA의 실제사진과 형광카메라로 찍은 사진이고, 도 3 (b)는 ICG와 HSA 포함유무에 따른 PMMA를 형광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3 (a) 및 도 3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형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생체 적합 고분자(PMMA)를 포함함에 따라, 구형의 미립구 입자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3 (a) is a real picture of PMMA including ICG and HSA and a picture taken with a fluorescence camera, and Figure 3 (b) is a picture taken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of PMMA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CG and HSA. Referring to Figures 3 (a) and 3 (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fluorescence, and as the composition includes a biocompatible polymer (PMMA), spherical microspher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rticle is represented.

1-2. 밀도 평가1-2. density evaluation

수용액 상태에서 실제 사용형태로 밀도를 직접 측정하기는 어려워서 간접적으로 농도에 따른 밀도의 변화를 참고로 하여 미립구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대표적인 ICG 6.5 μM 4% HSA의 미립구를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약 20 ㎎/㎖ ~ 200 ㎎/㎖(2 ~ 20 %(w/v)) 농도의 미립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밀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Sinc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measure the density in an actual use form in an aqueous solution state, the density of the microspheres was measured indirectly by referring to the change in dens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Density was measured using microspheres of representative ICG 6.5 μM 4% HSA prepared above, and using microspheres with a concentration of about 20 mg / ml to 200 mg / ml (2 to 20% (w / v)), the following Density was measured indirectly as

보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투명용기에 20 ㎖의 증류수를 채운 후, 상술한 미립구를 투여하여, 상기 미립구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변화되는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특히, 미립구의 농도에 따라 변화되는 밀도를 측정하였다. 참고로, 미립구를 증류수에 투여 후 증류수에 쉽게 용해되지 않고 진탕 혼합하면 백색의 현탁성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재빨리 측정을 하지 않으면 바닥으로 입자가 가라앉기 시작하여 수 분이 지나면 입자가 모두 가라앉게 되었다. More specifically, at room temperature, after filling a transparent container with 20 ml of distilled water, the above-described microspheres were administered, and the density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microspheres was measured. In particular, the densit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icrospheres measured. For reference, after administration of microspheres in distilled wat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did not dissolve easily in distilled water and when mixed with shaking, they showed a white suspension. .

표 1은 미립구를 포함하는 증류수에 대한 밀도를 나타낸 표이며, 상기 미립구가 포함되는 농도에 따른 밀도를 기재하였다.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density of distilled water containing microspheres, and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icrospheres is described.

미립구 % (w/v)Microspheres % (w/v) 밀도 (g/㎖)Density (g/ml) 25.2325.23 1.06211.0621 18.6618.66 1.04691.0469 12.6112.61 1.03091.0309 10.6910.69 1.02511.0251 9.5259.525 1.02311.0231 5.355.35 1.01121.0112 2.162.16 1.00211.0021

표 1을 참조하여 선형회귀분석으로 선형회귀식을 구하였으며, 외삽으로 100%일 때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A linear regression equation was obta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reference to Table 1, and the density at 100% was measured by extrapolation.

[식][ceremony]

도 4는 증류수에 대한 본 발명의 미립구 입자 농도에 따른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식에 따라 상기 미립구의 밀도는 1.2574 g/㎖ 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20분 후 증류수에 상기 미립구를 용해한 증류수를 확인하여 보니, 용기 아래 부분에 하얀색의 현탁액이 가라 앉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미립구의 밀도는 1.2574 g/㎖ 로 상온에서의 증류수의 밀도(0.99821 g/㎖) 보다 높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microsphere particle concen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Referring to FIG. 4 , the density of the microspheres was estimated to be 1.2574 g/ml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In addition, when the distilled water in which the microspheres wer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was checked after 20 minutes, it was confirmed that a white suspension had sett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 microspheres had a density of 1.2574 g/ml,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0.99821 g/ml).

1-3. 형광 평가1-3. Fluorescence evaluation

근적외선형광을 나타내는 ICG-Albumin-PMMA 미립구 형광표지자의 최적 ICG농도와 albumin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ICG농도와 알부민농도로 제작된 미립구의 근적외선형광을 측정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optimal ICG concentration and albumin concentration of ICG-Albumin-PMMA microsphere fluorescent markers showing near-infrared fluorescence,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of microspheres prepared with various ICG and albumin concentrations was measured.

가장 강한 근적외선형광을 나타낼 수 있는 ICG와 알부민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1.3 내지 1032 μM의 ICG와 0 내지 1 % w/v (10 ㎎/㎖)의 알부민를 다양한 비율로 반응시켜서 각각의 ICG-albumin-PMMA 미립구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미립구에서 나타나는 근적외선형광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mixing ratio of ICG and albumin that can exhibit the strongest near-infrared fluorescence, 1.3 to 1032 μM of ICG and 0 to 1% w / v (10 mg / ml) of albumin were reacted in various ratios, and each ICG-albumin -PMMA microspheres were prepared, and the signal strength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appearing in the microspheres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Albumin (% w/v) Albumin (% w/v) ICG μMICG µM 00 0.050.05 0.250.25 0.50.5 0.70.7 1One 1010 2020 1.31.3 66 1414 7979 9999 140140 177177 467467 577577 3.93.9 4040 1818 123123 153153 197197 293293 730730 953953 6.56.5 7171 1313 148148 170170 240240 327327 767767 974974 99 104104 1111 152152 154154 224224 284284 574574 734734 12.912.9 137137 99 121121 125125 143143 193193 330330 484484 25.825.8 153153 44 8585 9090 113113 150150 200200 317317 38.738.7 142142 55 5454 6060 7777 107107 133133 157157 51.651.6 133133 33 3434 4242 5050 8383 9797 117117 64.564.5 125125 55 2525 3232 4040 6060 6464 8484 77.477.4 111111 55 1818 2525 3333 3737 3737 5050 103103 8080 88 1313 2020 2727 3131 3333 3737 258258 4040 1010 55 1212 2020 2020 2222 2222 516516 2424 44 1One 88 1515 1616 1818 2020 774774 1313 22 1One 77 1111 1414 1717 1616 10321032 1010 22 1One 66 77 88 99 88

상기 표 2의 결과를 그래프로 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ICG와 알부민의 농도 변화에 따른 미립구의 근적외선형광 신호세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he results of Table 2 are shown in FIG. 5 as a graph.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intensity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change of ICG and albumin.

상기 표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부민을 추가하지 않은 경우 미립구의 근적외선형광의 강도는 25.8μM의 ICG가 가장 높은 값의 근적외선형광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0.05 %w/v (0.5 ㎎/㎖)의 알부민을 처리한 경우에는 3.9μM의 ICG가 가장 높은 값의 근적외선형광 신호 세기를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형광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0.25 %w/w (2.5 ㎎/㎖)의 알부민을 처리한 경우에는 9 μM의 ICG가 가장 높은 값의 근적외선형광 신호세기를 나타내었고, 알부민의 농도가 더 높은 경우, 0.5 %w/v (5 ㎎/㎖), 0.7 %w/v (7 ㎎/㎖), 1 %w/v (10 ㎎/㎖), 10 %w/v (100 ㎎/㎖), 20 %w/v (200 ㎎/㎖)의 알부민을 처리한 경우에는 6.5 μM의 ICG가 가장 높은 값의 근적외선형광 신호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and FIG. 5, when albumin was not added, the intensity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of microspheres could be confirmed that ICG of 25.8 μM represents the highest value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intensity, and 0.05% w / v (0.5 In the case of treatment with albumin of mg/ml), 3.9 μM of IC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NIR fluorescence signal intensity, but it can be seen that overall fluorescence was remarkably low. When 0.25% w/w (2.5 mg/ml) of albumin was treated, 9 μM of ICG showed the highest NIR fluorescence signal intensity,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albumin was higher, 0.5% w/v (5 mg/mL), 0.7% w/v (7 mg/mL), 1% w/v (10 mg/mL), 10% w/v (100 mg/mL), 20% w/v (200 mg/mL) In the case of treatment with albumin of ㎖), 6.5 μM of ICG may exhibit the highest value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intensity.

상기 실험 결과로 보아 동일한 알부민농도에서 형광의 강도가 가장 강한 ICG의 농도는 6.5 내지 25.8 μM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CG 농도 범위는 1내지 100 uM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3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Judging 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ICG having the strongest intensity of fluorescence at the same albumin concentration was 6.5 to 25.8 μ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CG concentration range is preferably 1 to 100 μM, and more preferably 3 to 30 μM.

또한 동일한 ICG 농도에서 형광의 강도는 실험에서 사용한 최고 알부민 농도인 20 % w/v까지는 계속 증가하였다. 현실적으로 미립구 제조에 필요한 인혈청알부민의 최대농도가 20 %w/v 이어서 더 높은 알부민농도로 미립구를 제작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실험결과로는 형광의 강도가 최대가 되는 알부민의 농도는 확정하지는 못하였으나,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에서 알부민이 0.5%인 미립구부터 알부민을 포함하지 않는 미립구보다 최대형광이 커지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미립구 제작에 사용하는 알부민은 0.5 % w/v 이상이 이상적이며 실험적으로 가능한 최고 알부민 농도인 20 %w/v까지 미립구 제작에 적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ICG concentration,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continued to increase up to 20% w/v, the highest albumin concentration used in the experiment. Realistically, since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human serum albumin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microspheres was 20% w/v, microspheres could not be prepared with a higher albumin concentration. Therefore, the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confirm the concentration of albumin at which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is maximized, bu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ximum fluorescence starts to increase from microspheres with 0.5% albumin than microspheres without albumin. , Therefore, albumin used for microsphere preparation is ideally 0.5% w/v or more, and may be suitable for microsphere preparation up to 20% w/v, the highest experimentally possible albumin concentration.

2. ICG-HSA-PMMA의 주사제 조성물의 유용성 평가2. Evaluation of usefulness of the injection composition of ICG-HSA-PMMA

2-1. 히알루론산의 유용성 평가2-1. Evaluation of usefulness of hyaluronic acid

주사제 조성물로서의 히알루론산의 유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의 농도에 따른 ICG-Albumin-PMMA/히알루론산 조성물의 현탁성 유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ICG-Albumin-PMMA는 2㎎/㎖의 농도를 이용하였으며, ICG-Albumin-PMMA 미립구의 최종 주사물은 히알루론산 조성물에 완전히 용해되면 매우 연한 녹색 혹은 흰색의 현탁액의 성상을 보인다.In order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hyaluronic acid as an injectable composition, the suspension retention time of the ICG-Albumin-PMMA/hyaluronic ac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was measured. ICG-Albumin-PMMA was used at a concentration of 2 mg/ml, and the final injection of ICG-Albumin-PMMA microspheres showed the appearance of a very light green or white suspension when completely dissolved in the hyaluronic acid com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ICG-Albumin-PMMA 주사제 조성물이 제조된 후에 현탁성을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추가되는 히알루론산의 농도에 따른 현탁성을 유지하는 측정하였다. 여기서, 현탁성은 500nm 빛의 투과도 20%를 기준으로 가라앉는 부위와 부유 부위가 구분되는 기준이 보이는 시점으로 현탁성 유지시간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술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time for maintaining the suspension after the ICG-Albumin-PMMA injection composition was prepared was measured, and the maintenance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added hyaluronic acid was measured. Here, the suspension retention time was defined a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sinking and floating areas based on the transmittance of 500 nm light of 20% is visible. And, the results are described in Table 2.

표 3은 ICG-Albumin-PMMA 미립구 주사물이 제조된 후에 현탁성이 유지되는 시간을 히알루론산 용제의 농도별로 나타낸 표이다.Table 3 is a table showing the time for which the suspension property is maintained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ICG-Albumin-PMMA microsphere injec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hyaluronic acid solvent.

히알루론산 용제의 농도 (%, w/v)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solvent (%, w/v) 현탁성 유지 시간Suspension holding time 0 (단순주사용수, 증류수)0 (simple injection water, distilled water) 10분 이내within 10 minutes 0.10.1 60분 이내within 60 minutes 0.20.2 3시간 이내within 3 hours 0.30.3 4시간 이내within 4 hours 0.40.4 12시간 이내within 12 hours 0.50.5 24시간 이내within 24 hours 1.01.0 24시간 이상more than 24 hours 1.51.5 24시간 이상more than 24 hours 2.02.0 24시간 이상more than 24 hours 2.52.5 24시간 이상more than 24 hours

표 3을 참조하면, 히알루론산이 첨가되지 않은 주사제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조성물보다 현탁성 유지 시간이 비교적 짧았으며, 히알루론산이 첨가되는 비율이 증가할수록 현탁성 유지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injectable composition without hyaluronic acid had a relatively shorter suspension retention time than the hyaluronic acid-added composition, and the suspension retention time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hyaluronic acid added increased. there was.

한편, 0.1%의 히알루론산 주사제 조성물에 첨가되었을 때, 현탁성 유지 시간이 60분 이내로 증가하였으나,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0.2% (w/v)부터 현탁성이 1~3시간이었으며,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0.3% (w/v)부터는 현탁성이 3시간을 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주사를 하는 경우 주사제를 준비하고 실제 주사하는 시간이 1시간이내이므로, 0.2% (w/v)부터 실제 주사용 제제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0.1% of hyaluronic acid was added to the injectable composition, the suspension retention time increased to less than 60 minutes, but the suspension was 1 to 3 hours from the hyaluronic acid concentration of 0.2% (w / v), and the hyaluronic acid From a concentration of 0.3% (w/v), it was confirmed that the suspension lasted for more than 3 hours. In the case of actual clinical injection, since the time to prepare the injection and actually inject it is less than 1 hour, it was judged to be effective as an actual injection formulation from 0.2% (w / v).

도 6은 본 발명의 생체 친화적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농도에 따른 미립구 입자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ICG-HSA-PMMA/hyaluronic acid 주사제를 준비 직후, 30, 60, 120 분이 지난 후에 촬영한 사진으로, 왼쪽 a)는 주사용수(증류수)에 미립구를 혼합한 주사제이며 오른쪽 b)는 0.3% 히알루론산으로 조제된 미립구 주사제 사진이다.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egree of dispersion of microspher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n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labeling biocompatible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pictures were taken immediately after preparing the ICG-HSA-PMMA/hyaluronic acid injection prepared above and after 30, 60, and 120 minutes. Left a) is an injection in which water for injection (distilled water) is mixed with microspheres. Right b) is a photograph of the microsphere injection prepared with 0.3% hyaluronic acid.

도 6을 참조하면, 주사용수에 조제된 주사제 조성물은 빠르게 가라앉는데 반해, 0.3%의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주사제 조성물은 장시간 동안 (120분까지) 완전히 가라앉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도 3의 결과로부터, 미립구에 0.3%의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ICG-HSA-PMMA/hyaluronic acid 주사제 조성물은 주사 준비 중에 빠르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므로 주사제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injectable composition prepared in water for injection quickly sinks, whereas the injectable composition to which 0.3% hyaluronic acid is added does not completely sink for a long time (up to 120 minutes). That is, from the results of FIG. 3, it means that the ICG-HSA-PMMA/hyaluronic acid injectable composition in which 0.3% of hyaluronic acid is added to microspheres is very useful as an injectable composition because it will not sink quickly during preparation for injection.

2-2. 주사제 조성물로서의 유용성 평가2-2. Evaluation of usefulness as an injectable composition

히알루론산의 농도에 따라 주사시 손가락에 걸리는 힘(gliding force, N)를 여러 조건에서 측정하고, 주사제 조성물로서 ICG-Albumin_PMMA/히알루론산의 유용성을 판단하였다.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during injection (gliding force, N) was measur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 usefulness of ICG-Albumin_PMMA/hyaluronic acid as an injection composition was judged.

보다 구체적으로, 최종 제조된 주사물을 주사제로 사용하는 경우 주사의 용이성을 21G, 22G, 23G, 26G 바늘 (Kovax, 주)한국백신), 20G spinal needle 바늘(천자침, 태창산업㈜)과 7Fr 내시경주사기를 각각 장착한 3cc 일회용 주사기 (3cc, BD, Luer-Lock Tip, Singapore)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20G (바늘내경: 0.603mm), 21G (바늘내경: 0.495mm), 22G (바늘내경: 0.394mm), 23G (바늘내경: 0.318mm), 26G (바늘내경: 0.241mm))More specifically, when the finally manufactured injection is used as an injection, the ease of injection can be improved by using 21G, 22G, 23G, 26G needles (Kovax, Korea Vaccine Co., Ltd.), 20G spinal needle (Taechang Industrial Co., Ltd.) and 7Fr endoscope. It was evaluated using a 3cc disposable syringe (3cc, BD, Luer-Lock Tip, Singapore) equipped with each syringe (20G (needle inner diameter: 0.603mm), 21G (needle inner diameter: 0.495mm), 22G (needle inner diameter: 0.394 mm), 23G (needle inner diameter: 0.318mm), 26G (needle inner diameter: 0.241mm))

각 주사바늘 별로 주사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 (주사시 손가락에 걸리는 힘, N)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1.8m의 연결도관이 있는 내시경 주사기(7 Fr, 길이 180 cm, MTW, Germany)를 이용하여 저항을 측정하였다. The force applied to the syringe handle for each injection needl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during injection, N) was measured. In addition,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n endoscopic syringe (7 Fr, length 180 cm, MTW, Germany) having a 1.8 m connecting tube.

실험에 사용한 주사제는 ICG-Albumin-PMMA 미립구 2㎎/㎖의 농도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주사물의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0.1 ~ 3.0 % (w/v)로 정하였다. 주사제를 주사기에 주입한 이후 미립구가 가라앉지 않도록 즉시 실험을 시행하였고, 최종 주사제를 0.1 cc/sec 속도로 주사하는 동안 Strain-ga㎍e dyna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igital Force Ga㎍e DPU-500N, IMADA, Toyohashi, Japan). 그리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기술하였다.The injection used in the experiment used a concentration of 2 mg/ml of ICG-Albumin-PMMA microspheres, and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n the final injection was set at 0.1 to 3.0% (w/v). After injecting the injection into the syringe, the experiment was immediately conducted so that the microspheres did not sink, and while the final injection was injected at a rate of 0.1 cc/sec, the strain was measured using a strain-gauge dynamometer (Digital Force Gauge DPU-500N , IMADA, Toyohashi, Japan). And, the results are described in Table 4 below.

NN Blank
주사기
Blank
syringe
증류수Distilled water 히알루론산 (% (w/v)) [ICG-Albumin-PMMA 미립구 2㎎/㎖]Hyaluronic acid (% (w/v)) [ICG-Albumin-PMMA microspheres 2mg/ml]
0.10.1 0.20.2 0.30.3 0.40.4 0.50.5 0.60.6 0.70.7 0.80.8 0.90.9 1.01.0 1.51.5 2.02.0 2.52.5 33 26G26G 1.21.2 2.92.9 3.03.0 3.33.3 3.53.5 4.34.3 4.94.9 5.25.2 5.95.9 6.16.1 6.56.5 6.66.6 7.97.9 9.99.9 12.612.6 15.815.8 23G23G 1.91.9 2.32.3 2.42.4 2.52.5 2.72.7 3.03.0 3.53.5 3.83.8 4.14.1 4.24.2 4.44.4 4.64.6 6.56.5 8.68.6 10.210.2 12.812.8 22G22G 1.61.6 1.81.8 1.81.8 2.22.2 2.62.6 2.72.7 3.13.1 3.33.3 3.63.6 3.93.9 3.83.8 4.04.0 6.66.6 8.38.3 9.19.1 11.811.8 21G21G 1.81.8 1.91.9 1.91.9 2.22.2 2.52.5 2.72.7 2.72.7 2.92.9 3.13.1 3.23.2 3.43.4 3.53.5 4.64.6 6.66.6 7.97.9 9.59.5 20G20G 1.81.8 1.71.7 1.81.8 2.52.5 3.13.1 3.43.4 3.53.5 3.83.8 3.93.9 4.54.5 4.74.7 4.94.9 8.48.4 12.812.8 17.617.6 19.619.6 7Fr7Fr 1.91.9 3.33.3 3.43.4 7.57.5 12.112.1 17.817.8 21.621.6 25.425.4 27.227.2 33.433.4 36.936.9 39.539.5 측정불가not measurable 측정불가not measurable 측정불가not measurable 측정불가not measurable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주사를 하는 경우 0.6에서 1.4 N의 힘이 주사시에 손가락에 가해졌다. 일반성인의 악력이 400 N이고 손가락으로 감당할 수 있는 악력은 이보다 약하며 주사량을 조절하는 등 섬세한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훨씬 적은 힘이 들어야 한다. 남녀 각 10명에서 엄지와 검지/중지사이에 force ga㎍e를 설치하고 최대 힘을 주었을 때의 최대 힘(MaxPower)과 편하게 주사할 때의 힘(EasyPower)을 측정하였다. 최대 힘(MaxPower)은 성인남성 98.1 N (113.5 ~ 78.2, 표준편차 9.8), 성인여성 43.1 N (50.6 ~ 34.2, 표준편차 6.1)이었고 편하게 힘을 줄 때 성인남성 25.4 N(29.7 ~ 20.1 표준편차 3.3), 성인여성 14.5 N (18.3 ~ 11.5 표준편차 2.2)이었다. 여성성인의 주사 시 최대 압력 43 N과 편하게 힘을 주는 경우 14.5 N을 기준으로 이상적인 주사제의 저항을 판단하였다. 즉 주사가 가능한 최대힘은 40 N이고 편하게 이상적으로 주사할 수 있는 저항성은 10 N로 판단하였다. In general, when performing an injection in a clinical setting, a force of 0.6 to 1.4 N was applied to the finger at the time of injection. The average adult's grip strength is 400 N, and the grip strength that can be handled by fingers is weaker. A force gauge was installed between the thumb and index/middle finger in 10 men and women, and the maximum force (MaxPower) and the comfortable injection force (EasyPower) were measured when the maximum force was applied. The maximum power (MaxPower) was 98.1 N (113.5 ~ 78.2, standard deviation 9.8) in adult males and 43.1 N (50.6 ~ 34.2, standard deviation 6.1) in adult females, and 25.4 N (29.7 ~ 20.1 standard deviations 3.3 standard deviations) in adult males when applying force comfortably. ), and adult females were 14.5 N (18.3 to 11.5 standard deviation 2.2). The resistance of the ideal injection was judged based on the maximum pressure of 43 N when a female adult injected and 14.5 N when giving force comfortably. That is, the maximum injection force was determined to be 40 N, and the resistance to comfortably and ideally be injected was determined to be 10 N.

일반적인 주사바늘 (21 ~ 26G)을 이용하여 주사하는 경우 히알루론산 1% 농도까지는 주사시 저항이 10N으로 크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이 없었다. 20G 바늘굵기에 다른 바늘보다 훨씬 긴 천자침의 경우도 1%에서 10N을 넘지 않았다.In the case of injection using a general injection needle (21 ~ 26G), there was no difficulty in use because the resistance during injection was 10N up to 1%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n the case of a 20G needle thickness and much longer than other needles, the puncture needle did not exceed 10N in 1%.

반면, 도관의 길이가 길어 저항이 많이 걸리는 내시경용 주사기 바늘(7Fr, 180cm)을 이용하는 경우, 주사용수는 1.9 N의 힘이 들었고,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 (w/v) 일 경우는 39.5 N의 힘이 걸려서 현저히 높은 압력이 가해져야 주사가 가능하였고 주사량을 조절하거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불가능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n endoscopic syringe needle (7Fr, 180cm), which requires a lot of resistance due to the long length of the conduit, the force for injection was 1.9 N, and when the hyaluronic acid concentration was 1% (w/v), the force was 39.5 The injection was possible only when a significantly higher pressure was applied due to the force of N, and it was impossible to control the injection amount or speed.

개인차가 있지만 40 N의 힘이 손가락에 걸리면 조직에 주사하는 것이 어려움을 느껴 정밀하게 주사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내시경용 주사기 바늘(7Fr, 180cm)을 이용하였을 때, 히알루론산 1 %을 넘으면 저항이 커져 (> 40N) 맨손으로는 주사할 수가 없었다.Al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t is difficult to inject precisely when a force of 40 N is applied to the fing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ject into the tissue. On the other hand, when an endoscope syringe needle (7Fr, 180 cm) was used, when the hyaluronic acid content exceeded 1%, the resistance increased (> 40 N), making it impossible to inject with bare hands.

최대한의 힘으로 손으로 주사가 가능한 조건(40N 이하의 저항력)에서는 히알루론산 3 %(w/v)이상까지 주사가 가능하였으며, 바늘이 긴 천자침 (20G)의 경우도 3 %(w/v)까지 가능하였다. 주사기에서 바늘까지 가는 도관으로 연결된 극도로 길이가 긴 특수주사기(내시경 주사기)의 경우에도 1.0 %(w/v)까지 어려움없이 주사할 수 있었다. Under the condition of hand injection with maximum force (resistance of 40 N or less), it was possible to inject up to 3% (w/v) or more of hyaluronic acid, and in the case of a puncture needle (20G) with a long needle, 3% (w/v) until was possible. Even in the case of an extremely long special syringe (endoscopic syringe) connected by a conduit from the syringe to the needle, it was possible to inject up to 1.0% (w/v) without difficulty.

한편, 조직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일반적인 주사기(26G ~ 20G)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직에 부드럽게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N 미만의 힘이 걸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히알루론산의 경우 일반바늘 (21 ~ 26G)에서 2%(w/v) 까지는 10N 미만의 힘으로 주사가 가능하였고 천자침 (20G)의 경우도 1.5 %(w/v)까지 가능하였다. 내시경 주사기는 0.2 ~ 0.3 %(w/v) 까지 어려움없이 주사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general syringe (26G to 20G) that directly contacts the tissue, it is preferable to gently inject into the tissue, and ideally a force of less than 10 N is applied. In the case of hyaluronic acid, it was possible to inject up to 2% (w/v) with a general needle (21 ~ 26G) with a force of less than 10 N, and in the case of a puncture needle (20G), it was possible to inject up to 1.5% (w/v). The endoscopic syringe was able to inject up to 0.2 to 0.3% (w/v) without difficulty.

2-3. 침전에 따른 주사기 압력 변화 평가2-3. Assessment of syringe pressure change with sedimentation

히알루론산이 첨가되는 주사제 조성물을 바로 주사하는 경우의 압력(A)과 상기 주사제 조성물을 120분 방치한 후 조성물이 침전한 다음 주사 시작시의 주사기에 걸리는 압력(B)와 주사가 진행되는 중간의 압력(C)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에 기술하였다.The pressure (A) when the injection composition to which hyaluronic acid is added is immediately injected, and the pressure (B) applied to the syringe at the start of the injection after the composition precipitates after the injection composition is left for 120 minutes, and the The pressure (C) was measured and described in the table below.

이때, 실험에 사용한 주사제는 ICG-Albumin-PMMA 미립구 2㎎/㎖의 농도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주사물의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0.1 ~ 3.0 % (w/v)로 정하였다. 주사기는 26G를 사용하였고 주사기에 걸리는 압력의 단위는 N으로 측정하였다. 아울러, 활주력의 단위는 N으로 측정하였다 (Digital Force Ga㎍e DPU-500N, IMADA, Toyohashi, Japan).At this time, the injection used in the experiment used a concentration of 2 mg / ml of ICG-Albumin-PMMA microspheres, and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n the final injection was set at 0.1 to 3.0% (w / v). A 26G syringe was used and the unit of pressure applied to the syringe was measured in N. In addition, the unit of sliding force was measured in N (Digital Force Gauge DPU-500N, IMADA, Toyohashi, Japan).

26G26G 증류수Distilled water 히알루론산 (% (w/v))Hyaluronic Acid (% (w/v)) 0.10.1 0.20.2 0.30.3 0.40.4 0.50.5 0.60.6 0.70.7 0.80.8 0.90.9 1.01.0 1.51.5 2.02.0 2.52.5 33 AA 2.92.9 2.92.9 3.13.1 3.53.5 4.24.2 4.74.7 5.35.3 5.85.8 6.26.2 6.36.3 6.76.7 7.77.7 9.79.7 12.412.4 15.615.6 BB NDND 45.245.2 34.734.7 3.73.7 4.34.3 4.84.8 5.45.4 5.75.7 6.3 6.3 6.56.5 6.96.9 7.57.5 9.89.8 12.212.2 15.815.8 CC NDND 3.53.5 3.63.6 3.53.5 4.24.2 4.34.3 5.25.2 5.35.3 6.06.0 6.26.2 6.56.5 7.37.3 9.59.5 12.512.5 15.815.8 B-AB-A NDND 42.342.3 33.633.6 0.20.2 0.10.1 0.10.1 0.10.1 -0.1-0.1 0.10.1 0.20.2 0.20.2 -0.2-0.2 0.10.1 -0.2-0.2 0.20.2

표 5를 참조하면, 주사제 조성물을 바로 주사하는 경우의 압력(A)과 상기 주사제 조성물을 120분 방치한 후 조성물이 침전한 다음 주사기에 걸리는 압력(B)은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압력(A, B)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B의 차이는 0.3 % 이후 거의 없었다 (-0.2 ~ 0.2 N).히알루론산의 농도가 0.3% 보다 높아질수록 주사제 조성물을 120분 방치한 후에 주사기에 걸리는 압력(B)과 주사제 조성물을 바로 주사하는 경우의 압력(A)과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다.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0.3% (w/v)일 때부터 3.0% (w/v) 일 때까지 평균 B-A 값은0.07N 이였으며, 이에 따른 표준편차는 0.15 N이었다.Referring to Table 5, the pressure (A) when the injectable composition is directly injected and the pressure (B) applied to the syringe after the composition is precipitated after leaving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120 minutes are as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ncreases, the pressure It was confirmed that (A, B) increased.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A and B after 0.3% (-0.2 ~ 0.2 N). As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is higher than 0.3%, the injection composition is left for 120 minutes, and t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yringe (B) and the injection composition are immediately inject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from the pressure (A) in the case of The average B-A value was 0.07N from when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was 0.3% (w/v) to 3.0% (w/v),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reof was 0.15 N.

표 5에서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0.1%, 0.2% 인 자료를 보면 2시간 방치 후 압력이 45.2, 34.7 N으로 주사가 힘든 압력이 걸리는 것은 주사제에 의해 주사바늘이 막혀있는 것을 의미한다. 주사제가 움직이고 나서는 압력이 급격하게 줄어서 주사제를 바로 주사할 때의 압력(A)와 차이가 없었다. Looking at the data of 0.1% and 0.2% of hyaluronic acid in Table 5, after leaving for 2 hours, the pressure is 45.2 and 34.7 N, which means that the injection needle is blocked by the injection. After the injection was moved, the pressure rapidly decreas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pressure (A) when the injection was immediately injected.

즉, 히알루론산을 적정량 (0.3% 이상) 첨가함으로써, 침전속도를 늦출 수 있었으며, 침전된 조성물에 의해 주사바늘이 막혀 과도한 힘을 가해야 주사가 시작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That is,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0.3% or more) of hyaluronic acid, the precipitation rate could be slowed down, and the injection could be started by applying excessive force because the needle was blocked by the precipitated composition.

한편,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1%(w/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의 점도 때문에 주사시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주사시에 저항감 역시 증가하게 되므로 주사제로서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hyaluronic acid exceeds 1% (w/v),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ssure during injection increases due to the viscosity of hyaluronic acid. It may cause inconvenience in use as an injection.

3. ICG-HSA-PMMA의 안정성 평가3. Evaluation of stability of ICG-HSA-PMMA

근적외선 형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ICG와 HSA가 결합된 PMMA 미립구 입자는 생체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작용하는 표지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므로, 상기 미립구 입자를 제작하고 이를 in vitro, in vivo 두 조건에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Since PMMA microsphere particles combined with ICG and HSA capable of generating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s were expected to serve as markers that act more stably in vivo, the microsphere particles were prepared and tested under both in vitro and in vivo conditions. stability was confirmed.

3-1. in vitro 근적외선 형광신호 안정성 확인3-1. Confirmation of in vitro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stability

도 7은 in vitro 조건에서 ICG, ICG-HSA, ICG-HSA-PMMA 입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의 변화 비교를 IVIS(Perkin Elmer, Hopkinton, MA)로 측정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intensity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s of ICG, ICG-HSA, and ICG-HSA-PMMA particles over time under in vitro conditions measured by IVIS (Perkin Elmer, Hopkinton, MA).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ICG-HSA와 결합된 PMMA 미립구 (ICGHSA-PMMA)의 제조시 높은 수준의 근적외선 형광신호를 나타내는 미립구 입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혼합비율은 50μM의 ICG를 4%의 HSA와 결합하여 300 ㎎의 PMMA beads에 혼합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알부민과 같은 생체고분자에 결합할 경우, ICG 단독으로 미립구에 포매된 경우에 비해 더 강한 형광과 지속시간을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ing PMMA microspheres (ICGHSA-PMMA) combined with ICG-HSA, a mixing ratio suitable for preparing microsphere particles exhibiting a high level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is 50 μM. It was confirmed that ICG was combined with 4% HSA and mixed with 300 mg of PMMA beads. When bound to biopolymers such as albumin in this way, ICG alone shows stronger fluorescence and duration than when embedded in microspheres.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작한 ICG-HSA-PMMA 입자를 in vitro 조건에서 5 달 동안 방출하는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를 IVIS로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a)는 ICG-HSA-PMMA 입자를 각각 HSA, 증류수에 넣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자의 안정성 비교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 (b)는 ICG-HSA-PMMA 입자를 Agarose gel에 넣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자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8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emitted from the ICG-HSA-PMMA particle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under in vitro conditions for 5 months by IVIS. More specifically, FIG. 8 (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stability of ICG-HSA-PMMA particles in HSA and distilled water over time. 8 (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bility of ICG-HSA-PMMA particles over time after putting them in an agarose gel.

도 8 (a)를 참조하면, PMMA가 포함된 입자들이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폭이 비교적 작으면서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도 8 (b)를 참조하면, 제작한 입자를 각각 (a) 20% HSA, 증류수 및 (b) Agarose gel에 넣고 17주간 방출하는 근적외선 형광신호를 형광 카메라로 측정하여 육안으로도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FIG. 8 (a), the PMMA-containing particles showed stability with a relatively small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b), the manufactured particles were placed in (a) 20% HSA, distilled water, and (b) agarose gel, and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emitted for 17 weeks was measured with a fluorescence camera to show stability with the naked eye. confirmed that

3-2. in vivo 근적외선 형광신호 안정성 확인3-2. Confirmation of in vivo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stability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작한 ICG-HSA-PMMA 미립구 입자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용액 또는 증류수에 넣어서 ICR 마우스의 등에 각각 100 ㎕씩 주사하고, 4 달 동안 각 마우스에서 발생하는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를 IVIS 및 형광카메라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ICG-HSA-PMMA microsphere particle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were put in a hyaluronic acid solution or distilled water, and 100 μl each was injected into the back of an ICR mouse, and the intensity of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generated in each mouse for 4 months was measured using IVIS and fluorescence camera equipment.

도 9는 in vivo 조건에서 ICR 마우스에 주사된 ICG-HSA-PMMA 입자가 히알루론산 또는 증류수와 함께 주사되었을 때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 변화를 IVIS로 측정 비교한 결과이다 9 is a result of IVIS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the intensity change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over time when ICG-HSA-PMMA particles injected into ICR mice were injected with hyaluronic acid or distilled water in vivo.

도 9를 참조하면, IVIS 관찰 결과, ICG-HSA-PMMA/hyaluronic acid 혼합물은 높은 세기의 근적외선 형광신호를 보이며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나 증류수에 섞은 혼합물은 매우 낮은 형광신호를 보였다. Referring to FIG. 9, as a result of IVIS observation, the ICG-HSA-PMMA/hyaluronic acid mixture showed a high-intensity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and maintained stability, but the mixture mixed with distilled water showed a very low fluorescence signal.

도 10은 in vivo 조건에서 ICR 마우스에 주사된 ICG-HSA-PMMA 입자가 히알루론산 또는 증류수와 함께 주사되었을 때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근적외선 형광신호의 세기 변화를 형광카메라로 촬영하여 Image J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그래프와 mouse를 형광카메라로 찍은 결과이다. 10 shows the change in the intensity of the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over time when the ICG-HSA-PMMA particles injected into the ICR mouse were injected with hyaluronic acid or distilled water under in vivo conditions, photographed with a fluorescence camera and analyzed with the Image J program. This is the result of taking a graph and a mouse with a fluorescence camera.

도 10을 참조하면, 형광카메라의 경우, 촬영 후 Image J 프로그램으로 측정하여 형광세기를 측정하였고 두 혼합물 모두 높은 세기의 근적외선 형광신호가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ICG-HSA-PMMA/hyaluronic acid 혼합물은 안정성이 유지되는 반면 증류수 혼합물은 점차 낮아지는 형광신호를 보였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case of a fluorescence camera,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measured by measuring with the Image J program after shooting, and both mixtures showed a high intensity near-infrared fluorescence signal, but ICG-HSA-PMMA/hyaluronic acid The stability of the mixture was maintained, while the distilled water mixture showed a gradually decreasing fluorescence signal.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ICG-HSA-PMMA 미립구 입자를 히알루론산 용액에 혼합할 경우, 상기 용액에 의하여 미립구 입자의 생체내 조직 잔류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생체 내에 주입된 복합체를 서로 모아주고 형광 신호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생체에 주입된 복합체가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수 개월까지 높은 형광신호를 얻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체의 주사제 조성은 히알루론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9 and 10 , when the ICG-HSA-PMMA microsphere particles are mixed with the hyaluronic acid solu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issue persisten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s in vivo is improved by the solution. The hyaluronic acid serves to collect the complexe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and increase the fluorescence signal, thereby maximally preventing the complexes injected into the living body from spreading and obtaining a high fluorescence signal for several months. Therefore, the injectable composition of th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hyaluronic acid.

본 발명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은 목적 병변에 주사되면 수 개월까지 지속적으로 머물며 표지 병변의 위치, 크기 등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어, 목적 병변의 외과적 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정상조직의 과다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수술 표지자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실험에서 최대 20주의 촬영결과만을 개시하였으나, 이는 동물복지 관련 실험규정에 따른 실험종료 등 기타사정에 의한 것이었으며, ICG-HAS-PMMA 미립구의 형광은 25주까지도 잘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그래프에 표현하지 않았으나 미립구의 형광은 in vitro상태에서는 1년이상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jected into the target lesion, stays continuously for up to several months and can detec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during surgery,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surgical operation of the target lesion as well as However, since it can prevent excessive loss of normal tissue, it can be widely used as an effective surgical marker. In the experiment, only the shooting results of up to 20 weeks were disclosed, but this was due to other circumstances such as the termination of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gulations related to animal welfar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graph,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ce of microspheres lasted for more than one year in vitr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생체 친화적 고분자 및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를 포함하는 미립구 입자; 및
상기 미립구 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표면개질제;를 포함하고,
표지 부위 수술 중 목적 병변에 직접적으로 투여되어 실시간으로 목적 병변의 크기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microspheres containing biocompatible polymers and pigments for staining biological tissues; and
Including; surface modifi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s,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which is directly administered to a target lesion during a marked site operation to confirm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target lesion in real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친화적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락트산-폴리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GA), 폴리-ε-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PCL), 락트산-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lactic acid-ε-caprolactone copolymer, PLCL), 폴리다이옥산온(polydioxanone, PDO), 폴리트라이메틸렌카보네이트(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zene),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polyiminocarbonate), 폴리포스포에스테르(polyphosphoester),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polyhydroxyvalate),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biocompatible polymer i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copolymer (polylactic acid-polyglycolic acid) acid copolymer (PLGA), poly-ε-caprolactone (PCL), lactic acid-ε-caprolactone copolymer (PLCL), polydioxanone (PDO) , 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polyamino acid, polyanhydride, polyorthoester, polyphosphazene, polyiminocarbonate, poly Phosphor ester (polyphosphoester), polyhydroxyvalate (polyhydroxyvalate), copolymers thereof, and any one of mixtures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mar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 또는 형광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igment for staining the biological tiss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gment or fluorescent pigment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소는 중성적, 나일청, 비스마르크브라운, 리튬카민, 트리판블루, 야누스그린, 메틸 바이올렛, 오-라민, 마라가이트 그린, 사프라닌, 에오신, 콩고레드, 에리스로신, 니그로신, 알시안블루 헤마톡실린, 아닐린블루, 라이트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3,
The pigments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are neutral, Nile blue, Bismarck brown, lithium carmine, trypan blue, Janus green, methyl violet, o-lamin, maragaite green, safranin, eosin, congo red, erythrosin, nigrosin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ian blue hematoxylin, aniline blue, light green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색소는 근적외선 형광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orescent dye is a near-infrared fluorescent dye,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색소는 인도시아닌그린(indocyanine green, IC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orescent dye is indocyanine green (ICG),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색소는 단독으로 또는 생체 단백질과 컨쥬게이션(conjuga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3,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orescent dye is used alone or conjugated with a biological prot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제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콜라겐(collage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 modifi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hyaluronic acid (hyaluronic acid), collagen (collagen) and mixtures thereof, the target lesion marking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 입자는 생체 단백질을 더 포함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sphere particle further comprises a biological protein,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단백질은 알부민(albu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9,
The biological prote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bumin (albumin), the target lesion labeling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구 입자는 10 내지 100 ㎛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sphere particles ar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ameter of 10 to 100 ㎛, the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mar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평균 밀도가 1 내지 3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density is 1 to 3 g / μl,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생체 친화적 고분자가 첨가된 유기 용매와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가 첨가된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용액을 표면개질제가 첨가된 수용성 용매에 투입 후 교반하여 미립구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립구 입자 표면에는 상기 표면개질제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mixing an organic solvent to which a biocompatible polymer is added and distilled water to which a dye for staining living tissue is added; and
Forming microsphere particles by adding the mixed solution to a water-soluble solvent to which a surface modifier is added and then stirr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modifi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sphere partic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용액을 세척하고 필터링하여 특정한 크기의 미립구 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labeling a target lesion, further comprising: washing and filtering the stirring solution to select microsphere particles of a specific siz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는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생체 단백질 결합체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distilled wat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characterized in that a pigment for biological tissue staining-biological protein conjugate is further add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디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DCM), 오쏘크실렌(o-xylene), 메타크실렌(m-xylene), 파라크실렌(p-xyl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organic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chloromethane (DCM), orthoxylene (o-xylene), m-xylene (m-xylene), para-xylene (p-xylene), and combinations thereof Characterized in,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labeling a target les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조직 염색용 색소의 농도는 1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ye for staining the living tissue is 1 to 100 μ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용매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m, PVP),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 amide, PAAm),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water-soluble solvent is polyvinylpyrrolidonem (PVP), polyacrylic acid (PAA), polyacryl amide (PAAm),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polyviny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 (polyvinyl alcohol, PVA) and combinations thereof,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marking a target les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용매의 농도는 0.1 내지 10 % w/w이고, 상기 표면개질제의 농도는 0.01 내지 0.3 % 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solvent is 0.1 to 10% w / w,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urface modifier is 0.01 to 0.3% w / v,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marking.
제1항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 및
평균 분자량이 0.5 내지 3.0 MDa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를 포함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labeling the target lesion of claim 1; and
An injectable composition for labeling a target les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HA)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0.5 to 3.0 MDa.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0.3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20,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injectable composition, hyaluronic acid (HA) is contained in 0.3 to 1% by weight,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target lesion labeling.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는 상온에서 24 내지 15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인,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20,
The hyaluronic acid (Hyaluronic acid; HA) has a viscosity of 24 to 1500 cps at room temperature,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 조성물이 주사된 목적 병변은 4 내지 12 개월 동안 표지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 병변 표지용 주사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20,
The injectabl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arget lesion injected with the injectable composition is maintained for 4 to 12 months.
제1항의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을 목적 병변 또는 목적 병변 주변에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병변 표지용 조성물이 투여된 조직으로부터 색이 변화되는 위치를 목적 병변으로 인지하여, 표지 부위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irectl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of claim 1 to the target lesion or around the target les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a target lesion, comprising: recognizing the position where the color changes from the tissue to which the composition for marking the target lesion is administered as the target lesion and confirming it in real time during surgery at the marked site.
KR1020220178024A 2022-01-13 2022-12-19 Novel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a lesion and mac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1095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0601 WO2023136639A1 (en) 2022-01-13 2023-01-12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ing target le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362 2022-01-13
KR20220005362 2022-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549A true KR20230109549A (en) 2023-07-20

Family

ID=8742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024A KR20230109549A (en) 2022-01-13 2022-12-19 Novel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a lesion and mac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5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5182A1 (en) Optical in vivo imaging contrast agents and methods of use
US10814017B2 (en) Multifunctional infrared-emitting composites
CA2516116A1 (en) Nanoparticle based stabilization of ir fluorescent dyes
KR102315855B1 (en) Alginate-based injectable hydrogel system
EP2940474B1 (en) Novel labeling composition for cancer lesion
US10383957B2 (en) Near-infrared fluorescent surgical dye markers
KR102179241B1 (en) An injecta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lesion
CN109475491A (en) Can palpation label compositions
US20200061214A1 (en) Compositions for Real-Time Oxygen Measure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230109549A (en) Novel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ling a lesion and macufacturing method thereof
Wang et al. Indocyanine-green-loaded microbubbles for localization of sentinel lymph node using near-infrared fluorescence/ultrasound imaging: a feasibility study
WO2023136639A1 (en) Biocompatible composition for labeling target le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20506929A (en) Selective release systems for tumor therapeutics and diagnostics and biosensors for tumor tissue
KR20150042170A (en) Novel composition for labelling surgery
US20220143379A1 (en) Medical device for applying semi-permanent tattoo ink
KR102449537B1 (en) Tumor Targeted Diagnostic Imaging Agent for Diagnostic Biopsy, or Intraoperative Tumor Identification or Margin Assessment Using Near-infrared Fluorescence (NIRF) Imaging
Mendez et al. Short-Wave Infrared Emitting Nanocomposites for Fluorescence-Guided Surgery
JP2023090180A (en) Gastrointestinal tumor-marking composition and kit
Rodriguez et al. Stabilized micellar formulation of indocyanine green for near-infrared im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