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460A -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60A
KR20230109460A KR1020220005462A KR20220005462A KR20230109460A KR 20230109460 A KR20230109460 A KR 20230109460A KR 1020220005462 A KR1020220005462 A KR 1020220005462A KR 20220005462 A KR20220005462 A KR 20220005462A KR 20230109460 A KR20230109460 A KR 2023010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영
정경문
조성훈
황인오
류한섭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460A/en
Publication of KR2023010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60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점착 시트는 소정의 범위의 유전 정접을 갖는 유전층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유전층의 저면 및 상면 상에 형성되며, 소정의 범위의 유전 정접 및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우수한 유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갖는 점착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n adhesive sheet, a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are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cludes a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s formed on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dielectric layer, respectively,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e Accordingl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excellent dielectric properties and folding propertie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sheet and a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dhesive sheet including a dielectric layer and a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기능이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에 다양한 정보 처리 기능이 결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미지 구현을 위한 광학층(예를 들면, 편광판, 위상차판 등)과 함께 터치 패널, 안테나와 같은 구조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Recently,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have been combined with image display devices combined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smart phones. Accordingly, structures such as a touch panel and an antenna may be included in one image display device along with an optical layer (eg, a polarizer, a retardation plate, etc.) for implementing an image.

따라서, 표시 패널 상에 상술한 광학층 및 구조물들을 적층하기 위해 점착층 또는 점착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를 표시 패널 상에 부착시키기 위해 점착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sheet is used to laminate the above-described optical layer and structures on the display panel. For example, an adhesive sheet may be used to attach the antenna to the display panel.

최근, 고주파 혹은 초고주파 안테나가 화상 표시 장치 내에 채용됨에 따라, 안테나 주변의 유전 특성에 의해 안테나 방사 특성이 쉽게 교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시트의 유전율이 높아지는 경우, 안테나의 유전 손실 또는 신호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세팅된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이 교란될 수 있다.Recently, as high-frequency or ultra-high frequency antennas are employed in image display devices, antenna radiation characteristics can be easily disturbed by dielectric characteristics around the antenna. For example, whe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dhesive sheet is high, dielectric loss or signal loss of the antenna may occur, and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the set antenna may be disturbed.

또한, 최근 접히거나 굴곡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됨에 따라,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점착층 또는 점착시트 역시 향상된 유연성을 갖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as flexible displays that can be folded or ben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sheet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also needs to be designed to have improved flexibility.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고주파/초고주파 통신에 적합한 유전특성을 갖는 점착시트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dhesive sheet that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and has dielectric properties suitable for high frequency/ultra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21-0102035호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유전 특성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2035 disclo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n optical film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ester copolymer, but the above-described dielectric properties are not considered.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21-010203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2035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유전 특성 및 유연성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improved dielectric properties and flexibility.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유전 특성 및 유연성을 갖는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an adhesive sheet having improved dielectric properties and flexibility.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 점착 시트가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applied.

1.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07 이하인 유전층;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 형성되며,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이고, -75 내지 -5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제1 점착제층; 및 상기 유전층의 저면 상에 형성되며,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이고, -75 내지 -5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제2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1. A dielectric layer with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zero and less than or equal to 0.007 at 15 GHz;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1 at 15 GHz, a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5 to -50 °C;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1 at 15 GHz,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5 to -50°C.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의 15GHz에서의 유전율은 2.0 내지 3.6인, 점착 시트.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has a permittivity of 2.0 to 3.6 at 15 GHz.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15GHz에서의 유전율은 2.0 내지 3.6인, 점착 시트.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2.0 to 3.6 at 15 GHz.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은 15GHz에서의 유전율은 2.0 내지 3.6인, 점착 시트.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2.0 to 3.6 at 15 GHz.

5. 위 1에 있어서, 150㎛ 두께에서 측정된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인, 점착 시트.5.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at 15 GHz measured at a thickness of 150 μm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1.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의 두께는 10 내지 80㎛인, 점착 시트.6.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has a thickness of 10 to 80 μm.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인, 점착 시트.7.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50 μm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50 μm.

8. 위 1에 있어서, 두께가 20 내지 180㎛인, 점착 시트.8.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having a thickness of 20 to 180 μm.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저면 상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점착 시트.9.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abov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안테나 유전층; 상기 안테나 유전층의 상면 상에 배치된 안테나 전극층; 및 상기 안테나 유전층의 저면 상에 부착된 위 1의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10. Antenna dielectric layer; an antenna electrode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and the adhesive sheet of 1 above attach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부착된 위 10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11. display panel; and the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10 abov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안테나 전극층 사이의 이격 거리는 100㎛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12.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1 above, where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antenna electrode layer is 100 μm or mo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소정의 범위의 유전 정접 값을 갖는 유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차 시트는 향상된 폴딩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점착시트에 의한 안테나 게인 및 방사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may include a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ly, the sheet may gradually have improved folding characteristics, and antenna gain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adhesive sheet may not be deteriora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소정의 범위의 유전 정접 값 및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 시트는 향상된 폴딩 특성을 가지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경우 안정적인 유연성 및 벤딩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may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ly, the adhesive sheet has improved folding characteristics and can provide stable flexibility and bending characteristics when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따라서, 고주파/초고주파 안테나 방사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유연성을 갖는 안테나 구조체 혹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점착 시트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an antenna structure or flexible display having improved flexibility while maintaining high frequency/ultra high frequency antenna radiation reliability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adhesive shee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점착 시트는 소정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점착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전극 및 점착 시트의 저면에 배치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전극 간의 신호 교란 및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안테나 게인 및 방사 특성을 가지면서 향상된 폴딩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have a thicknes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ly, for example, signal disturbance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electro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and the display electro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can be suppressed. Accordingly, a flexible display having improved folding characteristics while having excellent antenna gain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can be provid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and plan views illustrating an antenna structur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유전층,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점착제층, 및 상기 유전층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제2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층은 소정의 범위의 유전 정접(dissipation factor)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점착제층 및 상기 제2 점착제층은 각각 소정의 유전 특성 및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electric layer,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The dielectric layer may have a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have predetermined dielectric propertie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점착 시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ntenna structur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adhesive shee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점착 시트><Adhesive Sheet>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점착 시트(100)는 유전층(110), 상기 유전층(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유전층(110)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제2 점착제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시트(100)는 상기 제1 점착제층(120)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의 저면 상에 형성된 보호 필름(140, 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 includes a dielectric layer 110,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110,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110. An adhesive layer 130 may be inclu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 may further include protective films 140 and 150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유전층(110)의 40㎛ 두께 및 15GHz에서 측정된 유전 정접(유전 손실 또는 손실 탄젠트; Df) 값이 0.007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층(110)의 상기 유전 정접은 0을 초과하며, 0.007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a dielectric loss tangent (dielectric loss or loss tangent; Df) value measured at a thickness of 40 μm and 15 GHz of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be 0.007 or less. For example,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exceed 0 and may be 0.007 or less.

상기 범위로 유전층(110)의 유전 손실이 억제됨에 따라 점착 시트(100)에 의한 안테나 유전층(110)의 유전 특성이 변동 또는 교란되지 않을 수 있다. As the dielectric loss of the dielectric layer 110 is suppress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10 by the adhesive sheet 100 may not be varied or disturbed.

바람직하게는, 유전층(110)의 유전 정접은 0을 초과하며, 0.0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 이하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exceed 0 and be 0.005 or less, more preferably 0.003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002 or les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유전층(110)의 15G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유전율(permittivity)은 2.0 내지 3.6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예를 들면, 안테나 구조체에 적용되는 경우 안테나의 방사 특성, 게인 특성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 또는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layer 110 measured at a frequency of 15 GHz may be 2.0 to 3.6, preferably 2.0 to 3.0. Within the above range,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n antenna structure, direct influence on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gai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can be avoided or suppress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110)의 두께는 10 내지 80㎛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have a thickness of 10 μm to 80 μm.

상기 범위 내에서 유전층(110)의 유전 특성 및 폴딩 특성이 함께 우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향상된 폴딩 특성을 가지면서 점착 시트(100)에 의한 안테나 게인 및 방사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초고주파 안테나 방사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유연성을 갖는 안테나 구조체 혹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Within the above range, both the dielectric and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be excellent, and for example, the antenna gain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sheet 100 may not deteriorate while having improved folding characteristics. Accordingly, an antenna structure or flexible display having improved flexibility while maintaining high frequency/ultra high frequency antenna radiation reliability may be implement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110)은 상술한 유전 특성을 갖는 투명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층(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be a transparent film having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ielectric layer 110 may be a polyester-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styrenic resin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olefins having a cyclo-based or norbornene structur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vinyl chloride-based resins; amide resin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imide-based resins; polyethersulfone-based resins; sulfone-based resins; polyether ether ketone-based resins; sulfurized polyphenylene-based resins; vinyl alcohol-based resin; vinylidene chloride-based resins; vinyl butyral-based resins; allylate-based resins; polyoxymethylene-based resin;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epoxy resins; A thermosetting resin or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 acrylic 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or a silicone resin may be includ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착제층(120)의 15GHz에서 측정된 유전 정접은 0.01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점착제층(120)의 50㎛ 두께에서 측정된 상기 유전 정접은 0을 초과하며, 0.01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20 measured at 15 GHz may be 0.01 or less. For example, the dielectric loss tangent measured at a thickness of 50 μm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may exceed 0 and be 0.01 or les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의 15GHz에서 측정된 유전 정접은 0.01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의 50㎛ 두께에서 측정된 상기 유전 정접은 0을 초과하며, 0.01 이하일 수 있다.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easured at 15 GHz may be 0.01 or less. For example, the dielectric loss tangent measured at a thickness of 50 μm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exceed 0 and be 0.01 or less.

상기 범위로 제1 점착제층(120) 또는 제2 점착제층(130)의 손실 탄젠트가 조절됨에 따라, 제1 점착제층(120) 및 제2 점착제층(130)에 의한 안테나 유전층(110)의 유전 특성이 변동 또는 교란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게인의 안테나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As the loss tangent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20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is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dielectric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10 by the first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The characteristics may not fluctuate or be disturbed, and for example, a high-gain antenna structure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제2 점착제층(130) 모두 0.01 이하의 유전 정접을 가질 수 있다. Preferably, both the first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may have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1 or les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120)의 15GHz에서 측정된 유전율은 3.6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점착제층(120)의 15GHz에서 측정된 유전율은 2.0 내지 3.6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measured at 15 GHz may be 3.6 or less. For exampl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measured at 15 GHz may be 2.0 to 3.6.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의 15GHz에서 측정된 유전율은 3.6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의 15GHz에서 측정된 유전율은 2.0 내지 3.6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easured at 15 GHz may be 3.6 or less. For exampl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easured at 15 GHz may be 2.0 to 3.6.

상기 범위로 제1 점착제층(120) 및 제2 점착제층(130)의 유전율이 조절됨에 따라, 점착제층에 의한 표시 패널의 전기적 신호에 대한 민감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안테나 전극층에 인접한 점착제층이 저유전율을 가지게 되므로 고주파수/초고주파수에서 고이득의 방사 특성이 구현될 수 있다.As the permittivity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is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sensitivity to electrical signals of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addition, for example,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djacent to the antenna electrode layer has a low permittivity, high-gain radiation characteristics can be implemented at high frequencies/ultra-high frequenci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제2 점착제층(130) 모두 3.6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both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have a dielectric constant of 3.6 or les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은 각각 -75 내지 -5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each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5 to -50 °C.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제층의 유연성 및 굴곡 특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점착제층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폴딩/벤딩시 크랙 및 박리와 같은 기계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시트(100)가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가혹한 벤딩 조건에서도 크랙과 같은 불량이 야기되지 않을 수 있다. Within the above range, the flexibility and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excellent, and for exampl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reases, mechanical defects such as cracks and peeling may be suppressed during folding/bending. Accordingly, defects such as cracks may not be caused even under harsh bending conditions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adhesive sheet 100 .

예를 들면, 점착 시트(100)의 굴곡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제1 점착제층(120) 및 제2 점착제층(13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점착 시트(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유전층(110)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전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전극 간 신호 간섭 및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고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게인(gain)을 갖는 안테나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can be increased while maintaining excellent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sheet 100,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100 can increase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10 and the electro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increased, and signal interference and disturbance between adjacent electrodes can be prevented. In this case, an antenna structure having excellent gain in an ultra-high frequency band may be provided.

예를 들면, 제1 점착제층(120) 및 제2 점착제층(130)은 -20℃에서 2mm의 곡률반경으로 분당 25회 속도로 10,000회 이상의 벤딩에서도 크랙, 박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not be cracked or peeled even when they are bent 10,000 times or more at a rate of 25 times per minute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2 mm at -20°C.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은 각각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 및 제2 점착제층(130)이 상술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어 굽힘/굴곡 특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점착제층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점착 시트(100)의 유연성 및 플렉시블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50 μm. Sinc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have the above-describ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xcellent bending/bending properties can be maintained, and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reases. And flexible properties may be excellen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점착 시트(100)의 두께는 20 내지 180㎛일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100 may be 20 to 180 μ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100)의 두께는 5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시트(100)의 두께는 50 내지 18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 내지 180㎛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100 may be 50 μm or mor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 may be 50 to 180 μm, specifically 100 to 180 μm.

상기 점착 시트(100)의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 예를 들면, 안테나 전극층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전극 간 이격 거리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게 배치된 전극들 간에 신호 간섭 및 교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테나 게인 및 방사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100 is less than 50 μm,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electrode layer and the electrod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reduced. Accordingly, signal interference and disturbance may occur between electrod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ntenna gain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may be deteriora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100)는 150㎛ 두께에서 측정된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 시트(100)에 의한 안테나 게인 및 방사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 시트(100)의 150㎛ 두께에서 측정된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은 0 초과 및 0.005 이하일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have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0.01 at 15 GHz measured at a thickness of 150 μm. Deterioration of antenna gain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adhesive sheet 100 within the above range can be prevented. Preferably, a dielectric loss tangent at 15 GHz measured at a thickness of 150 μm of the adhesive sheet 100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0.005.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은 상기 유전율, 유전 정접 및 유리전이온도를 만족하는 수지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실록산계 공중합체, 이소부티렌계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include a resin or copolymer that satisfies the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loss tangent,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For example, , acrylic copolymers, siloxane-based copolymers, isobutylene-based copolymers, or styrene-based copolyme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및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copolymer. For exampl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rylic copolymer.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복수종의 단량체들이 혼합된 단량체 블렌드 혹은 단량체 시럽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repared from a monomer blend or monomer syrup in which a plurality of monomers are mixed.

상기 단량체 블렌드는 비극성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여 점착제층의 분극 특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유전율 및 유전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극성 단량체가 첨가되어 공중합체의 응집력이 보다 증진될 수 있으며, 폴딩 시 점착제층의 기계적 안정성이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The monomer blend may include an alkyl (meth)acrylate monomer having a non-polar hydrocarbon group and a polar mono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By including the alkyl (meth)acrylate monomer having the non-polar hydrocarbon group,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reduced, and permittivity and dielectric loss may be reduced. Cohesive strength of the copolymer may be further enhanced by adding the polar monomer, and mechanical st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dditionally improved upon folding.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예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펜타플루오로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디글리콜아크릴레이트, 2-데실-1-테트라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2-decyl-1-tetradecanyl (meth)acrylate),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alkyl (meth) acrylate monomer,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rate, sec-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rate, n-oc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bornyl acrylate, n-non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n-dodecyl (meth)acrylate, n-pentafluorooctyl acrylate, 2-ethylhexyldiglycol acrylate, 2-decyl-1-tetradecyl (meth)acrylate (2-decyl-1-tetradecan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극성 단량체는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polar monomer may include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or an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8-hydroxyoctyl (meth)acrylate, 10-hydroxydecyl (meth)acrylate, 12-hydroxylauryl (meth)acrylate,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acrylate, carboxypentyl (meth)acrylate,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상기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acrylamide, N,N-dimethyl (meth)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N-methoxy methyl (meth)acrylamide, N-part Toxymethyl (meth)acrylamide, N-hydroxyethyl (meth)acrylamide, etc. are mention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성 또는 경화성 향상을 위하여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thermal curing agent to improve crosslinkability or curability.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1-페닐메탄온,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3-메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4-크로놀로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옥산톤, 2-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질디메틸케탈,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TPO),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for exampl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n-but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cetophenone, 1-hydroxycyclohexyl -1-phenylmethanone, hydroxydimethylacetophenone, dimethylaminoacetophenone, dimethoxy-2-phenylacetophenone, 3-methyl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 Diethoxy-2-phenylacetophenone, 4-chlorocetophenone, 4,4-dimethoxy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4-hydroxycyclophenylketone ,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e, oligo[2-hydroxy-2-methyl-1 -(4-(1-methylvinyl)phenyl)propanone], 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propyl)ketone, benzophenone, p-phenylbenzophenone, 4 ,4-diamino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dichlorobenzophenone, anthraquinone, 2-methylanthraquinone, 2-ethylanthraquinone, 2-t-butylanthraquinone, 2-aminoanthraquinone Quinone, 2-methylthioxanthone, 2-ethyl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2,4-diethylthioxanthone, benzyldimethylketal, diphenylketonebenzyl Dimethylketal, acetophenonedimethylketal, p-dimethylaminobenzoic acid ester,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fluorene, triphenylamine, carbazole, azobisisobutyronitrile (AIBN )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중량부일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0.01 to 3 parts by weight, preferably 0.2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상기 열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적절히 가교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al curing agent may enhance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ppropriately crosslinking the acrylic copolym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삼량체 등을 들 수 있다.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s, for exampl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etra Methyl xylene diisocyanate, naphthalene diisocyanate, isocyanurate trimer, etc. are mentioned.

상기 열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The heat cur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 part by weight, preferably 0.1 to 0.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전 특성, 폴딩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소포제, 충전제, 가소제, 광 안정제, 반응 개시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tioxidants, corrosion inhibitors, leveling agents, surface lubricants, antifoaming agents, fillers, plasticizers, light stabilizers, You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reaction initiator and a solvent.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100)는 상기 제1 점착제층(120) 또는 상기 제2 점착제층(130)의 표면 상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or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

예를 들면, 점차 시트는 제1 점착제층(120)의 상면 및 제2 점착제층(130)의 저면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보호 필름(140) 및 제2 보호 필름(150)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eet may gradually include a first protective film 140 and a second protective film 150 respectively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0. .

제1 보호 필름(140)은 점착 시트(100)를 대상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이형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보호 필름(150)은 점착제층 형성을 위한 기재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film 140 may be provided as a release film for attaching the adhesive sheet 100 to an object. The second protective film 150 may be provided as a base film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보호 필름(150) 역시 이형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시트(100)는 양면 점착 시트(100)로서 제공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protective film 150 may also be provided as a release film. In this case, the adhesive sheet 100 may be provided as a double-sided adhesive sheet 100 .

제1 보호 필름(140) 및 제2 보호 필름(15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틱에시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film 140 and the second protective film 15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rene naphthalate; polyimide resin; acrylic  resin; styrene-based resin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polycarbonate   resin; polylactic acid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olefins an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vinyl-based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and polyvinylidene chloride; polyamide = resin; sulfone-based resin; polyether-ether ketone-based resins; An allylate-based resin or the like may be included.

<안테나 구조체 및 화상 표시 장치><Antenna structur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ntenna structur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adhesive sheet.

도 2 및 도 3은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and plan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n antenna structur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300)는 안테나 전극층(170), 안테나 유전층(160) 및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antenna structure 300 may include an antenna electrode layer 170, an antenna dielectric layer 160, and an adhesive sheet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안테나 전극층(170)은 안테나 유전층(16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전극층(170)은 안테나 유닛(AU)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안테나 유닛들(AU)이 안테나 유전층(160) 상에 배열될 수 있다.The antenna electrode layer 170 may be formed on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60 . As shown in FIG. 3 , the antenna electrode layer 170 may include an antenna unit AU, and a plurality of antenna units AU may be arranged on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60 .

안테나 유닛(AU)은 방사체(172), 전송 선로(174) 및 신호 패드(17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패드(176)는 예를 들면, 연성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를 통해 안테나 구동 IC 칩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 선로(174)를 통해 방사체(172)로 급전 및 신호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The antenna unit AU may include a radiator 172 , a transmission line 174 and a signal pad 176 . The signal pad 176 may be connected to the antenna driving IC chip through, for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ccordingly,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to the radiator 172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174 .

신호 패드(176) 주변에는 한 쌍의 그라운드 패드들(178)이 신호 패드(176)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A pair of ground pads 178 may be disposed around the signal pad 176 with the signal pad 176 interposed therebetwee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사체(172)를 통해 예를 들면, 5 GHz 이상, 10 GHz 이상, 20 GHz 이상의 대역에 해당되는 고주파 혹은 초고주파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high-frequency or ultra-high frequency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adiator 172 , for example, in a band of 5 GHz or more, 10 GHz or more, or 20 GHz or more.

안테나 유전층(160)은 상기 고주파/초고주파 방사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유전 특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6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dielectric characteristics for realizing the high frequency/ultra high frequency radiation characteristics.

점착 시트(100)는 예를 들면, 제1 보호 필름(140)이 제거되어 안테나 유전층(150)의 저면과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제1 점착제층이 안테나 유전층(160)의 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sheet 10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50 after the first protective film 140 is removed. Accordingly,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direct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160 .

화상 표시 장치(400)는 표시 패널(200) 및 안테나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4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200 and an antenna structure 300 .

표시 패널(200)은 패널 기판(205)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210), 화소 정의막(220), 표시층(230), 대향 전극(240) 및 인캡슐레이션 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200 may include a pixel electrode 210, a pixel defining layer 220, a display layer 230, a counter electrode 240, and an encapsulation layer 250 disposed on a panel substrate 205. can

패널 기판(205)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화소 회로를 덮는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210)은 상기 절연막 상에서 예를 들면 TFT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pixel circuit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may be formed on the panel substrate 205 , and an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pixel circuit may be formed. The pixel electrode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 example, a drain electrode of a TFT on the insulating film.

화소 정의막(220)은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화소 전극(210)을 노출시켜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전극(210) 상에는 표시층(230)이 형성되며, 표시 층(230)은 예를 들면, 액정층 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xel defining layer 220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to expose the pixel electrode 210 to define a pixel area. A display layer 230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210 , and the display layer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layer or an organic emission layer.

화소 정의막(220) 및 표시층(230) 상에는 대향 전극(240)이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240)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로 제공될 수 있다. 대향 전극(240) 상에 표시 패널(200) 보호를 위한 인캡슐레이션 층(250)이 적층될 수 있다.A counter electrode 240 may be disposed on the pixel defining layer 220 and the display layer 230 . The counter electrode 240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common electrode or cathod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 encapsulation layer 250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stacked on the opposite electrode 240 .

안테나 구조체(300)는 점착 시트(100)를 통해 표시 패널(2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보호 필름(150)을 제거한 후 제2 점착제층(130)을 통해 표시 패널(200) 상에 안테나 구조체를 부착시킬 수 있다.The antenna structure 300 may be attached on the display panel 200 through the adhesive sheet 100 . For example, after removing the second protective film 150 , the antenna structure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200 through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패널(200) 상에 터치 센서층(260)이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점접착층(50)을 통해 터치 센서층(260)이 표시 패널(200)의 인캡슐레이션 층(250) 상에 부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uch sensor layer 260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panel 200 .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layer 260 may be attached to the encapsulation layer 250 of the display panel 200 through the first adhesive layer 50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층(260) 상에는 편광층(270)이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점접착층(60)을 통해 편광층(270)이 터치 센서층(260) 상에 적층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polarization layer 270 may be stacked on the touch sensor layer 260 . For example, the polarization layer 270 may be stacked on the touch sensor layer 260 through the second adhesive layer 60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안테나 구조체(300)는 편광층(27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보호 필름(150)이 제거되고, 제2 점착제층(130)이 편광층(270) 상에 부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ntenna structure 300 may be stacked on the polarization layer 270 . For example, the second protective film 150 may be removed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0 may be attached on the polarization layer 270 .

안테나 구조체(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280)가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점접착층(70)을 통해 안테나 구조체(300) 상에 커버 윈도우(280)가 부착될 수 있다.A cover window 280 may be stacked on the antenna structure 300 . For example, the cover window 280 may be attached to the antenna structure 300 through the third point adhesive layer 70 .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인측으로부터 안테나 구조체(300), 편광층(270) 및 터치 센서층(26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안테나 구조체(300)는 터치 센서층(26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고, 편광층(270) 및 터치 센서층(26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structure 300, the polarization layer 270, and the touch sensor layer 26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user's viewing side. Alternatively, the antenna structure 300 may be disposed under the touch sensor layer 260 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larization layer 270 and the touch sensor layer 260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전극층(170) 및 상기 표시 패널(2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10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전극층(170) 및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된 점착 시트(100)의 두께는 100㎛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00) 내의 전극, 예를 들면, 화소 전극(210) 및 대향 전극(240)과 안테나 전극층(170) 간 소정의 이격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들 간 신호 간섭 및 교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테나 유닛(AU)이 고주파/초고주파 영역에서 고이득의 방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electrode layer 170 and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μm.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100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electrode layer 170 and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100 μm or more.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n the display panel 200, for example, the pixel electrode 210 and the counter electrode 240, and the antenna electrode layer 170 may be secured. Accordingly, signal interference and disturbance between electrodes can be prevented, and the antenna unit AU can have high-gain radiation characteristics in a high frequency/ultra high frequency reg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400)는 표시 영역(410) 및 주변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영역(420)은 베젤 영역 또는 차광 영역(비표시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may include a display area 410 and a peripheral area 420 . The peripheral area 420 may correspond to a bezel area or a light blocking area (non-display area).

안테나 구조체(300)는 점착 시트(100)를 이용하여 방사체(162)가 표시 영역(410)과 중첩되도록 예를 들면, 패치 형태로 화상 표시 장치(400) 내에 부착될 수 있다.The antenna structure 300 may be attach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using the adhesive sheet 100 so that the radiator 162 overlaps the display area 410 in the form of a patch, for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100)는 감소된 유전 손실을 가지며 향상된 폴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방사체(162) 또는 안테나 유닛(AU)의 고주파/초고주파 방사 특성을 촉진하며, 신호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400)의 주변 영역(420)을 통해 폴딩/벤딩을 통해 용이하게 패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sheet 100 may have reduced dielectric loss and improved folding characteristics. Accordingly, high frequency/ultra high frequency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adiator 162 or the antenna unit AU can be promoted and signal los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inserted in the form of a patch through folding/bending through the peripheral area 42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400 .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를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Hereinafter, experimental examples including preferred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and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nd it is natural that these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제조예: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1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5중량부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2중량부 및 아크릴산(AA) 3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블렌드를 투입한 후,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을 0.5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 후,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점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면서, 상기 혼합물의 점도가 약 20㎩·s로 될 때까지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점도 측정에 있어서, 장치의 로터 회전 속도는 20rpm으로 하고, 측정 온도는 30℃로 하였다. 이에 따라, 혼합물 중의 단량체 성분의 일부가 중합된 부분 중합물인 예비 중합체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After introducing a monomer blend including 95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2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HEA), and 3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into a 1L reactor, 1-hydroxy as a photoinitiator 0.5 parts by weight of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was added. Thereafter, while measuring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using a viscosity measuring device,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using a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until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became about 20 Pa·s. In the viscosity measuremen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of the apparatus was 20 rpm, and the measurement temperature was 30°C. Thus, a prepolymer composition in which a part of the monomer components in the mixture is a partially polymerized product was prepared.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코팅액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75 ㎛)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이 후, 그 한쪽 박리 라이너의 측으로부터 블랙 라이트(필립 제조)를 사용하여 조도 8㎽/㎠의 자외선을 200초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후 두께가 50㎛가 되도록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was coated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hickness: 75 μm) treated with a coating solution using a bar coater. Thereafter, from the side of the release liner on one side, a black light (manufactured by Philips) was used to irradiate and cure an ultraviolet ray having an illuminance of 8 mW/cm 2 for 200 seconds to prepare an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after cur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8000, PerkinElmer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8℃로 측정되었다. 상기 점착제층의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은 유전율 측정 장치(Anritus사, 제품명 MS46522B)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율이 2.7이고,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005로 측정되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8000, PerkinElmer Inc.) and was measured as -58°C. Th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ere measured using a dielectric constant measuring device (Anritus Co., product name MS46522B), and the dielectric constant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2.7, and the dielectric loss tangent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measured as 0.005.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단량체 블렌드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97중량부 및 아크릴산(AA) 3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blend was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97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EHA) and 3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을 제조예 1과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는 -61℃이며, 주파수 15GHz 에서의 유전율이 2.6이고,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004인 점착제층이 제조되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above method was -61°C, a dielectric constant of 2.6 at a frequency of 15 GHz, and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04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prepared.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단량체 블렌드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90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0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blend was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9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EHA) and 10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HEA). .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을 제조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는 -61℃이며,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율이 2.6이고,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012인 점착제층이 제조되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above method is -61°C, a dielectric constant of 2.6 at a frequency of 15 GHz, and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12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prepared.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단량체 블렌드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9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5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blend was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95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EHA) and 5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는 -48℃이며, 주파수 15GHz 에서의 유전율이 2.4이고,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004인 점착제층이 제조되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above method was -48°C, a dielectric constant of 2.4 at a frequency of 15 GHz, and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04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prepared.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단량체 블렌드가 2-에틸헥실 디글라이콜 아크릴레이트 9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5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blend was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95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diglycol acrylate and 5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는 -79℃이며, 주파수 15GHz 에서의 유전율이 2.9이고, 주파수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02인 점착제층이 제조되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above method was -79°C, a dielectric constant of 2.9 at a frequency of 15 GHz, and a dielectric loss tangent of 0.02 at a frequency of 15 GHz was prepared.

점착 시트의 제조Manufacture of adhesive sheet

상기 제조예들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준비된 유전층의 저면 및 상면에 각각 바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이 후, 각각의 코팅 면에 대하여 블랙 라이트(필립 제조)를 사용하여 조도 8㎽/㎠의 자외선을 200초간 조사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유전층의 양면에 코팅된 점착제층의 두께가 각각 50㎛가 되도록 도포하였다.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dielectric layer prepared as shown in Tables 1 and 2 were coated using a bar coater, respectively,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s. Thereafter, each coated surfac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having an illuminance of 8 mW/cm 2 using a black light (manufactured by Philip) for 200 seconds to prepare an adhesive sheet. After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ated on both sides of the dielectric layer was 50 μm.

구 분division 실시예Example 1One 22 33 44 55 제1 점착제층1st adhesive layer 종류typ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유전율permittivity 2.72.7 2.72.7 2.72.7 2.72.7 2.62.6 유전정접dielectric loss tangent 0.0050.005 0.0050.005 0.0050.005 0.0050.005 0.0040.004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58-58 -58-58 -58-58 -58-58 -61-61 유전층dielectric layer 종류type PETPET LCPLCP COPCOP PIPI PETPET 두께thickness 2323 4040 4040 2525 2323 유전율permittivity 2.82.8 3.53.5 2.42.4 2.92.9 2.82.8 유전정접dielectric loss tangent 0.00590.0059 0.00210.0021 0.00040.0004 0.00700.0070 0.00590.0059 제2 점착제층2nd adhesive layer 종류type 제조예
1
manufacturing example
One
제조예
1
manufacturing example
One
제조예
1
manufacturing example
One
제조예
1
manufacturing example
One
제조예
2
manufacturing example
2
유전율permittivity 2.72.7 2.72.7 2.72.7 2.72.7 2.62.6 유전정접dielectric loss tangent 0.0050.005 0.0050.005 0.0050.005 0.0050.005 0.0040.004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58-58 -58-58 -58-58 -58-58 -61-61

구 분divis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제1 점착제층1st adhesive layer 종류typ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유전율permittivity 2.72.7 2.62.6 2.42.4 2.92.9 유전정접dielectric loss tangent 0.0050.005 0.0120.012 0.0040.004 0.020.02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58-58 -61-61 -48-48 -79-79 유전층dielectric layer 종류type TACTAC PETPET PETPET PETPET 두께thickness 4040 2323 2323 2323 유전율permittivity 4.04.0 2.82.8 2.82.8 2.82.8 유전정접dielectric loss tangent 0.03080.0308 0.00590.0059 0.00590.0059 0.00590.0059 제2 점착제층2nd adhesive layer 종류typ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유전율permittivity 2.72.7 2.62.6 2.42.4 2.92.9 유전정접dielectric loss tangent 0.0050.005 0.0120.012 0.0040.004 0.020.02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58-58 -61-61 -48-48 -79-79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유전 정접 및 유전율 측정(1) Measurement of dielectric loss tangent and permittivity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각 점착 시트의 유전율 및 유전 정접을 25℃에서 유전율 측정 장치(Anritus사, 제품명 MS46522B)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40㎛의 COP필름들(Zeonor사) 사이에 이형 필름이 제거된 점착 시트를 적층시키고, 길이 30mm × 폭 70mm의 사이즈로 절단하였다.Th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of 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t 25° C. using a dielectric constant measuring device (Anritus Co., product name MS46522B). Specifically, the adhesive sheet from which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was laminated between 40 μm COP films (Zeonor Co.) and cut into a size of 30 mm in length x 70 mm in width.

절단한 점착시트를 측정장비의 프로브에 투입하여 15GHz에서의 유전 정접(Df)값을 측정하였다.The cut adhesive sheet was put into the probe of the measuring equipment to measure the dielectric loss tangent (Df) value at 15 GHz.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 0.005이하◎: 0.005 or less

○: 0.005초과 0.01이하○: more than 0.005 and less than 0.01

×: 0.01초과×: greater than 0.01

(2) 폴딩 특성 평가(2) Evaluation of folding characteristics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각 점착시트를 50㎛ PET에 접합하여 20mm×100mm 샘플을 제조하였다. 굴곡성 평가 장치(COVOTECH사, CFT-720C)에 샘플을 고정시키고, 분당 25회 폴딩, 1회 폴딩 후 0.2초 유지, 곡률반경 2mm 조건으로 -20℃에서의 조건에서 폴딩 평가 실시하였다. 폴딩 부위에서 파단, 들뜸, 박리 등의 불량이 생기는 최초 폴딩 회수를 측정하여 폴딩 특성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bonded to 50 μm PET to prepare a 20 mm × 100 mm sample. The sample was fixed to a flexural evaluation device (COVOTECH, CFT-720C), and folding was evaluated at -20°C under conditions of folding 25 times per minute, holding 0.2 seconds after folding once, and curvature radius of 2 mm. The fold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s follows by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of initial folding at which defects such as breakage, lifting, and peeling occurred at the folding site.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 30,000회 이상 폴딩시 불량 미발생◎: No defects when folding more than 30,000 times

○: 10,000회 내지 30,000회의 폴딩 회수 범위에서 불량 발생○: Defect occurs in the range of 10,000 to 30,000 times of folding

×: 10,000회 미만의 폴딩 회수에서 불량 발생×: Defect occurs when the number of folding is less than 10,000 times

구 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유전 정접(Df)Dielectric loss tangent (Df) 폴딩 특성folding characteristics 구 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 유전 정접(Df)Dielectric loss tangent (Df) ×× ×× ×× -- 폴딩 특성folding characteristics ×× --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유전층 및 점착제층이 낮은 유전 정접을 가지면서 상술한 유리 전이 온도의 범위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가혹한 저온에서의 폴딩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하였으며, 점착 시트가 전체적으로 낮은 유전 정접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ables 1 to 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while having a low dielectric loss tangent in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refore, excellent durability was provided even when folded at severe low temperatures, and the adhesive sheet could have a low dielectric loss tangent as a whole.

그러나, 비교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유전층 및 점착제층이 높은 유전 정접을 가지고 있어 점착 시트의 유전 특성이 열화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어 반복적인 폴딩시 불량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have a high dielectric loss tang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re deteriorat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dhesive layer has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us defects occur during repeated folding.

100: 점착 시트 110: 유전층
120: 제1 점착제층 130: 제2 점착제층
140: 제1 보호 필름 150: 제2 보호 필름
160: 안테나 유전층 170: 안테나 전극층
172: 방사체 174: 전송 선로
176: 신호 패드 200: 표시 패널
260: 터치 센서층 270: 편광층
280: 커버 윈도우 300: 안테나 구조체
400: 화상 표시 장치
100: adhesive sheet 110: dielectric layer
120: first adhesive layer 130: second adhesive layer
140: first protective film 150: second protective film
160: antenna dielectric layer 170: antenna electrode layer
172 emitter 174 transmission line
176: signal pad 200: display panel
260: touch sensor layer 270: polarization layer
280: cover window 300: antenna structure
400: image display device

Claims (12)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07 이하인 유전층;
상기 유전층의 상면 상에 형성되며,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이고, -75 내지 -5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제1 점착제층; 및
상기 유전층의 저면 상에 형성되며,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이고, -75 내지 -5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제2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a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07 at 15 GHz;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1 at 15 GHz, a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5 to -50 °C;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having a dielectric loss tangent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1 at 15 GHz, a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5 to -50 ° 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의 15GHz에서의 유전율은 2.0 내지 3.6인,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has a permittivity of 2.0 to 3.6 at 15 GHz.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15GHz에서의 유전율은 2.0 내지 3.6인,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2.0 to 3.6 at 15 GHz.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제층은 15GHz에서의 유전율은 2.0 내지 3.6인,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2.0 to 3.6 at 15 GHz.
청구항 1에 있어서, 150㎛ 두께에서 측정된 15GHz에서의 유전 정접이 0 초과 및 0.01 이하인, 점착 시트.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loss tangent at 15 GHz measured at a thickness of 150 μm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0.0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의 두께는 10 내지 80㎛인,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has a thickness of 10 to 8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인,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50 μm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5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두께가 20 내지 180㎛인,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having a thickness of 20 to 18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상면 또는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저면 상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점착 시트.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안테나 유전층;
상기 안테나 유전층의 상면 상에 배치된 안테나 전극층; 및
상기 안테나 유전층의 저면 상에 부착된 청구항 1의 점착 시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antenna dielectric layer;
an antenna electrode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and
An antenna structure comprising the adhesive sheet of claim 1 attach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enna dielectric layer.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부착된 청구항 10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display pan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antenna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0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안테나 전극층 사이의 이격 거리는 100㎛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 where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antenna electrode layer is 100 μm or more.
KR1020220005462A 2022-01-13 2022-01-13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202301094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62A KR20230109460A (en) 2022-01-13 2022-01-13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62A KR20230109460A (en) 2022-01-13 2022-01-13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60A true KR20230109460A (en) 2023-07-20

Family

ID=8742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462A KR20230109460A (en) 2022-01-13 2022-01-13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46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35A (en) 2020-02-10 2021-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hoto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hoto curable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for optical film, optical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35A (en) 2020-02-10 2021-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hoto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hoto curable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for optical film, optical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161B1 (en) Flexible display modul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45066B1 (en) Adhesive film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CN104250524B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and adhesive sheet
KR10231131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034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1902275A (en) Adhesive sheet,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97183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90044360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15677B1 (en) Protective film, and protective-film-attached film on which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to be laminated
KR10230466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943705B1 (en)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EP2644674A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2229883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KR10234639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ouch Sensor
KR20190043427A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0197739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conducting film laminated body and transparent conducting film
CN112272815B (en) Touch sensor module, window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29761A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 panel
KR101775187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20230109460A (en)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US20230265323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KR102435351B1 (en) Touch sensor module, window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49859A (en) Adhesive sheet and antenna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2672208B1 (en) Adhesive she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127527A (en) Adhesive she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