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954A -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954A
KR20230108954A KR1020220004727A KR20220004727A KR20230108954A KR 20230108954 A KR20230108954 A KR 20230108954A KR 1020220004727 A KR1020220004727 A KR 1020220004727A KR 20220004727 A KR20220004727 A KR 20220004727A KR 20230108954 A KR20230108954 A KR 2023010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reservoir
output unit
path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규
이남근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954A/ko
Publication of KR2023010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29C64/336Feeding of two or mor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소재가 저장된 제1 레저버와,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제2 소재가 저장된 제2 레저버와, 중앙의 제1 경로로 상기 제1 소재가 토출되고, 상기 제1 경로의 외측의 제2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 소재가 배출되는 노즐과, 상기 제1 레저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소재를 상기 제1 레저버에서 상기 제1 경로로 이동시키는 제1 출력 유닛, 및 상기 제2 레저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소재를 상기 제2 레저버에서 상기 제2 경로로 이동시키는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가 코팅된다.

Description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Printing system for printing multi-material}
본 발명은 다종 소재를 프린팅 하기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만든 3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실물의 입체 모양, 즉, 조형물을 그대로 찍어내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고체 필라멘트를 원료로 사용하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방식, 액체 원료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방식, 파우더 형태의 원료를 사용하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DLP 방식 3D 프린터의 경우, 미세 형상을 구현하는데 용이하여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DLP방식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액체의 원료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인 UV(Ultraviolet Ray) 광경화성 레진이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DLP 방식 3D 프린터는 기구적 구조에 따라 아래에서 윗쪽으로 출력물을 완성하는 상향식 방식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출력물을 완성하는 하향식 방식으로 구분된다.
한편 3D 프린팅 기술은, 종래에 그 대상이 시제품, 의료 및 건축용 제품들에 한정되어 있다가, 최근 들어 식재료에 기반하여 ‘먹는 음식’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례로, 2011년, 영국의 엑스터 대학(Exeter Universtiy) 연구진들은 초콜릿을 재료로 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개발하였다. 엑스터 대학에서 개발한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컴퓨터에서 디자인된 3차원 설계에 따라 식재료 즉, 초콜릿을 녹이고 짜내서 얇은 층을 쌓아가는 압출적층조형(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이후, 세계 곳곳의 연구기관과 IT기업, 식품기업들은, 상호 협력하여 다양한 종류의 3차원 푸드 프린터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식품의 점성에 의해서 정교하게 프린팅을 하는 것이 어렵고, 외부에 노출되면 변형되는 점에서 위험이 있다. 따라서, 섭취가능한 재료를 효과적으로 프린팅할 수 있으며, 재료의 변형 위험을 줄일 수 있는 3차원 푸드 프린터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다종 소재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1 소재가 저장된 제1 레저버와,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제2 소재가 저장된 제2 레저버와, 중앙의 제1 경로로 상기 제1 소재가 토출되고, 상기 제1 경로의 외측의 제2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 소재가 배출되는 노즐과, 상기 제1 레저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소재를 상기 제1 레저버에서 상기 제1 경로로 이동시키는 제1 출력 유닛, 및 상기 제2 레저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소재를 상기 제2 레저버에서 상기 제2 경로로 이동시키는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가 코팅되는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점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소재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단부에 상기 노즐이 장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로드, 및 상기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소재를 상기 노즐로 배출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히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유닛은 패리스텔틱(peristaltic) 펌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는 이종 소재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점도가 서로 다른 소재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점도가 높은 소재를 점도가 낮은 소재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는 점도가 높은 제1 소재를 스크류 로드에 의해서 노즐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점도가 낮은 제2 소재를 패리스텔틱(peristaltic)을 이용하여 정량으로 제1 소재를 코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를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노즐(300)을 통해서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제1 소재(M1)를 출력하면서 동시에, 제1 소재(M1)의 표면에 제2 소재(M2)를 코팅할 수 있다.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서로 다른 소재인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소재(M1)는 제2 소재(M2)와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제1 소재(M1)의 점도는 제2 소재(M2)의 점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소재(M1)는 고체이거나, 고체와 액체의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소재(M2)는 액체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소재(M1)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출력 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재(M1)는 식재료일 수 있으며, 제1 소재(M1)를 프린팅하여 식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소재(M1)는 단백질이나 지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소재(M2)는 제1 소재(M1)의 부패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섭취 가능한 액체일 수 있다.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출력되는 제1 소재(M1) 및 제2 소재(M2)를 기 설정된 위치에 적층하여 식용 가능한 음식을 제조할 수 있다.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제1 레저버(10), 제2 레저버(20), 위치 조정 유닛(30), 빌드 플레이트 유닛(50), 제1 출력 유닛(100), 제2 출력 유닛(200) 및 노즐(300)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베이스(5)을 구비하고, 테이블(5) 위에 배치된 빌드 플레이트 유닛(50)에 출력물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저버(10)는 제1 소재(M1)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레저버(10)는 제1 출력 유닛(100)과 연결되며, 제1 출력 유닛(100)이 구동되면, 제1 레저버(10)에 저장된 제1 소재(M1)는 제1 출력 유닛(1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저버(10)의 내부에 공압을 가하면, 고점도인 제1 소재(M1)은 커넥터(11)을 따라 스크류 로드(130)으로 전달되고, 스크류 로드(130)의 회전을 통해서 제1 소재(M1)이 노즐(3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레저버(10)와 제1 출력 유닛(100) 사이에는 커넥터(11)가 배치되고, 제1 소재(M1)는 커넥터(11)를 통과하여 제1 출력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레저버(20)는 제2 소재(M2)가 저장될 수 있다. 제2 레저버(20)는 제2 출력 유닛(200)과 연결되며, 제2 출력 유닛(200)이 구동되면, 제2 레저버(20)에 저장된 제2 소재(M2)는 제2 출력 유닛(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레저버(20)와 제2 출력 유닛(200) 사이나, 제2 출력 유닛(200)과 노즐(300) 사이에 튜브(미도시)와 같은 연결 부재가 배치되어, 제2 소재(M2)가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서 노즐(300)로 유입될 수 있다.
위치 조정 유닛(30)은 노즐(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가 토출되는 노즐(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빌드 플레이트 유닛(50) 위에 정교하게 프린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위치 조정 유닛(30)은 제1 출력 유닛(100)의 위치를 이동 시켜서, 제1 출력 유닛(100)에 장착된 노즐(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조정 유닛(30)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제1 출력 유닛(100)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위치 조정 유닛(30)이 3축 방향으로 제1 출력 유닛(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정 유닛(30)은 1축 방향이나 2축 방향으로 제1 출력 유닛(100)을 이동시키거나, 제1 출력 유닛(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출력 유닛(100)은 제1 레저버(10)와 노즐(300)을 연결하고, 제1 소재(M1)를 제1 레저버(10)에서 노즐(300)의 제1 경로(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출력 유닛(100)은 마운트(101)에 장착되며, 마운트(101)가 위치 조정 유닛(3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위치 조정 유닛(30)의 구동에 의해서 제1 출력 유닛(100)의 위치는 설정된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제1 출력 유닛(100)의 단부에는 노즐(300)이 장착되고, 제1 출력 유닛(100)을 통과하는 제1 소재(M1)는 노즐(300)의 제1 경로(P1)로 주입될 수 있다.
제1 출력 유닛(100)은 내부에 제1 소재(M1)가 이동가능한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제1 레저버(10)와 제1 출력 유닛(100)의 사이에 커넥터(11)가 배치되며, 커넥터(11)를 통해서 제1 출력 유닛(100)으로 유입된 제1 소재(M1)는 제1 출력 유닛(100)의 내부에 마련된 경로를 따라 노즐(300)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출력 유닛(100)은 모터(110), 제1 바디(120), 스크류 로드(130)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 제1 출력 유닛(100)은 히터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10)는 마운트(101)에 장착되고, 스크류 로드(1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10)가 구동하면, 스크류 로드(130)는 회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모터(110)의 출력단과 스크류 로드(130) 사이에는 어댑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모터(110)의 구동력을 스크류 로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바디(120)는 제1 소재(M1)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단부에 노즐(300)이 장착될 수 있다. 유입구에는 커넥터(11)가 장착되어, 제1 소재(M1)가 제1 레저버(10)에서 유입구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디(120)는 내부에 스크류 로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로드(130)의 회전으로, 제1 소재(M1)는 제1 바디(120)를 통과하여 노즐(300)의 제1 경로(P1)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바디(120)는 내부에 제1 소재(M1)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로드(130)는 제1 바디(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로드(130)는 모터(110)와 구동적으로 연결되며, 모터(110)의 구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 로드(130)가 회전하면, 제1 소재(M1)는 스크류 로드(130)를 따라 노즐(300)로 배출 될 수 있다. 스크류 로드(130)는 강한 구동력을 전달하므로, 점성이 높은 제1 소재(M1)를 노즐(300)로 밀어낼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소재(M1)는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고, 노즐(300)과의 전단 저항과 점탄성이 있는 소재일 수 있다. 공압 방식으로는 높은 점도의 제1 소재(M1)를 토출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의 스크류 로드(130)는 높은 구동력을 제1 소재(M1) 전달하여 높은 점도의 제1 소재(M1)를 노즐(300)로 배출할 수 있다.
히터 유닛(150)은 제1 바디(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 유닛(150)은 제1 출력 유닛(100)의 출구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 유닛(150)은 제1 출력 유닛(100)에서 출력되는 제1 소재(M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히터 유닛(150)은 노즐(300)이 장착되는 파이프(122)의 출구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파이프(12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히터 유닛(150)에서 열을 제공받으므로, 파이프(122)를 통과하는 제1 소재(M1)는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며, 노즐(300)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출력 유닛(200)은 제2 레저버(20)와 노즐(300)을 연결하고, 제2 소재(M2)를 제2 레저버(20)에서 노즐(3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출력 유닛(200)은 제2 소재(M2)를 이동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출력 유닛(200)은 제2 소재(M2)에 토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 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등이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출력 유닛(200)은 패리스텔틱(peristaltic) 구조의 펌프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제2 출력 유닛(200)은 회전하는 롤러를 가지는 패리스텔틱(peristaltic) 펌프로, 롤러가 튜브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제2 소재(M2)를 정량 토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노즐(300)은 제1 출력 유닛(100)에 장착되고,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가 동시에 토출될 수 있다.
노즐(300)은 중앙의 제1 경로(P1)로 제1 소재(M1)가 토출되고, 제1 경로(P1)의 외측의 제2 경로(P2)를 통해서 제2 소재(M2)가 토출될 수 있다.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가 동시에 토출되면, 제1 소재(M1)는 제2 소재(M2)에 의해서 코팅될 수 있으며, 제2 소재(M2)에 의해서 제1 소재(M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300)은 파이프(122)에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122)와 노즐(300) 사이에는 연결 부재(170)가 배치되며, 연결 부재(170)의 락커(171)에 의해서 노즐(300)이 파이프(122)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부재(170)와 락커(171)은 루어-락(Luer-lock) 커넥터 일 수 있다.
연결 부재(170)는 노즐(300)에 삽입되며, 연결 부재(170)의 중앙을 따라 제1 소재(M1)가 파이프(122)에서 노즐(300)의 제1 경로(P1)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300)은 주입단(310)을 구비하고, 주입단(310)을 통해서 제2 소재(M2)가 제2 경로(P2)로 유입될 수 있다. 주입단(310)은 노즐(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출력 유닛(200)의 구동력에 의해서 제2 소재(M2)가 주입단(3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300)은 중앙에 배치되는 제1 경로(P1)와, 제1 경로(P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경로(P2)를 가질 수 있다. 제1 경로(P1)와 제2 경로(P2)는 공간적으로 분리되므로, 노즐(300)의 내부에서 제1 소재(M1)와 제2 소재(M2)는 혼합되지 않는다.
제1 경로(P1)는 제1 출구(P1-E)를 가지고, 제2 경로(P2)는 제2 출구(P2-E)를 가질 수 있다. 제2 출구(P2-E)는 제1 출구(P1-E)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재(M1)가 제2 소재(M2)보다 점성이 높으면, 제1 소재(M1)가 제1 출구(P1-E)로 배출시에 제2 소재(M2)가 제2 출구(P2-E)를 통과하면 제1 소재(M1)의 외부를 코팅할 수 있다.
제2 소재(M2)는 제1 소재(M1)를 코팅하므로, 제1 소재(M1)의 변형이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소재(M1)가 외부 온도나 공기와 접촉하여 부패할 수 있는 재료라면, 제2 소재(M2)가 제1 소재(M1)를 코팅하여 제1 소재(M1)의 변형이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소재(M1)가 단백질과 같이 음식에 사용되는 재료라면, 노즐(300)에 토출과 동시에 변형될 수 있다. 제2 소재(M2)는 제1 소재(M1)를 코팅할 정도로 점도가 낮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라면, 제1 소재(M1)의 출력과 동시에 제2 소재(M2)가 제1 소재(M1)를 코팅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빌드 플레이트 유닛(50)은 노즐(300)의 아래에 배치되어, 노즐(300)에서 토출되는 제1 소재(M1) 및 제2 소재(M2)가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이종 소재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점도가 서로 다른 소재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점도가 높은 소재를 점도가 낮은 소재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1)는 점도가 높은 제1 소재를 스크류 로드에 의해서 노즐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점도가 낮은 제2 소재를 패리스텔틱(peristaltic) 펌프를 정량으로 제1 소재를 코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
10: 제1 레저버
20: 제2 레저버
30: 위치 조정 유닛
100: 제1 출력 유닛
200: 제2 출력 유닛
300: 노즐

Claims (5)

  1. 제1 소재가 저장된 제1 레저버;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제2 소재가 저장된 제2 레저버;
    중앙의 제1 경로로 상기 제1 소재가 토출되고, 상기 제1 경로의 외측의 제2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 소재가 배출되는 노즐;
    상기 제1 레저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소재를 상기 제1 레저버에서 상기 제1 경로로 이동시키는 제1 출력 유닛; 및
    상기 제2 레저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소재를 상기 제2 레저버에서 상기 제2 경로로 이동시키는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가 코팅되는,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점도가 높은,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소재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단부에 상기 노즐이 장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로드; 및
    상기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소재를 상기 노즐로 배출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히터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유닛은 패리스텔틱(peristaltic) 펌프인, 다종 소재 출력용 프린터.
KR1020220004727A 2022-01-12 2022-01-12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KR20230108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727A KR20230108954A (ko) 2022-01-12 2022-01-12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727A KR20230108954A (ko) 2022-01-12 2022-01-12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954A true KR20230108954A (ko) 2023-07-19

Family

ID=874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727A KR20230108954A (ko) 2022-01-12 2022-01-12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9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acharjee et al. The upcoming 3D-printing revolution in microfluidics
US6902246B2 (en) Quantized feed system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US2017021006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inting three dimensional objects
EP29929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small beads of viscous material
EP41941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otational 3d printing
US7694938B2 (en) Distal rate control device
US2015034367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element
CN1901966A (zh) 输送装置及输送方法
CN109843554A (zh) 用于由包含化妆品配方的构建材料打印三维化妆品制品的装置
JP2022520583A (ja) 液体処理・吐出システムにおける、温度感受性の高い流体の制御された吐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238601A1 (en) 3d-printed shaped parts made from more than one silicone material
EP2045060B1 (en) Two component metering pump assembly
CN107414080B (zh) 液态金属3d打印喷头装置及设有该装置的3d打印机
JP2009133317A (ja) 可変容積ポンピング・チャンバを含む流体分配機械用の分配ユニット、およびその分配ユニットを含む機械
US201903891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dispensing, layering, and deposition of cross-linkable hydrogels
KR20230108954A (ko) 다종 소재 출력용 3d 프린팅 시스템
WO2006066541A1 (de) Elektronisch steuerbare mikropumpe auf hydrogelbasis
JP5452488B2 (ja) 液体ポンプ
EP3885108B1 (en) 3d printer
EP3753553A1 (en) 3d printer
US11097488B2 (en) Printer having print assembly
KR102434526B1 (ko) 토출량 가변형 공압식 액체 디스펜서
EP3887031B1 (en) Plural material dispensing system
Quero et al. Simple modification to allow high-efficiency and high-resolution multi-material 3D-printing fabrication of microfluidic devices
US20200001498A1 (en) Tissue substitute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