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37A -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37A
KR20230108137A KR1020220003558A KR20220003558A KR20230108137A KR 20230108137 A KR20230108137 A KR 20230108137A KR 1020220003558 A KR1020220003558 A KR 1020220003558A KR 20220003558 A KR20220003558 A KR 20220003558A KR 20230108137 A KR20230108137 A KR 20230108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media service
authentication code
terminal
in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784B1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78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의 입력 장치에서 미 지원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SUPPORTING APPARATUS FOR MEDIA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의 입력 장치에서 미 지원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수백 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서비스에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기능을 통합한 형태로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서비스의 일례인 IPTV 서비스에서는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서비스 화면(재생 화면)을 미디어서비스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예: 스마트 TV)로 출력한다.
한편, 미디어서비스장치는,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로 인해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이 매우 불편한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한계점은 미디어서비스장치의 기능 제어를 위해 별도로 마련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최근의 미디어 서비스의 다양화 및 증가 추세를 고려한다면, 로그인 및 문자 등의 키 입력에 대한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로 인해 발생되는 전술의 한계점은 점차 가중될 것임이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의 입력 장치에서 미 지원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는, 미디어서비스장치에 대해서 확인되는 키입력지원요청에 따라 인증코드를 발급하는 인증코드 발급부; 및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는 키입력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코드 발급부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에서 생성되는 상기 키입력지원요청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코드 발급부는, 상기 인증코드의 발급 시점이 시점으로 설정되는 유효시간을 상기 인증코드에 부여하여, 상기 유효시간에 한해서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에 상기 인증코드를 노출시켜, 상기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단말에서 확인하는 경우, 상기 인증코드 내 실행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인증코드 내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접속되는 접속 화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의 입력값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 내 인증정보와 상기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서비스장치에 대해서 확인되는 키입력지원요청에 따라 인증코드를 발급하는 인증코드 발급단계; 및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는 키입력 지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에서 생성되는 상기 키입력지원요청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상기 인증코드의 발급 시점이 시점으로 설정되는 유효시간을 상기 인증코드에 부여하여, 상기 유효시간에 한해서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에 상기 인증코드를 노출시켜, 상기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단말에서 확인하는 경우, 상기 인증코드 내 실행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인증코드 내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접속되는 접속 화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의 입력값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 내 인증정보와 상기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의 입력 장치에서 미 지원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단말(예: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등 기본 입력 장치의 기능을 보다 간소화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디어 서비스의 이용 과정에서 요구될 수 있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에 관한 기술을 다룬다.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수백 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서비스에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기능을 통합한 형태로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서비스의 일례인 IPTV 서비스에서는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서비스 화면(재생 화면)을 미디어서비스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예: 스마트 TV)로 출력한다.
한편, 미디어서비스장치는,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로 인해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이 매우 불편한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한계점은 미디어서비스장치의 기능 제어를 위해 별도로 마련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최근의 미디어 서비스의 다양화 및 증가 추세를 고려한다면, 로그인 및 문자 등의 키 입력에 대한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로 인해 발생되는 전술의 한계점은 점차 가중될 것임이 자명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의 입력 장치에서 미 지원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환경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 단말(200), 및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미디어서비스장치(100)는 미디어 인터넷 망을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서비스 화면(재생 화면)을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예: 스마트 TV, 도시 안됨)로 출력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STB(Set Top Box), OTT(Over The TOP) Box등의 컨텐츠 중계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단말(200)은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키 입력 지원을 위해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와 연동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는, 인증코드를 발급하고, 이를 확인한 단말(200)을 통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의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는 인증코드 발급부(310), 및 키입력 지원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미디어서비스장치(100), 및 단말(200)과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모듈인 통신부(3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 내 각 구성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관한 인증코드를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해 확인되는 키입력지원요청에 따라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한 인증코드를 발급하게 된다.
이때,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예: ID, Password 입력 영역)에 대한 선택에 따라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생성되는 키입력지원요청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을 통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입력지원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예: 로그인 정보 입력 영역)에 대한 선택은, 미디어서비스장치(100)가 지원하는 자체 입력 장치 또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안됨)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입력지원요청이 확인되면,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한 인증코드를 발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인증코드의 발급 시점을 시점으로 설정한 유효시간을 발급된 인증코드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코드는, 인증코드를 확인한 단말(200)로 하여금,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 입력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지시자의 역할을 위해서 발급된다.
즉,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인증코드 발급을 통해 단말(200)의 키 입력 지원을 지시하되, 발급된 인증코드에 유효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인증코드를 확인한 단말(200)로 하여금 설정된 유효시간에 한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 입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단말(200)의 지원 동작에 시간적 제한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유효시간을 통해서 단말(200)의 지원 동작에 시간적 제한을 두는 것은, 여타 장치의 키입력지원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부터 요구되는 키입력지원요청 하나만을 처리하기 위해 시간이 과잉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부터의 키입력지원요청은, 인증코드의 유효시간이 경과됨과 동시에 실패로 처리되며, 이에 따라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에서 키 입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에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키입력지원요청을 새롭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코드는 예컨대, QR 코드 또는 숫자의 형태로 발급될 수 있다.
키입력 지원부(320)는 키 입력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입력 지원부(32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한 인증코드가 발급되면, 발급된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키입력 지원부(320)는 발급된 인증코드를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하여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에 노출시키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인증코드를 확인한 단말(200)로부터의 키입력값을 획득한다.
이때, 키입력 지원부(32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에 노출된 인증코드를 단말(200)에서 확인하는 경우, 인증코드 내 실행정보에 따라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인증코드 내 접속정보에 따라 단말(200)이 접속되는 접속 화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에 노출된 인증코드를 단말(200)에서 확인한다는 것은, QR 코드 형태로 발급된 인증코드를 단말(200)에서 카메라를 통해서 인식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QR 코드 형태로 발급된 인증코드에는, 전술의 실행정보 또는 접속정보뿐만 아니라, 단말(200)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인증코드의 유형이 단순한 숫자의 형태로 발급된 경우라면, 단말(200)에서 키 입력 지원을 위해 이미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해당 숫자를 입력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만 이 경우에는 인증코드 내에 전술의 실행정보나 접속정보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나아가, 키입력 지원부(320)는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하여, 해당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예: 로그인 정보 입력 영역)의 입력값으로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에는,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키입력 지원부(320)는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 내 인증정보와 기 발급된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인증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구성에 따르면,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단말(200)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등 기본 입력 장치의 기능을 보다 간소화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해 확인되는 키입력지원요청에 따라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한 인증코드를 발급한다(S110-S130).
이때,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예: ID, Password 입력 영역)에 대한 선택에 따라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생성되는 키입력지원요청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을 통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입력지원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예: 로그인 정보 입력 영역)에 대한 선택은, 미디어서비스장치(100)가 지원하는 자체 입력 장치 또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안됨)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입력지원요청이 확인되면,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한 인증코드를 발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인증코드의 발급 시점을 시점으로 설정한 유효시간을 발급된 인증코드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코드는, 인증코드를 확인한 단말(200)로 하여금,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 입력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지시자의 역할을 위해서 발급된다.
즉, 인증코드 발급부(310)는 인증코드 발급을 통해 단말(200)의 키 입력 지원을 지시하되, 발급된 인증코드에 유효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인증코드를 확인한 단말(200)로 하여금 설정된 유효시간에 한해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키 입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단말(200)의 지원 동작에 시간적 제한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유효시간을 통해서 단말(200)의 지원 동작에 시간적 제한을 두는 것은, 여타 장치의 키입력지원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부터 요구되는 키입력지원요청 하나만을 처리하기 위해 시간이 과잉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부터의 키입력지원요청은, 인증코드의 유효시간이 경과됨과 동시에 실패로 처리되며, 이에 따라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에서 키 입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에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키입력지원요청을 새롭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코드는 예컨대, QR 코드 또는 숫자의 형태로 발급될 수 있다.
이후, 키입력 지원부(32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 대한 인증코드가 발급되면, 발급된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한다(S140-S170).
이를 위해서, 키입력 지원부(320)는 발급된 인증코드를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하여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에 노출시키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인증코드를 확인한 단말(200)로부터의 키입력값을 획득한다.
이때, 키입력 지원부(320)는,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에 노출된 인증코드를 단말(200)에서 확인하는 경우, 인증코드 내 실행정보에 따라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인증코드 내 접속정보에 따라 단말(200)이 접속되는 접속 화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에 노출된 인증코드를 단말(200)에서 확인한다는 것은, QR 코드 형태로 발급된 인증코드를 단말(200)에서 카메라를 통해서 인식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QR 코드 형태로 발급된 인증코드에는, 전술의 실행정보 또는 접속정보뿐만 아니라, 단말(200)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인증코드의 유형이 단순한 숫자의 형태로 발급된 경우라면, 단말(200)에서 키 입력 지원을 위해 이미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해당 숫자를 입력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만 이 경우에는 인증코드 내에 전술의 실행정보나 접속정보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나아가, 키입력 지원부(320)는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하여, 해당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예: 로그인 정보 입력 영역)의 입력값으로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에는,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키입력 지원부(320)는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 내 인증정보와 기 발급된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인증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미디어서비스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서비스장치(100)에서 요구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단말(200)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300)의 간소화된 입력 장치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등 기본 입력 장치의 기능을 보다 간소화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서비스장치(예: STB, OTT BOX)의 입력 장치에서 미 지원하는 문자(예: ID, Password) 등의 키 입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미디어서비스장치
200: 단말
300: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310: 인증코드 발급부 320: 키입력 지원부

Claims (14)

  1. 미디어서비스장치에 대해서 확인되는 키입력지원요청에 따라 인증코드를 발급하는 인증코드 발급부; 및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는 키입력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 발급부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에서 생성되는 상기 키입력지원요청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 발급부는,
    상기 인증코드의 발급 시점이 시점으로 설정되는 유효시간을 상기 인증코드에 부여하여, 상기 유효시간에 한해서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에 상기 인증코드를 노출시켜, 상기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키입력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단말에서 확인하는 경우, 상기 인증코드 내 실행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인증코드 내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접속되는 접속 화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의 입력값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 내 인증정보와 상기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8. 미디어서비스장치에 대해서 확인되는 키입력지원요청에 따라 인증코드를 발급하는 인증코드 발급단계; 및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는 키입력 지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에서 생성되는 상기 키입력지원요청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 발급단계는,
    상기 인증코드의 발급 시점이 시점으로 설정되는 유효시간을 상기 인증코드에 부여하여, 상기 유효시간에 한해서 상기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에 상기 인증코드를 노출시켜, 상기 서비스 화면으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확인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키입력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단말에서 확인하는 경우, 상기 인증코드 내 실행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인증코드 내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접속되는 접속 화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키입력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의 서비스 화면 내 특정 영역의 입력값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지원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 내 인증정보와 상기 인증코드 내 인증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키입력값을 상기 미디어서비스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KR1020220003558A 2022-01-10 2022-01-10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58A KR102624784B1 (ko) 2022-01-10 2022-01-10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58A KR102624784B1 (ko) 2022-01-10 2022-01-10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37A true KR20230108137A (ko) 2023-07-18
KR102624784B1 KR102624784B1 (ko) 2024-01-12

Family

ID=8742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58A KR102624784B1 (ko) 2022-01-10 2022-01-10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7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96B1 (ko) * 2010-04-23 2011-12-16 (주)필링크 클라우드 컴퓨팅 및 스마트폰 제어를 통한 티브이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60006545A (ko) * 2014-07-09 2016-01-19 (주)휴맥스 입력 장치와의 매핑을 통해 분할된 스크린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53628B1 (ko) * 2018-03-19 2019-03-04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장치 및 셋탑박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95961B1 (ko) * 2015-12-30 2020-04-01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 하는 서버,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96B1 (ko) * 2010-04-23 2011-12-16 (주)필링크 클라우드 컴퓨팅 및 스마트폰 제어를 통한 티브이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60006545A (ko) * 2014-07-09 2016-01-19 (주)휴맥스 입력 장치와의 매핑을 통해 분할된 스크린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5961B1 (ko) * 2015-12-30 2020-04-01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 하는 서버,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1953628B1 (ko) * 2018-03-19 2019-03-04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장치 및 셋탑박스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784B1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589B2 (en) Out-of-band challenge in a computer system
CN108566641B (zh) 支付辅助方法、装置以及设备
US9680821B2 (en) Resource access control for virtual machines
CN102695084B (zh) 从第二显示装置进行的设备加入处理
US9253192B1 (en) Pluggable login architecture and dynamic resource recognition
US104454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201300189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providing network services interchange
EP2755397A1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user personal account
US20120210135A1 (en) Client-based authentication
KR102286989B1 (ko) 원격 세션에 대한 사용자 특정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기법
CN102934101A (zh) 针对本地和远程数据的透明访问机制
EP3625721A1 (en) Impersonating target account via account redirection
CN109716331A (zh) 符合应用程序数据共享和决策服务平台模式的应用程序部署
WO2018071222A1 (en) User and device authentication for web applications
US9231943B2 (en) Client-based authentication
US9985970B2 (en) Individualized audit log access control for virtual machines
CN103581706A (zh) 智能电视的应用安装方法和系统
CN103973448A (zh) 一种基于动态二维码的操作授权方法及系统
CN103414866A (zh) 播放在线音视频的方法、嵌入式多媒体设备及电视
CN111865897A (zh) 一种云服务的管理方法及装置
CN104065674A (zh) 终端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KR20230108137A (ko) 미디어서비스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85269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cure remote hardware access through cross-device authentication
TWI467985B (zh) 支援群組基礎計費制的影片播放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WO2014134900A1 (zh) Iptv业务的放装实现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