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971A -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 Google Patents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971A
KR20230107971A KR1020220003217A KR20220003217A KR20230107971A KR 20230107971 A KR20230107971 A KR 20230107971A KR 1020220003217 A KR1020220003217 A KR 1020220003217A KR 20220003217 A KR20220003217 A KR 20220003217A KR 20230107971 A KR20230107971 A KR 20230107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s
screw rod
cover unit
contai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송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971A/ko
Publication of KR2023010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을 낱알로 배출하는 영양제 용기로서, 알약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마감하며 알약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유닛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알약을 낱알로 상기 커버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Nutritional Supplements Container for Easy Discharging of Grains}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알약의 배출이 가능한 영양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제나 알약을 낱알로 한 알씩 배출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packing vessel)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또는 유통 시 내용물의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 목적이나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포장용기에는 화장품, 의약품, 식품, 세제 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수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다.
포장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뚜껑을 개방하고, 용기본체를 기울여 내용물을 인출시키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내용물을 집어 꺼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위와 같이 용기본체를 기울여 내용물을 인출시킬 경우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내용물을 집어 꺼낼 경우 내용물이 용이하게 잡히지 않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내용물에 묻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강도가 낮은 캡슐형 화장품일 경우 사용자가 캡슐형 화장품을 잡는 도중 으깨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영양제 등의 약용기 같은 경우 환자 등이 약 복용시 용기뚜껑을 개방 후 복용 개수의 알약을 손에 쏟은 다음 손 위의 알약을 입에 넣는다. 그러나 손에 알약을 놓을 경우 손에 있는 세균으로 인해 알약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로부터 알약을 꺼낼 때 복용 이상 개수의 알약이 배출될 경우 복용 이외의 알약은 다시 용기본체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알약을 용기본체에 넣는 과정에서 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다.
따라서, 알약을 한 알씩 배출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양제 등의 약통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를 회전시켜 스크류에 안착되어 있던 알약을 한알 씩 밀어올려서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알약을 낱알로 배출하는 영양제 용기로서, 알약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마감하며 알약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유닛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알약을 낱알로 상기 커버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내부를 구획하면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커버유닛에 연결되고, 하부의 일부분에는 알약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이송챔버; 상기 이송챔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사산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알약을 이송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봉을 회전시키는 스크류봉 구동기; 및 상기 이송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봉의 날개부를 따라 승강하면서 알약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봉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스크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는 부분에 동일한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과 상기 이송챔버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이송챔버에 연통하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챔버; 상기 가이드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챔버에 노출되는 지지편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스크류봉 구동기의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바를 승강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가이드 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날개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알약의 상승을 가이드하고, 상기 지지편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강하면서 승강운동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마감하면서 결합되며 일부분에 개폐가 가능한 개폐구가 형성되어 있어 알약이 배출되는 외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의 내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알약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탄성력이 구비된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중심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십자홀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된 알약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용기는 날개부가 형성된 스크류봉이 스크류봉 구동기에 의해 회전하면서 영양제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을 한 알씩 날개부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용기는 가이드 바에 형성된 지지편에 의해 날개부를 통해서 이송되는 알약을 받쳐주면서 스크류봉의 상부로 한알씩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커버는 탄성력이 구비되고 십자홀이 형성된 역류방지캡이 결합되어 있어, 스크류봉을 통해서 밀려올라간 알약이 수월하게 배출은 가능하나, 한번 배출된 알약이 다시 용기의 내부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아래 방향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용기의 내부를 위 방향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내부커버가 노출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내부커버의 중심홀이 표현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용기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아래 방향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용기의 내부를 위 방향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내부커버가 노출된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내부커버의 중심홀이 표현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용기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을 낱알로 배출하는 영양제 용기로서, 본 발명은 몸체(100), 커버유닛(200) 및 이송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알약이 수용될 수 있다.
커버유닛(200)은 몸체(100)의 상부를 마감하며 알약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아래 방향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유닛(200)은 외부커버(210) 및 내부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커버(210)는 몸체(100)의 상부를 마감하면서 일부분에 개폐가 가능한 개폐구(212)가 형성되어 있어 알약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구(212)는 외부커버(210)의 일부분에 외력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절곡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외부커버(210)에 힌지 결합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내부커버(220)는 외부커버(210)의 내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중심홀(222)이 형성되어 있어 이송유닛(300)으로부터 이송된 알약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홀(222)은 스크류봉(320)의 날개부(32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스크류봉(320)을 통해서 이송된 알약을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심홀(222)을 통해서 배출된 알약이나 영양제는 개폐구(21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전까지는 외부커버(210)와 내부커버(220)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역류방지캡(230)이 중심홀(222)에 결합되어 있어 배출된 알약 등이 다시 몸체(100)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유닛(200)은 역류방지캡(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류방지캡(230)은 탄성력이 구비된 소재로 제작되어 중심홀(222)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십자홀(232)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된 알약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류방지캡(230)의 재료로는 내구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합성수지의 종류로는 페놀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폴리 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아/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이송유닛(300)은 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커버유닛(200)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알약을 낱알로 커버유닛(2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아래 방향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용기의 내부를 위 방향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이송유닛(300)은 이송챔버(310), 스크류봉(320), 스크류봉 구동기(330) 및 가이드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챔버(310)는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내부를 구획하면서 구비되어 상부가 커버유닛(200)에 연결되고, 하부의 일부분에는 알약이 유입되는 유입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챔버(310)는 몸체(100)의 중심부에서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몸체(100)의 내부를 알약의 수용을 위한 공간과 수용된 알약의 이송을 위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스크류봉(320)은 이송챔버(3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사산 형상의 날개부(322)가 형성되어 있어 알약을 이송시키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스크류봉(320)의 날개부(322)는 서로 대칭하는 부분에 동일한 형상의 관통홀(32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322)는 관통홀(324)의 경계 중 상측 경계에 걸림턱(323)이 형성되어 있어 알약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홀(324)은 연장된 방향이 스크류봉(320)의 반경방향이며, 날개부(322)의 반경 외측 경계로부터 반경 내측으로 파여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봉 구동기(330)는 스크류봉(320)에 연결되고 몸체(100)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회전하여 스크류봉(3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340)는 이송챔버(310)에 연결되며 스크류봉(320)의 날개부(322)를 따라 승강하면서 알약의 이송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내부커버가 노출된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내부커버의 중심홀이 표현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용기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40)는 가이드 챔버(342), 가이드 바(344) 및 가이드 바 홀더(34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챔버(342)는 몸체(100)의 내벽과 이송챔버(310)에 각각 연결되며 이송챔버(310)에 연통하면서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344)는 가이드 챔버(3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송챔버(310)에 노출되는 지지편(345)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344)는 지지편(345)에 의해 날개부(322)를 따라 상승하면서 알약의 상승을 가이드하고, 지지편(345)이 관통홀(324)을 통해 하강하면서 승강운동이 반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344)는 지지편(345)이 날개부(322)에 안착되어 스크류봉(320)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상의 날개부(322)를 따라서 상승되는데, 이때, 지지편(345)이 알약을 받쳐주어 알약의 상승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바(344)는 날개부(322)의 관통홀(324)을 지지편(345)이 관통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바(344)는 날개부(322)와 관통홀(324)을 통해서 상기와 같은 운동이 반복되어 알약의 상승을 반복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편(345)은 스크류봉(320)의 회전으로 인해 나선형상의 날개부(322)가 회전시 날개부(322)를 따라 수직 상승하면서 알약을 상부로 이송시키고 가이드 바(344)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편(345)은 관통홀(324)을 통해 하강하면서 가이드 바(344)를 하강시키고 순차적으로 다음 알약을 상부로 배출시킬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때, 지지편(345)이 관통홀(324)을 통해서 하강할 시 걸림턱(323)에 걸리면서 안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다음 번 알약의 이송을 준비할 수 있다. 관통홀(324)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날개부(322)의 일부분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한 날개부(322)의 다른 일부분으로 상승한 알약은, 걸림턱(323)에 의해 걸려, 하측에 위치한 날개부(322)로 내려가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바 홀더(346)는 커버유닛(200)과 스크류봉 구동기(330)의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 바(344)를 승강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 홀더(346)는 내부커버(220)의 일부분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크류봉 구동기(330)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어, 가이드 바(344)의 상하단이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바(344)는 상하단이 가이드 바 홀더(346)에 지지되면서 스크류봉(320)의 날부개(322)를 지지편(345)이 따라 상승하고, 관통홀(324)을 통해 하강하는 승강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용기는 날개부(322)가 형성된 스크류봉(320)이 스크류봉 구동기(330)에 의해 회전하면서 영양제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을 한 알씩 날개부(322)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 용기는 가이드 바(344)에 형성된 지지편(345)에 의해 날개부(322)를 통해서 이송되는 알약을 받쳐주면서 스크류봉(320)의 상부로 한알씩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커버(220)는 탄성력이 구비되고 십자홀(232)이 형성된 역류방지캡(230)이 결합되어 있어, 스크류봉(320)을 통해서 밀려올라간 알약이 수월하게 배출은 가능하나, 한 번 배출된 알약이 다시 용기의 내부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몸체 200 : 커버유닛
210 : 외부커버 212 : 개폐구
220 : 내부커버 222 : 중심홀
230 : 역류방지캡 232 : 십자홀
300 : 이송유닛 310 : 이송챔버
312 : 유입구 320 : 스크류봉
322 : 날개부 323 : 걸림턱
324 : 관통홀 330 : 스크류봉 구동기
340 : 가이드 부재 342 : 가이드 챔버
344 : 가이드 바 345 : 지지편
346 : 가이드 바 홀더

Claims (7)

  1. 알약을 낱알로 배출하는 영양제 용기로서,
    알약이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마감하며 알약이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유닛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 알약을 낱알로 상기 커버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내부를 구획하면서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커버유닛에 연결되고, 하부의 일부분에는 알약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이송챔버;
    상기 이송챔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사산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알약을 이송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봉을 회전시키는 스크류봉 구동기; 및
    상기 이송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봉의 날개부를 따라 승강하면서 알약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스크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는 부분에 동일한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과 상기 이송챔버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이송챔버에 연통하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챔버;
    상기 가이드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챔버에 노출되는 지지편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스크류봉 구동기의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바를 승강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가이드 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지지편에 의해 상기 날개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알약의 상승을 가이드하고, 상기 지지편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강하면서 승강운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마감하면서 결합되며 일부분에 개폐가 가능한 개폐구가 형성되어 있어 알약이 배출되는 외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에 내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중심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알약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커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탄성력이 구비된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중심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십자홀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된 알약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제 용기.
KR1020220003217A 2022-01-10 2022-01-10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KR20230107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17A KR20230107971A (ko) 2022-01-10 2022-01-10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17A KR20230107971A (ko) 2022-01-10 2022-01-10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71A true KR20230107971A (ko) 2023-07-18

Family

ID=8742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17A KR20230107971A (ko) 2022-01-10 2022-01-10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9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2879B2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EP2835075B1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20160280447A1 (en) Sports and/or mixing bottle
KR101238245B1 (ko) 고체 약물 전달용 분배 캐니스터
US20070181614A1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CN106536370A (zh) 用于安装在液体容器上的封闭帽
US8376134B1 (en) Drink bottle with multiple drink dosage device
US20070029213A1 (en) Dispenser with detachable trays and cup
US10675217B2 (en) Spherical pill container with domed lid
US10196197B2 (en) Packaging container with improved discharge rate of capsule-shaped contents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230107971A (ko) 낱알의 배출이 용이한 영양제 용기
KR101894005B1 (ko) 버튼식 디스펜서 용기
WO2013044576A1 (zh) 一种瓶体结构
US20040045978A1 (en) Dispenser
KR200316742Y1 (ko) 휴대용 보관케이스
CA2522791C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CN218010373U (zh) 一种装配式小罐多剂量颗粒盒
CN208828470U (zh) 一种用于盛放固体药物的药瓶
CN219750493U (zh) 一种便利食品包装盒
KR20190018915A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CN210972340U (zh) 一种出粒罐
CN208760993U (zh) 定量落料器
US9862534B2 (en)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prismatic tablets
CN112849717B (zh) 一种出料结构及出料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