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283A -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283A
KR20230107283A KR1020237019065A KR20237019065A KR20230107283A KR 20230107283 A KR20230107283 A KR 20230107283A KR 1020237019065 A KR1020237019065 A KR 1020237019065A KR 20237019065 A KR20237019065 A KR 20237019065A KR 20230107283 A KR20230107283 A KR 2023010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connector
aerosol
fac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쎄 치엑 어우
테크 얀 찬
영 타우르 이오우
다니 루스치오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3010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sphe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2Three-pol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pin sha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용 충전 유닛(103),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용 전기 커넥터.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유닛(103) 및 제1 커넥터 부분(1)과 제2 커넥터 부분(21)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 중 하나를 가지며, 충전 유닛(103)은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 중 다른 하나를 갖는다. 제1 커넥터 부분(1)은, 제1 전기 접촉부(3); 제1 전기 접촉부(3)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4); 및 제2 전기 접촉부(4)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5)를 포함한다. 제2 전기 커넥터 부분(21)은, 면(26)과 면(6)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27); 돌출부(27) 상에 배열되는 제1 전기 접촉부(23); 면(26)에 배열되고 제1 전기 접촉부(23)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기 접촉부(24); 및 면(26)에 배열되고 제2 전기 접촉부(23)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는 제3 전기 접촉부(2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가 충전 유닛(103)에 의해 수용될 경우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이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할 경우: 제1 커넥터 부분(1)에 대해 상대적인 제2 커넥터 부분(21)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1 전기 접촉부(3)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제1 전기 접촉부(23)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2 전기 접촉부(4)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제2 전기 접촉(24)부 및 제3 전기 접촉부(25)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및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5)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제2 전기 접촉부(24) 및 제3 전기 접촉부(25)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본 개시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에 또한 관한 것이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히터를 포함하며, 히터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작동된다. 통상적으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히터는 저항성 전기 히터, 유도 히터 등일 수 있다.
일부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담배의 주름진 권축된 시트와 같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에서, 장치는, 통상적으로 물품이 장치 내에 수용될 경우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배열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물품은 종래의 담배와 유사한 로드 형태로 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함께 감싸져 있는 필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에서, 장치는 히터 및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종종 카토마이저로 지칭된다. 카토마이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형의 히터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침지된 세장형 심지 둘레에 권취된 히터 와이어의 코일을 포함한다.
일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을 포함한다. 충전 유닛은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된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 및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 유닛은 휴대용이며 장치의 작동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장치가 반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 및 용이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어떠한 각 위치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과 완전히 정렬되지 않는 곳에서 가능하게 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 유닛, 및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가질 수 있고, 충전 유닛은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갖는다.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과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되는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경우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할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및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 중 다른 하나를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충전 유닛에 대해 상대적인 장치의 각 위치에 상관없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 및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장치와 충전 유닛이 보이지 않을 때, 예컨대 어둠 속에서 또는 사용자가 다른 곳에 주의를 기울일 때, 사용자가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는 단부 면, 및 면과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배열된다.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는 전기 접촉부가 배열되지 않는다. 즉,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은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 중심에는 전기 접촉부가 배열되지 않는다. 돌출부 상에 배열된 유일한 전기 접촉부(들)는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커넥터 부분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접촉부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많은 횟수로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견고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오정렬로 인해 커넥터 부분의 연결 및 분리 중에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과 제1 커넥터 부분 사이의 원하지 않는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유닛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고, 공동이 길이 방향 축을 갖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의 길이 방향 축과 정렬되지 않으면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커넥터 부분이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과 오정렬될 수 있다. 공동 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이러한 오정렬은, 제1 커넥터 부분이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의 제1 접촉부와 바람직하지 않게 충돌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원하지 않는 접촉은, 돌출부의 단부 면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를 위치시키지 않음으로써, 제2 커넥터 부분은 정상적인 사용 동안 손상에 대해 더욱 탄력적으로 제조된다.
일부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 또는 폭보다 큰 직경 또는 폭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수용 공동을 갖는 충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 또는 폭보다 큰 직경 또는 폭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수용 공동을 갖는 충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은, 충전 유닛의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 또는 폭에 비해 큰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공동을 갖는 충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삽입될 경우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오정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연결 및 분리 중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손상시킬 위험을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전 유닛이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큰 직경을 갖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일부 바람직한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측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수용 공동을 갖는 충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 수용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측면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충전 유닛의 공동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쇄 단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두 개의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은 공동의 베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측벽 및 폐쇄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트러프를 정의한다. 공동의 일 측면은 개방될 수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공동 내로 측면 또는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동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측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이 있는 충전 유닛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측방향 이동으로 인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연결 및 분리 동안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손상시키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에 수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 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면에 배열되고,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면에 배열되고, 제3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만큼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에는 전기 접촉부가 배열되지 않는다. 즉,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의 단부 면은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의 중심에 배열된 전기 접촉부는 없다. 오목부 내에 배열된 유일한 전기 접촉부(들)는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의 입을 거쳐서 사용자의 폐 속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휘발성 화합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저항성 전기 히터, 유도 히터 등과 같은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가열 즉시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체결'은 전류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에서 흐를 수 있게 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전기 연결 또는 전기 접촉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각도 위치'는 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대적인 다른 하나의 구성 요소의 상대적인 회전 위치 또는 배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류', '하류', '근위' 및 '원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 부분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 방향'은 하류, 근위 또는 마우스 단부와 대향하는 상류 또는 원위 단부 사이의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용어 '가로 방향'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는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원위 또는 상류 단부와 근위 또는 하류 단부 사이의 최대 길이 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경'은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최대 가로 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가로 방향 단면'은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 각각의 주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단면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운반하거나, 또는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접지 연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접지 연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 데이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사용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의 충전 상태, 장치의 사용 횟수, 히터의 사용 횟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고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장치로 및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장치가 단일 전기 커넥터 부분만을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 부분을 갖는 장치와 비교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한번 이상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경험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분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일련의 퍼프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사용자 경험을 구성하는 퍼프의 수는 임의의 적합한 수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퍼프의 수는 2회 내지 20회의 퍼프일 수 있고, 4회 내지 12회의 퍼프일 수 있고, 약 6회 또는 7회의 퍼프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1, 2, 3, 4, 5 또는 6회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충전 유닛은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 및 커패시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 사이에서 전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복수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충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예컨대 1회 내지 20회의 사용자 경험, 5회 내지 15회의 사용자 경험 및 약 10회의 사용자 경험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충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주 전기 전력 공급부와 같은 외부 전기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지 않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둘 모두를 소지하여 연장된 시간 동안, 예컨대 1일 또는 1주에 걸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 가능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보다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보다 물리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충전 유닛의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젼력 공급부 사이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접지 연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일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들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비슷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휴대용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 유닛 또한 휴대용일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궐련의 종래의 패킷과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휴대용 충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충전 유닛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소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수명을 희생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가 더 작고 더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게 하며, 이는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가 고갈될 때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접촉부는 구리 또는 금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기 접촉부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것이고, 다른 구현예에서 전기 접촉부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거나 격리된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거나 격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거나 격리될 수 있다. 각각의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의 전기적 분리 또는 격리는 인접한 전기 접촉부 사이에 배열되는 전기 절연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기적 분리 또는 격리는 인접한 전기 접촉부를 이격시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은 1x10-4 Ωm 이하의 전기 비저항을 갖는 재료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성'은 1x104 Ωm 이상의 전기 비저항을 갖는 재료를 지칭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전기 접촉부는 탄성 접촉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접촉부는 리프 스프링 접촉부일 수 있다.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일 수 있다. 핀 접촉부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통상적으로 표면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핀 접촉부는 탄성 핀 접촉부 또는 '포고 핀' 접촉부일 수 있다. 즉, 핀 접촉부는 탄성 또는 스프링 장착 접촉부일 수 있다. 전기 접촉부는 판 접촉부일 수 있다. 판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평면 위나 내부 또는 표면 위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기 접촉부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든 전기 접촉부는 동일한 유형의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기 접촉부는 상이한 유형의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하나의 유형의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다른 유형의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동일한 유형의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플레이트 전기 접촉부이다. 즉, 통상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평면 위나 내부 또는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은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 중 각각의 하나는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표면 위나 그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다. 즉,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 각각은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동심원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주위에서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면에 배열되고 제1 전기 접촉부와 오목부를 둘러싸는 고리를 형성하고; 및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면에서 배열되고, 오목부와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를 둘러싸는 링을 형성한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동일한 유형의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핀 전기 접촉부이다. 즉, 통상적으로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평면 또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제2 커넥터 부분의 평면 또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통상적으로,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가 그 위에 배열되는 평행한 표면을 포함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 각각은 그 위에 배열되는 표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된다.
제2 전기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탄성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특히, 제2 전기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포고 핀 전기 접촉부일 수 있다. 포고 핀 전기 접촉부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과 작은 움직임에 노출될 때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동일한,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3 전기 접촉부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 및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는 평면형 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오목부는, 폐쇄 단부, 단부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된다. 제1 전기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오목부의 폐쇄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면에서 배열되고, 오목부 및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면에 배열되고, 오목부와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 및 평면형 면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면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평면형 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평면형 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제2 거리만큼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더 길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를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로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는 테이퍼가 질 수 있다. 돌출부는, 단부 면에서 돌출부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큰 폭 또는 직경을, 면에서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커넥터 부분의 면이 제2 커넥터 부분의 면과 정렬되지 않은,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로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는, 제1 커넥터 부분이 제2 커넥터 부분에 경사지는 오목부 내로의 돌출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의 단부 면 및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사이의 계면은 둥글 수 있다. 돌출부의 단부 면과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사이의 계면은 사선형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돌출부의 단부 면과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사이에 둥글거나 사선형 계면을 제공하는 것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완전히 정렬되지 않은 오목부 내로의 돌출부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경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제2 커넥터 부분의 면에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커넥터 부분의 면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면에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제1 커넥터 부분의 면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들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와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오목부 및 돌출부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제1 커넥터 부분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서의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체결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마찰 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부에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 오목부는, 돌출부가 오목부 내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가 오목부 내에 스냅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추가 갯수의 전기 접촉부를 가질 수 있고, 추가 전기 접촉부는 임의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커넥터 부분은 제4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전기 접촉부는 면에 배열될 수 있다.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4 전기 접촉부는 제2 전기 접촉부와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 전기 접촉부는 제2 거리만큼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다. 즉, 제4 전기 접촉부는 제3 전기 접촉부와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4 전기 접촉부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기 위한 삽입 감지 접촉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시에서, 제4 전기 접촉부는 제1 커넥터 부분 상의 접지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어기는 제4 접촉부가 접지로 당겨질 때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서로 전기적으로 체결됨을 나타낸다.
다른 예시에서, 제4 전기 접촉부는 탄성 핀 접촉부가 압축될 때 닫히는 스위치와 통신하는 탄성 핀 접촉부일 수 있다. 스위치는 충전 유닛의 제어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스위치가 폐쇄될 때 제1 커넥터 부분이 제2 커넥터 부분과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보다 작다. 오목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의 75% 이하일 수 있고 또는 면의 직경의 약 21% 이하일 수 있다.
돌출부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보다 작다. 돌출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의 75% 이하일 수 있거나, 면의 직경의 약 21% 이하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돌출부의 단부 면과 측벽 사이의 교차점은 경사지거나, 기울어지거나 또는 모따기되어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에 돌출부가 위치를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은 전기 접촉부가 장착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본체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가지며, 충전 유닛은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은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커넥터 부분은 충전 유닛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가 핀 접촉부인 경우, 충전 유닛 상에 제2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충전 유닛이 손상으로부터 핀 접촉부에 대한 개선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 및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근위 단부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하여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단부일 수 있다. 따라서, 근위 단부는 또한 마우스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 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하나보다 큰 순서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대칭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일 수 있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종래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직경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30 mm 내지 약 121 mm 또는 약 21 mm 내지 약 120 mm 또는 약 90 mm 내지 1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5 mm 내지 약 30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 또는 약 25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 히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에서 카트리지, 히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카트리지, 히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 또는 히터와 물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조합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분무기는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장치는 장치의 원위 단부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장치의 원위 단부 면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우스 단부에 대향하는,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면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원위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저항성 전기 히터, 또는 유도 히터일 수 있다. 장치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히터는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는 제어기,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유닛은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가로방향 단면을 갖는다.
충전 유닛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임의의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핸드헬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은 종래의 궐련 팩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직경 및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충전 유닛은 약 21 mm 내지 약 2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약 10 mm 내지 약 121 mm, 또는 약 21 mm 내지 약 100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의 공동은 공동에 수신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로방향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공동은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대칭일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임의의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공동에 제공하는 것은,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세장형일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가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수신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또는 하류 단부가 공동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큰 길이를 가질 수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수용되게 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장치가 공동 내에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충전 유닛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커넥터 부분을 실질적으로 차폐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공동은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개방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삽입되고 공동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공동은 또한 개방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폐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단부면에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 있는 단부 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들 특정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의 공동의 개방 단부 내에 삽입하고, 장치의 원위 단부면에 배열되는 커넥터 부분을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되는 커넥터 부분과 접촉하게 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측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측면에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구현예에서, 공동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쇄 단부, 및 두 개의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측벽은 공동의 베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측벽 및 두 개의 폐쇄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트러프를 정의할 수 있다. 공동의 일 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공동의 일 측면은 개방될 수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공동 내로 측면 또는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동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측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이 있는 충전 유닛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측방향 이동으로 인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연결 및 분리 동안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손상시키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의 공동이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원통형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 내에서 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들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장치가 충전 유닛의 공동에 대하여 임의의 각 위치에서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파괴하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충전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충전 유닛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하우징은 공동을 정의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공동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하우징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이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 전력 공급부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 유닛을 주 전기 전력 공급부와 같은 외부 전기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제어기,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커넥터 부분과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체결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체결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에 마찰 끼워맞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장치는 충전 유닛의 공동의 개방 단부 또는 측면을 해제가능하게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덮개와 같은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커넥터 부분을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충전 유닛 상에 배열된 탄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유지 장치는 리프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지 장치는 자성 유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유지 장치는 제1 자성 재료와 제2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 재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자성 재료는 충전 유닛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및 제2 자성 재료가 서로 근접하게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가 서로 끌어당기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 체결 상태에서 해제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배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자성 요소'는 자성 재료를 포함한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자성 재료'는 상자성 및 강자성 재료 모두를 포함하여, 자기장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재료를 설명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자화 가능 재료는 상자성 재료이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의 존재 시, 단지 자화된 채로 남아있게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화 가능 재료는 외부 자기장 존재 시 자화되고, 외부 자기장이 제거된 후에 자화된 채로 잔류하는 재료일 수 있다(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성 재료"는 자화 가능 재료뿐만 아니라, 이미 자화된 재료의 종류 둘 모두를 포괄한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네오디뮴, 철 및 붕소와 같은, 네오디뮴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강자성 스테인리스 스틸, 예컨대 SS430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에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2 자성 요소는 충전 유닛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에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지 않을 때, 자성 유지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함께 전기적 체결 상태로 끌어당겨지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자체 정렬 및 자체 체결을 제공하여, 전기적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자성 유지 장치는 사용자가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을 때, 자성 유지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분리하는 데 필요한 특정 힘을 증가시킨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예를 들어 운송 동안 진동과 회전을 통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근접하여"는 인접하거나 이웃하는 물체들과 같은, 서로 근접한 두 개의 물체의 상대적 배열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커넥터 부분에 근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자성 재료는 커넥터 부분에서 또는 그 위에 배열되어 있거나 짧은 거리만큼 커넥터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자성 재료를 지칭한다. 이 맥락에서, 짧은 거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의 치수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자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 재료가 전기 접촉부 중 하나를 형성하지 않은 구현예에서, 자성 재료는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1 자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커넥터 부분에서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자성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커넥터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기 접촉부 뒤에 배열된 자성 재료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원위 단부 면에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자성 요소는 장치 내의 커넥터 부분의 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1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자성 재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3 전기 접촉부는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어서, 제3 전기 접촉부가 제1 자성 요소이다. 제1 자성 요소가 전기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이 아닌 구현예에서, 제1 자성 요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2 자성 요소는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에서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자성 요소는 실질적으로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뒤에 배열된 자성 재료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이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자성 재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사이에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되는 자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자성 요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의 대향 측면에서 배열된 자성 재료의 두 몸체를 포함할 수 있어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자성 재료의 두 몸체 사이에 배열되도록 한다. 자성 재료의 두 몸체는 실질적으로 아치형일 수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실질적으로 환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자성 재료의 환형 몸체, 링 또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재료의 환형 몸체, 고리 또는 관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를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충전 유닛의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가 통과할 수 있는 중심 통로를 상기 환형 몸체 또는 관이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이 공동을 포함하고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이 공동의 폐쇄 단부에 배열되는 경우,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자성 재료의 북-남 자극이 공동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자성 유지 장치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내로 끌어당기는 것을 돕고 전기적 체결 상태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자성 요소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 부분은 제2 자성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접촉부로서,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상기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된다. 이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연결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연장 위치에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게 배열되고;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1 및 제2 사이의 자력의 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를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크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이동 길이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이동 길이는 임의의 적합한 거리일 수 있다.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이동 길이는 적어도 0.1 mm, 적어도 0.2 mm 또는 적어도 0.3 mm일 수 있다.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이동 길이는 약 0.1 mm 내지 약 1.5 mm, 약 0.2 mm 내지 약 1 mm 또는 약 0.3 mm 내지 약 0.7 mm일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가 제1 커넥터 부분에 의해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 쪽으로 눌러질 때,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연장 위치의 방향으로 제1 부분에 편향력을 가한다.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편향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자력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의 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를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크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자력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편향력을 극복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함께 당길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자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당기는 경향이 있고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제1 커넥터 부분에 의해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를 향해 눌려진다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 체결 상태로 이동시킬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서 체결할 때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가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를 향하여 눌림에 따라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편향력으로부터 저항을 경험하지 않게 하는 정도이다. 즉, 제1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편향력을 숨기거나 차폐할 만큼 충분히 크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적어도 0.1 뉴턴, 적어도 0.15 뉴턴 또는 적어도 0.2 뉴턴, 적어도 0.5 뉴턴, 적어도 1 뉴턴 또는 적어도 1.5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적어도 0.15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약 0.1 뉴턴 내지 약 10 뉴턴, 약 0.5 뉴턴 내지 약 5 뉴턴, 또는 약 1.5 뉴턴 내지 약 4.0 뉴턴일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2 연결 위치에 추가로 위치할 수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2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함몰 위치에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위치할 때, 함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는 제1 커넥터 부분에 편향력을 가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제1 커넥터 부분 상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보다 더 크다. 자력의 이러한 힘은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편향력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제2 연결 위치로부터 밀어낼 수 없도록 보장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중량과 제1 커넥터 부분 상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촉부의 편향력보다 더 크다. 이러한 자력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시스템의 배향에 관계없이 제2 연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전기적 체결 상태로 제1 및 제2 커넥터가 함께 당기도록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자체 정렬 및 자체 체결을 제공하여, 전기적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사용자가 장치와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와 용이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분리하는 데 요구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예를 들어 운송 동안 진동과 회전을 통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적어도 0.5 뉴턴, 적어도 1 뉴턴, 적어도 1.5 뉴턴, 적어도 2 뉴턴, 적어도 3 뉴턴 또는 적어도 4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적어도 1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약 0.5 뉴턴 내지 약 10 뉴턴, 약 1 뉴턴 내지 약 5 뉴턴, 또는 약 1.5 뉴턴 내지 약 4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은 약 1.5 뉴턴 내지 약 4 뉴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실질적으로 상기 면의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부분은, 오목부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기 접촉부는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열된다. 오목부의 폐쇄 단부에는 전기 접촉부가 배열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전기 커넥터 부분을 통한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을 위해 상기 전기 커넥터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 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장치가 한 단부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전기 커넥터 부분은 대향 단부에서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이 또한 제공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장치가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전기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기 접촉부는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열된다. 돌출부의 단부 면 상에 전기 접촉부가 배열되지 않는다.
전기 커넥터 부분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폐쇄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가 또한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열된다. 돌출부의 단부 면 상에 전기 접촉부가 배열되지 않는다.
전기 커넥터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상기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3 전기 접촉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제2 커넥터 부분의 회전 배향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체결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정의된다. 그러나, 아래에는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리스트가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 구현예, 또는 양태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EX1.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유닛; 및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갖고,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가짐)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할 경우에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각도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 실시예 EX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 실시예 EX3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4. 실시예 EX2 또는 EX3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의 중심에 배열되지 않고/않거나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접촉부(들)가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5.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6. 실시예 EX5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7. 실시예 EX6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8. 실시예 EX6 또는 EX7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의 단부 면의 중심에 배열되지 않고/않거나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 접촉부(들)가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9.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0. 실시예 EX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1.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2. 실시예 EX1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3.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4. 실시예 EX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5.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6.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7.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다른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8. 실시예 EX1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19.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면에 배열된 제4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0. 실시예 EX19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기 위한 삽입 감지 접촉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1. 실시예 EX20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하나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2. 실시예 EX2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충전 유닛은, 상기 제4 접촉부가 접지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3. 실시예 EX19 내지 EX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고, 선택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4. 실시예 EX19 내지 EX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고, 선택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5. 실시예 EX19 내지 EX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6.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은 핀 접촉부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7.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리프 스프링 접촉부이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8.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적어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을 포함하되, 상기 공동은 개방 단부 및 폐쇄 단부를 갖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29. 실시예 EX2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단부 면에 배열되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 있는 단부 면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0. 실시예 EX28 또는 EX29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단부 면에 배열되고;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 있는 단부 면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1. 실시예 EX28 내지 EX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측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2. 실시예 EX28 내지 EX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쇄 단부, 및 상기 두 개의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측벽은 상기 공동의 일 측면에 개구를 정의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3. 실시예 EX32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일 측면에서의 개구는, 상기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4.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5.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과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체결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6. 실시예 EX35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에 제공된 제1 자성 재료 및 상기 충전 유닛 상에 제공된 제2 자성 재료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가 서로 근접하게 되어 상기 유지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체결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7. 실시예 EX36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재료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에 근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자성 재료는 상기 충전 유닛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에 근접하게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38. 실시예 EX1 내지 EX37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39. 전기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 상기 오목부 내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0. 실시예 EX39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1. 실시예 EX4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2. 실시예 EX40 또는 EX41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3. 실시예 EX39 내지 EX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4. 실시예 EX39 내지 EX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부 면에서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5. 실시예 EX39 내지 EX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6. 실시예 EX39 내지 EX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커넥터 부분에 근접한 자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EX47. 실시예 EX1 내지 EX3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충전 유닛.
EX48.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으로서, 상기 충전 유닛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하우징; 및 장치가 공동 내에 수용될 경우에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전기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충전 유닛.
EX49. 실시예 EX4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충전 유닛.
EX50. 실시예 EX49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충전 유닛.
EX51. 실시예 EX49 또는 EX50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는 상기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는, 충전 유닛.
EX52. 실시예 EX49 내지 EX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유닛.
EX53. 실시예 EX49 내지 EX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은 상기 면에 배열된 제4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충전 유닛.
EX54. 실시예 EX53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커넥터 부분이 다른 커넥터 부분과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를 감지하기 위한 삽입 감지 접촉부로서 구성되는, 충전 유닛.
EX55. 실시예 EX54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제4 접촉부가 접지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이 다른 커넥터 부분과 전기적으로 체결됨을 나타내는, 충전 유닛.
EX56. 실시예 EX53 내지 EX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는, 충전 유닛.
EX57. 실시예 EX53 내지 EX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는, 충전 유닛.
EX58. 실시예 EX53 내지 EX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인, 충전 유닛.
EX59. 실시예 EX53 내지 EX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은 핀 접촉부인, 충전 유닛.
EX60. 실시예 EX48 내지 EX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리프 스프링 접촉부이고, 상기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인, 충전 유닛.
EX61. 실시예 EX48 내지 EX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동은 개방 단부 및 폐쇄 단부를 갖는, 충전 유닛.
EX62. 실시예 EX6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분은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서 단부 면에 배열되는, 충전 유닛.
EX63. 실시예 EX48 내지 EX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측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64. 실시예 EX48 내지 EX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쇄 단부, 및 상기 두 개의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측벽은 상기 공동의 일 측면에 개구를 정의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65. 실시예 EX64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일 측면에서의 개구는, 상기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X66. 실시예 EX48 내지 EX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커넥터 부분에 근접한 자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유닛.
EX67. 실시예 EX1 내지 EX37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
EX68.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X69. 실시예 EX6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커넥터.
EX70. 실시예 EX69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
EX71. 실시예 EX69 또는 EX70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
EX72. 실시예 EX68 내지 EX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전기 커넥터.
EX73. 실시예 EX7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커넥터.
EX74. 실시예 EX73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
EX75. 실시예 EX73 또는 EX74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
EX76. 실시예 EX68 내지 EX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면에 배열된 제4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X77. 실시예 EX76에 있어서, 상기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기 위한 삽입 감지 접촉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EX78. 실시예 EX76 또는 EX77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
EX79. 실시예 EX76 또는 EX77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
EX80. 실시예 EX76 내지 EX7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4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인, 전기 커넥터.
EX81. 실시예 EX68 내지 EX8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 중 하나 이상은 핀 접촉부인, 전기 커넥터.
EX82. 실시예 EX68 내지 EX8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리프 스프링 접촉부이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핀 접촉부인, 전기 커넥터.
EX83. 실시예 EX68 내지 EX8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제1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EX84. 실시예 EX68 내지 EX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과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체결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X85. 실시예 EX84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 상에 제공된 제1 자성 요소,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 상에 제공된 제2 자성 요소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자성 재료가 서로 근접하게 되어 상기 유지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체결을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
이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1 커넥터 부분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제1 커넥터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2 커넥터 부분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제2 커넥터 부분은 도 1의 제1 커넥터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제2 커넥터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본 시스템은 충전 유닛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고, 충전 유닛은 도 3 및 도 4의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본 시스템은 충전 유닛에 측방향으로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6의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 유닛에 수용되고 전기 커넥터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2 커넥터 부분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제2 커넥터 부분은 도 1의 제1 커넥터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도 9는 도 8의 제2 커넥터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본 시스템은 충전 유닛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고, 충전 유닛은 도 8 및 도 9의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제2 커넥터 부분의 자성 유지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자성 유지 구조의 자석 중 하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1 연결 위치에 있는 도 10의 구현예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2 연결 위치에 있는 도 10의 구현예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1 커넥터 부분(1)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1 커넥터 부분(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미도시)의 원위 단부 면에 배열된다. 제1 커넥터 부분(1)은 세 개의 전기 접촉부, 즉 제1 전기 접촉부(3), 제2 전기 접촉부(4) 및 제3 전기 접촉부(5)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부분(1)은 면(6)의 중심에 위치하는 오목부(7)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원형 면(6)을 포함한다. 오목부(7)는, 면(6)에서 개방 단부, 폐쇄 단부 면을 갖는 대향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관형 측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원통이다. 오목부(7)의 폐쇄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면(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놓여 있다. 원형 면(6)은 약 10 mm의 직경을 갖고, 오목부(7)는 약 4 mm의 직경 및 약 4 mm의 깊이를 갖는다.
제1 전기 접촉부(3)는 오목부(7) 내에 배열된다. 제1 전기 접촉부(3)는 오목부(7)의 측벽에 배열된다. 제1 전기 접촉부(3)는 실질적으로 관형이며 실질적으로 오목부(7)의 관형 측벽 위로 연장된다. 제1 전기 접촉부(3)는 약 0.1 mm의 두께를 가져서, 오목부(7)에 제1 전기 접촉부(3)를 위치시키는 것이 오목부(7)의 직경을 상당히 감소시키지 않는다. 제1 전기 접촉부(3)는 약 3.8 mm의 폭을 갖고, 제1 전기 접촉부(3)가 오목부(7)의 폐쇄 단부 면에 또는 오목부(7)의 개방 단부 바깥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오목부(7)에 위치한다. 오목부(7)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된 전기 접촉부는 없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4, 5)는 평면형 면(6)에 배열된다. 제2 전기 접촉부(4)는 환형이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6)에 걸쳐 연장된다. 제2 전기 접촉부(4)는 오목부(7) 및 제1 전기 접촉부(3) 둘 다를 둘러싼다. 제2 전기 접촉부(4)는 약 6 mm의 외경 및 약 4.6 mm의 내경을 갖고 있어, 제2 전기 접촉부(4)가 오목부(7)와 중첩하지 않거나 제1 전기 접촉부(3)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제3 전기 접촉부(5)는 환형이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6)에 걸쳐 연장된다. 제3 전기 접촉부는 제2 전기 접촉부(4), 오목부(7), 및 제1 전기 접촉부(3)를 둘러싼다. 제3 전기 접촉부(45)는 약 8 mm의 외경 및 약 6.6 mm의 내경을 갖고 있어, 제3 전기 접촉부(5)가 제2 전기 접촉부(4)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3, 4, 5)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3, 4, 5)는 모두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4, 5)는 평면형 면(6) 위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고, 제1 전기 접촉부(3)는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4, 5)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표면 상에서 오목부(7)의 측벽 상에서 연장된다.
본 구현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4, 5)는 SS430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부분(1)의 전기 접촉부(3, 4, 5)의 배열의 장점은 전기 접촉부가 제1 전기 접촉부(3)와 오목부(7)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대해 원형 회전 대칭을 갖는 점이다. 이 대칭은 제1 커넥터 부분(1)이 축에 대해 임의의 회전 배향에서 제2 커넥터 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하고 동일한 배열의 접촉부를 제2 커넥터 부분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제1 커넥터 부분(1)은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제1 커넥터 부분(1)의 임의의 배향에서 제2 커넥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2 커넥터 부분(21)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21)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 면에서 배열된다(미도시). 제2 커넥터 부분(21)은 세 개의 전기 접촉부, 즉 제1 전기 접촉부(23), 제2 전기 접촉부(24) 및 제3 전기 접촉부(25)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실질적으로 평면 원형 면(26)을 포함하고, 이는 제1 커넥터 부분(1)의 면(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평면 원형 면(26)의 중심에 위치한 돌출부(27)를 포함한다. 돌출부(27)는 면(2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면(26)으로부터 바깥에 연장된다. 돌출부(27)는 실질적으로 원형 원통이고, 면(26)과 돌출부(27)의 개방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관형 측벽 및 단부 면을 포함한다. 돌출부(27)의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면(2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놓여 있다. 돌출부(27)는 제1 커넥터 부분(1)의 오목부(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높이는 약 3 mm이고 최대 직경은 약 3.3 mm이다. 돌출부(27)의 최대 직경은 오목부(7)의 직경보다 조금 작아서,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가 제1 커넥터 부분(1)의 오목부(7) 내부에 밀착해서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27)의 직경 또는 폭은 돌출부(27)의 단부 면 쪽으로 감소하여, 돌출부(27)의 단부 면과 측벽 사이의 경계면이 기울어져 있어서 제1 커넥터 부분(1)의 오목부(7) 내에 돌출부(27)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제1 전기 접촉부(23)는 돌출부(27) 상에 배열된다. 제1 전기 접촉부(23)는 돌출부(27)의 측벽에 배열되는 리프 스프링이다. 제1 전기 접촉부(23)는,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평면(26)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약 0.3 mm의 최대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27)의 단부 면 상에 배열된 전기 접촉부는 없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는 평면형 면(26) 상에 배열된 탄성 핀 접촉부, 또는 '포고 핀' 접촉부이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는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면형 면(26)으로부터 바깥에 연장된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부(27)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어,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가 실질적으로 한 라인에 배열되도록 한다. 제2 전기 접촉부(24)는 접촉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측정된 약 1.3 mm의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제3 전기 접촉부(25)는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제2 전기 접촉부(24)의 간격보다 큰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제3 전기 접촉부(25)는 접촉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측정된 약 3.3 mm의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구현예에서, 리프 스프링 접촉부(23)는 SS301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고, 포고 핀 접촉부(24, 25)는 황동으로 형성된다.
포고 핀 접촉부(24, 25)는, 그들이 압축되지 않을 때 제2 커넥터 부분(21)의 평면형 면(26) 위로 약 1 mm 연장되고, 그들이 완전히 압축될 때 평면형 면(26) 위로 약 0.5 mm 연장된다.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의 공동 내로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원통이고, 충전 유닛의 공동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 원통이며, 상기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공동 내로 삽입하는 것은 제1 커넥터 부분(1)의 면(6)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의 면(26)을 정렬시킨다. 면(6 및 26)을 정렬시키는 것은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제1 전기 접촉부(3, 23)를 정렬시키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제2 전기 접촉부(4, 24)를 정렬시키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제3 전기 접촉부(5, 25)를 정렬시킨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과 접촉하게 될 때, 제1 전기 접촉부(3, 23)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2 전기 접촉부(4, 24)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3 전기 접촉부(5, 25)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는 어떠한 각도 위치에서도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체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공동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유리하게,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은, 커넥터 부분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접촉부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많은 횟수로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강력한 전기적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이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의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는 커넥터 부분의 면(6, 26)으로부터 가장 멀리 연장된 커넥터 부분의 특징부이고, 이와 같이, 돌출부(27)의 단부 면은, 제1 및 제2 부분(1, 21)의 전기적 연결 중에 먼저 대향하는 커넥터 부분과 접촉하는 커넥터 부분(1, 21) 상의 가장 가능성이 높은 특징부이다. 이와 같이,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의 단부 면은 정상적인 사용 동안 어느 하나의 커넥터 부분이 손상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오정렬로 인해 커넥터 부분(1, 21)의 연결 중에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의 단부 면과 제1 커넥터 부분(1) 사이의 원하지 않는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원하지 않는 접촉은, 돌출부(27)의 단부 면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의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를 위치시키지 않음으로써, 제2 커넥터 부분(21)은 정상적인 사용 동안 손상에 대해 더욱 탄력적으로 제조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충전 유닛은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전기 접촉부(3, 23)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전기 접촉부(4, 24)는 충전 유닛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3 전기 접촉부(5. 25)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된다.
제2 커넥터 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 부분은 세 개의 제2 전기 접촉부 및 두 개의 제3 전기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전기 접촉부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모두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수용되고 제2 전기 커넥터 부분을 통해 충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제2 커넥터 부분에 삽입 감지 전기 접촉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은 자성 유지 장치를 포함한다. 자성 유지 장치는, 강자성 금속의 고리 또는 밴드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5) 형태의 제1 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자성 유지 장치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전기 접촉부(23, 24, 25)의 대향 측면에서 배열된 강자성 재료의 한 쌍의 아치형 몸체(33, 35)를 포함한 제2 자성 재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자성 재료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5)(즉, 제1 자성 재료)는 강자성 스테인리스 강, 예를 들어 SS430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고, 제2 자성 재료는 영구 자석을 형성하도록 자화되는 네오디뮴, 철 및 붕소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1 커넥터 부분(21)의 근방으로 이동될 때, 제1 및 제2 자성 재료 사이의 자력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함께 끌어당겨서, 제2 커넥터 부분(21)의 포고 핀 접촉부(24, 25)를 압축하고, 각각의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되게 한다. 자성 유지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전기적 체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자성 재료 및 제2 자성 재료는 대안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자성 재료는 제1 커넥터 부분(1)의 전기 접촉부 뒤에 배열되어 있어서, 제3 전기 접촉부(5) 아래에서, 오목부(7)를 둘러싸는 강자성 재료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자성 재료는 자화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자성 재료는 자화되지 않은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성 재료는 둘 다 자화된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 내의 제자리에 있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을 나타낸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원위 단부 면에 배열된 제1 커넥터 부분(1)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04)을 포함한 충전 유닛(103)을 추가로 포함한다. 공동(104)은 폐쇄 단부 면에서 제2 커넥터 부분(21)을 포함한다. 충전 유닛(103)은 하우징 내에 수용된 배터리(105) 및 전기 회로(106)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은 원형 원통 공동(104)를 정의한다.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 내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원형 원통이고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도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원통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공동(104) 내에 삽입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1)의 면(6)을 제2 커넥터 부분(21)의 면(26)과 정렬시킨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면(6 및 26)을 정렬시키면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오목부(7) 및 돌출부(27), 제1 전기 접촉부(3, 23), 제2 전기 접촉부(4, 24) 및 제3 전기 접촉부(5, 25)를 각각 정렬시킨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과 접촉하게 되면, 돌출부(27)는 오목부(7) 내에 수용되고, 제1 전기 접촉부(3, 23)는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2 전기 접촉부(4, 24)는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3 전기 접촉부(5, 25)는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일례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104)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폐쇄 단부 및 하나의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커넥터 부분은 폐쇄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2 커넥터 부분(21)은 폐쇄 단부에 배열된다. 공동(104)은 관형일 수도 있다. 특히, 공동(104)은 원형 단면, 사각형 단면,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에 상보적인 단면을 갖는다.
다른 예시에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폐쇄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공동(104)의 베이스를 정의하는 하나의 측벽이 있다. 따라서, 측벽 및 폐쇄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가 안착될 수 있는 트러프를 정의한다. 공동(104)의 일 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공동(104) 내로 측방향으로 또는 측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가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공동(104)의 하나의 개방 측면이 덮일 수 있도록 충전 유닛(103) 상에 제공된 가요성 플랩과 같은 덮개(미도시)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공동(104) 내의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스템(100)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성 유지 장치와 같은,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 내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 또는 대안적인 유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의 제1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공동(104) 내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반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104)의 제2 예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공동(10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커넥터는 접촉부가 측면 충돌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측면 장착에 특히 적합하다. 측면 또는 측방향 장착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커넥터 부분(1)이 공동(104)에 먼저 들어가고 제2 커넥터 부분(1)의 돌출부가 제1 커넥터 부분(21)의 오목부에 들어가도록,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충전 유닛(103) 내로 일정 각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커넥터 부분(1)에 대한 장치의 대향 단부가 공동(104) 내에 진입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도록, 충전 유닛을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공동(104) 내로 밀릴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2 커넥터 부분(21)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21)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 면에서 배열된다(미도시). 제2 커넥터 부분(21)은 네 개의 전기 접촉부, 즉 제1 전기 접촉부(23), 제2 전기 접촉부(24), 제3 전기 접촉부(25), 및 제4 전기 접촉부(28)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실질적으로 평면 원형 면(26)을 포함하고, 이는 제1 커넥터 부분(1)의 면(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제2 커넥터 부분(21)은 평면 원형 면(26)의 중심에 위치한 돌출부(27)를 포함한다. 돌출부(27)는 면(2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면(26)으로부터 바깥에 연장된다. 돌출부(27)는 실질적으로 원형 원통이고, 면(26)과 돌출부(27)의 개방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관형 측벽 및 단부 면을 포함한다. 돌출부(27)의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면(2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 놓여 있다. 돌출부(27)는 제1 커넥터 부분(1)의 오목부(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높이는 약 3 mm이고 최대 직경은 약 3.3 mm이다. 돌출부(27)의 최대 직경은 오목부(7)의 직경보다 조금 작아서,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가 제1 커넥터 부분(1)의 오목부(7) 내부에 밀착해서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27)의 직경 또는 폭은 돌출부(27)의 단부 면 쪽으로 감소하여, 돌출부(27)의 단부 면과 측벽 사이의 경계면이 둥굴어져 있어서 제1 커넥터 부분(1)의 오목부(7) 내에 돌출부(27)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제1 전기 접촉부(23)는 돌출부(27) 상에 배열된다. 제1 전기 접촉부(23)는 돌출부(27)의 측벽에 배열되는 리프 스프링이다. 제1 전기 접촉부(23)는,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평면(26)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약 0.3 mm의 최대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27)의 단부 면 상에 배열된 전기 접촉부는 없다. 제2, 제3 및 제4 전기 접촉부(24, 25, 28)는 평면형 면(26) 상에 배열된 탄성 핀 접촉부, 또는 '포고 핀' 접촉부이다. 제2, 제3, 및 제4 전기 접촉부(24, 25, 28)는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면형 면(26)으로부터 바깥에 연장된다.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부(27)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어,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가 실질적으로 한 라인에 배열되도록 한다. 제2 전기 접촉부(24)는 접촉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측정된 약 1.3 mm의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제3 전기 접촉부(25)는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제2 전기 접촉부(24)의 간격보다 큰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제3 전기 접촉부(25)는 접촉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측정된 약 3.3 mm의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제4 전기 접촉부(28)는 제3 전기 접촉부(25)와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부(27)의 측벽으로부터, 접촉부의 중심 축으로부터 측정된 약 3.3 mm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제4 전기 접촉부(28)는, 제4 전기 접촉부(28)가 제2 및 제3 전기 접촉부(24, 25)와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제2 전기 접촉부(24)로부터 오프셋된 제3 전기 접촉부(25)에 대한 면(26)의 대향 측면에 배열된다.
이 구현예에서, 리프 스프링 접촉부(23)는 SS301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고, 포고 핀 접촉부(24, 25, 28)는 황동으로 형성된다.
포고 핀 접촉부(24, 25, 28)는, 그들이 압축되지 않을 때 제2 커넥터 부분(21)의 평면형 면(26) 위로 약 1 mm 연장되고, 그들이 완전히 압축될 때 평면형 면(26) 위로 약 0.5 mm 연장된다.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의 공동 내로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원통이고, 충전 유닛의 공동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 원통이며, 상기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공동 내로 삽입하는 것은 제1 커넥터 부분(1)의 면(6)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의 면(26)을 정렬시킨다. 면(6 및 26)을 정렬시키는 것은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제1 전기 접촉부(3, 23)를 정렬시키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제2 전기 접촉부(4, 24)를 정렬시키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제3 전기 접촉부(5, 25)를 정렬시킨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과 접촉하게 될 때, 제1 전기 접촉부(3, 23)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2 전기 접촉부(4, 24)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3 전기 접촉부(5, 25)는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는 어떠한 각도 위치에서도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체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공동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과 접촉하게 될 때,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제4 전기 접촉부(28)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5)와 접촉한다.
가요성 회로(37)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전기 접촉부(23, 24, 25, 28)를 충전 유닛의 제어기(미도시)에 연결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 내의 제자리에 있는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1) 및 도 8 및 도 9의 제2 커넥터 부분(21)을 나타낸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원위 단부 면에 배열된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1)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04)을 포함한 충전 유닛(103)을 추가로 포함한다. 공동(104)은 폐쇄 단부 면에서 도 8 및 도 9의 제2 커넥터 부분(21)을 포함한다. 충전 유닛(103)은 하우징 내에 수용된 배터리 및 전기 회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은 원형 원통인 공동(104)을 정의한다. 제2 커넥터 부분(21)의 가요성 회로(37)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전기 접촉부(23, 24, 25, 28)를 충전 유닛(103)의 제어기에 연결한다.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 내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원형 원통이고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도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원통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공동(104) 내에 삽입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1)의 면(6)을 제2 커넥터 부분(21)의 면(26)과 정렬시킨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면(6 및 26)을 정렬시키면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오목부(7) 및 돌출부(27), 제1 전기 접촉부(3, 23), 제2 전기 접촉부(4, 24) 및 제3 전기 접촉부(5, 25)를 각각 정렬시킨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과 접촉하게 되면, 돌출부(27)는 오목부(7) 내에 수용되고, 제1 전기 접촉부(3, 23)는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2 전기 접촉부(4, 24)는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3 전기 접촉부(5, 25)는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본 구현예에서, 제1 전기 접촉부(3, 23)는 충전 유닛(103)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구성된다. 제2 커넥터 부분(4, 24)은 충전 유닛(103)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3 전기 접촉부(5, 25)는 접지 연결부로서 구성된다. 제2 커넥터 부분(21)의 제4 전기 접촉부(28)는,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를 감지하기 위한 삽입 감지 핀으로서 구성된다. 제4 전기 접촉부(28)는, 포고 핀 접촉부(28)가 압축될 때 닫히는 돔 스위치(미도시)와 통신한다. 돔 스위치는 충전 유닛의 제어기에 연결되며, 이는 돔 스위치가 폐쇄될 때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가 시스템의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 내에 수용될 때, 자성 유지 장치는, 도 10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 사이에서 전기적 체결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한다. 자성 유지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제1 자성 요소 및 충전 유닛의 공동(104)의 폐쇄 단부에 있는 제2 자성 요소(32)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제1 자성 요소는, 강자성 재료의 링을 포함한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5)이다.
제2 자성 요소(32)는 도 11 및 도 12에 자세하게 나타낸 두 개의 아치형 영구 자석(33, 35)을 포함한다. 두 개의 영구 자석(33, 35)은 아치형이며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3)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영구 자석(33 및 35)은 제2 커넥터 부분(21)의 대향 측부에 배열되고, 제2 커넥터 부분(2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영구 자석(33, 35)은 중심 통로(38) 주위에 배열되고, 대향 측부 상에서, 원통형 통로(38)를 일반적으로 둘러싼다. 원통형 통로(38)는 제2 커넥터 부분(21)의 돌출부(27)를 둘러싼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구 자석(33, 35)은 제2 커넥터 부분(21)의 면(26) 위로 연장된다. 영구 자석(33, 35)의 아치형 상부 표면은, 포고 핀 접촉부가 압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제2, 제3 및 제4 포고 핀 접촉부(24,25, 28)의 상단 바로 아래의 위치에 배열된다. 이 배열에서, 자성 유지 장치의 제1 자성 요소인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5)는, 제2 자성 요소(32)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이는, 장치(101)가 공동(104) 내에 배열되고 제1 커넥터 부분(1)이 제2 커넥터 부분(21)과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 제2 커넥터 부분(21)의 영구 자석(33, 35)을 포함한다.
각각의 영구 자석(33, 35)은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하나에 있는 단일 북자극 및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대향하는 하나에 있는 단일 남자극을 갖는다. 영구 자석(33)에 대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아치형 자석의 반대쪽 단부 면을 보면 자석의 양 단부 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북-남 자극성을 갖는다.
영구 자석(33, 35)의 북-남 자극은 문자 'N' 및 'S'에 의해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다. 자석(33)의 북자극 및 자석(35)의 남자극은 제2 커넥터 부분(21)의 표면으로부터 자석을 통해 중심 통로(38)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자석(33)의 북자극 및 자석(35)의 남자극은 장치(101)가 공동(104) 내에 배열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이 체결될 경우 제1 자성 요소(1)의 제3 전기 접촉부(5)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영구 자석(33), 제1 커넥터 부분(1)의 제3 전기 접촉부(5), 및 영구 자석(35)은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제1 자성 요소와 제2 자성 요소(32) 사이의 자력은 공동(104)의 폐쇄 단부에서 제2 커넥터 부분(21) 및 제2 자성 요소(32) 쪽으로 공동(104)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끌어당긴다. 이러한 작용은, 이전의 구현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도 13은 제1 연결 위치에 있는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을 나타낸다. 제1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은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즉, 제1 연결 위치에서,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가 체결되고,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가 체결되고,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가 체결된다. 제1 연결 위치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제3, 및 제4 전기 접촉부는 모두 탄성 핀 접촉부이고, 그들의 연장 위치에 있다. 제1 연결 위치에서, 제1 자성 요소와 제2 자성 요소(32) 사이로부터의 자력은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제3 및 제4 탄성 핀 접촉부를 누르는 데 요구되는 힘 및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마찰력보다 더 크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은 자력에 의해 함께 끌어당겨진다. 제1 연결 위치를 통해 장치를 충전 유닛의 공동 내로 이동시키는 사용자는, 제1 커넥터 부분이 탄성 핀 접촉부와 접경하는 경우에 제1 연결 위치에서 추가 저항을 겪지 않는데, 이는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의 자력이 탄성 핀 접촉부에 의해 장치에 가해지는 편향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경우, 제1 자성 요소 및 제2 자성 요소는 약 0.5 mm만큼 분리된다.
도 14는 제2 연결 위치에 있는 제1 커넥터 부분(1) 및 제2 커넥터 부분(21)을 나타낸다. 제2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1, 21)은 또한 전기적으로 체결 상태이다. 제2 연결 위치에서, 제2, 제3, 및 제4 탄성 핀 접촉부는 그들의 함몰 위치에 있다. 제2 연결 위치에서, 제1 자성 요소와 제2 자성 요소(32) 사이의 자력은 제2 커넥터 부분(21)의 탄성 핀 접촉부에 의해 제1 커넥터 부분(1)에 가해지는 편향력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중량의 조합보다 더 크며, 따라서 충전 유닛과 장치가 거꾸로 뒤집힐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자력에 의해 제2 연결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작은 갭이 제2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자성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성 요소는 제2 연결 위치에서 직접 접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관하여 전술된 특징은 본 개시의 다른 구현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 충전 유닛,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부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현예, 충전 유닛의 구현예, 및 전기 커넥터의 구현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목적을 위해, 달리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양, 수량, 백분율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안에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숫자 A는 A ± A의 {5%}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숫자 A는 숫자 A가 수정하는 특성의 측정을 위한 일반적인 표준 에러 내에 있는 수치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일부 경우에, A가 벗어나는 양이 청구된 발명의 기본 및 신규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숫자 A는 위에서 열거된 백분율만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안에 포함한다.

Claims (14)

  1.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유닛; 및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갖고,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가짐)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면 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됨);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서 배열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충전 유닛에 의해 수용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열되고; 및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할 경우에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각도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고;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체결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되지 않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각각의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각각의 다른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충전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그리고 상기 에어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면에 체결된 제4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로부터 각도 이격되고, 상기 제4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때를 감지하기 위해 삽입 감지 접촉부로서 구성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전기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상기 오목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오목부의 단부 면 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됨);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오목부 내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의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는 배열되지 않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으로서, 상기 충전 유닛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하우징; 및 장치가 공동 내에 수용될 경우에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전기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는 돌출부(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면 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됨);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는 배열되지 않는, 충전 유닛.
  12.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는 돌출부(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면 사이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됨);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서, 상기 돌출부 상에 배열된 제1 전기 접촉부; 상기 제1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2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격되고 상기 면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의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는 배열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고;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만큼 상기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촉부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고;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에 전기 접촉부는 배열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
KR1020237019065A 2020-11-13 2021-11-12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30107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7598 2020-11-13
EP20207598.2 2020-11-13
PCT/EP2021/081602 WO2022101454A1 (en) 2020-11-13 2021-11-12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283A true KR20230107283A (ko) 2023-07-14

Family

ID=7344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065A KR20230107283A (ko) 2020-11-13 2021-11-12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40014675A1 (ko)
EP (1) EP4244947B1 (ko)
JP (1) JP2023548875A (ko)
KR (1) KR20230107283A (ko)
CN (1) CN116458014A (ko)
AU (1) AU2021379260A1 (ko)
CA (1) CA3198154A1 (ko)
IL (1) IL302662A (ko)
MX (1) MX2023005603A (ko)
WO (1) WO2022101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7970A1 (en) * 2022-07-21 2024-01-2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7948B2 (en) * 2006-06-08 2008-12-23 Nokia Corporation Magnetic conn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70258135A1 (en) * 2016-03-11 2017-09-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Personal charging cas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RU2764289C1 (ru) * 2018-07-19 2022-01-17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Магнитный разъе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4947A1 (en) 2023-09-20
EP4244947B1 (en) 2024-09-11
IL302662A (en) 2023-07-01
WO2022101454A8 (en) 2022-08-18
AU2021379260A1 (en) 2023-06-15
CN116458014A (zh) 2023-07-18
US20240014675A1 (en) 2024-01-11
MX2023005603A (es) 2023-07-26
JP2023548875A (ja) 2023-11-21
CA3198154A1 (en) 2022-05-19
WO2022101454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83095B1 (ko)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RU2760154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чехлом
JP2024038445A (ja) 磁気コネクター
WO2019037883A1 (en) AEROSOL GENERATION SYSTEM WITH CHARGE DEVIC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END CONTACTS
KR20200040241A (ko) 충전 장치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30107283A (ko)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