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115A -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115A
KR20230107115A KR1020220143907A KR20220143907A KR20230107115A KR 20230107115 A KR20230107115 A KR 20230107115A KR 1020220143907 A KR1020220143907 A KR 1020220143907A KR 20220143907 A KR20220143907 A KR 20220143907A KR 20230107115 A KR20230107115 A KR 2023010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icam
rejec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석
이남준
양재석
홍석균
양성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ublication of KR2023010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ICAM molecules, e.g. CD50, CD54, CD1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 (short-term therapy)을 통해 간이식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간이식 전후에 항-ICAM-1 항체가 정맥투여된 원숭이는 종래의 3중 면역억제 요법을 받은 개체에 비해 급성 혹은 만성 거부반응 발생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mTOR 억제제와 같은 종래 면역억제제에 의한 부작용 또한 감소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항-ICAM-1 단기요법을 받은 그룹은 면역억제제의 유지 없이도 생존기간이 현저하게 연장되어, 생존율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식 후 약 40개월까지 항-ICAM-1 항체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유지요법을 적용한 결과, 거부반응 및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ICAM-1 항체는 간이식시 거부반응을 억제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면역억제 요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방법 {A method of suppressing liver transplantation rejection using short-term therapy with anti-ICAM-1}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억제, 및 치료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수술기술 및 면역억제제의 발전에 따라 간 동종이식 (liver allograft) 생존율도 과거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간이식 (liver transplantation, LT)은 부분 간절제술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간질환 또는 간세포암종 환자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이다. 간은 면역관용성 (tolerogenic)이므로 간이식에 따른 동종이식 거부반응은 기타 고형 기관의 이식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그러나, 동종이식 거부반응은 여전히 간 동종이식의 주요 실패 원인이다. 또한, 칼시뉴린 억제제 (calcineurin inhibitors)를 사용한 장기 면역억제 요법은 악성종양, 감염, 심장 대사 이상, 신장 합병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면역억제 요법의 효능 및 안정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간이식에 적합한 신규한 면역억제 요법의 발굴이 필요하다. 그러나, 칼시뉴린 억제제의 부작용을 회피하기 위해 비-칼시뉴린 억제제 단일 요법, 예를 들어, mTOR 억제제 또는 mycophenolate mofetil 등이 시도되었으나, 심각한 거부반응을 막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D-3는 항-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단일클론 항체이다. MD-3는 비인간 영장류 모델에서 자가면역 뇌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내피세포의 ICAM-1 및 T 세포의 LFA-1 (leukocyte function-associated molecule-1)의 상호작용은 T 세포의 세포부착 (adhesion) 및 이동을 조절하며, 동종이식 거부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지상세포의 ICAM-1 및 T 세포의 LFA-1의 상호작용은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여, 마찬가지로 염증 등의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항-ICAM-1 항체를 이용한 신장이식 거부반응 억제가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거부반응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못했다. 또한, 항-ICAM-1이 간이식 거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간이식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억제 요법의 발굴이 필요하며, 특히, 거부반응을 억제하여 환자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프로토콜의 발굴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0977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 (short-term therapy)이 간이식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를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과 동시에, 간이식 전에, 및/또는 간이식 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ICAM-1 항체는 간이식과 동시에, 간이식 전에, 및/또는 간이식 후에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이식 거부반응 억제제의 제조를 위한 항-ICAM-1 항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간이식 거부반응 억제제는 간이식 전 및 간이식 후에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KCLRF-BP-00264으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서 생산되는 항체의 중쇄 가변영역 유래의 CDR 및 경쇄 가변영역 유래의 CD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동물 항체,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전장 항체, 또는 상기 항-ICAM-1 항체의 scFv, (scFv)2, Fab, Fab', 또는 F(ab')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간이식은 동종 유래의 간 또는 간조직의 이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1일 내지 30일 전 (즉, 간이식 수술일의 1일 내지 30일 전)에 투여되고,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전에는 1일 내지 5일 간격으로 투여되고, 간이식 후부터 1일 내지 15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후 3종 이상의 면역억제제와 함께 병용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칼시뉴린 억제제, 스테로이드제, 및 mTOR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1 내지 50 mg/kg 농도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투여된 후, 추가로 3개월 내지 40개월간 더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일로부터 4개월 내지 5개월이 경과된 후 20일 내지 100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 (short-term therapy)을 통해 간이식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간이식 전후에 항-ICAM-1 항체가 정맥투여된 원숭이는 종래의 3중 면역억제 요법을 받은 개체에 비해 급성 혹은 만성 거부반응 발생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mTOR 억제제와 같은 종래 면역억제제에 의한 부작용 또한 감소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항-ICAM-1 단기요법을 받은 그룹은 면역억제제의 유지 없이도 생존기간이 현저하게 연장되어, 생존율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식 후 약 40개월까지 항-ICAM-1 항체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유지요법을 추가로 적용한 결과, 거부반응 및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ICAM-1 항체는 간이식시 거부반응을 억제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면역억제 요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행된 그룹별 면역억제 요법을 나타낸 것이다 (No-IS group, 면역억제를 받지 않은 그룹; Con-IS group, 종래의 3중 면역억제 요법을 받은 그룹; 및 MD-3 group, 종래의 3중 면역억제 요법과 함께 MD-3 단기요법을 받은 그룹).
도 1b는 면역억제 요법에 따른 간 동종이식 수혜자들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c는 실험 기간 동안 Con-IS (파란색) 및 MD-3 그룹 (붉은색)의 각 원숭이에서 tacrolimus의 일일 투여량 (막대 그래프) 및 혈중 최저 농도 (점 및 선)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도 1d는 실험 기간 동안 Con-IS (파란색) 및 MD-3 그룹 (붉은색)의 각 원숭이에서 mTOR 억제제의 일일 투여량 (막대 그래프) 및 혈중 최저 농도 (점 및 선)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도 1e 내지 1g는 Con-IS (파란색) 및 MD-3 그룹 (붉은색) 에서 백혈구 개수 (도 1e), 헤모글로빈 수준 및 혈소판 개수 (도 1f), 및 PT/aPTT (도 1g)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2c는 Con-IS (파란색) 및 MD-3 그룹 (붉은색)에서 간기능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 AST 및 ALT 수치; 도 2b, 총 bilirubin 및 CRP 수치; 및 도 2c, ALP 및 GGT 수치).
도 3a는 동물모델들로부터 분리한 간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H&E 염색 결과 (상단)은 하기를 나타낸다: (#2, No-Is, POD6) 내피염 (별표) 및 담관 손상 (검은색 화살표)이 있는 간세동이 (portal tract)의 림프구 우세 염증. (#3, Con-IS, POD52) 내피염 (별표) 및 담관 손상 (검은색 화살표)이 있는, 단핵구가 침윤된 간세동이. (#4, Con-IS, POD66) 경증 문맥 단핵구 침윤 및 문맥 섬유증, 소엽 간담관 소실 (흰색 화살표, 담관 소실 부위). (#11, MD-3, POD216) 간세동이에 없는 소엽간 담즙 및 간동양혈관 (sinusoid)의 국소적인 거품성 대식세포 축적 (검은색 화살표). (#10, MD-3, POD730) 미세혈관에 호중구 및 호산구가 있는 간세동이의 호산구를 포함한 중간 정도의 혼합 염증세포 침윤. CD4 및 CD8은 각 조직에서 CD4 및 CD8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200X).
도 3b 및 3c는 각 동물모델들로부터 분리한 간조직에서 CD20, CD68, C4d, 및 IgG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200X).
도 4a 내지 4f는 Con-IS 및 MD-3 그룹의 말초혈액 내 면역세포 아형을 유세포분석으로 모니터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a, naive (CD28+CD95-), CM (CD28+CD95+), 및 EM (CD28-CD95+) CD4+ T 세포의 비율; 도 4b, naive (CD28+CD95-), CM (CD28+CD95+), 및 EM (CD28-CD95+) CD8+ T 세포의 비율; 도 4c, Tregs (Foxp3+CD4+), cDCs (CD11c+CD123-), 및 pDCs (CD11c-CD123+)의 비율; 도 4d, 성숙 DC (CD86+CD11c+, CD40+CD11c+, CCR7+CD11c+)의 비율; 도 4e, 전체 (CD20+), naive (CD27-CD20+), 및 메모리 B 세포 (CD27+CD20+)의 비율; 및 도 4f, 단핵구 (CD20-HLA-DR+CD14+), MDSCs (CD3-CD56-CD20-HLA-DR-CD11b+CD33+), 및 NK 세포 (CD3-CD56+)의 비율 (cDCs, conventional dendritic cells; CM, central memory; EM, effector memory; pDCs,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POD, postoperative day).
도 5a는 Con-IS 및 MD-3 그룹의 말초혈액에서 γδT 세포 하위집합 비율 (Vδ1/Vδ2)의 연속적인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b는 No-IS, Con-IS, 및 MD-3 그룹의 간 동종이식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 IL-6, 및 IFN-γ) 및 케모카인 (MCP-1, RANTES, 및 IP-10)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c는 No-IS, Con-IS, 및 MD-3 그룹의 간 동종이식에서 전염증성 분자 (IL-10, TGF-β, CTLA-4, 및 PD-1)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a는 Con-IS (#6) 및 MD-3 (#11) 그룹에서 공여자 항원 및 제3자 항원 자극에 대한 반응에서 IFN-γ-분비 T 세포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b는 Con-IS 및 MD-3 그룹에서 IgG 및 IgM DSA의 연속적 모니터링 결과이다.
도 7a 및 7b는 Con-IS 및 MD-3 그룹에서 RhCMV 바이러스 역가 (도 7a) 및 항-RhCMV IgG 역가 (도 7b)의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낸다.
도 8a은 인간화 MD-3를 이용한 유지요법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면역억제 요법에 따른 그룹별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c 내지 8e는 면역억제 요법에 따른 그룹별 AST 및 ALT 수준 (도 8c), ALP 및 GGT 수준 (도 8d), 및 T-bil 및 CRP 수준 (도 8e)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항-ICAM-1 항체가 간이식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간기능 및 염증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종래의 면역억제제의 지속적인 사용 없이도 수혜자 (recipient)의 생존기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ICAM-1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전 및 간이식 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ICAM-1 항체”는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ICAM-1은 내피세포나 면역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세포표면 당단백질로서, CD54 (Cluster of differentiation 54)로 지칭되기도 한다. 상기 ICAM-1은 5 개의 세포외 면역글로불린(Ig) 슈퍼패밀리 영역, 막관통부위 및 세포내부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ICAM-1은 포유류 유래 ICAM-1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간 ICAM-1 (예컨대, NCBI accession numbers NP_000192.2 등), 원숭이 ICAM-1 (예컨대, NCBI accession numbers NP_001266532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인간 ICAM-1 및 원숭이 ICAM-1에 대해 교차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ICAM-1의 영역 2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ICAM-1의 5개의 세포외 면역굴로불린 도메인 중 N 말단 부위로부터 2번째 도메인 (도메인 2)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는 수지상세포의 분화, 성숙, 혹은 기능을 저해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ICAM-1 항체는 ICAM-1의 길항제 역할을 하여, ICAM-1 및 LFA-1의 결합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ICAM-1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성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ICAM-1 항체는 ICA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이의 활성이나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구체적인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KCLRF-BP-00264 (2011년 5월 4일 한국세포주연구재단)으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서 생산되는 단클론항체의 중쇄 가변영역 유래의 상보성결정부위 및/또는 경쇄 가변영역 유래의 상보성결정부위를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일 수 있다. 상기 항-ICAM-1 항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4029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MD-3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하이브리도마를 포함하는 온전한 세포, 또는 이의 용해물 (lysate)이나 배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정제 분리될 수 있다. 정제는 항체 이외의 세포의 다른 부산물 예를 들면 세포구성물, 핵산, 단백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알칼라인/SDS 처리, CsCl 분리,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아가로스전기영동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보성결정부위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은 항체의 가변영역 중 항원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부위로서, 항체의 특이성을 결정하는 부위이다.  IMGT 분석(http://www.imgt.org/)에 의한 MD-3 항체의 CDR1, CDR2, CDR3 각각의 위치는 FR(frame region)1-FR2, FR2-FR3, FR3-JR(joining region) 사이이며, 마우스 IgG1 중쇄와 카파 경쇄의 FR1, FR2, FR3, J 부위 염기서열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 (antibody)"란 면역학적으로 특정 항원과 반응성을 갖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의미하며, 다클론 항체 (polyclonal antibody), 단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y) 및 이의 기능적인 단편 (fragment)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란 동물 항체 (예컨대, 마우스 항체 혹은 원숭이 항체 등), 키메라성 항체 (예컨대, 인간화 뮤린 항체, 인간-원숭이 항체) 및 이종결합항체 (예를 들면, 양특이성 항체)와 같은 유전공학에 의해 생산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구성 중 중쇄 (heavy chain) 및/또는 경쇄 (light chain)의 가변 영역 (variable region)을 포함한다 (VH, 중쇄 가변영역; VL, 경쇄 가변영역). 상기 가변 영역은 1차 구조로서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항체는 두 개의 전장 중쇄 및 두 개의 전장 경쇄를 포함하는 온전한 항체는 물론, 상기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단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한 구현예에서, 본원의 항체는 두 개의 경쇄 및 중쇄를 포함하는 온전한 항체로, KCLRF-BP-00264 (2011년 5월 4일 한국세포주연구재단)으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로부터 생산되는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간화 항체는 항체의 골격은 인간의 항체이면서, CDR 영역의 일부는 기존 항체 분자가 유래된 종의 CDR 중 항원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필수적인 부분만을 포함하도록 변형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원숭이, 또는 마우스 유래 항체의 CDR 중 항원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필수적인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CDR 부위와 경쇄 및 중쇄 골격은 인간의 항체로 대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메라 항체"는 가변영역 및 불변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상이한 종 (species)로부터 유래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가변영역은 마우스 유래이고, 불변영역은 인간 유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키메라 항체는 클래스전환 (class switch)된 항체 예를 들면 IgG 유형에서 IgE 유형으로 전환된 항체를 또한 의미한다. 키메라 항체는 통상적으로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항-ICAM-1 항체는 키메라 항체이며, 상기 하이브리도마에서 생산된 항체의 경쇄 및 중쇄의 가변부위를 인간 항체, 예컨대 람다 경쇄 및 IgG4 중쇄 불변영역에 이식 (graft)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체의 “단편 (fragments)”이란 항체의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기능성) 단편을 의미하며, scFv, (scFv)2, Fab, Fab' 및 F(ab')2 뿐만 아니라 나노바디 단편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단편들의 정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암세포 특이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의 단편은 scFv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이식 거부반응”은 간 또는 간조직의 이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거부반응 혹은 부작용을 포함한다. 이식 거부반응이란, 이식편의 공여자와 수혜자의 유전적 배경이 다른 경우, 이식편이 수혜자에 의해 이물질로 인식됨으로써 수혜자의 면역계가 그 이식편을 거절하여 배제하려고 하는 여러 가지 면역반응이다. 상기 면역반응은 (1) 이식 직후에 일어나는 강한 거부반응인 초급성 거부반응 (hyper-acute rejection reaction), (2) 이식 후 수개월 이내에 보이는 급성 거부반응 (acute rejection reaction), (3) 이식 후 수개월 이후에 보이는 만성 거부반응 (chronic rejection reaction)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T 세포로 대표되는 면역담당 세포에 의한 세포성 면역과 항체에 의한 액성 면역이 복잡하게 관련된 형태로 일어나지만, 주로 세포성 면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만족함으로써 효과적인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내지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a) 이식편으로의 면역세포의 침윤을 억제함;
(b) 이식편에 대한 T 세포 활성화를 억제함; 및
(c) 이식편에 대한 항체 생성을 억제함.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이식은 동종 유래의 간 또는 간조직의 이식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간이식은 동종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식편은 이식되는 장기 또는 조직을 지칭하며, 동종이식편이란 동일 종의 유전적으로 다른 두 개체들 간에 이식되는 장기 또는 조직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종이식을 받은 개체는 "수혜자"로, 동종이식편을 제공한 개체는 "공여자"로 지칭될 수 있다. 조직 또는 장기 동종이식편은 달리 '이식체', '이식편', '동종이식편', '제공자 조직' 또는 '제공자 장기' 등의 유사 용어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항-ICAM-1의 단기 투여, 즉 단기 요법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항-ICAM-1의 단기 투여를 통해 우수한 거부반응 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전과 간이식 후에 모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1일 내지 30일 전, 1일 내지 20일 전, 1일 내지 15일 전, 1일 내지 10일 전, 1일 내지 5일 전, 2일 내지 15일 전, 또는 2일 내지 10일 전에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전에는 1일 내지 5일 간격, 1일 내지 4일 간격, 1일 내지 3일, 또는 하루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추가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7일 내지 16주, 7일 내지 12주, 7일 내지 10주, 7일 내지 5주, 7일 내지 2주, 또는 7일 내지 1주 동안 추가로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1일 내지 15일 간격, 1일 내지 10일 간격, 1일 내지 7일 간격, 1일 내지 5일 간격, 또는 1일 내지 3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7일 내지 15일차까지는 1일 내지 3일 간격으로 투여되고, 간이식 후 15일차 내지 4개월까지는 3일 내지 15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타 면역억제제와 함께 병용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 3종 이상의 면역억제제와 함께 병용투여될 수 있다. 즉,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종래의 면역억제제와 함께 병용되어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은 억제하고 더욱 효과적인 거부반응 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면역억제제는 구체적인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칼시뉴린 억제제, 스테로이드제, 및 mTOR 억제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칼시뉴린 억제제는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칼시뉴린 (calcineurin)을 억제하는 물질로, 루푸스 신염, 특발성 염증성 근염, 간질성 폐질환 등의 자가면역질환은 물론 고형 장기 이식시 면역억제제로도 활용되는 약물이다. 칼시뉴린 억제제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Tacrolimus, Astagraf XL, Cequa, cyclosporine, cyclosporine ophthalmic, Elidel, Envarsus XR, Gengraf, Hecoria, Lupkynis, Neoral, pimecrolimus, Prograf, Protopic, Restasis, Sandimmune, Verkazia, 및 voclosporin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와 같은 스테로이드제는 CD4+ T 세포를 억제하고 사이토카인의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면역억제 효과를 발휘하므로, 마찬가지로 장기 이식시 면역억제제로 사용된다. 다만 스테로이드의 고용량 사용 혹은 장기사용은 고혈압, 고혈당, 녹내장, 기억력 저하,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스테로이드제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Methylprednisolone, prednisone, 및 cortison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TOR 억제제는 T 세포의 활성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mTOR에 결합하여 이의 기능을 방해하고, 다양한 사이토카인 신호를 억제할 수 있는 면역억제제이다. 그러나 mTOR 억제제의 장기사용 역시 설사, 혈구감소증, 림프구, 고혈압, 간질성 폐질환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TOR 억제제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Everolimus, Temsirolimus, Everolimus, 및 Sirolimu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 4개월까지 상기 면역억제제와 병용투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전에는 단독으로 투여되고, 간이식 후부터 상기 면역억제제와 함께 최대 4개월, 예컨대 7일 내지 16주, 7일 내지 12주, 7일 내지 10주, 7일 내지 5주, 또는 7일 내지 2주 동안 병용투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3종 이상의 면역억제제는 2종 이상이 동시에 투여되거나 각각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3종 이상의 면역억제제가 반드시 모두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면역억제제의 투여 순서에는 제한이 없고,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시, 상기 항-ICAM-1 항체는 1 내지 50 mg/kg 농도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항-ICAM-1 항체의 약학적 유효량 (즉, 투여용량)에는 한정이 없고, 환자의 상태 및 질병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ICAM-1 항체의 1회 투여용량은 1 내지 50 mg/kg, 1 내지 40 mg/kg, 1 내지 30 mg/kg, 1 내지 20 mg/kg, 1 내지 15 mg/kg, 1 내지 10 mg/kg, 또는 1 내지 5 mg/k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투여된 후, 추가로 3 이상 더 투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지요법 (maintenance therapy)을 추가로 수행하여 거부반응을 장기적으로 더욱 억제하고 수혜자의 생존기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투여된 후, 추가로 3개월 내지 50개월, 3개월 내지 40 개월, 3개월 내지 35개월, 3개월 내지 30개월, 3개월 내지 25개월, 3개월 내지 20개월, 3개월 내지 15개월, 3개월 내지 10개월, 또는 3개월 내지 5개월 더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간이식일로부터 4개월 내지 5개월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조성물은 20일 내지 100일, 20일 내지 90일, 20일 내지 80일, 20일 내지 50일, 20일 내지 30일, 20일 내지 25일, 5일 내지 30일, 5일 내지 25일, 또는 5일 내지 20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일로부터 4개월이 경과된 후에는 10일 내지 50일, 10일 내지 40일, 또는 10일 내지 30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간이식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된 후에는 20일 내지 50일, 20일 내지 40일, 또는 20일 내지 30일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상기 항-ICAM-1 항체의 함량은 질환의 증상, 증상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또는 0.001 내지 5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비는 용매를 제거한 건조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1928, HPMC 2208, HPMC 2906, HPMC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르고무(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PEG) 4000, PEG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 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 (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 (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 (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 (N, Es), 웨코비 (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 (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환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혹은 항-ICAM-1 항체를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트 (kit)”는 구체적인 형태나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기 항-ICAM-1 항체나 조성물 외에도 상기 조성물 등의 보관 용액, 투여 도구, 투여용 현탁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나 항체의 특징, 투여방법 등에 관한 지시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재료 및 방법]
1. 실험동물
무게 4 내지 7 kg의 수컷 붉은털 원숭이 (rhesus macaques; Macaca mulatta) (Mokeyking Biotechnology Co. Ltd. 중국 광저우)를 ABO 호환, 크로스매치 음성, MHC 미스매치 동소 간 이식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orthotopic LT)에 사용하였다. 간이식 전에, 헤르페스 바이러스 B, 슈미트-루핀 바이러스, 유인원 T 세포 림프성 바이러스 및 유인원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학적 검사를 수행했다. 모든 동물은 “실험 동물의 관리 및 사용에 대한 지침”에 요약된 기준에 따라 인도적인 관리를 받았다. 실험 프로토콜은 서울대학교 병원의 기관 동물 관리 및 사용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IACUC number: 18-0179).
2. ABO 혈액형 및 MHC 유형
ABO 혈액형 확인은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Sci Rep. 2018 Jan 31;8(1):1957). Manu-A (class I) 및 DRB (class II)에 대한 MHC 타이핑 역시 서열-특이적 프라이머 (PCR-SSP)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Immunol. 2000;61(10):1013-1020; Tissue Antigens.1999;54(3):254-263.).
3. 혈액, 혈액응고, 생화학적 모니터링
WBC 카운팅, 헤모글로빈 수준 측정, 혈소판 카운팅 등을 포함한 혈액 모니터링을 수행했다. 혈액응고 테스트로는 prothrombin time (PT) 및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수행했다. 생화학적 분석을 위해 전체 단백질, 알부민,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total bilirubin, 및 C-reactive protein (CRP)의 혈중 수준을 측정했다.
4. 면역세포 아형 분석
말초혈액단핵세포 (PBMCs)는 Ficoll separation (Ficoll-Paque PLUS, GE Health Sciences, Uppsala, Sweden)을 이용하여 분리했다. 간 동종이식편 (allografts)를 절단한 후, 200 U/mL collagenase (Sigma-Aldrich, St. Louis, MO) 및 30 U/mL DNase (Roche, Basel, Switzerland)를 처리하여 계속 흔들면서 37℃에서 1.5 시간 동안 분해시켰다. 이어서, 단일세포 현탁액을 다양한 항체로 염색하여 면역세포 종류를 분석했다. Attune NxT Flow Cy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를 사용하여 유세포분석을 수행하였으며, FlowJo (Tree Star, Ashland, OR)로 결과를 분석했다.
 5.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분석, 및 DSA 및 CMV 모니터링
IFN-γ-분비 T 세포는 ELISPOT 분석 (MabTech, Nacka Strand, Sweden)을 통해 평가했다. 공여자-특이적 항체 (donor-specific antibody, DSA) 모니터링을 위해, 수혜자 혈청을 공여자 pbmc와 인큐베이션하였으며, 항-원숭이 IgG 또는 IgM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DSA 수준을 유세포분석으로 측정했다. 혈장 중 Rhesus CMV (RhCMV) DNA는 실시간 PCR로 정량화했다 (Bioneer, 한국, 대전).
6. Real-time PCR
TRIzol (Invitrogen, Carlsbad, CA)을 이용하여 PBMC 또는 간조직으로부터 전체 RNA를 분리했다. RNA는 oligo (dT) 12-18 및 SuperScript II reverse transcriptase (Invitrogen)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시켰다. TNF-α, IL-, IL-6, IL-10, TGF-β, IFN-γ, MCP-1, RANTES, IP-10, PD-1, CTLA-4, 및 GAPDH를 측정하기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및 TaqMan 프로브는 Primer express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를 사용하여 디자인했다. Real-time PCR은 ABI PRISM 7900HT Fast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으로 수행했다. mRNA 발현 수준은 GAPDH 수준에 대해 정규화했다.
7. 조직학적 분석
마우스 모델의 사망 혹은 안락사 후에 간 이식편을 수득했다. hematoxylin and eosin (H & 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하기 위해, 간 이식편을 파라핀-포매 조직에서 5-mm 절편으로 절단했다. 면역조직화학을 위해, 슬라이드를 다음의 1차 항체들과 30분간 인큐베이션 했다: anti-CD4 (H-370,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anti-CD8 (polyclonal, Abcam, Cambridge, UK), anti-CD20 (L26), anti-CD68 (KP1), anti-IgG (polyclonal, Dako, Glostrup, Denmark), 및 anti-C4d (polyclonal, Roche). 워싱 및 peroxidase 블로킹 후에, 조직을 Envision+System horseradish peroxidase로 라벨링된 폴리머 항-토끼 항체 (Dako)와 인큐베이션 했다.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맥주위 면역세포의 수를 카운팅한 후 평균을 계산했다. 간 동종이식 병리학은 Banff 기준에 따라 간 병리학자가 확인했다.
8. 통계 분석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냈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분석으로 평가했으며 로그 순위 테스트로 비교했다. 0.05 미만의 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했다.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6 (GraphPad, San Diego, CA)으로 수행했다.
[실시예]
실시예 1. 간 이식 과정
동소 간이식은 이전에 서술된 바와 같이 정맥 우회가 없는 전체 간이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했다 (Transplant Proc. 2017 Jun;49(5):1150-1152). 구체적으로, 공여자 수술은 warm dessection을 기초로 수행했다. 전신 헤파린화 (systemic heparinization) 후 Custodiol® HTK solution (Essential Pharmaceuticals, Durham, NC, USA)을 사용하여 대동맥을 통한 in situ 관류를 수행했다. 동시에, 수혜자의 간절제술을 시행하고 상부 장간막 동맥 (superior mesenteric artery)을 고정하여 장폐색 위험을 줄였다. 간상하대정맥과 문맥을 문합한 후 상장간막동맥을 고정했다. 재관류 후, 하부간하 대정맥을 문합했다. 이식편의 대동맥 도관은 수혜자의 신장하 대동맥에 종단간 (end-to-side)로 문합됐다. 도관간 문합은 배액관이 없는 담도의 재건 (reconstruction)에 사용했다. 내부 스텐트 삽입은 총담관의 직경이 2 mm 미만일 때 고려했다.
실시예 2. 면역억제 요법
치료 요법 과정은 도 1a에 나타냈다. 간략히 서술하면, 2마리의 원숭이는 면역억제를 받지 않았다 (No-IS 그룹). 기존 IS 그룹 (conventional IS 그룹, Con-IS 그룹)은 유도요법 없이 16주 동안 임상 간이식 요법에 기반한 삼중 유지 면역억제를 받았다: prednisolone, 서방형 tacrolimus 제제 (Advagraf, Astellas Pharma, 일본, 도쿄), 및 mTOR 억제제 (sirolimus 또는 everolimus). MD-3 그룹 (n=5)의 원숭이들은 간이식 9일 전부터 간이식 후 12주가 경과할 때까지 MD-3를 정맥내 총 13회 투여받았으며 (8 mg/kg; DiNonA Inc., 한국, 서울), 간이식 후 16주 동안 기존의 3중 면역억제 요법도 함께 받았다. Tacrolimus 및 mTOR 억제제의 최저 수준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했다.
Group No Survival Clinical outcomes Pathological findings
No-IS #1 D5 Graft dysfunction Acute T cell-mediated rejection
No-IS #2 D6 Graft dysfunction Acute T cell-mediated rejection
Con-IS #3 D52 Graft dysfunction Acute T cell-mediated rejection
Con-IS #4 D66 Cholestasis Chronic rejection
Con-IS #5 D36 Diarrheaa Biliary obstruction
Con-IS #6 D62 Graft dysfunction Early chronic rejection
MD-3 #7 D5 Sepsis with diarrheaa Ischemic necrosis
MD-3 #8 D96 Diarrheaa Ischemic necrosis
MD-3 #9 D412 Graft dysfunction with ascites Chronic rejection
MD-3 #10 D730 (enthanized) Good graft function with DSA Acute antibodymediated
rejection, C4d-positive
MD-3 #11 D216 Cholestasis Chronic rejection, C4d-positive
약어: Abbreviations: Con-IS, conventional immunosuppression group; D, day; DSA, donor-specific antibody; No, monkey number; No-IS, no immunosuppression group.
aAdverse drug reaction related to mTOR inhibitors.
실시예 3. 간 동종이식 (allograft) 결과
11마리의 원숭이가 ABO-호환되는 동종 간이식을 받았다. 공여자 및 수혜자의 ABO 혈액형 및 MHC 타입을 포함한 기준 특성을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MD-3 그룹은 Con-IS 그룹 (p = 0.0483)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나은 생존율을 보였다 (도 1b). No-IS 그룹 (#1 및 2)의 원숭이들은 모두 급성 T 세포-매개 거부반응 (T cell-mediated rejection, TCMR)으로 인해 일주일 이내에 사망했다 (표 1). Con-IS 그룹에서, 3마리의 원숭이 (#3, 4, 및 6)는 급성 TCMR 또는 만성 거부반응에 의해 3달 이내에 사망하였으며, 한 마리 (#5)는 아마도 mTOR 억제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설사 증상으로 인해 사망했다 (표 1). MD-3 그룹에서, 3마리의 원숭이는 모든 면역억제제의 중단 (216, 412, 및 730일)에도 불구하고 장기의 간이식 생존을 나타냈다 (표 1). 이들 세 마리의 장기 생존자들 중 두 마리 (#9 및 11)은 만성 거부반응으로 사망했으며 가장 오래 생존하여 안락사된 원숭이 (#10)는 CD4d+ 항체매개 거부반응을 보였다. Md-3 그룹의 다른 두 마리의 원숭이 (#7 및 8)은 설사 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했는데 (5일 및 96일), 거부반응의 증거는 없었으며, mTOR 억제제의 부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실시예 4. 면역억제제 수치, 혈액, 혈액응고, 및 생화학적 분석 결과
Con-IS 그룹 및 MD-3 그룹에서 혈중 tacrolimus 수준은 3개월간 유지됐고 (도 1c), mTOR 억제제 수준은 4개월간 유지됐다 (도 1d). Con-IS 및 MD-3 그룹 모두에서 백혈구, 혈소판 수, 헤모글로빈 수준, PT, 및 aPTT는 사망 전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도 1e 내지 1g). 간 기능 검사에서 (liver function tests, LFTs), Con-IS 그룹에서 거부반응이 나타난 세 마리의 원숭이들 ((#3, 4, 및 6)는 AST, ALT, bilirubin, 및 ALP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나머지 한 마리 (#5)는 담도 폐색의 병리학적 소견과 함께 bilirubin 및 ALP의 증가를 나타냈다 (도 2a 내지 2c). 반면 MD-3 그룹의 장기 생존자 (#9, 10, 및 11)에서 LFT 결과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는데, 거부반응이 일어나기 전 다소 악화됐다 (도 2a 내지 2c).
실시예 5. 조직학적 분석 결과
No-IS 그룹의 모든 수혜자들은 급성 TCMR을 보였다 (표 1, 도 3a 내지 3c). Con-IS 그룹에서, #3 개체가 급성 TCMR을 보였으며, 2마리 (#4 및 6)은 경미한 문맥 (portal) 단핵구 침윤, 문맥 섬유증, 및 소엽간 담관 소실을 동반한 만성 거부반응을 보였다. Con-IS의 다른 개체 (#5)는 mTOR 부작용인 담도폐쇄 양상을 보였다. MD-3 그룹에서, #9 및 #11은 만성 거부반응을 보였다: 소엽관 담관은 문맥관에 없었고, 거품성 대식세포의 국소적 정현파 (sinusoidal) 축적이 있었다. 패혈증이나 설사로 사망한 MD-3 그룹의 #7 및 #8은 부검에서 거부반응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간 허혈성 괴사를 보였다. MD-3 그룹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10은 급성 항체-매개 거부반응을 나타냈는데, 미세혈관 내피의 C4d 염색과 함께 문맥에서 중간 정도의 혼합 염증세포 침윤을 나타냈다 (도 3b). 문맥 영역에서 대조군과 MD-3 그룹 간 전체침윤 세포 수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No-IS (#2) 및 Con-IS (#3) 그룹에서 급성 TCMR을 보인 개체에서 심각한 T 세포 침윤이 확인됐다 (도 3a). CD68+ 대식세포의 문맥 침윤은 Con-IS 그룹 (#4) 및 MD-3 그룹 (#11)에서 만성 거부반응을 보이는 개체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도 3b).
실시예 6. 면역세포 아형 분석
T 세포 하위 유형 중, CD4+ 이펙터 메모리 세포 (CD4+ effector memory cells)의 비율은 1년 이상 낮게 유지되었으나, MD-3 그룹의 한 원숭이 (#10)은 거부반응 시점에 증가했다 (도 4a). CD8+ 이펙터 메모리 세포는 Con-IS 및 MD-3 그룹에서 급성 또는 만성 거부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증가했다 (도 4b). 조절 T 세포 (Tregs)의 변화는 Con-IS 그룹과 MD-3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 4c). MD-3 그룹의 장기 생존자에서 기존 (conventional) 또는 형질세포양 (plasmacytoid) 수지상세포 (DCs)의 유의한 경향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4c). 성숙 수지상세포 (CD40+CD11c+, CCR7+CD11c+)는 간이식 후 초기 10주 동안 대조군에 비해 MD-3 그룹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4d). MD-3 그룹의 CD80, CD86, CD40, 및 CD11c+ DCs의 CCR7의 평균 형광 강도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도 3a). 메모리 B 세포의 비율은 Con-IS 및 MD-3 그룹의 일부 개체에서 거부반응이 일어날 즈음에 증가하긴 했으나, 일관된 경향성은 없었다 (도 4e). 두 그룹 간 단핵구, MDSC, 또는 NK 세포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도 없었다 (도 4f).
말초 혈액 중 γδT 세포 아형 (Vδ1/Vδ2)의 비율은 도 5a에 나타냈다. PBMC 및 및 간 동종이식에서 MD-3 그룹의 Vδ1/Vδ2은 Con-IS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실시예 7. 간 동종이식에서 사이토카인 발현
간 동종이식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석했을 때, MD-3 그룹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RANTES를 제외하고, 대체로 No-IS 그룹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5b). 반면, Con-IS 그룹 및 MD-3 그룹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도 5b). 또한, 두 그룹 간 면역조절 분자 (IL-10, TGF-β, CTLA-4, 및 PD-1)의 발현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도 5c).
실시예 8. 공여자-반응성 T 세포 및 DSA
Con-IS 그룹 (#6)에서 공여자 항원 및 제3자 항원 자극에 대한 IFN-γ-분비 T 세포의 비율은 1주차에는 낮았고, 초기 만성 거부반응 시기인 10주차에 증가했다 (도 6a). MD-3 그룹에서 공여자 항원에 대한 IFN-γ-분비 T 세포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아니나, 25주차까지 제3자 항원의 비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6a). Con-IS 그룹에서 DSA의 지속적인 증가는 없었다 (도 6b). 그러나, 항체 매개 거부 반응이 발생한 MD-3 그룹의 원숭이에서 IgG DSA가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도 6b).
실시예 9. CMV (cytomegalovirus) 감염 모니터링
RhCMV 바이러스 역가는 원숭이 #10에서 이식 후 초기 기간을 제외하고 실험 기간 내내 모든 개체에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됐다 (도 7a). 면역억제에도 불구하고, 항-RhCMV IgG 역가는 모든 원숭이에서 적절한 수준이었다 (도 7b).
이상의 실시예에서 간이식을 받은 원숭이를 대상으로 종래의 면역억제 삼중요법 (prednisolone, tacrolimus, 및 mTOR 억제제)과 함께 키메라 항-ICAM-1 단일클론항체인 MD-3의 단기 병용이 간이식의 거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면역억제를 전혀 받지 않은 그룹은 급성 면역거부 반응으로 인해 일주일 내에 사망하였으며, 기존의 삼중 면역억제 요법을 받은 그룹은 16주의 생존 기간을 나타냈으나, 결국 급성 거부반응, 만성 거부반응, 또는 mTOR 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했다. 반면, 기존 삼중 면역억제 요법과 함께 12주간의 MD-3 요법을 받은 MD-3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현저히 연장된 생존 기간을 보였다. 특히, MD-3 그룹은 이식편 내 염증세포의 침윤, 항-공여자 T 세포 반응, 및 항-CMV 항체 반응과 같은 공여자-특이적 항체의 생성 등이 기타 그룹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결과적으로, MD-3 단기요법을 받은 그룹은 면역억제제의 유지 없이도 생존기간이 최대 2년까지 연장되었다. 상기 결과들은 본 발명에 따른 MD-3 단기요법이 간 동종이식을 포함한 장기 이식에서 거부반응을 억제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면역억제 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10. MD-3 면역억제 요법의 프로토콜 최적화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MD-3 단기요법이 이식 후 거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MD-3 단기요법의 최적 프로토콜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개체 중 2마리는 면역억제를 받지 않았으며 (No-IS 그룹), 4마리의 개체는 유도요법 없이 기존의 삼종 면역억제 (prednisolone, tacrolimus, 및 mTOR 억제제)를 받았다 (Con-IS 그룹). 또한, 최적의 MD-3 요법을 확인하기 위해, MD-3의 유도요법 및 유지요법을 비교했다. 유도요법은 이식 후 초기에 고용량의 면억억제제를 단기간에 투여하는 요법이며, 유지요법은 이식 수혜자가 장기적으로 면역억제를 투여받는 병용 요법을 지칭한다. 5마리의 개체에는 키메라 MD-3를 사용하여 MD-3 유도요법을 (Induction MD-3), 4마리의 개체에는 인간화된 MD-3를 사용하여 MD-3 유지요법을 (Maintenance MD-3) 시행했다. 인간화 항체 및 키메라 항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하였다. 인간화된 MD-3를 이용한 MD-3 유지요법 과정은 도 8에 나타냈다. 간이식 9일 전부터 간이식 후 12주차가 될 때까지 8 mg/kg의 MD-3를 13회 정맥투여하였으며, 16주차부터는 한 달에 1회씩 투여하여 24개월차까지 총 10회 투여하였다. 또한, 24개월차부터는 3개월에 1회씩 투여하여 30개월차까지 총 2회 더 투여하였다. 이 때 간이식 후 한 달이 경과할때까지 기존 3중 요법 (prednisolone, tacrolimus, 및 sirolimus)을 병용하였다.
(1) 면역억제 요법에 따른 임상적 결과
그룹별 개체에서 면역억제 요법에 따른 임상적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POD) Group Pathological Outcome Clinical Outcome
#1(POD5) No IS Ischemic necrosis Acute rejection
#2(POD6) No IS Acute rejection Acute rejection
#4(POD52) Con IS Acute rejection Acute rejection
#7(POD66) Con IS Chronic rejection Chronic rejection
#8(POD36) Con IS Biliary complication(obstruction), C4d-negative Side effect of rapamycin
#13(POD62) Con IS early Chronic rejection Acute rejection
#5(POD5) 유도요법 cMD-3 Ischemic necrosis Sepsis
#6(POD96) 유도요법 cMD-3 Ischemic necrosis Side effect of rapamycin
#9(POD412) 유도요법 cMD-3 Chronic rejection, Cirrohosis Chronic rejection
#10(POD729) 유도요법 cMD-3 Antibody-mediated rejection, C4d-positive No rejection with DSA
#14(POD216) 유도요법 cMD-3 Chronic rejection Chronic rejection
#17(POD1112) 유지요법 hMD-3 No rejection No rejection
#18(POD118) 유지요법 hMD-3 No rejection Cirrhosis
#19(POD678) 유지요법 hMD-3 No rejection No rejection
#21(POD615) 유지요법 hMD-3 No rejection No rejection
상기 표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면역억제 요법을 받지 않은 개체 (No-IS)는 모두 급성 거부반응으로 사망했다. 기존의 3중 면역요법을 받은 개체들 (Con-IS) 역시 급성 거부반응, 만성 거부반응, 또는 mTOR 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했다. MD-3 요법을 받은 개체들은 MD-3의 구체적인 투여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MD-3 유도요법을 받은 개체들은 급성 거부반응은 보이지 않았으나 결국 만성 거부반응, 패혈증, mTOR 억제제 부작용 등으로 사망한 반면, MD-3 유지요법을 받은 개체들은 대부분 급성 또는 만성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한 개체에서 간 섬유화 (Cirrohosis)가 관찰되었을 뿐, 사망한 개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No-IS 및 Con-IS 그룹은 이식 후 수일 내에 모든 개체가 사망한 반면, 유도요법 MD-3 그룹은 500일 이상 생존한 개체들이 존재하여 생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유지요법 MD-3 그룹은 대부분의 개체가 이식 후에도 계속 생존하였다 (도 8b). 상기 결과는 기존 3중 면역억제 요법에 비해 MD-3 요법이 간 이식 거부반응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MD-3을 이식 전후에 다회 투여한 후 장기적으로 낮은 빈도로 투여하는 MD-3 유지요법이 MD-3 유도요법에 비해 거부반응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 간 기능 검사 결과
이어서, 그룹별로 간 기능 검사를 수행하여 면역억제 요법에 따른 간 기능 유지 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n-IS 그룹 중 이식거부 반응이 나타난 개체에서는 AST 및 ALT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됐다. MD-3 유도요법을 받은 그룹 (Chimeric MD-3 IS group)은 대체로 ALT 및 AST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만성 거부반응이 나타난 개체의 경우 ALT 및 AST의 증가 경향이 관찰됐다. 반면, MD-3 유지요법을 받은 그룹 (Humanized MD-3 IS group)은 모든 개체에서 ALT 및 AST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ALP, GGT (Gamma glutamyl peptidase), T-BIL (total bilirubin), 및 CRP (C-reactive protein)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on-IS 그룹은 이식 후 초기에 ALP 및 GGT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T-BIL 및 CRP 수준도 빠르게 증가하여 염증 반응이 급격히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c 내지 8e). MD-3 유도요법을 받은 그룹은 ALP, GGT, ALP, 및 GGT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개체도 존재하였으며, 전체적으로 Con-IS 그룹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인자들의 증가 경향이 관찰됐다. 반면, MD-3 유지요법을 받은 그룹은 ALP, GGT, ALP, 및 GGT가 모두 안정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여, 간기능 및 염증 수치가 정상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간이식 전후 MD-3의 다회 투여하는 단기요법 후 추가로 MD-3 투여를 유지하는 MD-3 유지요법을 수행하는 것이 간 이식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최적화된 프로토콜임을 입증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항-ICAM-1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전 및 간이식 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KCLRF-BP-00264으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에서 생산되는 항체의 중쇄 가변영역 유래의 CDR 및 경쇄 가변영역 유래의 CD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동물 항체,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전장 항체, 또는 상기 항-ICAM-1 항체의 scFv, (scFv)2, Fab, Fab', 또는 F(a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식은 동종 유래의 간 또는 간조직의 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1일 내지 30일 전에 투여되고,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전에는 1일 내지 5일 간격으로 투여되고, 간이식 후부터 1일 내지 15일 간격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후 3종 이상의 면역억제제와 함께 병용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칼시뉴린 억제제, 스테로이드제, 및 mTOR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ICAM-1 항체는 1 내지 50 mg/kg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 후부터 일주일 내지 4개월간 투여된 후, 추가로 3개월 내지 40개월간 더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이식일로부터 4개월 내지 5개월이 경과된 후 20일 내지 100일 간격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이식 거부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
KR1020220143907A 2022-01-07 2022-11-01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방법 KR20230107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2491 2022-01-07
KR1020220002491 2022-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115A true KR20230107115A (ko) 2023-07-14

Family

ID=8715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907A KR20230107115A (ko) 2022-01-07 2022-11-01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1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977A (ko) 2010-07-13 2013-09-12 바이오인벤트 인터내셔날 에이비 재발된 암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icam-1에 대한 항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977A (ko) 2010-07-13 2013-09-12 바이오인벤트 인터내셔날 에이비 재발된 암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icam-1에 대한 항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kherjee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immunosuppression used for liver transplantation
Fung et al. Immunosuppression in liver transplantation: beyond calcineurin inhibitors
JP2002502823A (ja) 移植における補刺激遮断および混合キメラ現象
US7498023B2 (en) Blockade of T cell migration into epithelial GVHD target tissues as an approach to achieving anti-tumor effects against lymphohematopoietic malignancies without GVHD
US20170049884A1 (en) Use of anti-ccr5 antibodies in graft versus host disease
BR112020013531A2 (pt) Uso de anticorpo anti-il-6, por exemplo, clazakizumab para dessensibilização de receptores de transplante de órgãos sólidos e/ou para prevenir, estabilizar ou reduzir rejeição mediada por anticorpos (abmr)
KR20230107115A (ko) 항-icam-1 항체의 단기요법을 이용한 간이식 거부반응의 억제방법
Firat et al. Comparison of two different percutaneous splenic artery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hypersplenism: preliminary report
JP2021505545A (ja) 造血細胞移植後の急性移植片対宿主病の発症のリスクを低減する方法
Pascher et al. CMV, EBV, HHV6 and HHV7 infections after intestinal transplantation without specific antiviral prophylaxis
US20240109977A1 (en) Anti-cd38 antibodies and their uses
Oo et al. Ocular manifestations in IgA nephropathy
Rossi Perturbing Proteostasis to Deplete Plasma Cells
Lyons et al. Eight years experience of reimbursement costs associated with an active living kidney donor programme
TW202302642A (zh) 用於治療抗體介導移植物排斥用途之抗cd38抗體
EP4236962A1 (en) Fusion protein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CN116997570A (zh) 用于治疗抗体介导的移植排斥的抗cd38抗体
CN114980901A (zh) 使用针对浆细胞的抑制剂或细胞毒性剂治疗慢性疲劳综合征的方法
CN116635422A (zh) 抗cd38抗体及其用途
Schroeder et al. Xenogenic ex vivo perfusion of lungs from Galt K/O pigs: initial results
Kessler et al. RENAL FUNCTION EVALUATION AFTER HALF DOSE REDUCTION OF NEORAL® IN COMBINATION WITH CELLCEPT® IN RENAL TRANSPLANT PATIENTS WITH ALTERED RENAL FUNCTION: PRELIMINARY 2 YEAR SAFETY AND EFFICACY RESULTS OF THE MMF-REFERENCE STUDY: A RANDOMISED, OPEN, MULTICENTRE,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Van Buren et al. RENAL TRANSPLANTATION IN POSITIVE CROSSMATCH PATIENTS USING SINGLE TREATMENT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Stamos et al. Intestinal and Multiviscera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Abdominal Malignancy: Disease Recurrence and Survival Outcome
Pratschke et al. The donor riskfactor brain death interferes significantly with tolerance inducing protocolls
Tanabe et al. EXCELLENT MID-TERM RESULTS OF ABO-INCOMPATIBLE LIVING KIDNEY TRANSPLANTATION UNDER PRETRANSPLANT ONE-WEEK IMMUNOSUPPRESSION WITH TACROLIMUS, MYCOPHENOLATE MOFETIL, AND STER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