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102A -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102A
KR20230107102A KR1020220124160A KR20220124160A KR20230107102A KR 20230107102 A KR20230107102 A KR 20230107102A KR 1020220124160 A KR1020220124160 A KR 1020220124160A KR 20220124160 A KR20220124160 A KR 20220124160A KR 20230107102 A KR20230107102 A KR 2023010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ransmission
beams
lb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031B1 (ko
Inventor
명세창
김선욱
양석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0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THEREFOR}
본 개시(Disclosure)는,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전송 빔들 및/또는 복수의 채널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을 이용하여 LBT (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빔들 및/또는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트래픽을 요구하게 되면서, 기존 LTE 시스템보다 향상된 무선 광대역 통신인 차세대 5G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NewRAT이라고 명칭되는, 이러한 차세대 5G 시스템에서는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ltra-reliability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등으로 통신 시나리오가 구분된다.
여기서, eMBB는 High Spectrum Efficiency, High User Experienced Data Rate, High Peak Data Rate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고, URLLC는 Ultra Reliable, Ultra Low Latency, Ultra High Availability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며 (e.g., V2X, Emergency Service, Remote Control), mMTC는 Low Cost, Low Energy, Short Packet, Massive Connectivity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다. (e.g., IoT).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31429호 (명칭: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2019.11.26)
본 개시는,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접속 절차가 실패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을 위한 DL 전송은 드롭(Drop)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동일한 채널 점유(Channel Occupancy)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을 위한 채널 점유는 동일한 시간에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 또는 공간 도메인(Spatial Domain) 에서 다중화(Multiplex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이 IDLE로 센싱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는 성공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접속 절차가 실패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을 위한 DL 전송은 드롭(Drop)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동일한 채널 점유(Channel Occupancy)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을 위한 채널 점유는 동일한 시간에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 또는 공간 도메인(Spatial Domain) 에서 다중화(Multiplex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이 IDLE로 센싱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는 성공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Uplink)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L (Uplink)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Disclosure)의 [방법 #1] 내지 [방법 #2]에 따르면, 복수의 전송 빔들의 다중화(Multiplexing) 타입 (Type) 및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을 센싱하는 센싱 빔을 기반으로 LBT (Listen-Before-Talk) 성공 여부에 따라 복수의 전송 빔들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하는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해당 다중화 타입 및 해당 센싱 빔에 따른 가장 효율적인 신호의 송수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 내에서 자원을 점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단말의 채널 접속 절차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LBT-SB (Listen Before Talk - Subband)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NR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빔 기반 LBT (Listen-Before-Talk) 및 빔 그룹 기반 LB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빔 기반 LBT 수행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빔들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고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3GPP NR(New Radio 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는 3GPP LTE/LTE-A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NR)을 기반으로 기술하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개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예, 38.211, 38.212, 38.213, 38.214, 38.300, 38.331 등).
이제, NR 시스템을 포함한 5G 통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5G의 세 가지 주요 요구 사항 영역은 (1) 개선된 모바일 광대역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영역, (2) 다량의 머신 타입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영역 및 (3) 초-신뢰 및 저 지연 통신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사용 예(Use Case)는 최적화를 위해 다수의 영역들이 요구될 수 있고, 다른 사용 예는 단지 하나의 핵심 성능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에만 포커싱될 수 있다. 5G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 예들을 유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eMBB는 기본적인 모바일 인터넷 액세스를 훨씬 능가하게 하며, 풍부한 양방향 작업, 클라우드 또는 증강 현실에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커버한다. 데이터는 5G의 핵심 동력 중 하나이며, 5G 시대에서 처음으로 전용 음성 서비스를 볼 수 없을 수 있다. 5G에서, 음성은 단순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연결을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처리될 것이 기대된다. 증가된 트래픽 양(volume)을 위한 주요 원인들은 콘텐츠 크기의 증가 및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수의 증가이다. 스트리밍 서비스 (오디오 및 비디오), 대화형 비디오 및 모바일 인터넷 연결은 더 많은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될수록 더 널리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 및 알림을 푸쉬하기 위해 항상 켜져 있는 연결성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통신 플랫폼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업무 및 엔터테인먼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의 성장을 견인하는 특별한 사용 예이다. 5G는 또한 클라우드의 원격 업무에도 사용되며, 촉각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때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도록 훨씬 더 낮은 단-대-단(end-to-end) 지연을 요구한다. 엔터테인먼트 예를 들어, 클라우드 게임 및 비디오 스트리밍은 모바일 광대역 능력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이다. 엔터테인먼트는 기차, 차 및 비행기와 같은 높은 이동성 환경을 포함하는 어떤 곳에서든지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 필수적이다. 또 다른 사용 예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증강 현실 및 정보 검색이다. 여기서, 증강 현실은 매우 낮은 지연과 순간적인 데이터 양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가장 많이 예상되는 5G 사용 예 중 하나는 모든 분야에서 임베디드 센서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 즉, mMTC에 관한 것이다. 2020년까지 잠재적인 IoT 장치들은 204 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 IoT는 5G가 스마트 도시, 자산 추적(asset tracking), 스마트 유틸리티, 농업 및 보안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 중 하나이다.
URLLC는 주요 인프라의 원격 제어 및 자체-구동 차량(self-driving vehicle)과 같은 초 신뢰 / 이용 가능한 지연이 적은 링크를 통해 산업을 변화시킬 새로운 서비스를 포함한다. 신뢰성과 지연의 수준은 스마트 그리드 제어,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드론 제어 및 조정에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NR 시스템을 포함한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사용 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5G는 초당 수백 메가 비트에서 초당 기가 비트로 평가되는 스트림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FTTH (fiber-to-the-home) 및 케이블 기반 광대역 (또는 DOCSIS)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속도는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뿐 아니라 4K 이상(6K, 8K 및 그 이상)의 해상도로 TV를 전달하는데 요구된다. VR(Virtual Reality) 및 AR(Augmented Reality) 애플리케이션들은 거의 몰입형(immersive) 스포츠 경기를 포함한다. 특정 응용 프로그램은 특별한 네트워크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게임의 경우, 게임 회사들이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어 서버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에지 네트워크 서버와 통합해야 할 수 있다.
자동차(Automotive)는 차량에 대한 이동 통신을 위한 많은 사용 예들과 함께 5G에 있어 중요한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승객을 위한 엔터테인먼트는 동시의 높은 용량과 높은 이동성 모바일 광대역을 요구한다. 그 이유는 미래의 사용자는 그들의 위치 및 속도와 관계 없이 고품질의 연결을 계속해서 기대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분야의 다른 활용 예는 증강 현실 대시보드이다. 이는 운전자가 앞면 창을 통해 보고 있는 것 위에 어둠 속에서 물체를 식별하고, 물체의 거리와 움직임에 대해 운전자에게 말해주는 정보를 겹쳐서 디스플레이 한다. 미래에, 무선 모듈은 차량들 간의 통신, 차량과 지원하는 인프라구조 사이에서 정보 교환 및 자동차와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보행자에 의해 수반되는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 시스템은 운전자가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행동의 대체 코스들을 안내하여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한다. 다음 단계는 원격 조종되거나 자체 운전 차량(self-driven vehicle)이 될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자체 운전 차량들 사이 및 자동차와 인프라 사이에서 매우 신뢰성이 있고, 매우 빠른 통신을 요구한다. 미래에, 자체 운전 차량이 모든 운전 활동을 수행하고, 운전자는 차량 자체가 식별할 수 없는 교통 이상에만 집중하도록 할 것이다. 자체 운전 차량의 기술적 요구 사항은 트래픽 안전을 사람이 달성할 수 없을 정도의 수준까지 증가하도록 초 저 지연과 초고속 신뢰성을 요구한다.
스마트 사회(smart society)로서 언급되는 스마트 도시와 스마트 홈은 고밀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임베디드될 것이다. 지능형 센서의 분산 네트워크는 도시 또는 집의 비용 및 에너지-효율적인 유지에 대한 조건을 식별할 것이다. 유사한 설정이 각 가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창 및 난방 컨트롤러, 도난 경보기 및 가전 제품들은 모두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센서들 중 많은 것들이 전형적으로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 저전력 및 저비용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실시간 HD 비디오는 감시를 위해 특정 타입의 장치에서 요구될 수 있다.
열 또는 가스를 포함한 에너지의 소비 및 분배는 고도로 분산화되고 있어, 분산 센서 네트워크의 자동화된 제어가 요구된다. 스마트 그리드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도록 디지털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이런 센서들을 상호 연결한다. 이 정보는 공급 업체와 소비자의 행동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그리드가 효율성, 신뢰성, 경제성, 생산의 지속 가능성 및 자동화된 방식으로 전기와 같은 연료들의 분배를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지연이 적은 다른 센서 네트워크로 볼 수도 있다.
건강 부문은 이동 통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통신 시스템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임상 진료를 제공하는 원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다. 이는 거리에 대한 장벽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 거리가 먼 농촌에서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의료 서비스들로의 접근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중요한 진료 및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 통신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심박수 및 혈압과 같은 파라미터들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센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및 모바일 통신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배선은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높다. 따라서, 케이블을 재구성할 수 있는 무선 링크들로의 교체 가능성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매력적인 기회이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는 것은 무선 연결이 케이블과 비슷한 지연, 신뢰성 및 용량으로 동작하는 것과, 그 관리가 단순화될 것이 요구된다. 낮은 지연과 매우 낮은 오류 확률은 5G로 연결될 필요가 있는 새로운 요구 사항이다.
물류(logistics) 및 화물 추적(freight tracking)은 위치 기반 정보 시스템을 사용하여 어디에서든지 인벤토리(inventory) 및 패키지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에 대한 중요한 사용 예이다. 물류 및 화물 추적의 사용 예는 전형적으로 낮은 데이터 속도를 요구하지만 넓은 범위와 신뢰성 있는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기존 3GPP LTE 시스템의 LAA(Licensed-Assisted Access)와 유사하게, 3GPP NR 시스템에서도 비 면허 대역을 셀룰러 통신에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단, LAA와 달리, 비면허 대역 내의 NR 셀(이하, NR UCell)은 스탠드얼론(standalone, SA) 동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 예로, NR UCell에서 PUCCH, PUSCH, PRACH 전송 등이 지원될 수 있다.
LAA UL(Uplink)에서는 비동기식 HARQ 절차(Asynchronous HARQ procedure)의 도입으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HARQ-AC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Acknowledgement / Negative-acknowledgement)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한 PHICH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과 같은 별도의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UL LBT 과정에서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 크기 조정을 위해 정확한 HARQ-ACK 정보를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UL LBT 과정에서는 UL grant을 n번째 SF에서 수신한 경우, (n-3)번째 서브프레임 (Subframe) 이전의 가장 최신 UL TX burst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을 참조 서브프레임(Reference Subframe)으로 설정하고,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HARQ process ID에 대한 NDI를 기준으로 경쟁 윈도우의 크기(size)를 조정하였다. 즉,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 별 NDI (New data Indicator)를 토글링(Toggling)하거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에 대해 재전송을 지시하면, 참조 서브프레임에서 PUSCH가 다른 신호와 충돌하여 전송에 실패하였다고 가정하여 사전에 약속된 경쟁 윈도우 크기를 위한 집합 내 현재 적용된 경쟁 윈도우 크기(size) 다음으로 큰 경쟁 윈도우 크기로 해당 경쟁 윈도우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아니면 참조 서브프레임에서의 PUSCH가 다른 신호와의 충돌 없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고 가정하고 경쟁 윈도우의 크기를 최소 값 (예를 들어, CWmin)으로 초기화하는 방안이 도입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 가능한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요소 반송파 (component carrier, CC) 당 최대 400 MHz 주파수 자원이 할당/지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대역 (wideband) CC에서 동작하는 UE 가 항상 CC 전체에 대한 RF (Radio Frequency) 모듈을 켜둔 채로 동작할 경우, UE의 배터리 소모는 커질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광대역 CC 내에 동작하는 여러 사용 예 (use case)들 (예: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할 경우, 해당 CC 내 주파수 대역 별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 (예: sub-carrier spacing) 가 지원될 수 있다.
또는, UE 별로 최대 대역폭에 대한 캐퍼빌리티 (capability) 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기지국은 UE에게 광대역 CC의 전체 대역폭이 아닌 일부 대역폭에서만 동작하도록 지시/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부 대역폭은 편의상 대역폭 파트 (bandwidth part; BWP)로 정의될 수 있다.
BWP는 주파수 축 상에서 연속한 자원 블록 (RB) 들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BWP는 하나의 뉴머롤로지 (예: sub-carrier spacing, CP length, slot/mini-slot duration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 있어, 면허 대역(이하, L-밴드)에서 동작하는 셀을 L-cell로 정의하고, L-cell의 캐리어를 (DL/UL) LCC라고 정의한다. 또한, 비면허 대역 (이하, U-밴드)에서 동작하는 셀을 U-cell로 정의하고, U-cell의 캐리어를 (DL/UL) UCC라고 정의한다. 셀의 캐리어/캐리어-주파수는 셀의 동작 주파수(예, 중심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셀/캐리어(예, CC)는 셀로 통칭될 수 있다.
도 1(a)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이 반송파 결합된 LCC 및 UCC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LCC는 PCC(Primary CC)로 설정되고 UCC는 SCC(Secondary CC)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b)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은 하나의 UCC 또는 반송파 결합된 복수의 UCC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과 기지국은 LCC 없이 UCC(s)만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탠드얼론 동작을 위해, UCell에서 PRACH, PUCCH, PUSCH, SRS 전송 등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기술하는 비면허 대역에서의 신호 송수신 동작은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상술한 배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아래의 정의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적용될 수 있다.
- 채널(channel): 공유 스펙트럼(shared spectrum)에서 채널 접속 과정이 수행되는 연속된 RB들로 구성되며, 반송파 또는 반송파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 채널 접속 과정(Channel Access Procedure, CAP): 신호 전송 전에 다른 통신 노드(들)의 채널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센싱에 기반하여 채널 가용성을 평가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센싱을 위한 기본 유닛(basic unit)은 Tsl=9us 구간(duration)의 센싱 슬롯이다. 기지국 또는 단말이 센싱 슬롯 구간동안 채널을 센싱하고, 센싱 슬롯 구간 내에서 적어도 4us 동안 검출된 전력이 에너지 검출 임계값 XThresh보다 작은 경우, 센싱 슬롯 구간 Tsl은 휴지 상태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센싱 슬롯 구간 Tsl=9us은 비지 상태로 간주된다. CAP는 LBT(Listen-Before-Talk)로 지칭될 수 있다.
- 채널 점유(channel occupancy):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후, 기지국/단말에 의한 채널(들) 상의 대응되는 전송(들)을 의미한다.
-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 기지국/단말이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후, 상기 기지국/단말 및 채널 점유를 공유하는 임의의(any) 기지국/단말(들)이 채널 상에서 전송(들)을 수행할 수 있는 총 시간을 지칭한다. COT 결정 시, 전송 갭이 25us 이하이면, 갭 구간도 COT에 카운트된다.
한편, COT는 기지국과 대응 단말(들) 사이의 전송을 위해 공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initiated COT 를 기지국과 공유(share)한다는 것은, Random back-off counter 기반의 LBT (예를 들어, CAT-3 LBT 또는 CAT-4 LBT) 를 통해 단말이 점유한 채널들 중 일부를 기지국에게 양도하고, 기지국은 단말이 UL 전송을 완료한 시점으로부터 DL 전송 시작 전에 발생되는 타이밍 갭(timing gap)을 활용하여 random back-off counter 없이 LBT (예를 들어, CAT-1 LBT 또는 CAT-2 LBT)를 수행한 후, LBT에 성공하여 해당 채널이 유휴(idle)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기지국은 남아있는 단말의 COT를 활용하여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gNB-initiated COT를 단말과 공유(share)하는 것은, Random back-off counter 기반의 LBT (예를 들어, CAT-3 LBT 또는 CAT-4 LBT) 를 통해 기지국이 점유한 채널들 중 일부를 단말에게 양도하고, 단말은 기지국이 DL 전송을 완료한 시점부터 UL 전송 시작 전에 발생되는 타이밍 갭을 활용하여, random back-off counter 없이 LBT (예를 들어, CAT-1 LBT 또는 CAT-2 LBT)를 수행하고, LBT에 성공하여 해당 채널이 유휴(idle)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단말이 남아있는 기지국의 COT를 활용하여 UL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단말과 기지국이 COT를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 DL 전송 버스트(burst): 16us를 초과하는 갭이 없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 세트로 정의된다. 16us를 초과하는 갭에 의해 분리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들은 서로 별개의 DL 전송 버스트로 간주된다. 기지국은 DL 전송 버스트 내에서 채널 가용성을 센싱하지 않고 갭 이후에 전송(들)을 수행할 수 있다.
- UL 전송 버스트: 16us를 초과하는 갭이 없는, 단말로부터의 전송 세트로 정의된다. 16us를 초과하는 갭에 의해 분리된, 단말로부터의 전송들은 서로 별개의 UL 전송 버스트로 간주된다. 단말은 UL 전송 버스트 내에서 채널 가용성을 센싱하지 않고 갭 이후에 전송(들)을 수행할 수 있다.
- 디스커버리 버스트: (시간) 윈도우 내에 한정되고 듀티 사이클과 연관된, 신호(들) 및/또는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DL 전송 버스트를 지칭한다. LTE-기반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버스트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전송(들)으로서, PSS, SSS 및 CRS(cell-specific RS)를 포함하고, 논-제로 파워 CSI-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R-기반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버스트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전송(들)으로서, 적어도 SS/PBCH 블록을 포함하며, SIB1을 갖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위한 CORESET, SIB1을 운반하는 PDSCH 및/또는 논-제로 파워 CSI-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에서 자원을 점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면허 대역 내의 통신 노드(예, 기지국, 단말)는 신호 전송 전에 다른 통신 노드(들)의 채널 사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면허 대역 내의 통신 노드는 전송(들)이 수행되는 채널(들)에 접속하기 위해 채널 접속 과정(CAP)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접속 과정은 센싱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노드는 신호 전송 전에 먼저 CS(Carrier Sensing)를 수행하여 다른 통신 노드(들)이 신호 전송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통신 노드(들)이 신호 전송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를 CCA(Clear Channel Assessment)가 확인됐다고 정의한다. 기-정의된 혹은 상위계층(예, RRC)에 의해 설정된 CCA 임계치(예, XThresh)가 있는 경우, 통신 노드는 CCA 임계치보다 높은 에너지가 채널에서 검출되면 채널 상태를 비지(busy)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채널 상태를 휴지(idle)로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상태가 휴지라고 판단되면,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CAP는 LBT로 대체될 수 있다.
표 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NR-U에서 지원되는 채널 접속 과정(CAP)을 예시한다.
Type Explanation
DL Type 1 CAP CAP with random back-off
- time duration spanned by the sensing slots that are sensed to be idle before a downlink transmission(s) is random
Type 2 CAP
- Type 2A, 2B, 2C
CAP without random back-off
- time duration spanned by sensing slots that are sensed to be idle before a downlink transmission(s) is deterministic
UL Type 1 CAP CAP with random back-off
- time duration spanned by the sensing slots that are sensed to be idle before a downlink transmission(s) is random
Type 2 CAP
- Type 2A, 2B, 2C
CAP without random back-off
- time duration spanned by sensing slots that are sensed to be idle before a downlink transmission(s) is deterministic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설정되는 하나의 셀(혹은, 반송파(예, CC)) 혹은 BWP는 기존 LTE에 비해 큰 BW(BandWidth)를 갖는 와이드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규제(regulation) 등에 기초하여 독립적인 LBT 동작에 기반한 CCA가 요구되는 BW는 제한될 수 있다. 개별 LBT가 수행되는 서브-밴드(SB)를 LBT-SB로 정의하면, 하나의 와이드밴드 셀/BWP 내에 복수의 LBT-SB들이 포함될 수 있다. LBT-SB를 구성하는 RB 세트는 상위계층(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i) 셀/BWP의 BW 및 (ii) RB 세트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의 셀/BWP에는 하나 이상의 LBT-SB가 포함될 수 있다.셀(혹은, 반송파)의 BWP에 복수의 LBT-SB가 포함될 수 있다. LBT-SB는 예를 들어 20MHz 대역을 가질 수 있다. LBT-SB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연속된 (P)RB로 구성되며, (P)RB 세트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타입 1 또는 타입 2 CAP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이 설정한 CAP(예, 타입 1 또는 타입 2)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UL 그랜트(예, DCI 포맷 0_0, 0_1) 내에 단말이 CAP 타입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타입 1 UL CAP에서 전송(들) 전에 유휴로 센싱되는 센싱 슬롯에 의해 스팬되는(spanned) 시간 구간의 길이는 랜덤이다. 타입 1 UL CAP는 다음의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및/또는 설정된(configured) PUSCH/SRS 전송(들)
-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및/또는 설정된 PUCCH 전송(들)
- RAP(Random Access Procedure) 와 관련된 전송(들)
도 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단말의 채널 접속 절차 중, 타입 1 CAP 동작을 예시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비면허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단말은 먼저 지연 구간(defer duration) Td의 센싱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이 휴지 상태인지 센싱하고, 그 후 카운터 N이 0이 되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334). 이때, 카운터 N은 아래 절차에 따라 추가 센싱 슬롯 구간(들) 동안 채널을 센싱함으로써 조정된다:
스텝 1)(S320) N=Ninit으로 설정. 여기서, Ninit은 0 부터 CWp 사이에서 균등 분포된 랜덤 값이다. 이어 스텝 4로 이동한다.
스텝 2)(S340) N>0이고 단말이 카운터를 감소시키기로 선택한 경우, N=N-1로 설정.
스텝 3)(S350) 추가 센싱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 이때, 추가 센싱 슬롯 구간이 휴지인 경우(Y), 스텝 4로 이동한다. 아닌 경우(N), 스텝 5로 이동한다.
스텝 4)(S330) N=0이면(Y), CAP 절차를 종료한다 (S332). 아니면(N), 스텝 2로 이동한다.
스텝 5)(S360) 추가 지연 구간 Td 내에서 비지(busy) 센싱 슬롯이 검출되거나, 추가 지연 구간 Td 내의 모든 센싱 슬롯들이 휴지(idle)로 검출될 때까지 채널을 센싱.
스텝 6)(S370) 추가 지연 구간 Td의 모든 센싱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이 휴지로 센싱되는 경우(Y), 스텝 4로 이동한다. 아닌 경우(N), 스텝 5로 이동한다.
표 2는 채널 접속 우선 순위 클래스에 따라 CAP에 적용되는 mp, 최소 CW, 최대 CW,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COT) 및 허용된 CW 크기(allowed CW sizes)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p) mp CWmin,p CWmax,p Tulmcot,p allowed CWp sizes
1 2 3 7 2 ms {3,7}
2 2 7 15 4 ms {7,15}
3 3 15 1023 6 or 10 ms {15,31,63,127,255,511,1023}
4 7 15 1023 6 or 10 ms {15,31,63,127,255,511,1023}
지연 구간 Td는 구간 Tf (16us) + mp개의 연속된 센싱 슬롯 구간 Tsl (9us)의 순서로 구성된다. Tf는 16us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센싱 슬롯 구간 Tsl을 포함한다.CWmin,p <= CWp <= CWmax,p이다. CWp는 CWp = CWmin,p로 설정되며, 이전 UL 버스트(예, PUSCH)에 대한 명시적/묵시적 수신 응답에 기반하여 스텝 1 이전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CW size 업데이트). 예를 들어, CWp는 이전 UL 버스트에 대한 명시적/묵시적 수신 응답에 기반하여, CWmin,p으로 초기화되거나, 다음으로 높은 허용된 값으로 증가되거나, 기존 값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타입 2 UL CAP에서 전송(들) 전에 유휴로 센싱되는 센싱 슬롯에 의해 스팬되는(spanned) 시간 구간의 길이는 결정적이다(deterministic). 타입 2 UL CAP는 타입 2A/2B/2C UL CAP로 구분된다. 타입 2A UL CAP에서 단말은 적어도 센싱 구간 Tshort_dl=25us 동안 채널이 휴지로 센싱된 이후 바로(immediately after)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Tshort_dl은 구간 Tf(=16us)와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하나의 센싱 슬롯 구간으로 구성된다. 타입 2A UL CAP에서 Tf는 구간의 시작 지점에 센싱 슬롯을 포함한다. 타입 2B UL CAP에서 단말은 센싱 구간 Tf=16us 동안 채널이 휴지로 센싱된 이후 바로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타입 2B UL CAP에서 Tf는 구간의 마지막 9us 내에 센싱 슬롯을 포함한다. 타입 2C UL CAP에서 단말은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을 센싱하지 않는다.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우선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 상 UL 그랜트 전송을 위한 LBT에 성공해야 하고 단말 역시 UL 데이터 전송을 위한 LBT에 성공해야 한다. 즉, 기지국 단과 단말 단의 두 번의 LBT 가 모두 성공해야만 UL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 UL 그랜트로부터 스케줄된 UL 데이터 간에는 최소 4 msec의 지연 (delay)이 소요되기 때문에 해당 시간 동안 비면허 대역에서 공존하는 다른 전송 노드가 우선 접속함으로써 스케줄된 UL 데이터 전송이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면허 대역에서 UL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NR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와 낮은 지연시간을 갖는 UL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신호 (예, RRC 시그널링) 혹은 상위 계층 신호와 L1 신호 (예, DCI)의 조합으로 시간, 주파수, 및 코드 도메인 자원을 단말에게 설정해 놓는 설정된 그랜트 타입 1과 타입 2를 지원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UL 그랜트를 받지 않아도 타입 1 혹은 타입 2로 설정된 자원을 사용해서 UL 전송을 할 수 있다. 타입 1은 설정된 그랜트의 주기, SFN=0 대비 오프셋,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 (time/freq. resource allocation), 반복 (repetition) 횟수, DMRS 파라미터, MCS/TBS, 전력 제어 파라미터 (power control parameter)등이 L1 신호 없이 모두 RRC와 같은 상위 계층 신호로만 설정된다. 타입 2는 설정된 그랜트의 주기와 전력 제어 파라미터 등은 RRC와 같은 상위 계층 신호로 설정되고, 나머지 자원에 대한 정보 (예, 초기전송 타이밍의 오프셋과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 DMRS 파라미터, MCS/TBS등)는 L1 시그널인 activation DCI로 지시되는 방법이다.
LTE LAA의 AUL과 NR의 configured grant간의 가장 큰 차이는 단말이 UL grant없이 전송한 PUSCH에 대한 HARQ-ACK feedback 전송 방법과 PUSCH 전송 시에 함께 전송되는 UCI의 존재 유무이다. NR Configured grant에서는 symbol index와 주기, HARQ process 개수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HARQ process가 결정되지만, LTE LAA에서는 AUL-DFI (downlink feedback information)을 통해서 explicit HARQ-ACK feedback 정보가 전송된다. 그리고 LTE LAA에서는 AUL PUSCH을 전송할 때마다 HARQ ID, NDI, RV등의 정보를 담은 UCI를 AUL-UCI를 통해 함께 전송한다. 또한 NR Configured grant에서는 단말이 PUSCH 전송에 사용한 시간/주파수 자원과 DMRS 자원으로 UE identification하고 LTE LAA에서는 DMRS 자원과 더불어 PUSCH와 함께 전송되는 AUL-UCI에 explicit하게 포함된 UE ID로 단말을 인식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비면허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다음 중 하나의 채널 접속 과정(CAP)을 수행할 수 있다.
(1) 타입 1 하향링크(DL) CAP 방법
타입 1 DL CAP에서 전송(들) 전에 유휴로 센싱되는 센싱 슬롯에 의해 스팬되는(spanned) 시간 구간의 길이는 랜덤이다. 타입 1 DL CAP는 다음의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 (i) 사용자 평면 데이터(user plane data)를 갖는 유니캐스트 PDSCH, 또는 (ii)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갖는 유니캐스트 PDSCH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유니캐스트 PDCCH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initiated) 전송(들), 또는,
- (i) 디스커버리 버스트만 갖는, 또는 (ii) 비-유니캐스트(non-unicast) 정보와 다중화된 디스커버리 버스트를 갖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전송(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먼저 지연 구간(defer duration) Td의 센싱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이 휴지 상태인지 센싱하고, 그 후 카운터 N이 0이 되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334). 이때, 카운터 N은 아래 절차에 따라 추가 센싱 슬롯 구간(들) 동안 채널을 센싱함으로써 조정된다:
스텝 1)(S320) N=Ninit으로 설정. 여기서, Ninit은 0 부터 CWp 사이에서 균등 분포된 랜덤 값이다. 이어 스텝 4로 이동한다.
스텝 2)(S340) N>0이고 기지국이 카운터를 감소시키기로 선택한 경우, N=N-1로 설정.
스텝 3)(S350) 추가 센싱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 이때, 추가 센싱 슬롯 구간이 휴지인 경우(Y), 스텝 4로 이동한다. 아닌 경우(N), 스텝 5로 이동한다.
스텝 4)(S330) N=0이면(Y), CAP 절차를 종료한다(S332). 아니면(N), 스텝 2로 이동한다.
스텝 5)(S360) 추가 지연 구간 Td 내에서 비지(busy) 센싱 슬롯이 검출되거나, 추가 지연 구간 Td 내의 모든 센싱 슬롯들이 휴지(idle)로 검출될 때까지 채널을 센싱.
스텝 6)(S370) 추가 지연 구간 Td의 모든 센싱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이 휴지로 센싱되는 경우(Y), 스텝 4로 이동한다. 아닌 경우(N), 스텝 5로 이동한다.
표 3은 채널 접속 우선 순위 클래스에 따라 CAP에 적용되는 mp, 최소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CW), 최대 CW,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COT) 및 허용된 CW 크기(allowed CW sizes)가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p) mp CWmin,p CWmax,p Tmcot,p allowed CWp sizes
1 1 3 7 2 ms {3,7}
2 1 7 15 3 ms {7,15}
3 3 15 63 8 or 10 ms {15,31,63}
4 7 15 1023 8 or 10 ms {15,31,63,127,255,511,1023}
지연 구간 Td는 구간 Tf (16us) + mp개의 연속된 센싱 슬롯 구간 Tsl (9us)의 순서로 구성된다. Tf는 16us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센싱 슬롯 구간 Tsl을 포함한다.
CWmin,p <= CWp <= CWmax,p이다. CWp는 CWp = CWmin,p로 설정되며, 이전 DL 버스트(예, PDSCH)에 대한 HARQ-ACK 피드백(예, ACK 또는 NACK 비율)에 기반하여 스텝 1 이전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CW size 업데이트). 예를 들어, CWp는 이전 DL 버스트에 대한 HARQ-ACK 피드백에 기반하여, CWmin,p으로 초기화되거나, 다음으로 높은 허용된 값으로 증가되거나, 기존 값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2) 타입 2 하향링크(DL) CAP 방법
타입 2 DL CAP에서 전송(들) 전에 유휴로 센싱되는 센싱 슬롯에 의해 스팬되는(spanned) 시간 구간의 길이는 결정적이다(deterministic). 타입 2 DL CAP는 타입 2A/2B/2C DL CAP로 구분된다.
타입 2A DL CAP는 아래의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타입 2A DL CAP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센싱 구간 Tshort_dl=25us 동안 채널이 휴지로 센싱된 이후 바로(immediately after)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Tshort_dl은 구간 Tf(=16us)와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하나의 센싱 슬롯 구간으로 구성된다. Tf는 구간의 시작 지점에 센싱 슬롯을 포함한다.
- (i) 디스커버리 버스트만 갖는, 또는 (ii) 비-유니캐스트(non-unicast) 정보와 다중화된 디스커버리 버스트를 갖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전송(들), 또는,
- 공유 채널 점유(shared channel occupancy) 내에서 단말에 의한 전송(들)으로부터 25us 갭 이후의 기지국의 전송(들).
타입 2B DL CAP는 공유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단말에 의한 전송(들)로부터 16us 갭 이후에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들)에 적용 가능하다. 타입 2B DL CAP에서 기지국은 Tf=16us 동안 채널이 휴지로 센싱된 이후 바로(immediately after) 전송을 전송할 수 있다. Tf는 구간의 마지막 9us 내에 센싱 슬롯을 포함한다. 타입 2C DL CAP는 공유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단말에 의한 전송(들)로부터 최대 16us 갭 이후에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전송(들)에 적용 가능하다. 타입 2C DL CAP에서 기지국은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을 센싱하지 않는다.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설정되는 하나의 셀(혹은, 반송파(예, CC)) 혹은 BWP는 기존 LTE에 비해 큰 BW(BandWidth)를 갖는 와이드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규제(regulation) 등에 기초하여 독립적인 LBT 동작에 기반한 CCA가 요구되는 BW는 제한될 수 있다. 개별 LBT가 수행되는 서브-밴드(SB)를 LBT-SB로 정의하면, 하나의 와이드밴드 셀/BWP 내에 복수의 LBT-SB들이 포함될 수 있다. LBT-SB를 구성하는 RB 세트는 상위계층(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i) 셀/BWP의 BW 및 (ii) RB 세트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의 셀/BWP에는 하나 이상의 LBT-SB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비면허 밴드 내에 복수의 LBT-SB가 포함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셀(혹은, 반송파)의 BWP에 복수의 LBT-SB가 포함될 수 있다. LBT-SB는 예를 들어 20MHz 대역을 가질 수 있다. LBT-SB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연속된 (P)RB로 구성되며, (P)RB 세트로 지칭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BT-SB들간에는 가드 밴드(GB)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BWP는 {LBT-SB #0 (RB set #0) + GB #0 + LBT-SB #1 (RB set #1 + GB #1) + ... + LBT-SB #(K-1) (RB set (#K-1))}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편의상, LBT-SB/RB 인덱스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시작하여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가면서 증가하도록 설정/정의될 수 있다.
한편, NR 시스템의 경우, 전송/수신 안테나가 크게 증가하는 거대(massive)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환경이 고려될 수 있다. 즉, 거대 MIMO 환경이 고려됨에 따라, 전송/수신 안테나의 수는 수십 또는 수백 개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NR 시스템에서는 above 6GHz 대역, 즉,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을 지원한다. 하지만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은 너무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해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쇄가 매우 급격하게 나타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적어도 6GHz 이상의 대역을 사용하는 NR 시스템은 급격한 전파 감쇄 특성을 보상하기 위해 신호 전송을 전방향이 아닌 특정 방향으로 에너지를 모아서 전송하는 빔포밍 기법을 사용한다. 거대 MIMO 환경에서는 하드웨어 구현의 복잡도를 줄이고,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한 성능 증가, 자원 할당의 유연성, 주파수별 빔 제어의 용이를 위해, 빔 형성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를 적용하는 위치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기법과 디지털 빔포밍(digital beamforming) 기법이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빔포밍 기법이 요구된다.
도 5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eamforming)을 위한 전송단 및 수신단의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에서 좁은 빔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BS나 UE에서 많은 수의 안테나에 적절한 위상차를 이용하여 동일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특정한 방향에서만 에너지가 높아지게 하는 빔포밍 방식이 주로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빔포밍 방식에는 디지털 기저대역(baseband) 신호에 위상차를 만드는 디지털 빔포밍,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에 시간 지연(즉, 순환 천이)을 이용하여 위상차를 만드는 아날로그 빔포밍, 디지털 빔포밍과 아날로그 빔포밍을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빔포밍 등이 있다. 안테나 요소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RF 유닛(혹은 트랜시버 유닛(transceiver unit, TXRU))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여 개의 안테나 요소 모두에 RF 유닛를 설치하기에는 가격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있다. 즉,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은 급격한 전파 감쇄 특성을 보상하기 위해 많은 수의 안테나가 사용해야 하고, 디지털 빔포밍은 안테나 수에 해당하는 만큼 RF 컴포넌트(예,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믹서(mixe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선형 증폭기(linear amplifier) 등)를 필요로 하므로,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에서 디지털 빔포밍을 구현하려면 통신 기기의 가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과 같이 안테나의 수가 많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날로그 빔포밍 혹은 하이브리드 빔포밍 방식의 사용이 고려된다.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하나의 TXRU에 다수 개의 안테나 요소를 매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analog phase shifter)로 빔(beam)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러한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체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빔포밍(beamforming, BF)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BF는 디지털 BF와 아날로그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요소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RF 유닛을 갖는 방식이다. 하이브리드 BF의 경우, B개의 RF 유닛과 Q개의 안테나 요소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1. 빔 관리(Beam Management, BM)
BM 과정은 하향링크(downlink, DL) 및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BS(혹은 전송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및/또는 UE 빔들의 세트(set)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과정들로서, 아래와 같은 과정 및 용어를 포함할 수 있다.
- 빔 측정(beam measurement): BS 또는 UE가 수신된 빔포밍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는 동작.
- 빔 결정(beam determination): BS 또는 UE가 자신의 전송 빔(Tx beam) / 수신 빔(Rx beam)을 선택하는 동작.
- 빔 스위핑(beam sweeping):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일정 시간 인터벌 동안 전송 및/또는 수신 빔을 이용하여 공간 도메인을 커버하는 동작.
- 빔 보고(beam report): UE가 빔 측정에 기반하여 빔포밍된 신호의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BM 과정은 (1) SSB 또는 CSI-RS를 이용하는 DL BM 과정과, (2)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이용하는 UL BM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각 BM 과정은 Tx 빔을 결정하기 위한 Tx 빔 스위핑과 Rx 빔을 결정하기 위한 Rx 빔 스위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DL BM 과정은 (1) BS에 의한 빔포밍된 DL RS들(예, CSI-RS 또는 SSB) 전송과, (2) UE에 의한 빔 보고(beam reporting)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보고는 선호하는(preferred) DL RS ID(들) 및 이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포함할 수 있다. DL RS ID는 SSBRI(SSB Resource Indicator) 또는 CRI(CSI-RS Resource Indicator)일 수 있다.
2. DL BM 관련 빔 지시(beam indication)
UE는 적어도 QCL(Quasi Co-location) 지시를 위한 최대 M 개의 후보(candidate) 전송 설정 지시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상태(state)들에 대한 리스트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UE (capability)에 의존하며, 64일 수 있다.
각 TCI 상태는 하나의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세트를 가지고 설정될 수 있다. 표 4는 TCI-State IE의 일례를 나타낸다. TCI-State IE는 하나 또는 두 개의 DL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대응하는 유사 공동-위치(quasi co-location, QCL) 타입과 연관된다.
-- ASN1START
-- TAG-TCI-STATE-START

TCI-State ::= SEQUENCE {
tci-StateId TCI-StateId,
qcl-Type1 QCL-Info,
qcl-Type2 QCL-Info OPTIONAL, -- Need R
...
}

QCL-Info ::= SEQUENCE {
cell ServCellIndex OPTIONAL, -- Need R
bwp-Id BWP-Id OPTIONAL, -- Cond CSI-RS-Indicated
referenceSignal CHOICE {
csi-rs NZP-CSI-RS-ResourceId,
ssb SSB-Index
},
qcl-Type ENUMERATED {typeA, typeB, typeC, typeD},
...
}

-- TAG-TCI-STATE-STOP
-- ASN1STOP
표 4에서, 'bwp-Id'는 RS가 위치되는 DL BWP를 나타내며, 'cell'은 RS가 위치되는 반송파를 나타내며, 'referencesignal'은 타겟 안테나 포트(들)에 대해 유사 공동-위치의 소스(source)가 되는 참조 안테나 포트(들) 혹은 이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들)은 CSI-RS, PDCCH DMRS, 또는 PDSCH DMRS 일 수 있다.
3. QCL(Quasi-Co Location)
UE는 상기 UE 및 주어진 주어진 셀에 대해 의도된(intended) DCI를 가지는 검출된 PDCCH에 따라 PDSCH를 디코딩하기 위해, 최대 M개의 TCI-상태 설정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수신할 있다. 여기서, M은 UE 능력(capability)에 의존한다.
표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TCI-State는 하나 또는 두 개의 DL RS와 PDSCH의 DM-RS 포트 간에 QCL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QCL 관계는 첫 번째 DL RS에 대한 RRC 파라미터 qcl-Type1과 두 번째 DL RS에 대한 qcl-Type2 (설정된 경우)를 가지고 설정된다.
각 DL RS에 대응하는 QCL 타입은 QCL-Info 내 파라미터 'qcl-Type'에 의해 주어지며, 다음 값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 'QCL-TypeA': {Doppler shift, Doppler spread, average delay, delay spread}
- 'QCL-TypeB': {Doppler shift, Doppler spread}
- 'QCL-TypeC': {Doppler shift, average delay}
- 'QCL-TypeD': {Spatial Rx parameter}
예를 들어, 타겟 안테나 포트가 특정 NZP CSI-RS 인 경우, 해당 NZP CSI-RS 안테나 포트들은 QCL-Type A관점에서는 특정 TRS와, QCL-Type D관점에서는 특정 SSB과 QCL되었다고 지시/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시/설정을 받은 UE는 QCL-TypeA TRS에서 측정된 도플러, 딜레이 값을 이용해서 해당 NZP CSI-RS를 수신하고, QCL-TypeD SSB 수신에 사용된 수신 빔을 해당 NZP CSI-RS 수신에 적용할 수 있다.
4. UL BM 과정
UL BM은 UE 구현에 따라 Tx 빔 - Rx 빔 간 빔 상호관계(reciprocity)(또는 빔 대응성)가 성립할 수 있거나 또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BS와 UE 모두에서 Tx 빔 - Rx 빔 간 상호관계가 성립하는 경우, DL 빔 쌍(pair)를 통해 UL 빔 쌍을 맞출 수 있다. 하지만, BS와 UE 중 어느 하나라도 Tx 빔 - Rx 빔 간 상호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DL 빔 쌍 결정과 별개로 UL 빔 쌍 결정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BS와 UE 모두 빔 대응성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UE가 선호(preferred) 빔의 보고를 요청하지 않고도 BS는 DL Tx 빔 결정을 위해 UL BM 과정을 사용할 수 있다.
UL BM은 빔포밍된 UL SRS 전송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SRS 자원 세트의 UL BM의 적용 여부는 (RRC 파라미터) 용도(usage)에 RRC 파라미터의해 설정된다. 용도가 'BeamManagement(BM)'로 설정되면, 주어진 시간 순간(time instant)에 복수의 SRS 자원 세트들 각각에 하나의 SRS 자원만 전송될 수 있다.
UE는 (RRC 파라미터) SRS-ResourceSet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자원 세트들을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설정받을 수 있다. 각각의 SRS 자원 세트에 대해, UE는 K≥1 SRS 자원들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K는 자연수이며, K의 최대 값은 SRS_capability에 의해 지시된다.
DL BM과 마찬가지로, UL BM 과정도 UE의 Tx 빔 스위핑과 BS의 Rx 빔 스위핑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안 방법들에서, 빔(Beam)이란, 특정 방향 및/또는 특정 공간으로 전력을 집중시켜 특정 동작(예를 들어, LBT 또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또는 기지국은 특정 공간 및/또는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즉, 빔)을 타겟으로 LBT 또는 전송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빔은 각각의 공간 및/또는 각각의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은 각각의 빔을 사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간 및/또는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는 공간 도메인 필터(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공간 도메인 필터는 하나 이상의 빔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단말 또는 기지국은 사용하고자 하는 빔(또는 공간 및/또는 방향)에 대응하는 공간 도메인 필터를 이용하여 LBT(Listen Before Talk) 또는 전송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LBT 빔에 대응하는 공간 도메인 필터를 이용하여 해당 LBT 빔을 위한 공간 및/또는 방향을 통해 LBT를 수행하거나, Tx 빔에 대응하는 공간 도메인 필터를 이용하여 해당 Tx 빔을 위한 공간 및/또는 방향을 통해 DL/U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고주파 대역에서는 높은 경로 손실(path-loss)을 극복하기 위해 다중안테나 기법을 활용하여 전-방향 (omnidirectional) 송/수신 외에 빔포밍(beamforming)을 이용한 특정 방향 (directional) 송/수신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은 국가/지역별 규정(regulation)에 따라서 LBT (listen-before-talk)과 같은 스펙트럼 공유 메커니즘(spectrum sharing mechanism)의 구현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서 LBT 역시 전-방향이 아닌 특정 빔 방향으로만 수행하는 방향성 LBT (directional LBT)가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Tx 빔(beam)이 미치는 간섭 영역 (interference range)을 커버하도록 적절한 LBT beam (즉, 센싱 빔(sensing beam))을 사용해서 채널의 점유 여부 (예를 들어, IDLE/BUSY여부)를 판단한 후에 LBT에 성공하면 (예를 들어, 에너지 측정값이 ED 임계값(threshold)보다 낮은 경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LBT beam (즉, 센싱 빔)을 사용하여 채널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LBT beam (즉, 센싱 빔)이 커버하는 Tx 빔 및/또는 LBT beam (즉, 센싱 빔)에 대응하는 채널을 센싱(sensing) 동작이라고 명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 각각을 커버하는 센싱 빔들을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 모두를 커버하는 센싱 빔을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빔 대응성(beam correspondence)를 가지지 않는다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 각각을 커버하는 센싱 빔들을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빔 대응성을 가지고,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 모두를 커버하는 하나의 센싱 빔을 선택하였다면, 해당 센싱 빔을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단말이 빔 대응성을 가지지만,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 각각을 커버하는 센싱 빔들을 사용한다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 각각을 커버하는 센싱 빔들을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BT를 통해 획득한 COT(Channel Occupancy Time)에서 SDM(Spatial Domain Multiplexing)/TDM(Time Domain Multiplexing)된 복수의 Tx 빔(beam)들을 통해 신호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센싱 빔(sensing beam)은 해당 복수의 Tx 빔(beam)들을 모두 커버(cover)하도록 single wide beam을 기반으로 LBT를 수행하거나, (multiple) independent per-beam을 기반으로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복수의 센싱 빔들을 통해서 Independent per-beam LBT를 수행하다 일부 빔(beam) 방향으로의 LBT가 실패한 경우에 실패한 빔(beam) 방향의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나머지 성공한 빔(beam) 방향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제안한다. 또한, COT에서 SDM 또는 TDM하여 전송할 복수의 Tx 빔들을 커버하는 single wide beam 기반 LBT에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의 복수의 Tx 빔을 통한 신호의 전송 방법에 대해 제안 한다.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수행하는 채널 접속 절차로는 대표적으로 LBT (listen-before-talk)가 있다. 신호를 전송할 기지국 및/또는 단말이 측정한 주변의 간섭 정도(interference level)를 ED 임계값과 같은 특정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여 잡음도가 일정 이하인 경우, 해당 신호의 전송을 허용하여 전송 간 충돌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이다.
도 6은 directional LBT와 omnidirectional LBT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a)는 특정 빔 방향 LBT 및/또는 빔 그룹 단위 LBT를 포함하는 directional LBT를 나타내고, 도 6(b)는 omnidirectional LBT를 나타낸다.
기존의 NR-U 시스템(예를 들어, Rel-16 NR-U)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CAP (즉, LBT) 과정을 수행하여, 채널이 IDLE한 것으로 판단되면, DL/UL 신호/채널이 전송되었다. 한편, 기존의 NR-U 시스템에서는 다른 RAT (예를 들어, Wi-Fi)와의 공존을 위하여 다른 RAT과의 LBT 대역을 일치시켰으며, CAP (즉, LBT)는, 전-방향으로 수행되었다. 다시 말해, 기존 NR-U 시스템에서는 비지향성 LBT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NR-U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7GHz 대역의 비면허 대역보다 더 높은 대역 (예를 들어, 52.6GHz 이상의 대역)에서 DL/UL 신호/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Rel-17 NR-U에서는 기존 7GHz 대역보다 큰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빔 방향으로 에너지를 집중시켜 전송하는 D-LBT (Directional LBT)를 활용할 수 있다. 즉, Rel-17 NR-U에서는 D-LBT를 통해 경로 손실을 감소시켜 더 넓은 커버리지에 DL/UL 신호/채널은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른 RAT (예를 들어, WiGig)와의 공존에도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a)를 보면, 빔 그룹이 빔 #1 내지 빔 #5로 구성될 때, 빔 #1 내지 빔 #5를 기반으로 LBT를 수행하는 것을 빔 그룹 단위 LBT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빔 #1 내지 빔 #5 중 어느 하나의 빔 (예를 들어, 빔 #3)을 통해 LBT를 수행하는 것을 특정 빔 방향 LBT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빔 #1 내지 빔 #5는 연속된 (또는 인접한) 빔들일 수 있으나, 불연속적인 (또는 인접하지 않은) 빔들일 수도 있다. 또한, 빔 그룹에 포함되는 빔은 반드시 복수 개일 필요는 없으며, 단일 빔이 하나의 빔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빔 별로 LBT가 수행될 수도 있지만, 빔 그룹 별로 LBT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 별로 LBT가 수행된다면, 빔 #1 내지 빔 #5은 TDM (Time Domain Multiplexing) 및/또는 SDM (Spatial Domain Multiplexing)된 복수의 전송 빔들 각각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1은 TDM (Time Domain Multiplexing) 및/또는 SDM (Spatial Domain Multiplexing)된 복수의 전송 빔들 중, 전송 빔 #1을 커버하고, 빔 #2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전송 빔 #2를 커버하고, 빔 #3은 복수의 전송 빔들 중, 전송 빔 #3을 커버하고, 빔 #4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전송 빔 #4를 커버하고, 빔 #5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전송 빔 #5를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cover)한다는 것의 의미는, LBT 수행을 위한 빔의 영역이 해당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이 유효한 영향 (또는 간섭)을 미치는 영역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송 빔의 간섭이 미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LBT 수행을 위한 센싱 빔을 통해서 에너지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빔을 통해서 측정한 에너지를 ED 임계값과 비교하여, 채널의 IDLE/BUSY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빔 그룹 별로 LBT가 수행된다는 것은, 빔 그룹에 포함된 빔들에 대응하는 TDM 및/또는 SDM 된 복수의 전송 빔들을 위하여 빔 그룹 단위로 한번에 LBT를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빔 그룹을 위한 하나의 빔(이하, 그룹 LBT 빔)을 형성하고, 그룹 LBT 빔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송 빔들 모두에 대하여 한번에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LBT 빔은 빔 그룹에 대응하는 모든 전송 빔들 (예를 들어, 전송 빔 #1 내지 전송 빔 #5)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LBT 빔의 영역은 전송 빔(예를 들어, 전송 빔 #1 내지 전송 빔 #5)들 각각이 유효한 영향 (또는 간섭)을 미치는 영역들 모두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b)는 omnidirectional LBT로서, 전-방향의 빔들이 하나의 빔 그룹을 구성하여, 해당 빔 그룹 단위로 LBT를 수행하는 경우, omnidirectional LBT를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든 방향의 빔들, 즉, 셀에서 특정 섹터(sector)를 커버하는 빔들의 집합인 전-방향의 빔들이 하나의 빔 그룹에 포함된다면, 이는, omnidirectional LBT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고주파 대역의 경우에는 상당한 경로 손실(path-loss)로 인하여 커버리지(coverage)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리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중안테나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향 (omnidirectional) 전송이 아닌 특정 방향 (directional) 으로 에너지를 집중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narrow beam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고주파 비-면허 대역에서는 상술한 LBT와 같은 채널 접속 절차와 더불어 빔(beam) 기반의 전송이 결합되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 directional LBT를 하기 위해 해당 방향으로만 directional LBT (D-LBT)를 수행하거나, 해당 방향의 빔(beam)이 포함된 빔 그룹(beam group) 단위의 LBT를 수행하여 채널의 점유 여부 (예를 들어, IDLE/BUSY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 그룹(beam group)에는 단일 혹은 복수의 빔이 포함될 수 있고, 전-방향의 빔(beam)을 포함하면, omnidirectional LBT (O-LBT)로 확장할 수 있다.
제안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에 적용되는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기반의 채널접속 방식 (channel access scheme)을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Category 1 (Cat-1): COT 내에서 이전 전송이 끝난 직후에 짧은 스위칭 갭(switching gap) 이후 바로 다음 전송이 이루어지며, 이 switching gap은 특정 길이(예를 들어, 3us)보다 짧고, 트랜시버 처리 시간(transceiver turnaround 시간)까지 포함된다. Cat-1 LBT는 상술한 타입 2C CAP에 대응될 수 있다.
-Category 2 (Cat-2): 백-오프 없는 LBT 방법으로 전송 직전 특정 시간 동안 채널이 idle한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전송이 가능하다. Cat-2 LBT는 전송 직전 채널 센싱에 필요한 최소 센싱 구간의 길이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센싱 구간의 길이가 25us인 Cat-2 LBT는 상술한 타입 2A CAP에 대응될 수 있고, 최소 센싱 구간의 길이가 16us인 Cat-2 LBT는 상술한 타입 2B CAP에 대응될 수 있다. 최소 센싱 구간의 길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25us 또는 16us보다 짧은 (예를 들면, 9us) 것도 가능하다.
-Category 3 (Cat-3): 고정된 CWS를 가지고 백-오프하는 LBT 방법으로 전송 장치(transmitting entity)가 0부터 최대 (maximum) 경쟁 윈도우 사이즈 (contention window size, CWS) 값(고정) 내에서 랜덤 숫자 N을 뽑아 채널이 idle한 것이 확인될 때마다 counter 값을 감소시켜 나가다가 counter 값이 0이 된 경우에 전송 가능하다.
-Category 4 (Cat-4): 변동 CWS를 가지고 백-오프 하는 LBT 방법으로 전송 장치가 0부터 maximum CWS값(변동) 내에서 랜덤 숫자 N을 뽑아 채널이 idle한 것이 확인될 때마다 counter 값을 감소시켜 나가다가 counter 값이 0이된 경우에 전송이 가능한데, 수신 측으로부터 해당 전송이 제대로 수신되지 못했다는 피드백을 받은 경우에 maximum CWS값이 한 단계 높은 값으로 증가되고, 증가된 CWS값 내에서 다시 랜덤 숫자를 뽑아서 LBT 절차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Cat-4 LBT는 상술한 타입 1 CAP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빔(Beam)별 혹은 빔 그룹(beam group) 단위의 LBT절차란 기본적으로 Random back-off기반의 LBT 절차 (예를들어, Cat-3 LBT 또는 Cat-4 LBT)를 의미할 수 있다. 빔 별 LBT는 특정 빔(beam) 방향으로 반송파 센싱(carrier sensing)을 수행하여 ED (Energy Detection)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했을 때, 측정한 에너지가 ED 임계값(threshold)보다 낮으면 해당 빔(beam) 방향의 채널이 IDLE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만약, 측정한 에너지가 ED 임계값보다 높으면 해당 빔 (beam) 방향의 채널이 BUSY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빔 그룹(Beam group) LBT절차는 빔 그룹(beam group)내에 포함된 모든 빔(beam) 방향으로 상술한 LBT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빔 그룹(beam group) 내에 특정 방향의 빔(beam)이 대표 빔(beam)으로 사전에 설정/지시된 경우에는, multi-CC LBT와 유사하게 해당 빔(Beam)에 대하여 대표로 random back-off LBT 절차를 수행하고, 빔 그룹(beam group)에 포함된 나머지 빔(beam)들은 Cat-2 LBT를 수행하여, 성공 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하나의 TX burst에 포함된 모든 DL 신호/채널 (또는 UL신호/채널)들을 spatial (partial) QCL 관계를 가진 신호/채널들로 구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기지국이 LBT 에 성공한 이후 총 4 개의 슬롯들로 구성된 TX burst 를 전송함에 있어서 빔 A 방향으로 3 슬롯 동안 전송한 이후, 4 번째 슬롯에는 빔 C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기지국이 빔 A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해당 U-band 에서 공존하는 Wi-Fi AP 는 빔 A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채널이 IDLE 하다고 판단한 후, LBT 에 성공하고 신호의 송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slot#k+3부터 기지국이 빔 C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면, 해당 Wi-Fi의 신호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와 같이, 빔 A로 전송하던 기지국이 추가적인 LBT 없이 빔 방향을 변경하여 전송함으로써 공존하는 다른 무선 노드에게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기지국이 LBT 에 성공한 이후 전송하는 TX burst 의 송신 빔 방향은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DL 신호와 UL 신호를 연관(association) 시켜, UL 송수신 시 단말이 사용할 빔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자원과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자원을 연동시켜서, 해당 CSI-RS 자원에서 단말이 생성한 빔 방향이 있다면, 해당 CSI-RS 자원에 link 된 SRS 자원에서 SRS 를 전송할 때 (혹은 해당 CSI-RS 자원에 link 된 SRS 자원이 시그널링된 UL grant 를 통해 스케줄링되는 PUSCH 를 전송할 때), 단말은 CSI-RS 수신 빔에 대응되는 전송 빔을 사용하여 U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수신 빔과 특정 전송 빔 사이의 관계는, 단말의 beam correspondence capability 가 있는 경우, 단말이 구현(implementation) 상으로 설정한 것일 있다. 또는, 특정 수신 빔과 특정 전송 빔 사이의 관계는, 단말의beam correspondence capability 가 없는 경우, 기지국 및 단말 간에 훈련(training) 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DL 신호와 UL 신호 간 연관(association) 관계가 정의된 경우, 해당 DL 신호와 spatial (partial) QCL 관계에 있는 DL 신호/채널들로 구성된 DL TX burst 와 해당 DL 신호와 연관된 UL 신호와 spatial (partial) QCL 관계에 있는 UL 신호/채널들로 구성된 UL TX burst 간에는 COT 가 공유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UL 신호/채널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신호/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SRS (sounding RS), DMRS for PUCCH, DMRS for PUSCH, PUCCH, PUSCH 및 PRACH
여기서, DL 신호/채널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신호/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secondary SS), DMRS for PBCH, PBCH, TRS (tracking reference signal) 또는 CSI-RS for tracking, CSI-RS for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및CSI-RS for RRM measurement, CSI-RS for beam management, DMRS for PDCCH, DMRS for PDSCH, PDCCH (또는 PDCCH 가 전송될 수 있는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PDSCH 및 상기 나열된 신호 혹은 해당 신호의 변형 혹은 새로 도입된 신호로써, TX burst 앞쪽에 배치되어 tracking or (fine)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or coexistence or power saving or frequency reuse factor = 1 등의 목적을 위해 도입된 신호
한편, 후술하는 각 제안 방법은 다른 제안 방법들과 상호 배치되지 않는 한 결합되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LBT와 같은 스펙트럼 공유 매커니즘(spectrum sharing mechanism)이 필수인 국가/지역의 경우, 전송 전 채널이 다른 노드에 의해서 점유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신호의 전송을 수행해야 한다.
고주파 대역에서 큰 경로 손실(path-loss)를 극복하기 위해 다중안테나 기법을 통해서 특정 빔 방향으로만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LBT 또한 전송할 빔 방향으로만 수행할 수 있다. LBT에 성공하면 국가/지역의 규정(Regulation)에 따라서 추가적인 LBT 없이 연속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COT(Channel Occupancy Time)을 획득할 수 있다.
해당 COT내에서는 전송 간의 간격 (gap)에 대응하는 길이와 무관하게 전송을 수행 할 수 있다. 다만, 특정 국가/지역에서는 COT내에서도 전송 간의 일정 길이 이상의 시간 간격 (gap)이 발생한 경우에는 Cat-2 LBT와 같은 짧은 채널 센싱(sensing)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LBT는 단말/기지국의 전송이 특정 파워로 전송되었을 때 간섭을 미치므로 해당 간섭 영역의 다른 전송이 있는지 여부를 측정된 에너지 값과 ED 임계값(threshold)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정된 에너지 값과 ED 임계값을 비교하여 채널의 점유여부 (IDLE/BUSY)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에너지가 ED 임계값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송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충돌을 피하기 위해 전송을 보류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빔 방향으로 하나의 빔을 전송하고자 할 때, 해당 빔 전송이 미치는 영역을 커버하는 센싱 빔(sensing beam)을 통하여 채널의 점유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센싱 빔(sensing beam)은 Tx 빔(beam)과 완전히 동일하거나 Tx 빔(beam)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wide beam pattern (예를 들어, 센싱 빔의 빔 폭(beam width)이 Tx 빔(beam)의 빔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빔)을 가진 빔일 수 있다.
만약, LBT를 통해서 획득한 COT에서 단일 빔이 아닌 복수의 빔을 SDM/TDM하여 전송하고자 한다면, 단말은 COT시작 전에 COT내에서 전송될 복수의 빔 방향으로 모두 LBT를 수행하여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 때도 단일 빔을 위한 LBT때와 유사하게 센싱 빔(sensing beam)은 COT에서 전송될 Tx 빔(beam)들에 대응되는 동일한 빔들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Tx 빔(beam)들을 모두 커버하는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넓은 wide beam을 센싱 빔(sensing beam)으로 사용하여 LBT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COT에서 SDM/TDM된 복수의 빔들을 위한 복수의 빔 LBT는 성능(capability)에 따라서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이 충분하여, 복수의 빔들의 방향들에 대한 LBT가 동시에 가능한 경우에는 simultaneous sensing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성능(capability)이 없는 경우에는 각 빔(beam) 방향 별로 순차적으로 센싱(sensing)을 수행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per-beam LBT 수행 중에 LBT에 성공한 빔 방향과 실패한 빔 방향이 혼재하는 경우에는, 본래 SDM/TDM하여 전송하고자 했던 모든 빔을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LBT에 성공한 나머지 일부 빔들이라도 전송할지 아니면 다시 전체 빔들에 대한 LBT를 수행해야 하는지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방법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의 제안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 기지국 및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동작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방법들을 기반으로 DL/U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을 기반으로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을 센싱할 수 있다(S801).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은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빔이 복수의 전송 빔들 모두를 커버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센싱 빔들이 각각 대응하는 전송 빔을 커버할 수도 있다.
단말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센싱이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S803). 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여부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DL/U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805).
한편, 상술한 S801 내지 S805에 따른 구체적인 단말 또는 기지국의 동작은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방법들을 기반으로 DL/UL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DL/UL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Rx) 빔을 결정할 수 있다(S901).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통해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DL/U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903).
도 10은 본 개시의 제안 방법들을 기반으로 DL/U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송단(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을 기반으로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을 센싱할 수 있다(S1001).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은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빔이 복수의 전송 빔들 모두를 커버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센싱 빔들이 각각 대응하는 전송 빔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전송단(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센싱이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S1003). 예를 들어, 전송단(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단(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여부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DL/UL 신호를 수신단(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S1005).
한편, 상술한 S1001 내지 S1005에 따른 구체적인 네트워크의 동작은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방법#1] 기지국 또는 단말이 COT 에서 복수의 전송 빔 방향으로 SDM되어 전송되는 multi-beam COT를 위해서 Random Back-off 기반 LBT (예를 들어, Cat-3 LBT 또는 Cat-4 LBT)를 수행하였는데, 일부 전송 빔 방향에 대한 LBT가 실패했을 경우에 성공한 빔 방향에 대한 DL/UL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1. 방법 #1-1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T에서 전송될 모든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single sensing beam을 이용하여 LBT를 수행한 경우에는, 해당 single beam을 이용한 LBT가 실패하면 모든 SDM된 전송 빔들에 대한 전송을 drop하고, 어느 전송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1-1]에 따르면, 하나의 센싱 빔을 통해 복수의 전송 빔에 대한 LBT를 수행하여, BUSY로 판단되었다면, 어느 전송 빔에 의해 BUSY로 판단되었는지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IDLE/BUSY에 대한 판단을 엄격히 하여 하나의 센싱 빔에 의해 커버된 모든 전송 빔들에 대한 전송을 Drop함으로써, 다른 신호와의 충돌을 엄격히 방지하고, 복수의 전송 빔을 통한 DL/UL 전송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2. 방법 #1-2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T에서 전송될 모든 전송 빔들을 각각 커버하는 센싱 빔들에 대한 LBT를 동시에(simultaneously) 수행한 경우에 실패한 센싱 빔(beam) 방향에 대응되는 전송 빔의 전송을 제외하고, LBT에 성공한 센싱 빔 방향에 대응되는 전송 빔의 전송들에 대해서는 SDM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 [방법 #1-2]는 처음에 전송을 위해 설정된 복수 레이어를 통한 전송에서 LBT를 실패한 센싱 빔(beam) 방향에 대응하는 레이어는 drop하고 RANK를 낮춰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를 drop하고 RANK를 낮춰서 전송하는 것은 DL 전송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방법 #1-2]에 따르면,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이 하나의 전송 빔을 커버하기 때문에, 복수의 센싱 빔들을 통한 LBT를 동시에 수행하더라도,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 여부를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센싱 빔들 중,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있더라도, 성공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스케줄링 시점에 부합하는 전송을 수행하여, 전송의 효율성과 전송 시점의 예측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LBT에 성공한 센싱 빔을 통해 COT(Channel Occupancy Time)를 획득하여, 해당 전송 빔과 대응하는 COT 공유(Sharing)가 가능한 바, 전송의 활용성이 높아질 수도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이 COT에서 복수의 전송 빔들을 SDM해서 전송하고자 할 때, COT에서 전송할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cover)하는 single sensing beam 혹은 복수의 센싱(sensing) 빔들을 통한 simultaneously per sensing beam LBT를 수행하고, LBT가 성공했을 경우에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a)를 참조하면, single sensing beam은 SDM된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하나의 센싱 빔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1(b)를 참조하면, simultaneous LBT (즉, simultaneously per sensing beam LBT)는 복수의 센싱 빔들을 통해서 복수의 전송 빔들에 대한 채널 센싱(sensing)을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경우, simultaneous LBT 는 multi-panel 성능(capability)이 있는 단말에 한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COT에서 4개의 전송 빔(Tx beam) #A/B/C/D를 전송하기 위해서 센싱 빔(sensing beam) #1/2/3/4를 이용하여 LBT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센싱 빔 #1/2/3/4는 전송 빔(Tx beam) #A/B/C/D와 동일한 빔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빔 #1을 위하여 전송 빔 #A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고, 센싱 빔 #2를 위하여 전송 빔 #B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으며, 센싱 빔 #3을 위하여 전송 빔 #C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고, 센싱 빔 #4을 위하여 전송 빔 #D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센싱 빔 #1/2/3/4/는 전송 빔(Tx beam) #A/B/C/D를 커버하는(cover)하는 다른 빔(beam)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빔 #1은 전송 빔(Tx beam) #A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A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빔 #2은 전송 빔(Tx beam) #B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B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빔 #3은 전송 빔(Tx beam) #C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C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빔 #4은 전송 빔(Tx beam) #D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D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방법 #1-1]과 같이,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T에서 전송될 모든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single sensing beam을 이용하여 LBT를 수행한 경우에는, 단말 또는 기지국은 해당 single sensing beam을 통한 LBT가 실패하면 모든 SDM 전송을 drop하여 어느 전송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를 참조하면, 단말 또는 기지국이 전송 빔 #A/B/C/D를 커버하는 하나의 센싱 빔을 이용하여 LBT를 수행하였는데, 해당 하나의 센싱 빔을 통한 LBT가 실패하였다면, 단말 또는 기지국은 SDM된 전송 빔 #A/B/C/D에 대한 DL/UL 전송 전체를 Drop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방법 #1-2]와 같이,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T에서 전송될 모든 전송 빔들 각각을 커버하는 센싱 빔들을 이용하여 동시에 LBT를 수행한 경우(즉, simultaneously per sensing beam LBT)에는,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전체 전송을 drop하는 대신에 LBT에 실패한 센싱 빔(beam) 방향에 대응되는 전송은 제외하고, LBT에 성공한 센싱 빔 방향에 대응되는 전송들에 대한 SDM전송을 시도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b)를 참고하면, 단말 또는 기지국이 전송 빔 #A/B/C/D 각각에 대응하는 센싱 빔 #1/2/3/4를 이용하여 LBT를 동시에 수행하였는데, 센싱 빔 #1 및 센싱 빔 #3에 대한 LBT는 성공(예를 들어, IDLE로 판단)하였지만, 센싱 빔 #2 및 센싱 빔 #4에 대한 LBT는 실패(예를 들어, BUSY로 판단)한 경우, 단말 또는 기지국은 센싱 빔 #1 및 센싱 빔 #3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 빔 #A 및 전송 빔 #C에 대응하는 전송은 수행하되, 센싱 빔 #2 및 센싱 빔 #4 각각에 대응하는 전송 빔 #B 및 전송 빔 #D에 대응하는 전송은 Drop할 수 있다.
한편, [방법 #1-2]는 처음에 전송을 위해 설정된 복수 레이어들을 통한 전송에서 LBT에 실패한 센싱 빔(beam) 방향에 대응하는 레이어는 drop하고 RANK를 낮춰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를 drop하고 RANK를 낮춰서 전송하는 것은 DL 전송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Rel-16 NR-U wideband DL 전송에서, wideband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자원이 포함된 특정 LBT sub-band가 LBT에 실패한 경우에 펑처링(puncturing)을 수행하여 성공한 LBT sub-band로만 PDSCH가 전송되고, UL의 경우에는 스케줄링된 PUSCH 자원이 포함된 LBT sub-band 중에 하나라도 실패 시 전체 전송이 drop되는 동작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레이어#1/2 (예를 들어, 센싱 빔#1에 대응)을 통해 단말#1에게 PDSCH를 전송하고, 레이어#3/4 (예를 들어, 센싱 빔#2에 대응)을 통해 단말#2에게 PDSCH를 전송하기 위해서 센싱 빔#1/2 각각을 통해 동시에(simultaneously) 센싱(sensing)을 수행하였는데, 단말#1에게 전송하려고 했던 레이어#1/2 를 커버하는 센싱 빔#1이 LBT에 실패하고, 나머지 센싱 빔들(예를 들어, 센싱 빔 #2)은 LBT에 성공한 경우, 기지국은 레이어 #1/2를 통한 단말#1로의 PDSCH 전송은 포기하고, 레이어 #3/4를 통해 단말#2에게만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방법#2] 기지국 또는 단말이 COT에서 복수의 전송 빔 방향으로 TDM되어 전송되는 multi-beam COT를 위해서 single sensing beam LBT 또는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동시에(simultaneously) LBT (예를 들어, Cat-3 LBT 또는 Cat-4 LBT) 를 수행하였는데, 일부 빔 방향에 대한 LBT가 실패했을 경우에 DL/UL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1. 방법 #2-1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T에서 전송될 모든 빔들을 커버하는 single sensing beam을 이용하여 LBT를 수행한 경우, 해당 single sensing beam LBT가 실패하면 모든 TDM된 전송 빔들에 대한 전송을 drop하고, 어느 전송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2-1]에 따르면, 하나의 센싱 빔을 통해 복수의 전송 빔에 대한 LBT를 수행하여, BUSY로 판단되었다면, 어느 전송 빔에 의해 BUSY로 판단되었는지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IDLE/BUSY에 대한 판단을 엄격히 하여 하나의 센싱 빔에 의해 커버된 모든 전송 빔들에 대한 전송을 Drop함으로써, 다른 신호와의 충돌을 엄격히 방지하고, 복수의 전송 빔을 통한 DL/UL 전송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2. 방법 #2-2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T에서 전송될 모든 빔들을 커버하는 복수의 빔들 각각을 통해 동시에(simultaneously) LBT를 수행한 경우,
(1) TDM으로 스케줄링된 시간 자원들 별로 해당 시간 자원에서 전송할 빔에 대응하는 LBT (예를 들어, 해당 시간 자원의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 빔에 기반한 LBT) 중, 적어도 하나가 실패한 경우에는, LBT에 실패한 빔(beam)에 대응하는 전송 (예를 들어,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전송) 이외에 해당 시간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모든 전송을 drop할 수 있다. 즉, 해당 시간 자원에서의 모든 전송이 drop될 수 있다.
(2) TDM으로 스케줄링된 시간 자원 별로 해당 시간 자원에서 전송할 빔에 대응하는 LBT (예를 들어, 해당 시간 자원의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 빔에 기반한 LBT) 중에 LBT에 실패한 빔이 있더라도 LBT에 실패한 빔에 대응하는 전송 (예를 들어,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전송) 이외에 해당 시간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나머지 빔 방향 전송은 수행될 수 있다.
[방법 #2-2]에 따르면,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이 하나의 전송 빔을 커버하기 때문에, 복수의 센싱 빔들을 통한 LBT를 동시에 수행하더라도,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 여부를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센싱 빔들 중,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있더라도, 성공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스케줄링 시점에 부합하는 전송을 수행하여, 전송의 효율성과 전송 시점의 예측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LBT에 성공한 센싱 빔을 통해 COT(Channel Occupancy Time)를 획득하여, 해당 전송 빔과 대응하는 COT 공유(Sharing)가 가능한 바, 전송의 활용성이 높아질 수도 있다.
한편, (1)에 따르면, 하나의 시간 자원(예를 들어, 슬롯)에 스케줄링된 복수의 전송 빔들에 대응하는 센싱 빔들 중,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LBT가 실패하였다면, 해당 센싱 빔에 대한 전송 빔을 통한 전송은 Drop되어야 한다. 그런데, 해당 전송 빔을 통한 전송만을 Drop시키고, 해당 시간 자원에서 SDM된 다른 전송 빔을 통한 전송 빔만을 전송하는 것이 단말 또는 기지국의 성능(Capability)에 따라서는 어려울 수 있다. 즉, 해당 시간 자원 내에서 해당 빔만을 제외하고 다른 빔들만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단말 또는 기지국의 성능 (예를 들어, 패널의 개수나 패널의 설치 상태)에 따라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1)에 따라, 해당 시간 자원에 스케줄링된 전송 빔들 전부를 Drop할 수 있다.
반면, 단말 또는 기지국의 성능 (예를 들어, 패널의 개수나 패널의 설치 상태)에 따라 해당 시간 자원 내에서 스케줄링된 복수의 전송 빔들에 대응하는 센싱 빔들 중,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있다면, 해당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빔들만으로 전송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와 같이 동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의 효율성, 예측성 및 활용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나머지 전송 빔들을 통한 전송은 수행될 수 있다.
3. 방법 #2-3
단말 또는 기지국이 LBT에 실패한 빔에 대응하는 전송 (예를 들어, 해당 LBT의 센싱 빔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전송)을 제외하고 성공한 일부 빔들 (예를 들어, LBT에 성공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만 TDM해서 전송하는 방법. 다만, COT내에 Pause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 또는 기지국이 전송 간의 갭(gap)길이와 상관없이 추가적인 LBT를 수행하지 않고, Pause 이후에 LBT에 성공한 다음 빔 전송 (즉, 추가 전송)을 이어나갈 수 있다.
4. 방법 #2-4
단말 또는 기지국은 LBT에 실패한 빔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해당 LBT의 센싱 빔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전송)을 제외하고 성공한 일부 빔들 (예를 들어, LBT에 성공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만 TDM해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COT내에 Pause가 발생한 경우, 단말 또는 기지국은 전송을 멈춘 직후 다음 LBT에 성공한 빔에 대응하는 전송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채널이 지속적으로 IDLE(continuously idle)한지 여부를 센싱하고, IDLE한 경우에만 다음 LBT에 성공한 빔에 대응하는 전송 (즉, 추가 전송)을 이어나갈 수 있다.
[방법 #2-3]과 [방법 #2-4]에서 COT내의 Pause가 발생할 수 있는 예시로는, TDM으로 스케줄링된 전송들 중 LBT 실패로 인하여 전송하지 못하는 빔 (예를 들어, LBT에 실패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이 발생한 경우나, CA (Carrier Aggregation) 상황에서 다른 반송파(carrier)를 통해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면서, UL power control에 의해 특정 UL 전송이 drop되는 경우일 수 있다.
단, [방법 #2-3]과 [방법 #2-4] 중에 어떤 방법을 적용하여 전송할지는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구현(implementation)상의 이슈로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역/국가 별 규정(Regulation)에 따라 [방법 #2-3] 또는 [방법 #2-4]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방법 #2-3]은 Cat-2 LBT 성능(capability)이 있는 단말이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항상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방법 #2-3]은 Cat-2 LBT 성능(capability)이 있는 단말이 전송 간의 간격 (gap)이 X us (예를 들어, 8us) 이상일 때 적용을 항상 하거나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방법 #2-3]과 [방법 #2-4]에 따르면, 복수의 시간 자원들에 복수의 전송 빔들이 스케줄링 되었을 때, 복수의 시간 자원들 중, 하나의 시간 자원에 대응하는 전송 빔에 대응한 LBT가 실패하더라도, 나머지 시간 자원들에 대한 전송이 수행될 수 있어, 전송의 효율성 및 예측성을 높일 수 있다.
SDM과 유사하게 기지국 또는 단말이 COT에서 복수의 전송 빔 방향으로 TDM되어 전송되는 multi-beam COT를 위해서 single sensing beam LBT 또는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동시에(simultaneously) LBT (예를 들어, Cat-3 LBT 또는 Cat-4 LBT) 를 수행하여, LBT에 성공한 경우. DL/U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simultaneous LBT는 복수의 sensing beam들을 통해서 복수의 전송 빔들 및/또는 복수의 채널들에 대하여 동시에 채널 센싱(sensing)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단말의 경우에는 복수 센싱 빔 방향들에 대하여 동시에 센싱할 수 있는 센싱 성능(sensing capability)이 있는 단말에 한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COT에서 4개의 전송 빔(Tx beam) #A/B/C/D를 전송하기 위해서 센싱 빔(sensing beam) #1/2/3/4를 이용하여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센싱 빔 #1/2/3/4는 전송 빔(Tx beam) #A/B/C/D와 동일한 빔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빔 #1을 위하여 전송 빔 #A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고, 센싱 빔 #2를 위하여 전송 빔 #B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으며, 센싱 빔 #3을 위하여 전송 빔 #C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고, 센싱 빔 #4을 위하여 전송 빔 #D와 동일한 spatial domain filter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센싱 빔 #1/2/3/4/는 전송 빔(Tx beam) #A/B/C/D를 커버하는(cover)하는 다른 빔(beam)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빔 #1은 전송 빔(Tx beam) #A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A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빔 #2은 전송 빔(Tx beam) #B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B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빔 #3은 전송 빔(Tx beam) #C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C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또한, 센싱 빔 #4은 전송 빔(Tx beam) #D를 포함하는 빔으로서, 전송 빔 #D보다 상대적으로 빔 폭(beam width)이 큰 빔일 수 있다.
한편, single sensing beam은 TDM된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하나의 센싱 빔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 또는 기지국이 single sensing beam LBT (예를 들어, Cat-3 LBT 혹은 Cat-4 LBT)를 수행하였는데, 일부 전송 빔 방향에 대한 LBT가 실패했을 경우, 각 시간 자원에서 TDM으로 스케줄링된 전송들 중에 LBT에 성공한 전송 빔 방향과 LBT에 실패한 전송 빔 방향을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말 또는 기지국은 single sensing beam LBT가 실패하면 모든 전송을 drop하여, 어느 DL/UL 전송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a)는 전송 빔 #A/B에 대응하는 전송들과 전송 빔 #C/D에 대응하는 전송들이 각각 슬롯 #1 및 슬롯 #2에 TDM되어 스케줄링되고, 단말 또는 기지국이 Single Sensing Beam을 통해 전송 빔 #A/B/C/D에 대한 LBT를 수행하였을 때, 해당 LBT가 실패하면 슬롯 #1 및 슬롯 #2에서의 스케줄링된 전송 모두를 Drop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는 전송 빔 #A에 대응하는 전송이 슬롯 #1에 스케줄링되고, 전송 빔 #B에 대응하는 전송이 슬롯 #2에 스케줄링되고, 전송 빔#C에 대응하는 전송이 슬롯 #3에 스케줄링되고, 전송 빔 #D에 대응하는 전송이 슬롯 #4에 스케줄링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단말 또는 기지국은 Single Sensing Beam을 통해 전송 빔 #A/B/C/D에 대한 LBT를 수행하였을 때, 해당 LBT가 실패하면 슬롯 #1 내지 슬롯 #4에 대응하는 전송 모두를 Drop할 수 있다.
한편, 단말 또는 기지국이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동시에 (simultaneously) LBT를 수행한 경우에는 복수의 센싱 빔 방향으로 LBT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 센싱 빔 방향으로의 LBT가 실패하더라도 성공한 센싱 빔 방향에 대응하는 전송은 단말 또는 기지국이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즉, 시간 축으로 서로 다른 빔(beam) (즉, 전송 빔) 전송으로 구성된 CO (channel occupancy)를 획득하고자 할 때, CO 시작 전에 CO에 포함된 모든 빔(즉, 전송 빔)에 대응하는 direction LBT 를 단말 또는 기지국이 수행하였지만 그 중 일부 빔(즉, 전송 빔)에 대해 LBT가 실패한 경우, 일단 나머지 LBT에 성공한 빔 (즉, 전송 빔)을 통해 기지국 또는 단말이 CO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전체 전송을 drop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 시작 전에 CO에 포함된 모든 빔(즉, 전송 빔)에 대응하는 direction LBT 를 수행하여, LBT에 성공한 빔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전송 모두를 drop하는 것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전송 빔의 방향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 일 때, (1) TDM으로 스케줄링된 시간 자원들 별로 해당 시간 자원에서 전송할 빔에 대응하는 LBT (예를 들어, 해당 시간 자원의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 빔에 기반한 LBT) 중, 적어도 하나가 실패한 경우에는, LBT에 실패한 빔(beam)에 대응하는 전송 (예를 들어,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전송) 이외에 해당 시간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모든 전송이 drop되는 방법 (즉, 해당 시간 자원에서의 모든 전송을 drop)이 있을 수 있다.
또는, (2) TDM으로 스케줄링된 시간 자원 별로 해당 시간 자원에서 전송할 빔에 대응하는 LBT (예를 들어, 해당 시간 자원의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 빔에 기반한 LBT) 중에 LBT에 실패한 빔이 있더라도 LBT에 실패한 빔에 대응하는 전송 (예를 들어, LBT에 실패한 센싱 빔이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에 대응하는 전송) 이외에 해당 시간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나머지 빔 방향 전송은 수행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1)은 단말과 기지국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2)는 기지국에게만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a)를 참조하면, 전송 빔#A와 전송 빔#B가 시간 자원 슬롯#1에 SDM되어 스케줄링되고, 전송 빔#C와 전송 빔#D가 시간 자원 슬롯#2에서 SDM되어 스케줄링 되었는데, 전송 빔#A와 전송 빔#B를 커버하는 센싱 빔#1에 대한 LBT가 실패한 반면, 전송 빔#C와 전송 빔 #D를 커버하는 센싱 빔#2에 대한 LBT는 성공했을 수 있다. 이 경우, (1)에 따르면 슬롯#1에 스케줄링 된 전송 빔 #A/B를 통한 전송은 drop되고, 슬롯#2에서 전송 빔#C/D에 대해서만 SDM에 기반하여 DL/UL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도 13(b)와 같이, 전송 빔#A/B/C/D별로 각각 센싱 빔#1/2/3/4를 통해 LBT가 수행되고 전송 빔#B에 대응되는 센싱 빙#2만 LBT에 실패한 경우에, (2)에 따라 슬롯#1에서 전송 빔#B를 통한 전송만 drop하고, 전송 빔#A/C/D를 통한 전송은 수행될 수 있다. 즉, 슬롯#1 에서는 전송 빔#A 를 통한 전송만 수행되고, 슬롯#2에서는 전송 빔#C/D 를 통한 전송이 SDM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3(c)와 같이, 전송 빔#A/B/C/D가 슬롯#1/#2/#3/#4에 각각 TDM 스케줄링 되었고, 센싱 빔#1/2/3/4를 통해서 전송 빔#A/B/C/D 각각을 위하여 센싱 빔 별 LBT를 동시에 (즉, simultaneous per sensing) 수행하였음을 가정한다. 이 때, 전송 빔#B에 대응되는 센싱 빔#2만 LBT에 실패하고 나머지 센싱 빔#1/3/4는 LBT에 성공하였다면, 슬롯(slot)#2에서의 전송 빔#B를 통한 전송은 drop하고, 슬롯#1/3/4에서의 전송 빔#A/C/D를 통한 나머지 전송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LBT에 실패한 전송 빔(즉, LBT에 실패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을 제외하고 성공한 일부 전송 빔들(즉, LBT에 성공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만 TDM되어 전송되면 COT내에 Pause(예를 들어, 도 13(c)에서의 슬롯#2 또는 전송 빔#A와 전송 빔#C 사이의 시간 갭(Gap))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at-2 LBT가 요구되는 국가/지역이 아니라면, LBT 실패한 전송 빔(즉, LBT에 실패한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전송 빔)에 의해 발생하는 전송 간의 갭(gap)길이 (예를 들어, 도 13(c)에서의 슬롯#2의 길이)와 상관없이 추가 LBT를 수행하지 않고, 이후 시점에 스케줄링 된 빔들(예를 들어, 도 13(c)에서의 슬롯#3/4에 스케줄링된 전송 빔#C/D)에 대한 전송은 이어서(continuously) 수행될 수 있다.
혹은, COT내에 Pause(예를 들어, 도 13(c)에서의 슬롯#2 또는 전송 빔#A와 전송 빔#C 사이의 시간 갭(Gap))가 발생한 경우, 전송을 멈춘 직후 다음 LBT에 성공한 빔 (도 13(c)에서 센싱 빔#3에 대응하는 전송 빔#3) 전송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단말 또는 기지국은 채널의 continuously idle 여부를 센싱(sensing)하고 IDLE한 경우에만 뒤이어 스케줄링 된 빔 전송(예를 들어, 도 13(c)에서의 전송 빔#3/4를 통한 전송)들이 이어서(continuously)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아래의 [표 5]와 같이 표준 문서 TS 37.213의 transmission pause가 포함된 연속적인 UL 전송과 유사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COT내의 Pause가 발생할 수 있는 예시로는, 방금 언급한 것처럼 COT내에 TDM으로 스케줄링된 전송들 중 LBT 실패로 인하여 전송하지 못하는 빔 (예를 들어, 도 13(c)에서 LBT에 실패한 센싱 빔#2에 대응하는 전송 빔#B)이 발생한 경우나, CA (Carrier Aggregation) 상황에서 다른 반송파(carrier)를 통해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하면서, UL power control에 의해 특정 UL 전송이 drop되는 경우일 수 있다.
For contiguous UL transmissions(s) including a transmission pause, the following are applicable:
- If a UE is scheduled to transmit a set of consecutive UL transmissions without gaps using one or more UL grant(s), and if the UE has stopped transmitting during or before one of these UL transmissions in the set and prior to the last UL transmission in the set, and if the channel is sensed by the UE to be continuously idle after the UE has stopped transmitting, the UE may transmit a later UL transmission in the set using Type 2 channel access procedures or Type 2A UL channel access procedures without applying a CP extension.
- If a channel sensed by a UE is not continuously idle after the UE has stopped transmitting, the UE may transmit a later UL transmission in the set using Type 1 channel access procedure with the UL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indicated in the DCI corresponding to the UL transmissio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COT내에 Pause에 대해서 추가적인 LBT 없이 LBT에 성공한 빔 전송(예를 들어, 도 13(c)에서 센싱 빔#3에 대응하는 전송 빔#C를 통한 전송)을 이어갈 것인지 아니면 전송 중단 후 다음 전송 (예를 들어, 도 13(c)에서 센싱 빔#3에 대응하는 전송 빔#C를 통한 전송) 전까지 단말 또는 기지국이 continuously idle 여부를 센싱(sensing)할 것인지 여부는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구현(implementation)상의 이슈로 일 수도 있다. 또한, continuously idle sensing의 경우에는 Cat-2 LBT 성능(capability)이 있는 단말이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항상 적용할 수 있다. 혹은 Cat-2 LBT 성능(capability)이 있는 단말이 전송 간의 간격 (gap)이 X us (예를 들어, 8us) 이상일 때 적용을 항상 하거나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 기지국(200)/기지국(20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e.g.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14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무선 기기(100)의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고, 메모리(104)에 저장되는 명령 및/또는 동작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하기 동작들은 프로세서(102)의 관점에서 프로세서(102)의 제어 동작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 웨어 코드 등에 메모리(104)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4)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readable) 저장 매체 (storage medium)로서, 지시들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들 또는 프로그램들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작동 가능하게(operably)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하기 동작들과 관련된 본 개시의 실시 예들 또는 구현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을 기반으로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을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은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빔이 복수의 전송 빔들 모두를 커버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센싱 빔들이 각각 대응하는 전송 빔을 커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센싱이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여부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U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02)의 구체적인 동작은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2)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DL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R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통해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D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무선 기기(200)의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고, 메모리(204)에 저장되는 명령 및/또는 동작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하기 동작들은 프로세서(202)의 관점에서 프로세서(202)의 제어 동작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 웨어 코드 등에 메모리(204)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04)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readable) 저장 매체 (storage medium)로서, 지시들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들 또는 프로그램들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작동 가능하게(operably)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하기 동작들과 관련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 또는 구현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을 기반으로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을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은 복수의 전송 빔들을 커버하는 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싱 빔이 복수의 전송 빔들 모두를 커버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센싱 빔들이 각각 대응하는 전송 빔을 커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2)는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센싱이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복수의 채널들 및/또는 전송 빔들 각각에 대한 IDLE/BUSY여부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D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202)의 구체적인 동작은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02)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UL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R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통해 [방법 #1] 내지 [방법 #2]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U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은 이동형 로봇, 차량, 기차, 유/무인 비행체(Aerial Vehicle, AV), 선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은 안테나부(108), 통신부(110), 제어부(120), 구동부(140a), 전원공급부(140b), 센서부(140c) 및 자율 주행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기지국(e.g. 기지국,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등),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의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엔진, 모터, 파워 트레인, 바퀴, 브레이크, 조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b)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c)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주행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 교통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이 자율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140a)를 제어할 수 있다(예, 속도/방향 조절). 자율 주행 도중에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최신 교통 정보 데이터를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며,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교통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도중에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새로 획득된 데이터/정보에 기반하여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위치, 자율 주행 경로, 드라이빙 플랜 등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AI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데이터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gNode B(gNB),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개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5세대 NewRAT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5세대 NewRAT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제 1 무선 기기 200: 제 2 무선 기기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DL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접속 절차가 실패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을 위한 DL 전송은 드롭(Drop)되는,
    DL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동일한 채널 점유(Channel Occupancy) 내에 포함되는,
    DL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을 위한 채널 점유는 동일한 시간에 시작하는,
    DL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 또는 공간 도메인(Spatial Domain) 에서 다중화(Multiplexing)되는,
    DL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이 IDLE로 센싱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는 성공한 것인,
    DL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센싱이 수행되는,
    DL 전송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기지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채널 접속 절차가 실패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 빔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빔을 위한 DL 전송은 드롭(Drop)되는,
    기지국.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동일한 채널 점유(Channel Occupancy) 내에 포함되는,
    기지국.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을 위한 채널 점유는 동일한 시간에 시작하는,
    기지국.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빔들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 또는 공간 도메인(Spatial Domain) 에서 다중화(Multiplexing)되는,
    기지국.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이 IDLE로 센싱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는 성공한 것인,
    기지국.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센싱이 수행되는,
    기지국.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L (Downlink)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장치.
  16.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D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UL (Uplink)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UL 전송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L (Uplink)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복수의 센싱 빔(Sensing beam)들 각각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접속 절차가 성공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Transmission Beam)을 통해 상기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빔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송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단말.
KR1020220124160A 2022-01-07 2022-09-29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47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297243P 2022-01-07 2022-01-07
US63/297,243 2022-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102A true KR20230107102A (ko) 2023-07-14
KR102647031B1 KR102647031B1 (ko) 2024-03-13

Family

ID=8359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60A KR102647031B1 (ko) 2022-01-07 2022-09-29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24957A1 (ko)
EP (1) EP4210419A1 (ko)
JP (1) JP2023101378A (ko)
KR (1) KR102647031B1 (ko)
CN (1) CN1164193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9925B2 (en) * 2019-01-11 2024-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2683A1 (en) * 2018-04-26 2021-12-16 Convida Wireless, Llc Listen-before-talk in beam centric cel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8392B2 (ja) * 2018-05-10 2023-10-1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r-uにおけるssb送信のメカニズム
CN110536432A (zh) * 2018-09-21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装置和设备
US11432333B2 (en) * 2019-01-28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ing multiple sets of uplink resources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JP7457163B2 (ja) * 2021-08-05 2024-03-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非免許帯域におい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2683A1 (en) * 2018-04-26 2021-12-16 Convida Wireless, Llc Listen-before-talk in beam centric cell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2106447 *
3GPP R1-2109447* *
3GPP R1-210990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31429호 (명칭: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2019.11.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031B1 (ko) 2024-03-13
US20230224957A1 (en) 2023-07-13
JP2023101378A (ja) 2023-07-20
CN116419397A (zh) 2023-07-11
EP4210419A1 (en)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401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20103938A (ko)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202952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004154B2 (en)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039122A1 (en)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2035389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17451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2075478B2 (en) Method of performing channel access procedur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300148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44447B1 (ko)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206964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647031B1 (ko)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47034B1 (ko)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420337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30020445A (ko)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56031A (ko)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20446A (ko)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19133A (ko) 채널 접속 절차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206964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therefor
KR20240132291A (ko)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71385A (ko)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7296434A (zh) 用于在未授权带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KR20240132458A (ko)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071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ucch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