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063A -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063A
KR20230107063A KR1020220002996A KR20220002996A KR20230107063A KR 20230107063 A KR20230107063 A KR 20230107063A KR 1020220002996 A KR1020220002996 A KR 1020220002996A KR 20220002996 A KR20220002996 A KR 20220002996A KR 20230107063 A KR20230107063 A KR 2023010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de assembly
cell
manufacturing
uni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호
서영선
조철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0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063A/en
Publication of KR2023010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0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유닛셀의 매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유도 감응형 센서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unit cell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parator, wherein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are stacked A transfer unit for taking out and transferring the unit cell from the loading unit, wherei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n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unit cell,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unit cells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n inductive sensor.

Description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구체적으로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유닛셀의 취출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errors when taking out a unit cell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화석 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 청정 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fossil fuels, the demand for the use of alternative energy and clean energy is increasing.

현재 이러한 전기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Currently, a secondary battery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such electrochemical energy, and its use area is gradually expanding.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 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s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portable devices such as portable computers, mobile phones, and camera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a low self-discharge rate, and it is also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또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의 하나인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는 주로 니켈 수소금속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단계에 있다.In addition,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grows, research on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that can replace vehicles using fossil fuels such as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which are one of the main causes of air pollution, is being conducted. there is. Nickel metal hydride secondary batteries are main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but studies using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and discharge voltag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some commercialization is in progress.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 도전재를 슬러리의 형태로 집전체에 코팅 및 건조하여 전극 합제층을 형성시켜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시키고, 이를 라미네이션한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시킴으로써 제조된다.In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 cathode or an an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re coated on a current collector in the form of a slurry and dried to form an electrode mixture layer to manufacture a cathode and a cathode, and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and by embedding the laminated electrode assembly in a battery case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The electrode assembly built into the battery case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with a laminated structure of anode/separator/cathode, and is a jelly-roll type coil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long sheet-type cathode and anod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It is classified as a stack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anodes and cathodes of the same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As an electrode assembly with an advanced structure in the mixed form of the jelly-roll type and the stack type, a full cell or anode (cathode) / separator / cathode (an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cathode structure of a certain unit size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icells having an anode (cathode) structure are folded using a long continuous separator film has been developed.

또한, 기존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공정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형태의 전지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lamination)되어 있는 단위셀들을 적층한 구조의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 조립체도 개발되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airness of existing stacked electrode assemblies and to meet the demand for various types of battery cells, lamination/stacked electrodes have a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bonded are stacked. Assemblies were also developed.

상술한 전극 조립체들을 조립하게 위해, 미리 제조된 유닛셀들이 적층된 적재함에서 개별로 취출되어 전극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작업대 등으로 옮겨지게 되고, 이를 위해 취출 및 이송장치를 통해 유닛셀들 순차적으로 적재함에서 취출되는데 이 때, 유닛셀 취출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되면서 취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일률적으로 유닛셀 취출 후 진동을 가하거나 제전기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는 등의 공정을 추가로 거쳤으나, 이 경우 정상적으로 유닛셀이 1매 취출된 경우에도 동일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공정상 효율이 저하되거나, 또는 추가의 유닛셀 제거를 위한 공정을 거쳤음에도 제거되지 않은 유닛셀이 있더라도 이를 검출하지 못하여 여전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To assemble the above-described electrode assemblies, pre-manufactured unit cells are individually taken out of the stacked loading box and transferred to a workbench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ies, and for this purpose, the unit cells are sequentially loaded through a take-out and transfer devic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unit cell, two or more unit cells are taken out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the lik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ake-out defect occurs. In order to remove this,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applying vibration or blowing air through an eliminator after uniformly taking out the unit cell was carried out, but in this case, even if one unit cell was normally taken out, the same process wa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fficiency is lowered, or even if there is a unit cell that is not removed even though a process for removing an additional unit cell is not detected, a defect still occu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층된 유닛셀로부터 1매의 유닛셀을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되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추가의 유닛셀을 제거하여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ct even if two or more unit cells are taken out due to static electricity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one unit cell from the stacked unit cells and remove the additional unit cells to minimize defects.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variously exten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유닛셀의 매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유도 감응형 센서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unit cell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parator, wherein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are stacked A transfer unit for taking out and transferring the unit cell from the loading unit, wherei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n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unit cell,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unit cells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n inductive sensor.

상기 유도 감응형 센서는, 검출 코일, 발진 회로, 검출 회로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uctive sensor may include a detection coil, an oscillation circuit, a detection circuit, and an output circuit.

상기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유닛셀이 2매 이상 흡착된경우 흡착부를 통해 상기 유닛셀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분리 지지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support configured to apply vibration to the unit cell through the adsorption unit when two or more unit cells are adsorbed while supporting the adsorption unit.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리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 상하 이동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movement unit connected to the separation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the adsorption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순차로 적층된 모노셀일 수 있다.The unit cell may be a monocell in which a separator,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또는 음극, 분리막이 순차로 적층된 하프셀 일 수 있다.The unit cell may be a half cell in which a separator, an anode or a cathode, and a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유도 감응형 센서는,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유닛셀에 포함된 금속 성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양을 검출하여 상기 유닛셀의 매수를 판단할 수 있다.The inductive sensor may determine the number of unit cells by detecting an amount of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a metal component included in the unit cell adsorbed to the adsorp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진공에 의해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는 단계, 및 유도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에 의해 상기 유닛셀이 1매만 흡착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unit cell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parator, wherein the unit cell is adsorbed by vacuum. A step of taking out the unit cell from a loading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are stacked by a unit, and a step of detecting whether only one unit cell is adsorbed by a sensor unit including an inductive sensor.

상기 유도 감응형 센서는, 검출 코일, 발진 회로, 검출회로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uctive sensor may include a detection coil, an oscillation circuit, a detection circuit, and an output circuit.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코일로부터 고주파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상기 자기장에 상기 유닛셀이 접근할 때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양에 따라 상기 검출 코일에 발생하는 저항 변화를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하고, 이를 상기 출력 회로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tecting step,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coil, and a resistance change occurring in the detection coil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generated when the unit cell approaches the magnetic field. , and outputting it by the output circuit.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2매 이상의 상기 유닛셀이 흡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흡착부 및 상기 유닛셀에 진동을 가하여 1매의 상기 유닛셀만이 남도록 나머지 상기 유닛셀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tect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wo or more unit cells are adsorbed, applying vibration to the adsorption unit and the unit cell to remove the remaining unit cells so that only one unit cell remains can do.

상기 유닛셀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추가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유닛셀이 1매만 흡착되었는지 재차 검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removing the unit cell, a step of detecting again whether only one unit cell is adsorbed by the sensor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층된 유닛셀로부터 1매의 유닛셀을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2매 이상의 유닛셀이 취출되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추가의 유닛셀을 확실하게 제거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wo or more unit cells are taken out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the like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one unit cell from the stacked unit cells, it is accurately detected and the additional unit cells are reliably removed, resulting in defects. occurrenc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 장치에서 센서부를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서 취출되는 대상이 되는 유닛셀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l of a sensor unit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1 .
3A and 3B are diagrams respectively showing examples of unit cells to be taken out in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own ba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shown enlarged to clearly express the various layers and regions. And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 Conversely, when a part is said to be "directly on"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o be "on" or "on" a reference part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art, and to necessarily be located "on" or "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does not mean no.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referred to as "planar image", it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when it is referred to as "cross-sectional image", it means when a cross section of the target part cut vertically is viewed from the s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에 대해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A and 3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 장치에서 센서부를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서 취출되는 대상이 되는 유닛셀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or unit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1, and FIGS. 3A and 3B are taken out from FIG. It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unit cells to be targe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는, 복수의 유닛셀(10)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200), 적재부(200)로부터 1매의 유닛셀(10)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100) 및 이송부에 의해 유닛셀(10)이 이송되어 이후 공정을 행하는 작업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200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10 are stacked, and one unit cell from the loading unit 200 ( 10) and a transfer unit 100 for taking out and transferring the unit cell 10 by the transfer unit and a work table 300 for performing subsequent processes.

이송부(100)는 유닛셀(10)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부(110), 흡착부(110)를 지지하면서, 복수의 유닛셀(10) 취출시 진동 등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분리 지지부(120), 분리 지지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취출된 유닛셀(10)의 매수를 검출하는 센서부(130) 및 분리 지지부(120)에 연결되어, 흡착부(110)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140)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100 supports the adsorption unit 110 that adsorbs the unit cell 10 by vacuum, and the separation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unit cells 10 by vibration or the like when taking out the unit cell 10 while supporting the adsorption unit 110.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20 and the separation support unit 120 and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30 for detecting the number of units cells 10 taken out and the separation support unit 120, and moves the adsorption unit 110 up and down. It includes a vertical moving unit 140 configured to be movable.

이송부(100)에 의해 취출되는 유닛셀(10)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13)과, 적어도 하나의 내부 분리막(14)을 포함한다. 이 때 유닛셀(10)은 모노셀 또는 하프셀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셀(10)이 모노셀인 경우, 유닛셀(10)은 내부 분리막(14), 음극(12), 내부 분리막(14), 및 양극(11)이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셀(10’)이 하프셀인 경우, 유닛셀(10’)은 내부 분리막(14), 음극 또는 양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13), 및 내부 분리막(14)이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닛셀(10)은 모노셀 및 하프셀 어느 경우라도 가능할 수 있고, 공정상 필요한 구성이 무엇인지에 따라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각 전극(13)은 집전체와 같은 금속 박막 상에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슬러리의 형태로 혼합하여 코팅 및 건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전극 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cell 10 taken out by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13 and at least one internal separator 14 . At this time, the unit cell 10 may be a mono cell or a half cell. That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when the unit cell 10 is a mono cell, the unit cell 10 includes an internal separator 14, a cathode 12, an internal separator 14, and an anode ( 11) may have a sequentially stacked structur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nit cell 10' is a half cell, the unit cell 10' includes an internal separator 14, an electrode 13 of either a cathode or an anode, and an internal separator ( 14) may have a sequentially stacked structure. The unit cell 10 may be any case of a mono cell and a half cell, and may be appropriately applied depending on what configuration is required in the process. At this time, each electrode 13 may include an electrode mixture layer obtained by coating and drying a mixture of an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form of a slurry on a metal thin film such as a current collector.

이와 같은 유닛셀(10)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제작되어, 적재부(200)에 적재된 상태로 후속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적재된 상태의 유닛셀(10)로부터 1매의 유닛셀(10)을 취출하기 위하여, 이송부(100)는 흡착부(110)를 구비한다. 흡착부(110)는 유닛셀(10)에 접한 상태로 진공을 인가하여 유닛셀(10)을 흡착한다. 이러한 흡착부(110)는 분리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고, 분리 지지부(120)의 반대측에는 상하 이동부(140)가 연결되어, 상하 이동부(140)에 의해 흡착부(11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흡착부(110)가 하강하여 유닛셀(10)을 흡착한 후, 수직 상승하여 다음 공정, 즉 작업대(300)로 이동한 후 작업대(300)에 놓여지도록 수직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작업대(300)에서는, 이동된 유닛셀(10)이 추가의 분리막(20)을 사이에 두고 반복 적층되는 것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가의 분리막(20)이 적층 및 폴딩에 의해 개재될 수도 있으며, 전극 조립체의 가장 하부 및 가장 상부에는 하프셀인 유닛셀(10’)이 배치될 수 있다.Such a unit cell 10 may b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through a separate process and applied to a subsequent process while being loaded in the loading unit 200 . In order to take out one unit cell 10 from the unit cell 10 in a loaded state, the transfer unit 100 includes an adsorption unit 110 . The adsorption unit 110 adsorbs the unit cell 10 by applying a vacuum while in contact with the unit cell 10 . The adsorption unit 110 is supported by the separation support unit 120,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paration support unit 120, and the adsorption unit 11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p and down movement unit 140.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That is, after the adsorption unit 110 descends and adsorbs the unit cell 10, it is vertically raised to move to the next process, that is, the work table 300, and then vertically descends to be placed on the work table 300. In the workbench 300,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completed by repeatedly stacking the moved unit cells 10 with additional separators 20 interposed therebetwee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dditional separator 20 may be interposed by stacking and folding, and unit cells 10 ′, which are half cells,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and top of the electrode assembly.

분리 지지부(120)가 유닛셀(10)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취출된 유닛셀(10)의 매수를 검출하는 센서부(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30)가 분리 지지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닛셀(10)에 대하여 센싱을 위한 고주파를 가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라도 가능하고, 이송부(100)와 분리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A sensor unit 130 for detecting the number of removed unit cells 1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paration support 120 facing the unit cells 10 .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unit 13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on the separation support unit 1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position where it is possible to apply a high frequency for sensing to the unit cell 10 is possible,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ransfer unit 100.

센서부(130)는 유도 감응형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코일(131), 발진 회로(132), 검출 회로(133) 및 출력 회로(134)를 포함하는 유도 감응형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감응형 센서는, 발진 회로(132)와 연결된 검출 코일(131)로부터 고주파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자기장에, 검출체(유닛셀(10))가 근접할 경우 전자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양에 따라 검출 코일(131)의 저항 변화가 발생하여 이를 검출 회로(133)에 의해 검출하여 출력 회로(134)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sensor unit 130 may be composed of an inductive sensor,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detection coil 131, the oscillation circuit 132, the detection circuit 133 and the output circuit 134 are included. It may be an inductive sensor including Such an inductive sensor generate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from a detection coil 131 connected to an oscillation circuit 132, and induction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a detection object (unit cell 10) approaches this magnetic field. A resistance change of the detection coil 131 occu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which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circuit 133 and configured to operate the output circuit 134.

특히, 검출체인 유닛셀(10)의 매수에 따라 유닛셀(10)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성분, 즉 전자 유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인 금속 성분(예를 들면, 집전체 등)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저항 변화량이 달라지고, 이에 기초하여 유닛셀(10)의 매수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센싱 대상이, 유닛셀(10)의 무게 또는 두께가 될 수도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유닛셀(10)의 무게 및 두께가 작기 때문에, 2매가 취출되더라도 그 차이가 크지 않아서 센서의 감도를 크게 높이지 않는 이상 정확한 센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셀(10)의 매수 센싱에 유도 감응형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간단한 설비로도 정확한 센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it cells 10 as detectors, the amount of metal components (eg, current collectors, etc.) included in the unit cells 10, that is, components capable of generat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varies. Therefore, the resistance change amount is changed,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ense the number of unit cells 10 . At this time, the sensing target may be the weight or thickness of the unit cell 10, but since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unit cell 10 are generally small, even if two sheets are taken out, the difference is not large,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te sensing is difficult unless it is greatly increas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n inductive sensor is used for sensing the number of unit cells 10, accurate sensing can be performed with simple equipment.

센서부(130)에 의해 얻어진 결과에 따라 추가로 잉여의 유닛셀(10)의 분리를 위한 분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 지지부(120)는, 잉여의 유닛셀(10)의 분리를 위한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110)에 진동을 가하는 것에 의해, 흡착부(110)와 접촉하고 있는 유닛셀(10)외의 다른 유닛셀(10)이 탈락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탈락을 위해 바람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pending on the result obtained by the sensor unit 130, a separation operation for separating the extra unit cells 10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To this end, the separation support 1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for separation of the surplus unit cells 10 . For example,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adsorption unit 110, the unit cell 10 other than the unit cell 10 in contact with the adsorption unit 110 may be removed.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apply wind for removal,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설비 및 공정에 의해서 유닛셀(10) 취출시 추가의 유닛셀(10) 취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바, 추가의 유닛셀(10)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다음 공정을 행함으로써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분리 동작 이후에도 유닛셀(10)이 2매 이상 취출된 상태도 간단하게 검출 가능하기 때문에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dditional unit cells 10 are taken out when the unit cells 10 are taken out by simple facilities and processes,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unit cell 10, the proces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performing the next process immediately, and since the stat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10 are taken out can be easily detected even after the separation operation, the occurrence of defects is minimized. can do.

다음으로, 도 4를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적재부(200)로부터, 이송부(100)의 흡착부(110)를 하강시켜서 유닛셀(10)을 흡착한다.As shown in FIG. 4 , first, the adsorption unit 110 of the transfer unit 100 is lowered from the loading unit 200 to adsorb the unit cell 10 .

이 때, 흡착부(110)는, 상하 이동부(140)에 의해 수직 하강할 수 있으며, 진공을 가하여 유닛셀(10)을 흡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sorption unit 110 may be vertically lowered by the vertical movement unit 140 and may adsorb the unit cell 10 by applying a vacuum.

다음으로, 센서부(130)에 의해 흡착부(110)에 흡착된 유닛셀(10)의 매수를 검출한다.Next, the number of unit cells 10 adsorbed to the adsorption unit 110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

즉, 센서부(130)의 유도 감응형 센서에 포함된 검출 코일(131)로부터 고주파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유닛셀(10)에 근접시키고, 이 때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양에 따라 검출 코일(131)의 저항 변화의 발생량을 검출 회로(133)에 의해 검출하여 출력 회로(134)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출력 회로(134)와 연결된 제어부(미도시, 예를 들면 PLC)로 결과를 전송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전송된 결과의 판독은, 반복된 티칭에 의해 유닛셀(10)의 매수에 따른 센싱 범위를 입력하고, 이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매 이상의 유닛셀(10)이 흡착된 경우, 검출 코일(131)에 근접한 금속 성분의 양이 증가하고 따라서 유도 전류에 따른 검출 코일(131)의 저항 변화가 더욱 커지기 때문에 1매의 유닛셀(10)이 흡착된 경우의 센싱값과 달라지므로, 이를 통해 유닛셀(10)이 정상적으로 1매만 흡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at i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coil 131 included in the inductive sensor of the sensor unit 130 to bring it close to the unit cell 10, and the detection coil 131 )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circuit 133 to operate the output circuit 134. For example,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for example, a PLC) connected to the output circuit 134, and whether or not to proceed to the next ste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Here, the reading of the transmitted result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a sensing r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it cells 10 through repeated teaching and comparing with the input sensing range. For example, when two or more unit cells 10 are adsorbed, the amount of metal components adjacent to the detection coil 131 increases, and thus the change in resistance of the detection coil 131 according to the induced current becomes larger, so that one sheet Since it is different from the sensing value when the unit cell 10 of is adsorb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nly one unit cell 10 is normally adsorbed.

다음으로, 검출 결과가 1매의 유닛셀(10)이 흡착된 경우에는 다음 공정, 즉 작업대(300)로 이동하여 반복 적층을 통한 전극 조립체의 완성 공정에 투입된다.Next, when the detection result indicates that one sheet of unit cell 10 is adsorbed, it moves to the next process, that is, the work table 300, and is put into the completion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through repeated stacking.

다만, 이 때 검출 결과가 2매 이상일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동작이 실시된다.However, at this time, when the detection result is two or more, a s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4 .

즉, 분리 지지부(120)에 의해, 흡착부(110)에 진동을 가하는 것에 의해, 흡착부(110)와 접촉하고 있는 유닛셀(10)외의 다른 유닛셀(10)이 탈락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탈락을 위해 바람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adsorption unit 110 by the separation support unit 120, the unit cell 10 other than the unit cell 10 in contact with the adsorption unit 110 may be removed. .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apply wind for removal,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 후, 추가로 센서부(130)에 의해 분리 동작 이후의 유닛셀(10) 매수를 검출한다. 종래에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동작 없이 분리 동작 이후 바로 후속 공정에 투입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분리 동작에도 불구하고 유닛셀(10)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추가의 유닛셀(10) 투입에 따른 불량이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 동작 이후 재차 유닛셀(10)의 매수를 검출한 후 1매만 흡착된 상태임을 확인한 후 후속 공정에 투입되기 때문에, 유닛셀(10)의 추가 공급에 따른 불량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number of unit cells 10 after the separation operation is additionally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 Conventionally, since the sensor unit is not provided, it is put into the subsequent process immediately after the separation operation without such an operation, but in some cases, the unit cell 10 is not separated despite the separation operation, so additional unit cells 10 are added Defects often occurr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separation operation, after detecting the number of unit cells 10 again, it is confirmed that only one sheet is adsorbed, and then the unit cells 10 are added to the subsequent process, so defects occur due to the additional supply of unit cells 10. can certainly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설비 및 공정에 의해, 유닛셀(10) 취출시 취출 매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셀(10) 추가 공급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number of times the unit cell 10 is taken out by simple equipment and processes, the unit cell 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additional supp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10: 유닛셀
100: 이송부
200: 적재부
300: 작업부
110: 흡착부
120: 분리 지지부
130: 센서부
10: unit cell
100: transfer unit
200: loading part
300: work unit
110: adsorption unit
120: separation support
130: sensor unit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유닛셀의 매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유도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unit cell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parator,
A transfer unit for taking out and transporting the unit cells from a load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are stacked,
The transfer part,
An adsorption unit adsorbing the unit cell,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unit cells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The sensor unit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inductive sensor.
제1항에서,
상기 유도 감응형 센서는, 검출 코일, 발진 회로, 검출 회로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In paragraph 1,
The inductive sensor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detection coil, an oscillation circuit, a detection circuit and an output circuit.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유닛셀이 2매 이상 흡착된경우 흡착부를 통해 상기 유닛셀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분리 지지부를 더욱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In paragraph 1,
The transfer un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support configured to apply vibration to the unit cell through the adsorption unit when two or more unit cells are adsorbed while supporting the adsorption unit.
제3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리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 상하 이동부를 더욱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In paragraph 3,
The transfer unit further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unit connected to the separation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move the adsorption unit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서,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순차로 적층된 모노셀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In paragraph 1,
The unit cell is a monocell in which a separator,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stacked.
제1항에서,
상기 유닛셀은, 분리막, 양극 또는 음극, 분리막이 순차로 적층된 하프셀인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In paragraph 1,
The unit cell is a half cell in which a separator, an anode or a cathode, and a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제1항에서,
상기 유도 감응형 센서는,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유닛셀에 포함된 금속 성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양을 검출하여 상기 유닛셀의 매수를 판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장치.
In paragraph 1,
The inductive sensor detects an amount of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a metal component included in a unit cell adsorbed to the adsorption unit to determine the number of unit cells.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진공에 의해 상기 유닛셀을 흡착하는 흡착부에 의해 복수의 상기 유닛셀이 적층되어 있는 적재부로부터 상기 유닛셀을 취출하는 단계, 및
유도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에 의해 상기 유닛셀이 1매만 흡착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unit cell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parator,
Taking out the unit cell from a load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are stacked by an adsorption unit adsorbing the unit cell by vacuu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only one unit cell is adsorbed by a sensor unit including an inductive sensor.
제8항에서,
상기 유도 감응형 센서는, 검출 코일, 발진 회로, 검출회로 및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In paragraph 8,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inductive sensor includes a detection coil, an oscillation circuit, a detection circuit, and an output circuit.
제9항에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코일로부터 고주파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상기 자기장에 상기 유닛셀이 접근할 때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양에 따라 상기 검출 코일에 발생하는 저항 변화를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하고, 이를 상기 출력 회로에 의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In paragraph 9,
In the detecting step,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coil, and a resistance change occurring in the detection coil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duced current generated when the unit cell approaches the magnetic field.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it by the output circuit.
제8항에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2매 이상의 상기 유닛셀이 흡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흡착부 및 상기 유닛셀에 진동을 가하여 1매의 상기 유닛셀만이 남도록 나머지 상기 유닛셀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In paragraph 8,
In the detect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wo or more unit cells are adsorbed, applying vibration to the adsorption unit and the unit cell to remove the remaining unit cells so that only one unit cell remains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electrode assembly to be.
제11항에서,
상기 유닛셀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추가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유닛셀이 1매만 흡착되었는지 재차 검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In paragraph 1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again whether only one unit cell is adsorbed by the sensor unit after the step of removing the unit cell.
KR1020220002996A 2022-01-07 2022-01-07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202301070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996A KR20230107063A (en) 2022-01-07 2022-01-07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996A KR20230107063A (en) 2022-01-07 2022-01-07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063A true KR20230107063A (en) 2023-07-14

Family

ID=871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996A KR20230107063A (en) 2022-01-07 2022-01-07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0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8572B (en) Continuous prismatic cell stacking system and method
CN105378999B (en) Electrode assemblie manufacture method
KR101531234B1 (en) High-Speed Stak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the same
US97684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TWI475739B (en) Manufacture device of battery cell
CN105210228A (en)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KR102602205B1 (en) Degas system for secondary cell
KR20200118991A (en) Degas system for secondary cell
KR101826894B1 (en) Electrode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874225A1 (en) Method for secur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KR101761971B1 (en) Short measuring apparatus
KR101725904B1 (en) Electrode Drying Device Including Hybrid Drying Oven
KR101291063B1 (en) Stacking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KR101840859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the Adhesion Member for Fixing Battery Assembly
KR10262480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inspec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20011029A (en)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Unit Cell
US1199058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KR20230107063A (en)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20230153156A (en) Apparatus and metoh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2014003297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leaf-like or plate-like objects
EP434390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JP2016207620A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KR20160075120A (en) Apparatus for Inspection of Welding State of Clad to Battery Cell
EP4106035A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ode and anode sheet having improved electrode stacking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031347A (en) Stacker for secondary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