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334A -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 Google Patents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334A
KR20230106334A KR1020220002104A KR20220002104A KR20230106334A KR 20230106334 A KR20230106334 A KR 20230106334A KR 1020220002104 A KR1020220002104 A KR 1020220002104A KR 20220002104 A KR20220002104 A KR 20220002104A KR 20230106334 A KR20230106334 A KR 2023010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or
ji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2786B1 (en
Inventor
김미라
김영호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22000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86B1/en
Publication of KR2023010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는, 통신 장비 및 제1 신호 측정기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로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지그; 및 상기 통신 장비 및 발룬과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발룬으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first signal meter, receives a fir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 first jig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jig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balun to receive a second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fer the received second signal to the balun.

Figure P1020220002104
Figure P1020220002104

Description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Transceiver of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of wired communication signal

본 발명은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 예를 들어, 모뎀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해 이용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used to test whether a communication equipment for wired communication, eg, a modem, is normally operating,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 평가 제도는,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 시, 기술 기준의 적합 여부를 사전에 시험하고, 적합 인증 및 등록을 통해 KC 마크(Korea Certification Mark)를 부여하여, 방송통신기자재를 국내 유통 가능하게 하기 위한 평가 제도이다.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tests whethe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meets technical standards in advance when manufacturing, selling, or importing them, and grants the KC mark (Korea Certification Mark) through conformity certification and registration. It is an evaluation system to enable domestic distribution.

정부에서는 적정한 측정 설비와 인력 등을 갖춰 기술 기준의 적합성 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민간 시험 기관을 지정하여 방송통신기자재의 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The government designates a private test institute equipped with appropriate measurement facilities and manpower to test the conformity of technical standards so that the conformity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evaluated.

정부에서 지정한 민간 시험 기관은 여러 곳으로, 정부는 여러 민간 시험 기관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유사한 시험 시료에 대하여 시험을 구성, 수행 및 평가하도록 하고, 각 시험 기관의 능력을 비교 평가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각 시험 기관의 전문성 및 시험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시험 능력의 상향 평준화를 추진하고 있다.There are several private testing institute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has several private testing institutes organize, conduct and evaluate tests on similar test samples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and compare and evaluate the capabilities of each testing institute.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promoting upward leveling of testing capabilities to secure the expertise of each testing agency and the reliability of test results.

종래에는 각 민간 시험 기관이 특정한 수행 지침서에 따라 세부 사항을 설정하여 시험 시료에 대한 시험을 구성, 수행 및 평가해왔다. Conventionally, each private testing organization has configured, performed, and evaluated tests on test samples by setting the details according to specific performance guidelines.

또한, 종래의 시험 시료는 상용 제품의 임의적인 설계 변경을 가한 시험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또한, 각 민간 시험 기관이 시험 시료의 고정적인 특성을 이용한 시험을 하여 결과를 서로 비교해왔다.In addition, conventional test samples have been used to test samples with arbitrary design changes of commercial products, and also, each private testing agency has conducted tests using fixed characteristics of test sample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방송통신기자재 중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 예를 들어, 모뎀의 적합성 평가 시, 종래와 비교하여 더 효율적으로 각 민간 시험 기관에서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유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communication equipment for wired communication amo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xample, a modem, compared to the prior art, each private test institution can more efficiently evaluate the suitability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quipment, so that wired communication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or testing whether the equipment operates normally and a control method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는, 통신 장비 및 제1 신호 측정기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로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지그; 및 상기 통신 장비 및 발룬과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발룬으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발룬은 제2 신호 측정기와 연결될 수 있다.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first signal meter, receives a fir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 first jig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nd a second jig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balun to receive a second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fer the received second signal to the balun. It can be connected to a signal meter.

상기 제1 지그의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8핀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와, 8개의 제3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8개의 제3 커넥터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의 8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핀과 상기 제2 커넥터의 8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8개의 제3 커넥터 중 2개는, 상기 제1 신호 측정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ors of the first jig include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of 8 pins for connection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eight third connectors, each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8 pins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corresponding one of the 8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wo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measuring device. It can be connected with a cable connected to

상기 제2 지그의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8핀의 제1 커넥터와, 8개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8개의 제2 커넥터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의 8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8개의 제2 커넥터 중 2개는, 상기 발룬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ors of the second jig include an 8-pin first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8 second connectors, each of the 8 second connectors,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8 pins of the connector, and two of the eight second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o a cable connected to the balun.

상기 통신 장비는,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1 신호를 전송되고 상기 통신 장비로 상기 제1 신호를 전달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발룬으로 전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trolled to transmit a fir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fer the fir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r to transmit the fir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 second signal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balun.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제1 지그의 제1 커넥터로 제1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지그의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제2 지그의 제1 커넥터로 제2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2 지그의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발룬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a first control signal or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an electronic device; When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ransmits a first signal to a first connector of a first ji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a second connector of the first jig, ; Upon reception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a first connector of a second ji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baluns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of the second jig. It may include being forwarded to.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지그의 제3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신호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발룬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신호 측정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The first signal may be measured by a first signal measur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of the first jig, and the second signal may be measured by a second signal measur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lu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은, 방송통신기자재 중 유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비, 예를 들어, 모뎀의 적합성 평가 시, 종래의 각 민간 시험 기관이 시험 시료의 구체적인 설정까지 특정한 수행 지침서에 따라 설정하고 시험이 진행되던 것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시험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communication equipment capable of wired communication among broadcasting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xample, a modem Howev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test more efficient by improving what each conventional private test institution sets up according to specific performance guidelines until the specific setting of the test sample and the test proceeds.

예를 들어, 종래에는, 통신 장비의 적합성 평가를 주관하는 주관 기관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한 수행 지침서에 따라, 통신 장비의 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져왔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 민간 시험 기관이 자체적으로 적합성 평가를 위한 설정 값을 찾아내어, 민간 시험 기관들 간의 비교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민간 시험 기관의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related art, conformity assessmen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s been performed according to a specific performance guide set in advance by an authority in charge of conformity assessment of communication equip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rivate testing agency finds a set value for conformity evaluation on its own, enables comparative testing between private testing agencies,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each private testing agency. can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통신 장비의 신호의 주파수, 출력 등의 특성 변경이 가능한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장비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를 다년간 사용 가능하여, 통신 장비의 적합성 평가를 위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ructurally stable and capable of changing characteristics such as frequency and output of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can be provi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se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for conformity evalua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for many years, thereby reducing the budget for conformity evalua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은, 종래의 고정적인 특성을 이용한 적합성 평가와 비교하였을 때, 민간 시험 기관들을 여러 그룹으로 나눠 적합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민간 시험 기관들 간의 측정 결과 공유를 사전에 방지하여, 각 민간 시험 기관의 비교 숙련도 제도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formity evaluation using fixed characteristics,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nd the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by several groups of private testing institutions. Conformity assessment can be carried out by dividing int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ring of measurement results between private testing agencies performing conformity assessment in advance,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comparative proficiency system of each private testing agenc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에 포함된 제1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에 포함된 제2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구동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구동 절차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testing whethe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wired communication normally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jig included i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jig included i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of a driving procedure for testing whethe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wired communication normally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of a driving procedure for testing whethe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wired communication normally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가진다" 등과 관련된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comprise", "having", etc.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herei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in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에 포함된 제1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에 포함된 제2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testing whethe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wired communication normally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jig included i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jig included i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100), 전자 장치(150), 발룬(170), 제1 신호 측정기(180), 제2 신호 측정기(190) 및/또는 전원 공급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1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0, an electronic device 150, a balun 170, a first signal measurer 180, a second signal measurer 190, and/or A power supply unit 1000 may be included.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100)는 제1 지그(110) 및 제2 지그(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may include a first jig 110 and a second jig 130 .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100)에는 시험 시료인 통신 장비(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그(110) 및 제2 지그(130)에는 통신 장비(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s a test sampl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jig 110 and the second jig 130 .

통신 장비(20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컴퓨터나 단말 등의 통신 기기를 통신 회선에 접속시키는 모뎀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be a modem that connect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line for data communication.

제1 지그(110)는 1Gbps 이하의 신호의 측정에 이용되는 지그일 수 있다.The first jig 110 may be a jig used to measure a signal of 1 Gbps or less.

예를 들어, 제1 지그(110)는 도 2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jig 110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그(110)는 상용 시료인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입력되는 신호 중간에 케이블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고, 케이블, 즉, 꼬임 케이블의 심선을 분리하여 신호 추출이 용이하도록 통신 장비(200)와 제1 신호 측정기(18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jig 110 prevents physical damage to the cable betwe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which is a commercial sample, and the input signal, and separates the core wire of the cable, that is, the twisted cable. I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to facilitate signal extraction.

상기의 케이블의 물리적 손상이란 종래에 통신 장비(200)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케이블의 피복을 벗겨 심선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심선의 손상에 따른 신호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The physical damage of the cable refers to a problem in that signal failure occurs due to damage to the core wire while exposing the core wire by peeling off the coating of the cable in order to measure th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in the related art.

또한, 상기의 꼬임 케이블의 심선 분리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꼬임케이블은 8개의 심선이 한 개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지그(110)가 꼬임 케이블의 8개의 심선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core wire separation of the twisted cable means that the twisted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8 core wires as one cable, and the first jig 110 exposes the 8 core wires of the twisted cable. indicate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그(110)는 제1 커넥터(1121), 제2 커넥터(1123) 및 8개의 제3 커넥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jig 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1121 , a second connector 1123 and eight third connectors 114 .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 각각에는 통신 장비(2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 각각은 RJ45 커넥터일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may be an RJ45 connector.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 각각은 8핀 커넥터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장비(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8핀 구조일 수 있으며, 모뎀 케이블일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may be an 8-pin connector. Also,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have an 8-pin structure and may be a modem cable.

8개의 제3 커넥터(114) 각각은, 제1 커넥터(1121)의 8핀 중 대응하는 각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8개의 제3 커넥터(114) 각각은, 제2 커넥터(1123)의 8핀 중 대응하는 각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Each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11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pins among the eight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121 . Also, each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11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pins among the eight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1123 .

8개의 제3 커넥터(114)는 중 2개의 제3 커넥터(1141)에는 제1 신호 측정기(180)와 연결되는 케이블(116)이 연결될 수 있다.A cable 116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may be connected to two third connectors 1141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114 .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 중 하나로 전달되어,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통신 장비(200)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측정기(180)는 2개의 제3 커넥터(1141)를 통해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is transferred to one of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an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It can be passed back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lso,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may measure signals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through the two third connectors 1141 .

제2 지그(130)는 2.5Gbps의 신호의 측정에 이용되는 지그일 수 있다.The second jig 130 may be a jig used to measure a 2.5 Gbps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그(130)는 통신 장비(200)와 연결되는 케이블, 즉, 꼬임 케이블의 심선 분리가 되도록 하여 신호 추출이 용이하도록, 제2 신호 측정기(190)와 연결된 발룬(170)과 통신 장비(2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jig 130 is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that is, a balun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to facilitate signal extraction by separating the core wires of the twisted cable ( 170)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상기의 꼬임 케이블의 심선 분리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꼬임케이블은 8개의 심선이 한 개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지그(110)가 꼬임 케이블의 8개의 심선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The core wire separation of the twisted cable indicates that the twisted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8 core wires as one cable, and the first jig 110 exposes the 8 core wires of the twisted cable.

예를 들어, 제2 지그(130)는 도 3과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jig 130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제2 지그(130)는 한 개의 제1 커넥터(132) 및 8개의 제2 커넥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jig 130 may include one first connector 132 and eight second connectors 134 .

한 개의 제1 커넥터(132)에는 통신 장비(2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one first connector 132 .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32)는 RJ45 커넥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32 may be an RJ45 connector.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32)는 8핀 커넥터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장비(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8핀 구조일 수 있으며, 모뎀 케이블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32 may be an 8-pin connector. Also,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have an 8-pin structure and may be a modem cable.

8개의 제2 커넥터(134) 각각은, 제1 커넥터(132)의 8핀 중 대응하는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Each of the eight second connectors 1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in among 8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32 .

8개의 제2 커넥터(134) 중 2개의 제2 커넥터(1341)에는 발룬(17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A cable connected to the balun 170 may be connected to two second connectors 1341 of the eight second connectors 134 .

예를 들어, 8개의 제2 커넥터(134) 각각은 SMA 커넥터일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eight second connectors 134 may be an SMA connector.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2개의 제2 커넥터(1341)를 통해 발룬(170)으로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signals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balun 170 through two second connectors 1341 .

전자 장치(150)는 시험 시료 설정 및 제어용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출력 모듈, 통신 모듈, 메모리 및/또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include an input/output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and/or a processor for setting and controlling a test sample.

입출력 모듈은 키보드, 마이크,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5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may include a keyboard, a microphone, a speaker, and/or a display, and may receive user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50 .

통신 모듈(통신 회로라고도 함)은 외부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also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circuit) may support establish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메모리는 전자 장치(15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50, eg,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a software program and a command rela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시험 시료인 통신 장비(200)의 유선 신호 정보(또는 유선 신호 값이라고도 함)를 설정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may store software programmed to set wired signal information (or also referred to as a wired signal valu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s a test sample.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control at least one component (eg, a hardware component and/or a software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의 프로세서는 입출력 모듈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통신 장비(200)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통신 모듈을 통해,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100)로 통신 장비(200)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execute software stored in a memory and programmed to control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based on a user input through an input/output module.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execute software so tha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is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1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예를 들어, 전자 장치(150)는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100)의 통신 장비(20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of the device 1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a connected cab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신호는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1Gbps 이하의 신호)와 입력되는 신호가 발생되도록 통신 장비(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 signal of 1 Gbps or less) and an input signal are gene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신호는 통신 장비(200)의 특정 포트에 신호(2.5Gbps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a signal (2.5 Gbps signal) to b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

또한, 제어 신호는 통신 장비(200)에서 송출되는 신호(또는 고속 신호라고도 함)가 측정되도록 연결선 변환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에서의 연결선 변환은 커넥터 변환 및 케이블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변환은 제1 지그(110)와의 연결 커넥터(예: RJ45 커넥터)에서 제2 지그(130)와의 연결 커넥터(예: SMA 커넥터)로의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변환은 제1 지그(110)와 연결되는 케이블(예: 꼬임 케이블)에서 제2 지그(130)와 연결되는 케이블(예: 동축 케이블)로의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converting a connection line so that a signal (or referred to as a high-spe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is measured. Connection line conversion here may include connector conversion and cable conversion. The connector conversion may include conversion from a connector (eg, RJ45 connector) with the first jig 110 to a connector (eg, SMA connector) with the second jig 130 . In addition, the cable conversion may include conversion from a cable (eg, twisted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jig 110 to a cable (eg, coaxial cable) connected to the second jig 130 .

발룬(balun)(170)은 임피던스 매칭 및 신호 조정 역할을 할 수 있다.A balun 170 may serve as impedance matching and signal conditioning.

예를 들어, 발룬(170)은 케이블을 통해 제2 지그(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지그(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 및 신호 조정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lun 1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jig 130 through a cable, and impedance matching and signal adjustment for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jig 130 may be performed.

제1 신호 측정기(180)는 1Gbps 이하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오실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is for measuring a signal of 1 Gbps or less, and may include an oscillosco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 측정기(180)는 제1 지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또는 제1 지그(110)의 신호 추출용 노출선이라고도 함)에 연결되어 송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is connected to a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jig 110 (also referred to as an exposed line for signal extraction of the first jig 110) to measure the output voltage. can

예를 들어, 제1 신호 측정기(180)는 제1 지그(110)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 값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may measure a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jig 110 and output a measurement value.

제2 신호 측정기(190)는 2.5Gbps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스팩트럼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is for measuring a 2.5 Gbps signal and may include a spectrum analyz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신호 측정기(190)는 제2 지그((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측정을 위해, 2 지그(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룬(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발룬(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lun 1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jig 130 in order to measure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jig 130, and the balun A signal output from 170 can be measured and analyzed.

예를 들어, 제2 신호 측정기(190)는 제2 지그(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룬(170)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may measure and analyze a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balun 1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jig 130 and output a result. there is.

전원 공급부(1000)는 케이블을 통해 통신 장비(200)와 연결되어, 통신 장비(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hrough a cable to supply power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200)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구동 절차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driving procedure for test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for wired communication normally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험 시료인 통신 장비(200)에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01).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power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s the test sample (S401).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에 전원 공급부(1000)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cab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신 장비(200)에 전자 장치(15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03).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S403).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의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에 전자 장치(150)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cable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

전자 장치(150)는 통신 장비(200)에서 제1 신호(예: 1Gbps 이하의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통신 장비(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05).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generates and outputs a first signal (eg, a signal of 1 Gbps or less) (S405).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신호를 발생 및 출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150 to generate and output a first signal.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신 장비(200)의 제1 포트와 제1 지그(11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07).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first por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the first jig 110 may be connected (S407).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의 제1 포트와 제1 지그(110)의 제1 커넥터(1121)가 연결되도록 하여, 통신 장비(200)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output by connecting the first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o the first connector 1121 of the first jig 110 .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신 장비(200)의 제2 포트와 제1 지그(11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09).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second por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the first jig 110 may be connected (S409).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의 제2 포트와 제1 지그(110)의 제2 커넥터(1123)가 연결되도록 하여,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통신 장비(20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por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of the first jig 110 are connected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is input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can do.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신호 측정기(180)를 제1 지그(110)와 연결된 노출선(케이블이라고도 함)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11).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may be connected to an exposed line (also referred to as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jig 110 (S411).

제1 신호 측정기(180)는 통신 장비(200)의 신호 분석 및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413).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may analyze th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outpu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413).

예를 들어, 제1 신호 측정기(180)와 제1 지그(110)의 연결에 따라, 제1 신호 측정기(180)는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신호 분석 및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and the first jig 110, the first signal measurer 180 measur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alyzes the signal, and analyzes the analysis result. can be printed out.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비(200)의 정상 동작 여부의 시험을 위한 구동 절차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driving procedure for test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for wired communication normally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험 시료인 통신 장비(200)에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501).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power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s a test sample (S501).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에 전원 공급부(1000)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cab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신 장비(200)에 전자 장치(15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503).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S503).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의 제1 커넥터(1121) 및 제2 커넥터(1123)에 전자 장치(150)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cable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123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

전자 장치(150)는 통신 장비(200)에서 제2 신호(예: 2.5Gbps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도록 통신 장비(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05).The electronic device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generates and outputs a second signal (eg, a 2.5 Gbps signal) (S505).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신호를 발생 및 출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150 to generate and output a second signal.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신 장비(200)의 제3 포트와 제2 지그(13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507).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 third por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the second jig 130 may be connected (S507).

예를 들어, 통신 장비(200)의 제3 포트와 제2 지그(130)의 제1 커넥터(132)가 연결되도록 하여, 통신 장비(200)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signal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output by connecting the third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o the first connector 132 of the second jig 130 .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2 지그(130)의 출력측 커넥터(예: 2개의 제2 커넥터(1341))에 발룬(170)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신호 측정기(190)를 발룬(17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509).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balun 1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n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jig 130 (for example, the two second connectors 1341), and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is connected to the balun 170. It can be done (S509).

제2 신호 측정기(190)는 통신 장비(200)의 신호 분석 및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511).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may analyze th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d outpu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511).

예를 들어, 제2 신호 측정기(190)와 발룬(170)의 연결에 따라, 제2 신호 측정기(190)는 통신 장비(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신호 분석 및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and the balun 170, the second signal measurer 190 measur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analyzes the signal, and outputs the analysis result. ca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 시스템 100: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110: 제1 지그 130: 제2 지그
150: 전자 장치 170: 발룬
180: 제1 신호 측정기 190: 제2 신호 측정기
200: 통신 장비 1000: 전원 공급부
1: system 100: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for wired communication signals
110: first jig 130: second jig
150: electronic device 170: balun
180: first signal measurer 190: second signal measurer
200: communication equipment 1000: power supply unit

Claims (6)

통신 장비 및 제1 신호 측정기와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로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지그; 및
상기 통신 장비 및 발룬과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발룬으로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발룬은 제2 신호 측정기와 연결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A first jig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first signal meter, receiving a fir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ferring the received fir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second jig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balun, receiving a second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econd signal to the balun,
The balun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measurer,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의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8핀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와, 8개의 제3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8개의 제3 커넥터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의 8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핀과 상기 제2 커넥터의 8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8개의 제3 커넥터 중 2개는,
상기 제1 신호 측정기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ors of the first jig,
It includes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of 8 pins for connection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8 third connectors,
Each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8 pins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corresponding one of the 8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Two of the eight third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meter,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의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8핀의 제1 커넥터와, 8개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8개의 제2 커넥터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의 8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8개의 제2 커넥터 중 2개는,
상기 발룬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nectors of the second jig,
It includes an 8-pin first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8 second connectors,
Each of the eight second connec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eight pins of the first connector,
Two of the eight second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ed to the balun,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는,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제1 신호를 전송되고 상기 통신 장비로 상기 제1 신호를 전달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 장비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발룬으로 전달되도록 제어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equipment,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 fir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ed to transmit the fir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r the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ontrolled to be delivered to the balun,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d communication signals.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제어 신호 또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제1 지그의 제1 커넥터로 제1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지그의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 장비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통신 장비와 연결된 제2 지그의 제1 커넥터로 제2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2 지그의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발룬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of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The communication equipment receives a first control signal or a second control signal from an electronic device;
When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ransmits a first signal to a first connector of a first ji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a second connector of the first jig, ;
Upon reception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ransmits a second signal to a first connector of a second ji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baluns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of the second jig. Including so that it is transmitted to,
A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of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지그의 제3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신호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발룬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신호 측정기에 의해 측정되는,
유선 통신 신호의 송수신 장치와 연결된 통신 장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signal is
Measured by a first signal measur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of the first jig,
The second signal is
Measured by a second signal measur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lun,
A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a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of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KR1020220002104A 2022-01-06 2022-01-06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KR102602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04A KR102602786B1 (en) 2022-01-06 2022-01-06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04A KR102602786B1 (en) 2022-01-06 2022-01-06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34A true KR20230106334A (en) 2023-07-13
KR102602786B1 KR102602786B1 (en) 2023-11-17

Family

ID=8716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104A KR102602786B1 (en) 2022-01-06 2022-01-06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78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271B1 (en) * 2008-06-17 2009-1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Unification test apparatus for usn module
KR101806929B1 (en) * 2016-06-29 2017-12-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reak Out Box for Multiple Signal Lines Connection
KR20190133386A (en) * 2018-05-23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est and calibration of rf signal transmission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271B1 (en) * 2008-06-17 2009-1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Unification test apparatus for usn module
KR101806929B1 (en) * 2016-06-29 2017-12-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reak Out Box for Multiple Signal Lines Connection
KR20190133386A (en) * 2018-05-23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est and calibration of rf signal transmission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786B1 (en)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1980B2 (en) Test instrument, measurement method, and test method for patch cord
US6785625B1 (en) Characterizing multi-port cascaded networks
US7705606B2 (en) Non-contact cable state testing
US7528623B2 (en) Distributing data among test boards to determine test parameters
US9297848B2 (en) Modular wiring harness testing systems and apparatus
CN104090198B (en) A kind of USB 3.0 testing lines method and test device thereof
US6259256B1 (en) Cable testing apparatus
CN110609183A (en) IVI technology-based identification module and automatic test system of complete machine
KR102602786B1 (en)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with transceiver of wire communication signal
US11169194B2 (en) Technologies for verifying a de-embedder for interconnect measurement
CN109884552A (en) Power supply test method and system
CN108900261A (en) A kind of 1800M RF consistency reception intermodulation testing method and device
US8487608B2 (en) System for measuring high-frequency signals with standardized power-supply and data interface
US9417275B2 (en) Cabl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N110470973A (en) A kind of low noise chip noise coefficient automation On-wafer measurement system
CN101750568A (en) Universal cable conductor test method
TW20230182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ower loss due 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probe mismatch in conductive signal testing
KR20220042984A (en) Automated testing machine with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US6859045B2 (en) Cable-testing adapter
CN113268390A (en) Testing jig, system and method for mSATA interface
US10969455B2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having several communication lanes
KR102654403B1 (en) Transceiv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 method of main board mounted on transceiv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KR20090065055A (en) Remote wireless measuring instrument control system using zigbee module
CN116359715B (en) Multi-chip tes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RU2639670C2 (en) Technology of removing and replacing virtual model adapter for cascad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