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122A -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122A
KR20230106122A KR1020227027732A KR20227027732A KR20230106122A KR 20230106122 A KR20230106122 A KR 20230106122A KR 1020227027732 A KR1020227027732 A KR 1020227027732A KR 20227027732 A KR20227027732 A KR 20227027732A KR 20230106122 A KR20230106122 A KR 2023010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supply
traction
dischar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츠언
샤오찌엔 후앙
위안먀오 자오
쯔민 단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616541.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366750A/zh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7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he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eversible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e.g. NTC, PTC or bimetal devices; characterised by control of the intern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s, e.g. by sw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5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사이의 충방전을 통해 가열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할 때 배터리를 미리 가열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편의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여,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본 출원은 배터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절약 및 오염물질 배출 저감은 자동차 산업 가지속 발전의 관건이며, 전기자동차는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의 장점으로 인해 자동차 산업 가지속 발전의 중요한 구성부분이 되었다. 배터리 기술은 전기자동차의 발전에 있어서의 중요한 요인이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저온 환경에서 방전 성능이 열악한 문제가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차량은 저온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미리 가열하고, 배터리의 가열이 완료된 후 운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배터리를 미리 가열해야만 차량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낮아 사용자의 차량 사용경험에 영향을 준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출원은 기존의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할 때 배터리를 미리 가열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편리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사이의 충방전을 통해 가열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본 솔루션에서는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에 모두 내부저항이 구비되기 때문에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할 때 내부저항이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배터리 모듈에 대한 가열이 구현된다. 본 솔루션에서, 배터리가 가열된 경우, 트랙션 배터리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본 솔루션은 주행 중 배터리가 자체로 가열되는 솔루션과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할 때 배터리를 미리 가열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편리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소자로 방전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및,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의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소자를 충방전 과정에서의 중간 소자로 사용하여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간의 상호 충방전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부품과 간단하고 조작하기 쉬운 기술적 솔루션을 기반으로 배터리 모듈의 자체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의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가 충전 완료된 후, 상기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의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소자가 충전 완료된 후에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소자에 대한 제어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 타이밍 및 전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전기기기는 제1 전기기기 및 제2 전기기기를 포함하되,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상기 제2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전기기기의 고정자 인덕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중 전기기기 모드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전기기기의 고정자 인덕터를 에너지 저장 소자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전기기기를 차량의 동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차량 주행 과정에서 배터리의 자체 가열 솔루션을 보장하는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 저장 소자를 설계할 필요 없이 기존 전기기기의 고정자 인덕터를 에너지 저장 소자로 사용할 수 있어 회로 설계 및 에너지 저장 소자로 인한 원가를 낮춘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에 해당하는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및 급전용 배터리에 해당하는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트랙션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급전용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지속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방전 유효값을 획득하는 단계;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방전 조정값에 따라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전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한 후,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온도가 계속 상승함으로 인한 보안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는 단계; 방전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계속 수행하는 단계; 방전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충방전이 종료된 후에도 배터리의 전압차를 판단함으로써, 방전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압력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도록 보장하여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 분배를 구현하고, 나아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된 후 배터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차량의 전기기기가 시동을 요청한 경우,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배터리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배터리 온도 및 배터리 전하량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것,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전하량이 사전설정된 전하량보다 높은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고 배터리의 전하량이 사전설정된 전하량보다 높은 경우에만 배터리 모듈을 가열함으로써, 배터리의 자체 가열을 유지하기 위한 충족한 전기 에너지를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역직렬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는 비가열 조건하에서 병렬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이 자체 가열되는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역직렬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자체 가열 회로 토폴로지를 형성하여 효과적인 자체 가열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 가열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사이의 충방전을 통해 가열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차량의 주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본 솔루션에서는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에 모두 내부저항이 구비되기 때문에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할 때 내부저항이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배터리 모듈에 대한 가열이 구현된다. 본 솔루션에서, 배터리가 가열된 경우, 트랙션 배터리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본 솔루션은 주행 중 배터리가 자체로 가열되는 솔루션과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할 때 배터리를 미리 가열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편리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소자로 방전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 하나를 제어하고; 또한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의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소자를 충방전 과정에서의 중간 소자로 사용하여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간의 상호 충방전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부품과 간단하고 조작하기 쉬운 기술적 솔루션을 기반으로 배터리 모듈의 자체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구체적으로,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을 획득하고; 상기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에 해당하는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및 급전용 배터리에 해당하는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트랙션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고;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급전용 배터리를 제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지속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구체적으로,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방전 유효값을 획득하고;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조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방전 조정값에 따라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전류를 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계속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역직렬연결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는 비가열 조건하에서 병렬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3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 제1 양상의 임의의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 의한 방법이 수행된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 제1 양상의 임의의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 의한 방법이 수행된다.
제5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제1 양상, 제1 양상의 임의의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 의한 방법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설명은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일 뿐이며, 이하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열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하고, 본 출원 실시예의 상기 내용과 기타 목적, 특징, 장점이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본 솔루션에서는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에 모두 내부저항이 구비되기 때문에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할 때 내부저항이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배터리 모듈에 대한 가열이 구현된다. 본 솔루션에서, 배터리가 가열된 경우, 트랙션 배터리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본 솔루션은 주행 중 배터리가 자체로 가열되는 솔루션과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할 때 배터리를 미리 가열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편리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당업자는 이하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다른 장점과 유익한 효과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면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며,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일 전기기기 전력공급 토폴로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기기기 전력공급 토폴로지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3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4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5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6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제7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실시예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며, 따라서 예로서만 사용되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출원의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 도면에서 '포함하다' 및 '갖는다'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설명하려는 목적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제2' 등 기술적 용어는 다른 객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나 지시하는 기술적 특징의 수, 특정 순서 또는 주종관계를 암시적으로 지적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다수'는 별도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한 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실시예를 결합하여 설명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다양한 위치에 이 단어가 출현되는 것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또 다른 실시예와 상호 배타적인 독립적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도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명시적이고 암시적으로 이해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및/또는'은 연관 객체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존재하는 관계,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관계, B가 존재하는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기호 '/'는 전후의 연관객체가 '또는'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다수'는 두 개 이상(두 개를 포함함)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다수의 그룹'은 두 개 이상의 그룹(두 개의 그룹을 포함함)을 의미하고 '여러 장'은 두 장 이상(두 장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적 용어 '중심', '세로', '가로', '길이', '너비', '두께',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상단', '하단', '안', '밖', '시계방향', '역시계방향', '축방향', '방사방향', '원주방향' 등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관계에 기반하며, 이는 지시된 장치나 부품이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에 따라 구성되거나 조작된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돕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함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설치', '접속', '연결', '고정' 등과 같은 기술적 용어들은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제한되지 않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정 연결이거나 착탈식 연결, 또는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이거나 전기적 연결일 수 있다. 또한, 직접 연결이거나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 또는 두 부품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현재 시장 추세로 볼 때 배터리의 응용은 갈수록 광범위해지고 있다. 배터리는 수력, 화력, 풍력, 태양광 발전소 등 에너지 저장용 전원 시스템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등 전동력 교통수단, 그리고 군사장비,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트랙션 배터리의 적용 분야가 끊임없이 확대됨에 따라 그 시장의 수요량도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다.
발명인은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기자동차는 저온 환경에서 먼저 차량의 배터리를 자체가열해야 하고, 배터리의 자체가열이 완료될 때까지 차량을 시동할 수 없는데, 이는 차량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며, 특히 배터리가 사전에 가열되지 않았을 때 시급히 차량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편함이 극히 두드러진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은 연구를 통해, 현재 차량이 시동 전에 가열이 완료되어야 하는 원인은 현재 차량 전기기기의 전력공급 회로 토폴로지와 해당 전력공급 제어 정책이 차량의 배터리 가열 중 주행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임을 발견하였다. 이 발견을 바탕으로, 출원인은 심도 있는 연구 끝에 합리적인 전력공급 회로 토폴로지 설계 및 이 토폴로지 설계를 지원하는 합리적인 제어 정책을 통해 차량이 주행 중에서도 배터리 자체 가열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발명인은 심도 있는 연구 끝에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을 설계하였다. 배터리 자체 가열이 필요 없는 경우,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는 병렬연결되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에 동력을 제공하며, 배터리가 자체로 가열되는 경우,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를 역직렬연결 방식으로 전환하고, 중간 에너지 저장 소자를 통해 상호 충방전을 구현하여 배터리 모듈의 자체 가열을 구현하고, 트랙션 배터리는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차량에 동력을 제공하여 주행 중 차량의 배터리 자체 가열 과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배터리 자체 가열 제어 방법은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는 동력 장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동력 장비는 차량, 선박 또는 비행체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기장치에 사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로 차량(10)을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구조 개략도이다. 차량(10)은 내연기관 자동차, 천연가스 자동차 또는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일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는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주행거리 연장형 자동차 등일 수 있다. 차량(10)의 내부에는 배터리(100)가 설치되며, 배터리(100)는 차량(10)의 바닥 또는 앞쪽 또는 뒤쪽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100)는 차량(10)의 전력공급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0)는 차량(10)의 조작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차량(10)는 또한 제어기(200)와 모터(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기(200)는 배터리(100)를 제어하여 모터(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10)의 시동, 내비게이션 및 주행 시의 전력 수요에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100)는 차량(10)의 조작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0)의 구동 전원으로서 연료 또는 천연가스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부분적으로 대체하여 차량(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배터리(100)는 차량(1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1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 가열 제어 방법은 차량의 제어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은 주행 중 차량의 배터리 자체 가열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200: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한다.
단계 S210: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220: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한다.
단계 S200에서, 본 솔루션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을 통해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 배터리 모듈의 전하량, 배터리 모듈의 전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내용에 기초하여, 본 솔루션에서는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S210을 수행하되, 여기서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배터리 모듈 자체 가열을 수행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함을 의미하고, 배터리 모듈은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는 배터리 모듈이 가열되어야 하는 경우에 상호 충방전을 통해 각자의 내부저항이 열에너지를 방출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가열을 구현한다.
단계 S220에서, 본 솔루션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므로, 트랙션 배터리는 급전용 배터리와 상호 충방전하여 자체 가열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여 차량이 배터리 자체 가열 중에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단계 S210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것과 단계 S220은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양자의 수행 순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가능한 예로서, 도 3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단일 전기기기 전력공급 토폴로지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Bat1은 급전용 배터리고, Bat2는 트랙션 배터리이며, 배터리 모듈 가열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스위치(K1)이 켜지고, K1이 켜진 상태에서 급전용 배터리(Bat1)과 트랙션 배터리(Bat2)는 병렬연결되어 전기기기(M)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K1이 켜진 상태에서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 관(S1, S2, S3, S4, S5, S6)을 통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며, 전류 경로는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의 양극→스위치(S1, S3, S5)→전기기기(M)→스위치(S2, S4, S6)→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의 음극이다.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전술한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본 출원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은 스위치(K1)가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K1이 꺼진 상태에서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는 역직렬연결되고,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는 역직렬연결 토폴로지를 통해 상호 충방전을 수행하고,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가 충방전 과정에서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배터리 모듈의 전체적인 가열을 구현한다. 또한, K1이 꺼진 상태에서 급전용 배터리(Bat1)는 전기기기(M)에 더이상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지 않지만 트랙션 배터리(Bat2)를 통해 전기기기(M)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며, 이로써 차량이 배터리 자체 가열 중에 주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에서, 본 솔루션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에 모두 내부저항이 구비되므로 내부저항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가열을 구현한다. 또한, 본 솔루션은 배터리가 가열되는 상황에서 트랙션 배터리를 통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즉, 본 솔루션은 주행 중 차량의 배터리 자체 가열을 구현하여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가 먼저 가열되어야 하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리성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 S210에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다음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단계 S400: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소자로 방전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 하나를 제어한다.
단계 S410: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솔루션은 에너지 저장 소자를 중간 소자로 사용하는 것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상호 충방전을 구현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는 인덕터 및 콘덴서 등 부품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솔루션은 초기 방전 또는 초기 충전된 배터리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초기 상태에서 트랙션 배터리 또는 급전용 배터리 중의 어느 배터리가 에너지 저장 소자에 방전하는지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에 기초하여, 본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경우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방식으로서, 초기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 소자가 충전되도록 트랙션 배터리가 먼저 에너지 저장 소자에 방전하고, 그 다음 급전용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가 급전용 배터리에 방전한다. 다른 일 가능한 방식으로서, 초기 상태에서 에너지 저장 소자가 충전되도록 급전용 배터리가 먼저 에너지 저장 소자에 방전하고, 그 다음 트랙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가 트랙션 배터리에 방전한다.
초기 상태에서 트랙션 배터리가 먼저 방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며, 도 3을 참조한다. K1이 꺼진 상태에서, 본 솔루션은 스위치(S9) 및 스위치(S8)가 켜지고 스위치(S10) 및 스위치(S7)가 꺼지도록 제어함으로써, 트랙션 배터리(Bat2)가 인덕터(L)에 충전하는 것을 구현하며, 이때 전류 경로는 트랙션 배터리(Bat2)의 양극→스위치(S9)→인덕터(L)→스위치(S8)→트랙션 배터리(Bat2)의 음극이다.
그 다음 스위치(S8)를 끄고 스위치(S7)를 켬으로써 인덕터(L)가 급전용 배터리(Bat1)에 충전하도록 제어하며, 이때 전류 경로는 트랙션 배터리(Bat2)의 양극→스위치(S9)→인덕터(L)→스위치(S7)→급전용 배터리(Bat1)의 양극→급전용 배터리(Bat1)의 음극→트랙션 배터리(Bat2)의 음극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소자를 충방전 과정에서의 중간 소자로 사용하여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간의 상호 충방전을 구현함으로써, 간단한 부품을 기반으로 배터리 모듈의 자체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단계 S410에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경우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법으로서, 본 솔루션은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 완료된 후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법으로서, 본 솔루션은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되는 동안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예에 따르면, 본 솔루션은 인덕터(L)에 충전 완료된 후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인덕터(L)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트랙션 배터리(Bat2)가 인덕터(L)에 충전 완료한 후, 인덕터(L)가 급전용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스위치(S8)가 꺼지고 스위치(S7)가 켜지도록 제어한다.
다른 일 가능한 실시 방법으로서, 본 솔루션은 인덕터(L)에 충전하는 동안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인덕터(L)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트랙션 배터리(Bat2)가 인덕터(L)에 충전하는 동안, 인덕터(L)에 충전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덕터(L)가 급전용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스위치(S8)가 꺼지고 스위치(S7)가 켜지도록 제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 완료된 후 또는 충전하는 동안에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제어 방식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간의 상호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본 솔루션은 차량이 단일 전기기기에 의해 구동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이중 전기기기에 의해 구동되는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전기기기 전력공급 토폴로지 회로도를 도시한다. 회로도는 제1 전기기기(M1) 및 제2 전기기기(M2)를 포함하되, 가열하지 않는 경우, 즉 K1이 켜진 상태에서,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는 병렬연결되어 제1 전기기기(M1) 및 제2 전기기기(M2)에 전력을 공급한다.
가열하는 경우, 본 솔루션은 K1이 꺼지도록 제어하며, 이때 트랙션 배터리(Bat2)는 제2 전기기기(M2)에 전력을 공급하고, 트랙션 배터리(Bat2)와 급전용 배터리(Bat1)는 역직렬연결되며, 이때 에너지 저장 소자는 제1 전기기기(M1) 내의 고정자 인덕터이다. 즉, 트랙션 배터리(Bat2)와 급전용 배터리(Bat1)는 제1 전기기기(M1) 내의 고정자 인덕터를 중간 부품으로 사용하여 상호 충방전을 구현한다.
여기서, 제1 전기기기(M1) 내의 고정자 인덕터가 에너지 저장 소자로 사용되는 경우, 트랙션 배터리(Bat2)와 급전용 배터리(Bat1)의 충방전 과정은 전술한 인덕터(L)가 에너지 저장 소자로 사용되는 충방전 과정과 일치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중 전기기기 모드에의 차량에서, 하나의 전기기기의 고정자 인덕터를 에너지 저장 소자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전기기기를 차량의 동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차량 주행 과정에서 배터리의 자체 가열 솔루션을 보장하는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 저장 소자를 설계할 필요 없이 기존 전기기기의 고정자 인덕터를 에너지 저장 소자로 사용할 수 있어 회로 설계 및 에너지 저장 소자로 인한 원가를 낮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전술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S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600: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을 획득한다.
단계 S610: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에 해당하는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및 급전용 배터리에 해당하는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을 계산한다.
단계 S620: 트랙션 배터리가 방전되면,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고;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급전용 배터리를 제어한다.
단계 S600에서, 방전 유효값은 방전 과정에서의 전류 유효값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랙션 배터리(Bat2)는 급전용 배터리(Bat1)와 상호 충방전하여 열에너지를 방출할 뿐만 아니라 전기기기(M)에 동력도 제공하며, 이로 인해 트랙션 배터리(Bat2)는 에너지 손실이 크고 가열 속도가 급전용 배터리(Bat1)보다 빠르며, 이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의 방전 차이를 제어하여 자체 가열과 전기기기 공동 작업 과정에서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의 유효값이 동일하도록 보장하고, 그 가열 속도가 동일하도록 확보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솔루션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각각의 방전 지속시간을 계산함으로써, 급전용 배터리(Bat1)에서 트랙션 배터리(Bat2)로의 방전 에너지가 급전용 배터리(Bat1)에 충전되는 에너지보다 크도록 제어하여 트랙션 배터리(Bat2)에서 손실된 에너지를 보상함으로써,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의 전류 분배를 구현하고,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하 상태(State of charge, SOC) 균형을 확보한다.
일 가능한 실시 방법으로서, 본 솔루션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듀티비를 계산함으로써,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전용 배터리(Bat1)의 방전 듀티비 D=Irms2/(Irms1+Irms2)이며, 여기서 Irms1은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이고, Irms2는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이며,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이 크기 때문에 급전용 배터리(Bat1)의 방전 듀티비가 크며,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급전용 배터리(Bat1)가 방전할 때 스위치 켜진 시간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Bat1)의 방전 시간이 증가되어 급전용 배터리(Bat1)에서 트랙션 배터리(Bat2)로의 방전 에너지가 급전용 배터리(Bat1)에 충전되는 에너지보다 크게 되어 트랙션 배터리(Bat2)에서 손실된 에너지가 보상되어 급전용 배터리(Bat1)와 트랙션 배터리(Bat2)의 전류 분배를 구현하고,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SOC 균형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지속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급전용 배터리에서 트랙션 배터리로의 방전 에너지가 급전용 배터리에 충전되는 에너지보다 크도록 하여 트랙션 배터리에서 손실된 에너지를 보상함으로써,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구현하고,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SOC 균형을 확보하여 주행 중 가열 과정에서 다양한 작업 조건의 요구를 충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지속시간을 늘리는 방식에 더하여,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S210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솔루션은 또한 다음 단계들을 통해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구현할 수 있다.
단계 S700: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을 획득한다.
단계 S710: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조정값을 계산한다.
단계 S720: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방전 조정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전류를 조정한다.
단계 S700에서, 전기기기 공급전류는 전기기기 요청 전류이며, 전기기기 요청 전류는 주행 과정에서 액셀러레이터에 해당하는 전기기기 회전속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이 공급전류의 초기 방전 유효값은 초기 상태에서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이다.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을 획득한 후, 본 솔루션은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조정값을 계산하며, 구체적으로 전기기기 공급전류와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의 합을 계산하여 방전 조정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트랙션 배터리가 전기기기에 제공한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전류를 증가하여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구현하고,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SOC 균형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인덕터가 중간 소자로 사용되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간의 상호 충방전을 구현하는 것을 기반으로, 본 솔루션은 급전용 배터리에서 트랙션 배터리로 방전되는 방전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급전용 배터리에서 인덕터로의 충전 지속시간을 늘려 인덕터에서 방전되는 방전 전류를 증가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량을 조정함으로써, 트랙션 배터리가 전기기기에 제공한 에너지를 보충하여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구현하고,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SOC 균형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S210 이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솔루션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00: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하면,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여 배터리 모듈을 가열시킨 후, 본 솔루션은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도 요구에 도달한 경우, 본 솔루션은 배터리 모듈의 가열을 중지시키기 위해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요구는 배터리의 구체적인 사용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한 후,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온도가 계속 상승함으로 인한 보안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배터리 모듈의 가열이 중지된 후, 본 솔루션은 또한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가 병렬연결된 후 과대한 전압차로 인해 배터리가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 간의 전압차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00: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910: 방전 과정에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단계 S920: 방전 과정에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한다.
단계 S900에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가능한 실시 방법으로서, 본 솔루션은 트랙션 배터리의 전압과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을 획득하여 트랙션 배터리 전압과 급전용 배터리 전압 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를 획득하고, 그 다음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법으로서, 본 솔루션은 또한 전압차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파라미터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삼원계 배터리의 SOC 차이는 전압차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모두 삼원계 배터리인 경우, 본 솔루션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SOC를 획득하고, 그 다음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SOC 차이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요구를 충족하고, 병렬연결된 후 배터리가 손상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후속의 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요구를 충족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를 기반으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이 트랙션 배터리의 전압보다 높다고 가정하면, 에너지 저장 소자가 트랙션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도록 급전용 배터리를 제어하여 에너지 저장 소자에 방전한다.
상술한 방전 과정에서, 본 솔루션은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요구를 충족함을 의미하므로, 상술한 방전 과정을 즉시 중지하며,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면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고 상술한 방전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충방전이 종료된 후에도 배터리의 전압차를 판단함으로써, 방전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압력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도록 보장하여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 분배를 구현하고, 나아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된 후 배터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과정을 중지하는 단계 S910을 수행한 후, 본 솔루션은 다음 단계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000: 차량의 전기기기가 시동을 요청한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되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100: 차량의 전기기기가 시동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차량은 대기 상태에 처한다.
상술한 단계에서, 본 솔루션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 분배를 수행한 후, 차량의 전기기기가 시동을 요청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시동을 요청한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되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시동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차량은 대기 상태에 처한다.
여기서, 시동을 요청한 경우, 계속 도 3을 참조하여, 본 솔루션은 스위치(K1)가 켜지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Bat2)와 급전용 배터리(Bat1)가 병렬연결되어 차량의 전기기기(M)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열하지 않는 상황에서 차량의 주행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법으로서,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즉, 단계 S210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함을 의미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법으로서, 배터리 모듈은 자체 가열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의 전하량을 소모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것에 더하여 배터리 전하량이 사전설정된 전하량보다 높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210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고 전하량이 사전설정된 전하량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함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고 배터리의 전하량이 사전설정된 전하량보다 높은 경우에만 배터리 모듈을 가열함으로써, 배터리의 자체 가열을 유지하기 위한 충족한 전기 에너지를 보장하고, 자체 가열 후 배터리의 전하량이 낮음으로 인한 저전압의 문제를 초래하지 않는다.
도 11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배터리 가열 제어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도 2 내지 도 10에서 수행되는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고, 전술한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의 구체적인 기능은 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장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수집부(1100);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사이의 충방전을 통해 가열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차량의 주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10)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에 모두 내부저항이 구비되므로 내부저항이 열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가열을 구현한다. 또한, 본 솔루션은 배터리가 가열되는 상황에서 트랙션 배터리를 통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즉, 본 솔루션은 주행 중 차량의 배터리 자체 가열을 구현하여 저온 환경에서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가 먼저 가열되어야 하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저온 환경에서 차량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리성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1110)는 구체적으로,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소자로 방전하도록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 하나를 제어하고; 또한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의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1110)는 구체적으로,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을 획득하고;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에 해당하는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및 급전용 배터리에 해당하는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을 계산하고; 트랙션 배터리가 방전되면,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고;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급전용 배터리를 제어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1110)는 구체적으로,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방전 유효값을 획득하고;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조정값을 계산하고;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방전 조정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전류를 조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10)는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10)는 또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고; 상기 제어부(1110)는 또한,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방전 과정을 계속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방전 과정을 중지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10)는 또한,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역직렬연결되도록 제어하되,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는 비가열 조건하에서 병렬연결되어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전자기기(12)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201) 및 메모리(1202)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01)와 메모리(1202)는 통신 버스(1203) 및/또는 기타 형태의 연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고 상호 통신하며, 메모리(1202)에는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팅 장비가 운행 중일 때, 프로세서(1201)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임의의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외부 단말기에 이해 수행되는 방법의 단계, 예컨대 단계 S200 내지 S220: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임의의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의 방법이 수행된다.
여기서, 저장 매체는 정적 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프로그래머블 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롬(Read-Only Memory, 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임의의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 의한 방법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솔루션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차량 주행 중에 배터리의 자체 가열을 수행하고, 자체 가열 과정에서 배터리의 전류 분배 및 전압 분배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300: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한다.
단계 S1310: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전류 분배 정책에 따라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320: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하면,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330: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340: 방전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하고, 단계 S1350을 수행한다.
단계 S1350: 차량의 전기기기가 시동을 요청한 경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되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내용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320에서의 전류 분배 정책은 전술한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지속시간을 늘리거나 방전 전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급전용 배터리와 트랙션 배터리의 전류 분배를 구현하는 방식은 의미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이들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은 여전히 수정될 수 있거나,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체가 동등하게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해당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을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하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 및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구조적인 충돌이 없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한 각 기술적 특징은 모두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솔루션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2021년 12월 27일자로 출원한 출원명칭이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인 중국 특허출원 202111616541.3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10: 차량
100: 배터리
200: 제어기
300: 모터
Bat1: 급전용 배터리
Bat2: 트랙션 배터리
M: 전기기기
M1: 제1 전기기기
M2: 제2 전기기기
1100: 수집부
1110: 판단부
1120: 제어부
12: 전자기기
1201: 프로세서
1202: 메모리
1203: 통신 버스

Claims (15)

  1.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사이의 충방전을 통해 가열되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차량의 주행을 위해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로 방전하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 및 급전용 배터리 중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에 충전 완료된 후,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다른 하나에 충전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기기기는 제1 전기기기 및 제2 전기기기를 포함하되,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상기 제2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전기기기의 고정자 인덕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랙션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유효값에 따라 트랙션 배터리에 해당하는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및 급전용 배터리에 해당하는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트랙션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트랙션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트랙션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전력공급을 위한 방전 지속시간 동안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상기 급전용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기기기 공급전류 및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초기 방전 유효값에 따라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급전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방전 조정값에 따라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방전 전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온도 요구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충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높은 배터리가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중 전압이 낮은 배터리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방전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계속 수행하는 단계;
    방전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의 전압차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과정을 중지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의 전기기기가 시동을 요청한 경우,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상기 급전용 배터리가 병렬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배터리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배터리 온도 및 배터리 전하량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것,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전하량이 사전설정된 전하량보다 높은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역직렬연결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는 비가열 조건하에서 병렬연결되어 상기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13. 배터리 가열 제어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사전설정된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이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 사이의 충방전을 통해 가열되도록 상기 배터리 모듈 내의 상기 트랙션 배터리와 급전용 배터리가 상호 충방전하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주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트랙션 배터리가 차량의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가열 제어 장치.
  14.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27732A 2021-12-27 2022-04-28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KR20230106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616541.3A CN115366750A (zh) 2021-12-27 2021-12-27 一种电池加热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202111616541.3 2021-12-27
PCT/CN2022/089795 WO2023123775A1 (zh) 2021-12-27 2022-04-28 一种电池加热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122A true KR20230106122A (ko) 2023-07-12

Family

ID=8689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732A KR20230106122A (ko) 2021-12-27 2022-04-28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7915A1 (ko)
EP (1) EP4227150A4 (ko)
JP (1) JP2024508059A (ko)
KR (1) KR2023010612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940B2 (ja) * 2006-10-16 2012-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車両
CN105762434B (zh) * 2016-05-16 2018-12-07 北京理工大学 一种具有自加热功能的电源系统和车辆
CN106183849A (zh) * 2016-07-11 2016-12-07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的均衡电路和电动汽车
CN108736107B (zh) * 2018-05-22 2020-06-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加热模块和电池组加热方法、加热系统
CN112224092A (zh) * 2020-10-16 2021-01-15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一种电电混动系统及其电池温度提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7915A1 (en) 2023-06-29
EP4227150A1 (en) 2023-08-16
JP2024508059A (ja) 2024-02-22
EP4227150A4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46852B (zh) 电力供给装置、蓄电系统及充电方法
CN103248085B (zh) 充电/放电控制设备
JP5307847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US8084988B2 (en) Power supply system
US20160236581A1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for vehicle
US20180170208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05448B2 (en) Load based engine start-stop control
JP6508005B2 (ja) 電源装置
JP2006121874A (ja) 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車両
US10315522B2 (en) Charge/discharge system
WO2015028865A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JP2012214060A (ja) プレヒート用電源供給システム
KR20160112073A (ko) 저온 배터리를 가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에너지저장장치 및 제어방법
JP2017117614A (ja) バッテリ暖機装置
US10498154B2 (en) Electric power system
JP5704747B2 (ja) 充電制御ユニット
JP2015220956A (ja) 充電装置
JP2015217859A (ja) 電源制御装置
KR102213262B1 (ko) Ldc의 과열 방지를 위한 ldc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659244A (zh) 汽车电池包预热方法及装置
JP2017216785A (ja) 電源システム、移動体、及び制御方法
WO2023123775A1 (zh) 一种电池加热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17025709A (ja) 電源システム
JP5622705B2 (ja) 充放電制御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
KR20230106122A (ko) 배터리 가열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