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961A -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961A
KR20230105961A KR1020220001627A KR20220001627A KR20230105961A KR 20230105961 A KR20230105961 A KR 20230105961A KR 1020220001627 A KR1020220001627 A KR 1020220001627A KR 20220001627 A KR20220001627 A KR 20220001627A KR 20230105961 A KR20230105961 A KR 2023010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y
user
virtual
network service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102B1 (ko
Inventor
박평구
김태연
윤호선
곽병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102B1/ko
Priority to US17/856,153 priority patent/US20230215110A1/en
Publication of KR2023010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진입함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CESSING VISUAL NETWORK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는 가상 현실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 현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은 근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서, 현실 세계인 물리 세계와 컴퓨터를 비롯한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 세계가 (또는 사이버 세계) 한 공간에서 구성되는 것을 일컫는다. 어떻게 구성되는 가에 따라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등으로 구분된다.
가상현실이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존재하는 현실 세계와는 격리되어 구동되므로, 물리 세계와 가상 세계는 서로 아무런 간섭을 주지 못하고 완전히 다른 세계로 인식된다.
증강현실이란 가상현실의 한 분야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물리 세계인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다. 여기서는 가상현실과 물리현실이 공유되지만, 서로 간에 상호 작용은 없다. 즉, 물리 공간에 가상의 사물을 투영할 수 있지만, 양측이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는 없다. 결과적으로 보는 이가 두 공간의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뿐, 물리 공간과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간 서로 연계되어 발생하는 행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혼합현실이란 기존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혼합한 개념으로서,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융합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가상의 세계를 만드는 기술이다. 혼합현실에서는 물리 세계와 가상 세계간 상호 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호 인터랙션이 존재할 수 있다. 예로서 물리 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책상 위에, 가상의 공간에서 만든 가상의 컵을 올려 둘 수 있다. 응용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이 경우 책상이 기울어지면 컵이 땅에 떨어지는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한편,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하며, 보통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한 스마트폰 같은 장치가 활용되고 최근에는 양손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보다 더 활용성이 높은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같은 웨어러블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포터블 장치들은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어야 하는 특성상 소형화 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혼합현실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기대되는 컴퓨팅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클라우드는 컴퓨팅 자원을 집적하고,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유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서 처리되지 못하는 높은 연산량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클라우드에서 대신 처리하는 오프로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더 풍부한 연산집약적 컴퓨팅 성능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연산이 이루어지는 중앙의 컴퓨팅 자원과 사용자 기기와의 거리 차이로 인해 혼합현실 서비스들 중에서 실시간성이 중요시되는 서비스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사용자 기기와 컴퓨팅 자원과의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더 정교한 혼합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앙의 컴퓨팅 자원을 최대한 사용자 기기에 가깝게 배치하는 에지 컴퓨팅이 대두되고 있다. 에지 컴퓨팅은 클라우드 컴퓨팅이 제공하는 자원의 풍부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사용자 기기와 원 홉 수준으로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서비스가 요구하는 지연 및 컴퓨팅 성능을 상당 부분 맞춰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에지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물리개체를 가상의 공간 상에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물리개체를 그룹화하여 가상의 공간 상에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진입함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와,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진입함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노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에지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물리개체를 가상의 공간 상에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물리개체를 그룹화하여 가상의 공간 상에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환경에서, 동일 그룹 사용자 사이의 물리 적인 네트워크 또는 가상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가상현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물리개체와 동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공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공간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서비스 공간(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11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비스 공간(100)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120)에는 서비스 공간(10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공간(100)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11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함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물리개체(110)의 상태 정보 또는 물리개체(110)의 이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 에지 노드 장치(230), 사용자 단말(240), 및 물리 개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내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 에지 노드 장치(230), 사용자 단말(240), 및 물리 개체(25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망은,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요구되는 기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240)을 식별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사용자 식별자, 서비스 가입 정보, 서비스 사용 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물리 개체(250)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물리개체의 위치, 물리객체의 식별자, 물리개체의 종류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는, 가상개체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구성부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와 연동될 수 있으며, 가상개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가상개체에 대한 정보는 가상객체의 식별자, 가상개체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는, 에지 노드 장치(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에지 노드 장치(230)로 가상개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10)는 에지 노드 장치(2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에지 노드 장치(230)에 관련된 정보는 확인할 수 없으며,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가 가상개체 리스트를 관리하고, 어떤 가상개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는, 레포지토리를 구비하며, 레포지토리를 통해 가상개체의 실제 동작 프로그램을 구동 및 관리할 수 있다.
에지 노드 장치(230)는, 물리개체와 해당 물리개체에 대응하여 생성된 가상개체 간의 매핑 관계를 생성 및 관리하고, 정보 전달을 중개하여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40)은, 서비스 공간(100)에 진입한 사용자가 서비스 공간(100)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서비스 공간(100)의 영상은 단말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증강현실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40)은,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또는 스마트글래스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거나 착용함으로써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비스 공간(100)의 영상은 가상 공간의 영상, 가상현실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40)은, 노트북, 랩탑,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클라우드 제어 서버(220), 에지 노드 장치(230), 및 물리 개체(240-1, 240-2)는 사전 인증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을 예시한다.
사용자 단말(250)을 구비한 사용자는,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여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50)은 서비스 공간에 진입함에 따라, 에지 노드 장치(23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01).
사용자 단말(250)을 통해 확인되는 시야각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개체(240-1, 240-2)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50)은, 사용자 단말(250)이 바라보는 방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에지 노드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에지 노드 장치(230)는 해당 방향에 위치한 물리 개체(240-1, 240-2)를 확인하고, 대응되는 가상개체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02).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50)은, 해당 물리 개체(240-1, 240-2)에 근접한 위치에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50)은, 사용자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을 통해,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TV 개체(물리 개체1(240-1))로 출력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50)에 표시되는 다양한 개체 중,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를 선택하고, 선택된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를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하여 TV 개체(물리 개체1(240-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250)은,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에 대응되는 가상개체의 식별자와, TV 개체(물리 개체1(240-1))에 대응되는 가상개체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에 대응되는 가상개체로부터 TV 개체(물리 개체1(240-1))에 대응되는 가상개체로 데이터 공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에지 노드 장치(230)로 전달할 수 있다(S304).
에지 노드 장치(230)는,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로 데이터 공유 명령을 전송하고(S305),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06). 이후, 에지 노드 장치(230)는,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TV 개체(물리 개체1(240-1))로 전달하고 영상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S307). 이에 대응하여, TV 개체(물리 개체1(240-1))는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308).
비록,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CCTV 개체(물리 개체2(240-2))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TV 개체(물리 개체1(240-1))로 출력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시나리오와 이에 대응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c를 참조하면,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400) 내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404-1, 404-2, 404-3)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404-1, 404-2, 404-3)은 사용자에 의해 공유가 허용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가 허용된 데이터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4-1, 404-2, 404-3)의 데이터 리스트 중, 대상 개체로부터, 공유를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하는 목표 개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데이터의 이동은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4-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와, 대상 개체(404-2)에 대한 정보, 목표 개체(404-1)에 대한 정보 등을 에지 노드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에지 노드 장치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와, 대상 개체(404-2)에 대한 정보, 목표 개체(404-1)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하여 해당 데이터의 이동 명령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에지 노드 장치는, 대상 물리개체(404-2)로부터 선택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목표 물리개체(404-1)로 전달하고 저장 또는 재생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목표 물리개체(404-1)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내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504-1, 504-2)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사용자와의 채팅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제1사용자(501-1)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터치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메뉴 또는 UI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메뉴 또는 UI(505)는 데이터 공유 또는 메시지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메시지 전송 선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메시지 입력 창(51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 창(510)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520)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은 메시지 입력 창(510)에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확인하고, 선택된 제1사용자(501-1)에 대한 정보 등을 에지 노드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에지 노드 장치는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와, 제1사용자(501-1)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하여 해당 메시지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에지 노드 장치는, 메시지 데이터를, 제1사용자(501-1)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메시지 발송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사용자(501-1)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은 전달받은 메시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내에는 다른 사용자(610-1, 610-2)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601)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사용자(610-1, 610-2)와의 데이터 공유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제1사용자(610-1)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터치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메뉴 또는 UI(620, 도 6b 참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메뉴 또는 UI는 데이터 공유(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데이터 공유(620) 메뉴 선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은 제1사용자(610-1)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에지 노드 장치로 요청할 수 있으며, 에지 노드 장치는, 제1사용자(610-1)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공유할 데이터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601)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사용자(610-1)에 대응되는 데이터는, 제1사용자(610-1)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601)은, 에지 노드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즉, 공유할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도 6d 참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1)에 표시되는 공유할 데이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데이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601)은 선택된 데이터를 전달할 대상 사용자를 선택하는 UI 또는 메뉴(640, 도 6e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를 전달할 대상 사용자인 제2사용자(610-2)가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601)은, 선택된 데이터를 전달할 대상 사용자인 제2사용자(610-2)로 전달하는 명령을, 에지 노드 장치로 요청할 수 있으며, 에지 노드 장치는, 대상 사용자인 제2사용자(610-2)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사용자(610-1)은, 제1사용자(610-1)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제2사용자(6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12)

  1.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진입함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통해 제공할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물리개체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 중, 대상 개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개체가 제공할 제공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 중, 목표 개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목표 개체로 상기 제공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목표 개체에 대응되는 물리 개체가 상기 제공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종류는,
    문서 컨텐츠 공유, 미디어 컨텐츠 공유, 메시지 컨텐츠 공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매핑하는 과정은,
    클라우드 제어서버에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대상 개체, 상기 목표 개체, 및 상기 제공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노드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 장치가, 상기 대상 개체, 상기 목표 개체, 및 상기 제공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목표 개체에 대응하는 상기 물리 개체로 상기 제공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개체는 미디어 컨텐츠를 생성 또는 저장하는 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개체는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개체를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개체는 문서 컨텐츠를 생성 또는 저장하는 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개체는 상기 문서 컨텐츠를 출력하는 개체를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개체는 메시지 컨텐츠를 생성 또는 저장하는 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개체는 상기 메시지 컨텐츠를 출력하는 개체를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12.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와,
    상기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에 진입함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개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개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노드 장치를 포함하는,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1020220001627A 2022-01-05 2022-01-05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7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627A KR102674102B1 (ko) 2022-01-05 2022-01-05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US17/856,153 US20230215110A1 (en) 2022-01-05 2022-07-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su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627A KR102674102B1 (ko) 2022-01-05 2022-01-05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961A true KR20230105961A (ko) 2023-07-12
KR102674102B1 KR102674102B1 (ko) 2024-06-13

Family

ID=8699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627A KR102674102B1 (ko) 2022-01-05 2022-01-05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15110A1 (ko)
KR (1) KR1026741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35B1 (ko) * 2017-09-22 2019-03-27 문지용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200111032A (ko) * 2019-03-18 2020-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뢰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183574B1 (ko) * 2018-12-10 2020-11-26 (주)에이알씨엔에스 오프라인 촬영 영상물을 이용한 가상현실 쇼핑몰의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35B1 (ko) * 2017-09-22 2019-03-27 문지용 위치기반 추억데이터 기록 및 회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183574B1 (ko) * 2018-12-10 2020-11-26 (주)에이알씨엔에스 오프라인 촬영 영상물을 이용한 가상현실 쇼핑몰의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1032A (ko) * 2019-03-18 2020-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뢰현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5110A1 (en) 2023-07-06
KR102674102B1 (ko)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5332B2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based on virtual space scene, computer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096998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00059444A1 (en) Task management based on instant message
CN111357297A (zh) 从第一屏幕设备到第二屏幕设备的反向投射
US10122827B2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JP2018520725A (ja) 情報処理方法、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WO2022205772A1 (zh) 直播间的页面元素展示方法及装置
US10637804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which support a messenger service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CN10952195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云存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9127349A1 (zh) 一种多媒体信息分享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9948729B1 (en) Browsing session transfer using QR codes
WO2015100990A1 (zh) 一种终端间的图像共享方法、终端设备及通信系统
CN114727146A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055252A (zh) 多屏互动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WO2020220777A1 (zh) 一种信息推送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WO2022199434A1 (zh) 设备间目标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326705A1 (en) Mobile Device Data Transfer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11799925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reen sharing method
KR102048750B1 (ko) 보안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178353A (zh) 业务处理方法、云服务器和终端设备
US20150186095A1 (en) Inter-terminal image shar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1973653B1 (ko) 증강 현실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674102B1 (ko) 비주얼 네트워크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JP6406028B2 (ja) ドキュメント表示支援装置、端末装置、ドキュメント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468761B (zh) 控制播放机挂载共享文件的方法和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