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941A -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941A
KR20230105941A KR1020220001586A KR20220001586A KR20230105941A KR 20230105941 A KR20230105941 A KR 20230105941A KR 1020220001586 A KR1020220001586 A KR 1020220001586A KR 20220001586 A KR20220001586 A KR 20220001586A KR 20230105941 A KR20230105941 A KR 20230105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pening
guide side
guide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구
이기섭
서자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941A/ko
Publication of KR2023010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복수의 분할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필터부; 및 내부에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배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된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전면; 상기 전면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가이드 측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전면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가이드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측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Filter Assembly And Clothes Car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수용 및 관리되는 챔버가 마련된 본체와,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에는 의류에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가 마련되고,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발생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에는 거치된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 장치는 의류가 수용된 공간과 송풍 장치 내에 형성된 유로 사이의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의류가 수용된 공간에서 송풍 장치의 유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필터 조립체가 마련되어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 장치 내에 있는 팬의 위치나 유로의 구조에 따라 필터의 일부분에 유동 부하가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에 더스트 집중 영역이 형성되어, 필터 중 더스트 집중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수명이 더 짧아질 수 있다. 그 결과, 필터 중 일부분인 더스트 집중 영역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필터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할 필터 구조를 이용하여 더스트 집중 영역에 배치된 필터만 교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복수의 분할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필터부; 및 내부에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배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된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전면; 상기 전면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가이드 측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전면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가이드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측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기에 있어서, 의류를 관리하도록 마련된 제1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하도록 마련된 송풍 장치; 및 상기 송풍 장치에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분할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필터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배치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전면; 상기 전면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가이드 측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전면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가이드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측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필터 조립체 또는 의류 관리기는, 필터 조립체의 슬라이딩 방식의 인입/인출 구조를 이용하여 일측에서 더스트 집중 존의 필터를 인출하고 타측에서 새로운 분할 필터를 인입함으로써 분할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필터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개폐 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분할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부 및 주요 관련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 또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1)는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악취의 제거 처리 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기(1)는 의류의 종류나 소재에 대응해서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지시를 받으면 주름 제거나 이물질 제거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일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예를 들어, 도어(2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내부에 의류를 거치 또는 수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1)은, 예를 들어, 도어(2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개구(10a)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내부 공간(121)의 전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는 본체(10)의 개구(10a)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예를 들어, 힌지 또는 링크와 같은 장치에 의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를 이용하여 제1 내부 공간(121)을 개폐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어(20)의 전면에는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성된 조작부(예: 도 10의 조작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본체(10), 도어(20), 공조 장치(50), 가습 장치(60), 송풍 장치(70) 또는 필터 조립체(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외부 하우징(11) 또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 또는 내부 하우징(12)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는 제1 내부 공간(1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유로(130)는, 예를 들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후술할 토출 슬릿(16a)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2) 사이에 제2 내부 공간(111) 또는 제3 내부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111)은,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1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내부 공간(111)은 제1 내부 공간(12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111)에는, 예를 들어, 공조 장치(50) 또는 가습 장치(60)와 같은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112)은,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12)의 상부의 일부와 측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112)에는, 예를 들어, 송풍 장치(70)와 같은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12)은 제1 내부 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1)은, 예를 들어,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에 의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1)의 전면은 개방되어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 상단에는 도어(20)의 배출 유로(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출 브라켓(16)이 마련될 수 있다. 토출 브라켓(16)은, 예를 들어, 도어(20)의 배출 유로(13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슬릿(16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1)는 배수통(41) 또는 급수통(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41) 또는 급수통(42)은, 예를 들어,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수통(41) 또는 급수통(42)은,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1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41) 또는 급수통(42)은, 예를 들어, 도어(20)를 개방하였을 때 외부에서 보이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41)은, 예를 들어, 공조 장치(50)의 열 교환기(52)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42)은, 예를 들어, 가습 장치(6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통(41)과 급수통(42)은 반드시 별도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배수통(41)과 급수통(42)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일체의 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 장치(50)는 열 교환기(52), 제1 덕트(55) 또는 제1 팬(56)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장치(50)는,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121)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조 장치(50)는,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121)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50)는, 예를 들어, 제2 내부 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교환기(52)는 증발기(521), 응축기(522) 또는 압축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521), 응축기(522) 및 압축기(523)를 순환할 수 있다. 냉매는, 예를 들어, 기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증발기(521)에서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다. 응축수는 배수통(4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입구(57)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521)를 지나면서 제습될 수 있다. 증발기(521)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523)에서 저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522)로 이동할 수 있다. 응축기(522)로 이동한 저압의 냉매는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521)를 지난 공기는 응축기(522)에서 가열된 후 제1 배출구(58)로 배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증발기(521)와 응축기(522)가 열 교환 기능을 하여, 제1 팬(56)에 의해 열 교환기(52)를 지나는 공기는 증발기(521)와 응축기(522)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덕트(55)는 열 교환기(52) 및 제1 팬(56)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덕트(55)는,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12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 팬(56) 및 열 교환기(52)를 거쳐 제1 내부 공간(121)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제1 유로(5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121) 내의 공기는 제1 유입구(57)를 통하여 제1 유로(55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입구(57)는,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12)의 하면(12b)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입구(57)는 하면(12b)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 교환기(52)에 의해 제습 또는 가열된 공기는 제1 배출구(58)를 통하여 제1 내부 공간(1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배출구(58)는,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12)의 하면(12b)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출구(58)는, 예를 들어, 배출되는 공기가 개구(10a)측 방향을 따라 경사지어 상승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배출구(58)는 내부 하우징(12)의 하면(12b)에서 전방 상부로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출구(58)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1 내부 공간(121)의 전방 상부를 향한 후 하강하여, 내부 하우징(12)의 하면(12b) 전방에 마련된 제1 유입구(57)로 흡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팬(56)은 제1 내부 공간(121)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팬(56)은, 예를 들어, 제1 유입구(57)로부터 제1 내부 공간(121)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 덕트(55)로 도입하고, 제1 덕트(55)에 도입된 공기를 제1 배출구(58)에서 제1 내부 공간(121)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 장치(60)는 스팀 발생 장치(61), 스팀 공급관(62) 또는 스팀 분사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장치(60)는, 예를 들어, 급수통(42)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킨 후 스팀 공급관(62) 및 스팀 분사부(63)를 거쳐 스팀 배출구(64)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배출구(64)는, 예를 들어, 제1 배출구(5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스팀 배출구(64)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팀 배출구(64)에서 배출되는 스팀은 제1 배출구(58)에서 제1 팬(56)에 의해 유동되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제1 내부 공간(121)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발생 장치(61)는, 급수통(42)에서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61)는, 예를 들어, 내부에 마련된 히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팀 공급관(62)은, 예를 들어, 스팀 발생 장치(61)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63)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분사부(63)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 장치(60)는 급수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펌프는, 예를 들어, 급수통(42)과 스팀 발생 장치(61) 사이에 마련되어 급수통(42)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스팀 발생 장치(61)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 장치(70)는 제2 덕트(71) 또는 제2 팬(7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장치(70)는, 예를 들어, 제3 내부 공간(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덕트(71)는 제2 유입구(73) 및 제2 배출구(74)를 통하여 공기가 제1 내부 공간(121)과 송풍 장치(70)를 순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덕트(71)의 일단은 제2 유입구(73)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배출구(7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71)는, 예를 들어, 공기가 순환하기 위한 제2 유로(7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입구(73)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2 배출구(74)는 내부 하우징(12)의 상면(12a)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팬(72)은 제2 덕트(7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72)은 풍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제2 유입구(73)에서 제2 배출구(74)로 유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2 팬(72)이 작동되면, 제2 유입구(73)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2 팬(72)을 지나 제2 배출구(74)로 배출된다. 공기는 내부 하우징(12)의 상면에서 수직한 아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배출구(74)에서 배출된 공기는 지지 장치(25)를 지나서 거치 부재(30)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관리기(1)는 제2 배출구(74)에서 배출된 공기를 이용하여 거치 부재(30)에 걸쳐진 의류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조립체(80)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80)는,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121)과 제2 유로(711)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필터 조립체(80)는, 제2 유입구(73)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80)는,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121)의 공기가 송풍 장치(70)로 유입되기 전에 먼지 등을 필터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1)는 지지 장치(25) 또는 거치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장치(25)는,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12)의 상면(12a)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장치(25)는, 제2 배출구(7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장치(25)는, 예를 들어, 복수의 거치 부재(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거치 부재(30)는 지지 장치(25)에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부재(30)는 적어도 두가지 종류의 거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부재(30)는, 예를 들어, 상의를 거치하도록 마련된 제1 거치 부재 또는 하의를 거치하도록 마련된 제2 거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거치 부재 또는 제2 거치 부재를 지지 장치(25)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부재(3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 부재(30)는, 제2 배출구(74)에서 나온 바람을 의류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은, 예를 들어, 거치 부재(3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의류에 광범위하게 공기를 분사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배출구(74)에서 나온 공기가 거치 부재(30)를 지남으로써,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에 마련된 필터 조립체(80)의 경우,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필터 조립체(80)를 통과하여 송풍 장치(70)로 유입될 때, 필터 조립체(80)의 상부 영역(또는, 더스트 집중 영역)(Z)을 집중적으로 관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 내부 공간(121)의 공기는 대부분이 필터 조립체(80)의 상부 영역(Z)을 관통하여 송풍 장치(7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송풍 장치(70)의 제2 팬(72)을 구동할 때 집진 필터부(예: 도 4의 집진 필터부(81))의 상부에 유동 저항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동 저항이 집중되는 상부 영역(Z)에 위치한 분할 필터(예: 도 7의 제1 분할 필터(8111))는 다른 위치의 분할 필터들보다 수명이 짧을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에서, 예를 들어, 위치의 특성상 상부 영역(Z)에 위치한 분할 필터(예: 도 7의 제1 분할 필터(8111))의 수명이 가장 짧고, 상부 영역(Z)에서 하부로 갈수록 필터의 수명이 더 길 수 있다. 도시된 상부 영역(Z)의 크기 및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류 건조기(1) 내에서 필터 조립체(80)의 배치 위치 또는 송풍 장치(70)의 배치 위치나 사양에 따라서 가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필터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개폐 장치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조립체(80)는, 집진 필터부(81) 또는 필터 케이스(8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조립체(80)는, 예를 들어, 의류에서 나온 먼지 또는 이물질이 송풍 장치(7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 필터부(81)는 복수의 분할 필터(8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할 필터(811)가 하나의 집단을 이루어 하나의 집진 필터부(81)를 형성할 수 있다. 분할 필터(811)는, 예를 들어, 대략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집진 필터부(81)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82)는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824)는, 예를 들어, 슬릿이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슬릿 사이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824)는,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82)의 적어도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흡입부(824)는 필터 케이스(82)의 전면(823)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82)는 제1 가이드 측면(821), 제2 가이드 측면(822) 또는 전면(8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823)은, 예를 들어, 제2 유입구(73)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전면(823)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사각형일 수 있다. 전면(823)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82)의 측면 중 제1 가이드 측면(821)과 제2 가이드 측면(82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개구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측면(821)과 제2 가이드 측면(822)은, 예를 들어, 분할 필터(811)가 필터 케이스(82) 내부로 인입되거나, 이동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때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측면(821)과 제2 가이드 측면(822)은 각각 전면(823)의 마주보는 모서리 부근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할 필터(811)는 필터 케이스(82) 내에서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826)는,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측면(821)과 제2 가이드 측면(822)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826)는,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826)는,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으로부터 연장된 가이드 리브(826)는,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82)의 전면(823)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리브(826)와 전면(823) 사이의 거리는 분할 필터(811)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필터(811)의 양측면은 각각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의 가이드 리브(826)와 필터 케이스(82)의 전면(823) 사이에 위치하여, 분할 필터(811)가 가이드 리브(82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필터(811)는 제1 및 제2 가이드 측면(821 및 822)과 가이드 리브(826)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82)는,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82a)는,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측면(821)의 일측 단부와 제2 가이드 측면(822)의 일측 단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82b)는,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측면(821)의 타측 단부와 제2 가이드 측면(822)의 타측 단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개구(82a)와 제2 개구(82b)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82)가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에 장착되었을 때, 제1 개구(82a)는 상측으로 개구되고, 제2 개구(82b)는 하측으로 개구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개구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제1 개구(82a)와 제2 개구(82b)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를 이용하여 분할 필터(811)를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82b)는 분할 필터(811)가 인입되는 부분이고, 제1 개구(82a)는 분할 필터(811)가 인출되는 부분일 수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필터(811)는 제1 개구(82a)에서만 인입되거나, 제2 개구(82b)에서만 인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82)는 개폐 장치(8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825)는, 예를 들어,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를 개폐하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즉, 개폐 장치(825)는, 제1 개구(82a)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장치(825a)와 제2 개구(82b)를 개폐하는 제2 개폐 장치(825b)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825)는, 예를 들어, 힌지 방식 또는 링크 방식으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폐 장치(825)는, 예를 들어, 외측 방향(①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를 개방할 수 있다.
개폐 장치(825)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끝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개폐 장치(825)의 돌기는, 각각 제1 가이드 측면(821)의 길이방향 단부와 제2 가이드 측면(822)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된 돌기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개폐 장치(825)는, 돌기 홈을 회전 축으로 하여 외측 방향(①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개폐 장치(825)는 다양한 구조로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825a)와 제2 개폐 장치(825b)를 열어 분할 필터(811)를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장치(825)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필터(811)를 필터 케이스(82) 내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정부는 분할 필터(811)가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는 제2 개구(82b)에 위치한 제2 개폐 장치(825b)에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82)는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케이스(82)의 제1 가이드 측면(821)과 제2 가이드 측면(822)이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케이스(82)를 내부 하우징(12)의 후면(12e)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1 개구(82a) 또는 제2 개구(82b)의 개폐 장치(825)를 열어 새로운 분할 필터(811)를 인입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분할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8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80)와 전부 또는 일부가 유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분할 필터(811)가 인입/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상 필터 조립체(80)의 후면을 도시하였으나, 필터 조립체(80)는 의류 관리기(예: 도 3의 의류 관리기(1))에 장착되었을 때는 전면이 외부로부터 보이는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분할 필터(811)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필터(811)를 교체하기 위해서 상측과 하측에 제1 개폐 장치(예: 도 5의 제1 개폐 장치(825a)) 및 제2 개폐 장치(예: 도 5의 제2 개폐 장치(825b))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관련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각 분할 필터(811)를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제1 분할 필터(8111), 제2 분할 필터(8112), 제3 분할 필터(8113) 및 제4 분할 필터(8114)로 지칭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하나의 필터 케이스(82)에 수용될 수 있는 분할 필터(811)의 크기 또는 개수는 가변할 수 있다. 제1 분할 필터(8111) 내지 제4 분할 필터(8114)는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필터(811)는 수평한 두 개의 장면(811a)과 수직한 두 개의 단면(8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 필터(811)가 필터 케이스(82) 내에서 슬라이딩될 때, 분할 필터(811)의 두 개의 단면(811b)이 제1 가이드 측면(821)과 제2 가이드 측면(822)을 접하며 슬라이딩될 수 있다. 분할 필터(811)의 장면(811a)은 인접하는 분할 필터(811)가 접하는 면일 수 있다.
도 8에 사용자가 제2 개구(82b)에 새로운 분할 필터(이하,
제5 분할 필터(8115)'라 함.)를 인입하여 제1 분할 필터(8111)를 교체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2 개폐 장치(825b)를 개방한 후 제5 분할 필터(8115)를 상부측 방향(② 방향)으로 인입할 수 있다. 제5 분할 필터(8115)가 필터 케이스(82)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제1 분할 필터(8111)가 상부측 방향(②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 때 제1 개폐 장치(825a)는 제1 분할 필터(8111)가 밀림으로써 개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제5 분할 필터(811)를 인입하기 전에 직접 제1 개폐 장치(825a)를 개방할 수 있다. 제5 분할 필터(8115)의 인입 전 제4 분할 필터(8114)가 위치했던 곳까지 인입되면 제1 분할 필터(8111)는 제1 개구(82a)를 통하여 인출된다. 본 개시와 같이 필터를 교체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로 필터 조립체(80)를 의류 관리기(예: 도 3의 의류 관리기(1))로부터 분리하여 집진 필터부(81)를 교체하지 않아 교체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수명이 다된 일부만을 교체함으로써 각 분할 필터(811)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필터 케이스(92)의 전면(923), 흡입부(924), 제3 가이드 측면(921) 또는 제4 가이드 측면(922)은 도 4 내지 도 8의 필터 조립체(80)의 전면(823), 흡입부(824),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823), 흡입부(824), 제1 가이드 측면(821) 또는 제2 가이드 측면(822)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바 이하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92)는 개폐 장치(92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925)는, 예를 들어, 제3 가이드 측면(921) 또는 제4 가이드 측면(92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일부가 고정되고,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가이드 측면(921)의 길이방향 단부(예: 하단부)에는 힌지 홈(9211)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4 가이드 측면(922)의 길이방향 단부(예: 하단부)에 힌지 홈(92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3 가이드 측면(921)에 형성된 힌지 홈(921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힌지 홈(9211)에는, 예를 들어, 개폐 장치(925)의 힌지(9251)가 삽입될 수 있다. 힌지 홈(9211)에 삽입된 힌지(9251)는, 예를 들어, 철심 부재(92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철심 부재(9212)는, 예를 들어, 제3 가이드 측면(921)의 길이방향 단부와 개폐 장치(925)의 힌지(92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철심 부재(9212)는 개폐 장치(925)의 힌지(9251)를 힌지 홈(9211)에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장치(925)의 길이는, 예를 들어, 제3 가이드 측면(921)과 제4 가이드 측면(922) 사이의 거리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개폐장치(925)는, 예를 들어, 철심 부재(9212)를 중심으로 ③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필터 케이스(92)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제어부 및 주요 관련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의 제어부(100)는 도 1 내지 도 3의 의류 관리기(1)의 제2 내부 공간(111)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공조 장치(50), 가습 장치(60) 또는 송풍 장치(70)는 도 1 내지 도 3의 공조 장치(50), 가습 장치(60) 또는 송풍 장치(70)와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공조 장치(50), 가습 장치(60) 또는 송풍 장치(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조작부(110)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공조 장치(50), 가습 장치(60) 또는 송풍 장치(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의류 관리의 동작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조작부(110)는 의류 관리기(1) 도어(2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조작부(110)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 의류 관리기(1)의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거치 부재(30)에 걸쳐진 의류의 냄새,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크게 가습 과정과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가습 과정에서 가습 장치(60) 또는 공조 장치(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우선 가습 장치(60)의 급수 펌프(미도시)를 동작시켜 급수통(42)에 저장된 물을 스팀 발생 장치(61)로 운반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스팀 발생 장치(61)를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 배출구(64)를 통해 제1 내부공간으로 배출된다. 제어부(100)는, 동시에 또는 가습 장치(60)를 동작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공조 장치(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팬(56)을 회전시켜 제1 배출구(58)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팀 배출구(64)를 통하여 배출된 스팀은 제1 배출구(58)에서 배출된 공기와 함께 의류측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가습 과정을 마친 후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건조 과정에서 공조 장치(50) 또는 송풍 장치(7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조 장치(50)의 제1 팬(56)을 동작시켜 공기가 열 교환기(52)를 통과함으로써 제1 내부 공간(121)을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송풍 장치(70)의 제2 팬(72)을 동작시켜 제1 내부 공간(121) 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공기를 거치 부재(30)측으로 분사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를 들어, 의류의 종류에 따라 제2 팬(7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거치 부재(30)에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건조 과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최적한 건조를 위해 제1 팬(56) 또는 제2 팬(7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 의류가 건조된 상태가 되면 건조 과정을 종료하고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의류 관리기(1)의 운전이 종료되었다는 사실을 알림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분할 필터(811)의 교체 주기를 계산하여, 분할 필터(811)를 교체해야 하는 시기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의류 관리기(1)의 운전시간을 이용하여 분할 필터(811)의 교체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의류 관리기(1)가 새로운 분할 필터(811)를 설치한 후 총 운전된 시간이 기 설정된 운전 시간 이상이 되면, 분할 필터(811)(특히, 도 7의 제1 분할 필터(8111))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100)는 알림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분할 필터(811)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송풍 장치(70)의 제2 팬(72)이 구동된 시간을 이용하여 분할 필터(811)의 교체 주기를 계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의류 관리기(1)가 새로운 분할 필터(811)를 설치한 후 제2 팬(72)이 구동된 시간이 기 설정된 구동 시간 이상이 되면, 분할 필터(811)(특히, 도 7의 제1 분할 필터(8111))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필터부; 및
    내부에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배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된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전면;
    상기 전면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가이드 측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전면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가이드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측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의 간격은 상기 분할 필터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필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전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필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일측 단부 사이에 상기 분할 필터가 인출되도록 마련된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타측 단부 사이에 상기 분할 필터가 인입되도록 마련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된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양측 단부에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된 돌기 홈에 삽입되는, 필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일측 단부에 마련된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 중 어느 하나는,
    길이방향 단부에 상기 힌지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힌지 홈 및 상기 힌지를 고정하도록 상기 힌지 홈 내부에 마련된 철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적어도 일면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된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슬릿이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릿 사이에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된, 필터 조립체.
  12. 의류 관리기에 있어서,
    의류를 관리하도록 마련된 제1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하도록 마련된 송풍 장치; 및
    상기 송풍 장치에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분할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 필터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배치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는,
    전면;
    상기 전면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가이드 측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을 마주보고 상기 전면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가이드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측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의류 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상기 가이드 리브의 간격은 상기 분할 필터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의류 관리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전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의류 관리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된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일측 단부 사이에 상기 분할 필터가 인출되는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 장치, 및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타측 단부 사이에 상기 분할 필터가 인입되는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 관리기의 운전 시간이 기 설정된 운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 중 어느 하나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동작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분할 필터 중 어느 하나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의류 관리기.
KR1020220001586A 2022-01-05 2022-01-05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20230105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86A KR20230105941A (ko) 2022-01-05 2022-01-05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86A KR20230105941A (ko) 2022-01-05 2022-01-05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941A true KR20230105941A (ko) 2023-07-12

Family

ID=8716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86A KR20230105941A (ko) 2022-01-05 2022-01-05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0197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EP3779027B1 (en) Dual type drying machine
US20210324566A1 (en) Clothing care system
WO2009020319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210310179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007760A (ko) 의류 관리기
KR20210000288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30105941A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KR10250550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US11441259B2 (en) Clothes care device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57133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8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4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7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1022351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05507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499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2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0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4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501A (ko) 옷걸이 장치
KR20230105753A (ko) 옷걸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