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704A -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 Google Patents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704A
KR20230105704A KR1020220000344A KR20220000344A KR20230105704A KR 20230105704 A KR20230105704 A KR 20230105704A KR 1020220000344 A KR1020220000344 A KR 1020220000344A KR 20220000344 A KR20220000344 A KR 20220000344A KR 20230105704 A KR20230105704 A KR 20230105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racket
lever
sea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6145B1 (en
Inventor
김기덕
박승현
김두열
박병관
Original Assignee
(주)씨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테크
Priority to KR102022000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145B1/en
Publication of KR2023010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감싸는 케이스 및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여 안착 및 고정시키고, 일측면에 자산이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일측에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될 시 상기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terminal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which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surrounds at least one part located therein, and a cas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accommodating the case through an opening. It is seated and fixed, and includes a bracket to which the asset is coupled to one side, but the case is provided with a lever on one side, and when the case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the case is locked to the bracket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can be unlocked

Description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본 발명은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자산 사이에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자산과 결합하는 사물인터넷 단말기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용이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terminal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bracket between the IoT terminal and an asset to prevent a decrease in durability of the IoT terminal coupled to an asset, and to facilitate It relates to an IoT terminal that enables one replacement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사물인터넷 단말기에는 어느 하나의 면에 자석 또는 자산이 부착된다. 종래에는 사물인터넷 단말기와 자산을 양면테이프로 결합시키거나, 혹은 사물인터넷 단말기를 자산과 스크류 방식 등으로 체결하여 사용하였다.A magnet or asset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IoT terminal. Conventionally, an IoT terminal and an asset are coupled with double-sided tape, or an IoT terminal is used by fastening an asset and an asset in a screw method.

이 때 양면테이프로 결합시킨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단말기로부터 자산이 자연적으로 탈착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었다.At this time, when combined with double-sided tape, since the adhesive strength deteriorates over time, a phenomenon in which assets are naturally detached from the IoT terminal may occur.

또한, 사물인터넷 단말기와 자산이 스크류로 체결되는 방식은 체결 시 과도한 토크와 같은 외력으로 인하여 사물인터넷 단말기의 마운팅 되는 부분에 사물인터넷 단말기의 케이스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기가 뒤틀림, 크랙 및 파손 등이 발생함으로써 사물인터넷 단말기가 내구성이 저하되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in which the IoT terminal and the asset are fastened with a screw, a direct impact is applied to the case of the IoT terminal at the mounting part of the IoT terminal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excessive torque during fastening. As a result, the IoT terminal is Distortion, cracking, and damage caused the durability of the IoT terminal to deteriorate.

또, 사물인터넷 단말기가 고장이 발생하거나, 배터리 교체를 위해 사물인터넷 단말기를 교체할 시 자산의 탈부착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difficulty in attaching and detaching assets when the IoT terminal malfunctioned or when the IoT terminal was replaced for battery replacement.

따라서 사물인터넷 단말기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사물인터넷 단말기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oT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durability degrad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being easily replaced.

한국 등록특허 KR0909713B1Korean registered patent KR0909713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산에 브라켓을 결합한 후 사물인터넷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사물인터넷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IoT from deteriorating and to enable easy replacement by coupling a bracket to an asset and then attaching it to an IoT terminal.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는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감싸는 케이스; 및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여 안착 및 고정시키고, 일측면에 자산이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일측에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될 시 상기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될 수 있다.An IoT terminal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s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surrounding at least one part located therein; And a bracke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to receive, seat and fix the case through an opening, and to which an asset is coupled to one side, wherein the case is provided with a lever on one side so that the case can be accommodated in the bracket. When the lever is operated, the case may be locked or unlocked from the bracket.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바닥면인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직각으로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가 수용되는 것을 정렬 및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돌기가 상기 측벽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racket may have a seating portion that i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formed at right angles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the side wall for aligning and guiding that the case is accommodated.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에서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 및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에서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가 이격된 간격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intervals at which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may be form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또,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may have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하부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has an upper seat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ower case has a lower seat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redetermined length. can

아울러, 상기 상부 안착홈 및 상기 하부 안착홈은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eating groove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as polygonal or circular grooves in cross section.

또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이 결합될 시 상기 상부 안착홈과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가 맞물리고, 상기 하부 안착홈과 상기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가 맞물려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으로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se and the bracket are coupled, the upper seat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re engaged,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are engaged so that the case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in a sliding manner. it could be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바닥면에 소정의 크기로 잠금홀이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일측에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이 결합될 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잠금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lever for fix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ase and the bracket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case, and a polygonal or circular locki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lever has a spring and a spring on one side. When the case and the bracket are coupled, the case and the bracket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pass through the locking hole to fix the case and the bracket.

또한, 상기 레버는 상부 레버, 하부 레버 및 레버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버 및 상기 상부 레버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레버는 상기 상부 레버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 작게 형성, 또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 및 상기 하부 레버 사이에 구비되어, 단면적이 Ω자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includes an upper lever, a lower lever, and a lever handle, and the lower lever and the upper lever are formed of a cylind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r a pillar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the lower lever has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lever. Large, small, or formed the same, the lever handl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ever and the lower lever,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formed as an Ω character.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잠금홀의 반대쪽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진 자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산은 상기 자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일 우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may have an asset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cking hole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asset may be coupled to the asset coupling portion.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는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는 브라켓에 수용됨;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될 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oT terminal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 case surrounding at least one part located inside, the case is accommodated in a bracket; and a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lock or release the case from the bracket when the case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와 결합되는 브라켓은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를 수용하여 안착시키고, 일측면에 자산이 결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가 수용되는 것을 정렬 및 가이드 하는 측벽;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잠금홀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coupled to the IoT terminal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ccommodates and settles the case through an opening, and a seating portion to which assets are coupled to one side. ; a side wall formed at a right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aligning and guiding the receiving of the case; And it may include a lock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자산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n IoT terminal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 단말기는 브라켓에 결합되고, 브라켓에 자산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자산을 사물인터넷 단말기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에 대해 사물인터넷 단말기를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자산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First, it can be easily repla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terminal is coupled to a bracket and an asset is coupled to the bracket. Accordingly, since the IoT terminal needs to be replac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instead of directly coupling the asset to the IoT terminal, the IoT terminal and the asset can be easily replaced.

둘째,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 단말기와 자산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닌 간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자산과 사물인터넷 단말기를 분리할 시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Second, durability deterioration is pre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oT terminal and the asset are not directly coupled but indirectly coupled, when the asset and the IoT terminal are separated, damage or damag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durability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에서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브라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이 결합된 후 사물인터넷 단말기와 브라켓이 잠금 상태가 되는 것과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oT terminal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IoT terminal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n IoT terminal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oT terminal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n IoT terminal and a bracket to an IoT terminal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IoT terminal and the bracket are locked and unlocked after the IoT terminal and the bracket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s are not necessarily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mbin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oT terminal 10 and a bracket 20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oT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racket coupled thereto ( 20),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IoT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20 coupled thereto.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브라켓(20) 및 자산(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e IoT terminal 10, the bracket 20, and the asset 30. can include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사물인터넷으로 작동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로써, 스마트 공장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나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는 단말기 등을 다양한 산업용 사물인터넷 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케이스(110), 버튼(120), 레버(130), 스프링(140), PBA(150), 안테나(160), 배터리(170) 및 체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T terminal 10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with the IoT. For example, the IoT terminal 10 is a terminal used in an industrial field, and may include various industrial IoT terminals 10 such as a terminal used in a smart factory or a terminal for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like. Here, the IoT terminal 10 includes a case 110, a button 120, a lever 130, a spring 140, a PBA 150, an antenna 160, a battery 170, and a fastening part 180. can include

케이스(110)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내부 부품 또는 구성들을 감싸 보호하는 구성으로,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는 결합되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로 형성된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에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내부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1)에는 브라켓(20)의 측벽(210)에 형성된 상부 안착돌기(211)와 끼워지기 위한 상부 안착홈(111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12)에는 브라켓(20)의 측벽(210)에 형성된 하부 안착돌기(212)와 끼워지기 위한 하부 안착홈(1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안착홈(1110) 및 하부 안착홈(1120)은 단면이 대략 다각형 또는 원형인 홈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다각형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110 is configured to surround and protect internal parts or components of the IoT terminal 10, and may include an upper case 111 and a lower case 112. That is,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2 are combined to form an approximat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interior of the IoT terminal 10 i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ed by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2. Configurations may be provided. The upper case 111 has an upper seating groove 1110 for fitting with an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formed on the side wall 210 of the bracket 20, and the lower case 112 has an upper seating groove 1110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bracket 20. A lower seating groove 1120 for being fitted with a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formed in 210 is formed. The upper seating groove 1110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1120 may have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case, the polygon may include, for example, a triangle, a quadr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n octagon.

버튼(12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 구성이다. 이러한 버튼(120)은 상부 케이스(111)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버튼(120)은 레버(130)의 반대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The button 120 is a component that a user presses to operate the IoT terminal 10 . These buttons 12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 At this time, the button 120 may b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ever 130.

레버(130)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이 결합할 시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의 결합을 잠금 상태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30)는 버튼(120)과 반대 방향의 끝단에 위치하고,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내부에서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 방향을 향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 방향을 향해 레버(130)가 외부로 돌출되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은 잠금 상태가 된다. 반대로, 하부 케이스(112)의 내부 방향을 향해 레버(130)가 내부로 인입되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레버(130)는 상부 레버(131), 하부 레버(132) 및 레버 손잡이(133)로 구성된다. 즉, 레버(130)는 원통형의 형상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으로 상부 레버(131) 및 하부 레버(132)가 마련되며, 하부 레버(132)는 상부 레버(131)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거나, 하부 레버(132)와 상부 레버(131)의 단면적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하부 레버(132)는 상부 레버(131)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버 손잡이(133)는 단면이 대략 Ω자로 형성되어 상부 레버(131) 및 하부 레버(132)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 손잡이(133)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따라 하부 레버(132) 및 상부 레버(131)는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부 레버(132)는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 방향을 향해 하부 케이스(11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다각형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re coupled, the lever 130 may cause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to be coupled into a locked state or unlocked state. . The lever 130 is located at an end opposite to the button 120 and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IoT terminal 10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lever 130 protrudes outward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re locked. Conversely, when the lever 130 is drawn into the lower case 112 toward the inside,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re unlocked. The lever 130 is composed of an upper lever 131, a lower lever 132 and a lever handle 133. That is, the lever 130 is a pillar having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an upper lever 131 and a lower lever 132 are provided, and the lower lever 132 has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upper lever 131, The lower lever 132 and the upper lever 131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or the lower lever 132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lever 131 . In addition, the lever handle 133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lever 131 and the lower lever 132 by forming an approximately Ω-shaped cross section. Therefore, the lower lever 132 and the upper lever 131 can move upward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handle 133, and accordingly, the lower lever 132 moves downward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It may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2 . In this case, the polygon may include, for example, a triangle, a quadr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n octagon.

스프링(140)은 레버(130)와 결합되어 레버(130)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프링(140)은 레버(130)가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을 잠금 상태로 이루어지게 할 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레버(130)의 위치를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부 레버(132)는 레버 손잡이(133)가 외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어 하부 레버(132)의 인입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140)은 레버 손잡이(133)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부 레버(131)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상부 레버(131)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다. 이후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레버(131) 및 하부 레버(132)가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 레버(132)가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pring 140 is coupled to the lever 130 to fix the lever 130 . When the lever 130 locks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the spring 140 moves the position of the lever 130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by us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made to protrude. That is, the lower lever 132 may be pulled into the case by lifting the lever handle 133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lower lever 132 may be fixed in a retracted state. At this time, the spring 140 is compressed by the upper lever 131 becaus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handle 133 is transmitted to the upper lever 131 as well. After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upper lever 131 and the lower lever 132 are moved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0, and thus the lower lever 132 moves towar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It may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case 112 .

PBA(Printed Board Assembly)(150)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작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또는 인쇄배선을 통칭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PBA(150)는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사물인터넷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시 사물인터넷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 printed board assembly (PBA) 150 is a component commonly referred to as a printed circuit or printed wiring for the IoT terminal 10 to operate. The PBA 150 is located inside the case 110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oT when receiving a signal related to the IoT from the outside.

안테나(160)는 외부로부터 사물인터넷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테나(16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PBA(150)와 연결되어 있다.The antenna 16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signals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from the outside. The antenna 160 is connected to the PBA 150 inside the case 110.

배터리(17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PBA(150) 및 안테나(160)와 연결되어 PBA(150) 및 안테나(160)가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이다.The battery 170 is connected to the PBA 150 and the antenna 160 inside the case 110 to apply power for the PBA 150 and the antenna 160 to operate.

체결부(180)는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를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체결부(180)는 스크류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개가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를 관통하여 결합시킨다.The fastening part 180 is configured to fasten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2 . These fastening parts 18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screws, and a plurality of them pass through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12 and couple them.

브라켓(2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자산(30)과 결합하여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자산(30)을 보호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브라켓(2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플라스틱 또는 비철금속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에서 윗면과 한쪽 옆면이 개방되어 있다. 즉, 브라켓(20)은 직육면체를 기준으로 3개의 옆면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1개의 옆면은 개구부(240)로써 개방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고, 윗면은 개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200), 측벽(210), 잠금홀(220) 및 자산 결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The bracket 20 is a component that protects the IoT terminal 10 and the asset 30 by combining with the IoT terminal 10 and the asset 30 . The bracket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non-ferrous metal so as not to affect communication of the IoT terminal 10 .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racket 20 has a top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open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is, the bracket 20 has three side surfaces based o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other side surface is open as an opening 240.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nd the top surface is open. Specifically, a seating portion 200, a side wall 210, a locking hole 220, and an asset coupling portion 230 are formed.

안착부(200)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즉, 안착부(200)는 브라켓(20)의 내부 바닥면을 일컫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안착부(200)에 안착되어 브라켓(20)과 결합될 수 있다.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200 is a part accommodating the IoT terminal 10 . That is, the seating portion 200 refers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20 . Accordingly, the IoT terminal 10 may be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200 and coupled to the bracket 20 . It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측벽(21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안착부(200)에 안착될 시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안착부(200)의 세 개의 테두리에서 소정의 높이로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210)은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안착돌기가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11)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케이스(112)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측벽(210)에는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211) 및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212)가 형성되어, 각각 상부 케이스(111)의 상부 안착홈(1110) 및 하부 케이스(112)의 하부 안착홈(1120)과 맞물리고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안착돌기(211)는 하부 안착돌기(2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211) 및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212)는 측벽의 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다각형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wall 2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ide of the IoT terminal 10 when the IoT terminal 1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00, and has a right angl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ree edges of the seating portion 200. is formed by At least on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210 to support the upper case 111 and the at least one lower case 112 . That is,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211 and a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212 are formed on the sidewall 210 to seat the upper seating groove 1110 of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2, respectively. It may be engaged with the groove 1120 and fitted. At this time,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211 and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212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may have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polygon may include, for example, a triangle, a quadr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n octagon.

잠금홀(220)은 하부 레버(132)가 돌출되어 안착부(200)가 관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잠금홀(220)은 안착부(200)의 개구부(240) 방향으로 안착부(200)의 일측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홀(220)은 하부 레버(132)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부 레버(13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홀(220)은 하부 레버(132)의 형상과 유사하게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다각형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hole 2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lever 132 protrudes and the seating portion 200 passes through. The locking hole 2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200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240 of the seating portion 200 . The locking hole 220 may be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lower lever 132 so that the lower lever 132 can protrude. Here, the locking hole 22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lower lever 132 . In this case, the polygon may include, for example, a triangle, a quadr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n octagon.

자산 결합부(230)는 자산(30)이 결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자산 결합부(230)는 안착부(200)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자산(3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와 브라켓(2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브라켓(20)의 내부에 결합되고, 자산(30)은 브라켓(2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이다.The asset combiner 230 is a component that combines assets 30 . The asset coupling unit 23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ing unit 200, and thus the asset 30 may be positioned with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IoT terminal 1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racket 20, and the asset 3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20.

자산(30)은 사물인터넷 단말기(10)에 부착되어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관리를 위한 구성이다.The asset 30 is attached to the IoT terminal 10 and is a configuration for managing the IoT terminal 10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mbining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에서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to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외력에 의해 브라켓(20)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브라켓(20)과 일직선의 위치에서 브라켓(20)의 개구부(240)를 향해 슬라이딩으로 인입되어 안착부(200)에 안착됨으로써 브라켓(20)과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IoT terminal 10 may be coupled by being pushed into the bracket 20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the IoT terminal 10 is slidingly drawn toward the opening 240 of the bracket 20 from a position in a straight line with the bracket 20 and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200, thereby being coupled with the bracket 20. .

여기서,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상부 케이스(111)에는 상부 안착홈(111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12)에는 하부 안착홈(1120)이 형성되어 있다.Here, an upper seating groove 1110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11 of the IoT terminal 10, and a lower seating groove 1120 is formed in the lower case 112.

또한, 브라켓(20)에는 측벽(210)의 내벽, 즉 내측벽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내측벽과 직각을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부 안착돌기(211)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안착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안착돌기(211) 및 하부 안착돌기(212)는 측벽(21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상부 안착돌기(211)가 형성되고, 하부 안착돌기(212)는 상부 안착돌기(211)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racket 20 has at least on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and at least on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210, that i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ner wall. has been In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is form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on the side wall 210,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is lower than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formed by location.

아울러, 상부 안착돌기(211)는 측벽(210)의 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시 각각의 상부 안착돌기(211)는 서로 일직선상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 안착돌기(2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상부 안착돌기(211)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간격 아래의 높이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안착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안착돌기(212)는 측벽의 내벽에서 상부 안착돌기(211)가 이격된 간격에 형성되되, 상부 안착돌기(21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211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210, each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on a straight line. Thi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 Accordingly, at least on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at a height below the gap in which the two upper seating protrusions 2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is form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2 .

따라서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브라켓(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될 시 외력에 의해 상부 안착돌기(211)는 상부 안착홈(1110)과 맞물리고, 하부 안착돌기(212)는 하부 안착홈(1120)과 맞물려 끼워짐으로써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브라켓(20)에 가이드 되어 정렬 및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브라켓(20)에 고정되는 것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oT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20 in a sliding manner,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engages with the upper seating groove 1110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engages with the lower seating groove ( 1120), the IoT terminal 10 can be guided to the bracket 20 to be aligned and seated. In addition, it may help to fix the IoT terminal 10 to the bracket 20.

이 때 상부 안착돌기(211), 상부 안착홈(1110), 하부 안착돌기(212) 및 하부 안착홈(1120)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the upper seating groove 1110,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1120 are formed in a triangle, square, pentagon, hexagon, or octagon, they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can

반대로,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이 결합 해제 될 때에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인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며,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반대방향으로 이탈하게 되며, 이 때 상부 안착돌기(211) 및 하부 안착돌기(212)는 각각 상부 안착홈(1110) 및 하부 안착홈(1120)으로부터 인입될 때와 반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브라켓(20)과 결합 해제 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re disengag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oT terminal 10 is drawn in, and the IoT terminal 10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bracket 20 In this case,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211 and the lower seating protrusion 212 depart in a sliding manner opposite to when they are retracted from the upper seating groove 1110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1120, respectively. will do Accordingly, the IoT terminal 10 may be disengaged from the bracket 20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이 결합된 후 이를 고정시키는 것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fixing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fter they are coupl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20)이 결합된 후 사물인터넷 단말기(10)와 브라켓(20)이 잠금 상태가 되는 것과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shows the locking state and the unlocking state of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fter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coupled thereto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a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측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의 결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130)가 구비되어 있다. 즉, 레버(130)는 스프링(140)과 결합되어 기본적으로는 스프링(140)에 의해 사물인터넷 단말기(10)에서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다.As shown in FIG. 6 , a lever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oT terminal 10 to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coupling state of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 That is, the lever 130 is coupled with the spring 140 and basically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in the IoT terminal 10 by the spring 140 .

이 때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레버(130)를 위로 올리게 되면, 스프링(140)이 상승하여 압축되면서 레버(13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130)는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면을 통과하여 내부로 인입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raises the lever 13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spring 140 rises and is compressed, and the lever 130 also rises together. Accordingly, the lever 130 pass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and is drawn into the inside.

이후 다시 레버(130)를 위로 올리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레버(130)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130)가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Then, when the external force to lift the lever 130 upward disappears, the lever 130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0 coupled with the lever 130.

따라서 외력에 의해 레버(13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브라켓(20)에 안착된 후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스프링(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브라켓(2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홀(220)을 레버(130)가 관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130)에 의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은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after the IoT terminal 10 is seated on the bracket 20 in a state where the lever 130 is lifted by an external for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0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20. The lever 130 passes through the formed locking hole 220 . Accordingly,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may be locked by the lever 130 .

이후 외력에 의해 레버(130)가 위로 올려 지게 되면, 레버(130)가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면 내부로 인입하게 되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기(10)는 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lever 130 is raised by an external force, the lever 130 is drawn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and the locked state of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is released, Accordingly, the IoT terminal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bracket 20 .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센서를 통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의 결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tate of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can be detected through a sensor.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 단말기(10)에 조도센서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112)에는 바닥면에 투명한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브라켓(20)에 안착될 시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이 어두워짐에 따라 조도센서는 어두워짐을 감지할 수 있고, 이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브라켓(20)과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an illuminanc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IoT terminal 10, and a transparent window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Accordingly, when the IoT terminal 10 is seated on the bracket 20, as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becomes dark, the illuminance sensor can detect the darkening, which is the controller of the IoT terminal 10 ( (not shown) can detect that it is coupled with the bracket 20.

만약, 어두워짐이 감지된 후에 밝아짐을 감지하게 되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이 결합 해제 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If brightness is sensed after darkness is sensed, it may be sensed that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re disengaged.

또한, 사물인터넷 단말기(10)에 지자계센서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112)에는 바닥면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단말기(10)가 브라켓(20)에 안착될 시 하부 케이스(112)의 바닥으로부터 자계를 감지함에 따라 지자계센서는 자석을 감지할 수 있고, 이는 사물인터넷 단말기(1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브라켓(20)과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geomagnetic field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IoT terminal 10,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Accordingly, when the IoT terminal 10 is seated on the bracket 20, the earth magnetic field sensor can detect the magnet as the magnetic field is sense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112, which is the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detect that the bracket 20 is coupled.

만약, 자계가 감지된 후, 다시 감지된 자계가 사라짐을 감지하게 되면, 사물인터넷 단말기(10) 및 브라켓(20)이 결합 해제 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If, after the magnetic field is sensed, it is sensed that the sensed magnetic field disappears again, it can be sensed that the IoT terminal 10 and the bracket 20 are disengag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사물인터넷 단말기
110 : 케이스
111 : 상부 케이스
1110 : 상부 안착홈
112 : 하부 케이스
1120 : 하부 안착홈
120 : 버튼
130 : 레버
131 : 상부 레버
132 : 하부 레버
133 : 레버 손잡이
140 : 스프링
150 : PBA
160 : 안테나
170 : 배터리
180 : 체결부
20 : 브라켓
200 : 안착부
210 : 측벽
211 : 상부 안착돌기
212 : 하부 안착돌기
220 : 잠금홀
230 : 자산 결합부
240 : 개구부
30 : 자산
10: IoT terminal
110: case
111: upper case
1110: upper seating groove
112: lower case
1120: lower seating groove
120: button
130: lever
131: upper lever
132: lower lever
133: lever handle
140: spring
150: PBA
160: antenna
170: battery
180: fastening part
20 : bracket
200: seating part
210: side wall
211: upper seating protrusion
212: lower seating protrusion
220: lock hole
230: asset coupling unit
240: opening
30: assets

Claims (12)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감싸는 케이스; 및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여 안착 및 고정시키고, 일측면에 자산이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일측에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될 시 상기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단말기.
A cas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surrounding at least one component located therein; and
It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includes a bracket to receive, seat and fix the case through an opening, and to which an asset is coupled to one side,
The case is provided with a lever on one side, and when the case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the case is locked or unlocked from the bracket by operation of the lev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바닥면인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직각으로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가 수용되는 것을 정렬 및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돌기가 상기 측벽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has a seating portion that i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formed at right angles from the seating portion,
At least one seating protrusion for aligning and guiding that the case is accommodated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에서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 및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에서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가 이격된 간격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2,
The at least one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intervals at which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는 상기 측벽의 내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d have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 sec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하부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is coupled,
The upper case has an upper seat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lower case has a lower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착홈 및 상기 하부 안착홈은 단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홈으로 형성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seating groove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are formed as grooves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 section,
terminal.
제3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이 결합될 시 상기 상부 안착홈과 상기 복수의 상부 안착돌기가 맞물리고, 상기 하부 안착홈과 상기 복수의 하부 안착돌기가 맞물려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으로 수용되는 것인,
단말기.
According to claims 3 and 5,
When the case and the bracket are coupled, the upper seat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upper seating protrusions are engaged, and the lower seat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lower seating protrusions are engaged to slide the case into the bracket. ,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바닥면에 소정의 크기로 잠금홀이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일측에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이 결합될 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잠금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5,
A lever for fix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ase and the bracket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case,
The bracket has a polygonal or circular locking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surface,
The lever is coupled to a spring on one side, and when the case and the bracket are coupled, it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penetrates the lock hole to fix the coupling of the case and the bracket.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부 레버, 하부 레버 및 레버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레버 및 상기 상부 레버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레버는 상기 상부 레버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 작게 형성, 또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 및 상기 하부 레버 사이에 구비되어, 단면적이 Ω자로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8,
The lever includes an upper lever, a lower lever and a lever handle,
The lower lever and the upper lever are formed of a cylind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r a pillar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The lower lever has a larger, smaller, or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upper lever,
The lever handl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ever and the lower lever,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formed of an Ω charact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잠금홀의 반대쪽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진 자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산은 상기 자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인,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8,
The bracket is formed with an asset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ck hole from the bottom surface,
The asset is coupled to the asset combination unit,
terminal.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는 브라켓에 수용됨;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용될 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단말기.
A cas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surrounding at least one component located inside, the case being accommodated in a bracket; and
A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to lock or unlock the case to the bracket when the case is accommodated in the bracket.
terminal.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를 수용하여 안착시키고, 일측면에 자산이 결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가 수용되는 것을 정렬 및 가이드 하는 측벽; 및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잠금홀을 포함하는,
브라켓.
A seating uni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receiving and seating a case through an opening, and having an asset coupled to one side thereof;
a side wall formed at a right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aligning and guiding the receiving of the case; and
Including a lock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Brackets.
KR1020220000344A 2022-01-03 2022-01-03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KR102656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344A KR102656145B1 (en) 2022-01-03 2022-01-03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344A KR102656145B1 (en) 2022-01-03 2022-01-03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704A true KR20230105704A (en) 2023-07-12
KR102656145B1 KR102656145B1 (en) 2024-04-11

Family

ID=8716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344A KR102656145B1 (en) 2022-01-03 2022-01-03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14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3B1 (en) 2009-02-16 2009-07-29 (주) 프렉코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150031934A (en) * 2013-09-17 2015-03-25 김종규 Spoon and chopsticks holder with ultraviolet light sterilization
KR20200065384A (en)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크리자인 IoT-BASED AIR CLEANER FOR VEHICLE RECOGNIZING AIR QUALITY CHAN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3B1 (en) 2009-02-16 2009-07-29 (주) 프렉코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150031934A (en) * 2013-09-17 2015-03-25 김종규 Spoon and chopsticks holder with ultraviolet light sterilization
KR20200065384A (en)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크리자인 IoT-BASED AIR CLEANER FOR VEHICLE RECOGNIZING AIR QUALITY 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145B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8654B2 (en) Safety switch
US20140363716A1 (en) Battery holder
US7564002B2 (e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45144B1 (en) Electric door lock
US20150303658A1 (en) Shift assembly structure of switch device
US20160306379A1 (en) Manual control device, control and operating unit including a manual control device, and work machine or construction machine
US20210222478A1 (en) Safety Door Switch
JP4808231B2 (en) Elevator operation panel
US9093789B2 (en) Controlling device
EP2595369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operatio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30105704A (en) IoT terminal and bracket for industrial asset management
KR20120004920A (en) Push switch
US20190100103A1 (en) On-vehicle device and display attachment device
JP2019183542A (en) Safety switch
JP2016138845A (en) Distortion amount detection device and door handlebar using distortion amount detection device
US11835981B2 (en) Operating device
US10866126B2 (en)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to measurement device
US20040017358A1 (en) Housing assembly for computer mouse
US20160093973A1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JP3186684U (en) Portable remote control device
US20160011250A1 (en)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n unauthorized removal of an electrical connector is detected
US20240145187A1 (en) Safety Switch
US845159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fixing member
US20180102012A1 (e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8432669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