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617A -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 Google Patents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617A
KR20230105617A KR1020220027286A KR20220027286A KR20230105617A KR 20230105617 A KR20230105617 A KR 20230105617A KR 1020220027286 A KR1020220027286 A KR 1020220027286A KR 20220027286 A KR20220027286 A KR 20220027286A KR 20230105617 A KR20230105617 A KR 20230105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haler
liquid
processo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ublication of KR2023010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1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약액들을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카트리지 유닛에서 복수의 약액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화시켜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복수의 약액들을 각각 수용하며 복수의 약액들 각각의 종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정보들 각각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식별부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유닛과, 카트리지 유닛 내의 복수의 약액들 중에 어느 하나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분무시키는 분무 장치와, 카트리지 유닛과 탈착 가능하며, 복수의 식별부들 각각으로부터의 복수의 식별 정보들을 판독하거나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부와, 판독부로부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분무 장치를 동작 제어하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흡입기 본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CHEMICAL LIQUID AEROSOL INHALER}
본 발명은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약액들을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카트리지 유닛에서 복수의 약액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화시켜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전도영역(conducting zone)과 직접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호흡영역(respiratory zone)으로 구분되고, 다시 전도영역은 구강(Oropharyngeal region)과 기관(trachea), 기관지(bronchi) 및 종말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를 가리키고, 호흡영역은 호흡 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 폐포관(alveolar duct), 폐포낭(alveolar sac), 폐포(alveoli)까지를 가리킨다. 천식이나 만성폐질환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흡입기(inhaler)는 기도로 약물을 직접 도달시켜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장점을 갖는데, 흡입기는 약제 성상에 따라 정량분무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 건조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 네뷸라이저(nebulizer) 등으로 구분된다.
네뷸라이저는 액상 약물을 에어로졸로 바꾸어 분무시키고 약은 코와 입을 덮는 안면 마스크 혹은 튜브를 통해 흡입한다.
종래의 네뷸라이저는 단일 약액만의 흡입이 가능한 점에서, 복수의 약액들에 대한 흡입이 가능한 에어로졸 흡입기가 필요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약액들을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카트리지 유닛에서 복수의 약액들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화시켜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복수의 약액들을 각각 수용하며 복수의 약액들 각각의 종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정보들 각각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식별부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유닛과,
카트리지 유닛 내의 복수의 약액들 중에 어느 하나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분무시키는 분무 장치와,
카트리지 유닛과 탈착 가능하며, 복수의 식별부들 각각으로부터의 복수의 식별 정보들을 판독하거나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부와, 판독부로부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분무 장치를 동작 제어하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흡입기 본체로 구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유닛은 복수의 약액들 각각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에 식별부가 장착된 것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전원 공급 및 잔량 감지 및 흡입 감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전기적 접점부를 구비하고, 분무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에 형성되며,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에는 흡입기 본체의 전기적 접점부와 연결되는 전기적 접점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의 전기적 접점부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의 전기적 접점부들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적 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전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의 전기적 접점부와 복수의 카트리지들의 전기적 접점부들 중의 어느 하나의 선택적 전기 연결은 카트리지 유닛 또는 흡입기 본체 간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판독부를 제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트리지의 식별부를 판독하여, 판단된 식별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무 장치는 흡입기 본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복수의 카트리지나 분무 장치에 대응하여 각 약액의 에어로졸이 섞이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 경로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배출 경로들 각각에 제 1 메쉬가 형성되거나, 분무 장치에 제 2 메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메쉬는 복수의 약액들의 종류에 대응하는 홀 직경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전원부를 제어하여 분무 장치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세서는 분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면서 각 약액의 흡입량, 흡입 횟수를 포함하는 약액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각 약액의 흡입량이 기준 흡입량 미만인 경우, 표시부를 통하여 흡입량 부족 알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각 카트리지 내의 약액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잔량 센서로부터의 잔량 감지값에 대응하는 잔량이나 잔량 부족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전원부의 배터리 잔량이 1회 기준 전원 크기와 같거나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1회 기준 전원의 남음을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약액들 중의 어느 하나의 에어로졸 분무 진행 여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입력부로부터 진행 입력을 획득한 이후에 전원부를 제어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세서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서 분무 장치의 진동 강도를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는 카트리지의 약액의 종류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은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약액들을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카트리지 유닛에서 복수의 약액들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화시켜 사용자에게 흡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의 제 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의 제 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복수개의 수용 공간들(130a, 130b)에 의해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액체(또는 약액)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유닛(100)(100a와 100b의 결합체임)과, 카트리지 유닛(100)이 분리 및 장착(탈착) 가능한 흡입기 본체(200)로 구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유닛(100)은 마우스피스(300)와 별도로 제공되어 카트리지 유닛(100)에 마우스피스(300)가 탈착되게 제공되거나 카트리지 유닛(100)이 마우스피스(300)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흡입기 본체(200)는 카트리지 유닛(100)이 장착 결합되도록 장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공간의 내측면에 카트리지 유닛(100)과의 전기적 연결 또는 접촉을 위한 전기 연결 단자(201)이 구비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00)는 카트리지 유닛(100)와 일체로 혹은 별개로 제공되며, 일체로 제공될 경우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300)는 카트리지 유닛(100)와 예를 들면,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임의로 카트리지 유닛(100)에 약물을 리필(refill)할 수 없는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마우스피스(300)는 사용자의 편의성 또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서 구강을 위한 구조와 비강을 위한 구조를 지닐 수 있으며, 카트리지 유닛(10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00)는 카트리지 유닛(200)의 복수개의 수용 공간들(130a, 130b)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 1 및 제 2 배출 경로(320a, 320b)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31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배출 경로(320a), (320b) 각각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부(33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카트리지 유닛(100)은 제 1 약액을 수용하며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 1 약액을 분무시켜 미세입자 형태인 제 1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제 1 카트리지(100a)와, 제 2 약액(제 1 약액과 같은 종류이거나 다른 종류임)을 수용하며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 2 약액을 분무시켜 미세입자 형태인 제 2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제 2 카트리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유닛(100)이 2개의 카트리지들로 구성되나, 3개 이상의 카트리지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유닛(100)은 흡입기 본체(200)에 탈착 가능하며, 제 1 및 제 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이 선택적으로 및 독립적으로 교체 가능하다. 카트리지 유닛(100)은 흡입기 본체(200)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1 카트리지(100a)와 제 2 카트리지(100b)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제1 카트리지(100a)의 제 1 약액과 제 2 카트리지(100b)의 제 2 약액이 서로 섞이지 않는다.
제 1 카트리지(100a)는 제 1 약액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분무시켜 미세입자 형태인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 1 분무부(120a)와, 제 1 약액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130a)과, 제 1 수용 공간(130a)으로부터의 제 1 약액을 제 1 분무부(120a)로 이송하기 위한 제 1 이송 경로(140a)와, 제 1 분무부(120a)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외부나 제 1 배출 경로(320a)로 배출하는 제 1 배출 경로(150a)를 적어도 구비하는 기류 패스와, 흡입기 본체(200)로부터 적어도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제 1 전기 접점부(101)를 포함한다.
제 2 카트리지(100b)는 제 2 약액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분무시켜 미세입자 형태인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제 2 분무부(120b)와, 제 2 약액을 수용하는 제 2 수용 공간(130b)과, 제 2 수용 공간(130b)으로부터의 제 2 약액을 제 2 분무부(120b)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이송 경로(140b)와, 제 2 분무부(120b)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외부나 제 2 배출 경로(320b)로 배출하는 제 2 배출 경로(150b)를 적어도 구비하는 기류 패스와, 흡입기 본체(200)로부터 적어도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제 2 전기 접점부(102)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은 약액 카트리지 유닛(100)로부터 분리 및 장착되어, 교체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은 전원을 인가 받아 진동 에너지에 의해 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을 에어로졸로 변환시키는 진동자(또는 메쉬 진동자)나 열 에너지에 의해 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을 에어로졸로 변환시키는 발열부와, 발생된 에어로졸의 크기를 조절하는 메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쉬는 기류 패스 상에도 장착 형성될 수 있다. 메쉬는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메쉬의 홀의 직경은 수용되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 또는 약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설정되거나 선택된다. 제1 및 제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의 메쉬들은 서로 홀 직경이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의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자와, 혼 구조 형태의 진동 전달체로 구성되어, 진동자의 진동이 진동 전달체로 전달되어 증폭되거나 집중되어 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이 보다 신속하게 에어로졸로 변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30a), (130b) 각각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체적(용량)은 같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이송 경로(140a), (140b) 각각은 제 1 수용 공간(130a)과 제 1 분무부(120a) 사이와, 제 2 수용 공간(130b)과 제 2 분무부(120b) 사이를 연결하며, 기구적인 개폐 구조 또는 전기적 개폐 구조(예를 들면, 전기적 밸브 구조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의 분무 공간은 혼 형태를 지님으로써, 발생된 에어로졸이 집중되어 제 1 및 제 2 배출 경로(150a), (150b) 각각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배출 경로(150a), (150b)의 끝단(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마우스 피스(3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배출 경로(150a), (150b) 각각은 제 1 약액의 제 1 에어로졸과 제 2 약액의 제 2 에어로졸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서로 분리 형성된다.
또한, 마우스 피스(300)가 카트리지 유닛(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배출 경로(150a)와 제 1 배출 경로(320a)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배출 경로(150b)와 제 2 배출 경로(320b)가 서로 연통되어, 제 1 약액의 제 1 에어로졸과 제 2 약액의 제 2 에어로졸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한다.
흡입기 본체(200)는 제어 장치(도 2에 도시됨)가 내장되거나 장착되는 케이스(200a)와, 케이스(200a)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전기 접점부(101), (102) 중의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접점부(201)와, 케이스(200a)의 외측면에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20)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전기 접점부(101), (102)는 서로 절연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카트리지 유닛(100)이 흡입기 본체(200)에 결합된 후, 카트리지 유닛(100) 또는 흡입기 본체(200)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스위칭)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 기능에 의해서, 전기 접점부(201)는 제 1 전기 접점부(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 2 전기 접점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느 하나의 전기 접점부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기능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1개의 약액에 대한 에어로졸 발생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분무부 및 각 분무부에 대응하는 기류 패스를 포함하는 호흡기 본체와, 호흡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복수의 약액들을 분리하여 수용하는 카트리지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호흡기 본체와 카트리지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유닛은 복수의 약액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호흡기 본체의 분무부에 이송시키고, 호흡기 본체는 이송된 약액을 에어로졸화시켜 기류 패스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카트리지 유닛에서, 제 1 카트리지(100a)의 제 1 수용 공간(130a)과 제 2 카트리지(100b)의 제 2 수용 공간(130b) 각각만이 착탈가능하여 교체되거나 교환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 구성도이다.
카트리지 유닛(100)은 제 1 및 제 2 전기 연결 단자(101), (102)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전기 연결 단자(101), (102)는 카트리지 유닛(100)이 흡입기 본체(200)에 장착되면 흡입기 본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흡입기 본체(20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제어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00)는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를 포함하며, 흡입기 본체(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기 연결 단자(101), (102)를 통해 흡입기 본체(200)의 전기 연결 단자(201)로부터 전원(예를 들면, 사인파 신호)를 공급받아서 동작한다.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는 실시예에 따라 진동자 소자는 세라믹 진동자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는 저항 가열이나 유도 가열과 같은 열 에너지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카트리지 유닛(100)는 후술하는 흡입기 본체(200)에 장착할 경우 흡입기 본체(200)가 적어도 카트리지 유닛(100)에 수용된 복수 종류의 약액들 각각을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의 내용은 약액의 종류를 적어도 포함하며, 1회 기준(권장) 흡입량(분무량), 1일 기준(권장) 흡입량(분무량), 기준 흡입(분무) 시간, 기준 흡입 간격, 기준 흡입 횟수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1 실시예는 식별 정보(또는 그 내용)에 대응하거나 나타내는 색상들을 지닌 색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부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 유닛(100)의 케이스 외측면이나 하단부의 색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유닛(100) 하단부의 색상은 사출 레진 색상, 별도의 스티커 및 페인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2 실시예는 카트리지 유닛(1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식별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거나 나타내는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 각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인부의 각인 내용은 숫자, 언어,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3 실시예는 식별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 카트리지 유닛(100)의 외측면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거나 나타내는 QR code 또는 bar code 등을 포함하는 코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4 실시예는 식별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 카트리지 유닛(100)의 외측면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식별 정보의 내용에 대응하거나 나타내는 인덕턴스(L값)를 확인할 수 있는 금속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부는 SUS, Al, kanthal, Cu, 자성체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5 실시예는 식별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 카트리지 유닛(100)의 외측면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거나 나타내는 SMD(Surface Mount Device) 저항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6 실시예는 식별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 카트리지 유닛(100)의 외측면 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거나 나타내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태그는 상술된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식별부(170a)와 제 1 전기 접점부(101)는 제 1 카트리지(100a)의 하측면에 장착되어 흡입기 본체(200)의 케이스(200a) 상측을 향하며, 제 2 식별부(170b)와 제 2 전기 접점부(102)는 제 2 카트리지(100b)의 하측면에 장착되어 흡입기 본체(200)의 케이스(200a) 상측을 향한다.
흡입기 본체(200)의 케이스(200a)는 전기 접속부(201)가 형성된 장착 공간을 구비한다.
호흡기 본체(2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동작/정지 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입력부(210)와, 프로세서(290)로부터 인가되는 표시 정보(예를 들면, 식별 정보, 배터리 잔량, 액상의 잔량 등)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0)와, 전원부(230)로부터의 전원을 프로세서(290)의 제어에 의해 제 1 서브 전기 접점부(201a)를 통하여 카트리지 유닛(100)로 공급하거나 공급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240)와, 제 2 서브 전기 접점부(201b)를 통하여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여 흡입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흡입 센서(250)와, 제 1 서브 전기 접점부(201c)를 통하여 카트리지 유닛(100)에 저장된 약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잔량 센서(252)와, 카트리지 유닛(100)가 흡입기 본체(200)에 장착되면 카트리지 유닛(100)의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를 접촉식으로 또는 비접촉식으로 마주하여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식별 정보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하거나 식별 정보를 프로세서(290)가 판독하거나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부(254)와, 전자 통신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입력부(210)와, 전원부(230) 및 통신부(26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표시부(220)는 LED나 LCD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청각적으로 정보를 표출하기 위해 음 방출을 하는 스피커와, 정보를 촉감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진동 모터 등과 같은 진동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240)는 전원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전압의 크기)을 프로세서(290)의 전압 제어 신호에 의해 조절하여 사인파 발생부에 인가하는 부스터 컨버터와, 부스터 컨버터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프로세서(290)의 출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WM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지닌 사인파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서브 전기 접점부(201a)와 제 1 또는 제 2 서브 전기 접점부(101a), (101b)의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제 1 또는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에 인가하는 사인파 발생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290)로부터의 전압 제어 신호는 부스터 컨버터에서 사인파 발생부에 인가되는 전압(또는 피크-대-피크 전압)의 인가 및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에 해당되며, 프로세서(290)로부터의 출력 제어 신호는 사인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사인파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에 해당되며, 출력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제 1 또는 제 2 분무부(120a), (120b)가 동작하고, 출력 제어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시간 동안 제 1 또는 제 2 분무부(120a), (120b)가 동작 중단된다.
흡입 센서(240)는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센서로, 프로세서(290)는 사용자가 흡입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흡입 감지값을 획득하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주파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 1 또는 제 2 분무부(120a), (120b)를 동작 제어하고, 그렇지 않으면 에어로졸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잔량 센서(252)는 카트리지 유닛(10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약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 감지값을 프로세서(290)에 인가하고, 프로세서(290)는 잔량 감지값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동작을 계속하거나 에어로졸 발생 동작을 중단시키거나 사용자에게 표시부(220)를 통하여 잔량을 알리거나 알람(잔량 부족)을 표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잔량 센서(252)는 압력 센서이며 카트리지 유닛(100)에 저장된 제 1 또는 제 2약액의 잔량 변화에 따라 카트리지 유닛(100)의 제 1 및 제 2 수용 공간(130a), (130b)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판독부(254)는 카트리지 유닛(10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의 특성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식별부(170a), (170b) 각각로부터 제 1 및 제 2 식별 정보를 판독하며, 흡입기 본체(200)에 장착된다.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1 실시예에 대응하여, 판독부(254)의 제 1 실시예는 색을 인식하기 위해 컬러 센서를 포함하며, 컬러 센서는 인식된 색에 연관된 정보인 제 1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접촉식으로 또는 비접촉식으로 판독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2 실시예에 대응하여, 판독부(254)의 제 2 실시예는 각인을 인식하기 위해 양각 또는 음각 문자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인식 센서는 광학 방식이나 적외선 방식 등으로 양각 또는 음각 문자에 연관된 정보인 제 1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접촉식으로 또는 비접촉식으로 판독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3 실시예에 대응하여, 판독부(254)의 제 3 실시예는 QR code 또는 bar code를 인식하기 위해서 광학 카메라 등의 코드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리더기는 QR code 또는 bar code에 연관된 제 1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접촉식으로 또는 비접촉식으로 판독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4 실시예에 대응하여, 판독부(254)의 제 4 실시예는 금속의 인덕턴스(L값)를 인식하기 위해 접촉식으로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인덕티브 센서를 포함한다. 인덕티브 센서는 금속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금속의 인덕턴스에 관련된 정보인 제 1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판독하거나 감지하여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5 실시예에 대응하여, 판독부(254)의 제 5 실시예는 SMD 저항칩의 저항값들 각각을 감지하기 위해 SMD 저항칩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90)는 SMD 저항칩의 저항값을 전극 단자들을 통하여 판독한다.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의 제 6 실시예에 대응하여, 판독부(254)의 제 6 실시예는 RFID를 인식하기 위해 접촉식으로 또는 비접촉식으로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에 저장된 제 1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RFID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판독부는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 1 또는 제 2 식별 정보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한다.
프로세서(290)는 전기 접점부(201)가, 제 1 또는 제 2 전기 접점부(101), (102)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판독부(254)를 제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접점부에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식별부(170a), (170b) 중의 어느 하나의 식별부를 판독한다. 프로세서(10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접점부가 장착된 카트리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어로졸 동작 가능함을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발생 동작 및 중지 각각을 수행하며, 식별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거나 확인하기 위한 판단 정보를 저장한다. 판단 정보는 상술된 바와 같이, 판독부(254)에 의해 판독되는 색상, 문자, 코드, 인덕턴스, 저항값, RFID 태그 정보 등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의 내용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90)는 판독부(254)로부터의 판독값(식별 정보)과 판단 정보를 비교하여, 결합된 카트리지 내의 식별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판단한다.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식별 정보의 내용 판단에 의해서, 카트리지 유닛(100)의 종류나 약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1회 기준(권장) 분사량(흡입량), 1일 기준(권장) 분무량(흡입량), 기준 분무(흡입) 시간, 기준 분무(흡입) 횟수, 기준 분무 간격 등을 포함하는 기준 흡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식별 정보 각각의 내용(예를 들면, 기준 분무 시간, 기준 분무 횟수 등)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에어로졸 발생 동작 및 중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함에 의해서 에어로졸 발생 동작 및 중지를 제어하므로,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에 의한 현재 흡입량(또는 현재 총 흡입량) 또는 하루마다의 총 흡입량(하루 총 흡입량)을 산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표시부(2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수행에 따른 현재 흡입 정보(현재 흡입 횟수, 현재 흡입 간격, 현재 흡입 시간 등을 포함함)를 산정하여 제 1 및 제 2 약액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에 대한 현재 흡입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각각의 현재 흡입량이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기준 흡입량보다 적은 경우, 표시부(220)를 통하여 흡입량 부족 알람을 표시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전원부(23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부(2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90)는 통신부(260)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판단된 제 1 및 제 2 약액의 종류, 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의 현재 흡입 정보(현재 흡입량, 현재 흡입 횟수, 현재 흡입 간격, 현재 흡입 시간 등) 등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약액 정보를 통신부(260)를 통하여 전자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약액의 잘못된 사용을 막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작동 시, 제 1 또는 제 2 카트리지(100a), (100b) 중에서 분사된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에어로졸 분무 진행 여부(예를 들면, 제 1 약액 분무 진행)를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프로세서(290)는 분무 진행 여부를 표시하고, 입력부(210)로부터 진행 입력을 획득한 이후에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제 1 또는 제 2 분무부(120a), (120b)로 전원을 공급하여 에어로졸 분무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90)는 제1 및 제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에 수용된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종류(예를 들면, 제 1 약액)를 표시부(220)를 통해 나타난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290)는 제 1 및/또는 제 2 약액 사용 정보(흡입 횟수, 제 1 또는 제 2 약액 종류, 용량, 흡입 패턴(흡입 강도, 흡입 빈도, 흡입 간격 등) 등)를 표시부(2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응급 상황을 대비하여,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약액에 대한 잔량 센서(252)의 잔량 감지값과,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1회 기준 흡입량을 비교하여, 잔량 감지값에 대응하는 잔량(제 1 및 제 2 약액 각각의 잔량)이 1회 기준 흡입량과 같거나 기설정된 범위(예를 들면, 1회 기준 흡입량의 ±5% 내의 범위)에 포함된 경우, 1회분 사용량의 남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표시부(220)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세서(290)는 1회 기준 흡입량의 약액의 에어로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1회 기준 전원 크기를 저장하고, 전원부(230)로부터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 잔량이 1회 기준 전원 크기와 같거나 기설정된 범위(예를 들면, 1회 기준 전원 크기의 ±5% 내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1회 기준 전원의 남음을 알리는 표시부(220)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호흡기 본체(200)는 제 1 및 제 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의 제 1 및 제 2 약액의 잔량을 각각 감지하는 잔량 센서(252)를 구비하고, 프로세서(290)는 잔량 센서(252)로부터의 잔량들을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1 및 제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의 잔량에 따라서 카트리지 교체 시기를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1 및 제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약액 부족 시, 부족한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종류를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약액 잔량 부족 또는 흡입량 부족 시 표시부(220)를 통하여 소리나 진동으로 알림 기능(약액 카트리지의 교체 알림, 추가 흡입 알림 등)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90)는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의 진동자들의 진동강도를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제1 및 제2 카트리지(100a), (120b)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독립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 및 전원 크기를 조절하여, 진동 강도를 가변하여 에어로졸의 분무량 또는 이동 속도 등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이러한 제어 내용을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한다. 제 1 및 제 2 분무부(120a), (120b) 각각은 혼 형태의 진동 전달체를 구비하여 진동자의 진동이 진동 전달체를 통하여 전달되어, 제 1 또는 제 2 약액의 에어로졸화를 보다 신속하고 더 강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제 1 또는 제 2 카트리지(100a), (100b)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기능의 수행 이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트리지의 약액의 종류를 표시부(220)를 통하여 표시하고, 입력부(210)를 통하여 분사 입력을 획득하면 제 1 또는 제 2 분무부(120a), (120b)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한다. 만약 분사 입력을 획득하지 않으면, 프로세서(290)는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전원이 공급되어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카트리지나 제 1 및 제 2 약액의 종류를 표시부(220)에 표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카트리지 유닛 200: 흡입기 본체
300: 마우스피스

Claims (19)

  1. 복수의 약액들을 각각 수용하며 복수의 약액들 각각의 종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정보들 각각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식별부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유닛과;
    카트리지 유닛 내의 복수의 약액들 중에 어느 하나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분무시키는 분무 장치와;
    카트리지 유닛과 탈착 가능하며, 복수의 식별부들 각각으로부터의 복수의 식별 정보들을 판독하거나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부와, 판독부로부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분무 장치를 동작 제어하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흡입기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유닛은 복수의 약액들 각각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에 식별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전원 공급 및 잔량 감지 및 흡입 감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전기적 접점부을 구비하고,
    분무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에 형성되며,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에는 흡입기 본체의 전기적 접점부와 연결되는 전기적 접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의 전기적 접점부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의 전기적 접점부들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적 접점부에 선택적으로 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의 전기적 접점부와 복수의 카트리지들의 전기적 접점부들 중의 어느 하나의 선택적 전기 연결은 카트리지 유닛 또는 흡입기 본체 간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6. 제 4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판독부를 제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트리지의 식별부를 판독하여, 판단된 식별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7. 제 2 항에 있어서,
    분무 장치는 흡입기 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복수의 카트리지나 분무 장치에 대응하여 각 약액의 에어로졸이 섞이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배출 경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배출 경로들 각각에 제 1 메쉬가 형성되거나, 분무 장치에 제 2 메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메쉬는 복수의 약액들의 종류에 대응하는 홀 직경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1.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전원부를 제어하여 분무 장치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분무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면서 각 약액의 흡입량, 흡입 횟수를 포함하는 약액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각 약액의 흡입량이 기준 흡입량 미만인 경우, 표시부를 통하여 흡입량 부족 알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는 각 카트리지 내의 약액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 센서를 구비하고,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잔량 센서로부터의 잔량 감지값에 대응하는 잔량이나 잔량 부족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전원부의 배터리 잔량이 1회 기준 전원 크기와 같거나 기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1회 기준 전원의 남음을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약액들 중의 어느 하나의 에어로졸 분무 진행 여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입력부로부터 진행 입력을 획득한 이후에 전원부를 제어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약액의 종류에 따라서 분무 장치의 진동 강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흡입기 본체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는 카트리지의 약액의 종류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19.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카트리지들 각각은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27286A 2022-01-04 2022-03-03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05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44 2022-01-04
KR20220000844 2022-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617A true KR20230105617A (ko) 2023-07-11

Family

ID=87159468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47A KR20230105612A (ko) 2022-01-04 2022-02-10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17448A KR20230105613A (ko) 2022-01-04 2022-02-10 정량 분사 기능을 지닌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17446A KR20230105611A (ko) 2022-01-04 2022-02-10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21222A KR20230106050A (ko) 2022-01-04 2022-02-18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220027286A KR20230105617A (ko) 2022-01-04 2022-03-03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28297A KR20230105618A (ko) 2022-01-04 2022-03-04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28298A KR20230105619A (ko) 2022-01-04 2022-03-04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30634A KR20230105620A (ko) 2022-01-04 2022-03-11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47A KR20230105612A (ko) 2022-01-04 2022-02-10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17448A KR20230105613A (ko) 2022-01-04 2022-02-10 정량 분사 기능을 지닌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17446A KR20230105611A (ko) 2022-01-04 2022-02-10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21222A KR20230106050A (ko) 2022-01-04 2022-02-18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정보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297A KR20230105618A (ko) 2022-01-04 2022-03-04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28298A KR20230105619A (ko) 2022-01-04 2022-03-04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1020220030634A KR20230105620A (ko) 2022-01-04 2022-03-11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202301056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22776A (zh) * 2023-10-27 2023-11-28 深圳市康唯普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注液电子雾化系统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22776A (zh) * 2023-10-27 2023-11-28 深圳市康唯普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注液电子雾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17122776B (zh) * 2023-10-27 2023-12-29 深圳市康唯普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注液电子雾化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613A (ko) 2023-07-11
KR20230106050A (ko) 2023-07-12
KR20230105618A (ko) 2023-07-11
KR20230105619A (ko) 2023-07-11
KR20230105611A (ko) 2023-07-11
KR20230105620A (ko) 2023-07-11
KR20230105612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222B2 (en) Aerosolization system with flow restrictor and feedback device
US20210178088A1 (en) Liquid nebuliz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640809B1 (ko) 에어졸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장치
EP3117858B1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EP2950860B1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US20180021530A1 (en) Aerosolization system with flow restrictor and feedback device
KR20230105617A (ko)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049002A (ko) 호흡을 이용한 에어로졸 흡입기
US11291779B2 (en) Aerosolization device and an aerosol drug delivery device
KR20230136777A (ko) 에어로졸 흡입기
KR102562173B1 (ko) 휴대용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33024A (ko)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34007A (ko)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33025A (ko)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31311A (ko) 인후 케어용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49135A (ko) 복수의 크기 범위들의 에어로졸들을 발생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35347A (ko)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33993A (ko) 구강 위생용 에어로졸 흡입기
KR20220158891A (ko) 약액 카트리지 및 휴대용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20220162959A (ko) 약액 카트리지 및 휴대용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KR20230111092A (ko) 에어로졸 흡입기
KR20220148975A (ko) 약액 카트리지 및 휴대용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