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453A -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 Google Patents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453A
KR20230105453A KR1020220000852A KR20220000852A KR20230105453A KR 20230105453 A KR20230105453 A KR 20230105453A KR 1020220000852 A KR1020220000852 A KR 1020220000852A KR 20220000852 A KR20220000852 A KR 20220000852A KR 20230105453 A KR20230105453 A KR 2023010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ltage
transistor
supply voltage
buff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8596B1 (en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피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델릭스 filed Critical (주)피델릭스
Priority to KR102022000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596B1/en
Publication of KR2023010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5Differential amplifiers of latch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기준 전압 레벨 변동을 저감하는 버퍼 회로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버퍼 회로에서는 동작시에 기준 트랜지스터의 채널과 기준 전압 사이에 비의도적으로 생성되는 기생 캐패시터의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변동 및/또는 그에 따른 영향을 완하하도록 구동되는 완화 캐패시터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퍼 회로에 의하면, 동작 중의 기준 전압 레벨 변동 및/또는 그에 따른 영향이 현저히 저감된다A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ons is disclosed. In the buffe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tigation capacitor driven to mitigate the fluctu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 or the effect thereof due to the coupling noise of the parasitic capacitor unintentionally generated between the channel of the reference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during operation is provided do.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buffe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fluctuations in the reference voltage level during operation and/or effects thereof are remarkably reduced.

Description

기준 전압 레벨 변동을 저감하는 버퍼 회로{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Buffer circuit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on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본 발명은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준 전압 레벨 변동을 저감하는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circuit that reduces a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on.

반도체 장치에서의 버퍼 회로는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회로로서, 모스 형태의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수신 트랜지스터와 기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 buffer circuit in a semiconductor device is a circuit that buffers a reception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and is generally implemented by including a reception transistor formed of a MOS type transistor and a reference transistor.

이때,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는 공통 단자에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 단자는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일정한 전압 레벨로 제어되며, 수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는 상기 수신 신호가 인가되고, 기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기준 전압이 인가된다. At this time,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a common terminal. Also, the common terminal is controlled to a constant voltage level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enable signal, the reception signal is applied to a gate terminal of a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a gate terminal of a reference transistor.

이러한 버퍼 회로는 수신 신호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증폭하여 발생한다.This buffer circuit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with a reference voltage as a reference and amplifying the compared result.

한편, 기준 전압은 해당 버퍼 회로 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치 내의 다른 버퍼 회로들에 대해서도 기준으로 제공되는 전압이다. 그러므로, 버퍼 회로의 동작 중에 기준 전압 레벨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반도체 장치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ference voltage is a voltage provided as a reference for not only the corresponding buffer circuit but also other buffer circuits in the semiconductor device. Therefore, when a change in the reference voltage level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buffer circuit, a malfunc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occur.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중의 기준 전압 레벨 변동를 저감하는 버퍼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ffer circuit that reduces a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on during oper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버퍼 회로는 제1 공급 전압; 제2 공급 전압; 공통 단자; 제1 센싱 단자; 제2 센싱 단자;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공통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1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기준 트랜지스터; 상기 제2 공급 전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여 제1 증폭 단자 및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로 제공하는 센싱 증폭부로서, 상기 제1 증폭 단자와 상기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는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에 대하여 증폭되는 상기 센싱 증폭부; 및 일단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는 완화 캐패시터로서,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의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를 구비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ly voltage; a second supply voltage; common terminal; a first sensing terminal; a second sensing terminal;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common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an enable signal; a receiving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ceived signal; a reference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A sensing amplifi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voltage, sensing and amplify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provid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ying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ying terminal, wherein the first amplifying unit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is amplified with respect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a relaxation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relaxation capacitor for alleviating a change in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ference transisto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로서, 상기 수신 신호에는 연속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들이 로딩되는 상기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버퍼 회로는 대응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2의 k 제곱이며, k는 1이상의 자연수) 서브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며, 각각이 상기 기준 전압에 대한 수신 신호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버퍼링하는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인에이블 신호는 동일한 주기로 2π/n 씩 쉬프트되는 위상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들에 대응하여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는상기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 및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동안에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인에이블 신호를 순서적으로 활성화하는 서브 인에이블 발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 각각은 제1 공급 전압; 제2 공급 전압; 공통 단자; 제1 센싱 단자; 제2 센싱 단자; 자신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공통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1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기준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공급 전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여 제1 증폭 단자 및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로 제공하는 센싱 증폭부로서, 상기 제1 증폭 단자와 상기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는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에 대하여 증폭되는 상기 센싱 증폭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 회로는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예비 신호에 연결되되, 상기 예비 신호는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의 천이에 따라 천이되는 완화 캐패시터로서,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의 천이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의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를 더 구비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wherein the received signal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unit data information continuously provided. Buffer circuit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abl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orresponding first to nth sub-enable signals (where n is 2 to the power of k, and k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for detecting and buffe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oltage, wherein the first to n-th sub-enable signals have phases shifted by 2π/n at the same period, and the plurality of units the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sequentially activated in response to data information; and a sub-enable generator configured to sequentially activate the first through n-th sub-enable signals while the global enable signal is activated. Each of the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may include a first supply voltage; a second supply voltage; common terminal; a first sensing terminal; a second sensing terminal;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common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first through n-th sub-enable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a receiving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ceived signal; a reference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and a sensing amplif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voltage, sensing and amplify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provid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ying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ying terminal, wherein the first and the sensing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amplif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with respect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The buffer circuit is a relaxation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reliminary signal, the preliminary signal transitioning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global enable signal, wherein the transition of the global enable signal The alleviation capacitor for mitigating the change of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is further provid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도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버퍼 회로는 제1 공급 전압; 제2 공급 전압; 공통 단자; 제1 센싱 단자; 제2 센싱 단자;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공통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1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기준 트랜지스터;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제2 공급 전압 사이에 형성되는 센싱 증폭부로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 크기를 비교하여 증폭 신호로 출력하되, 상기 증폭 신호는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른 논리 상태로 제어되는 상기 센싱 증폭부; 및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증폭 신호에 연결되는 완화 캐패시터로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에 따른 상기 수신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의 변화의 차이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를 구비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lso relates to a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ly voltage; a second supply voltage; common terminal; a first sensing terminal; a second sensing terminal;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common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an enable signal; a receiving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ceived signal; a reference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A sensing amplification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which is enabl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nable signal and compares voltage levels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to the sensing amplification unit outputting an amplified signal, wherein the amplified signal is controlled to a logical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voltage levels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a relaxation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change i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voltage level between the input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alleviated. It is provided with the mitigation capacitor for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버퍼 회로에서는 동작시에 기준 트랜지스터의 채널과 기준 전압 사이에 비의도적으로 생성되는 기생 캐패시터의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변동 및/또는 그에 따른 영향을 완하하도록 구동되는 완화 캐패시터가 구비된다. In the buffe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luctu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due to the coupling noise of the parasitic capacitor unintentionally generated between the channel of the reference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during operation and / or driving to mitigate the effect thereof A relaxation capacitor is provid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퍼 회로에 의하면, 동작 중의 기준 전압 레벨 변동 및/또는 그에 따른 영향이 현저히 저감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buffer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fluctuations in the reference voltage level during operation and/or effects thereof are remarkably reduc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커플링 노이즈에 의한 기준 전압 레벨 변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버퍼 회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다수개의 버퍼링부들 중의 하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버퍼 회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주요 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brief description of each figu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reference voltage level variation due to coupling noise.
2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ffect according to the buffer circuit of FIG. 2 .
4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ing units of FIG. 4 as an example.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ffect of the buffer circuit of FIG. 4, and is a diagram showing timing of main signals.
7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된다. 그러나,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And, in understanding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are intended to be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와 함께 < >속에 참조부호가 추가된다. 이때, 이들 구성요소들은 참조부호로 통칭한다. 그리고, 이들을 개별적인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참조부호 뒤에 '< >'가 추가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in <> along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action. At this time, these components are commonly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And, if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individually, '<>' is added after the reference numeral.

본 발명의 내용을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함에 있어서, 개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된다', '접속된다'의 용어의 의미는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속성을 일정 정도 이상 유지한 채로 중간 매개체를 통해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개개의 신호가 '전달된다', '도출된다'등의 용어 역시 직접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신호의 속성을 어느 정도 이상 유지한 채로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의미까지도 모두 포함된다. 기타, 전압 또는 신호가 '가해진다, '인가된다', '입력된다' 등의 용어도, 명세서 전반에 걸쳐 모두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In describi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ed', and 'connected'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mean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properties to a certain degree or more. It includes everything that is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while maintaining it. Terms such as 'transferred' and 'derived' of individual signals also include not only direct meanings, but also indirect meanings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while maintaining the properties of signals to some extent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applied', 'applied', 'input' of a voltage or signal are also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same meaning.

또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복수의 표현도 생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스위치나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구성일지라도 '스위치들', '신호선들'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고, '스위치', '신호선'과 같이 단수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는 스위치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하는 경우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단독으로 동작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며, 신호선 또한 동일한 속성을 가지는 여러 신호선들, 예컨대 데이터 신호들과 같이 다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이를 굳이 단수와 복수로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이러한 기재는 타당하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표현들 역시 명세서 전반에 걸쳐 모두 이와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xpressions for each component may be omitted. For example, even a configura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or a plurality of signal lines may be expressed as 'switches' or 'signal lines', or may be expressed as a singular word such as 'switch' or 'signal line'. This is because the switches sometimes operat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sometimes operate independently, and when a signal line is made of a bundle, such as several signal lines having the same property, for example, data signals, It is also because there is no need to differentiate in plural. In this respect, these descriptions are justified. Accordingly, similar expressions should also be interpreted in the same sens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앞서,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 변동이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된다.Prior to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erence voltage variation according to coupling nois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기준 트랜지스터(1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SUB)상에 형성되는 2개의 접합들(11, 13), 게이트 단자(15)으로 구성되며, 기판(SUB)과 게이트 단자(15) 사이에는 게이트 산화막(17)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ference transistor 10 implemented as a MOS transistor is composed of two junctions 11 and 13 formed on the substrate SUB and a gate terminal 15, and the substrate SUB ) and the gate terminal 15, a gate oxide film 17 is formed.

이러한 기준 트랜지스터(10)에서, 게이트 단자(15)에는 기준 전압(VREF)에 의해 상기 2개의 접합들(11, 13)을 연결하는 채널층(1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단자(15)와 상기 채널층(19) 사이에는 상기 게이트 산화막(17)은 유전층으로 하는 비의도적인 기생 캐패시터(Cpar)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상기 채널층(19)에 커플링된다.In the reference transistor 10 , a channel layer 19 connecting the two junctions 11 and 13 by a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formed on the gate terminal 15 . In addition, an unintentional parasitic capacitor Cpar in which the gate oxide film 17 is a dielectr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ate terminal 15 and the channel layer 19,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applied to the channel layer ( 19) coupled to

그리고, 상기 기준 전압(VREF)은 반도체 장치의 내부에 구현되는 기준 전압 발생기(20)로부터 제공된다. Also,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provided from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20 implemented inside the semiconductor device.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20)는 저항 스트링(21)과 스위칭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저항 스트링(21)은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저항들(R1 내지 R4)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저항 스트링(21)에 의하여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다수개의 분압 전압들(VDV<1> 내지 VDV<5>)들이 형성된다.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20 is composed of a resistance string 21 and a switching unit 22. The resistor string 21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4 formed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a ground voltage VSS. A plurality of divided voltages VDV<1> to VDV<5> having voltage levels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ground voltage VSS are formed by the resistance string 21 .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22)는 상기 다수개의 분압 전압들(VDV<1> 내지 VDV<5>)에 대응하며, 대응하는 선택 신호들(RSEL<1> 내지 RSEL<5>)에 게이팅되는 다수개의 기준 스위칭 트랜지스터들(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Further, the switching unit 22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divided voltages VDV<1> to VDV<5>, and gate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selection signals RSEL<1> to RSEL<5>. It includes two reference switching transistors 22<1> to 22<5>.

이에 따라, 기준 선택 코드에 따라 선택 신호들(RSEL<1> 내지 RSEL<5>) 중의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면, 대응하는 상기 다수개의 분압 전압들(VDV<1> 내지 VDV<5>)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기준 전압(VREF)로 제공된다.Accordingly, when any one of the selection signals RSEL<1> to RSEL<5>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selection code, one of the corresponding divided voltages VDV<1> to VDV<5> One is provided as the reference voltage VREF.

한편, 상기 채널층(19)의 전압 레벨은 2개의 접합들(11, 13)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Meanwhile, the voltage level of the channel layer 19 may be changed by the intensity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two junctions 11 and 13 .

그런데,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20)에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캐패시터가 미구비되거나, 구비되더라도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20)의 동작 속도를 고려하여 매우 작은 캐패시턴스를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20 does not have a storage capacitor for storing the reference voltage VREF, or even if provided, has a very small capaci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speed of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or 20. it is common

이 경우, 상기 기생 캐패시터(Cpar)로 인하여, 기준 전압(VREF)은 상기 채널층(19)에 커플링된다. 이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은 상기 채널층(19)의 전압 레벨의 변화에 따라 상당한 크기로 변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coupled to the channel layer 19 due to the parasitic capacitor Cpar. Accordingly,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change considerab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oltage level of the channel layer 19 .

즉, 기준 트랜지스터(10)에서는,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 변동이 발생될 수 있다.That is, in the reference transistor 10, a reference voltage fluctuation may occur due to coupling nois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XIN)를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수신 신호(XIN)에는 연속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DA)들이 로딩될 수 있으며(도 3 참조), 도 2의 버퍼 회로는 데이터 입력 버퍼 회로로 사용될 수 있다. 2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ffering a received signal XIN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VREF. At this time, the received signal XIN may be loaded with a plurality of unit data information DAs continuously provided (see FIG. 3), and the buffer circuit of FIG. 2 may be used as a data input buffer circuit.

도 2의 버퍼 회로는 제1 공급 전압(VPW1), 제2 공급 전압(VPW1), 공통 단자(NCOM), 제1 센싱 단자(NSEN1), 제2 센싱 단자(NSEN2),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110), 수신 트랜지스터(130), 기준 트랜지스터(140) 및 센싱 증폭부(150)를 구비한다.The buffer circuit of FIG. 2 includes a first supply voltage VPW1, a second supply voltage VPW1, a common terminal NCOM, a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110 ), a receiving transistor 130, a reference transistor 140, and a sensing amplifier 150.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전원 전압(VDD)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접지 전압(VSS)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the ground voltage VSS.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110)는 인에이블 신호(ENB)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전압(VDD)과 상기 공통 단자(NCOM)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110)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110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common terminal NCOM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nable signal ENB. In the embodiment of FIG. 2 ,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110 is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이에 따라, 상기 공통 단자(NCOM)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L"로의 활성화시에 접지 전압(VSS)에서 전원 전압(VDD)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H"로의 비활성화시, 상기 공통 단자(NCOM)는 전원 전압(VDD)에서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된다.Accordingly, the common terminal NCOM is controlled from the ground voltage VS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activated to “L”. Also,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deactivated at “H”, the common terminal NCOM is controll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ground voltage VSS.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는 상기 공통 단자(NCOM)와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XIN)에 의하여 게이팅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는 상기 공통 단자(NCOM)와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게이팅된다.The receiving transistor 130 is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NCOM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is gated by the receiving signal XIN.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NCOM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d is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VREF.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 각각은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 each of the receiving transistor 1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이러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의 채널층의 전압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L"로의 활성화시에 접지 전압(VSS) 쪽에서 전원 전압(VDD) 쪽으로 제어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H"로의 비활성화시에 전원 전압(VDD) 쪽에서 접지 전압(VSS) 쪽으로 제어된다.The voltage of the channel layer of the receiving transistor 1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controlled from the ground voltage VS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activated to “L”. , is controll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side to the ground voltage VSS side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inactivated to “H”.

상기 센싱 증폭부(150)는 접지 전압(VSS)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여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제2 증폭 단자(NAMP2)로 제공한다. The sensing amplifica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VSS, and senses and amplifie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to generate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It is provided by 2 amplification terminals (NAMP2).

그리고, 상기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상기 제2 증폭 단자(NAMP2)의 전압차는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차에 대하여 증폭된다.Als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NAMP2 is amplified with respect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한편,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는 각각 상기 수신 신호(XIN)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턴온되어 채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 신호(XIN)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의 채널층에 커플링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ceiving transistor 1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may be turned on by the receiving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respectively, to form a channel layer. In this case, the reception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coupled to channel layers of the reception transistor 1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

이때, 상기 수신 신호(XIN)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부터 제공되므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의 채널층에 의한 커플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전압 레벨을 가진다.At this time, since the reception signal XIN is provided from an external system, etc., it has a relatively stable voltage level despite coupling by the channel layer of the reception transistor 130 .

반면에,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의 채널층에 커플링되어, 상당한 크기로 레벨 변동이 발생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도 3의 t11, t12 참조).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coupled to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a significant level change may occur (see t11 and t12 of FIG. 3).

이와 같은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 변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도 2의 버퍼 회로는 완화 캐패시터(160)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reduce such 'reference voltage variation according to coupling noise', the buffer circuit of FIG. 2 further includes a relaxation capacitor 160.

상기 완화 캐패시터(160)는 일단이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160)에 의하여,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의 동작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변동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완화된다. The relaxation capacitor 16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ENB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largely alleviated by the relaxation capacitor 160 as shown in FIG. 3 .

이때, 상기 완화 캐패시터(160)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relaxation capacitor 16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ENB in common. .

그리고, 상기 완화 캐패시터(160)는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와 동일한 사이즈로 구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상기 완화 캐패시터(160)의 캐패시턴스와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의 채널층에 의한 커플링 노이즈는 효과적으로 상쇄된다.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relaxation capacitor 160 has the same size as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 In this case, since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capacitance of the relaxation capacitor 160, coupling noise caused by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effectively canceled.

물론, 상기 완화 캐패시터(160)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앤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 경우에도,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 변동'이 크게 저감된다.Of course, the relaxation capacitor 160 may be implemented as an NMOS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ENB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ven in this case, 'reference voltage variation due to coupling noise' is greatly reduced.

그리고, 도 2에서, 래치부(170)는 상기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상기 제2 증폭 단자(NAMP2)의 전압을 증폭 래치하여 출력 신호(XOUT)로 발생한다. 이때, 상기 출력 신호(XOUT)는 CMOS 레벨로 스윙되며, 상기 단위 데이터 정보(DA)의 값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데이터값을 가진다.Also, in FIG. 2 , the latch unit 170 amplifies and latches the voltages of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NAMP2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XOUT. 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XOUT swings to a CMOS level and has a data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value of the unit data information DA.

도 2의 모스 트랜지스터들(181 내지 184)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비활성화시에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 상기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상기 제2 증폭 단자(NAMP2)를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한다.The MOS transistors 181 to 184 of FIG. 2 include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 the first amplifying terminal NAMP1 and NAMP1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inactivate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NAMP2 is controlled by the ground voltage VSS.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전원 전압(VDD)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접지 전압(VSS)인 것으로 도시되고 기술되었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shown and described as the ground voltage VSS.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접지 전압(VSS)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전원 접압(VDD)인 실시예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 경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110),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1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140) 각각은 앤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는 "H"의 논리 상태에서 활성화된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ground voltage VSS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In this cas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110, the receiving transistor 1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140 is implemented as an NMOS type transistor. Also, the enable signal ENB is activated in a logic state of “H”.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제2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the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XIN)를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수신 신호(XIN)에는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와 함께 연속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DA)들이 로딩될 수 있으며(도 6 참조), 도 4의 버퍼 회로는 데이터 입력 버퍼 회로로 사용될 수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ffering the received signal XIN based on the reference voltage VREF. At this time, the received signal XIN may be loaded with a plurality of unit data information DAs continuously provided together with the sub enable signal SENB (see FIG. 6 ), and the buffer circuit of FIG. 4 is a data input buffer. can be used as a circuit.

도 4의 버퍼 회로는 다수개의 버퍼링부(300)들 및 서브 인에이블 발생부(400)를 구비한다. 이때, 버퍼링부(300)의 갯수는 n개이다. 여기서, n은 2의 k 제곱이며, k는 1이상의 자연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n은 '4'로 가정되어, 제1 내지 제4 버퍼링부(300<1> 내지 300<4>)가 구비된다.The buffer circuit of FIG. 4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ing units 300 and a sub-enable generator 400 . At this time, the number of buffering units 300 is n. Here, n is 2 to the power of k, and k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n is '4', and first to fourth buffering units 300<1> to 300<4> are provided.

상기 제1 내지 제4 버퍼링부(300<1> 내지 300<4>) 각각은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버퍼링부(300<1> 내지 300<4>) 각각은 인에이블 시에 기준 전압(VREF)에 대한 수신 신호(XIN)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버퍼링한다.Each of the first to fourth buffering units 300<1> to 300<4> is enabl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orresponding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do. Also, when enabled, each of the first to fourth buffering units 300<1> to 300<4> senses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XI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buffers the received signal XIN.

상기 제1 내지 제4 버퍼링부(300<1> 내지 300<4>)는 유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buffering units 300<1> to 300<4> may be implemented in a similar configuration.

도 5는 도 4의 다수개의 버퍼링부(300) 중의 하나 즉, 제i 버퍼링부(300<i>)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i는 1 내지 4인 정수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of the plurality of buffering units 300 of FIG. 4, that is, the ith buffering unit 300<i>. Here, i is an integer from 1 to 4.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i 버퍼링부(300<i>)는 제1 공급 전압(VPW1), 제2 공급 전압(VPW1), 공통 단자(NCOM), 제1 센싱 단자(NSEN1), 제2 센싱 단자(NSEN2),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310), 수신 트랜지스터(330), 기준 트랜지스터(340) 및 센싱 증폭부(35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i-th buffering unit 300<i> includes a first supply voltage VPW1, a second supply voltage VPW1, a common terminal NCOM, a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a second supply voltage VPW1. A sensing terminal NSEN2 ,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310 , a receiving transistor 330 , a reference transistor 340 and a sensing amplifier 350 are provided.

도 5의 상기 제i 버퍼링부(300<i>)에서,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전원 전압(VDD)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접지 전압(VSS)이다.In the i-th buffering unit 300<i> of FIG. 5 ,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the ground voltage VSS.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310)는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전압(VDD)과 상기 공통 단자(NCOM)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5의 상기 제i 버퍼링부(300<i>)에서,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310)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310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common terminal NCOM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i-th sub enable signal SENB<i>. In the i-th buffering unit 300<i> of FIG. 5 ,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310 is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이에 따라,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L"로의 활성화시, 상기 공통 단자(NCOM)는 접지 전압(VSS)에서 전원 전압(VDD)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H"로의 비활성화시, 상기 공통 단자(NCOM)는 전원 전압(VDD)에서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된다.Accordingly, when the i-th sub-enable signal SENB<i> is activated to “L”, the common terminal NCOM is controlled from the ground voltage VS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lso, when the ith sub-enable signal SENB<i> is deactivated to “H”, the common terminal NCOM is controll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ground voltage VSS.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는 상기 공통 단자(NCOM)와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XIN)에 의하여 게이팅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는 상기 공통 단자(NCOM)와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게이팅된다.The receiving transistor 330 is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NCOM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is gated by the receiving signal XIN.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is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NCOM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d is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VREF.

도 5의 상기 제i 버퍼링부(300<i>)에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 각각은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In the i-th buffering unit 300<i> of FIG. 5 , each of the receiving transistor 3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is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이러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의 채널층의 전압은,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L"로의 활성화시에 접지 전압(VSS) 쪽에서 전원 전압(VDD) 쪽으로 제어되며,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H"로의 비활성화시에 전원 전압(VDD) 쪽에서 접지 전압(VSS) 쪽으로 제어된다.The voltage of the channel layer of the receiving transistor 3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is the power supply voltage at the side of the ground voltage VSS when the ith sub-enable signal SENB<i> is activated to “L”. (VDD), and is controll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ground voltage VSS when the ith sub-enable signal SENB<i> is deactivated to “H”.

상기 센싱 증폭부(350)는 접지 전압(VSS)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여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제2 증폭 단자(NAMP2)로 제공한다. The sensing amplification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VSS, senses and amplifie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d generates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It is provided by 2 amplification terminals (NAMP2).

그리고, 상기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상기 제2 증폭 단자(NAMP2)의 전압차는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차에 대하여 증폭된다.Als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NAMP2 is amplified with respect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도 5에서, 래치부(370)는 상기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상기 제2 증폭 단자(NAMP2)의 전압을 증폭 래치하여 출력 신호(XOUT<i>)로 발생한다. 이때, 상기 출력 신호(XOUT<i>)는 CMOS 레벨로 스윙된다.In FIG. 5 , the latch unit 370 amplifies and latches the voltages of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NAMP2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XOUT<i>. 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XOUT<i> swings to the CMOS level.

그리고, 도 5의 모스 트랜지스터들(381 내지 384)는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비활성화시에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 상기 제1 증폭 단자(NAMP1) 및 상기 제2 증폭 단자(NAMP2)를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한다.Also, the MOS transistors 381 to 384 of FIG. 5 provide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 and the The first amplification terminal NAMP1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NAMP2 are controlled by the ground voltage VSS.

도 5의 상기 제i 버퍼링부(300<i>)에서,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전원 전압(VDD)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접지 전압(VSS)인 것으로 도시되고 기술되었다.In the i-th buffering unit 300<i> of FIG. 5 ,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a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a ground voltage VSS. has been described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접지 전압(VSS)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전원 접압(VDD)인 실시예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 경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310),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 각각은 앤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는 "H"의 논리 상태에서 활성화된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ground voltage VSS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In this cas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310, the receiving transistor 3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is implemented as an NMOS type transistor. Also, the i-th sub enable signal SENB<i> is activated in a logic state of “H”.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인에이블 발생부(400)는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의 활성화 동안에 데이터 스토브 신호(DQS)를 이용하여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는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는 상기 수신 신호(XIN)에 연속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DA)들에 대응하여 순서적으로 활성화된다.Referring back to FIG. 4 , while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is activated, the sub-enable generator 400 sequentially activates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using the data stove signal DQS. (SENB<1> to SENB<4>). That is, 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are sequential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unit data information DAs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received signal XIN. Activa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는 활성화시에 "H"의 논리 상태를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has a logic state of “H” when activated.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는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2π/4 씩 쉬프트되는 위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와 상기 제3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3>)는 서로 상반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와 상기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4>)는 서로 상반된 위상을 가진다(도 6 참조).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have the same period and phase shifted by 2π/4. As a result, the first sub-enable signal SENB<1> and the third sub-enable signal SENB<3> have phas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ub-enable signal SENB<1> and the fourth sub-enable signal (SENB<4>) have phases opposite to each other (see FIG. 6).

이러한 상기 서브 인에이블 발생부(400)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된다.Since the sub-enable generation unit 400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simplification of description.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는 완화 캐패시터(500)를 더 구비한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buffer circu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laxation capacitor 500 .

상기 완화 캐패시터(500)는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예비 신호(XPRE)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예비 신호(XPRE)는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의 천이에 따라 천이되는 신호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의 반전 신호이다.The relaxation capacitor 5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signal XPRE. Here, the preliminary signal XPRE is a signal that transitions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and is preferably an inverted signal of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이어서, 도 4의 버퍼 회로에서,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이 저감됨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한다.Next, in the buffer circuit of FIG. 4 , 'level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due to coupling noise' is reduced, referring to FIG. 6 .

도 6에는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와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의 타이밍이 함께 도시된다.6 shows timings of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and 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가 "L"의 비활성화 상태일 때,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는 모두 "H"로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is in an inactive state of “L”, all of 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are “H”. remain disabled.

그리고,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가 "H"의 활성화로 천이되는 인에이블 시작 시점(t_st)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및 SENB<2>)는 "H"의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3> 및 SENB<4>)는 "L"의 상태를 천이된다.At an enable start time point t_st when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transitions to activation of “H”, the first and second sub-enable signals SENB<1> and SENB<2> are The state of “H” is maintained, and the state of “L” is transitioned to by the third and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3> and SENB<4>.

즉, 상기 인에이블 시작 시점(t_st)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 중 절반은 이전과 동일한 논리 상태를 유지하며, 나머지 절반은 "H"의 논리상태에서 "L"의 논리 상태로 천이된다.That is, at the enable start time point t_st, half of 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maintain the same logic state as before, and the other half maintains "H" transitions from the logic state of " to the logic state of "L".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는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의 활성화되고 일정한 예비 시간(T_pr)이 경과한 후에 순서적으로 활성화된다.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are sequentially activated after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is activated and a predetermined preliminary time T_pr elapses.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가 시점 t21에서 활성화되고, 상기 제2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2>)가 시점 t22에서 활성화되고, 상기 제3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3>)가 시점 t23에서 활성화되며, 상기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4>)가 시점 t24에서 활성화된다.Specifically, the first sub-enable signal SENB<1> is activated at time t21, the second sub-enable signal SENB<2> is activated at time t22, and the third sub-enable signal SENB<2> is activated. SENB<3> is activated at time t23, and the fourth sub-enable signal SENB<4> is activated at time t24.

그리고,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가 "L"의 비활성화로 천이되는 인에이블 종료 시점(t_fn)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및 SENB<2>)는 "H"의 상태로 천이되며, 상기 제3 및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3> 및 SENB<4>)는 "H"의 상태를 유지한다.At the enable end time point t_fn when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transitions to inactivation of “L”, the first and second sub-enable signals SENB<1> and SENB<2> are State transitions to "H", and the third and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3> and SENB<4> maintain the "H" state.

즉, 상기 인에이블 종료 시점(t_fn)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 중 절반은 이전과 동일한 논리 상태를 유지하며, 나머지 절반은 "L"의 논리상태에서 "H"의 논리 상태로 천이된다.That is, at the enable end time point t_fn, half of 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maintain the same logic state as before, and the other half maintains "L" transitions from the logic state of " to the logic state of "H".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는 각각 상기 수신 신호(XIN)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턴온되어 채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 신호(XIN)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의 채널층에 커플링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again, the receiving transistor 3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are turned on by the receiving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respectively, so that a channel layer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reception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coupled to channel layers of the reception transistor 3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

이때, 상기 수신 신호(XIN)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부터 제공되므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330)의 채널층에 의한 커플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전압 레벨을 가진다.At this time, since the reception signal XIN is provided from an external system or the like, it has a relatively stable voltage level despite coupling by the channel layer of the reception transistor 330 .

반면에,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340)의 채널층에 커플링되어, 상당한 크기로 레벨 변동이 발생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coupled to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340, a significant level change may occur.

다시 기술하자면, 상기 제i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i>)의 천이 시점에서, 상기 제i 버퍼링부(300<i>)에 의한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변동'이 발생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t the transition point of the ith sub-enable signal SENB<i>, 'variation in the reference voltage due to coupling noise' may occur by the ith buffering unit 300<i>. there is.

그런데, 도 6의 상기 시점(t21) 내지 상기 시점(t24) 각각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1> 내지 SENB<4>) 중 2개의 신호는 동일한 논리 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1개의 신호는 "H"의 논리 상태에서 "L"의 논리상태로 천이되며, 또 다른 1개의 신호는 "L"의 논리 상태에서 "H"의 논리상태로 천이된다.However, at each of the time points t21 to t24 of FIG. 6 , two signals among the first to fourth sub-enable signals SENB<1> to SENB<4> maintain the same logic state. The other signal transitions from the logic state of "H" to the logic state of "L", and the other signal transitions from the logic state of "L" to the logic state of "H".

즉, "H"의 논리 상태에서 "L"의 논리상태로 천이되는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의 수와 "L"의 논리 상태에서 "H"의 논리상태로 천이되는 서브 인에이블 신호(SENB)의 수는 동일하다.That is, the number of sub-enable signals SENB transitioning from the logic state of “H” to the logic state of “L” and the number of sub-enable signals SENB transitioning from the logic state of “L” to the logic state of “H” ) is the same.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버퍼링부(300<1> 내지 300<4>) 전체의 관점에서, 기준 전압에 대한 커플링 노이즈는 상쇄되고, 이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은 거의 그대로 유지된다.Accordingly, from the viewpoint of the entirety of the first to fourth buffering units 300<1> to 300<4>, coupling nois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oltage is canceled, and thus,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substantially It stays the same.

하지만,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가 "H"의 활성화로 천이되는 인에이블 시작 시점(t_st)과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GEN)가 "L"의 비활성화로 천이되는 인에이블 종료 시점(t_fn)에서는,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변동'이 크게 발생된다.However, the enable start time t_st at which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transitions to activation of “H” and the enable end time t_fn at which the global enable signal GEN transitions to inactivation of “L” ),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coupling noise' is greatly generated.

이와 같은 인에이블 시작 시점(t_st)과 인에이블 종료 시점(t_fn)에서의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변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도 4의 버퍼 회로는 완화 캐패시터(500)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reduce the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due to coupling noise' at the enable start time (t_st) and the enable end time (t_fn), the buffer circuit of FIG. 4 further includes a relaxation capacitor 500. .

상기 완화 캐패시터(500)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예비 신호(XPRE)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axation capacitor 50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signal XPRE.

물론, 상기 완화 캐패시터(560)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예비 신호(XPRE)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앤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 경우에도, 인에이블 시작 시점(t_st)과 인에이블 종료 시점(t_fn)에서의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변동'은 크게 저감된다.Of course, i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relaxation capacitor 560 may be implemented as an N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signal XPRE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self-evident to Even in this case, 'variation in the reference voltage due to coupling noise' at the enable start time point (t_st) and the enable end time point (t_fn) is greatly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제3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XIN)를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수신 신호(XIN)는 어드레스 신호, 커맨드 신호 등일 수 있으며, 도 7의 버퍼 회로는 어드레스 신호, 커맨드 신호를 버퍼링하는 어드레스 버퍼, 커맨드 버퍼 회로로 사용될 수 있다. 7 is a diagram showing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ffering the received signal XIN based on the reference voltage VREF. In this case, the received signal XIN may be an address signal, a command signal, and the like, and the buffer circuit of FIG. 7 may be used as an address buffer and a command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the address signal and command signal.

도 7의 버퍼 회로는 제1 공급 전압(VPW1), 제2 공급 전압(VPW1), 공통 단자(NCOM), 제1 센싱 단자(NSEN1), 제2 센싱 단자(NSEN2),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610), 수신 트랜지스터(630), 기준 트랜지스터(640) 및 센싱 증폭부(650)를 구비한다.The buffer circuit of FIG. 7 includes a first supply voltage VPW1, a second supply voltage VPW1, a common terminal NCOM, a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610 ), a receiving transistor 630, a reference transistor 640, and a sensing amplifier 650.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전원 전압(VDD)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접지 전압(VSS)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the ground voltage VSS.

도 7의 버퍼 회로는 인에이블 신호(ENB)의 활성화에 따라 인에이블된다.The buffer circuit of FIG. 7 is enabl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enable signal ENB.

구체적으로,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610)는 인에이블 신호(ENB)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전원 전압(VDD)과 상기 공통 단자(NCOM)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610)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Specifically,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610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common terminal NCOM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enable signal ENB. 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610 is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이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L"로의 활성화시, 상기 공통 단자(NCOM)는 접지 전압(VSS)에서 전원 전압(VDD)으로 제어된다.Accordingly,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activated to “L”, the common terminal NCOM is controlled from the ground voltage VS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630)는 상기 공통 단자(NCOM)와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XIN)에 의하여 게이팅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는 상기 공통 단자(NCOM)와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게이팅된다.The receiving transistor 630 is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NCOM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is gated by the receiving signal XIN.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s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NCOM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d is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VREF.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6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 각각은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 each of the receiving transistor 6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s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이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REF)보다 낮으면,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는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보다 높은 전압 레벨을 가진다.Accordingly, when the volta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has a higher voltage level than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반면에,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REF)보다 높으면,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는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has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상기 센싱 증폭부(650)는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활성화시에 인에이블된다. The sensing amplifier 650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ground voltage VSS, and is enabled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activated.

상기 센싱 증폭부(650)는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 크기를 비교하여 증폭 신호(XAMP)로 발생한다. 즉, 상기 증폭 신호(XAMP)는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른 논리 상태를 가진다.The sensing amplifier 650 compares voltage levels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to generate an amplification signal XAMP. That is, the amplified signal XAMP has a logic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REF)보다 높아지면,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의 전압이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보다 낮아지고, 상기 증폭 신호(XAMP)는 전원 전압(VDD)쪽에서 접지 전압(VSS)쪽으로 제어된다.Specifically, when the volta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voltag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is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d the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is controll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ground voltage VSS.

반면에,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REF)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의 전압이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의 전압보다 높아지고, 상기 증폭 신호(XAMP)는 접지 전압(VSS)쪽에서 전원 전압(VDD)쪽으로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voltage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becomes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and the amplification signal ( XAMP) is controlled from the ground voltage (VSS) side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side.

한편,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6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는 각각 상기 수신 신호(XIN)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턴온되어 채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 신호(XIN) 및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6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의 채널층에 커플링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ceiving transistor 6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may be turned on by the receiving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respectively, to form a channel layer. In this case, the reception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be coupled to channel layers of the reception transistor 6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

이때,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은 상기 수신 신호(XIN)의 변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예를 들어,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보다 높아진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그러면, 상기 공통 노드(NCOM)의 전압은 낮아지게 되고,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의 채널층의 전압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도 낮아지게 된다.Then, the voltage of the common node NCOM is lowered, the voltage of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s lowered, and accordingly,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also lowered.

또한,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보다낮아지면, 상기 공통 노드(NCOM)의 전압은 높아지게 되고,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의 채널층의 전압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도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voltage of the common node NCOM increases and the voltage of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ncreases, Accordingly,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lso increases.

이와 같은 상기 수신 신호(XIN)의 변화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 변동은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사용하는 다른 버퍼 회로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The level change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causes performance degradation of other buffer circuits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REF.

이와 같은 '커플링 노이즈에 따른 기준 전압의 레벨 변동의 영향' 즉, 상기 수신 신호(XIN)의 변화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 변동을 완화하기하기 위하여, 도 7의 버퍼 회로는 완화 캐패시터(660)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mitigate the 'influence of the level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due to coupling noise', that is, the level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the buffer circuit of FIG. A capacitor 660 is further provided.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는 일단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증폭 신호(XAMP)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에 의하여, 상기 수신 신호(XIN)의 변화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 변동이 완화된다.The relaxation capacitor 66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A level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ceived signal XIN is alleviated by the mitigation capacitor 660 .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보다 높아지면,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의 채널층의 레벨이 높아지고,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도 높아질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XIN become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level of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ncreases, and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lso increases. can rise

하지만,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의 다른 일단에 인가되는 상기 증폭 신호(XAMP)가 전원 전압(VDD)쪽에서 접지 전압(VSS)쪽으로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의 증가폭은 감소되며,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사용하는 다른 버퍼 회로의 성능 저하가 완화된다.However,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laxation capacitor 660 is controll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ground voltage VSS. Accordingly, the level of increase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reduced, a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other buffer circuits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mitigated.

또한, 상기 수신 신호(XIN)의 전압 레벨이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의 채널층의 레벨이 낮아지고,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도 낮아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level of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may decrease, and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may also decrease. there will be

하지만,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의 다른 일단에 인가되는 상기 증폭 신호(XAMP)가 접지 전압(VSS)쪽에서 전원 전압(VDD)쪽으로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의 하강폭은 감소되며,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사용하는 다른 버퍼 회로의 성능 저하가 완화된다However,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laxation capacitor 660 is controlled from the ground voltage VSS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ccordingly, the drop width of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reduced, a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other buffer circuits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mitigated.

결과적으로,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에 의하여, 상기 수신 신호(XIN)의 변화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레벨 변동이 완화된다.As a result, the level vari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received signal XIN is alleviated by the relaxation capacitor 660 .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증폭 신호(XAMP)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axation capacitor 66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P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그리고, 상기 증폭 신호(XAMP)는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를 스윙하는 반면에,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의 채널층은 상대적으로 작은 레벨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는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에 대해 작은 사이즈로 구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lso, while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swings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ground voltage VSS, the channel layer of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s changed to a relatively small level.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relaxation capacitor 660 be implement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

그리고, 상기 완화 캐패시터(660)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증폭 신호(XAMP)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앤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수신 신호(XIN)와 상기 기준 전압(VREF)의 변화의 차이가 크게 저감된다.Also, i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relaxation capacitor 660 may be implemented as an N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self-evident to Even in this ca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XIN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greatly reduced.

그리고, 도 7에서, 인버터(670)는 상기 증폭 신호(XAMP)를 반전하여 출력 신호(XOUT)로 발생한다.And, in FIG. 7 , the inverter 670 inverts the amplification signal XAMP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XOUT.

도 7의 저항들(681 내지 682)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의 비활성화시에 상기 제1 센싱 단자(NSEN1)와 상기 제2 센싱 단자(NSEN2)를 접지 전압(VSS)으로 제어한다.Resistors 681 to 682 of FIG. 7 control the first sensing terminal NSEN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NSEN2 to a ground voltage VSS when the enable signal ENB is inactivated.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전원 전압(VDD)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접지 전압(VSS)인 것으로 도시되고 기술되었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shown and described as the ground voltage VSS.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제1 공급 전압(VPW1)은 접지 전압(VSS)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VPW2)은 전원 접압(VDD)인 실시예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이 경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610),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630)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640) 각각은 앤모스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는 "H"의 논리 상태에서 활성화된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supply voltage VPW1 is the ground voltage VSS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VPW2 i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In this cas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610, the receiving transistor 630,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640 is implemented as an NMOS type transistor. Also, the enable signal ENB is activated in a logic state of “H”.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는, 인에이블 신호에 게이팅되는 인에이블 트랜지스터가 공통 단자와 전원 전압 사이에 형성되는 피모스로 구현되고, 수신 신호 및 기준 전압에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및 기준 트랜지스터도 피모스로 구현되는 피모스형 버퍼 회로가 중심적으로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For example, in this specification, an enable transistor gated on an enable signal is implemented as a PMOS formed between a common terminal and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receive transistor and a reference transistor gated on a received signal and a reference voltage are also PMOS. The implemented PMOS-type buffer circuit has been centrally shown and described.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인에이블 신호에 게이팅되는 인에이블 트랜지스터가 공통 단자와 전원 전압 사이에 형성되는 앤모스로 구현되고, 수신 신호 및 기준 전압에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및 기준 트랜지스터도 앤모스로 구현되는 앤모스형 버퍼 회로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n enable transistor gated on an enable signal is implemented as an NMOS formed between a common terminal and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receive transistor and a reference transistor gated on a receive signal and a reference voltage are also NMO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e implemented NMOS type buffer circui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Claims (15)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에 있어서,
제1 공급 전압;
제2 공급 전압;
공통 단자;
제1 센싱 단자;
제2 센싱 단자;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공통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1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기준 트랜지스터;
상기 제2 공급 전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여 제1 증폭 단자 및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로 제공하는 센싱 증폭부로서, 상기 제1 증폭 단자와 상기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는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에 대하여 증폭되는 상기 센싱 증폭부; 및
일단이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는 완화 캐패시터로서,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의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A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a first supply voltage;
a second supply voltage;
common terminal;
a first sensing terminal;
a second sensing terminal;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common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an enable signal;
a receiving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ceived signal;
a reference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A sensing amplifi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voltage, sensing and amplify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provid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ying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ying terminal, wherein the first amplifying unit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is amplified with respect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a buff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buffer for mitigating a change in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ference transistor.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전압은 전원 전압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은 접지 전압이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각각은
피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ly voltage is a power supply voltage,
the second supply voltage is a ground voltag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MOS type transis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캐패시터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laxation capacitor
A buffer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buffer circuit is a P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in comm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캐패시터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앤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laxation capacitor
Buffer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buffer circuit is an N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in comm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전압은 접지 전압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은 전원 전압이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각각은
앤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ly voltage is a ground voltage;
The second supply voltage is a power supply voltag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NMOS type transistor.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로서, 상기 수신 신호에는 연속으로 제공되는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들이 로딩되는 상기 버퍼 회로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2의 k 제곱이며, k는 1이상의 자연수) 서브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며, 각각이 상기 기준 전압에 대한 수신 신호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버퍼링하는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인에이블 신호는 동일한 주기로 2π/n 씩 쉬프트되는 위상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단위 데이터 정보들에 대응하여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는상기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 및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동안에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인에이블 신호를 순서적으로 활성화하는 서브 인에이블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 각각은
제1 공급 전압;
제2 공급 전압;
공통 단자;
제1 센싱 단자;
제2 센싱 단자;
자신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n 서브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공통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1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기준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공급 전압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여 제1 증폭 단자 및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로 제공하는 센싱 증폭부로서, 상기 제1 증폭 단자와 상기 제2 증폭 단자의 전압차는 상기 제1 센싱 단자 및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차에 대하여 증폭되는 상기 센싱 증폭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퍼 회로는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예비 신호에 연결되되, 상기 예비 신호는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의 천이에 따라 천이되는 완화 캐패시터로서, 상기 글로벌 인에이블 신호의 천이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의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A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wherein the received signal is loaded with a plurality of unit data information continuously provided,
Enabl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orresponding first to nth sub-enable signals (where n is 2 to the power of k, and k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each controlling the voltag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oltage 1st to nth buffering units for detecting and buffering, wherein the first to nth sub-enable signals have phases shifted by 2π/n in the same cycle, and are sequentially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plurality of unit data information The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and
a sub-enable generator for sequentially activating the first through n-th sub-enable signals while the global enable signal is activated;
Each of the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is
a first supply voltage;
a second supply voltage;
common terminal;
a first sensing terminal;
a second sensing terminal;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common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first through n-th sub-enable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a receiving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ceived signal;
a reference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and
A sensing amplifi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voltage, sensing and amplify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provid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mplifying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ying terminal, wherein the first amplifying unit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erminal is amplified with respect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The buffer circui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preliminary signal, wherein the preliminary signal is a relaxation capacitor that transitions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global enable signal, and the transi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he global enable signal The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alleviation capacitor for alleviating the ch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 각각의
상기 제1 공급 전압은 전원 전압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은 접지 전압이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각각은
피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The first supply voltage is a power supply voltage,
the second supply voltage is a ground voltag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MOS type transis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캐패시터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예비 신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laxation capacitor is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a P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signal in comm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캐패시터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예비 신호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앤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laxation capacitor is
Buffer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buffer circuit is an NMOS 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signal and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in comm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버퍼링부 각각의
상기 제1 공급 전압은 접지 전압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은 전원 전압이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각각은
앤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n-th buffering units
the first supply voltage is a ground voltage;
The second supply voltage is a power supply voltag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NMOS type transistor.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회로에 있어서,
제1 공급 전압;
제2 공급 전압;
공통 단자;
제1 센싱 단자;
제2 센싱 단자;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공통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1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신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수신 트랜지스터;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 전압에 의하여 게이팅되는 기준 트랜지스터;
상기 제1 공급 전압과 상기 제2 공급 전압 사이에 형성되는 센싱 증폭부로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어,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 크기를 비교하여 증폭 신호로 출력하되, 상기 증폭 신호는 상기 제1 센싱 단자와 상기 제2 센싱 단자의 전압 크기의 비교 결과에 따른 논리 상태로 제어되는 상기 센싱 증폭부; 및
일단이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증폭 신호에 연결되는 완화 캐패시터로서, 상기 수신 신호의 변화에 따른 상기 기준 전압의 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상기 완화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A buffer circuit for buffering a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a first supply voltage;
a second supply voltage;
common terminal;
a first sensing terminal;
a second sensing terminal;
an enable switching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common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an enable signal;
a receiving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ceived signal;
a reference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gated by the reference voltage;
A sensing amplification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second supply voltage, which is enabl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nable signal and compares voltage levels of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to the sensing amplification unit outputting an amplified signal, wherein the amplified signal is controlled to a logical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voltage levels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and
A buffer circuit comprising a relaxation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the relaxation capacitor for mitigating a change in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ceived signal.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전압은 전원 전압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은 접지 전압이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각각은
피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버퍼 회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supply voltage is a power supply voltage,
the second supply voltage is a ground voltag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MOS type transis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캐패시터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상기 증폭 신호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현되는 피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laxation capaci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a PMOS-type transistor having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in common, and implement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reference transis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캐패시터는
게이트 단자가 상기 상기 증폭 신호에 연결되고, 소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상기 기준 전압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현되는 앤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laxation capacitor
Buffer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signal, the source terminal and the drain terminal are connected in common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is an NMOS type transistor implemented in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transis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전압은 접지 전압이고,
상기 제2 공급 전압은 전원 전압이며,
상기 인에이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트랜지스터 각각은
앤모스형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회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supply voltage is a ground voltage;
The second supply voltage is a power supply voltage,
Each of the enable switching transistor, the receiving transistor,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A buffer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NMOS type transistor.
KR1020220000852A 2022-01-04 2022-01-04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KR102568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52A KR102568596B1 (en) 2022-01-04 2022-01-04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52A KR102568596B1 (en) 2022-01-04 2022-01-04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53A true KR20230105453A (en) 2023-07-11
KR102568596B1 KR102568596B1 (en) 2023-08-21

Family

ID=8715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852A KR102568596B1 (en) 2022-01-04 2022-01-04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5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415A (en) * 1996-05-14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Delay circuit
JP2005117547A (en) * 2003-10-10 2005-04-28 Fujitsu Ltd Operational amplifier, line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174085A (en) * 2011-02-23 2012-09-10 Fujitsu Semiconductor Ltd Reference voltage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415A (en) * 1996-05-14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Delay circuit
JP2005117547A (en) * 2003-10-10 2005-04-28 Fujitsu Ltd Operational amplifier, line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174085A (en) * 2011-02-23 2012-09-10 Fujitsu Semiconductor Ltd Reference voltage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596B1 (en)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444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qualizing circuit equalizing pair of bit lines
US8385137B2 (en) Termin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378854B1 (en) Sense amplifier circuit and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20230370060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US5880624A (en) Constant potential genera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US20140152380A1 (en)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cancel noise in bias line to which bias current flows
US7279955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8942053B2 (en) Generating and amplifying differential signals
US7573290B2 (en) Data output driver for reducing noise
KR102568596B1 (en) Buffer circuit for reducing reference voltage level fluctuating
KR20090066480A (en) Circuit for providing an operation voltage of a sense amplifi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722579B1 (en) Semiconductor device
US6940315B2 (en) High speed sense amplifier for memory output
US7599243B2 (en) Sense amplifier over driv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nse amplifier of semiconductor device
US20090066310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with controlled enable pulse width
US8259514B2 (en) Sense amplifier and method of sensing data using the same
US10083726B2 (en) In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106686B2 (en) Integrated circuit
JPH06132747A (en) Semiconductor device
US8552762B2 (en) Low-power wire-or matching circuit
US8284618B2 (en) Data input device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90123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JP3504126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H09190693A (en) Semiconductor memory
KR20180013086A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