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129A -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5129A KR20230105129A KR1020220000314A KR20220000314A KR20230105129A KR 20230105129 A KR20230105129 A KR 20230105129A KR 1020220000314 A KR1020220000314 A KR 1020220000314A KR 20220000314 A KR20220000314 A KR 20220000314A KR 20230105129 A KR20230105129 A KR 202301051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device
- display module
- holder
- cover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8 plas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화면 표시 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전면 커버부 및 케이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와, 장착 바디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화면 표시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며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시청자와 마주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직접 자신을 촬영하여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춤 연습 또는 운동을 할 때 실시간으로 자신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에 직접 카메라를 내장하여 설치하면, 사생활 침해 및 보안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카메라 설치 시 발생하는 비용 증가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장치의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 장치를 지지물에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될 때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연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화면 표시 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와, 상기 장착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전면 커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홀더의 후면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홀더가 상기 장착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바디는 상기 전면 커버부와 상기 후면 커버부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부의 하단부는 상기 후면 커버부의 하단부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접촉되는 후면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접촉부의 중심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부는 상기 후면 접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후면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접촉부는 상기 후면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접촉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면 표시 영역에 접촉되는 전면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부는 상기 전면 접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전면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접촉부의 중심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접촉부는 상기 장착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전면 커버부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커버부의 후면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접촉부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홀더에 장착될 때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될 때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되었음을 인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전면 접촉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후면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와,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장착 바디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 바디와 상기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접촉부의 중심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착 바디의 상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거치장치는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 상기 장착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및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표시 영역에 지지되는 장착 바디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여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치장치가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모바일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될 때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장착된 홀더가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홀더에 대해 모바일 장치가 다른 위치에서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홀더가 장착 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모바일 장치와 다른 모바일 장치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거치장치에서 제2 고정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 및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모바일 장치와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장착된 홀더가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홀더에 대해 모바일 장치가 다른 위치에서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홀더가 장착 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모바일 장치와 다른 모바일 장치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거치장치에서 제2 고정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 및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모바일 장치와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종인 TV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구성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TV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종으로 컴퓨터의 출력장치인 모니터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에서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일례로 설명하나, 본 개시의 구성은 곡면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가 가변 가능한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 크기에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전방', 전면'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화상을 표시하는 측인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를 기준으로 '상측', '하측'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측과 아래측을 나타내며 '양측, '측방'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지지장치(200) 및 거치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거치장치(1000)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하여 전면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는 화면 표시 영역(S)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 표시 영역(S)에는 복수의 픽셀(pixel)이 형성되며, 화면 표시 영역(S)에 표시되는 화면은 복수의 픽셀로부터 출사된 광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셀이 방출하는 광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화면 표시 영역(S) 상에 하나의 화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 각각은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픽셀 각각은 서브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서브 픽셀들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서브 픽셀,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광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픽셀 각각은 다양한 밝기와 다양한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종류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주입되어 전압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가변하는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의 내측에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향하여 빛을 방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 패널과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전송하는 케이블(미도시)과,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직접 회로(Display Driver Intergrated Circuit, DDI)(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수용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등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내지 측면을 지지하는 탑 섀시(121),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미도시) 및 바텀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을 지지하는 리어 커버(122,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는 경우, 바텀 섀시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탑 섀시(121)와 바텀 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 몰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들 몰드는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존의 탑 섀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젤(bezel) 부분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젤의 폭을 최소화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 외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최소화하는 베젤리스(bezel-less)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상술한 베젤리스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케이스(120)는 베젤 부분이 매우 좁거나 없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은 대부분이 화면 표시 영역(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탑 섀시(12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LCD 패널일 수도 있으나, OLED 패널과 같이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케이스(120)는 미들 몰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젤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탑 섀시(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베젤이 매우 좁거나 없는 베젤리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모듈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가로 변의 길이와 세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장변과 단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과 단변의 비율은 16:9, 4:3과 같은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임의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결합된 지지장치(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지지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장치(200)는 케이스(120)의 후방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장치(200)는 리어 커버(122)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지지장치(200)에 결합됨에 따라 바닥면 상에 자립(自立)할 수 있다. 즉, 지지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stan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벽면에 장착시키는 월마운트(wall-mount) 타입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외부 기기의 일종으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도 2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22a, 도 2 참조)과 단변(22b,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모바일 본체(22,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본체(22)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 도 2 참조)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는 렌즈(L1, L2, 도 2 및 도 6 참조)를 포함하여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모바일 장치(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비해 가볍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는 스마트폰 외에도, 디지털 카메라(미도시)일 수도 있다.
최근 모바일 장치(2)의 보급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 장치(2)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장치(2)에서 표시되는 영상 및 소리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출력하는 미러링(mirroring)이나 모바일 장치(2)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만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출력하는 캐스팅(casting)이 대표적이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어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 도 2 참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홀더(120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0)는 거치장치(10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홀더(1200)에 장착된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22a)이 바닥면과 나란한 각도, 즉 가로 모드로 배치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22b)이 바닥면과 나란한 각도, 즉 세로 모드로 배치할 수도 있다. 거치장치(10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장착된 홀더가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는 거치장치(100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거치장치(1000)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 즉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이를 수용하는 모바일 본체(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은 모바일 본체(22)의 전방에 배치되어 모바일 장치(2)의 전방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은 모바일 장치(2)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은 OLED 패널과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LCD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한 내용과 같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1)은 터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바일 장치(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종류의 기기일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2)는 모바일 장치(2)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 렌즈(L1) 또는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 렌즈(L2, 도 6)를 포함하여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모바일 장치(2)는 전면 렌즈(L1)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을 향하도록 거치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바일 장치(2)는 후면 렌즈(L2)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을 향하도록 거치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가 전면 렌즈(L1)가 전방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때, 모바일 장치(2)는 전면 렌즈(L1)에 의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렌즈(L1)에 의해 촬영되는 대상물의 모습이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촬영되는 대상물의 모습을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는 후면 렌즈(L2)가 전방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수 있으며, 후면 렌즈(L2)에 의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가 렌즈(L1, L2)를 포함하여 카메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별도의 카메라를 내장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하여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가로 변과 세로 변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본체(22)는 장변(22a)과 단변(22b)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를 사용할 때, 장변(22a)이 사용자의 시선에 대해 상하 방향에 나란하고, 단변(22b)이 사용자의 시선에 대해 좌우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사용방법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모바일 장치(2)가 단변(22b)이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2)가 상하 방향으로 바로 선 상태라고 볼 수 있고, 이를 세로 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와 같이 모바일 장치(2)가 장변(22b)이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2)가 좌우 방향으로 누운 상태라고 볼 수 있고, 이를 가로 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라는 지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러한 명명에 의해 본 개시의 구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장치(2)는 거치장치(1000)의 홀더(1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홀더(1200)는 장착 바디(11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모바일 장치(2)를 가로 모드로 배치하거나 세로 모드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사진이나 영상 등 화면의 규격에 따라 모바일 장치(2)를 가로 모드로 배치하거나 세로 모드로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때, 원하는 촬영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2)를 가로 모드로 배치하거나, 세로 모드로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를 가로 모드의 위치와 세로 모드의 위치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즉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지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장치(2)는 이와 달리 가로 변과 세로 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모바일 장치(2)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장치(1000)는 화면 표시 영역(S) 및 케이스(120)의 후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케이스(120)의 후면이란, 리어 커버(122)의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에 지지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상부의 적어도 일부 및 리어 커버(122)의 후면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부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거치장치(10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부나 하부에 장착되는 경우, 거치장치(1000)는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면을 가압하여 장착되는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장치(1000)의 장착 바디(110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집게(미도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가압한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면을 가압하는 정도를 저감하되,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1100), 모바일 장치(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및 후면에 지지되어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장치(10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거치될 때,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즉 화면 표시 영역(S) 및 케이스(120)의 후면에 지지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화면 표시 영역(S) 및 케이스(120)의 후면에 지지됨에 따라,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 및 케이스(12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화면 표시 영역(S)에 의해 지지되는 전면 커버부(1110) 및 케이스(12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후면 커버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전면 커버부(11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후면 커버부(112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지지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전면 커버부(1110)와 후면 커버부(1120)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 커버 연결부(1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전면 커버부(1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후면 커버부(1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커버하고, 커버 연결부(1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을 커버하여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전면 커버부(1110)는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커버부(1110)는 커버 연결부(1130)의 전방 측 일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전면 커버부(1110)의 상단은 커버 연결부(1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커버부(1110)는 화면 표시 영역(S)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면 커버부(1110) 및 커버 연결부(1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연결부(1130)는 전면 커버부(1110)의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커버부(1110)의 상단은 전면 커버부(1110)와 커버 연결부(1130)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120)는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120)가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전면 커버부(1110)가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커버부(1120)는 커버 연결부(1130)의 후방 측 일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후면 커버부(1120)의 상단은 커버 연결부(1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 커버부(1120)는 케이스(120)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면 커버부(1120) 및 커버 연결부(1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연결부(1130)는 후면 커버부(1120)의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임의의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 커버부(1120)의 상단은 후면 커버부(1120)와 커버 연결부(1130)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130)는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연결부(1130)는 커버 연결부(1130)에 대해 전면 커버부(1110)와 후면 커버부(11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휘어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130)가 커버하는 케이스(120)의 일면에서 바라 볼 때 커버 연결부(1130)는 오목하게 휜 형상을 가지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에서 바라 볼 때 커버 연결부(1130)는 볼록하게 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연결부(1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커버 연결부(1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 중 적어도 다른 일부와는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 연결부(1130)와 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의 일부는 화면 표시 영역(S)과 인접한 부분 또는 리어 커버(122)와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커버 연결부(1130)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커버 연결부(1130)는 케이스(120)의 상단, 도 2 내지 도 4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을 이루는 탑 섀시(12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커버부(1110), 후면 커버부(1120) 및 이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1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 바디(1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바디(1100)는 각 구성이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커버 연결부(1130)가 전면 커버부(111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고, 후면 커버부(1130)는 커버 연결부(1130)의 전면 커버부(1110) 측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연결부(1130)를 기준으로, 전면 커버부(1110)가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후면 커버부(1120)가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나란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즉,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때 전체적으로 화면 표시 영역(S)의 일부와 케이스(120)의 상단 및 후면 각각의 일부를 감싸며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 커버부(1110)는 화면 표시 영역(S)에 접촉되는 전면 접촉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접촉부(1111)는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었을 때 화면 표시 영역(S)과 마주하는 전면 커버부(1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접촉부(1111)는 전면 커버부(1110)의 후면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는 전면 커버부(1110)의 중심부보다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접촉부(1111)는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접촉부(1111)가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돌기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면 접촉부(1111)와 화면 표시 영역(S)이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접촉부(1111)로부터 화면 표시 영역(S)이 받게 되는 압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면 접촉부(1111)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접촉부(1111)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접촉부(1111)는 고무, 스펀지 등의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접촉부(1111)로부터 화면 표시 영역(S)이 받는 압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면 접촉부(1111)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120)는 케이스(120)의 후면, 즉 리어 커버(122)에 접촉되는 후면 접촉부(1121,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케이스(120)의 후면과 마주하는 후면 커버부(112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후면 커버부(1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후면 커버부(1120)의 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면 접촉부(1121)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케이스(120)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후면 접촉부(1121)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케이스(12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면 접촉부(112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접촉부(1121)는 전면 접촉부(1111)와 같이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후면 커버부(1120)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면 접촉부(1121)는 후면 커버부(1120)의 다른 부분과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후면 커버부(1120)의 후면에는 후면 홈(1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어 커버(122)와 마주하는 후면 커버부(1120)의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에는 후면 홈(1120a)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홈(1120a)은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홈(1120a)은 후면 접촉부(1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후면 홈(1120a)은 후면 접촉부(1121)가 가지는 돌출되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면 홈(1120a)은 후면 커버부(1120) 상에 후면 접촉부(1121)를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홈(1120a)은 후면 접촉부(112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출 상의 이유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플라스틱 수지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바디(1100)는 플라스틱 수지 소재를 포함하여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커버부(1110), 후면 커버부(1120) 및 커버 연결부(1130)는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면 접촉부(1121) 또한 위 구성들과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 바디(1100)는 금속 소재 등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일체로 사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홀더(1200)는 모바일 장치(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는 장착 바디(1100)에 연결되며, 모바일 장치(2)를 장착시켜 모바일 장치(2)가 거치장치(100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는 연결부재(1300)에 의해 장착 바디(1100)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1200)는 모바일 장치(2)가 장착되고 고정될 수 있는 홀더 바디(12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1210) 내측에는 연장부재(1215), 연결부재(13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홀더 바디(1210)에 모바일 장치(2)가 고정된다는 뜻은, 모바일 장치(2)가 홀더 바디(12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었을 때 홀더 바디(121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는 뜻이며, 모바일 장치(2)가 절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장치(2)는 홀더 바디(1210)에 대해 고정될 뿐이고, 예를 들어 홀더 바디(1210)가 장착 바디(1100)에 대해 회전할 경우 모바일 장치(2) 또한 장착 바디(1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홀더(1200)는 모바일 장치(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211) 및 모바일 장치(2)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1212, 12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200)의 홀더 바디(1210)에는 모바일 장치(2)가 장착될 때 안착부(1211)는 모바일 장치(2)의 전면 내지 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모바일 장치(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12, 1213)은 모바일 장치(2)의 양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모바일 장치(2)를 홀더 바디(1210)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212, 1213)는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를 포함하며,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모바일 장치(2)의 양단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2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가 홀더 바디(1210)에 장착될 때 모바일 장치(2)의 전후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211)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를 홀더(1200)에 장착하는 방법에 따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본체(22)의 후면과 마주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과 마주할 수도 있다.
안착부(1211)의 모바일 장치(2)와 마주하는 면에는 안착부 커버(1211a, 도 5)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 커버(1211a)는 홀더 바디(1210)의 체결부(1214)를 커버하여 외관 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착부 커버(1211a)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하여 모바일 장치(2)가 안착부(1211)에 안착될 때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안착부 커버(1211a)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안착부(1211)에는 안착부 커버(1211a)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고정부(1212)는 안착부(12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212)는 안착부(121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안착부(1211)의 일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212)에는 제1 모바일 접촉부(1212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접촉부(1212a)는 모바일 장치(2)의 일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의 일단을 가압하여 모바일 장치(2)가 홀더 바디(12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접촉부(1212a)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바일 접촉부(1212a)에 의해 모바일 장치(2)가 가압되더라도 모바일 장치(2), 특히 모바일 본체(22)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모바일 접촉부(1212a)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는 안착부(121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1213)는 안착부(121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안착부(1211)의 제1 고정부(1212)와 반대되는 일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에는 제2 모바일 접촉부(1213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모바일 접촉부(1213a)는 모바일 장치(2)의 제1 모바일 접촉부(1212a)가 접촉되는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의 일단을 가압하여 모바일 장치(2)가 홀더 바디(12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모바일 접촉부(1213a)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바일 접촉부(1213a)에 의해 모바일 장치(2)가 가압되더라도 모바일 장치(2), 특히 모바일 본체(22)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모바일 접촉부(1213a)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212)와 제2 고정부(1213)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안착부(1211)로부터 각각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는 각각 모바일 장치(2)의 양단을 가압하여 모바일 장치(2)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212)는 안착부(1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는 안착부(1211)와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연장부재(1215, 도 8 참조)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211)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고정부(1212)가 안착부(12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 고정부(1213)가 안착부(1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 모두가 안착부(1211)로부터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반대로 모두가 안착부(1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1200)는 홀더 바디(1230)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커버(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바디(1210)의 내측에 연장부재(1215) 등 각종 부품이 배치됨에 따라, 홀더 바디(1210)의 후방을 커버하는 후방 커버(1220)를 홀더 바디(1210)와 별도로 제조한 후 홀더 바디(1210)에 후방 커버(122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홀더(12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후방 커버(1220)는 제1 고정부(1212)의 상면 및 안착부(1211)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방 커버(1220)는 홀더 바디(12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1200)는 장착 바디(1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200)는 연결부재(1300, 도 5 참조)에 의해 장착 바디(1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0)는 홀더(1200)가 장착 바디(1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었을 때, 홀더(1200)는 화면 표시 영역(S)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홀더(1200)는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었을 때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가 연결부재(1300)에 의해 장착 바디(1100)에 연결되는 경우 연결부재(1300)는 장착 바디(110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홀더(1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홀더(1200)가 화면 표시 영역(S)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가 화면 표시 영역(S)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홀더(1200)에 장착된 모바일 장치(2)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터치하더라도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모바일 장치가 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홀더에 대해 모바일 장치가 다른 위치에서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X선은, 홀더(1200)의 중심부를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X선은 홀더(1200)의 중심부를 지나며, 디스플레이 장치(1) 내지 바닥면에 대해 나란한 선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Y선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을 지나는 선을 의미한다. Y선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을 지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에 대해 나란한 선을 의미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 및 홀더(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홀더(1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종래에 개시된 모바일 장치(2)를 지지물에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미도시)는 지지물에 장착되며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거치장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집게를 이용하여 지지물에 장착되거나, 양면 테이프 또는 마그넷 등을 이용하여 지지물에 장착될 수 있었다. 또는, 종래의 거치장치는 지지물에 설치된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이용하여 지지물에 장착될 수도 있었다.
종래의 경우처럼 거치장치가 집게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는 경우, 집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후면을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베젤이 매우 좁거나 없는 베젤리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모듈인 경우, 집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가압하게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거치장치가 양면 테이프 또는 마그넷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는 화면 표시 영역(S)이 마련되므로 양면 테이프 또는 마그넷이 접하는 위치는 케이스(120)의 후면 또는 측면이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거치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된 모바일 장치(2)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터치하는 경우 거치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별도의 브라켓 등 구조물을 설치하여 거치장치를 지지하는 경우, 거치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조 공정이 필요하게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외관 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마그넷을 이용하여 거치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시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거치장치(1000)는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화면 표시 영역(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장치(1000)는 전방으로는 화면 표시 영역(S)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으로는 케이스(120)의 후면, 즉 리어 커버(122)에 의해 지지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거치장치(1000)는 화면 표시 영역(S)을 가압하는 정도를 저감시켜 화면 표시 영역(S)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0)가 화면 표시 영역(S)에 의해 지지되는 이상 전면 커버부(1110)가 화면 표시 영역(S)에 압력을 전혀 가하지 않기는 어려울 것이나, 적어도 종래의 거치장치와 같이 집게 등의 토션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화면 표시 영역(S)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화면 표시 영역(S)이 전면 커버부(1110)로부터 전달 받는 압력은 홀더(1200) 및 모바일 장치(2)의 중력에 의한 돌림힘(토크, torque) 및 사용자가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를 터치할 때 가하는 힘 등에 의해 기인하는 압력 정도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는 가져야 함은 물론, 장착된 거치장치(100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는 화면 표시 영역(S)은 사용자에게 영상 등을 제공하도록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거치장치(1000)는 전면 커버부(1110) 및 홀더(1200)에 의해 화면 표시 영역(S)의 일부를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가 거치장치(1000)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부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바디(1100)는 전면 커버부(1110)를 포함하여 화면 표시 영역(S)에 지지되므로,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부나 하부에 장착되려면 모바일(2) 및 거치장치(10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압력으로 화면 표시 영역(S)을 가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면 표시 영역(S)은 전면 커버부(1110)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장착 바디(1100)가 화면 표시 영역(S)에 가하는 압력을 저감시키되,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1110) 및 후면 커버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부(1110)는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전면 접촉부(1111)를 포함하여 화면 표시 영역(S)에 접촉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120)는 케이스(12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후면 접촉부(1121)를 포함하여 케이스(12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전면 커버부(1110) 및 후면 커버부(1120)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1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 연결부(1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접촉부(1111)는 화면 표시 영역(S)과 마주하는 전면 커버부(1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케이스(120)의 후면과 마주하는 후면 커버부(1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120)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부(1110)는 전면 접촉부(1111)와 더불어 전면 이격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이격부(1112)는 전면 접촉부(1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 및 모바일 장치(2)의 하중에 의해 화면 표시 영역(S)에 전달되는 압력은 전면 커버부(1110)의 하부와 인접한 영역을 위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접촉부(1110)가 전면 커버부(1110)의 상하 방향 전체를 커버하지 않고, 전면 커버부(1110)의 상부에는 전면 이격부(1112)를 배치하더라도 장착 바디(1100)가 화면 표시 영역(S)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이격부(1112) 부분에 해당하는 만큼 전면 접촉부(1110)가 마련되지 않아 장착 바디(11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베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커버부(1110)가 전면 이격부(1112)을 포함함에 따라 거치장치(1000)가 베젤에 방해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120)는 후면 접촉부(1121)와 더불어 후면 이격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이격부(1122)는 후면 접촉부(11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케이스(120)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 및 모바일 장치(2)가 장착 바디(1100)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된 거치장치(1000) 및 이에 장착된 모바일 장치(2)의 전체 무게중심은 거치장치(10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면 커버부(1120)는 케이스(120)의 후면을 향해 전방으로 다소 휘어질 수 있다. 이 때 후면 커버부(1120)가 후면 이격부(1122)를 포함함에 따라, 후면 커버부(1120)가 휘어질 때 케이스(120)의 후면에 닿거나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 커버부(1110)의 하단부는 후면 커버부(1120)의 하단부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전면 커버부(1110)는 후면 커버부(112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 커버부(1110)는 후면 커버부(1120)에 비해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홀더(1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표시 영역(S)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모바일 장치(2) 또한 화면 표시 영역(S)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면 표시 영역(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1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장착 바디(1100) 및 홀더(12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300)는 전면 커버부(1110) 및 전면 커버부(1110)와 마주하는 홀더(1200)의 후면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전면 커버부(1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장착 바디(1100)와 홀더(12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전면 커버부(1110) 및 홀더(1200)의 후면의 중심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홀더(1200)의 중심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X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결부재(1300)는 홀더(1200)의 후면의 중심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300)는 전면 홀더(1200)의 후면의 상부 또는 홀더(1200)의 후면의 하부를 전면 커버부(1110)에 연결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1300)는 홀더(1200)가 장착 바디(1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예로 들면, 홀더(1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가 가로 모드로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고, 연결부재(1300)에 의해 회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가 세로 모드로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면 접촉부(1111)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1200)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전면 접촉부(1111)의 적어도 일부는 X선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0)가 X선 상에 위치할 때, 전면 접촉부(1111)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재(130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는 홀더(1200)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0)가 X선 상에 위치할 때,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는 연결부재(130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는 홀더(1200)의 중심부와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나 그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는 적어도 X선 상에 위치하거나, X선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면 접촉부(1111)는 화면 표시 영역(S)에 접촉되며 홀더(1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1200) 및 모바일 장치(2)의 하중에 의해 화면 표시 영역(S)에 전달되는 압력은 전면 커버부(1110)의 하부와 인접한 영역을 위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전면 접촉부(1111)가 전면 커버부(1110)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홀더(1200) 및 장착 바디(1100)는 화면 표시 영역(S)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접촉부(1111)가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거나, 고무 또는 스폰지 등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라면 홀더(1200) 및 장착 바디(1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면서 화면 표시 영역(S)에 전달되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 홀더(1200)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더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더(1200)는 중심부가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홀더(1200)가 화면 표시 영역(S)을 과하게 가리게 될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함에 있어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가 홀더(1200)의 중심부보다 아래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할 때 느끼는 불편함을 줄이면서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다만 홀더(1200)의 중심부가 전면 접촉부(1111)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배치된다고 하여, 홀더(1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상방에 배치될 정도로 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접촉부(1121)는 후면 커버부(1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접촉부(1121)는 후면 커버부(1120)의 하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 접촉부(1121) 상부에 마련되는 후면 커버부(1120)의 일부는 케이스(120)의 후면과 이격되는 후면 이격부(1122)일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는 적어도 일부가 홀더(1200)의 중심부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후면 접촉부(1121)의 적어도 일부는 X선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0)가 X선 상에 위치할 때, 후면 접촉부(1121)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재(1300)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는 홀더(1200)의 중심부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0)가 X선 상에 위치할 때,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는 연결부재(1300)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는 홀더(1200)의 중심부와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나 그 이상의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는 적어도 X선 상에 위치하거나, X선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후면 접촉부(1121)는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용이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120)가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경우 장착 바디(1100)는 케이스(120)의 후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는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거치장치(100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 또는 분리할 때 다소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부(1120)는 케이스(120)의 후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한도에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가 홀더(1200)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후면 커버부(1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가 홀더(1200)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배치됨에 따라 장착 바디(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터치하는 등 조작행위를 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힘이 모바일 장치(2)에 가해지는 평균적인 위치는 모바일 장치(2) 및 홀더(1200)의 중심부, 즉 X선 상인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의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홀더(1200)의 중심부가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거치장치(1000)는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받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돌림힘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를 강하게 밀 경우 거치장치(10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홀더(1200)의 중심부가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보다 하방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거치장치(1000)는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받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돌림힘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를 강하게 밀더라도 거치장치(1000)는 전면 접촉부(1111)를 통해 화면 표시 장치(S)에 지지될 수 있으며, 여전히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00)가 전면 커버부(1110)로부터 연장되어 홀더(120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경우, 즉 연결부재(1300)가 X선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전술한 전면 접촉부(1111), 후면 접촉부(1121)와 홀더(1200)의 중심부 간의 각각의 관계는 전면 접촉부(1111), 후면 접촉부(1121)와 연결부재(1300) 간의 관계에 대응되어 설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는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홀더(120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를 홀더(1200)에 장착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를 도 6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장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는 단변(22b)이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때, 즉 세로 모드일 때 모바일 장치(2)의 하단과 홀더(1200)의 하단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가 세로 모드에 있을 때 모바일 장치(2)에 의해 화면 표시 영역(S)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2)를 홀더(1200)에 도 7과 같이 장착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경우, 도 6의 경우처럼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해 모바일 장치(2)의 무게중심이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터치하면,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홀더(1200)는 모바일 장치(2)가 단변(22b)이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홀더(1200)에 장착될 때 모바일 장치(2)의 무게중심이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의 무게중심이 모바일 장치(2)의 중심부와 인접하게 위치한다고 전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200)는 모바일 장치(2)가 세로 모드로 위치할 때 모바일 장치(2)의 중심부가 Y선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었을 때 홀더(1200)의 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모바일 장치(2)의 장변(22a)의 길이의 절반보다 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홀더(120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그 규격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홀더(1200)는 특정 모바일 장치(2)에 대해서는 상기의 특징을 만족할 수 있으나, 동시에 다른 특정 모바일 장치(2)에 대해서는 상기의 특징을 만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가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일부 구성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홀더가 장착 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홀더(1200)는 홀더 바디(1210) 및 이를 커버하는 후방 커버(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1210)는 내측에 연장부재(1215), 홀더(1200)의 연결부(1216) 및 연결부재(1300)가 수용될 수 있다. 홀더 바디(1210)의 후방에는 연장부재(1215), 홀더(1200)의 연결부(1216) 및 연결부재(1300)가 수용된 공간이 커버될 수 있도록 후방 커버(1220)가 결합될 수 있다.
후방 커버(1220)는 후방 커버(1220)의 체결부(1222), 홀더(1200)의 연결부(1216)의 체결부(1216b) 및 홀더 바디(1210)의 체결부(1214)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홀더 바디(121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예를 들어 스크류(screw)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방 커버(1220)가 홀더 바디(1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후방 커버(1220)는 연결부재(1300)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관통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관통부(1221)는 개구를 포함하여, 연결부재(1300)의 제1 회전부재(1310)는 연결 관통부(1221)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재(1310)는 연결 관통부(1221)를 관통하여 제2 회전부재(1320) 및 전면 커버부(1110)의 연결부(111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관통부(1221)의 개구는 제1 회전부재(1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 회전부재(1310)가 연결 관통부(1221)를 통해 홀더(1200)로부터 분리되어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홀더(1200)는 체결 커버(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커버(1230)는 후방 커버(1220)의 후방에 결합되며, 후방 커버(1220)의 체결부(1222)를 커버하여 외관 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방 커버(1220)의 후방에는 체결 커버(1230)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홀더(1200) 및 장착 바디(1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장착 바디(1100)의 전방 및 홀더(1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00)는 홀더(1200)의 후면의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즉 도 5 및 도 6의 X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부재(1300)는 홀더(1200)가 장착 바디(1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0)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된 모바일 장치(2)를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 사이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볼 조인트(ball joint) 타입일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홀더(1200)의 연결부(1216) 및 장착 바디(1100)의 연결부(1113)를 연결시킬 수 있다. 홀더(1200)의 연결부(1216)는 홀더 바디(12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 바디(1100)의 연결부는 전면 커버부(1110)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0)는 제1 회전부재(1310) 및 제2 회전부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310)는 구(sphere)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20)는 제1 회전부재(1310)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홈(1321)이 형성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하며, 홀더(1200)의 연결부(1216)의 회전부(121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넥(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의 연결부(1113)는 전면 커버부(1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하며, 연결부(111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310)는 장착 바디(1100)의 연결부(1113)가 삽입되며 돌출부(1113a)가 치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홈(1311)을 포함하여, 장착 바디(1100)의 연결부(111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1320)의 회전홈(1321)은 제1 회전부재(13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으며, 곡면을 포함하여 제1 회전부재(132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1320)의 넥(1322)는 홀더(1200)의 연결부(1216)에 마련되는 회전부(1216a)에 삽입될 수 있다. 넥(1322)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회전부(1216a)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제2 회전부재(1320)가 홀더(1200)의 연결부(121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0)는 제1 회전부재(1310)를 포함하여 장착 바디(1100)에 대해 복수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홀더(1200)는 장착 바디(1100)와 결합되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도 11 참조),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될 수도 있다(도 10 참조).
이에 더불어, 홀더(1200)는 제2 회전부재(1320)를 더 포함하여 장착 바디(1100)와 결합되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도 11 참조).
다만 상기 구성들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거치장치(1000)의 일례에 불과하며, 거치장치(100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장치(1000)는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된 홀더(1200), 장착 바디(1100) 및 연결부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모바일 장치와 다른 모바일 장치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거치장치에서 제2 고정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홀더(12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2)보다 큰 모바일 장치(3)가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3)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2)의 단변(22b)보다 긴 길이의 단변(32b)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모바일 장치(3)의 장변(32a) 또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2)의 장변(32a)보다 길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200)는 연장부재(1215)를 포함하여,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는 제2 고정부(1213)의 후방을 커버하는 제2 고정부 커버(1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가 안착부(1211) 및 제1 고정부(1212)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후방 커버(1220)는 안착부(1211) 및 제1 고정부(1212)를 커버하고, 제2 고정부 커버(1213b)가 제2 고정부(12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연장부재(1215)는 홀더 바디(12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재(1215)는 홀더 바디(1210)의 내측에서 홀더 바디(1215)와 제2 고정부(121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는 연장부재(1215)에 연결되어 홀더 바디(1210)로부터 분리되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는 연장부재 지지부(1213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장부재 지지부(1213d)는 연장부재(1215)를 지지하여 연장부재(1215)가 제2 고정부(1213)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1213)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하방을 향해 이동할 때, 연장부재(1215)는 제2 고정부(1213)에 고정되어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장부재(1215)는 연장부재(1215)를 둘러싸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1215)의 탄성 스프링은 안착부(1211) 측에 위치하는 연장부재(1215)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213)가 안착부(121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때, 탄성 스프링은 안착부(1211)의 내측에서 홀더 바디(1210)의 일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한 제2 고정부(1213)는 안착부(1211) 측을 향하는 복원력을 받을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3)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장치(3)가 홀더(1200)로부터 분리되거나 작은 크기의 모바일 장치(2)를 홀더(1200)에 장착시킬 경우, 제2 고정부(1213)는 다시 안착부(121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탄성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탄성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스프링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 탄성 스프링은 연장부재(1215)에 고정되면서, 일단이 제1 고정부(1212) 측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거치장치(1000)는 다양한 규격의 모바일 장치(2, 3)와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연장부재(1215)에 대한 구성은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본 개시의 거치장치(1000)에 대한 일례에 불과하다. 홀더(1200)는 다양한 규격의 모바일 장치(2, 3)가 장착 가능하도록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고정부(1213)과 더불어 제1 고정부(1212) 또한 같이 안착부(1211)로부터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에 모바일 장치를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 및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모바일 장치와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는 거치장치(1000)의 홀더(1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전면 또는 후면이 홀더(1200)의 안착부(1213)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1 고정부(1212) 및 제2 고정부(1213)에 의해 가압되어 홀더(1200)에 고정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된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지지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바디(1100)는 전면 커버부(1110)에 의해 화면 표시 영역(S)에 지지될 수 있으며, 후면 커버부(1120)에 의해 케이스(120)의 후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가 전방으로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가 D1 방향으로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수 있다. 반대로, 거치장치(1000)는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가 후방으로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거치장치(1000)는 장착 바디(1100)가 D2 방향으로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연결부(113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전면 커버부(1110)에 비해 후면 커버부(1120)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후면 커버부(1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후면 접촉부(1121)의 중심부가 홀더(1200)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장치(1000)는 D1 방향을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거나 D2 방향으로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분리될 때, 보다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된 후, 모바일 장치(2)가 장착된 거치장치(10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됨으로써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종국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치장치(1000)가 먼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된 후,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구성에 따를 때 장착 바디(1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될 때는 화면 표시 영역(S)에 압력이 비교적 낮게 가해지는 반면, 거치장치(10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될 때에는 화면 표시 영역(S)에 비교적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바디(1100)가 홀더(1200)에 먼저 장착된 후, 홀더(1200)에 모바일 장치(2)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장치(2)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모바일 장치(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0)는 모바일 장치(2)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타입의 모듈일 수 있다.
통신부(1400)는 모바일 장치(2)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모바일 장치(2)가 장착되는 홀더(12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0)의 안착부(1211)에 마련될 수 있고, 안착부 커버(1211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신부(1400)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1400)는 모바일 장치(2)에 마련되는 모바일 장치 통신부(23)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될 때 모바일 장치 통신부(23)와 통신부(1400)는 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통신부(23)가 통신부(1400)와 통신을 수행하면, 모바일 장치(2)의 구동 및 기능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모바일 장치 제어부(24)는 모바일 장치 통신부(2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아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제어부(24)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가속도 센서(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5)는 모바일 장치(2)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25)는 모바일 장치(2)의 회전 등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는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될 때 가속도 센서(25)로부터 모바일 장치(2)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 제어부(24)는 가속도 센서(25)로부터 모바일 장치(2)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되었음을 인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장치 제어부(24)는 모바일 장치(2)가 홀더(1200)에 장착되었음을 인식한 후, 가속도 센서(25)에 의해 모바일 장치(2)가 장착된 거치장치(10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장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모바일 장치(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통신부(130)는 모바일 장치 통신부(23)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구동 및 기능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 통신부(130)가 모바일 장치 통신부(2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달 받아 처리할 수 있고, 또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장치 통신부(23)로 송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페어링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서로의 식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서로 주고 받은 식별정보는 각각 모바일 장치 제어부(24)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모바일 장치(2)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페어링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이나 WIFI 통신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장치 제어부(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25)에 의해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되었음을 인식할 경우, 모바일 장치 통신부(23)를 통해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100)가 페어링된 모바일 장치(2)의 가속도 센서(25)로부터 모바일 장치(2)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장치(2)의 가속도 센서(25)로부터 생성된 정보는 모바일 장치 통신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 통신부(130)로 송신되고,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140)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거치되었음을 인식하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2)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연동되어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서로 연동된 후, 모바일 장치(2)가 렌즈(L1, L2)로 촬영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로 송신되어 화면 표시 영역(S)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설명은 모바일 장치(2)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치장치(1000)를 포함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모바일 장치(2, 3)를 거치시킬 수 있다. 거치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 표시 영역(S) 및 케이스(120)의 후면에 각각 지지되어, 모바일 장치(2, 3)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3; 모바일 장치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케이스 1000; 거치장치
1100; 장착 바디 1110; 전면 커버부
1111; 전면 접촉부 1112; 전면 이격부
1120; 후면 커버부 1121; 후면 접촉부
1122; 후면 이격부 1130; 커버 연결부
1200; 홀더 1300; 연결부재
1400; 통신부 S; 화면 표시 영역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케이스 1000; 거치장치
1100; 장착 바디 1110; 전면 커버부
1111; 전면 접촉부 1112; 전면 이격부
1120; 후면 커버부 1121; 후면 접촉부
1122; 후면 이격부 1130; 커버 연결부
1200; 홀더 1300; 연결부재
1400; 통신부 S; 화면 표시 영역
Claims (20)
-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화면 표시 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와, 상기 장착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상기 전면 커버부 및 상기 전면 커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홀더의 후면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홀더가 상기 장착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바디는 상기 전면 커버부와 상기 후면 커버부를 연결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의 하단부는 상기 후면 커버부의 하단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접촉되는 후면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접촉부의 중심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부는 상기 후면 접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후면 이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접촉부는 상기 후면 커버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접촉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면 표시 영역에 접촉되는 전면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부는 상기 전면 접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전면 이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접촉부의 중심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접촉부는 상기 장착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전면 커버부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커버부의 후면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접촉부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홀더에 장착될 때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될 때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거치되었음을 인식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전면 접촉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후면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와,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장착 바디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 바디와 상기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접촉부의 중심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의 중심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장착 바디의 상단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전면에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모바일 장치가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 바디;
상기 장착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및
상기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0314A KR20230105129A (ko) | 2022-01-03 | 2022-01-03 |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0314A KR20230105129A (ko) | 2022-01-03 | 2022-01-03 |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5129A true KR20230105129A (ko) | 2023-07-11 |
Family
ID=8715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0314A KR20230105129A (ko) | 2022-01-03 | 2022-01-03 |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5129A (ko) |
-
2022
- 2022-01-03 KR KR1020220000314A patent/KR20230105129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03973B2 (en) | Display apparatus | |
US20200208772A1 (en) | Display apparatus | |
JP6990252B2 (ja)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用のモジュールコンポーネント | |
US9503679B2 (en) | Display Apparatus | |
WO2013099774A1 (ja) | 接続装置 | |
US20210311533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20180002124A (ko) | 표시 장치 | |
KR101741096B1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시스템 | |
KR20170125181A (ko) | 표시 장치 | |
US2006005577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stereoscopic reproduction of picture information on a screen | |
KR20230105129A (ko) |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EP4283385A1 (en) | Display device | |
US11122236B2 (en) | Display apparatus with movable sensor module | |
US11017704B1 (en) |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3D image | |
US20200043408A1 (en) | Thin film-based spherical or hemispherical display device | |
US20090160737A1 (en)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
JP6312982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 | |
US20240155784A1 (en) | Display device | |
EP4397899A1 (en) | Display device | |
US20240126350A1 (en) | Display device | |
KR2023006886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4003827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38279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CN117529688A (zh) | 显示装置 | |
KR10168496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