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279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279A
KR20240038279A KR1020220116852A KR20220116852A KR20240038279A KR 20240038279 A KR20240038279 A KR 20240038279A KR 1020220116852 A KR1020220116852 A KR 1020220116852A KR 20220116852 A KR20220116852 A KR 20220116852A KR 20240038279 A KR20240038279 A KR 2024003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display device
unit
displa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279A/ko
Publication of KR2024003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하부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포함하는 무빙그릴; 및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무빙그릴의 수직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노출되는 화면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사용시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어 대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에 OLED와 같은 소재는 배면의 백라이트 구조가 없이 자체 발광하기 때문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어 곡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거치된 장소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자인이 실내의 분위기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두운 대형화면은 실내 분위기를 어둡게 만들어 이를 숨기기 위해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수납부 일체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구성 및 디스플레이부의 변형을 위한 구동부의 구성 등이 증가 및 고품질의 부품이 사용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수납부 일체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면커버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크고 대형화면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노출되는 화면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사용시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어 대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거치용 가구 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무빙그릴이 하부지지구조를 구성하여 시청시 최적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빙그릴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내부부품이 노출되지 않으며 무빙 그릴 사이로 열이 배출될 수 있어, 발열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하부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포함하는 무빙그릴; 및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무빙그릴의 수직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무빙그릴은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변화하지 않는 고정부와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피스는 상기 가변부와 상기 고정부를 구획하는 파티션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파티션 피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변부의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은 0 이상 상기 고정부의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 이하의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체결하는 고정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릴피스 사이를 연결하는 그릴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링크는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피스에 결합된 제1 그릴링크, 하부에 위치하는 그릴피스에 결합된 제2 그릴링크 및 상기 제1 그릴링크와 상기 제2 그릴링크를 체결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변화시 상기 제1 그릴링크와 제2 그릴링크 사이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의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관통하는 리니어 바를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바는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변화시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그릴피스는 하부에 배면방향으로 인입된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그릴의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시트는 상기 그릴피스가 최대 이격시 펼쳐지고,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그릴피스 사이 부분이 휘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시트는 메쉬형태의 패브릭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그릴은 양 단부에서 중앙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그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방향 단부를 감싸며 배면 방향으로 꺾어진 배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프레임; 상기 백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레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레일을 띠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고무소재를 포함하며 원방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그릴은 양 단부에서 중앙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그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방향 단부를 감싸며 배면 방향으로 꺾어진 배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노출되는 화면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사용시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어 대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거치용 가구 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무빙그릴이 하부지지구조를 구성하여 시청시 최적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고 전면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일체형 오디오 출력부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무빙그릴 내부에 제어부품을 수납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무빙그릴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내부부품이 노출되지 않으며 무빙 그릴 사이로 열이 배출될 수 있어, 발열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온(ON)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온(ON)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프(OFF) 상태에서 구동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온(ON) 상태에서 구동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 구동부의 움직임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구동링크의 힌지핀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빙그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빙그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그릴피스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리니어 바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그릴링크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가이드 롤러와 디스플레이 레일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24), 출력부(150), 제어부(180), 저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중 일부 구성만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로서 튜너부 및 복조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1)의 튜너부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1)의 복조부는 튜너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52)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는 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연결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 음향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는 유선타입과 무선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타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물리적인 단자를 포함하고, 무선타입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유선타입은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타입은 근처에 위치하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121), 사용자의 명령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12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 및 주변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 그리고 원격제어장치(127)의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신호 수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21)는 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주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21)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21)는 단순히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85)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력부(123)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마이크(12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 외에 후술할 원격제어장치(127)에 탑재되어 원격신호 수신부(125)를 통해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127)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123)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원격신호 수신부(125)을 통해 원격제어장치(127)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신호 수신부(125)는 사용자 입력부(123)를 구비한 원격제어장치(127)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원격신호 수신부(125)는 일동의 사용자 입력부(123)이며,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7)의 신호를 수신하므로 무선통신부에 속할 수도 있다.
센싱부(12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등장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셀싱부(124)에서 수닙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124)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124)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51)와 오디오 출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부(151)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부(151)를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1)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부(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부(151)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52)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 복조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52)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부(151)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85)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85)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85)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85)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85)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85)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51),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52)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온(ON)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장변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단변이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장변과 단변은 길이가 같을 수도 잇고, 장변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형태도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변을 장변, 수직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변을 단변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무빙그릴(210)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그릴(210)은 상하방향의 길이(높이)가 가변할 수 있으며, 전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변화할 수도 있으나, 길이가 변화하는 가변부(210b)와 변화하지 않는 고정부(210a)로 구분될 수 있다.
무빙그릴(210)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그릴피스(211)가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가 배치된다.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며 무빙그릴(210)의 수직방향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서 가변부(210b)와 고정부(210a) 모두 복수개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에서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의 간격은 좁아지고 고정부(210a)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움직이는 구조를 포함한다. 도 2의 오프 상태에서 도 3의 온 상태로 전환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무빙그릴(210)에 덮여있던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커지고 높이가 높아지면서 화면을 시청하기 적절한 높이와 크기로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실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실내 인테리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오프 상태에서는 무빙그릴(210)의 내측에 인입되고 사용하는 경우에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단순히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를 커버하던 무빙그릴(210) 또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적절한 시청높이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승과 동시에 무빙그릴(210)의 높이를 낮추어 적절한 시청 높이에 디스플레이부(151)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거리 및 무빙그릴(210)의 이동거리의 합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확장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무빙그릴(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에서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면도이다. (a)는 도 2의 A-A 의 단면도이고, (b)는 도 3의 B-B의 단면도이다.
돌출된 무빙그릴(210)은 디스플레이부(151)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돌출된 부분에 오디오 출력부(152)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오프 상태에서는 무빙그릴(210)의 내부에 위치하나 온 상태에서는 무빙그릴(2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온(ON)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와 무빙그릴(210)이 이동하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프레임(163) 및 백커버(162)는 움직이지 않고 바닥에 위치하는 스탠드(161) 또는 벽면에 고정하는 월마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상 스탠드(161)에 고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백커버(162)에 VESA마운트 구조 등을 구비하여 벽에 걸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65)과 베이스 프레임(165)의 상부에 결합하는 백프레임(163)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프레임(163)은 격자형으로 배치된 철골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백프레임(16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백프레임(163)로 둘러싸인 공간에 제어부(180)로서 기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백커버(162)는 백프레임(163)의 배면에 결합하여 백프레임(163)에 실장된 부품을 커버할 수 있다.
백프레임(163)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하부에 무빙그릴(210)이 위치할 수 있다.
무빙그릴(21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서 양측 단부를 감싸 배면 방향으로 꺾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서 무빙그릴(2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백프레임(163)이 위치할 수 있다.
백프레임(163)과 백커버(16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고 디스플레이부(151)와 무빙그릴(210)만 백프레임(163)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그릴(210)과 디스플레이부(15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무빙그릴(210)의 이동을 각각 담당하도록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에 복수개의 구동부(230)를 구비하는 경우 크기가 커지고,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과 함께 무빙그릴(210)의 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동부(23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7은 백커버(162)를 제거한 상태에서 구동부(23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온 상태의 구동부(230)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오프(OFF) 상태에서 구동부(230)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온(ON) 상태에서 구동부(230)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동부(230)는 리드 스크류 액추에이터, 구동링크(237)로 구성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 액추에이터는 모터(23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모터(231)와 모터(231)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2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구동 시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30)는 좌우 대칭으로 한 쌍 구비할 수 있다.
스크류 샤프트(232)에 삽입된 무빙블록(233)은 스크류 샤프트(232) 회전 시 무빙블록(233) 내측의 나선이 스크류 샤프트(232)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고 무빙블록(233)은 회전이 제한되어 있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무빙블록(233)은 무빙그릴(230)과 체결되어 무빙그릴(210)의 수직방향 길이가 무빙블록(233)의 이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그릴(210)은 높이가 변화하지 않는 고정부(210a)와 변화하는 가변부(210b)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무빙블록(233) 이동 시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다.
고정부(210a)는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지 않도록 간격을 고정하는 고정부 브라켓(214)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 브라켓(214)은 고정부(210a)의 그릴피스(211) 각각이 결합하여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는 이웃하는 그릴피스(211)와 그릴링크(215)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릴링크(215)는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로 구성되며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구동링크(237)는 일단이 무빙블록(233)과 결합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39)과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에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링크(237)의 일단에 결합한 무빙블록(233)은 스크류 샤프트(232)에 위치하므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구동링크(237)의 타단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은 반대편의 구동링크(237)와도 체결되므로 한 쌍의 구동링크(237)가 동시에 힘을 반대방향으로 인가하므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51)는 후술하겠지만 디스플레이 레일(163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만 허용된다.
즉 구동링크(237)의 양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며 구동링크(237)의 일단에 결합된 무빙블록(233)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타단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은 그 반대방향, 즉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서 구동링크(237)의 일측(도면상 바깥쪽)이 상측에 위치하고 타측(도면상 내측)이 하측에 위치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에서 구동링크(237)는 반대로 일측이 하측에 타측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만, 구동링크(237)의 양 단부의 수평방향 위치가 고정되므로 구동링크(237)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경우 링크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구동링크(237)가 스크류 샤프트(232)와 디스플레이 브라켓(239) 사이에 위치하면서 양 단부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힌지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무빙블록(233)과 연결된 제1 구동링크(2371)와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에 연결된 제2 구동링크(2372) 그리고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를 연결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을 이루도록 180° 를 이루며 배치되나 구동 중에 그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블록은 제1 거리(a)만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링크(237)의 타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은 제2 거리(b)만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a)와 제2 거리(b)는 같은 값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제1 거리(a)와 제2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9는 제2 거리(b)가 제1 거리(a)보다 긴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무빙그릴(210)의 가변부(210b)는 고정부(210a)의 하부에 위치하며 가변부(210b)의 길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거리(c)만큼 줄어든다. 가변부(210b)의 변화한 수직 길이 제3 거리(c)는 제1 거리(a)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변부(210b)는 무빙블록(233)의 이동 시 동시에 움직이지 않고 무빙블록(233)이 제1 거리(a)와 제3 거리(c) 차이(a-c)만큼 이동 후에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부(23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구동부(230)의 움직임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오프 상태고 도 12는 온 상태이며 도 10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는 중간과정으로 무빙그릴(210)의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가 시작하는 지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록(233)은 스크류 샤프트(232)의 상단에 위치하고, 구동링크(237)의 일단은 무빙블록(233)과 같이 상측에 구동링크(237)의 타단은 하측에 위치한다. 구동링크(237)의 타단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은 베이스 프레임(165)에 인입되거나 베이스 프레임(16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무빙블록(233)과 무빙그릴(210)의 가변부(210b)의 상단이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와 무빙블록(233)의 이동거리가 상이하므로 그 차이만큼 무빙그릴(210)의 이동 시작을 지연시키기 위한 인터벌 샤프트(234)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인터벌 샤프트(2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210b)의 상단에 고정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의 부재로 무빙블록(233)을 관통한다. 무빙블록(233)은 인터벌 샤프트(234)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인터벌 샤프트(234) 상에서 무빙블록(233)이 이동하는 동안 무빙블록(233)의 이동은 무빙그릴(2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인터벌 샤프트(234)의 길이는 무빙블록(233)의 이동거리인 제1 거리(a)와 무빙그릴(210)의 길이변화량인 제3 거리(c)의 차에 상응한 길이(a-c)를 가질 수 있다. 인터벌 샤프트(234)는 무빙그릴(210)의 길이 변화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 이외에 무빙블록(233)이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은 무빙블록(233)이 인터벌 샤프트(234)의 하단까지 이동한 상태로 아직 무빙그릴(210)의 길이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무빙블록(233)이 인터벌 샤프트(234)의 하단에 위치한 이후 추가로 제4 거리(a2)만큼 하측으로 이동시 인터벌 샤프트(234)의 상단이 결합된 가변부(210b)의 상부가 하측으로 줄어들기 시작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210b)의 수직방향 길이는 제3 거리(c)만큼 줄어든다.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량 제3 거리(c)은 무빙블록(233)이 인터벌 샤프트(234)의 하단에 도착한 이후 이동거리인 제4 거리(a2)에 상응한다.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블록의 이동 시작과 함께 이동하기 시작하며, 가변부(210b)의 길이변화 종료와 같이 종료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과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 시작 시점은 다르나 종료 시점이 동일하다.
역으로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 시 무빙블록(233)이 하단에서 인터벌 샤프트(234)를 따라 이동하고 인터벌 샤프트(234)의 상단에 도달한 후에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가 시작한다.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 시에도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과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 시작 시점은 다르나 종료 시점이 동일하다.
무빙블록(233)이 하부로 이동함으로 인하여 구동링크(237)의 타단의 위치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반드시 일정하지 않다. 이는 각도변화 가능한 구동링크(237)를 통해 리드 스크류 액추에이터의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선형적인 속도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구동링크(23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일 수 있어, 구동링크(237)의 일단의 움직임 속도와 구동링크(237) 타단의 이동속도는 동일하지 않다. 구동링크(237)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타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는 구동링크(237)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가 이동 전과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237)의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구동링크(237)의 힌지핀(2375) 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의 (a)는 사시도이고 도 13의 (b)와 (c)는 힌지핀(2375) 부분의 C-C 단면도이다.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의 회동범위를 제한한다. 도 13의 (b)와 같이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의 하측부분의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꺾이지 않도록 각도제한부(2373, 2374)를 구비할 수 있다.
각도제한부(2373, 2374)로 인하여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방향이 각도가 작아지도록 꺾일 수는 있으나, 반대로 꺾일 수는 없다.
또한, 각도제한부(2373, 2374)는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의 회동각도도 제한할 수 있다. 제2 구동링크(2372)의 각도제한부(2374)가 제1 구동링크(2371)의 측방향에 닿으면 이상 꺾어질 수 없다.
각도제한부(2373, 2374)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을 위해 무빙블록(233)의 구동 시작시 도 13의 (b)와 같이 구동링크(237)의 꺽어지는 방향을 결정하고, 도 13의 (c)와 같이 상측도 일정 각도 이상 더 꺾어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을 밀어 올리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각도제한부(2373, 2374)는 특정 범위 내에서 제1 구동링크(2371)와 제2 구동링크(2372)의 각도가 변화하도록 제한하여 구동링크(237) 양단의 거리 변화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구동링크(237) 일단의 무빙블록(233)의 이동에 의한 힘을 구동링크(237)의 타단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브라켓(239)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빙그릴(210)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동부(230)에서 분리한 무빙그릴(210)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분해사시도이다.
복수개의 그릴피스(211), 그릴피스(211) 배면에 결합하는 플렉서블 시트(217), 고정부(210a)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는 고정부 브라켓(214),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각도가 변화하는 복수개의 그릴링크(215), 그리고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를 보조하며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가 수평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바(2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그릴(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그릴피스(211)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그릴피스(21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피스(211)는 6-7mm의 높이를 가지며 6-7mm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그릴피스(211)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복수개의 그릴피스(211)의 배치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피스(211)는 중앙부분이 전면 방향(도면상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활과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직선을 이루며 가운데 부분이 꺾어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복수개의 그릴피스(211)는 도 16의 (a)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상부와 하부에 그릴피스(211) 내부 공간에 실장 되는 부품을 커버하기 위한 무빙그릴(21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커버피스(212) 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피스(212b)와 하부 커버피스(212a)는 그릴피스(211)와 디스플레이부(151) 전면 사이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210a)와 가변부(201b)를 분리하기 위한 파티션 피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 피스(213)는 고정부(210a)와 가변부(201b) 사이에 위치하고 고정부(210a)에 실장 되는 오디오 출력부(152)의 하부를 지지하고, 무빙블록(233)이 결합하여 가변부(210b)의 길이변화를 위한 구동부(230)의 힘을 받는 부재이다.
그릴피스(211)는 반드시 중앙부분이 돌출된 형태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양 단부의 두께가 도 16의 (a)에 도시된 형태보다 두껍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단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부피감이 크게 느껴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를 더욱 크게 보일 수 있으므로 도 16과 같이 양단부보다 가운데 중앙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릴피스(21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의 양 단부에서 꺾어져 배면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방향을 감싸고 그릴피스(211)의 배면부(2114) 사이에 백프레임(163)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릴피스(211)는 리니어 바(216)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정렬홀(2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홀(2115)은 리니어 바(216)가 삽입되는 구멍으로 복수개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수평방향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정렬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리니어 바(216)를 도시한 도면으로 그릴피스(211)의 정렬홀(2115)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릴피스(211)의 수평방향 두께가 얇으므로 정렬홀(2115)이 형성된 부분만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홀(2115)이 형성된 부분이 배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니어 바(216)는 가변부(210b)의 길이 변화에 상응하여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는 도 17의 (b)와 같이 길이가 길고, 온 상태에서는 도 17의 (c)와 같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그릴링크(215)는 각 그릴피스(211)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릴피스(211)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므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며 복수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할 수 있다.
그릴링크(215)의 접촉면적이 넓으면 그릴링크(215)의 구동 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그릴링크(215)의 각도변화시 그릴피스(211)와 닿는 부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링크(215)는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정렬홀(2115)이 위치하는 돌출부에 결합하면 그릴링크(215)의 그릴피스(211)에 결합한 부분 이외에 힌지핀이 위치하는 부분은 도 17의 (a)와 같이 그릴피스(211)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마찰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18은 그릴링크(215)의 확대도로서 (a)는 오프 상태에서 벌어진 상태이고 (b)는 온 상태에서 각도가 작아진 상태이다.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가 중첩 시 그릴링크(215)의 두께만큼 체결부(2154)의 위치가 차이가 나므로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그릴링크(2151)는 그릴링크(215)의 두께에 상응하는 만큼 꺽어진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 사이의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215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링크(215)의 각도제한부(2156)는 일측으로 연장된 홀과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홀의 길이 범위내에서 돌기가 이동하며 제1 그릴링크(2151)와 제2 그릴링크(2152) 사이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고하면 그릴피스(211)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인입된 단차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2112)는 그릴피스(211)의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단차부(2112)를 통해 온 상태에서 이웃하는 그릴피스(211)와 사이에 의도적으로 간격을 형성한다.
단차부(2112)가 없으면 온 상태에서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그릴피스(211)는 연속적인 면을 형성해야하나, 동작상 공차 등에 의해 간격이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차부(2112)는 의도적으로 그릴피스(211) 사이에 이어지는 면이 아닌 올록볼록한 면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 차가 눈에 띄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플렉서블 시트(217)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오프 상태를 (b)는 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시트(217)는 그릴피스(211)의 배면에 결합하며 그릴피스(211) 사이의 공간으로 내부 부품이 보이지 않도록 그릴피스(211)의 사이의 이격공간을 커버한다.
플렉서블 시트(217)는 오디오 출력부(152)에서 소리가 출력되도록 패브릭 소재와 같이 다공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부(152)의 전면은 다공성 소재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홀이 최소화된 방수를 위해 방수 소재 또는 홀이 없는 형태의 필름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플렉서블 시트(217)는 도 19의 (b)와 같이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휘어질 수 있도록 부드럽게 형상이 변화 가능한 패브릭과 같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시트(217)는 그릴피스(211)의 배면에 결합되어 변형이 불가능하나 그 사이는 다른 부재와 결합하지 않아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가변부(210b)의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은 이격되어 있다가 오프 상태로 전환시 (b)와 같이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그릴피스(211) 사이의 플렉서블 시트(217)가 휘어지며 그릴피스(211) 사이의 간격 변화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백커버(162)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a)는 오프 상태 (b)는 온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배면에 위치하는 백프레임(16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바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바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 디스플레이 레일(163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레일(1631)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220)가 삽입되며 가이드 롤러(22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시 디스플레이 레일(163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디스플레이 레일(163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레일(1631)에 가이드 롤러(220)가 끼워져 디스플레이부(15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수직방향으로 뒤틀리거나 흔들림 없이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가이드 롤러(220)와 디스플레이 레일(1631)의 확대도이다. 가이드 롤러(220)는 두께를 얇게 구성하고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접시형상으로 단부가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20)와 디스플레이 레일(1631)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 롤러(220)를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하방향 운동은 가이드하면서 한 쌍의 디스플레이 레일(1631) 사이 간격의 공차에 의한 가이드 롤러(220)가 체결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220)가 탄성있는 부재를 이용하면 소음발생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20)는 오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레일(1631)의 상부와 이격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레일(1631)의 하부와 이격될 수 있다.
백프레임(163)은 강성을 위하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가이드 롤러(2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레일(1631)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노출되는 화면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사용시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어 대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거치용 가구 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무빙그릴(210)이 하부지지구조를 구성하여 시청시 최적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오디오 출력부(15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고 전면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일체형 오디오 출력부(152)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무빙그릴(210) 내부에 제어부품을 수납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무빙그릴(210)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내부부품이 노출되지 않으며 무빙 그릴 사이로 열이 배출될 수 있어, 발열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통신부
111: 방송 수신부
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20: 입력부
121: 마이크
123: 사용자 입력부
124: 센싱부
125: 원격신호 수신부
127: 원격제어장치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오디오 출력부
161: 스탠드
162: 백커버
163: 백프레임
1631: 디스플레이 레일
165: 베이스 프레임
180: 제어부
185: 저장부
190: 전원공급부
210: 무빙그릴
210a: 고정부
210b: 가변부
211: 그릴피스
2112: 단차부
2114: 배면부
2115: 정렬홀
212: 커버피스
213: 파티션피스
214: 고정부 브라켓
215: 그릴링크
216: 리니어 바
217: 플렉서블 시트
220: 가이드 롤러
230: 구동부
231: 모터
232: 스크류 샤프트
233: 무빙블록
234: 인터벌 샤프트
237: 구동링크
239: 디스플레이 브라켓

Claims (19)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하부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포함하는 무빙그릴; 및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무빙그릴의 수직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그릴은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변화하지 않는 고정부와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피스는
    상기 가변부와 상기 고정부를 구획하는 파티션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파티션 피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은 0 이상 상기 고정부의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 이하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체결하는 고정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릴피스 사이를 연결하는 그릴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링크는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피스에 결합된 제1 그릴링크, 하부에 위치하는 그릴피스에 결합된 제2 그릴링크 및 상기 제1 그릴링크와 상기 제2 그릴링크를 체결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변화시 상기 제1 그릴링크와 제2 그릴링크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의 복수개의 그릴피스를 관통하는 리니어 바를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바는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변화시 길이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피스는 하부에 배면방향으로 인입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그릴의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시트는
    상기 그릴피스가 최대 이격시 펼쳐지고, 상기 그릴피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그릴피스 사이 부분이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시트는 메쉬형태의 패브릭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그릴은 양 단부에서 중앙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그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방향 단부를 감싸며 배면 방향으로 꺾어진 배면부를 포함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프레임;
    상기 백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레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레일을 띠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고무소재를 포함하며 원방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그릴은 양 단부에서 중앙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그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방향 단부를 감싸며 배면 방향으로 꺾어진 배면부를 포함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16852A 2022-09-16 2022-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38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52A KR20240038279A (ko) 2022-09-16 2022-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52A KR20240038279A (ko) 2022-09-16 2022-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279A true KR20240038279A (ko) 2024-03-25

Family

ID=9047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52A KR20240038279A (ko) 2022-09-16 2022-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2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610B2 (en) Display device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120802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3827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3827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64723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7053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5333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623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2228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7564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7053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179948A1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1772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118639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151182A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3903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547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3900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44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60999A (ko) 다단 도어 및 스마트 미디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