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758A -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758A
KR20230104758A KR1020237021844A KR20237021844A KR20230104758A KR 20230104758 A KR20230104758 A KR 20230104758A KR 1020237021844 A KR1020237021844 A KR 1020237021844A KR 20237021844 A KR20237021844 A KR 20237021844A KR 20230104758 A KR20230104758 A KR 2023010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block
motion vector
merge
subblock
syntax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건중
김동철
손주형
정재홍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Publication of KR2023010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9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tempor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3Motion compensation with multiple frame prediction using two or more reference frames in a given predictio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BY USING SUBBLOCK-BASED MOTION COMPENSATION}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 부호화란 디지털화한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거나, 저장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신호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압축 부호화의 대상에는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대상이 존재하며, 특히 영상을 대상으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기술을 비디오 영상 압축이라고 일컫는다. 비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 부호화는 공간적인 상관관계, 시간적인 상관관계, 확률적인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잉여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의 다양한 미디어 및 데이터 전송 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고효율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신호의 코딩 효율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merge mode with MVD)에 기반한 모션 보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6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는 상기 제6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단위로 유도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신택스 요소는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6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6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는 상기 제6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단위로 유도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신택스 요소는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6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의 코딩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택스 파싱 순서를 조절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픽쳐 내에서 코딩 트리 유닛이 코딩 유닛들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의 분할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벡터 시그널링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인 모션 벡터 해상도(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보상을 도시한다.
도 9는 4-파라미터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서브블록 기반의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한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 세트를 획득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록 기반 시간(subblock-based temporal) MVP(SbTMVP)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너 MVP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모션 벡터의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TMVP 사용 여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TMVP 유도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적용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유닛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지 데이터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지 데이터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지 데이터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부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코딩은 경우에 따라 인코딩 또는 디코딩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디오 신호의 인코딩(부호화)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장치는 인코딩 장치 또는 인코더로 지칭되며,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의 디코딩(복호화)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장치는 디코딩 장치 또는 디코더로 지칭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인코더 및 디코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사용된다. 정보(information)는 값(values), 파라미터(parameter), 계수(coefficients), 성분(elements) 등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서, 경우에 따라 의미는 달리 해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유닛'은 영상 처리의 기본 단위 또는 픽쳐의 특정 위치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루마(luma) 성분 및 크로마(chroma)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영역을 가리킨다. 또한, ‘블록’은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들(즉, Cb 및 Cr) 중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 영역을 가리킨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유닛’, '블록', '파티션' 및 '영역' 등의 용어는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닛은 코딩 유닛, 예측 유닛, 변환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픽쳐는 필드 또는 프레임을 가리키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용어들은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코딩 장치(100)는 변환부(110), 양자화부(115), 역양자화부(120), 역변환부(125), 필터링부(130), 예측부(150) 및 엔트로피 코딩부(160)를 포함한다.
변환부(110)는 입력 받은 비디오 신호와 예측부(150)에서 생성된 예측 신호의 차이인 레지듀얼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 계수 값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Sine Transform, DST) 또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산 코사인 변환 및 이산 사인 변환은 입력된 픽쳐 신호를 블록 형태로 나누어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변환에 있어서 변환 영역 내의 값들의 분포와 특성에 따라서, 코딩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양자화부(115)는 변환부(110)에서 출력된 변환 계수 값을 양자화한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픽쳐 신호를 그대로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예측부(150)를 통해 이미 코딩된 영역을 이용하여 픽쳐를 예측하고, 예측된 픽쳐에 원본 픽쳐와 예측 픽쳐 간의 레지듀얼 값을 더하여 복원 픽쳐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인코더와 디코더에서 미스매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코더에서 예측을 수행할 때에는 디코더에서도 사용 가능한 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코더에서는 부호화한 현재 블록을 다시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역양자화부(120)에서는 변환 계수 값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125)에서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값을 이용하여 레지듀얼 값을 복원한다. 한편, 필터링부(130)는 복원된 픽쳐의 품질 개선 및 부호화 효율 향상을 위한 필터링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SAO) 및 적응적 루프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픽쳐는 출력되거나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호 픽쳐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DPB, 156)에 저장된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픽쳐 신호를 그대로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예측부(150)를 통해 이미 코딩된 영역을 이용하여 픽쳐를 예측하고, 예측된 픽쳐에 원 픽쳐와 예측 픽쳐 간의 레지듀얼 값을 더하여 복원 픽쳐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인트라 예측부(152)에서는 현재 픽쳐 내에서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며, 인터 예측부(154)에서는 복호 픽쳐 버퍼(156)에 저장된 참조 픽쳐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를 예측한다. 인트라 예측부(152)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영역들로부터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여, 화면내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인터 예측부(154)는 다시 모션 추정부(154a) 및 모션 보상부(1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추정부(154a)에서는 복원된 특정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 영역의 모션 벡터값을 획득한다. 모션 추정부(154a)에서는 참조 영역의 위치 정보(참조 프레임, 모션 벡터 등) 등을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하여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모션 추정부(154a)에서 전달된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모션 보상부(154b)에서는 화면간 모션 보상을 수행한다.
예측부(150)는 인트라 예측부(152)와 인터 예측부(154)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부(152)는 현재 픽쳐 내에서 인트라(intra) 예측을 수행하며, 인터 예측부(154)는 복호 픽쳐 버퍼(156)에 저장된 참조 픽쳐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를 예측하는 인터(inter)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152)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샘플들로부터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인트라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인트라 부호화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 MPM(Most Probable Mode) 플래그, MPM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부호화 정보는 참조 샘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54)는 모션 추정부(154a) 및 모션 보상부(1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추정부(154a)는 복원된 참조 픽쳐의 특정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 영역의 모션 벡터값을 획득한다. 모션 추정부(154a)는 참조 영역에 대한 모션 정보 세트(참조 픽쳐 인덱스, 모션 벡터 정보 등)를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한다. 모션 보상부(154b)는 모션 추정부(154a)에서 전달된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모션 보상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부(154)는 참조 영역에 대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측부(150)는 인트라 블록 카피(block copy, BC) 예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샘플들로부터 인트라 BC 예측을 수행하여, 인트라 BC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에 전달한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현재 픽쳐 내의 특정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 영역의 예측에 이용되는 참조 영역을 나타내는 블록 벡터값을 획득한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획득된 블록 벡터값을 이용하여 인트라 BC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인트라 BC 부호화 정보를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한다. 인트라 BC 부호화 정보는 블록 벡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픽쳐 예측이 수행될 경우, 변환부(110)는 원본 픽쳐와 예측 픽쳐 간의 레지듀얼 값을 변환하여 변환 계수 값을 획득한다. 이때, 변환은 픽쳐 내에서 특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 블록의 크기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할 수 있다. 양자화부(115)는 변환부(110)에서 생성된 변환 계수 값을 양자화하여 엔트로피 코딩부(160)로 전달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6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나타내는 정보, 인트라 부호화 정보, 및 인터 부호화 정보 등을 엔트로피 코딩하여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엔트로피 코딩부(160)에서는 가변 길이 코딩(Variable Length Coding, VLC) 방식과 산술 코딩(arithmetic coding)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길이 코딩(VLC) 방식은 입력되는 심볼들을 연속적인 코드워드로 변환하는데, 코드워드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 발생하는 심볼들을 짧은 코드워드로, 자주 발생하지 않은 심볼들은 긴 코드워드로 표현하는 것이다. 가변 길이 코딩 방식으로서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가변 길이 코딩(Context-based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VLC)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산술 코딩은 연속적인 데이터 심볼들을 하나의 소수로 변환하는데, 산술 코딩은 각 심볼을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적의 소수 비트를 얻을 수 있다. 산술 코딩으로서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e, CABAC)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코딩부(16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진화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코딩부(160)는 이진화된 정보를 산술 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을 기본 단위로 캡슐화 된다. NAL 유닛은 부호화된 정수 개의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을 포함한다. 비디오 디코더에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트스트림을 NAL 유닛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각각의 NAL 유닛을 복호화해야 한다. 한편,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의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은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SPS),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VPS) 등과 같은 상위 레벨 세트의 RBSP(Raw Byte Sequence Payload)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장치(1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리하여 표시된 블록들은 인코딩 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인코딩 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인코딩 장치(100)의 각 엘리먼트의 동작은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2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25), 필터링부(230) 및 예측부(250)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디코딩하여, 각 영역에 대한 변환 계수 정보, 인트라 부호화 정보, 인터 부호화 정보 등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비디오 신호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특정 영역의 변환 계수 정보에 대한 이진화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이진화 코드를 역 이진화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획득한다. 역양자화부(22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225)는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레지듀얼 값을 복원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200)는 역변환부(225)에서 획득된 레지듀얼 값을 예측부(250)에서 획득된 예측값과 합산하여 원래의 화소값을 복원한다.
한편, 필터링부(230)는 픽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화질을 향상시킨다. 여기에는 블록 왜곡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블록킹 필터 및/또는 픽쳐 전체의 왜곡 제거를 위한 적응적 루프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을 거친 픽쳐는 출력되거나 다음 픽쳐에 대한 참조 픽쳐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호 픽쳐 버퍼(DPB, 256)에 저장된다.
예측부(250)는 인트라 예측부(252) 및 인터 예측부(254)를 포함한다. 예측부(250)는 전술한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를 통해 복호화된 부호화 타입, 각 영역에 대한 변환 계수, 인트라/인터 부호화 정보 등을 활용하여 예측 픽쳐를 생성한다. 복호화가 수행되는 현재 블록을 복원하기 위해서, 현재 블록이 포함된 현재 픽쳐 또는 다른 픽쳐들의 복호화된 영역이 이용될 수 있다. 복원에 현재 픽쳐만을 이용하는, 즉 인트라 예측 또는 인트라 BC 예측을 수행하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인트라 픽쳐 또는 I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 인트라 예측, 인터 예측 및 인트라 BC 예측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인터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라고 한다. 인터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 중 각 블록의 샘플값들을 예측하기 위하여 최대 하나의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예측 픽쳐(predictive picture) 또는 P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라고 하며, 최대 두 개의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는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를 쌍예측 픽쳐(Bi-predictive picture) 또는 B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 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P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는 각 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최대 하나의 모션 정보 세트를 이용하고, B 픽쳐(또는, 타일/슬라이스)는 각 블록을 예측하기 위해 최대 두 개의 모션 정보 세트를 이용한다. 여기서, 모션 정보 세트는 하나 이상의 모션 벡터와 하나의 참조 픽쳐 인덱스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부(252)는 인트라 부호화 정보 및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샘플들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트라 부호화 정보는 인트라 예측 모드, MPM(Most Probable Mode) 플래그, MPM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52)는 현재 블록의 좌측 및/또는 상측에 위치한 복원된 샘플들을 참조 샘플들로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 값들을 예측한다. 본 개시에서, 복원된 샘플들, 참조 샘플들 및 현재 블록의 샘플들은 픽셀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샘플 값(sample value)들은 픽셀 값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샘플들은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에 포함된 샘플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샘플들은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샘플들 및/또는 상측 경계에 인접한 샘플들일 수 있다. 또한, 참조 샘플들은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의 샘플들 중 현재 블록의 좌측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라인 상에 위치하는 샘플들 및/또는 현재 블록의 상측 경계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라인 상에 위치하는 샘플들일 수 있다. 이때,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에 인접한 좌측(L) 블록, 상측(A) 블록, 하좌측(Below Left, BL) 블록, 상우측(Above Right, AR) 블록 또는 상좌측(Above Left, AL)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54)는 복호 픽쳐 버퍼(256)에 저장된 참조 픽쳐 및 인터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인터 부호화 정보는 참조 블록에 대한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 세트(참조 픽쳐 인덱스, 모션 벡터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에는 L0 예측, L1 예측 및 쌍예측(Bi-prediction)이 있을 수 있다. L0 예측은 L0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1개의 참조 픽쳐를 이용한 예측이고, L1 예측은 L1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1개의 참조 픽쳐를 이용한 예측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1세트의 모션 정보(예를 들어,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가 필요할 수 있다. 쌍예측 방식에서는 최대 2개의 참조 영역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2개의 참조 영역은 동일한 참조 픽쳐에 존재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픽쳐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쌍예측 방식에서는 최대 2세트의 모션 정보(예를 들어,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가 이용될 수 있는데, 2개의 모션 벡터가 동일한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응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때, 참조 픽쳐들은 시간적으로 현재 픽쳐 이전이나 이후 모두에 표시(또는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쌍예측 방식에서는 사용되는 2개의 참조 영역은 L0 픽쳐 리스트 및 L1 픽쳐 리스트 각각에서 선택된 영역일 수 있다.
인터 예측부(254)는 모션 벡터 및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참조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블록은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응하는 참조 픽쳐 내에 존재한다. 또한, 모션 벡터에 의해서 특정된 블록의 샘플 값 또는 이의 보간(interpolation)된 값이 현재 블록의 예측자(predictor)로 이용될 수 있다. 서브펠(sub-pel) 단위의 픽셀 정확도를 갖는 모션 예측을 위하여 이를 테면, 루마 신호에 대하여 8-탭 보간 필터가, 크로마 신호에 대하여 4-탭 보간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서브펠 단위의 모션 예측을 위한 보간 필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인터 예측부(254)는 이전에 복원된 픽쳐로부터 현재 유닛의 텍스쳐를 예측하는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ion)을 수행한다. 이때, 인터 예측부는 모션 정보 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측부(250)는 인트라 BC 예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현재 픽쳐 내의 복원된 샘플들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을 참조하여 현재 영역을 복원할 수 있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로부터 현재 영역에 대한 인트라 BC 부호화 정보를 획득한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현재 픽쳐 내의 특정 영역을 지시하는 현재 영역의 블록 벡터값을 획득한다. 인트라 BC 예측부는 획득된 블록 벡터값을 이용하여 인트라 BC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BC 부호화 정보는 블록 벡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트라 예측부(252) 또는 인터 예측부(254)로부터 출력된 예측값, 및 역변환부(225)로부터 출력된 레지듀얼 값이 더해져서 복원된 비디오 픽쳐가 생성된다. 즉,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200)는 예측부(250)에서 생성된 예측 블록과 역변환부(225)로부터 획득된 레지듀얼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한다.
한편, 도 2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2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리하여 표시된 블록들은 디코딩 장치(2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디코딩 장치(2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디코딩 장치(200)의 각 엘리먼트의 동작은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픽쳐 내에서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이 코딩 유닛들(Coding Units, CUs)로 분할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비디오 신호의 코딩 과정에서, 픽쳐는 코딩 트리 유닛(CTU)들의 시퀀스로 분할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은 루마(luma) 샘플들의 NXN 블록과, 이에 대응하는 크로마(chroma) 샘플들의 2개의 블록들로 구성된다. 코딩 트리 유닛은 복수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은 분할되지 않고 리프 노드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딩 트리 유닛 자체가 코딩 유닛이 될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상기에서 설명한 비디오 신호의 처리 과정, 즉 인트라/인터 예측, 변환, 양자화 및/또는 엔트로피 코딩 등의 과정에서 픽쳐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 단위를 가리킨다. 하나의 픽쳐 내에서 코딩 유닛의 크기 및 모양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코딩 유닛(또는, 직사각형 블록)은 수직 코딩 유닛(또는, 수직 블록)과 수평 코딩 유닛(또는, 수평 블록)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 블록은 높이가 너비보다 큰 블록이며, 수평 블록은 너비가 높이보다 큰 블록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사각형이 아닌(non-square) 블록은 직사각형 블록을 가리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코딩 트리 유닛은 먼저 쿼드 트리(Quad Tree, QT) 구조로 분할된다. 즉, 쿼드 트리 구조에서 2NX2N 크기를 가지는 하나의 노드는 NXN 크기를 가지는 네 개의 노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쿼드 트리는 4진(quaternary) 트리로도 지칭될 수 있다. 쿼드 트리 분할은 재귀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깊이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한편, 전술한 쿼드 트리의 리프 노드(leaf node)는 멀티-타입 트리(Multi-Type Tree, MTT) 구조로 더욱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타입 트리 구조에서는 하나의 노드가 수평 또는 수직 분할의 2진(binary, 바이너리) 또는 3진(ternary, 터너리) 트리 구조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는 수직 바이너리 분할, 수평 바이너리 분할, 수직 터너리 분할 및 수평 터너리 분할의 4가지 분할 구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트리 구조에서 노드의 너비 및 높이는 모두 2의 거듭제곱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 BT) 구조에서, 2NX2N 크기의 노드는 수직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2개의 NX2N 노드들로 분할되고, 수평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2개의 2NXN 노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터너리 트리(Ternary Tree, TT) 구조에서, 2NX2N 크기의 노드는 수직 터너리 분할에 의해 (N/2)X2N, NX2N 및 (N/2)X2N의 노드들로 분할되고, 수평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2NX(N/2), 2NXN 및 2NX(N/2)의 노드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타입 트리 분할은 재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멀티-타입 트리의 리프 노드는 코딩 유닛이 될 수 있다. 코딩 유닛에 대한 분할이 지시되지 않거나 코딩 유닛이 최대 변환 길이에 비해 크지 않은 경우, 해당 코딩 유닛은 더 이상의 분할 없이 예측 및 변환의 단위로 사용된다. 한편, 전술한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에서 다음의 파라메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에 정의되거나 PPS, SPS, VPS 등과 같은 상위 레벨 세트의 RBSP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1) CTU 크기: 쿼드 트리의 루트 노드(root node) 크기, 2) 최소 QT 크기(MinQtSize): 허용된 최소 QT 리프 노드 크기, 3) 최대 BT 크기(MaxBtSize): 허용된 최대 BT 루트 노드 크기, 4) 최대 TT 크기(MaxTtSize): 허용된 최대 TT 루트 노드 크기, 5) 최대 MTT 깊이(MaxMttDepth): QT의 리프 노드로부터의 MTT 분할의 최대 허용 깊이, 6) 최소 BT 크기(MinBtSize): 허용된 최소 BT 리프 노드 크기, 7) 최소 TT 크기(MinTtSize): 허용된 최소 TT 리프 노드 크기.
도 4는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의 분할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쿼드 트리 및 멀티-타입 트리의 분할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기 설정된 플래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쿼드 트리 노드의 분할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qt_split_flag', 멀티-타입 트리 노드의 분할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mtt_split_flag', 멀티-타입 트리 노드의 분할 방향을 지시하는 플래그 'mtt_split_vertical_flag' 또는 멀티-타입 트리 노드의 분할 모양을 지시하는 플래그 'mtt_split_binary_flag'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딩 트리 유닛은 쿼드 트리의 루트 노드이며, 쿼드 트리 구조로 우선 분할될 수 있다. 쿼드 트리 구조에서는 각각의 노드 'QT_node' 별로 'qt_split_flag'가 시그널링된다. 'qt_split_flag'의 값이 1일 경우 해당 노드는 4개의 정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되며, 'qt_split_flag'의 값이 0일 경우 해당 노드는 쿼드 트리의 리프 노드 'QT_leaf_node'가 된다.
각각의 쿼드 트리 리프 노드 'QT_leaf_node'는 멀티-타입 트리 구조로 더 분할될 수 있다.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서는 각각의 노드 'MTT_node' 별로 'mtt_split_flag'가 시그널링된다. 'mtt_split_flag'의 값이 1일 경우 해당 노드는 복수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되며, 'mtt_split_flag'의 값이 0일 경우 해당 노드는 멀티-타입 트리의 리프 노드 'MTT_leaf_node'가 된다. 멀티-타입 트리 노드 'MTT_node'가 복수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될 경우(즉, 'mtt_split_flag'의 값이 1일 경우), 노드 'MTT_node'를 위한 'mtt_split_vertical_flag' 및 'mtt_split_binary_flag'가 추가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mtt_split_vertical_flag'의 값이 1일 경우 노드 'MTT_node'의 수직 분할이 지시되며, 'mtt_split_vertical_flag'의 값이 0일 경우 노드 'MTT_node'의 수평 분할이 지시된다. 또한, 'mtt_split_binary_flag'의 값이 1일 경우 노드 'MTT_node'는 2개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되며, 'mtt_split_binary_flag'의 값이 0일 경우 노드 'MTT_node'는 3개의 직사각형 노드들로 분할된다.
코딩을 위한 픽쳐 예측(모션 보상)은 더 이상 나누어지지 않는 코딩 유닛(즉 코딩 유닛 트리의 리프 노드)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측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를 이하에서는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또는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이라고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닛이라는 용어는 예측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인 상기 예측 유닛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광의적으로는 상기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코더는 복호화된 다른 픽쳐의 복원된 샘플들을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코더는 현재 블록(32)의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참조 픽쳐 내의 참조 블록(42)을 획득한다. 이때, 모션 정보는 참조 픽쳐 인덱스 및 모션 벡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픽쳐 인덱스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서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를 지시한다. 또한, 모션 벡터(50)는 현재 픽쳐 내에서의 현재 블록(32)의 좌표값과 참조 픽쳐 내에서의 참조 블록(42)의 좌표값 간의 오프셋을 나타낸다. 디코더는 참조 블록(42)의 샘플 값들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32)의 예측자를 획득하고, 상기 예측자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32)을 복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32)은 복수의 서브블록들로 분할되며, 각 서브블록 별로 독립된 모션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32) 내에서 각 서브블록은 서로 다른 참조 블록을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은 4X4 또는 8X8과 같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코더는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32)의 각 서브블록의 예측자를 획득한다. 각 서브블록의 예측자를 조합하여 현재 블록(32)의 예측자가 획득될 수 있으며, 디코더는 이와 같이 획득된 현재 블록(32)의 예측자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32)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방법의 서브블록 기반 모션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은 어파인(affine) 모델 기반의 모션 보상(이하, 어파인 모션 보상 또는 어파인 모션 예측)과 서브블록 기반의 시간적 모션 벡터 예측(Subblock-based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SbTMVP)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로 어파인 모션 보상과 SbTMVP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벡터 시그널링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션 벡터(motion vector, MV)는 모션 벡터 예측(또는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ion(or predictor), MVP)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MV는 MVP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MV는 MVP와 동일한 값으로 결정(또는 설정, 유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른 일 예로서,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MV는 MVP 및 모션 벡터 차분(motion vector difference, MVD)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인코더는 보다 정확한 MV를 나타내기 위해 MVD 정보를 디코더로 시그널링할 수 있고, 디코더는 획득된 MVD를 MVP에 가산함으로써 MV를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결정된 모션 정보를 디코더로 전송하고, 디코더는 수신된 모션 정보로부터 MV를 생성(또는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션 정보는 MVP 정보, MV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터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모션 정보의 구성 요소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머지 모드에서 상기 모션 정보는 MVP 정보를 포함하고, MVD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모드에서 상기 모션 정보는 MVP 정보 및 MV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VP에 관한 정보를 결정, 송신, 수신하기 위해서 인코더와 디코더는 동일한 방법으로 MVP 후보(또는 MVP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와 디코더는 동일한 순서로 동일한 MVP 후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더는 생성된 MVP 후보들 중에서 결정된(또는 선택된) MVP를 나타내는(또는 지시하는) 인덱스를 디코더로 전송하고, 디코더는 수신된 인덱스를 기초로 결정된 MVP 및/또는 MV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VP 후보는 공간 후보(spatial candidate), 시간 후보(temporal candid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VP 후보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머지 후보로 지칭될 수 있고, AMVP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AMVP 후보로 지칭될 수 있다. 공간 후보는 현재 블록을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있는 블록에 대한 MV(또는 모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 후보는 현재 블록과 인접하거나 또는 인접하지 않은 위치의 블록의 MV일 수 있다. 시간 후보는 현재 픽쳐와 다른 픽쳐 내의 블록에 해당하는 MV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MVP 후보는 어파인(affine) MV, ATMVP, STMVP, 전술한 MV(또는 후보)들의 조합, 전술한 MV(또는 후보)들의 평균 MV, 제로 M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코더는 참조 픽쳐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코더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MVP 후보의 참조 픽쳐와 현재 블록(또는 현재 처리 블록)의 참조 픽쳐가 상이한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VP 후보의 MV를 스케일링(motion vector scaling)을 할 수 있다. 이때, MV 스케일링은 현재 픽쳐의 픽쳐 순서 카운트(picture order count, POC),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의 POC, MVP 후보의 참조 픽쳐의 POC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MVD 시그널링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의 표 1은 MVD 시그널링을 위한 신택스 구조를 예시한다.
Figure pat00003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VD는 MVD의 부호(sign) 및 절대값(absolute value)이 나누어서 코딩될 수 있다. 즉, MVD의 부호 및 절대값은 각각 다른 신택스(또는 신택스 엘리먼트)일 수 있다. 또한, MVD의 절대값은 그 값이 직접적으로 코딩될 수도 있고, 표 1과 같이 절대값이 N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코딩될 수도 있다. 만약, 절대값이 N보다 큰 경우 (절대값 - N)의 값이 함께 시그널링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 1의 예시에서 절대값이 0보다 큰지를 나타내는 abs_mvd_greater0_flag가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절대값이 0보다 크지 않음을 abs_mvd_greater0_flag가 나타내는(또는 지시하는) 경우, MVD의 절대값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절대값이 0보다 큼을 abs_mvd_greater0_flag가 나타내는 경우, 추가 신택스(또는 신택스 엘리먼트)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대값이 1보다 큰지를 나타내는 abs_mvd_greater1_flag가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절대값이 1보다 크지 않음을 abs_mvd_greater1_flag가 나타내는(또는 지시하는) 경우, MVD의 절대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절대값이 1보다 큼을 abs_mvd_greater1_flag가 나타내는 경우, 추가 신택스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s_mvd_minus2가 존재할 수 있다. abs_mvd_minus2는 (절대값 - 2)의 값일 수 있다. abs_mvd_greater0_flag, abs_mvd_greater1_flag 값에 따라 절대값이 1보다 큰 것으로(즉, 2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므로, (절대값 - 2) 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대값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신택스 시그널링함으로써, 절대값을 그대로 이진화(binarization)하여 시그널링하는 경우 대비 보다 적은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절대값에 관련된 신택스는 지수 골롬(Exponential-Golomb), 절삭형 단항(truncated unary), 절삭형 라이스(truncated Rice) 등의 변수 길이(variable length)인 이진화 방법을 적용하여 코딩될 수 있다. 또한, MVD의 부호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mvd_sign_flag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MVD에 대한 코딩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MVD 이외의 정보도 부호 및 절대값을 나누어 시그널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절대값은 상기 절대값이 미리 정의된 특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절대값에서 상기 특정 값을 뺀 값으로 코딩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0]과 [1]은 컴포넌트 인덱스(component 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x-컴포넌트(즉, 수평 성분), y-컴포넌트(즉, 수직 성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인 모션 벡터 해상도(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V 또는 MVD를 나타내기 위한 해상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는 픽셀(pixel)(또는 펠(pel))을 기초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V 또는 MVD는 1/4(quarter), 1/2(half), 1(integer), 2, 4 픽셀 등의 단위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더는 MV 또는 MVD의 해상도 정보를 디코더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6은 1/4 단위일 때 64로 코딩되고(1/4 * 64 = 16), 1 단위일 때 16으로 코딩되고(1 * 16 = 16), 4 단위일 때 4로 코딩될 수 있다(4 *. 4 = 16). 즉, MV 또는 MVD 값은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수학식 3에서, valueDetermined는 MV 또는 MVD 값을 나타낸다. 또한, valuePerResolution은 결정된 해상도를 기반으로 시그널링되는 값을 나타낸다. 이때, MV 또는 MVD로 시그널링하는 값이 결정된 해상도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라운딩(rounding) 프로세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면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는 반면에 코딩되는 값이 크므로 많은 비트가 사용될 수 있고, 낮은 해상도를 사용하면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는 반명에 코딩되는 값이 작으므로 적은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술한 해상도는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 코딩 유닛(coding unit, CU) 등의 단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인코더/디코더는 상술한 단위들 중 미리 정의된 단위에 따라 적응적으로 해상도를 결정/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해상도 정보는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때, 해상도에 대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변수 길이를 기반으로 이진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장 작은 값(즉, 가장 앞에 있는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시그널링되는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높은 해상도부터 낮은 해상도 순서대로 시그널링 인덱스에 매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은 다양한 여러 해상도 중 3가지 해상도가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시그널링 방법을 나타낸다. 이 경우, 3가지 시그널링 비트는 0, 10, 11일 수 있고, 상기 3가지 시그널링 인덱스는 각각 제1 해상도, 제2 해상도, 제3 해상도를 지칭할 수 있다. 제1 해상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1비트가 요구되고, 나머지 해상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2비트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1 해상도를 시그널링하는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제1 해상도, 제2 해상도, 제3 해상도는 각각 1/4, 1, 4 픽셀 해상도로 정의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MV 해상도는 MVD의 해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보상을 도시한다. 기존의 인터 예측 방법에 따르면, 현재 블록에 대한 L0 예측 및 L1 예측 별로 오직 하나의 모션 벡터를 사용하여 인터 예측이 수행되므로, 병진 운동(translation motion)의 예측에 최적화 되었다. 그러나 줌 인/아웃, 회전 및 기타 불규칙적인 운동들에 대한 모션 보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참조 블록(44)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파인 모션 보상에서는 현재 블록(34)과 다른 크기, 모양 및/또는 방향을 갖는 참조 블록(44)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34)의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참조 블록(44)은 비-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현재 블록(34) 보다 크기가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참조 블록(44)은 현재 블록(34)에 어파인 변환을 수행하여 획득될 수 있다. 어파인 변환은 3개의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Control Point Motion Vector, CPMV)를 이용하는 6-파라미터 어파인 변환과, 2개의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를 이용하는 4-파라미터 어파인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는 4-파라미터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어파인 변환의 연산량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기 설정된 개수의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CPMV)들을 사용하여 어파인 모션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CPMV)는 현재 블록의 특정 컨트롤 포인트(또는, 샘플 위치)에 대응하는 모션 벡터이다. 특정 컨트롤 포인트는 현재 블록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상좌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CPMV를 v0(또는, 제1 CPMV)로, 현재 블록의 상우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CPMV를 v1(또는, 제2 CPMV)으로, 현재 블록의 하좌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CPMV를 v2(또는, 제3 CPMV)로 각각 지칭한다. 어파인 모션 예측을 위해 적어도 2개의 CPMV들을 포함하는 CPMV 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v0와 v1을 사용하여 4-파라미터 어파인 모션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실선으로 표시된 현재 블록(36)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의 참조 블록(46)을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현재 블록(36)의 각 샘플은 어파인 변환을 통해 서로 다른 참조 샘플로 매핑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36)의 샘플 위치 (x, y)에서의 모션 벡터(vx, vy)는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v0x, v0y)는 현재 블록(36)의 상좌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제1 CPMV이며, (v1x, v1y)는 현재 블록의 상우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제2 CPMV이다. 또한, w는 현재 블록(36)의 너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파인 모션은 다수의 CPMV 또는 다수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코더/디코더는 v0, v1, v2의 CPMV를 이용하여 어파인 모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6개의 파라미터가 사용되는 경우, v0, v1, v2 세 개의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CPMV)가 어파인 모션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v0, v1, v2 세 개의 벡터 또는 상기 6개의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36)이 어떤 모양의 참조 블록으로부터 예측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선으로 나타낸 현재 블록(36)은 참조 픽쳐에서 도 10의 점선으로 나타낸 참조 블록(46)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즉, 어파인 변환(affine transformation)을 통해 현재 블록(36)의 각 컨트롤 포인트(또는 해당 위치의 픽셀)이 다른 포인트(또는 픽셀)로 매핑될 수 있다. 다음의 수학식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벡터 필드(motion vector field)를 나타낸 식이다.
Figure pat00006
수학식 5에서, 도 10에서의 좌상단(top-left) 코너 컨트롤 포인트의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CPMV v0는 (mv_0^x, mv_0^y)로 표현될 수 있다. 우상단(top-right) 코너 컨트롤 포인트의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CPMV v1는 (mv_1^x, mv_1^y)로 표현될 수 있다. 좌상단(bottom-left) 코너 컨트롤 포인트의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CPMV v2가 (mv_2^x, mv_2^y)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x, y) 위치의 모션 벡터는 (mv^x, mv^y)는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유도(또는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픽셀의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한 모션 벡터는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 v0, v1, v2를 기반으로 수학식 5에 따라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5에서 (x, y)는 블록 안에서의 상대적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 y)는 블록의 좌상단 위치가 (0, 0)인 경우, 상기 좌상단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만약 v0의 위치를 (x0, y0), v1의 위치를 (x1, y1), v2의 위치를 (x2, y2)이라고 가정하고, (x, y)를 v0, v1, v2의 위치와 같은 좌표를 사용하면 수학식 5에서 x와 y는 각각 (x-x0), (y-y0)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블록의 너비를 나타내는 w는 (x1-x0)이고, 블록의 높이를 나타내는 h는 (y2 - y0)일 수 있다.
도 11은 서브블록 기반의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파인 모션 변환을 이용하면 현재 블록의 각 샘플 위치에서의 모션 벡터(즉, 모션 벡터 필드)가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기반의 어파인 모션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블록은 복수의 서브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서브블록의 대표 모션 벡터가 CPMV 세트에 기초하여 획득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서브블록의 대표 모션 벡터는 해당 서브블록의 가운데 샘플 위치에 대응하는 모션 벡터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에는 일반적인 모션 벡터보다 정확도가 높은 모션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보상 보간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어파인 모션 보상이 수행되는 서브블록의 크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은 4X4 또는 8X8과 같이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의 크기 MXN은 아래 수학식 6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w는 현재 블록의 너비이고, MvPre는 모션 벡터의 분수 단위 정확도이다. (v2x, v2y)는 현재 블록의 하좌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제3 CPMV이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학식 5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max(a, b)는 a와 b 중 더 큰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며, abs(x)는 x의 절대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또한, clip3(x, y, z)는 z<x인 경우 x를 반환하고, z>y인 경우 y를 반환하며, 그 외의 경우 z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디코더는 CPMV 세트의 CPMV들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를 획득한다. 또한, 디코더는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각 서브블록의 예측자를 획득하고, 각 서브블록의 예측자를 조합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자를 획득한다. 디코더는 이와 같이 획득된 현재 블록의 예측자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한 컨트롤 포인트 모션 벡터 세트를 획득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한 CPMV 세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한 CPMV 세트는 하나 이상의 주변 블록들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참조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션 벡터 정보는 해당 블록의 모션 벡터를 가리키거나, 해당 블록의 CPMV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모션 벡터 정보 세트는 하나 이상의 블록들의 모션 벡터 정보의 집합을 가리킨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기 설정된 주변 위치를 포함하는 블록을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주변 블록은 기 설정된 주변 위치를 포함하는 코딩 유닛이거나, 상기 주변 위치를 포함하는 기 설정된 단위(예, 4X4, 8X8)의 영역일 수 있다.
현재 블록의 CPMV들을 유도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복수의 후보들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의 CPMV들을 유도하기 위해 참조할 주변 블록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기 위해 참조할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현재 블록의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기 위해 참조할 주변 블록(들)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지시할 수 있다. 디코더는 상기 지시자를 획득하고, 지시자가 지시하는 주변 블록(들)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위한 CPMV 세트의 각 CPMV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로 구성된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는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주변 블록의 모션 벡터 세트이다. 이때, 지시자는 후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지시하는 인덱스일 수 있다. 현재 블록의 CPMV들은 후보 리스트 중에서 상기 지시자(즉, 인덱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참조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하,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 정보(또는, CPMV 세트) 유도를 위한 후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현재 블록의 CPMV 세트를 획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CPMV 세트가 2개의 CPMV 즉, v0와 v1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CPMV는 해당 포인트에 인접한 주변 블록의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v0는 해당 포인트에 인접한 주변 블록들 A, B 및 C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v1은 해당 포인트에 인접한 주변 블록들 D 및 E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주변 블록들 A, B, C, D 및 E의 모션 벡터를 각각 vA, vB, vC, vD 및 vE라 할 때, 후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모션 벡터 정보 세트는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즉, vA, vB, vC 중에서 선택된 v0와, vD, vE 중에서 선택된 v1으로 구성된 (v0, v1) 쌍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v0는 현재 블록의 상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의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되고, v1은 현재 블록의 상우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의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POC(Picture Order Count), 주변 블록의 참조 픽쳐의 POC, 및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의 POC에 기초하여 모션 벡터 스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를 포함하는 후보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으며, 후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리스트에는 다른 방식의 인터 예측을 위한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후보 리스트는 서브블록 기반의 시간적 모션 벡터 예측(SbTMVP)을 위한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는 후보 리스트에서 획득된 모션 벡터 정보 세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CPMV들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후보 리스트에서 획득된 모션 벡터 정보 세트의 모션 벡터들을 별도의 모션 벡터 차분값 없이 현재 블록의 CPMV로 사용함으로 어파인 병합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CPMV를 위한 별도의 모션 벡터 차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디코더는 후보 리스트에서 획득된 모션 벡터 정보 세트의 모션 벡터를 상기 모션 벡터 차분값과 합산하여 현재 블록의 CPMV를 획득할 수 있다. 디코더가 현재 블록의 어파인 모션 보상을 위해 별도의 모션 벡터 차분값을 사용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 또는 인덱스가 별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도 13은 현재 블록의 CPMV 세트를 획득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CPMV는 어파인 모션 보상이 수행된 주변 블록의 모션 벡터 정보 즉, 주변 블록의 CPMV 또는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좌측 주변 블록과 현재 블록의 상측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a)을 참조하면, 좌측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하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들 즉, 좌측 블록 A 및 하좌측 블록 D를 포함한다. 또한, 상측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상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 즉, 상좌측 블록 E와, 현재 블록의 상우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들 즉, 상측 블록 B 및 상우측 블록 C를 포함한다. 디코더는 기 설정된 순서대로 주변 블록이 어파인 모션 보상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한다. 어파인 모션 보상이 수행된 주변 블록이 발견되면, 디코더는 해당 주변 블록의 CPMV 세트(또는,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CPMV 세트를 획득한다. 도 13(b)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좌측 블록 A의 CPMV 세트가 현재 블록의 CPMV 세트를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좌측 블록 A의 CPMV 세트 (v2, v3, v4)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CPMV 세트 (v0, v1)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CPMV를 유도하기 위해 참조할 주변 블록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들의 CPMV 세트들은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전술한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가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는 현재 블록의 좌측 주변 블록의 CPMV들(또는,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된 제1 후보와, 현재 블록의 상측 주변 블록의 CPMV들(또는,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된 제2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하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이며, 상측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상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 또는 현재 블록의 상우측 모서리에 인접한 블록이다. 이와 같이 획득된 모션 벡터 정보 세트 후보를 포함하는 후보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으며, 후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벡터 정보 세트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시자는 현재 블록의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기 위해 참조되는 주변 블록(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디코더는 지시자가 지시하는 주변 블록의 CPMV 세트(또는, 모션 벡터)를 참조하여 현재 블록의 CPMV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CPMV는 해당 포인트에서 가까운 주변 블록의 CPMV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0는 좌측 주변 블록의 CPMV를 참조하여 획득되고, v1은 상측 주변 블록의 CPMV를 참조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는, v0는 주변 블록 A, D 또는 E의 CPMV를 참조하여 획득되고, v1은 주변 블록 B 또는 C의 CPMV를 참조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파인 모션 예측을 위해 CPMV들이 필요할 수 있고, 상기 CPMV들을 기초로 모션 벡터 필드, 즉 서브블록이나 어떤 위치(또는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가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CPMV는 시드 벡터(seed vect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때, CPMV는 예측자를 기초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자가 CPMV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예측자 및 차분(difference)을 기초로 CPMV가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자에 차분을 더하거나 뺌으로써 CPMV가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PMV의 예측자는 주변의 어파인 모션 보상(affine motion compensation(MC)) 블록(즉, 어파인 모드로 부호화된 주변 블록)의 CPMV 또는 MV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위치의 블록이 어파인 모션 예측된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해당 블록의 CPMV 또는 MV로부터 현재 블록의 어파인 모션 보상을 위한 예측자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위치는 도 14에 도시된 A0, A1, B0, B1, B2 위치일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블록에 인접한 위치 및/또는 인접하지 않은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는 공간적으로 이웃하는 기설정된 위치의 CPMV 또는 MV를 참조할 수도 있고, 시간적으로 이웃하는 기설정된 위치의 CPMV 또는 MV를 참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어파인 MC 블록에 기반한 후보는 상속 후보(inherited candidate)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어파인 MC 블록에 기반한 후보는 머지 후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코더/디코더는 기설정된 위치들을 참조할 때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참조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어파인 모션 예측을 위해 CPMV들이 필요할 수 있고, 상기 CPMV들을 기초로 모션 벡터 필드, 즉 서브블록이나 어떤 위치에 대한 모션 벡터가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CPMV는 시드 벡터(seed vect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때, CPMV는 예측자를 기초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자가 CPMV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예측자 및 차분(difference)을 기초로 CPMV가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자에 차분을 더하거나 뺌으로써 CPMV가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주변 블록의 MV를 이용하여 CPMV의 예측자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주변 블록의 MV는 어파인 MC된 블록의 MV가 아닌 경우의 MV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각 CPMV를 유도할 때 각 CPMV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의 MV를 CPMV의 예측자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위치는 그 부분과 인접한 블록에 포함된 부분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인코더/디코더는 CPMV mv0, mv1, mv2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mv0는 좌상측 CPMV를 나타내고, mv1는 우상측 CPMV를 나타내고, mv2는 좌하측 CPMV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기설정된 위치 A, B, C에 해당하는 MV를 mv0에 대한 예측자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는 기설정된 위치 D, E에 해당하는 MV를 mv1에 대한 예측자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는 기설정된 위치 F, G에 해당하는 MV를 mv2에 대한 예측자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의 일 실시예에 따라 CPMV mv0, mv1, mv2의 각 예측자를 결정할 때, 각 컨트롤 포인트 위치에 대한 기설정된 위치를 참조하는 순서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CPMV의 예측자로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가 각 컨트롤 포인트 위치에 대해 다수 존재할 수 있고, 가능한 기설정된 위치의 조합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15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에 따라, 어파인 MC를 위한 후보(또는 예측자)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보는 구성된 후보(constructed candidate)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후보는 인터 후보 또는 가상 후보(virtual candidate)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의 방법에서 인코더/디코더는 기설정된 위치들을 참조할 때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도 12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실시예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어파인 MC의 후보 리스트 또는 어파인 MC의 CPMV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의 수학식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예측자 유도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pat00009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의 어파인 모션 예측된 블록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어파인 모션 예측을 위한 CPMV를 유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학식 8이 사용될 수 있다. 수학식 8에서 주변의 어파인 모션 예측된 블록의 좌상단(top-left), 우상단(top-right), 좌하단(bottom-left) 컨트롤 포인트의 MV는 각각 (v_E0x, v_E0y), (v_E1x, v_E1y), (v_E2x, v_E2y)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어파인 모션 예측된 블록의 좌상단(top-left), 우상단(top-right), 좌하단(bottom-left)의 좌표는 각각 (x_E0, y_E0), (x_E1, y_E1), (x_E2, y_E2) 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인코더/디코더는 수학식 8에 따라 현재 블록의 CPMV의 예측자 또는 CPMV인 (v_0x, v_0y), (v_1x, v_1y)를 계산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파인 모션 예측자 유도 방법을 예시한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앞서 설명한 것처럼 어파인 모션 보상을 위해 다수의 CPMV 또는 다수의 CPMV 예측자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인코더/디코더는 어떤 CPMV 또는 CPMV 예측자로부터 다른 CPMV 또는 CPMV 예측자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2개의 CPMV 또는 2개의 CPMV 예측자를 유도(또는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또다른 CPMV 또는 또다른 CPMV 예측자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수학식 9 및 10를 이용하여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의 CPMV 예측자 또는 CPMV인 mv0, mv1, mv2를 유도(또는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9 및 10에서, x, y는 각각 x-컴포넌트(component), y-컴포넌트를 나타내고, 현재 블록의 크기는 w*h일 수 있다.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을 어파인 MC하기 위해서 CPMV에 대한 예측자를 만들고 이에 차분을 더해서 CPMV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CPMV의 예측자를 생성할 수 있고, CPMV의 차분은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각 CPMV에 대한 차분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 CPMV에 대한 차분이 각각 시그널링될 수 있다. 4-파라미터 모델에서 2개의 CPMV가 이용될 수 있고, 각각의 CPMV의 MV는 각각의 CMPV의 예측자에 mvd0, mvd1를 각각 더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6-파라미터 모델의 경우 3개의 CPMV가 이용될 수 있고, 각각의 CPMV의 MV는 각각의 CMPV의 예측자에 mvd0, mvd1, mvd2를 더함으로써 각각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다음의 수학식 11에 기초하여 모션 벡터 차분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수학식 11에서, 만약, 참조 리스트가 0이면, MvdL0[ x0 ][ y0 ][ compIdx ]는 lMvd[ compIdx ]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compIdx 는 컴포넌트 인덱스를 나타내며, 0,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참조 리스트가 1이면, MvdL1[ x0 ][ y0 ][ compIdx ]는 lMvd[ compIdx ]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앞서 표 1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모션 벡터 차분이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은 상기 수학식 11의 lMvd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코더/디코더는 시그널링된 mvd를 CPMV의 예측자에 대한 차분으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차분은 수학식 11의 MvdL0 및 MvdL1일 수 있다. 수학식 11에서, L0는 참조 리스트 0를, L1은 참조 리스트 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에 대한 어파인 MC를 수행하기 위해서, CPMV에 대한 예측자를 유도하고 이에 차분을 더해서 CPMV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인코더/디코더는 도 14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CPMV의 예측자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CPMV의 차분은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코더/디코더는 다음의 수학식 12 및 13에 기초하여 CPMV를 유도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수학식 12 및 13을 참조하면, 각 CPMV에 대한 차분에 대한 예측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떤 CPMV의 차분을 기초로 다른 CPMV의 차분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CPMV에 대한 차분간의 유사성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즉, CPMV에 대한 차분간 유사하기 때문에 하나의 CPMV에 대한 예측자를 결정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를 이용하여 CPMV에 대한 예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CPMV에 대한 차분 예측자가 시그널링되고, CPMV에 대한 차분 예측자와의 차분이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수학식 12는 4-파라미터 모델이 이용되는 경우를 가정하며, 수학식 13은 6-파라미터 모델이 이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수학식 12 및 13을 참조하면, 인코더/디코더는 CPMV 0인 mv0의 차분(mvd0)에 기초하여 각 CPMV에 대한 차분 및 CPMV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2 및 13의 mvd0, mvd1, mvd2는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앞서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과 비교하면, 수학식 12 및 13의 방법은 앞서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은 같은 예측자를 사용함에도, 시그널링되는 mvd1과 mvd2의 값이 다를 수 있다. CPMV mv0, mv1, mv2의 예측자와의 차분이 유사하다면 수학식 12 및 13의 방법을 사용하면, 앞서 도 15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한 경우보다 mvd1 및 mvd2의 절대값이 적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mvd1과 mvd2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인코더/디코더는 mv1의 예측자와의 차분을 (mvd1+mvd0)로 결정하고, mv2의 예측자와의 차분을 (mvd2+mvd0)로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2 및 13에서 상단 바(bar)로 표시된 것은 CPMV의 예측자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다음의 수학식 14에 기초하여 모션 벡터 차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수학식 12 및 13이 적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일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표 1 또는 후술하는 표 2에 따라 모션 벡터 차분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되는 모션 벡터 차분은 수학식 14의 lMvd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2 및 13에서 시그널링되는 mvd, 즉, mvd0, mvd1, mvd2는 수학식 14의 lMvd일 수 있다. 수학식 14에서, MvdLX는 각 CPMV의 예측자와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mv - mvp)일 수 있다. 이때 수학식 12 및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MV 0에 대해서는 시그널링된 모션 벡터 차분을 바로 CPMV에 대한 차분(MvdLX)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CPMV에 대해서는 시그널링된 모션 벡터 차분(수학식 12 및 13에서 mvd1, mvd2)와 CPMV 0에 대해 시그널링된 모션 벡터 차분(수학식 12 및 13에서 mvd0)를 기초로 CPMV의 차분인 MvdLX로 사용할 수 있다.
수학식 14에서 LX는 참조 리스트 X를 나타낼 수 있다. compIdx는 컴포넌트 인덱스를 나타내며, x, y 컴포넌트를 나타낼 수 있다. cpIdx는 컨트롤 포인트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cpIdx는 수학식 12 및 13에서 나타내는 0, 1 또는 0, 1, 2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표 1, 수학식 14, 표 2에서 인코더/디코더는 모션 벡터 차분의 해상도(resolution)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R일 때 수학식 14의 lMvd으로 lMvd*R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벡터 차분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16
표 2를 참조하면, 앞서 표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방법으로 모션 벡터 차분이 코딩될 수 있다. 이때, cpIdx 및/또는 컨트롤 포인트 인덱스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모션 벡터 차분에 대한 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록 기반 시간(subblock-based temporal) MVP(SbTMVP)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시간(temporal) 이웃 블록의 모션 벡터를 서브블록 단위로 가져올(또는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에 해당하는 모션 벡터들을 다른 픽쳐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은 CU, 서브블록은 sub-CU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픽쳐는 콜로케이티드 픽쳐(collocated pictur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bTMVP는 서브 블록 기반 시간 머지 후보, ATMVP(alternative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bTMVP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에 대응되는 블록(대응 블록, 참조 블록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다른 픽쳐에서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응 블록은 콜로케이티드 블록(collocated block)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콜로케이티드 블록은 현재 블록의 우하단 또는 중앙 위치 등의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다른 픽쳐의 블록으로 결정될 수 있다. SbTMVP에서 콜로케이티드 블록은 모션 보상된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 주변의 모션 벡터를 참조하여 콜로케이티드 블록을 찾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콜로케이티드 블록은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들 중 A1 위치의 모션 벡터만큼 다른 픽쳐 내에서 현재 블록 위치로부터 이동한 위치의 블록이 콜로케이티드 블록으로 결정(또는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때 콜로케이티드 블록을 지시하는(또는 향하는) 모션 벡터는 현재 블록 주변의 기설정된 위치들을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스캔하며 탐색한 후보의 모션 벡터를 기초로 유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콜로케이티드 블록을 지시하는 모션 벡터는 머지 후보 리스트의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머지 후보 리스트 내 첫 번째 머지 후보를 이용하여 콜로케이티드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콜로케이티드 블록의 서브블록의 모션 정보로부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의 모션 정보를 결정(또는 유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션 벡터는 그 표현에도 불구하고 모션 벡터, 참조 인덱스, 참조 리스트 이용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의 모션 정보의 기초가 되는 콜로케이티드 블록의 서브블록은 서로 블록(CU)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두 서브블록은 블록 내에서 동일한 상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bTMVP가 이용되는 경우, 서브블록 크기는 미리 정의된 크기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x8 크기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서브블록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이때 가변적인 서브블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CTU 또는 CU 단위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크기는 4x4 또는 8x8 크기로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너 MVP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플래너 MVP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 단위의 모션 벡터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는 플래너 MVP 방법을 통해 주변의 모션 벡터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플래너 MVP 방법에서 인코더/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주변 모션 벡터를 선형 가중합(linear weighted summation)에 기초하여 서브블록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주변 모션 벡터는 인접한 블록의 모션 벡터로부터 외삽(extrapolation)한 모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하측 또는 우측 위치의 모션 벡터를 인접한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외삽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에 해당하는 모션 벡터 P(x,y)는 P_h(x,y) 또는 P_v(x,y)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7에서 W, H는 각각 현재 블록의 너비, 높이를 나타낸다. 이때, P_h(x,y)는 L(-1,y) 또는 R(W,y)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L(-1,y)는 현재 서브블록의 좌측의 현재 블록에 인접한 위치의 서브블록에 해당하는 모션 벡터일 수 있다. 또한 R(W,y)는 현재 블록의 우상측 위치에 해당하는 모션 벡터와 현재 블록의 우하측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 모션 벡터를 기초로 한 값일 수 있다. P_v(x,y)는 A(x,-1) 또는 B(x,H)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A(x,-1)은 현재 서브블록의 위쪽의 현재 블록과 인접한 서브블록에 해당하는 모션 벡터일 수 있다. 또한, B(x,H)는 현재 블록의 좌하단 위치에 해당하는 모션 벡터와 현재 블록의 우하단 위치에 해당하는 우상측 모션 벡터를 기초로 가중합된 값일 수 있다.
다음의 표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 예측 방법은 스킵 모드, 머지 모드, 인터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킵 모드에서는 잔차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에서 머지 모드와 같은 MV 결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킵 모드 사용 여부는 스킵 플래그(skip flag)(또는 신택스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cu_skip_flag 값에 따라 스킵 모드 사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u_skip_flag는 현재 CU에 스킵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모션 벡터 차분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인코더/디코더는 모션 후보 인덱스(Motion candidate index)를 기초로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머지 모드 사용 여부는 머지 플래그(merge flag)(또는 신택스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머지 플래그(즉, merge_flag) 값에 따라 머지 모드 적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머지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리스트 셋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보 리스트 셋은 머지 후보를 이용한 후보 리스트 및/또는 서브블록 기반 머지 후보를 이용한 후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후보는 공간 이웃 후보(spatial neighboring candidate), 시간 이웃 후보(temporal neighboring candid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후보는 현재 블록(CU) 전체에 대한 모션 벡터를 사용하는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에 속하는 각 서브블록의 모션 벡터가 동일한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블록 머지 후보는 서브블록 기반 시간 모션 벡터(subblock-based temporal MV), 어파인 머지 후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서브블록 머지 후보는 현재 블록(CU)의 서브블록 별로 다른 모션 벡터를 사용하는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파인 머지 후보는 모션 벡터 차분 없이 어파인 모션 예측의 CPMV를 결정하는 머지 후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브블록 머지 후보는 현재 블록에서 서브블록 단위로 모션 벡터를 결정하는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머지 후보는 앞서 언급한 서브블록 기반 시간 MV와 어파인 머지 후보 이외에도 플래너 MV, 회귀 기반(regression based) MV, STMV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 모드에서 인코더/디코더는 모션 벡터 차분을 사용할 수 있다. 모션 후보 인덱스를 기초로 모션 벡터 예측자를 결정하고 상기 모션 벡터 예측자와 모션 벡터 차분을 기초로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 모드 사용 여부는 다른 모드들의 사용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인터 모드 사용 여부는 플래그(또는 신택스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표 3에서는 다른 모드들인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인터 모드를 사용하는 예를 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 모드는 AMVP 모드, 어파인 인터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 모드는 모션 벡터 예측자와 모션 벡터 차분을 기초로 모션 벡터를 결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어파인 인터 모드에서 인코더/디코더는 어파인 모션 예측의 CPMV를 결정할 때 모션 벡터 차분을 사용할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인코더/디코더는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로 결정한 후, 서브블록 머지 후보를 사용할 지 또는 머지 후보를 사용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서브블록 머지 후보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조건은 블록 크기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너비, 높이, 영역 등에 관한 조건일 수 있고, 상기 조건들이 조합된 조건일 수도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조건은 현재 블록(CU)의 너비 및 높이가 특정값 이상인지 여부일 수 있다.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그 값을 0으로 추론(infer)할 수 있다. 인코더/디코더는 만약 merge_subblock_flag가 1인 경우 서브블록 머지 후보를 사용하고, 0인 경우 머지 후보를 사용할 수 있다. 서브블록 머지 후보를 사용하는 경우, 후보 리스트(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 내 특정 후보를 지시하는 인덱스(또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내는 merge_subblock_idx를 파싱할 수 있고, 머지 후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후보 리스트(머지 후보 리스트) 내 특정 후보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나타내는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인코더/디코더는 이때 후보 리스트의 최대 개수가 1인 경우에는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리스트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에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merge_subblock_idx 또는 머지 인덱스를 파싱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코더/디코더는 그 값을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상술한 표 3은 코딩 유닛 함수를 예시하며, 인트라 예측(intra prediction) 관련 내용은 생략된 것일 수 있으며, 표 3은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의 예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 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표 3에서 서브블록 머지 후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 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서브블록 크기를 고려하여 후보를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지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크기들은 블록 또는 서브블록의 너비 또는 높이 또는 영역 등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블록 머지 후보에 속할 수 있는 다수의 후보가 있을 때 상기 다수의 후보의 서브블록 크기가 다른 경우에 현재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후보에 대하여 현재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는 조건은 상기 어떤 후보의 서브블록 크기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리스트 추가 전) 후보는 어떤 MVP 방법, 모드 등을 말할 수 있고, MVP나 MV 만드는 방법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는 후보는 현재 블록에 대해 사용 가능한 후보, MVP 방법, 모드 등을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블록 크기 조건에 따라 어떤 후보를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어떤 블록 크기 임계값(threshold)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후보를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크기 조건 또는 임계값은 상기 어떤 후보의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서브블록 기반 예측 방법은 서브블록 크기보다 크거나 서브블록 크기보다 충분히 큰 블록에서 서브블록 기반 예측을 통해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크기와 같거나 서브블록 크기보다 작은 블록의 경우 서브블록 기반 예측을 적용한다 하여도 서브블록 단위의 모션 정보를 획득하지 못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압축 효율에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블록의 크기가 기설정된 사이즈이거나 또는 기설정된 사이즈 미만일 때 인코더/디코더는 제1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현재 블록이 상기 기설정된 사이즈 이상일 때 제2 후보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후보 리스트 2에 속하는 후보 종류는 후보 리스트 1에 속하는 후보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의 서브블록 크기는 제1 서브블록 크기로 설정되고, 제2 모드의 서브블록 크기는 제2 서브블록 크기로 설정된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이 기설정된 사이즈일 때 제2 모드만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고, 현재 블록이 기설정된 사이즈보다 클 때 제1 모드과 제2 모드 모두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블록 크기는 8x8이고, 상기 제2 서브블록 크기는 4x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사이즈는 8x8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설정된 사이즈는 너비(또는 높이)가 8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제1 모드는 SbTMVP이고, 제2 모드는 어파인 머지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블록 기반 머지 후보 리스트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또는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먼저 i =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 만약, ( availableFlagSbCol && blockSizeCondition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는 SbCol로 설정된다. 즉, SbCol이 후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subblockMergeCandList[ i++ ]는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 내에서 i++번째 서브블록 머지 후보를 나타내고, SbCol는 서브블록 기반 시간 머지 후보(또는 SbTMVP)를 나타낸다.
- 만약, ( availableFlagA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A로 설정된다. 즉, A 후보(또는 A 위치의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 만약, ( availableFlagB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B로 설정된다. 즉, B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 만약, ( availableFlagConst1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Const1 로 설정된다. 즉, Const1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Const1는 전술한 구성된 후보 중 첫 번째 후보를 나타낸다.
- 만약, ( availableFlagConst2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Const2 로 설정된다. 즉, Const2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Const2는 전술한 구성된 후보 중 두 번째 후보를 나타낸다.
- 만약, ( availableFlagConst3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Const3 로 설정된다. 즉, Const3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Const3는 전술한 구성된 후보 중 세 번째 후보를 나타낸다.
- 만약, ( availableFlagConst4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Const4 로 설정된다. 즉, Const4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Const4는 전술한 구성된 후보 중 네 번째 후보를 나타낸다.
- 만약, ( availableFlagConst5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Const5 로 설정된다. 즉, Const5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Const5는 전술한 구성된 후보 중 다섯 번째 후보를 나타낸다.
- 만약, ( availableFlagConst6 && i < MaxNumSubblockMergeCand ) 값이 참이면, subblockMergeCandList[ i++ ] 는 Const6 로 설정된다. 즉, Const1 후보가 다음 후보로 추가될 수 있다. Const6는 전술한 구성된 후보 중 여섯 번째 후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미리 정의된 블록 크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SbCol 후보를 후보 리스트인 subblockMergeCandList에 추가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SbTMVP를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블록 크기 조건은 SbTMVP의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블록 크기 조건은 (cbWidth >= 16 && cbHeight >= 16) 일 수 있다. 여기서, cbWidth는 현재 코딩 블록의 너비, cbHeight는 현재 코딩 블록의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A, B, Const1, Const2, Const3, Const4, Const5, Const6는 어파인 머지 후보일 수 있다. A, B는 어파인 상속 후보고, ConstX(X는 1 내지 6 중 하나)는 어파인 구성된 후보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의 블록 크기 조건에 따라 후보 인덱스 파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후보가 존재할 때 상기 다수의 후보 중 1개를 제외한 후보 모두가 블록 크기 조건 및 다른 조건에 의해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는 후보가 2개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블록 크기 조건에 따라 후보 인덱스 파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는 후보 2개 중 1개가 블록 크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의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 관련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크기가 서브블록 크기보다 큰 경우에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는 후보가 다수 있고 그 다수의 후보의 서브블록 크기가 같을 때 현재 블록의 크기가 서브블록 크기보다 큰 경우에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서브블록 크기가 8x8일 때 현재 블록 크기가 16x16 이상인 경우(또는 너비 또는 높이가 16 이상인 경우)에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함은 서브블록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파싱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브블록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merge_subblock_flag, inter_affine_flag 등일 수 있다. 표 4에서, 앞서 표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 4를 참조하면, 디코더는 merge_subblock_flag 및 inter_affine_flag를 cbWidth >= 16이고, cbHeight >= 16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파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 크기가 서브블록 크기보다 큰 경우뿐만 아니라 서브블록 크기와 같은 경우에도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서브블록 모드의 모션 보상 방법이 서브블록 이외의 모드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는 서브블록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다음의 표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 관련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너비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거나 현재 블록의 높이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의 너비 또는 높이가 서브블록 크기의 한 변의 크기와 같더라도 같지 않은 너비나 높이가 서브블록 크기의 한 변의 크기(또는 다른 한 변의 크기)보다 크면 현재 블록 내에 다수의 서브블록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블록의 너비가 서브블록의 너비보다 크거나 현재 블록의 높이가 서브블록의 높이보다 큰 경우에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의 너비가 서브블록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거나 현재 블록의 높이가 서브블록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표 5에서, 앞서 표 3 및 표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표 5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의 너비가 8 이상이거나 현재 블록의 높이가 8 이상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의 너비가 16 이상이거나 현재 블록의 높이가 16 이상일 때 디코더는 어파인 인터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표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록 머지 관련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위에서 특정 모드의 사용 가능 여부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한 경우, 인코더 제1 단위에 속하는 제2 단위에서 상기 어떤 모드를 실제 사용하는지 여부를 디코더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위에서의 시그널링 값에 따라 제2 단위에서 신택스 요소에 대한 파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위는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타일 등일 수 있고, 상기 제2 단위는 CTU, CU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모드는 서브블록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는 상위 단위로, 제2 단위는 하위 단위로 지칭될 수 있다.
표 6을 참조하면, 서브블록 모드에 속하는 모드들의 서브블록 크기 가 모두 같거나 서브블록 크기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서브블록 모드 사용 여부 시그널링 파싱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모드에 속하는 모드가 다수 존재하고 서브블록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의 상위 단위의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도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상위 단위의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에 하위 단위에서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단위의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은 모드 다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하는 이웃 블록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가 존재할 때 이 모드들 다수에 대한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블록 크기 조건 등의 조건과 조합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 가능함은 서브블록 모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파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앞선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표 6을 참조하면, 디코더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속하는 어파인 머지 모드와 SbTMVP 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sps_affine_enabled_flag와 sps_sbtmvp_enabled_flag 중 적어도 하나가 1인 경우에만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표 7을 참조하면, 서브블록 모드에 속하는 모드들의 서브블록 크기가 다를 수 있는 경우, 디코더는 이를 고려하여 서브블록 모드 사용 여부를 지시하는 신택스 요소를 파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모드에 속하는 어떤 모드의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과 상기 모드의 블록 크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모드에 속하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존재하고, 제1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시그널링 및 제2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시그널링이 사용되고, 제1 모드의 제1 블록 크기 조건과 제2 모드의 제2 블록 크기 조건이 있을 때,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시그널링이 사용 가능함을 지시하고 제1 블록 크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시그널링이 사용 가능함을 지시하고 제2 블록 크기 조건을 만족한는 경우에 인코더/디코더는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표 7을 참조하면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포함되는 어파인 머지 모드 및 SbTMVP의 사용 가능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인 sps_affine_enabled_flag와 sps_sbtmvp_enabled_flag가 인코더로부터 디코더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디코더는 다음의 수학식 15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코더는 다음의 수학식 15를 만족시키는 경우 merge_subblock_flag를 신택스 시그널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025
또한, 표 7에서는 어파인 머지 모드의 블록 크기 조건이 (cbWidth >= 8 && cbHeight >= 8) 이고, SbTMVP의 블록 크기 조건이 (cbWidth >= 16 && cbHeight >= 16) 인 경우를 예시한다.
다음의 표 8은 표 7의의 조건을 이용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신택스이다.
Figure pat00026
서브블록 모드에 속하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있고, 제1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과 제2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제2 시그널링이 있고, 제1 모드의 제1 블록 크기 조건 1과 제2 모드의 블록 크기 조건 2가 있을 때, 만약 제1 블록 크기 조건이 제2 블록 크기 조건에 포함되는 경우(즉 제1 블록 크기 조건을 만족시키면 제2 블록 크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다음의 수학식 16과 같이 인코더/디코더는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 가능할 수 있다.
Figure pat00027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든 서브블록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모든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더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에만 하위 단위 시그널링을 파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서브블록 모드를 사용하는 블록 크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서브블록 크기가 가변적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가능한 서브블록 크기 중 큰 크기를 기초로 블록 크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의 표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록 머지 관련 신택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위에서 특정 모드의 사용 가능 여부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한 경우, 인코더 제1 단위에 속하는 제2 단위에서 상기 어떤 모드를 실제 사용하는지 여부를 디코더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위에서의 시그널링 값에 따라 제2 단위에서 신택스 요소에 대한 파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위는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타일 등일 수 있고, 상기 제2 단위는 CTU, CU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모드는 서브블록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는 상위 단위로, 제2 단위는 하위 단위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위 단위의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은 모드 다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하는 이웃 블록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가 존재할 때 이 모드들 다수에 대한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을 참조하여 후보 인덱스 파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중 하나 이상이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다수의 모드(이때, 상기 모드는 후보 리스트내 후보로서 포함되는 단위를 나타낼 수 있음)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들은 제1 플래그, 제2 플래그, 제3 플래그, ..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모드(후보; 후보 리스트의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단위)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들을 A 플래그, B 플래그, C 플래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즉 (제1 플래그 || 제2 플래그 || 제3 플래그, ..) 일 때(즉, 플래그 값 1이 사용 가능을 나타내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0개나 1개 존재하는 경우 또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없는 모드가 0개나 1개 존재하는 경우에,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즉, (제1 플래그 || 제2 플래그 || 제3 플래그, ..) 일 때(플래그 값 1이 사용 가능을 나타내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 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1개 존재하고,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없는 모드가 1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의 값에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다수와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즉 (제1 플래그 || 제2 플래그 || 제3 플래그, .. || A 플래그) 일 때(플래그 값 1이 사용 가능을 나타내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만약 후보 인덱스를 파싱하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리스트의 유일한 후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하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표 9를 참조하면 어파인 머지 모드와 SbTMVP가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해당할 수 있고, 어파인 머지 모드는 이 방법으로부터 다수의 후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파인 머지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는 sps_affine_enabled_flag 신택스 요소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ps_affine_enabled_flag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에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인 merge_subblock_idx를 파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다수 중 적어도 2개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할 때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즉 (A 플래그 + B 플래그 + C 플래그 +.. >= 2)일 때(플래그 값 1이 사용 가능을 나타내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없는 모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2개 이상 존재하고,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다수 중 적어도 2개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거나 다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다수 중 적어도 1개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할 때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즉 ((제1 플래그 || 제2 플래그 || 제3 플래그 ..) || (A 플래그 + B 플래그 + C 플래그 +.. >= 2))일 때(플래그 값 1이 사용 가능을 나타내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없는 모드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이 없는 모드가 1개 존재하는 경우, 위에서 하나의 모드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 시그널링 다수 중 적어도 2개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할 때가 아니라 적어도 1개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할 때 후보 인덱스를 파싱 할 수 있다. 즉 (A 플래그 + B 플래그 + C 플래그 +.. >= 2))가 아니고 (A 플래그 || B 플래그 || C 플래그 +.. ) 일 때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표 10을 참조하면 서브블록 머지 모드는 어파인 머지 모드와 SbTMVP, 플래너 MVP를 포함할 수 있다. 어파인 머지 모드는 다수의 후보로서 구성될 수 있다. SbTMVP는 1개의 후보로서 구성될 수 있다. 플래너 MVP는 1개의 후보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 sps_affine_enabled_flag, sps_sbtmvp_enabled_flag, sps_planar_enabled_flag 신택스 요소를 이용하여 또한 어파인 머지 모드, SbTMVP, 플래너 MVP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 사용 가능 여부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sps_affine_enabled_flag가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거나 sps_sbtmvp_enabled_flag와 sps_planar_enabled_flag 모두 사용 가능하다(또는 sps_sbtmvp_enabled_flag와 sps_planar_enabled_flag 중 2개 이상이 사용 가능하다)고 지시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후보 인덱스인 merge_subblock_idx를 파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ps_sbtmvp_enabled_flag와 sps_planar_enabled_flag이 모두 사용 가능함은 (sps_sbtmvp_enabled_flag + sps_planar_enabled_flag >= 2)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TMVP 사용 가능 조건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하에서, availableFlagSbCol는 SbTMVP 사용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또는 플래그)를 나타낸다.
- 만약, 하나 이상의 다음 조건이 참인 경우, availableFlagSbCol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1) tile_group_temporal_mvp_enable_flag 가 0인 경우.
2) sps_sbtmvp_flag 가 0인 경우.
3) cbWidth 이 8보다 작은 경우.
4) cbHeight 이 8보다 작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bTMVP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는 이용가능성 플래그(availability flag)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SbTMVP가 사용 가능한지 나타내는 이용가능성 플래그는 availableFlagSbCol일 수 있다. 또한, SbTMVP는 SbCol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이용가능성 플래그가 1인 경우 사용 가능함을 지시하고, 이용가능성 플래그가 0인 경우 사용할 수 없음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bTMVP를 사용할 수 없는 조건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앞서 설명한 상위 단위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SbTMVP를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현재 블록 또는 CU 또는 PU에 대한 상위 단위는 슬라이스, 타일, 타일 그룹, 시퀀스, 픽쳐, CTU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위 단위 시그널링은 tile_group_temporal_mvp_enable_fla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ile_group_temporal_mvp_enable_flag는 시간 모션 벡터 (또는 시간 모션 벡터 prediction)가 사용 가능한지 나타내는 플래그를 나타낸다. SbTMVP는 시간 모션 벡터를 사용하는 기술일 수 있기 때문에 시간 MV 사용이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SbTMVP를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위 단위 시그널링은 sps_sbtmvp_flag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ps_sbtmvp_flag는 SbTMVP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블록 크기에 기초하여 SbTMVP를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블록 크기는 블록의 너비, 블록의 높이, 또는 블록의 너비나 높이에 기초한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너비나 높이에 기초한 값은 블록의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의 너비 또는 높이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SbTMVP를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임계값은 서브블록의 너비 또는 높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값은 8로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SbTMVP를 사용할 수 없는 조건을 만족하면, 인코더/디코더는 SbTMVP에 해당하는 이용가능성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그렇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하여 이용가능성 플래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모션 벡터의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콜로케이티드 블록을 가리키는 모션 벡터를 임시 모션 벡터로 지칭한다. 상기 임시 모션 벡터는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으며, 초기 모션 벡터, 시간 모션 벡터, 서브블록 기반 머지 베이스 모션 벡터(subblock-based temporal merging base MV) 또는 베이스 모션 벡터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인코더/디코더는 초기 모션 벡터, 시간 모션 벡터, 서브블록 기반 머지 베이스 모션 벡터 또는 베이스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전술한 콜로케이티드 블록을 특정하는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 주변의 위치의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블록 주변의 위치는 기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블록 주변의 위치는 머지 후보의 공간 후보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현재 블록 주변의 위치는 AMVP 후보의 공간 후보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A0, A1, B0, B1, B2에 해당하는 위치는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위치는 휘도 위치을 뜻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좌상단 위치를 (xCb, yCb)라고 할 때 A0, A1, B0, B1, B2는 각각 (xCb - 1, yCb + cbHeight), (xCb - 1, yCb + cbHeight - 1), (xCb + cbWidth, yCb - 1), (xCb + cbWidth - 1, yCb - 1), , (xCb - 1, yCb - 1) 일 수 있다. 이때 cbWidth, cbHeight는 각각 현재 블록의 너비와 높이일 수 있다. 또한 (xCb, yCb)는 공유 머지 리스트 영역의 좌상단 위치일 수 있다. 다수의 블록이 같은 머지 후보 리스트를 사용할 때 그 다수의 블록 영역이 공유 머지 리스트 영역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위치들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참조 순서가 존재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1은 상기 기설정된 참조 순서를 예시하는 표이다.
Figure pat00030
표 11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위치들은 predefinedPosition1, predefinedPosition2, ..., predefinedPositionN 등일 수 있다. 또한 predefinedPosition1, predefinedPosition2, ..., predefinedPositionN 로 참조 순서가 기설정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참조 순서는 머지 후보 리스트 construction의 참조 순서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참조 순서는 AMVP 후보 리스트 construction의 참조 순서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위치 및 참조 순서는 A1, B1, B0, A0일 수 있다. 또는 predefinedPosition1, predefinedPosition2, ..., predefinedPositionN는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표 11에서, 임시 모션 벡터는 제로 모션 벡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만약 기설정된 위치의 모션 정보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인코더/디코더는 임시 모션 벡터를 제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위치의 모션 정보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모션 정보를 임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것의 의미는 해당 위치가 인트라 예측이 아닌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 가능한 것의 의미는 해당 위치가 인터 예측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 가능한 것의 의미는 해당 위치의 모션 정보의 참조 픽쳐가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콜로케이티드 픽쳐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 가능한 것의 의미는 해당 위치의 모션 정보의 참조 픽쳐가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참조 픽쳐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1에서, 기설정된 위치 중 제1 사용 가능 조건 1을 만족하는 첫 번째 해당 위치의 모션 정보에 대해 제2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제2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해당 위치의 모션 정보를 임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의 경우는 인코더/디코더는 임시 모션 벡터를 제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을 의사 코드(pseudo code)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2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31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기설정된 위치 중 첫 번째만 임시 모션 벡터로 사용할 수 있기 위해 위의 표 12에서 else if 구문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 가능 조건, 제2 사용 가능 조건은 상술한 사용 가능한 것의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 가능 조건은 해당 위치가 인터 예측을 사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 가능 조건은 해당 위치의 모션 정보의 참조 픽쳐가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콜로케이티드 픽쳐와 같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만약 어떤 위치가 제1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고 제2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떤 위치보다 뒤에 참조하는 위치들을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코더/디코더는 기설정된 위치 중 제1 사용 가능 조건과 제2 사용 가능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첫 번째 해당 위치의 모션 정보를 임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의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임시 모션 벡터를 제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을 의사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3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32
표 13에서 만약 어떤 위치가 제1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고 제2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떤 위치보다 인코더/디코더는 뒤에 참조하는 위치들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위치는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의사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4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33
즉, 인코더/디코더는 하나의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션 정보가 사용 가능한 경우 임시 모션 벡터를 해당 모션 정보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임시 모션 벡터를 제로 모션 벡터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하나의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블록의 좌측 위치일 수 있다. 즉, 상기 하나의 기설정된 위치의 x 좌표는 현재 블록 내부의 좌측 좌표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기설정된 위치는 A1 위치일 수 있다.
상술한 의 실시예들에서 사용 가능 조건을 제1 사용 가능 조건 및 제2 사용 가능 조건의 두 가지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사용 가능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정보는 모션 벡터 (mvLX), 참조 인덱스 (refIdxLX), 예측 사용 플래그(prediction utilization flag)(predFlagL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 가능 조건을 확인하고, 임시 모션 벡터를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즉, availableFlagN이 참인 경우,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A. 만약 아래의 모든 조건이 참인 경우, 임시 모션 벡터는 mvL1N으로 설정될 수 있다.
a. predFlagL1N이 1인 경우
b. DiffPicOrderCnt(ColPic, RefPicList1[refIdxL1N]) 이 0인 경우
c. DiffPicOrderCnt(aPic, currPic) 0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aPic은 슬라이스(또는 타일 그룹)의 모든 참조 픽쳐 리스트 내 모든 픽쳐를 나타냄
d. tile_group_type이 B와 같은 경우
e. collocated_from_l0_flag가 0과 같은 경우
B.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의 조건이 모두 참인 경우, 임시 모션 벡터는 mvL0N 으로 설정될 수 있다.
a. predFlagL0N이 1인 경우
b. DiffPicOrderCnt(ColPic, RefPicList0[refIdxL0N])이 0인 경우
여기서, availableFlagN이 참인 것은 제1 사용 가능 조건을 만족함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위에서 설명한 하나의 기설정된 위치만 사용하는 실시예에서는 availableFlagN이 될 수 있는 파라미터가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availableFla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1 위치만 사용하는 경우 availableFlagN은 availableFlagA1일 수 있고, 이것은 A1 위치의 모션 정보를 사용 가능한지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TMVP 사용 여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1901)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1901)이 속한 머지 리스트 공유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모드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1901)의 위치에 기초하여 SbTMVP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1901)이 속한 머지 리스트 공유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SbTMVP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현재 블록(1901)의 위치 또는 현재 블록이 속한 머지 리스트 공유 영역의 위치는 좌상단 좌표이거나 좌상단 좌표를 기준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1901)의 위치 또는 현재 블록(1901)이 속한 머지 리스트 공유 영역의 위치는 상위 그룹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일 수 있다. 상위 그룹은 픽쳐, 타일, 타일 그룹, CTU, 슬라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위 그룹은 현재 블록이 속한 그룹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블록(1901)의 픽쳐(1902) 내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SbTMVP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현재 블록 또는 현재 블록이 머지 리스트 공유 영역을 현재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현재 영역이 상위 그룹의 경계에 접했는지에 기초하여 SbTMVP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영역이 상위 그룹의 경계에 접한 경우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도 19에서 설명한 현재 영역에 해당하는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가 상위 그룹을 벗어나는지에 기초하여 SbTMVP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영역에 해당하는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가 모두 상위 그룹을 벗어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영역에 해당하는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가 모두 상위 그룹을 벗어나는지는 현재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재 영역에 해당하는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가 모두 상위 그룹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임시 모션 벡터로 제로 모션 벡터가 사용되고, 이에 따라 SbTMVP의 예측 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 경우 SbTMVP를 사용 불가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SbTMVP와 동일한 신택스 요소를 통해 시그널링하는 다른 모드를 보다 적은 비트 수를 이용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것처럼 SbTMVP와 어파인 머지 모드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포함될 수 있고, SbTMVP를 사용 불가한 것으로 정하는 경우 어파인 머지 모드를 더 적은 인덱스를 이용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인덱스 0은 항상 어파인 머지 모드를 가리킬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영역의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A1 위치(1903)만 참조할 수 있다. 만약 A1 위치(1903)의 모션 정보가 사용 불가한 경우, 제로 모션 벡터를 임시 모션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영역이 픽쳐(1902)의 좌측 경계에 접한 경우 임시 모션 벡터는 항상 제로 모션 벡터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영역이 픽쳐(1902)의 좌측 경계에 접한 경우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픽쳐(1902)의 좌측 경계 뿐만 아니라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좌측 경계에 접한 경우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는 타일, 타일 그룹, 슬라이스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영역의 좌상단 좌표가 (xCb, yCb)인 경우 xCb가 0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픽쳐(1902)의 좌측 경계에 접한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SbTMVP를 사용하지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xCb -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좌측 좌표)) 가 0인 경우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만약 현재 영역의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 영역의 상단만 참조하는 경우 현재 영역이 픽쳐(1902) 또는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상측 경계에 접한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서,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 판단하는 조건을 설명하였는데, 이 조건에 추가적으로로 블록 크기와 관련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현재 영역의 좌표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키시고 블록 크기와 관련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블록 크기와 관련된 조건은 현재 블록의 블록 크기가 서브블록 크기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현재 블록 크기가 서브블록 크기 이하인 경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은 1개 뿐이고, 이 경우 SbTMVP의 장점 및 성능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크기는 8x8일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나올 수 있다. 만약 현재 영역이 픽쳐의 좌측 경계에 접해 있고 현재 블록이 8x8 이하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8x8 이상이 블록에서만 사용 가능한 실시예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영역이 픽쳐(1902)의 좌측 경계에 접해 있고 현재 블록(1901)이 8x8인 경우 SbTMVP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SbTMVP 사용 가능 조건을 나타내는 이용 가능성 플래그는 앞서 설명한 조건 외에 xCb가 0이고,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가 8인지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즉, xCb가 0이고,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가 8인 경우, 이용 가능성 플래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조건 및 전술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이용 가능성 플래그는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bTMVP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가 이용 가능성 플래그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다. 또한 어떤 조건을 만족시킬 때 SbTMVP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어떤 조건을 만족시킬 때 인코더/디코더는 avilableFlagSbCol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인코더/디코더는 availableFlagSbCol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현재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xCb, yCb)에 기초하여 인코더/디코더는 availableFlagSbCol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Cb, yCb)는 현재 영역의 좌상단 좌표일 수 있다.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영역 또는 현재 블록이 픽쳐의 좌측 경계에 접해있는 경우 SbTMVP가 이용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xCb가 0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avilableFlagSbCol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현재 영역 또는 현재 블록이 픽쳐의 좌측 경계에 접해있고, 현재 블록이 8x8인 경우 SbTMVP가 이용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xCb가 0이고, 현재 블록의 너비와 높이가 모두 8인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avilableFlagSbCol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블록 머지 모드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pat00034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블록 머지 모드(또는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는 SbTMVP 및/또는 어파인 머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파인 모드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또는 플래그)를 sps_affine_enabled_flag는 상위 레벨의 신택스를 통해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위 레벨은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또는 CTU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앞서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bTMVP가 사용(또는 적용) 불가능 조건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bTMVP 사용 불가능 조건을 만족하고, 어파인 모드가 사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erge_subblock_flag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사용함을 지시하는 시그널링일 수 있다. 만약, merge_subblock_flag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그 값을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어파인 모드가 사용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sps_affine_enabled_flag가 0인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SbTMVP를 사용가능한 경우 또는 어파인 모드가 사용가능한 경우에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는 조건은 상술한 조건 외에 추가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5를 참조하면,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을 결정하기 위하여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MaxNumSubblockMergeCand와 관련된 조건, 블록 크기와 관련된 조건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표 15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의 좌상단 좌표의 x 값인 x0가 0이고, 어파인 모드가 사용가능한지 나타내는 sps_affine_enabled_flag가 0인 경우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x0가 0이 아니거나 sps_affine_enabled_flag가 1인 경우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SbTMVP 및 어파인 머지 모드가 포함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브블록 머지 모드에 또다른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머지 모드는 SbTMVP에 추가적으로 제1 모드,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 제2 모드가 각각 사용가능한지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 sps_mode1_enabled_flag, sps_mode2_enabled_flag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경우 SbTMVP 사용 불가능 조건을 만족하면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모두 사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erge_subblock_flag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만약, SbTMVP 사용 불가능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제1 모드가 사용가능하거나, 또는 제2 모드가 사용가능한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하는 조건은 상술한 조건 외에 추가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5를 참조하면, merge_subblock_flag를 파싱을 결정하기 위하여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MaxNumSubblockMergeCand와 관련된 조건, 블록 크기와 관련된 조건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파인 모드가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axNumSubblockMergeCand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인코더/디코더는 어파인 모드가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지 않고, SbTMVP가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MaxNumSubblockMergeCand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파인 모드가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지 않고 SbTMVP가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MaxNumSubblockMergeCand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TMVP 유도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가변적일 수 있다. 또는, 특정 블록에 대한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하나로 설정될 수 있고, 그 위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참조 위치는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영역은 앞서 도 19에서 설명한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재 영역이 픽쳐(2002) 경계에 접해있거나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경계에 접해있는 경우 특정 위치의 모션 정보는 항상 이용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인코더/디코더는 항상 이용 불가능한 위치가 아닌 위치를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항상 이용 불가능하지 않은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항상 이용 불가능한 위치는 픽쳐(2002) 또는 병렬 처리가 가능한 범위를 벗어서는 위치일 수 있다.
앞서 도 18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의 좌측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도 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이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모션 정보는 이용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설정된 위치는 좌측 위치가 아닌 위치로 설정(또는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의 상측 위치(2003)로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위치는 도 18(a)의 B1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20을 참조하면,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이 픽쳐(2002) 좌측 경계에 접해있거나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좌측 경계에 접해있는 경우,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의 상측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영역의 상측 위치는 현재 영역의 y 좌표(즉, 수직 방향 좌표) 보다 y 좌표가 더 작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이 픽쳐(2002) 좌측 경계에 접해있거나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좌측 경계에 접해있는 경우,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도 18(a)의 B1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이 픽쳐(2002) 상측 경계에 접해있거나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상측 경계에 접해있는 경우,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의 좌측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영역의 좌측 위치는 현재 영역의 x 좌표(즉, 수평 방향 좌표)보다 x 좌표가 더 작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ㄹ어, 현재 블록(2001) 또는 현재 영역이 픽쳐(2002) 상측 경계에 접해있거나 병렬 처리 가능한 단위의 상측 경계에 접해있는 경우, 임시 모션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설정된 위치는 도 18(a)의 A1 위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서브블록 기반 모션 보상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merge mode with MVD, MMVD)(또는 머지 MVD)에 기반한 모션 보상 방법 및 상술한 서브블록 기반 모션 보상에 관한 실시예들과의 조합 적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적용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디코더는 모션 벡터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or, MVP) 및 모션 벡터 차분(motion vector difference, MVD)에 기초하여 모션 벡터(motion vector, MV)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MVP는 베이스 모션 벡터(baseMV)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인코더/디코더는 베이스 모션 벡터에 모션 벡터 차분을 합산함으로써 모션 벡터(즉, 최종 모션 벡터)를 유도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이 이러한 명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MVP는 베이스 모션 벡터, 임시 모션 벡터, 초기 모션 벡터, MMVD 후보 모션 벡터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MVD는 MVP를 개선(refine)하는 값으로 표현될 수 있고, 개선 모션 벡터(refineMV), 머지 모션 벡터 차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가 적용되는 경우, 즉, MMVD 모드에서 MV는 베이스 모션 벡터, 거리(distance) 파라미터(또는 변수), 방향(direction) 파라미터(또는 변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모션 벡터는 후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모션 벡터는 머지 후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는 다른 후보 리스트의 일부로부터 베이스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보 리스트의 일부는 상기 후보 리스트의 앞부분 일부(인덱스가 작은 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머지 후보 리스트의 후보들 중 첫 번째 및 두 번째 후보를 이용하여 베이스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2개의 후보 중에서 특정 후보를 지시하는 후보 인덱스가 인코더에서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베이스 모션 벡터를 시그널링하는 인덱스인 베이스 후보 인덱스가 정의될 수 있다. 인코더/디코더는 상기 베이스 후보 인덱스에 따라 후보 리스트의 후보들 중에서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후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후보의 모션 벡터를 베이스 모션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후보 인덱스는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후보 인덱스는 베이스 후보 플래그, 후보 인덱스, 후보 플래그, MMVD 인덱스, MMVD 후보 인덱스, MMVD 후보 플래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MVD와 다른 MVD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에서의 MVD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MVD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MVD는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즉, 모션 보상 모드, 방법)를 나타낼 수도 있고, MMVD가 적용되는 경우의 모션 벡터 차분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디코더는 MMVD의 적용 여부(또는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MMVD가 적용되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머지 후보 리스트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머지 후보를 유도하고, MMVD를 유도하여 상기 머지 후보의 모션 벡터에 적용(또는 가산)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MVD는 간략화된 MVD, 다른(또는 작은) 해상도를 갖는 MVD, 이용 가능한 수가 적은 MVD, 시그널링 방법이 상이한 MVD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기존 AMVP, 어파인 인터 모드 등에서 사용하는 MVD는 특정 시그널링 단위(예를 들어, x-펠(pel))에 대해 x, y 축(즉, 수평, 수직 방향)으로 모든 영역, 예를 들어, 픽쳐를 기초로한 영역(예를 들어, 픽쳐 영역 또는 픽쳐와 주변 영역을 포함한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모두 나타낼 수 있는 반면에, MMVD는 특정 시그널링 단위를 표현하는 단위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MMVD를 시그널링하는 영역(또는 단위)이 균일한 간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MVD는 특정 시그널링 단위에 대해 특정 방향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는 거리와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MMVD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인덱스 및 MMVD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인덱스에 따른 MMVD의 거리 및 방향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는 특정 화소 단위의 MMVD 크기(예컨대, 절대값)를 나타낼 수 있고, 방향은 MMVD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는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상대적으로 작은 인덱스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즉, 고정 길이(fixed length) 이진화를 통한 시그널링이 아닌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VD는 시그널링된 MV 또는 시그널링된 MV에 기초한 MV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그널링된 MV에 기초한 MV는 상기 시그널링된 MV의 부호를 반대로 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VD 시그널링이 어떤 참조 리스트에 해당하는 값을 기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떤 참조 리스트와 다른 참조 리스트에 해당하는 값은 상기 어떤 참조 리스트에 해당하는 값(즉 시그널링된 MVD)을 그대로 쓰거나 부호를 바꾸어서 쓸 수 있다. 그대로 쓸 지, 부호를 바꾸어서 쓸 지는 현재 픽쳐와 어떤 참조 리스트의 참조 픽쳐 간의 픽쳐 순서 카운트(picture order count, POC) 관계 및 현재 픽쳐와 상기 어떤 참조 리스트와 다른 참조 리스트의 참조 픽쳐 간의 POC 관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참조 리스트 L0와 L1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도 MVD는 1개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0에 해당하는 MVD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리고 L1에 해당하는 MVD는 L0에 해당하는 MVD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1에 해당하는 MVD는 L0에 해당하는 MVD 그대로이거나 L0에 해당하는 MVD의 부호를 바꾼 값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현재 픽쳐와 L0 참조 픽쳐 간의 POC 관계 및 현재 픽쳐와 L1 참조 pictrue 간의 POC 관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iffPicOrderCnt( RefPicList0[ refIdxLN0 ], currPic) * DiffPicOrderCnt( currPic, RefPicList1[ refIdxLN1 ] ) 값이 0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L0에 해당하는 MVD를 L1에 그대로 쓸지 변형하여 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DiffPicOrderCnt( RefPicList0[ refIdxLN0 ], currPic) * DiffPicOrderCnt( currPic, RefPicList1[ refIdxLN1 ] )가 0보다 크다는 것은 L0 참조 픽쳐와 L1 참조 픽쳐가 모두 현재 픽쳐보다 시간적으로 앞에 있거나 모두 현재 픽쳐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L0 MVD와 L1 MVD의 부호가 같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DiffPicOrderCnt( RefPicList0[ refIdxLN0 ], currPic) * DiffPicOrderCnt( currPic, RefPicList1[ refIdxLN1 ] )가 0보다 작다는 것은 L0 참조 픽쳐와 L1 참조 픽쳐 중 하나는 현재 픽쳐보다 시간적으로 앞에 있고 나머지 하나는 현재 픽쳐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L0 MVD와 L1 MVD의 부호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시간적으로 앞에 있는 것은 POC가 작은 것 시간적으로 뒤에 있는 것은 POC가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앞의 설명한 실시예에서 MV 스케일링 프로세스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시그널링된 MV 또는 시그널링된 MV를 변형한 MV(예를 들어, 부호를 반대로한 MV)를 MV 스케일링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다음의 표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 구조를 예시한다.
Figure pat0003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도 21에서 설명한 MMVD 사용 여부(또는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표 16을 참조하면 MMVD 플래그(즉, mmvd_flag)는 MMVD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낸다. 일 예로, MMVD는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MVD를 사용하는 경우에 디코더는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할 수 있다. MMVD를 사용하는 경우 MMVD 관련 정보는 MMVD 인덱스 코딩(즉, mmvd_idx_coding) 신택스에서 추가적으로 파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MMVD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코더는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표 16을 참조하면 머지 인덱스(즉, merge_idx)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서 특정 머지 후보를 지시하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스킵 모드가 아닌 머지 모드인 경우 머지 플래그(즉, 머지 플래그)를 파싱 한 후에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머지 플래그는 머지 모드 또는 서브 블록 머지 모드의 사용 여부(또는 적용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플래그는 AMVP, 인터 모드, 어파인 인터 모드 등을 사용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머지 인덱스는 앞서 도 21에서 설명한 베이스 후보 인덱스와 다른 인덱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은 CU, 예측 유닛 보다 큰 단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스 또는 타일 단위에서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에 기초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코더는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의 값이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임을 나타내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머지 인덱스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즉,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이라고 나타내는 경우 머지 인덱스의 파싱 없이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표 16을 참조하면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에 기초한 값(변수, 파라미터)인 MaxNumMergeCand가 정의될 수 있다. MaxNumMergeCand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MaxNumMergeCand는 1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원 가능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와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단위에 대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원 가능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에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값을 감산함으로써 인코더/디코더는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단위에 대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 및 최대 개수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머지 인덱스는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파싱될 수 있다. 디코더는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인코더/디코더는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 16에서 MMVD 플래그 파싱 이후, 머지 인덱스가 파싱될 수 있다. 이는 MMVD를 기존의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브블록 머지 모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즉, subblock_merge_flag)(또는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즉, merge_subblock_flag) 신택스 요소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앞서 표 16에서 설명한 실시예가 도 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된 신택스는 표 16 대비 서브블록 머지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22 및 이하 후술하는 도면(즉, 도 23 내지 도 31)에서 인트라 예측 프로세스, 인터 예측 중 인터 모드, AMVP 모드, 어파인 인터 모드 등에 관한 부분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2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를 MMVD 플래그 및/또는 머지 인덱스보다 먼저 파싱할 수 있다. 이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스킵 모드, 머지 모드 및/또는 MMVD 중 적어도 하나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위함이다. 디코더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MMVD 플래그 및/또는 머지 인덱스 등을 파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코더는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를 MMVD 플래그보다 먼저 파싱할 수 있고, 서브블록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서브블록 머지 모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서브블록 단위로 모션 보상이 수행되기 때문에 모션 예측의 정확도가 높을 수 있으며, 서브블록에 기반한 모션 보상의 특성상 하나의 MVD를 이용한 MV의 개선은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한하여 MMVD 적용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신택스(또는 신택스 요소)의 파싱 순서를 설정함으로써(즉,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를 MMVD 플래그 보다 먼저 파싱함으로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신택스(또는 함수)는 앞서 설명한 표 16, 도 22 및 이하 후술하는 MMVD 관련 신택스들에서 나타내는 MMVD 정보를 파싱하는 신택스를 나타낼 수 있다. 앞서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MVD는 베이스 모션 벡터, 거리,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인덱스(또는 신택스 요소)들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베이스 모션 벡터, 거리, 방향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신택스 요소들이 base_mv_idx, distance_idx, direction_idx로 정의될 수 있다. 표 16, 도 2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구체적인 MMVD 값을 나타내는 도 23에 도시된 신택스 요소들이 인코더로부터 디코더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23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관련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신택스(또는 함수)는 앞서 설명한 표 16, 도 22 및 이하 후술하는 MMVD 관련 신택스들에서 나타내는 MMVD 정보를 파싱하는 신택스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 관련 신택스 중 일부 신택스는 미리 정의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이후에 상기 미리 정의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디코더는 MMVD 관련 신택스 중 일부를 파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MVD 관련 신택스 중 일부는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시그널링일 수 있다.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은 MMVD 플래그 값에 따른 것일 수 있다. MMVD 플래그를 파싱하거나 MMVD 플래그가 추론되어 특정값 (예를 들어, 1)을 나타내는 경우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조건은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로 가능한 최대 개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는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로 가능한 최대 개수가 2 이상인 경우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를 파싱하고,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로 가능한 최대 개수가 1인 경우에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디코더는 그 값을 추론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는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만약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가 머지 후보인 경우 디코더는 머지 후보로 가능한 최대 개수에 기초한 조건에 의해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를 파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로 가능한 최대 개수는 표 16에서 설명한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가리키는 값일 수 있고, 그 값은 MaxNumMergeCand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디코더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MaxNumMergeCand가 1보다 큰 경우에만 베이스 모션 벡터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만약 베이스 모션 벡터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파싱하지 않아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코더는 그 값을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가능한 최대 후보의 개수가 1인 경우 인덱스를 시그널링하지 않아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서 설명한 신택스 구조의 경우 MMVD를 사용하지 않고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항상 MMVD 플래그가 파싱된다. 또한 MMVD를 사용하는 경우 및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두 베이스 모션 벡터 인덱스 또는 머지 인덱스가 파싱된다. 한편, 도 25의 실시예에서는 MMVD를 사용하지 않고 스킵 모드 또는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25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와 머지 인덱스는 동일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모션 벡터 인덱스와 머지 인덱스는 동일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신택스 요소로 해당 후보를 지시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 파싱을 하고 조건에 따라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MMVD 플래그가 MMVD 사용을 지시하는 경우에 베이스 모션 벡터 관련 신택스 이외의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지 인덱스를 파싱한 후에 해당하는 후보가 MMVD에 사용될 수 있는 후보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MMVD에 사용될 수 있는 후보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MMVD에 사용될 수 없는 후보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MMVD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머지 후보 리스트의 앞 쪽(인덱스가 작은 쪽) num_mmvd_baseCand개까지 될 수 있을 때, 파싱한 인덱스가 num_mmvd_baseCand보다 작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고 MMVD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num_mmvd_baseCand 이상의 후보 인덱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MMVD 플래그에 대한 비트를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머지 인덱스를 파싱한 후 머지 인덱스가 num_mmvd_baseCand보다 작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있다. num_mmvd_baseCand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가능한 후보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 인덱스는 머지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신택스 구조상 MMVD 플래그는 머지 플래그보다 상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는 MMVD 플래그에 기초하여 머지 플래그를 파싱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는 스킵 모드가 아닌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도 26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 플래그가 MMVD를 사용한다고 지시하는 경우 머지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가 머지 후보 중에서 정해지고, MMVD 플래그가 MMVD를 사용한다고 지시하는 경우 디코더는 머지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MMVD를 사용하는 경우(MMVD 플래그가 1인 경우),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머지 플래그를 추론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스킵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즉 cu_skip_flag가 1인 경우 디코더는 MMVD 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머지 플래그를 1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고 스킵 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MMVD를 사용하는 경우 머지 플래그를 1로 추론하고, MMVD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머지 플래그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머지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고 스킵 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머지 플래그를 1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을 참조하면 스킵 모드가 아닌 경우 디코더는 MMVD 플래그가 1이면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하고, MMVD 플래그가 0이면 머지 플래그를 파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가 머지 플래그보다 상위에 있는 경우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머지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고, 머지 플래그를 1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가 MMVD 플래그보다 상위에 있는 경우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고, MMVD 플래그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modeX_flag가 1인 것은 modeX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modeX_flag가 0인 것은 modeX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로 사용하는 후보 리스트에서 일부 후보에 대해서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가 머지 후보 리스트로부터 정해질 때 머지 후보 리스트 일부에 대해서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후보 인덱스에 대해서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인덱스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보 인덱스로부터 MMVD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 파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지 인덱스를 파싱한 수 머지 인덱스가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경우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MMVD 관련 신택스(예를 들어, 거리, 방향 시그널링 등)를 파싱할 수 있다. 도 27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머지 후보 리스트 앞쪽의 num_mmvd_baseCand개까지에 해당할 때까지는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보 인덱스가 num_mmvd_baseCand보다 작은 경우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 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로 사용하는 후보 리스트에서 일부 후보에 대해서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 후보가 머지 후보 리스트로부터 정해질 때 디코더는 머지 후보 리스트 일부에 대해서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는 정해진 후보 인덱스에 대해서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인덱스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 항상 MMVD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7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택스 구조상(또는 신택스 파싱 순서상) MMVD 플래그가 머지 플래그보다 상위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더는 MMVD 플래그가 1인 경우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1인 경우 머지 플래그를 1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0인 경우 디코더는 머지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디코더는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이때 머지 인덱스를 파싱하기 위한 추가 조건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 디코더는 실제 사용할 머지 인덱스는 파싱한 머지 인덱스를 기초로 변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할 머지 인덱스는 파싱한 머지 인덱스에 파싱한 머지 인덱스보다 작은 값 중 MMVD를 항상 사용하도록 정해진 후보의 개수를 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리스트 앞쪽 num_mmvd_baseCand개에 대해 MMVD를 항상 사용하도록 정해진 경우 파싱한 머지 인덱스에 num_mmvd_baseCand를 더한 값을 머지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다. MMVD 플래그가 머지 플래그보다 앞에 있는 경우 MMVD 플래그가 0인 경우 MMVD를 사용하는 후보를 후보 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MMVD 플래그가 머지 플래그보다 앞에 존재한다. 또한 MMVD 플래그가 1인 경우 디코더는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0인 경우 디코더는 머지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0이고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디코더는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이때 머지 인덱스를 파싱하기 위한 추가 조건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개수인 num_mmvd_baseCand를 파싱한 머지 인덱스에 더해서 실제 사용할 머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VD 신택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인덱스가 모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flag보다 앞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인덱스가 MMVD 플래그 또는 머지 플래그보다 앞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보 인덱스를 파싱한 후에 파싱한 인덱스가 MMVD를 사용할 수 있는 후보인지 아닌지에 따라 MMVD 플래그 파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싱한 후보 인덱스가 MMVD를 사용할 수 있는 후보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MMVD를 사용할 수 없는 후보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고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0인 경우 머지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머지 플래그를 통해 머지 모드 또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가 쓰이는지, 인터 모드 또는 AMVP 모드 또는 어파인 인터 모드가 쓰이는지 결정할 수 있다. 도 2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로 가능한 후보 개수가 num1이고, 제2 모드로 가능한 후보 개수가 num2이고, num1 < num2인 경우, 후보 인덱스를 파싱 했을 때 파싱한 인덱스가 num 1 이상인 경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결정하는 신택스(예를 들어, 제1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 파싱한 인덱스가 num 1보다 작은 경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결정하는 신택스를 파싱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머지 인덱스를 파싱한 후, 머지 인덱스가 MMVD를 사용할 수 있는 후보 개수인 num_mmvd_baseCand보다 작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머지 인덱스가 num_mmvd_baseCand 이상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고, 이때 MMVD 플래그를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1인 경우 MMVD 관련 신택스 요소를 나타내는 거리 인덱스(distance_idx), 방향 인덱스(direction_idx)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0인 경우 머지 플래그를 파싱하고 그에 따라 머지 모드 또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인지 아니면 인터 모드 또는 AMVP 모드 또는 어파인 모드인지 구분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유닛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머지 데이터(즉, merge_data) 파싱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9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머지 데이터는 머지 관련 신택스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지 데이터는 머지 데이터 신택스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지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도 21 내지 도 28에서 머지 플래그가 1일 때 수행하는 신택스 파싱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플래그가 1인 것은 머지 모드를 사용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머지 플래그가 1인 것은 앞서 도 6 및 표 1의 나타내는 mvd_coding을 사용하지 않는 인터 예측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지 데이터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디코더는 머지 데이터 신택스를 파싱(또는 호출)할 수 있다. 도 30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머지 모드 또는 스킵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머지 플래그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머지 데이터 신택스에서 신택스 요소들 중 MMVD 플래그가 가장 먼저 파싱될 수 있다. MMVD 플래그는 머지 플래그가 1인 것을 확인한 후 가장 먼저 파싱할 수 있는 신택스일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머지 플래그를 1로 설정하는 다른 예측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보다 먼저 파싱될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는 MMVD를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시그널링일 수 있다. 또한, 표 16, 도 22 내지 도 29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지 데이터 신택스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 다중 가정 예측(multi-hypothesis prediction)(또는 인트라 및 인터 조합 예측(intra and inter combined prediction)), 트라이앵글 예측 등에 대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가정 예측은 예측 블록을 생성할 때 두 개 이상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여 결합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는 다중 가정 예측은 예측 블록을 생성할 때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을 모두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은 각각 예측을 수행할 때 현재 블록이 포함된 픽쳐와 다른 픽쳐, 같은 픽쳐를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다중 가정 예측 플래그는 다중 가정 예측을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블록 머지 모드는 현재 블록(예를 들어, 코딩 유닛 또는 예측 유닛)을 예측할 때 서브블록 단위로 모션 보상을 수행하는(즉, 서브블록 단위로 모션 벡터가 결정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블록 머지 모드는 서브블록 기반 시간 MVP, 어파인 모션 예측 등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라이앵글 예측은 현재 블록 내에서 사각형이 아닌 영역에 대해 모션 보상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즉, 트라이앵글 예측에서 현재 블록 내에서 모션 벡터가 동일한 단위가 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트라이앵글 예측 플래그(즉, merge_triangle_flag)는 트라이앵글 예측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 플래그는 MMVD가 아닌 이외의 다른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또는 신택스 요소)보다 먼저 파싱될 수 있다. 상기 MMVD가 아닌 어떤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은 다중 가정 예측 플래그,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MMVD 머지 인덱스(즉, mmvd_merge_idx)(또는 MMVD인덱스)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어떤 것을 사용할지 나타내는 신택스 요소를 나타낸다. 만약 MMVD를 사용하는 경우 머지 인덱스는 MMVD 머지 플래그(즉, mmvd_merge_flag)(또는 MMVD 플래그)로 추론될 수 있다.
도 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지 데이터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의 실시예는 도 29에서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수행되는 머지 데이터 신택스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 플래그는 머지 인덱스보다 뒤에 파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 플래그는 머지 인덱스 바로 다음에 파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 플래그는 머지 데이터 신택스에서 가장 앞이 아닌 위치에서 파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머지 플래그가 1인 것을 확인한 뒤 MMVD 플래그가 아닌 다른 신택스를 파싱한 뒤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는 다른 후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 상기 다른 후보 리스트의 일부로부터 베이스 모션 벡터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일 실시예를 따르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후보 리스트와 관련된 인덱스에 기초하여 MMVD 플래그 파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후보 리스트와 관련된 인덱스를 MMVD 플래그보다 먼저 파싱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후보 리스트와 관련된 인덱스가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를 참조하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는 머지 후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 머지 인덱스가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머지 후보 리스트의 앞 부분 n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경우에, 머지 인덱스가 n보다 작을 때(머지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할 수 있다.) MMVD 플래그를 파싱하고, 머지 인덱스가 n보다 작지 않은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는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후보인 것이 가능하고, 도 31를 참조하면 머지 인덱스가 2보다 작은 경우, 즉 0이나 1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머지 인덱스는 머지 후보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머지 모드이지만 머지 인덱스가 MMVD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코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는 어떤 모드의 후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모드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다수 존재할 때 상기 어떤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MMVD는 제3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또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제3 모드의 후보로부터 결정되는 경우, 제3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뒤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모드를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통해 제3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3 모드 이외에 가능한 모드, 예를 들어, 제1 모드및 제2 모드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3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머지 모드, 다중 가정 예측, 트라이앵글 예측, 컨벤셔널(conventional) 머지 모드 등이 존재할 때, 또한 MMVD가 컨벤셔널 머지 모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우, 열거한 모드들 중 컨벤셔널 머지 모드 또는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뒤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상기 컨벤셔널 머지 모드는 주변 인트라 코딩된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모드로서, 종래의 영상 압축 기술(예를 들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ing))의 머지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후보 리스트와 관련된 인덱스에 기초하여 MMVD 플래그를 파싱하는 경우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따로 존재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도 23 또는 도 24 등에서는 베이스 모션 벡터 인덱스와 같은 시그널링이 머지 인덱스와 따로 존재하였다.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MMVD 머지 플래그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1와 같이 MMVD 머지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 관련 신택스는 MMVD 플래그, MMVD 거리를 나타내는 시그널링(도 30 내지 도 31에서 mmvd_distance_idx), MMVD 방향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 30 내지 도 31에서 mmvd_direction_idx)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는 머지 인덱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0의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는 나타내는 시그널링 및 그 컨텍스트 모델이 도 31의 실시예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 플래그는 앞서 설명한 MMVD가 아닌 어떤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보다 뒤에 파싱 될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MMVD 플래그는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 다중 가정 예측 플래그(즉, mh_intra_flag),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즉, merge_triangle_flag) 보다 뒤에 파싱될 수 있다. 또한 특정머지 모드는 MMVD와 함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어떤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사용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MMVD는 트라이앵글 예측과 함께 사용될 수 없는 것이 가능하고,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가 0인 경우에 MMVD 플래그가 파싱될 수 있다. 또는 MMVD는 MH intra와 함께 사용될 수 없는 것이 가능하고, mh_intra_flag가 0인 경우에 MMVD 플래그가 파싱될 수 있다. 또는 MMVD는 서브블록 머지 모드와 함께 사용될 수 없는 것이 가능하고,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가 0인 경우에 MMVD 플래그가 파싱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지 데이터 신택스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2의 실시예는 도 29에서 머지 플래그가 1인 경우 수행되는 머지 데이터 신택스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2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 플래그는 다른 모드를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시그널링보다 뒤에 파싱될 수 있다. 또는 MMVD 플래그는 머지 플래그가 1로 설정되는 MMVD가 아닌 다른 모드를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시그널링보다 뒤에 파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MVD 플래그는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 다중 가정 예측 플래그(즉, mh_intra_flag),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즉, merge_triangle_flag) 보다 뒤에 파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MMVD 플래그는 MMVD 이외의 다른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파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가 0인 경우 MMVD 플래그가 파싱될 수 있다. 또한 다중 가정 예측 플래그가 0인 경우 MMVD 플래그가 파싱될 수 있다. 또한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가 0인 경우 MMVD 플래그가 파싱될 수 있다. 어떤 모드를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플래그가 0인 것은 상기 어떤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MVD를 컨벤셔널 머지 모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우, MMVD 플래그를 컨벤셔널 머지 모드 또는 MMVD가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된 뒤에 파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MMVD를 사용하는 경우 MMVD 관련 신택스를 파싱하고, MMVD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또는 MMVD를 사용하는 경우, 디코더는 MMVD 머지 플래그(즉, mmvd_merge_flag), MMVD 거리 인덱스(mmvd_distance_idx), MMVD 방향 인덱스(mmvd_direction_idx)를 파싱하고, MMVD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머지 인덱스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도 32와 같이 MMVD 플래그를 다른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보다 뒤에 파싱하는 경우에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머지 인덱스와는 별개의 신택스 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다. 도 32을 참조하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은 MMVD 머지 플래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벤셔널 머지 모드 또는 MMVD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뒤에 MMVD 플래그를 파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어떤 후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되고, 상기 어떤 후보 리스트의 최대 후보 개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레벨 신택스로부터 최대 후보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위 레벨 신택스는 현재 코딩 유닛보다 더 상위 레벨의 신택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레벨 신택스는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타일 레벨의 신택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를 따르면 이러한 경우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의 최대 후보 개수는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될 수 있는 후보 리스트의 최대 후보 개수를 따라갈 수 있다. 따라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될 수 있는 후보 리스트의 최대 후보 개수가 줄어드는 경우에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될 수 있는 후보의 최대 후보 개수도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머지 후보 리스트로부터 결정되고, 최대 머지 후보 개수가 MaxNumMergeCand일 수 있다. 또한 MaxNumMergeCand는 상위 레벨 신택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가 될 수 있는 최대 머지 후보 개수는 MaxNumMergeCand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xNumMergeCand에 따라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파싱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xNumMergeCand가 1인 경우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파싱하지 않을 수 있고, MMVD의 베이스 모션 벡터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MaxNumMergeCand가 1인 경우 MMVD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MMVD 관련 신택스에 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MaxNumMergeCand가 1인 경우 MMVD 플래그를 파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MVD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도 32를 참조하면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는 다중 가정 인트라 예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만 파싱할 수 있다. 만약, 머지 트라이앵글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모드들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블록 머지 모드, 트라이앵글 예측, 다중 가정 인트라 예측, MMVD를 함께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다수의 모드들 각각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파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수의 모드들 중 어떤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은, 그보다 앞에 파싱된 상기 다수의 모드들 중 다른 어떤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들이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파싱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코더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가정 예측 기반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인코더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디코더는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한다(S3301).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플래그(또는 머지 서브블록 플래그)일 수 있다.
디코더는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한다(S3302).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신택스 요소는 MMVD 플래그(또는 MMVD 머지 플래그)일 수 있다.
디코더는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한다(S3303).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MMVD 인덱스(또는 MMVD 후보 인덱스, MMVD 후보 플래그)일 수 있다.
디코더는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S3304).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상기 모션 벡터 차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4 신택스 요소는 거리 인덱스(또는 MMVD 거리 인덱스)일 수 있고, 상기 제5 신택스 요소는 방향 인덱스(또는 MMVD 방향 인덱스)일 수 있다.
디코더는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한다(S3305).
디코더는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S3306)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6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는 상기 제6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단위로 유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6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인덱스(또는 머지 서브블록 인덱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신택스 요소는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상기 제6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을 위한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6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는 상기 제6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단위로 유도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신택스 요소는 0으로 추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6.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서브블록을 위한 서브블록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6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는 상기 제6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단위로 유도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신택스 요소는 0으로 추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신택스 요소는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되고, 상기 서브블록 머지 후보의 최대 개수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 0으로 추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11.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12. 비트 스트림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은 디코딩 방법에 의해 디코딩되고,
    상기 디코딩 방법은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서브블록 기반 머지 모드가 적용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에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택스 요소가 상기 현재 블록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이용하는 머지 모드가 적용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제3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거리를 지시하는 제4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의 방향을 지시하는 제5 신택스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에 의해 지시되는 후보의 모션 벡터에 상기 모션 벡터 차분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유도하고, 상기 제3 신택스 요소는 상기 현재 블록의 머지 후보 리스트의 첫 번째 후보 및 두 번째 후보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후보를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37021844A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KR20230104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82 2018-10-23
KR20180126782 2018-10-23
KR20180137704 2018-11-09
KR1020180137704 2018-11-09
KR20190000479 2019-01-02
KR1020190000479 2019-01-02
KR20190016537 2019-02-13
KR1020190016537 2019-02-13
KR1020217012537A KR102550530B1 (ko)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CT/KR2019/014016 WO2020085800A1 (ko)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537A Division KR102550530B1 (ko)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758A true KR20230104758A (ko) 2023-07-10

Family

ID=703321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844A KR20230104758A (ko)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0217012537A KR102550530B1 (ko)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537A KR102550530B1 (ko) 2018-10-23 2019-10-23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10243476A1 (ko)
EP (1) EP3873093A4 (ko)
JP (3) JP7206382B2 (ko)
KR (2) KR20230104758A (ko)
CN (5) CN117156130A (ko)
WO (1) WO2020085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0186A (zh) * 2018-12-07 2021-07-23 夏普株式会社 运动图像解码装置
JP2022515088A (ja) * 2018-12-17 2022-02-1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ヴィ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mvdおよびsmvdと動きモデルおよび予測モデルとの組み合わせ
US11706437B2 (en) * 2018-12-21 2023-07-1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inter prediction in video coding
WO2020184461A1 (ja) * 2019-03-08 2020-09-1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JP2022538064A (ja) * 2019-06-19 2022-08-3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フォルト(default)マージモードに基づいて予測サンプルを導き出す映像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EP3975556A4 (en) * 2019-06-19 2022-08-03 Lg Electronics Inc. IMAGE DECODING METHOD FOR PERFORMING INTER-PREDICTION WHEN THE CURRENT BLOCK PREDICTION MODE CANNOT FINALLY BE SELECTED AND ASSOCIATED DEVICE
US11405628B2 (en) * 2020-04-06 2022-08-02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WO2023109899A1 (en) * 2021-12-15 2023-06-2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coding video dat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5718B1 (en) * 2011-03-10 2018-08-2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ecoding apparatus
US9143795B2 (en) * 2011-04-11 2015-09-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arallel motion estimation in video coding
CA2842646C (en) * 2011-06-27 2018-09-0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ecoding method, 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image coding apparatus, and image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20130070855A1 (en) * 2011-09-17 2013-03-21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motion vector coding modes for video coding
KR20130050407A (ko) * 2011-11-07 2013-05-16 오수미 인터 모드에서의 움직임 정보 생성 방법
KR102311815B1 (ko) * 2014-06-19 2021-10-1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통합된 인트라 블록 카피 및 인터 예측 모드
WO2016078511A1 (en) * 2014-11-18 2016-05-26 Mediatek Inc. Method of bi-prediction video coding based on motion vectors from uni-prediction and merge candidate
WO2017022973A1 (ko) * 2015-08-04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코딩 시스템에서 인터 예측 방법 및 장치
WO2017039117A1 (ko) * 2015-08-30 2017-03-09 엘지전자(주) 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90028731A1 (en) * 2016-01-07 2019-01-24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ffine inter prediction for video coding system
US11095898B2 (en) * 2016-03-28 2021-08-17 Lg Electronics Inc. Inter-prediction mode base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0979732B2 (en) * 2016-10-04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motion vector precision for video coding
KR20190053238A (ko) * 2016-10-06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 예측 모드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310017A1 (en) * 2017-04-21 2018-10-25 Mediatek Inc. Sub-prediction unit temporal motion vector prediction (sub-pu tmvp) for video coding
WO2019009546A1 (ko) * 2017-07-04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 예측 기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08258B1 (ko) * 2017-09-12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정보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움직임 정보의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188A (ko) 2021-05-20
CN117156129A (zh) 2023-12-01
JP2022505578A (ja) 2022-01-14
US20240040156A1 (en) 2024-02-01
CN117156131A (zh) 2023-12-01
CN117156130A (zh) 2023-12-01
CN113196751B (zh) 2023-10-13
KR102550530B1 (ko) 2023-07-04
JP2023036907A (ja) 2023-03-14
JP2024023483A (ja) 2024-02-21
US20210243476A1 (en) 2021-08-05
JP7400072B2 (ja) 2023-12-18
WO2020085800A1 (ko) 2020-04-30
JP7206382B2 (ja) 2023-01-17
CN113196751A (zh) 2021-07-30
EP3873093A4 (en) 2022-07-20
CN117156128A (zh) 2023-12-01
EP3873093A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530B1 (ko) 서브블록 기반의 모션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7000565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のためのアフィン予測動き情報をコーディングすること
JP6720153B2 (ja) イントラbcとインターの統合
CN109155855B (zh) 用于视频译码的仿射运动预测方法、装置及存储媒体
JP6636530B2 (ja) サブ予測ユニットベース高度時間動きベクトル予測
KR102356262B1 (ko) 모션 보상을 이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2534807B (zh) 一种用于编码/解码视频数据的方法和装置
KR102493418B1 (ko) 적응적 모션 벡터 레졸루션을 이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84910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motion compensation
JP2023162362A (ja) 多重仮定予測を用いる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JP2020523853A (ja) 動きベクトル予測
JP2022521979A (ja) デコーダ側動きベクトル改良に対する制約
KR20210149759A (ko) 적응적 모션 벡터 해상도를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24038271A (ja) 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EP3896969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current picture reference
WO2020248925A1 (en) History-based motion vector prediction with default parameters
KR20200095982A (ko) 모션 벡터 차이를 사용하는 머지를 기반으로 한 모션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0008322A1 (en) Complexity reduction of non-adjacent merge design
CN113170185B (zh) 用于视频译码的空间-时间运动向量预测模式
KR20200137326A (ko) 현재 픽쳐 참조를 이용한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74911A (ko) 모션 벡터 예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