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460A -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460A
KR20230104460A KR1020210194618A KR20210194618A KR20230104460A KR 20230104460 A KR20230104460 A KR 20230104460A KR 1020210194618 A KR1020210194618 A KR 1020210194618A KR 20210194618 A KR20210194618 A KR 20210194618A KR 20230104460 A KR20230104460 A KR 20230104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re
finishing
finished
fi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219B1 (ko
Inventor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성욱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21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7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09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compari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02Control of the test
    • G01N2203/0212Theories,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44Tests performed "in situ" or after "in situ"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8Manufacturing or preparing specim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58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76Force, weight, load, energy,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1Velocity or travel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2Glass, ceramics, concrete or st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은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본 발명은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1, 2종 시설물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정기, 정밀진단의 안전점검을 수행하도록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재정되어 있으며, 안전진단업 등록을 한 업체가 안전점검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사)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에 따르면 시설물 안전점검 분야 시장이 연평균 약 14% 성장함에 따라 관련 업체들이 대거 진출하고 있으나, 초저가 발주 등 과도한 업체들 간의 경쟁으로 인한 저가수주와 이에 따른 안전점검 부실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안전관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설물 중 공동주택에 대한 부실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실에 대한 원인으로 저가수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경우 시설물의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항목에서 현장 반발경도법을 진행하도록 되어있으나, 공동주택의 경우 사람의 실거주 및 실험 시 일어나는 분진 및 소음 등으로 인하여 비파괴검사를 진행하기 어려워 공용부 및 지하 주차장에서 매번 점검이 이루어지며, 저가 수주로 인한 콘크리트 면의 실험이 아닌 마감재 위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부실점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공동주택의 저가수주에 대응하고, 부실점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를 선정하여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변수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2190604 호(등록일자: 2020.12.09)는, 조기재령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방법 및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방법은, 일반적인 재령일인 28일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조기에 예측 평가하기 위한 시험편인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시체를 이용하여 비파괴검사방식으로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 시에 경화 촉진제 또는 급결제를 혼입하여 콘크리트 공시체의 양생을 진행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콘크리트 공시체를 비파괴 검사하여 일반적인 재령일인 28일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조기에 예측 평가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인데, 본원과 같이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압축강도 추정하는 기술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등록특허 제10-2190604 호(등록일자: 2020.12.09)
이에 일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를 선정하여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변수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기술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은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 상기 오차율이 가장 낮은 마감 샘플의 코어에 마감된 마감 샘플을 저오차율 마감재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감 샘플은 무늬 코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샘플은 본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 샘플은 수성페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오차율 마감재는 상기 수성페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를 선정하여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변수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실험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2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제3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채취된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채취된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일 실시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일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은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S10),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S20),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S30),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50),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S60),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에 부가하여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실험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2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제3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채취된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채취된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10)들을 제작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콘크리트 실험체(10)들은 각각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예시되어 있다.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콘크리트 실험체(10)의 폭 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콘크리트 실험체(10)의 길이 방향이고, 제3 방향(DR3)은 콘크리트 실험체(1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제1 마감 샘플(20)을 도시하고 있고, 도 5 및 도 6은 제2 마감 샘플(21)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 및 도 8은 제3 마감 샘플(2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은 무늬 코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은 본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은 수성페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각각은 각 콘크리트 실험체(10)의 표면에 전면적으로 마감될 수 있다.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각각은 서로 다른 유분량, 및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관점에서,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유분량이 적어질 수 있고, 표면 거칠기 관점에서도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은 소정의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각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은 소정의 두께(d1)에 대해서는 마감 샘플의 코어의 길이를 설명하면서,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1,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각 상기 마감 샘플들(20, 21, 22)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10)로부터 코어채취기(100)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채취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각 상기 마감 샘플들(20, 21, 22)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10)로부터 코어채취기(100)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채취하는 단계(S30)에서, 도 9 내지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채취기(100)를 기준으로, 마감 샘플들(20, 21, 22)이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 실험체(1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어(S1, S2, S3)를 채취할 수 있다. 즉, 후술할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한 추정압축강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시료가 되는 코어(S1, S2, S3)는 콘크리트 실험체(100)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샘플들(20, 21, 22)까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가 측정될 수 있다. 기존,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를 측정한 이유는, 마감 샘플이 당연히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다만, 마감 샘플(또는 마감재)을 콘크리트 실험체(10)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은 쉽지 않다. 예컨대, 마감재 제거하는 과정에서, 분진 및 소음이 발생하고, 별도의 제거 과정이 수반되어야하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 소모가 작지 않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에 의하면,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가 측정됨으로써, 마감재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소음으로부터 자유롭고 별도의 마감재 제거 과정이 수반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선제적으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가 측정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마감재(또는 마감 샘플)별로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이어서, 도 1,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가 도시되어 있다. 나아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가 도시되어 있다. 원할한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를 위해서는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3배 내지 약 5배가 되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3배 이상임으로써,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의 발진부(21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 펄스(kHz)(약 24 kHz 내지 약 150kHz)를 통한 초음파 속도 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내부에는 내부 균열(Crack)이나, 철근 등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3배 이상임으로써, 이러한 내부 균일 또는 철근 등의 부재를 고려한 전반적인 코어(S1)의 초음파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5배 이하임으로써, 코어(S1) 채취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는,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약 5% 내지 약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는,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약 5% 이상임으로써, 코어(S1)에서 제1 마감 샘플(20)이 코어(S1)의 압축 강도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고,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는,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약 10% 이하임으로써, 실제 건축물(예컨대, 아파트)에서, 전체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길이 대비 마감재(또는 마감 샘플)의 길이가 약 10% 이하인 수준이기 때문에, 실제 건축물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 길이 대비 마감재의 길이와 유사한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내용에서는, 제1 마감 샘플(20)을 갖는 코어(S1)에 대해서만 상술하였지만, 해당 내용은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의 발진자(210), 수진자(220),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발생 회로(230), 시간 측정 회로(240), 증폭기(250), 및 디스플레이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펄스 발생 회로(230)로부터 발생된 펄스(예컨대, 약 24 kHz 내지 약 150kHz)가 발진자(210)로 제공될 수 있다. 발진자(210)로 제공된 펄스는 각 마감 샘플(20, 21, 22)을 통과하여 콘크리트 시험체(10)를 추가적으로 통과하여 수진자(220)에 제공될 수 있다. 발진자(210)로부터 발생된 펄스가 수진자(220)에 도달하는 시간 정보는 증폭기(250)를 통해 구체화되어 시간 측정 회로(240)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보정 방법이 정해질 수 있다. 표시값이 영향 요인으로부터 간섭받지 않기 위해서 시간 지연 조정을 해야 한다. 시간 지연 조정은 전달 시간이 정확히 알려진 래퍼런스 바의 대향면에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를 쌍으로 연결시켜 실시할 수 있다. 래퍼런스 바에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를 설치하는 방법은 항상 일정해야 할 수 있다. 최소량의 접촉 매질을 사용하고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는 바의 끝에 견고하게 압착되어야 한다. 래퍼런스 바 위에서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은 영보정의 오차를 일으키므로 피해야 한다. 나아가,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의 정확한 영보정을 위해 시간 지연 조정은 시험 장치나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가 교체될 때마다, 또는 길이가 다른 케이블이 사용될 때마다 매번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자 회로나 케이블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영보정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자(210)와 제1 마감 샘플(20) 사이에는 별도의 제1 매질(M11)이 개재되어 있다. 제1 매질(M11)은 발진자(210)의 제1 마감 샘플(20)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진자(220)와 콘크리트 시험체(10) 사이에는 별도의 제2 매질(M12)이 개재되어 있다. 제2 매질(M12)은 수진자(220)의 콘크리트 시험체(10)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자(210)와 제2 마감 샘플(21) 사이에는 별도의 제1 매질(M21)이 개재되어 있다. 제1 매질(M21)은 발진자(210)의 제2 마감 샘플(21)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자(210)와 제3 마감 샘플(22) 사이에는 별도의 제1 매질(M31)이 개재되어 있다. 제3 매질(M31)은 발진자(210)의 제3 마감 샘플(22)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각각은 서로 다른 유분량, 및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관점에서,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유분량이 적어질 수 있고, 표면 거칠기 관점에서도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제1 매질(M1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21)의 유분량 및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을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매질(M1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21)의 유분량 및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을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음으로써, 마감 샘플(20, 21, 22)의 상이한 유분량에 따라 매질(M11, M21, M31)의 유분량을 조절하여 발진자(210)와 마감 샘플(20, 21, 22)들 간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매질(M11)의 점도는 제1 매질(M21)의 유분량 및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클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점도는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클 수 있다. 제1 매질(M11)의 점도는 제1 매질(M21)의 점도 및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클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점도는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큼으로써, 마감 샘플(20, 21, 22)의 상이한 표면 거칠기에 따라 매질(M11, M21, M31)의 점도를 조절하여 발진자(210)와 마감 샘플(20, 21, 22)들 간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50)와 동시, 또는 그 전, 또는 그 이후에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상술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 추정 압축 강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측정된 압축 강도 및 오차율은 아래의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Specimen UPV
(m/s)
Compressive
Strength
(MPa)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MPa)
(1) (2) (3) (4) (5) (6)
Error Ratio (%)
(1) (2) (3) (4) (5) (6)
비마감 샘플의 코어 3,774 19.3 19.1 17.3 9.0 9.5 15.6 19.0
5.7 10.1 53.5 50.7 18.7 6.6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3,998 16.9 24.0 24.9 21.8 17.7 24.0 22.4
45.7 51.2 32.3 16.8 45.8 36.2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3,930 19.1 22.5 22.6 18.0 15.3 21.5 21.4
21.5 22.9 22.1 19.3 19.8 17.3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 3,891 18.5 21.7 21.2 15.7 13.8 20.0 20.8
17.2 15.0 17.4 25.3 8.3 12.4
Average of error ratio - - 22.5 24.8 31.3 28.0 23.2 18.1
초음파 속도(Vp, Km/s)에 의한 압축강도(Fc, MPa)의 추정식 (1) Fc = 21.5Vp - 62.0
(2) Fc = 33.91Vp - 110.7
(3) Fc = 56.974Vp- 206
(4) Fc = 36.72Vp - 129.077
(5) Fc= (372.7Vp - 1250.2)Х0.1
(6) Fc = (152Vp - 383.9 )Х0.1
나아가, 초음파 속도(Km/s)를 통한 압축 강도(MPa)의 추정식은 아래와 같다.
[식 1]
Fc = 21.5V - 62.0
[식 2]
Fc = 33.91V - 110.7
[식 3]
Fc = 56.974V- 206
[식 4]
Fc = 36.72Vp - 129.077
[식 5]
Fc= (372.7Vp - 1250.2)Х0.1
[식 6]
Fc = (152Vp - 383.9)Х0.1
표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하여 마감재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추정압축강도 신뢰도를 평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구조물 진단 시 기존에 제안된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식의 오차율 범위가 8.3%~51.2%로 광범위한 변동 폭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경우 비마감 샘플의 코어에 비하여 13.8% 정도 오차가 컸고,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경우 비마감 샘플의 코어 실험체에 비하여 5.1% 정도 오차가 작았다.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경우 비마감 샘플의 코어에 비하여 8.3% 정도 오차가 작았다. 마감재 중 도장(또는 수성 페인트)에 의한 마감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상기 오차율이 가장 낮은 마감 샘플의 코어에 마감된 마감 샘플을 저오차율 마감재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표 1에 의하면, 저오차율 마감재는 제3 마감 샘플(22)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일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콘크리트 실험체
20: 제1 마감 샘플
21: 제2 마감 샘플
22: 제3 마감 샘플

Claims (3)

  1.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
    상기 오차율이 가장 낮은 마감 샘플의 코어에 마감된 마감 샘플을 저오차율 마감재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샘플은 무늬 코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샘플은 본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 샘플은 수성페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오차율 마감재는 상기 수성페인트를 포함하는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KR1020210194618A 2021-12-31 2021-12-31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KR10255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618A KR102556219B1 (ko) 2021-12-31 2021-12-31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618A KR102556219B1 (ko) 2021-12-31 2021-12-31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460A true KR20230104460A (ko) 2023-07-10
KR102556219B1 KR102556219B1 (ko) 2023-07-20

Family

ID=8715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618A KR102556219B1 (ko) 2021-12-31 2021-12-31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2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34A (ja) * 1999-01-13 2000-07-28 Sekisui Chem Co Ltd 塗膜の耐久性促進試験法
KR200207482Y1 (ko) * 2000-07-04 2000-12-15 주식회사리보테크 블록과 양생접합된 콘크리트 마블성 장식석재
KR20030027127A (ko) * 2001-09-12 2003-04-07 조명기 초음파 콘크리트 테스터
KR20080114159A (ko) * 2007-06-27 2008-12-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123791A (ko) * 2013-04-15 2014-10-23 박상언 대리석 가공타일을 부착한 콘크리트 블록
KR101616942B1 (ko) * 2015-05-27 2016-05-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적 압축충격 시험용 콘크리트 시편 가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0634A (ko) * 2015-11-24 2017-06-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운드 신호에너지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비파괴 강도 측정방법
KR102190604B1 (ko) 2019-01-31 2020-12-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기재령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방법 및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34A (ja) * 1999-01-13 2000-07-28 Sekisui Chem Co Ltd 塗膜の耐久性促進試験法
KR200207482Y1 (ko) * 2000-07-04 2000-12-15 주식회사리보테크 블록과 양생접합된 콘크리트 마블성 장식석재
KR20030027127A (ko) * 2001-09-12 2003-04-07 조명기 초음파 콘크리트 테스터
KR20080114159A (ko) * 2007-06-27 2008-12-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123791A (ko) * 2013-04-15 2014-10-23 박상언 대리석 가공타일을 부착한 콘크리트 블록
KR101616942B1 (ko) * 2015-05-27 2016-05-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적 압축충격 시험용 콘크리트 시편 가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0634A (ko) * 2015-11-24 2017-06-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운드 신호에너지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비파괴 강도 측정방법
KR102190604B1 (ko) 2019-01-31 2020-12-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기재령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방법 및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219B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msett The practical use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measurements in the assessment of concrete quality
Sá et al. Statistical survey on inspection, diagnosis and repair of wall renderings
Sadowski et al. ANN modeling of pull-off adhesion of concrete layers
Flores‐Colen et al. On‐site performance assessment of rendering façades for predictive maintenance
Sadowski et al. New nondestructive way of identifying the values of pull-off adhesion between concrete layers in floors
Oh et al. Nondestructive concrete strength estimation based on electro-mechanical impedance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
CN108362580B (zh) 冲击弹性波法检测结构实体混凝土强度的方法
CN110334429B (zh) 一种沥青路面剩余疲劳寿命的预测方法
KR1017918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화물 침투에 대한 내구성 진단 및 수명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Sadowski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 pull-off adhesion of concrete floor layers using RBF neural network
CN111177880A (zh) 一种基于胶粘剂化学特性分析的粘接结构失效准则的预测方法
CN110686948A (zh) 焊接区强度检测方法
Sadowski et al. Neural prediction of the pull-off adhesion of the concrete layers in floors on the basis of nondestructive tests
Galvão et al. Non-destructive mechanical and physical in-situ testing of rendered walls under natural exposure
Taileb et al. Infrared imaging as a means of analyzing and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 envelopes: the case of a LEED gold building
KR102556219B1 (ko)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Pereira et al. Harmonising correlation matrices within a global building expert knowledge-based inspection system
Flores-Colen et al. Expedient in situ test techniques for predictive maintenance of rendered façades
CN104165795A (zh) 一种古建筑木梁的剩余抗弯承载力测定方法
KR20230103618A (ko) 코어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Draudviliene et al. Metrological performance of hybrid measurement technique applied for the Lamb waves phase velocity dispersion evaluation
Faqih et al. Technology-based multi-tiered building diagnosis framework
Galvão et al. In situ testing to evalu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rendered façades-rebound hammer and ultrasound techniques
KR102185259B1 (ko)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비파괴 검사방법
Tymchik et al. Analysis of acoustic diagnostics errors of stress state for shaped profiles of metal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