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897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897A
KR20230103897A KR1020220091138A KR20220091138A KR20230103897A KR 20230103897 A KR20230103897 A KR 20230103897A KR 1020220091138 A KR1020220091138 A KR 1020220091138A KR 20220091138 A KR20220091138 A KR 20220091138A KR 20230103897 A KR20230103897 A KR 2023010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nft
unit
vaul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거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거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거스튜디오
Publication of KR2023010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저작권을 분할 거래하고 분배값을 분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1 토큰 및 마스터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토큰 및 마스터데이터를 수신하여, 마스터데이터에 저장된 저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NFT를 생성하는 NFT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서버로부터 제1 토큰 및 NFT를 수신하여 예치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T 형태로 저작권을 분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소유를 인증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명확한 저작권 분배를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서버에서 보다 수월하고 자유롭게 저작권을 거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에 대한 정보와 분할/분배된 수량과 일정 등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COPYRIGHT SPLIT TRANSACTION AND ALLOCATION SYSTEM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저작권을 분할 거래하고 분배값을 분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기술 및 문화 발전에 따라 글로벌 음악 산업 시장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음원 저작권에 투자하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다. 음원 저작권 투자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법인이 저작권 포트폴리오를 소유하고 수익금을 분배하는 펀드 형태와, 곡 단위로 저작권의 일부를 거래하는 거래소 형태로 분류된다. 이러한 저작권은 수익을 예측하고 확인하기 쉬우며, 꾸준한 배당을 발생시키는 안정적인 수익 방법, 미래 가치 상승 가능성을 가진 투자 방법으로 근로소득 외에 제2의 수익 창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고자 하는 신세대들의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음원 저작권 투자 형태는 창작자와 팬 사이의 긍정적 시너지를 발생시키기 어렵거나 산업이 발전하기 어려운 형태를 띄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펀드 투자 형태의 경우 구매자(펀드 투자자)는 포트폴리오의 구성이나 운영을 펀드에 맡기고 단순히 투자 및 배당금을 받아오는 형식이기 때문에, 직접 원하는 곡을 선택하여 투자할 수 없고, 구매자에게 저작권에 대한 권리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거래소 형태 투자의 경우 거래소 서비스가 종료된다면 투자자는 저작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어렵고, 신탁회사들이 저작권료를 국가의 법정화폐로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지역의 한계성을 띄는 거래소에 그치게 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현존하는 투자 형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NFT 형태로 저작권을 분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소유를 인증하는 저작권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1996406호 (2019.06.28.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225호 (2019.01.18.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저작권을 분할 거래하고 분배값을 분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1 토큰 및 마스터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 단말;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1 토큰 및 마스터데이터를 수신하여, 마스터데이터에 저장된 저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NFT를 생성하는 NFT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서버로부터 제1 토큰 및 NFT를 수신하여 예치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분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예치부에 저장된 NFT에 기록된 직전분배요청기간값과 서버에 기록된 마스터데이터의 현재분배기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분배값을 산정하고, 분배값에 대응하는 제1 토큰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T(Non-Fungible Token) 형태로 저작권을 분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소유를 인증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명확한 저작권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T 형태로 저작권을 분할하므로 다양한 서버에서 보다 수월하고 자유롭게 저작권을 거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에 대한 정보와 분할/분배된 수량과 일정 등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분배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공모과정 및 그에 따른 Vault의 모드 변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에서 NFT가 생성 및 분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토큰 이코노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저작권, Fungible Token, Non-Fungible Token(NFT), 법정화폐의 매시업 서비스로 공모(Public offering), Peer to Peer 거래까지 기존의 주식거래소의 기능을 동일하게 지원하는 블록체인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은 무형 자산을 분할하여 공동소유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NFT 포맷, 무형 자산의 사용료(로열티)가 블록체인 상에서 NFT 소유자에게 분배될 수 있는 분배 시스템, NFT가 블록체인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공정하게 분배될 수 있는 공모 시스템 및 NFT가 분배되고 거래되는 모든 과정에서 사용성을 증진시킬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은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하기 위해 제1 토큰(T1), 제2 토큰(T2) 및 NFT로 지칭되는 세 종류의 토큰을 활용한다.
NFT는 서버(100)의 NFT생성부(110)에 의해 발행되며, 특정 저작권을 분할하여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토큰이다. NFT가 발행될 수 있는 총 수량은 공모부(120)에 의해 수행되는 첫 공모과정에서 결정되며, 컬렉터블한 가치를 지니기 위해 불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NFT는 저작권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NFT를 관리할 수 있도록 확장성 있게 설계 되어있어, 향후 아티스트 굿즈, 미술품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될 수 있다. NFT는 공모 이전에는 서버(100)에 저장되거나 관리자 단말(200)에 의해 소유되며, 공모 이후에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되고, 이후 거래를 통해 소유권을 가지는 단말 또는 서버(100)에 저장된다.
제1 토큰(T1)은 저작권 거래, 저작권 공모, 저작권료 분배 등에서 화폐 대용으로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제1 토큰(T1)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토큰들이 가지는 기능들(mint, transfer 등)을 갖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이를 활용하여 서버(100) 내에서 NFT 거래, NFT 공모 참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비스 등 미디어에서 사용된 저작권 수익은 해당 저작권의 NFT 보유자들, 즉 해당 저작권의 NFT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300)의 예치부(310)에 제1 토큰(T1)의 형태로 분배된다. 즉, 제1 토큰(T1)은 NFT 공모 참여를 위해 사용되며, NFT의 개인간 거래를 위해 사용되고, NFT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 저작권료를 분배 받는 화폐이다. 특히, NFT 공모 참여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토큰(T1)을 예치부(310)에 예치함에 따라 예치한 수량에 비례하여 후술할 제2 토큰(T2)을 획득하게 된다.
제2 토큰(T2)은 NFT 공모에 참여할 자격을 얻기 위해 소모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다. 구체적으로, 제2 토큰(T2)은 사용자 단말(300)이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제1 토큰(T1)을 예치부(310)에 예치함에 따라, 제1 토큰(T1)을 예치한 수량에 비례하여 토큰전환부(140)로부터 획득하는 유틸리티 토큰으로, 이를 활용하여 티켓을 구매해 저작권 공모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저작권의 대상이 되는 저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공모과정 참여를 위한 티켓을 구매하는 데에 필요한 제2 토큰(T2)의 수량은 관리자 단말(200) 또는 공모부(1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200),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해, 서버(100)는 NFT생성부(110), 공모부(120), Vault생성부(130), 토큰전환부(140), 티켓전환부(150), 티켓선정부(160) 및 분배부(170)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300)은 예치부(310)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관리자 단말(200)은 저작권 거래, 저작권 공모과정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블록체인 상에서 운용되는 제1 토큰(T1)을 관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1 토큰(T1)을 생성하고, 마스터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10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제1 토큰(T1) 및 마스터데이터를 수신하여 NFT를 생성하고, NFT에 대한 공모를 진행하며, NFT에 대한 거래를 위한 마켓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서버(100)로부터 제1 토큰(T1) 및 NFT를 수신함으로써 NFT에 대한 공모 및 거래에 참여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1 토큰(T1) 및 NFT를 저장하는 예치부(31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치부(310)는 제1 토큰(T1)을 사용성 있게 보관하고, 이자를 분배 받을 수 있는 예치 풀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예치부(310)에 예치한 비율에 따라 일정 기간 마다 관리자 단말(200)의 수익(저작권 공모에 참여하여 획득한 저작권료 수익, 공모과정과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 등)의 일부를 제1 토큰(T1)으로 배당 받을 수 있다. 배당 받는 제1 토큰(T1)의 수량은 배당 시점의 제1 토큰(T1)의 가격, 예치부(310)에 예치되어 있는 총 예치 수량, 사용자 단말(300)이 예치 한 제1 토큰(T1)의 수량에 따라 자동으로 환산되어 분배된다.
서버(10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서버(100)는 공모부(120), Vault생성부(130), 토큰전환부(140), 티켓전환부(150), 티켓선정부(160) 및 분배부(170)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NFT생성부(110)는 오프라인 상에서 존재하는 저작권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 소유,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NFT를 발급 및 관리하는 구성이다. 특히, NFT생성부(110)는 서버(100)를 통한 거래소의 블록체인 에코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기반이 되는 데이터, 기능의 모음이다. NFT생성부(110)는 메타데이터 및 마스터데이터에 기초하여 NFT를 생성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NFT생성부(110)는 마스터데이터에 저장된 저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NFT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NFT생성부(110)를 통해 발급된 NFT는 사용자 단말(300)에 공모를 통해 분배됨으로써 저작권을 분할하여 소유하고 있음을 증명하게 된다.
메타데이터는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를 조회함으로써 거래소의 사용자들이 거래되고 있는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저작권이 음원인 경우 음원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인 음악명, 아티스트명, 청취링크 등을 포함하며, 각 음원별로 해당 컴포넌트는 하나만 발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메타데이터는 해당 저작권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생성된다. 메타데이터는 관리자 단말(200) 또는 저작자 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작자 단말은 메타데이터의 원천이 되는 저작물의 원작자에 의해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이다.
마스터데이터는 NFT의 총 발행 가능량, 현재 발행량, 관리하고 있는 지분율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마스터데이터는 관리자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며, 이에 기초하여 NFT의 관리 및 신규 발행이 가능하게 된다. 즉, 관리자 단말(200)이 마스터데이터를 이용하여 NFT에 대한 관리 작업을 진행하면서 현재 발행량, 관리자 단말(200)이 관리하고 있는 NFT 수 정보를 함께 변경하면서 유통 및 거래가 되는 NFT의 총 수량을 컨트롤하게 된다. 발행 가능한 총 NFT 수는 해당 저작권이 처음 공모될 때 결정되는 값이며, 관리자 단말(200)이 관리하고 있는 저작권의 지분율과 그에 대응되는 NFT 발행 수는 저작권자가 거래소를 통해 저작권 추가 거래 의사를 전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모부(120)는 공모 과정을 투명하게 진행시키며, 공모 과정 내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토큰, NFT 등을 보관 및 분배하는 구성이다. 공모부(120)는 서버(100)의 핵심 프로세스인 공모 과정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NFT에 대한 공모정보를 수신하여 Vault생성부(130)가 Vault를 생성하고 티켓선정부(160)가 당첨티켓을 선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공모정보에는 공모 대상 저작권 정보(공모곡명, 아티스트명, 삽입앨범, 발매년도, 앨범커버 이미지 등), 공모 일정 정보(공모 시작일, 공모 종료일, 티켓선정일, NFT 분배 시작일 등), 공모 NFT 정보(공모 NFT 수량) 및 지불 정보(1 티켓 당 Lockup되는 제1 토큰(T1) 수량, 소각되는 제2 토큰(T2) 수량, 공모 예치금 비율 등)가 포함된다.
Vault생성부(130)는 공모부(120)가 수신한 공모정보에 기초하여, NFT 및 제2 토큰(T2)을 저장하는 Vault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Vault는 공모 과정 내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제1 토큰(T1), 제2 토큰(T2), NFT 등을 보관하는 에스크로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제3자의 개입 없이 자동화된 안전한 공모가 진행된다. 사용자 단말(300)은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보유한 제2 토큰(T2)을 티켓으로 교환하고 예치부(310)에 예치한 제1 토큰(T1)을 Lockup시킨다. 공모가 끝날 때까지 Lockup된 제1 토큰(T1)은 안전하게 보관되며, 공모 과정이 끝난 후 Vault는 기 입력된 공모정보를 바탕으로 제1 토큰(T1)과 NFT를 교환하고 사용되지 않은 제1 토큰(T1)들은 사용자 단말(300)에게 반환한다. Vault에 대한 보다 상세한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토큰전환부(140)는 제1 토큰(T1)을 미리 설정된 수량의 제2 토큰(T2)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토큰전환부(140)는 사용자 단말(300)이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제1 토큰(T1)을 예치한 수량에 비례하여 제2 토큰(T2)을 사용자 단말(300)의 예치부(310) 또는 Vault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티켓전환부(150)는 Vault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제2 토큰(T2)을 미리 설정된 수량의 티켓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티켓선정부(160)는 티켓전환부(150)가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한 티켓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당첨티켓을 선정하는 구성이다.
분배부(170)는 저작권이 사용되어 발생한 수익금을 NFT 보유자에게 지분만큼 분배하며, 지급내역 및 수령여부를 관리하는 구성이다. 분배부(170)가 NFT를 보유한 수요자 단말에게 분배금을 지급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분배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분배부(170)는 기간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게 분배금으로써 제1 토큰(T1)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분배부(170)는 NFT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300)들에게 저작권 수익을 분배하기 위해 NFT 내에 기록된 기간과 관련된 값, 즉 기간값(epoch)을 이용한다. 상세한 일 실시예로, 분배부(17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분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예치부(310)에 저장된 NFT에 기록된 직전분배요청기간값과 서버(100)에 기록된 마스터데이터의 현재분배기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분배값을 산정하고, 분배값에 대응하는 제1 토큰(T1)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기간값은 저작권 수익 분배 기간의 단위로써 수익이 분배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값이다. 처음 NFT가 생성되었을 때 기간값은 0이며 모든 스테이트 값은 0으로 초기화 된다. 저작권 수익이 분배될 때마다 n번째 기간값 account가 생성되며 해당 account에는 저작권 수익 분배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한편, NFT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300)이 배당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서버(100)를 통해 요청 과정을 거쳐야 한다. 분배부(17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각 NFT에 기록되어 있는 마지막으로 분배값을 요청한 기간값(직전분배요청기간값)과 마스터데이터의 현재 기간값(현재분배기간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요청할 수 있는 저작권 배당 수익을 계산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1 토큰(T1)을 사용자 단말(300)의 예치부(31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이 기간값을 이용하여 분배금을 산정하기 위해, 분배부(170)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분배값에 대응하는 제1 토큰(T1)을 n회 수신하면, 마스터데이터의 현재분배기간값을 n으로 기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공모과정 및 그에 따른 Vault의 모드 변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Vault는 공모 과정의 진행 상황에 따라 준비모드(M1), 활성모드(M2), 잠금모드(M3) 및 완료모드(M4)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준비모드(M1)는 공모부(120)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공모정보 및 NFT생성부(110)가 생성한 NFT를 Vault에 저장하는 작동모드로, 공모 과정 진행을 위해 관리자 단말(200)이 공모정보를 공모부(120)에 전송함으로써 Vault를 생성한 상태이다.
활성모드(M2)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2 토큰(T2)을 수신하여 Vault에 저장하는 작동모드로, 공모 모집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300)이 원하는 참여 수량만큼 제1 토큰(T1)을 예치부(310)에 예치함으로써 제2 토큰(T2)을 Vault에 저장하는 상태이다.
잠금모드(M3)는 공모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공모종료일이 도래함에 따라, 제2 토큰(T2)의 수신을 차단하는 작동모드로, 공모 기간이 끝나고 예치된 제1 토큰(T1) 및 저장된 제2 토큰(T2)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상태이다. 잠금모드(M3)가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은 제2 토큰(T2)을 Vault에 전송할 수 없으므로 공모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완료모드(M4)는 Vault가 당첨자 단말(302)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NFT를 전송하고, 제2 토큰(T2)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작동모드로, 공모가 완료된 상태이며 본 상태에서 공모정보와 자동화된 프로그램 로직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1 토큰(T1), 제2 토큰(T2)과 NFT를 분배하는 상태이다. 이 때, Vault는 제2 토큰(T2)을 당첨티켓을 보유한 당첨자 단말(302) 및 당첨티켓을 보유하지 않은 낙첨자 단말(301) 모두에 반환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첨자 단말(302)에는 Vault에 저장한 제2 토큰(T2) 중 NFT로 교환되지 않은 제2 토큰(T2)의 잔여분을 반환하고, 낙첨자 단말(301)에는 Vault에 저장한 제2 토큰(T2)의 전액을 반환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에서 NFT가 생성 및 분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은 NFT 생성단계, 공모정보 수신단계, Vault 생성단계, 공모준비단계, 공모단계, 티켓선정단계 및 공모완료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NFT 생성단계는 서버(100)의 NFT생성부(110)가 NFT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200)이 생성한 마스터데이터에 기초하여 NFT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NFT 생성단계에 앞서 저작권자와 협의가 완료된 후 문서와 음원 정보 등을 준비하는 사전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사전 준비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경우, 서버(100)는 저작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NFT를 생성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전 준비 단계와 NFT 생성단계 사이에 신탁사가 주체가 되어 저작권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 저작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200)이 메티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공모정보 수신단계는 서버(100)의 공모부(120)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NFT에 대한 공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Vault 생성단계는 서버(100)의 Vault생성부(130)가 공모정보에 기초하여 Vault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공모준비단계는 Vault가 NFT 중에서 공모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의 NFT를 Vault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 때, 관리자 단말(200)이 전송한 공모정보에 기초하여 Vault에 NFT가 예치됨에 따라 Vault가 활성모드(M2)로 변환된다.
공모단계는 사용자 단말(300)이 제2 토큰(T2)을 Vault에 전송함에 따라, 티켓전환부(150)가 제2 토큰(T2)을 미리 설정된 수량의 티켓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 단말(300)이 예치부(310)에 예치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모의 참여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공모에 참여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공모준비단계와 공모단계 사이에 관리자 단말(200)이 서버(100)의 공모부(120)를 통해 공모를 사용자 단말(300)에게 공개하는 공모 공개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 때, 공모부(120)를 통해 공개되는 공모는 공모정보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대외적으로 보안을 유지해야하는 정보 외에 사용자 단말(300)에게 필수로 제공되어야 할 정보만이 포함되면 족할 것이다.
티켓선정단계는 서버(100)의 티켓선정부(160)가 티켓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당첨티켓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즉, 공모 기간 종료 후 공모부(120)에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당첨티켓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공모완료단계는 Vault가 당첨티켓을 수신한 당첨자 단말(302)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NFT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즉, Vault에 예치되어 있는 NFT를 공모 결과에 따라 분배하는 단계이다. 이 때, 공모완료단계는 Vault가 당첨자 단말(302) 및 낙첨자 단말(301)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토큰(T2)을 반환하는 토큰반환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공모완료단계 이후에 서버(100)에 해당 NFT에 대한 마켓을 생성하는 마켓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의 토큰 이코노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토큰을 활용한 거래 시스템과는 차별화된 본 발명의 토큰 이코노미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거래 시스템의 경우 초기에 높은 APY를 제공하지만, TVL이 높아질수록 APY가 낮아져 초기 유저들이 예치된 토큰을 회수한 후 다른 서비스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플랫폼이 확장되고 진행된 저작권의 공모 과정 수가 증가하는 것과 비례하게 배당되는 수익이 우상향하도록 설계 되어있어, 토큰을 예치한 유저들에게 꾸준히 상승하는 배당 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꾸준히 상승하는 법정화폐 기반 복리 배당 수익율을 fAPY(fiat money APY)로 표현하였으며, 이는 배당되는 제1 토큰(T1)의 가치를 법정 화폐로 환산시킨 인덱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fAPY와 fAPY의 시간에 따른 증가 그래프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본 발명의 거래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제1 지점(P1)은 예치 fAPY가 시장가보다 크게 책정됨으로써 토큰 매수 의사가 증가하여 제1 토큰(T1)의 가격 하한을 방지하게 되는 지점이다. 또한, 제2 지점(P2)은 예치 fAPY가 증가함에 따라 토큰 매수 의사가 증가하여 제1 토큰(T1)의 가격이 상승하는 지점이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다음의 수식을 기반으로 표현되었다.
[식 1] 스테이킹 fAPY =
Figure pat00001
공모 과정에서는 제1 토큰(T1)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구매 요인이 확보된다. 또한,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300) 간 거래에 제1 토큰(T1)을 사용하는 경우 서버(100)의 수수료가 인하되도록 실시되는 경우, 제1 토큰(T1)에 대한 지속적인 구매 요인이 추가로 확보된다. 이에 더해, 예치된 제1 토큰(T1)의 비율에 따라 저작권에 대한 수입을 분배받으므로 이자를 목적으로 하는 구매 요인을 더 확보하게 된다.
관리자 단말(200)은 분배금 배당 시, 총 분배금만큼의 제1 토큰(T1)을 구매하며, 잉여자금이 필요 이상으로 많을 경우 제1 토큰(T1)을 구매하여 소각하는 방식으로 제1 토큰(T1)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서버 110 : NFT생성부
120 : 공모부 130 : Vault생성부
140 : 토큰전환부 150 : 티켓전환부
160 : 티켓선정부 170 : 분배부
200 : 관리자 단말 300 : 사용자 단말
310 : 예치부 301 : 낙첨자 단말
302 : 당첨자 단말
T1 : 제1 토큰 T2 : 제2 토큰
P1 : 제1 지점 P2 : 제2 지점
M1 : 준비모드 M2 : 활성모드
M3 : 잠금모드 M4 : 완료모드

Claims (5)

  1.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제1 토큰 및 마스터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 단말;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토큰 및 상기 마스터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데이터에 저장된 저작물의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NFT를 생성하는 NFT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토큰 및 상기 NFT를 수신하여 예치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분배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예치부에 저장된 상기 NFT에 기록된 직전분배요청기간값과 상기 서버에 기록된 상기 마스터데이터의 현재분배기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분배값을 산정하고, 상기 분배값에 대응하는 제1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배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토큰을 n회 수신하면 상기 마스터데이터의 상기 현재분배기간값을 n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토큰을 미리 설정된 수량의 제2 토큰으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토큰전환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NFT에 대한 공모정보를 수신하는 공모부;
    상기 공모부가 수신한 상기 공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FT 및 상기 제2 토큰을 저장하는 Vault를 생성하는 Vault부;
    상기 Vault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토큰을 미리 설정된 수량의 티켓으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티켓전환부; 및
    상기 티켓전환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 상기 티켓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당첨티켓을 선정하는 티켓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Vault는,
    상기 사용자 단말 중에서 상기 당첨티켓을 수신한 당첨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기 NFT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Vault는,
    상기 공모부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모정보 및 상기 NFT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NFT를 저장하는 준비모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토큰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활성모드;
    상기 공모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공모종료일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제2 토큰의 수신을 차단하는 잠금모드; 및
    상기 당첨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기 NFT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완료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5. 서버의 NFT생성부가 NFT를 생성하는 NFT 생성단계;
    상기 서버의 공모부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NFT에 대한 공모정보를 수신하는 공모정보 수신단계;
    상기 서버의 Vault생성부가 상기 공모정보에 기초하여 Vault를 생성하는 Vault 생성단계;
    상기 Vault가 상기 NFT 중에서 상기 공모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개수를 저장하는 하는 공모준비단계;
    사용자 단말이 제2 토큰을 상기 Vault에 전송함에 따라, 티켓전환부가 상기 제2 토큰을 미리 설정된 수량의 티켓으로 전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공모단계;
    티켓선정부가 상기 티켓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당첨티켓을 선정하는 티켓선정단계; 및
    상기 Vault가 상기 당첨티켓을 수신한 당첨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상기 NFT를 전송하는 공모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KR1020220091138A 2021-12-31 2022-07-22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KR202301038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4127 2021-12-31
KR1020210194127 2021-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897A true KR20230103897A (ko) 2023-07-07

Family

ID=8715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138A KR20230103897A (ko) 2021-12-31 2022-07-22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89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25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996406B1 (ko) 2017-07-07 2019-10-01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06B1 (ko) 2017-07-07 2019-10-01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5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경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5626C (zh) 数字媒体交换中心平台
KR100203562B1 (ko) 콘텐트 매상금 분배 시스템 및 분배 방법
US7228288B2 (en) Method of repeatedly securitizing intellectual property assets and facilitating investments therein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系统及方法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JPH11513152A (ja) 投資契約の定式化及び取引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Sixt et al. Accounting and taxation of cryptoassets
US20200074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table cryptocurrency
KR102572638B1 (ko) 아티스트를 위한 디지털 nft 판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판매 방법
KR20190099545A (ko)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EP4064161A1 (en) Media distribu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153799A1 (en) Computerized trading system for asset-based, smart-contract tokens including automated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token and asset transfer
TW202338686A (zh) 資訊處理系統、方法及程式
TW202336667A (zh) 資訊處理系統、方法及程式
KR2023010389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분할 거래 및 분배 시스템
US20230315816A1 (en) Method for value mapping and exercise of digital rights
KR20190097683A (ko) 블록 체인 기반의 복권 발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52370A (ko) 비가청 음역대를 활용해 음원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음원 저작권을 분할 거래하고 분배금을 분배하는 시스템
KR20230011197A (ko) Nft를 이용한 실제 예술품 거래 방법
KR20210052711A (ko) 블록체인 기반 특허 밸류체인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방법
JP7054288B1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NL2027981B1 (en) Method for managing a portfolio of rental earning potential and for creating a data structure and a computer system for executing either method
KR102245928B1 (ko) 매개 포인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수수료 거래 방법
CN114331702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Dolderer et al. Identification of Dimensions for the Description of Blockchain-based Toke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