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756A -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756A
KR20230103756A KR1020220005809A KR20220005809A KR20230103756A KR 20230103756 A KR20230103756 A KR 20230103756A KR 1020220005809 A KR1020220005809 A KR 1020220005809A KR 20220005809 A KR20220005809 A KR 20220005809A KR 20230103756 A KR20230103756 A KR 2023010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substrate
oggetic
elastic
present disclosur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립
정승준
김희숙
손정곤
황석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756A/ko
Publication of KR2023010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Multilayers with layers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그제틱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STRETCHABLE SUBSTRATE WITH IMPROVED STRETCH UNIFORM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신축성을 가진 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지는 기계적 메타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기판을 제공함에 있어, 해당 탄성 기판의 전체 표면의 각 구간별 변형률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단단한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한 전도성 소자에서 벗어나, 유연한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한 신축성 전자 소자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신축성 전자 소자는 외부 응력에 대해 자유롭게 늘어날 수 있는 기판 상에 제작된 전자 소자로 기계적 변형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소자의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는 차세대 전자 소자이다. 이러한 신축성 전자 소자는, 플렉서블 장치, 웨어러블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표시 또는 인체 내에 부착되는 센서, 전극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신축성 전자 소자가 가장 널리 활용될 수 있는 분야로는, 신축성 디스플레이, 신축성 태양 전지, 신축성 에너지 저장/발전 소자 등이 있으며, 유연 디스플레이의 뒤를 잇는 차세대 기술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신축성 전자 소자는, 뛰어난 기계적 가변성으로 인해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 아니라 외력에 의한 기계적 안정성까지 확보할 수 있어, 웨어러블 소자, 전자 피부, 스마트폰, 의료기기,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국방, 항공 우주 산업 등으로 시장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련하여 고정된 평면/곡선형 디스플레이부터 단일 방향으로 접히거나 말리는 등 플렉서블(flexible),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 형태로 변형 자유도의 증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 스마트화가 일어나고 공간의 이동성이 강조되면서, 고정형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다양한 조건에서 다차원 축 방향으로 변형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신축성 디스플레이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련한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컨대, 하나의 축 방향으로 연신 시, 다른 하나의 축에 관련한 변형률 제어가 가능한 즉, 음의 포아송비를 가지는 탄성 기판을 통해 신축성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신축성 디스플레이는, 기판의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음의 포아송 비 제어가 가능하나, 각 픽셀 구간별로 응력이 불균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그제틱 구조를 활용한 신축성 기판의 경우, 연신 시, 연신 방향과 in-plane 수직 방향으로는 번형률 제어가 가능하나, 각 픽셀 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인장률을 가질 수 있다.
일 방향 연신에 대응하여 신축성 디스플레이가 각 픽셀 구간별 상이한 인장률 분포를 보이는 경우, 픽셀의 in-plane 방향으로의 왜곡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소자의 구간별 뒤틀림을 야기시켜 신충성 기판 상에 위치한 소자의 기계적 이탈을 가속화하여 소자의 수명 단축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당 업계에는 음의 포아송비를 가지는 신축성 기판을 제공하여 신축 방향 대비 in-plane의 수직 방향으로의 변형률을 제어함과 동시에, 기판 내 인장률 분포를 균일화하여 왜곡 및 뒤틀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신축성 기판에 대한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9861호(2017.06.15)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의 포아송비를 가지는 신축성 기판을 제공하여 신축 방향 대비 in-plane의 수직 방향으로의 신축을 제어함과 동시에, 기판 내 인장률 분포를 균일화하여 왜곡 및 뒤틀림을 최소화하는 신축성 기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그제틱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그제틱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오그제틱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는, 탄성 소재를 활용한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는,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위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각 단위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돌출부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와의 결합에 관련한 일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은, 각 단위 구조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양변 각각의 일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는, 상기 오그제틱의 제1면에 부착되는 제1탄성시트 및 상기 제1면에 대응하는 제2면에 부착되는 제2탄성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는 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면에 상기 제1탄성시트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제2면 방향에서 상기 관통홀 각각에 탄성체를 충진하고, 상기 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시트 간의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면에 상기 제2탄성시트를 접촉시켜 상기 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시트 간의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위 구조체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홀 각각에 탄성체를 충진시키는 단계, 상기 각 탄성체의 양면을 기준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탄성체의 양면 각각에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접촉시켜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시트와 동일한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그제틱의 제1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오그제틱의 제2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각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 각각에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 각각을 접촉시켜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이 개시된다. 상기 신축성 기판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며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지는 오그제틱 및 상기 오그제틱의 양면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오그제틱은, 상기 복수의 각 단위 구조체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 각각에 관통홀 또는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와의 결합에 관련한 일 지점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은, 상기 관통홀에 충진되어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와 접착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시트와 동일한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 전자 장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이 형성된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성 기판 상에 유연 전극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는,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그제틱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상기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유연 전자 장치는, 신축성 기판 및 상기 신축성 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기판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며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지는 오그제틱 및 상기 오그제틱의 양면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오그제틱은, 상기 복수의 각 단위 구조체 각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 각각에 관통홀 또는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와의 결합에 관련한 일 지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음의 포아송비를 갖는 신축성 기판을 제공하여 신축 방향 대비 in-plane의 수직 방향으로의 수축을 제어함과 동시에, 기판 내 인장률 분포를 균일화하여 왜곡 및 뒤틀림을 최소화하는 신축성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축성 기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신축성 기판이 오그제틱 구조를 통해 구현됨에 따라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른 하나의 축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 구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오그제틱의 연신 시 인장률 분포가 균일하지 못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판 내 인장률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왜곡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에 관련하여 탄성 기판과의 선택적 접합을 통해 생성된 신축성 기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에 구비된 관통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관통홀이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관통홀이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관통홀이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에 구비된 돌출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돌출부가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돌출부가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돌출부가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10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신축성 기판(100)은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지며,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통해 구성되는 오그제틱(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그제틱(10)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통해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계적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적 메타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 메타 물질에 관련한 오그제틱(10)은 통상적인 자연계 연신에 정반대인 수직 방향으로 팽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신축성 기판(100)에 포함된 오그제틱(10)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위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형상을 통해 구비됨에 따라 오그제틱(10)은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질 수 있다. 포아송 비란, 재료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인장되는 가로 방향의 변형도와 세로 방향의 변형도 사이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아송 비는, 횡방향과 종방향 간의 변형률을 의미할 수 있다.
대부분은 재료들은 단축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경우, 재료의 인장 방향과 측면 방향 변형률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양의 포아송 비를 갖는다. 다만, 재료가 특정한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설계할 경우, 구성물질이 양의 포아송 비를 가지더라고 거시적으로 음의 포아송 비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논-오그제틱(non-auxetic) 구조의 재료는, 횡방향의 응력이 가해지면, 해당 방향으로 신장함과 동시에 종방향으로의 수축이 발생한다. 즉, 재료 내부에 생기는 수직 응력에 의한 종방향의 변형과 횡방향의 변형 간의 포아송 비가 양수일 수 있다.
반면, 오그제틱(auxetic) 구조의 재료는, 횡방향의 응력이 가해지면,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로 신장될 수 있다. 즉, 재료 내부에 생기는 수직 응력에 의한 포아송 비가 음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소재를 활용한 인쇄 공정을 통해 신축성 기판(100)을 형성하는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시트(20)를 생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고, 생성된 탄성시트(20)의 일면에 인쇄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 있다. 탄성시트(20)는 오그제틱(10)의 형성 과정에서 해당 오그제틱(10)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 막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인쇄 공정 이후, 신축성 기판(1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탄성시트(20)를 지지체로 하여 상부 측에 탄성 소재를 활용한 인쇄 공정을 통해 특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형성(또는 적층)함으로써,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면의 일측면에 인쇄 공정을 수행하고, 경화 이후에 해당 고정면을 이탈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도 있다. 고정면은 오그제틱(10)의 형성 과정에서 해당 오그제틱(10)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인쇄 공정 이후 오그제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신축성 기판(10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와 상이한 별도의 고정면을 활용한 인쇄 공정을 수행하여 오그제틱(10)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그제틱(10)을 해당 고정면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본 개시의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에서의 오그제틱(10)의 생성 공정은, 얇은 탄성체로 구성되는 탄성시트(20)에 대한 인쇄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즉, 지지체로 활용되는 탄성시트가 신축성 기판에 포함되는 공정), 또는 평평한 고정면을 활용하여 오그제틱(10)을 생성하고, 경화 이후 해당 고정면으로부터 오그제틱(10)을 분리시킴으로써 오그제틱을 획득하는 공정(즉, 별도의 지지체를 분리시켜 오그제틱만을 제조하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인쇄 공정은, 설계된 회로 패턴을 잉크젯 프린터 또는 라미네이터 등을 통해 대상 물체를 찍어내는 공정으로,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가진 소재를 통해 특정한 격자 구조(즉, 특성 형상의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형성(또는 적층)하는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ing)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공정은, 예를 들어, 잉크젯, 공압용 디스펜서, 스크류 디스펜서, 스크린 프린팅, 바코터, 스트레이 프린팅 등의 장비를 활용한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인쇄 공정에 활용되는 장비들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탄성 소재를 활용한 인쇄 공정을 통해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을 구성하는 오그제틱(10)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쇄 공정을 통해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 간격 및 크기에 대응하는 오그제틱의 형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는 높은 디자인 자유도 및 소재 자유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대면적 공정에서 높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의 오그제틱(10)은, 일반적인 재료와 다르게 음의 포아송 비, 즉 횡방향과 종방향 변형률의 부호가 같도록 설계된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특정한 격자 구조로 설계된 기계적 메타 물질인 오그제틱(10)을 통해 구성됨으로써, 음의 포아송 비, 또는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한 변형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포아송 비는 원래 소재 고유의 특성이지만 소재에 특정한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포아송 비를 음의 값으로 제어가 가능한 오그제틱 구조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엔트런트(re-entrant) 구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리엔트런트 구조를 통해 구비된 오그제틱(1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오그제틱(10)이 리엔트런트 구조를 통해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 형상일 수 있다. 해당 오그제틱(10)에 대하여 종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즉, 해당 오그제틱이 일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이 펼쳐지면서, 횡 방향으로 내부 응력이 작용함에 따라, 해당 오그제틱(10)은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질 수 있다. 종 방향 축을 기준으로 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오그제틱(10)이 횡 방향 축을 기준으로 신장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오그제틱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오그제틱(10)은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이 리본 형상을 통해 구현됨에 따라 일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다른 방향의 축에 대한 변형률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오그제틱(10)을 통해 구현되는 신축성 기판(100)은 새로운 구조체를 활용하여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기계적 특성이 부여된 기판일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플렉서블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에 적용되어 외부 응력에 대하여 소자의 전기적 또는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이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되는 경우, 단일 방향으로 접히거나 말리는 등 고정형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다양한 조건에서 다차원 축 방향으로 변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높은 가변성을 제공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외력에 의한 기계적 안정성 확보를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오그제틱 구조의 신축성 기판(100)을 통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는, 기판의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음의 포아송 비 제어가 가능하나, 신축되는 경우, 각 픽셀 구간별로 발생하는 응력이 불균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그제틱 구조를 활용한 신축성 기판의 경우, 연신 시, 연신 방향과 in-plane 수직 방향으로는 번형률 제어가 가능하나, 각 픽셀 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인장률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픽셀 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인장률을 가짐에 따라, 표면을 구성하는 각 영역에 따라 응력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10)을 통해 신축성 기판(100)이 구현되는 경우, 포아송 비를 음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신축성 기판(100)에 평면 상 일 축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다른 축 방 향으로 신장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즉, 일 축을 기준으로 신축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in-plane의 수직 방향으로 신축이 야기될 수 있다.
다만,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10)을 탄성기판 내에 단순 삽입하여 신축성 기판을 구현하는 경우, 표면을 구성하는 각 픽셀 구간별 응력이 불균일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단위 구조체로 구성된 오그제틱(10)의 양면 각각에 2개의 탄성시트 각각이 전체 접촉되어 신축성 기판이 구성되는 경우, 일 방향 신축 시, 각 단위 구조체의 다양한 영역 각각에 적용되는 변형률이 상이함에 따라, 픽셀 구간별 응력이 균일하지 못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에 관련한 연신에 대응하여 각 단위 구조체가 펴지면서, in-plane 상에서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각 단위 구조체의 motion이 구간 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뒤틀리고, 회전되는 등 전체적인 변형률이 각 픽셀 구간별로 제각각일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오그제틱(10)이 일 축 방향으로의 신축되는 경우, 각 단위 구조체의 형상(예컨대,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리본 형상)에 따라 다른 일 축 방향에 왜곡을 유발하거나, 전체적인 뒤틀림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오그제틱을 통해 구현된 신축성 기판(100)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각형 픽셀이 뒤틀려서 전체적인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판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관련 소자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는 신축성 기판 상에 위치한 소자의 기계적 이탈을 가속화함에 따라 소자 수명의 단축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태양전지와 같이 표면 형상에 따라 소자의 성능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해당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오그제틱(10)을 통해 구현됨에 따라 음의 포아송 비가 적용된 신축성 기판(100)을 제공함에 있어, 해당 신축성 기판(100)의 픽셀 구간별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오그제틱(10)의 양면 일부분에 각 탄성시트를 선택적으로 접합함으로써, 해당 신축성 기판(100)의 픽셀별 변형률 균일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100)은, 오그제틱(10)과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 간의 선택적 접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 접합이란, 특정 형상의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통해 구현되는 오그제틱(10)의 양면 각각 전체 면적에 대응하여 2개의 탄성시트 각각을 전체 접합시키는 것이 아닌,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을 각 탄성시트의 일부분과 접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의 양면 각각의 일부 면적, 즉, 결합지점(10a)에 관련하여 탄성시트 각각을 결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단위 구조체의 구비 형상에 따라 결합지점(10a)에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구조체의 형상이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인 경우, 오그제틱(10)의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 선택적으로 접합됨에 따라, 신축성 기판(100)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오그제틱(10)의 양면을 각 탄성시트와 전체적으로 접합시키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 선택 접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합된 부분이 신축에 따라 균일한 변형률을 전체 기판에 인가할 수 있다. 이는 편평도 완화를 통해 신축 디스플레이의 픽셀 왜곡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소자 성능을 유지시키고, 그리고 소자 이탈을 최소화하는 등 전반적인 신축성 전자 기기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신축성 기판(100)은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신축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련하여 픽셀 구간별 균일한 변형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 방향으로의 신축 시 발생하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 구조적 특징 및 이에 대한 효과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에 관련하여 탄성 기판과의 선택적 접합을 통해 생성된 신축성 기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에 구비된 관통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관통홀이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관통홀이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관통홀이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리엔트런트 구조의 오그제틱에 구비된 돌출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돌출부가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돌출부가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돌출부가 구비된 오그제틱에 기반하여 신축성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기판(100)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로 구성되는 오그제틱(10) 및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오그제틱(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는,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오그제틱이 리엔트런트 구조를 통해 구성됨에 따라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이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리본 형상의 복수의 단위 구조체로 구성된 오그제틱(10) 및 해당 오그제틱(10)의 양면 각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는 사전 결정된 두께 이하로 생성되어 오그제틱(10)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탄성시트는 신축 가능하도록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신축성 기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의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오그제틱(10)이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 각각과 접착 또는 결합됨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지점(10a)은, 오그제틱(10)과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 간의 결합에 관련한 일 지점일 수 있다. 예컨대, 결합지점(10a)은, 탄성시트 각각과 결합되는 결합 부분에 관련한 각 단위 구조체 상의 지점일 수 있다. 즉, 결합지점(10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 각각과의 접합에 관련한 지점이며, 각 단위 구조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양변 각각의 일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오그제틱(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는 제1단위 구조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위 구조체(11)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변 각각에 결합지점(10a)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각 단위 구조체를 구성하는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변 각각을 결합지점(10a)으로 하고, 각 단위 구조체의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오그제틱(10)과 제1탄성시트(21) 간의 선택적 접합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탄성시트(21) 방향에 위치한 결합지점(10a)만을 도시하나, 해당 결합지점(10a)은 제2탄성시트(22) 방향(즉, 도면의 하부 방향)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컨대, 하나의 단위 구조체를 기준으로 결합지점은, 상면, 하면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는 변 각각에 형성된 4개의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그제틱(10)의 양면에서, 각 단위 구조체(11)의 결합지점(10a)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각각과 결합되어 신축성 기판(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시트(20)와 오그제틱(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접합되어 신축성 기판(100)이 구성되므로, 특정 축 방향으로의 인장에 대응하여 표면을 형성하는 탄성시트(20)가 일 축(예컨대, x축)과 다른 축(예컨대, y축)으로 균일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변형률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10)의 결합지점(10a)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접합시킴으로써,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방법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10)을 생성하는 단계 및 오그제틱(10)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그제틱(10)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단위 구조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지점(10a)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지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 각각과의 접합에 관련한 지점이며, 단위 구조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양변 각각의 일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오그제틱(10)을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각 단위 구조체에 대응하여 관통홀 또는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그제틱(10)을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그제틱(10)을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위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돌출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본 형상의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10)의 경우, 결합지점을 기준으로 관통홀(10-1) 또는 돌출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단위 구조체의 결합지점(10a)에 미리 정해진 직경을 홀을 포함하도록 프린팅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결합지점(10a) 상에 관통홀(10-1)을 형성된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홀(10-1)은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는 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10-1)은, 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됨에 따라 오그제틱(10)의 제1면(예컨대, 상면)과 제2면(예컨대,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단위 구조체의 결합지점(10a)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10-2)를 포함하도록 프링팅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결합지점(10a) 상에 돌출부(10-2)가 형성된 오그제틱(10)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10-2)는 제1면(예컨대, 상면)과 제2면(예컨대, 하면)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오그제틱(10)에 구성되는 관통홀(10-1) 또는 돌출부(10-2)는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의 선택적 접합을 용이하게 위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이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구비됨에 따라, 결합지점(10a)에 관통홀(10-1) 또는 돌출부(10-2)가 형성되며, 각 관통홀(10-1) 및 돌출부(10-2)와 탄성시트 간의 선택적 접합을 통해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공정 과정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은 관통홀(10-1)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그제틱(1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에는, 결합지점(10a)에 대응하여 관통홀(10-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위 구조체(11)의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제1관통홀(10-1a) 및 제2관통홀(10-1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0-1)은 오그제틱(10)의 제1면(예컨대, 상면)과 제2면(예컨대, 하면)을 관통하는 홀을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0-1)에는 탄성체(30)가 충진될 수 있으며, 해당 탄성체(30)를 기준으로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 접합을 통해 신축성 기판이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의 제1면에 제1탄성시트를 접촉시키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2면 방향에서 관통홀 각각에 탄성체를 충진하고, 탄성체와 제1탄성시트 간의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면에 제2탄성시트를 접촉시켜 탄성체와 제2탄성시트 간의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A-A'에 관련한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계 S11에서 오그제틱(10)의 하부 방향에 제1탄성시트(21)를 위치시키고, 단계 S12에서 오그제틱(10)의 제1면에 제1탄성시트(21)를 접촉시킬 수 있다. 오그제틱(10)의 제1면은 하부 방향에 관련한 일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면은 상부 방향에 관련한 다른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은 오그제틱(10)과 제1탄성시트(21)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에서 오그제틱(10)의 결합지점(10a)에 구비된 관통홀(10-1)에 탄성체(30)를 충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 즉, 제1탄성시트(21)와 접촉된 제1면에 대응하는 제2면 방향에서, 액체 상태의 탄성체(30)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면 방향에는 제1탄성시트(21)가 접촉되어 구비됨에 따라, 탄성체(30)가 관통홀(10-1)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고, 해당 관통홀(10-1)의 내부에서 경화될 수 있다. 경화를 통해 탄성체(30)는 관통홀(10-1)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경화는, 각 소재간 결합(또는 접착)을 위한 것으로, 예컨대, 80도의 온도를 통해 2.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화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수행되는 경화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30)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물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30)는 탄성시트(20)와 동일한 소재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탄성체(30)는 결합지점(10a)에 형성된 관통홀(10-1)에 액체 상태로 충진되며, 경화 과정을 통해 제1탄성시트(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체(30)와 탄성시트(20)가 동일한 소재로 구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 설정된 투명도 이상의 투명성 확보를 담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30)와 탄성시트(20)가 서로 상이한 소재를 통해 구비되는 경우, 각 소재 간의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가시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탄성체(30)와 탄성시트(20) 각각의 소재를 서로 동일하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오그제틱(10)이 PDMS(polydimethylsiloxane)의 기계적 메타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오그제틱(10)과 접착되는 탄성시트(20)는 동일한 PDMS 소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오그제틱(10)과 탄성시트(10)의 굴절률의 차이를 최소화함에 따라, 투명성을 확보하여 디스플레이 활용 분야에서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에서 오그제틱(10)의 제1면 방향(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에서 제2탄성시트(22)를 접촉시켜 탄성체(30)와 제2탄성시트(22)의 결합에 관련한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각각은 탄성체(30)의 일면 및 다른 일면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탄성시트(21)와 제2탄성시트(22)가 관통홀(10-1)에 충진되는 탄성체(30)를 기준으로 각각 경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 구조체에 대응하는 관통홀(10-1) 각각에 탄성체를 충진시키는 단계(S210), 각 탄성체의 양면을 기준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20) 및 접착제가 도포된 탄성체의 양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접촉시켜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계 S21에서 오그제틱(10)에 구비된 관통홀(10-1)에 탄성체(30)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S22에서 탄성체(30)의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체(30)의 양면을 기준으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S23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탄성체(30)의 양면 각각에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접촉되어 경화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경화는 접착제의 접착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경화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예시에서는 하나의 단위 구조체에 형성된 하나의 관통홀(10-1)에 관련한 단면도를 기준으로 오그제틱(10)과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의 선택적인 접합 공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한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즉,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의 결합지점(10a)에 형성된 관통홀(10-1)을 기준으로 각 탄성시트가 상, 하부면에서 접착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의 형상이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예컨대, 리본 형상)인 경우, 각 단위 구조체의 결합지점에 관련하여 관통홀(10-1)이 구비됨에 따라, 탄성시트(20)와 오그제틱(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접합되어 신축성 기판(1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축 방향으로의 인장에 대응하여 표면에 관련한 탄성시트(20)가 일 축(예컨대, x축)과 다른 축(예컨대, y축)으로 균일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변형률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은 돌출부(10-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그제틱(1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에는, 결합지점(10a)에 대응하여 돌출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위 구조체(11)의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제1돌출부(10-2a) 및 제2돌추부(10-2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0-2)는 결합지점(10a)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10-2a) 및 결합지점(10a)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돌출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10-2)는 오그제틱(10)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서 돌출된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0-2)에는 접착제(31)가 도포될 수 있으며, 해당 접착제(31)를 기준으로하여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 접합을 됨에 따라 신축성 기판(100)이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0-2a) 및 제2돌출부(10-2b) 각각에 접착제(31)를 도포하는 단계(S310), 접착제(31)가 도포된 제1돌출부(10-2a) 및 제2돌출부(10-2b) 각각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 각각을 접촉시켜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A-A'에 관련한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의 (a)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계 S31에서 상면과 하면 각각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0-2a) 및 제2돌출부(10-2b)를 포함하는 오그제틱(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단계 S32에서 각 돌출부에 접착제(31)가 도포될 수 있다. 예컨대, 표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롤이, 오그제틱(10)의 상면 방향 및 하면 방향 각각을 이동하면서, 볼록하게 돌출되어 구비된 제1돌출부(10-2a)와 제2돌출부(10-2b)에 접착제(31)를 도포할 수 있다. 즉, 롤을 활용한 접착제 도포 공정을 통해 각 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각 돌출부에만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33에서 접착제(31)가 도포된 제1돌출부(10-2a) 및 제2돌출부(10-2b) 각각에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접촉되어 경화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경화는 접착제의 접착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경화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 기판(100)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각각에 접착제(31)를 도포하는 단계(S410) 및 접착제(31)가 도포된 각 탄성시트를 각 돌출부에 접촉시켜 경화를 수행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계 S41에서 상면과 하면 각각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0-2a) 및 제2돌출부(10-2b)를 포함하는 오그제틱(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단계 S42에서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각각에 접착제(31)가 도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43에서 제1돌출부(10-2a)에 제2탄성시트(22)가 접촉되고, 제2돌출부(10-2b)에 제1탄성시트(21)가 접촉된 상에서 경화가 수행됨에 따라, 각 탄성시트가 오그제틱 각 면에 관련한 돌출부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접착제(31)가 도포된 제1탄성시트(21) 및 제2탄성시트(22) 각각에 제2돌출부(10-2b) 및 제1돌출부(10-2a) 각각이 결합되어 신축성 기판(100)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그제틱(1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의 형상이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예컨대, 리본 형상)인 경우, 각 단위 구조체의 결합지점(10a)에 관련하여 돌출부(10-2)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시트와 오그제틱(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접합되어 신축성 기판(1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축 방향으로의 인장에 대응하여 표면에 관련한 탄성시트(20)가 일 축(예컨대, x축)과 다른 축(예컨대, y축)으로 균일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변형률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단위 구조체의 구비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지점(10a)에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오그제틱(10)의 결합지점(10a)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20)와 선택적으로 접합됨에 따라, 신축성 기판(100)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신축성 기판(100)은, 오그제틱(10)의 양면을 각 탄성시트와 전체적으로 접합시키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 선택 접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합된 부분이 신축에 따라 균일한 변형률을 전체 기판에 인가할 수 있다. 이는 편평도 완화를 통해 신축 디스플레이의 픽셀 왜곡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소자 성능을 유지시키고, 그리고 소자 이탈을 최소화하는 등 전반적인 신축성 전자 기기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신축성 기판(100)은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신축 디스플레이 분야에 관련하여 픽셀 구간별 균일한 변형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 방향으로의 신축 시 발생하는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신축성 기판)
10: 오그제틱 10a: 결합지점
11: 제1단위구조체 10-1: 관통홀
10-1a: 제1관통홀 10-1b: 제2관통홀
10-2: 돌출부 10-2a: 제1돌출부 10-2b: 제2돌출부
20: 탄성시트 21: 제1탄성시트 22: 제2탄성시트
30: 탄성체 31: 접착제

Claims (5)

  1.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그제틱에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를 부착하여 신축성 기판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구조체 각각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오그제틱의 변형을 야기시키는,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는,
    리엔트런트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그제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위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관통홀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각 단위 구조체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을 기반으로 돌출부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시트와의 결합에 관련한 일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지점은,
    각 단위 구조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양변 각각의 일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220005809A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03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809A KR20230103756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83A KR102447724B1 (ko) 2021-12-31 2021-12-31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09A KR20230103756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83A Division KR102447724B1 (ko) 2021-12-31 2021-12-31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756A true KR20230103756A (ko) 2023-07-07

Family

ID=8345229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83A KR102447724B1 (ko) 2021-12-31 2021-12-31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1A KR20230103758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0A KR20230103757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2A KR20230103759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09A KR20230103756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3A KR20230103760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83A KR102447724B1 (ko) 2021-12-31 2021-12-31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1A KR20230103758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0A KR20230103757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05812A KR20230103759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813A KR20230103760A (ko) 2021-12-31 2022-01-14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44175B2 (ko)
KR (6) KR1024477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861B1 (ko) 2016-03-07 2017-06-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649A1 (de) * 2004-11-24 2006-06-01 Airbus Deutschland Gmbh Deckhaut für eine formvariable aerodynamische Fläche
DE102005012906B3 (de) * 2005-03-21 2006-12-14 Corovin Gmbh Flächiges Bahnenmateria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sowie dessen Verwendung
US7678440B1 (en) * 2006-03-01 2010-03-16 Mcknight Geoffrey P Deformable variable-stiffness cellular structures
US8486507B2 (en) * 2009-06-26 2013-07-16 Cryovac, Inc. Expandable foam sheet that locks in expanded configuration
US9096012B2 (en) * 2010-04-16 2015-08-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urface texturing using engineered structures
US9936755B2 (en) * 2012-08-31 2018-04-10 Under Armour, Inc. Articles of apparel with auxetic fabric
US9538798B2 (en) * 2012-08-31 2017-01-10 Under Armour, Inc. Articles of apparel including auxetic materials
US11839253B2 (en) * 2012-08-31 2023-12-12 Under Armour, Inc. Article of apparel including fabric having auxetic structure
US9629397B2 (en) * 2012-08-31 2017-04-25 Under Armour, Inc. Articles of apparel including auxetic materials
US10426226B2 (en) * 2012-08-31 2019-10-01 Under Armour, Inc. Footwear upper with dynamic and lock-out regions
US20210401119A1 (en) * 2012-08-31 2021-12-30 Under Armour, Inc. Laminate Panel with Auxetic Layer
US20180325216A1 (en) * 2017-05-15 2018-11-15 Under Armour, Inc. Laminate Panel with Auxetic Layer
US20140276995A1 (en) * 2013-03-14 2014-09-18 Novo Contour, Inc. 4D Dynamically Contouring Mesh and Sutures
JP6227787B2 (ja) * 2013-09-10 2017-11-0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キャリパが増大する伸展性オーゼティック構造体を含む吸収性物品
WO2015038455A1 (en) * 2013-09-10 2015-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ell forming structures
JP6185179B2 (ja) * 2013-09-10 2017-08-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オーゼティックセル形成構造体を含む吸収性物品
EP2995289A1 (en) * 2014-09-10 2016-03-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ulti-level cell forming structures and their use in disposable consumer products
US20210227935A1 (en) * 2015-11-09 2021-07-29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KR102088864B1 (ko) * 2016-11-29 2020-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유연 소자
US10549505B2 (en) * 2017-01-12 2020-02-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ctive lattices
WO2019157577A1 (pt) * 2018-02-19 2019-08-22 Melo Andre Augusto Ceballos Sistema e método de reforço de aeróstatos
US10898138B2 (en) * 2018-12-18 2021-01-26 Amorepacific Corporation Flexible patch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ich can be adhered to sk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73647A (ko) * 2019-12-10 2021-06-2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흡수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구
US11700773B2 (en) * 2020-06-20 2023-07-11 The Boeing Company Metamaterial-based substrate for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s
US20210399658A1 (en) * 2020-06-20 2021-12-23 The Boeing Company Self-Powered Sensor Node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KR102279066B1 (ko) * 2020-11-25 2021-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9065B1 (ko) * 2020-11-25 2021-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투명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9068B1 (ko) * 2020-11-25 2021-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861B1 (ko) 2016-03-07 2017-06-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760A (ko) 2023-07-07
KR20230103759A (ko) 2023-07-07
KR102447724B1 (ko) 2022-09-27
KR20230103757A (ko) 2023-07-07
US20230217587A1 (en) 2023-07-06
US11844175B2 (en) 2023-12-12
KR20230103758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8660B2 (en) Mechanical-metamaterial-based stretchable substrate with negative poisson's rati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168740B2 (en)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47885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
US1074913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13978B2 (en) Bend limit film
KR102447725B1 (ko)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9411525B (zh) 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20200398526A1 (en) Carrier film for transferring microelement
US20220162060A1 (en) Stretchable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79065B1 (ko) 투명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4302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기판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7724B1 (ko) 신축 균일도가 향상된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371218A1 (en) Display device
US20110317248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2005612B2 (en) Transparent stretchabl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9067B1 (ko)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173901A1 (en) Auxetic stretchable substrate with flexible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647092B2 (ja) 電歪素子
KR20240080775A (ko) 유연 조인트 구조가 도입된 오그제틱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80774A (ko) 유연 조인트 구조가 도입된 오그제틱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179838A1 (en) Auxetic stretchable substrate with flexible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737217B2 (en) Display device and back plate thereof
KR102590649B1 (ko)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KR20240031525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86806A (zh) 一种柔性保护膜和柔性oled显示面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