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666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666A
KR20230103666A KR1020210194700A KR20210194700A KR20230103666A KR 20230103666 A KR20230103666 A KR 20230103666A KR 1020210194700 A KR1020210194700 A KR 1020210194700A KR 20210194700 A KR20210194700 A KR 20210194700A KR 20230103666 A KR20230103666 A KR 20230103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avatar
personal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블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블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블러스
Priority to KR102021019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666A/en
Publication of KR2023010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6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통해 사용자와 음성으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 가상 현실 반려 동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메타버스의 가상 현실 내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고,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conversation with a user by voice through learning of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companion animal avatar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in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learns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according to the user's feedback.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with similar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to the user's companion animal, and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and the user to have a voice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통해 사용자와 음성으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 가상 현실 반려 동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conversation with a user by voice through learning of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통해 사용자와 음성으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 가상 현실 반려 동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메타버스의 가상 현실 내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고,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conversation with a user by voice through learning of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companion animal avatar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in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learns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according to the user's feedback.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with similar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to the user's companion animal, and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and the user to have a voice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인간과 함께 가족과 같이 생활할 수 있는 반려 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려 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관심사는 자신의 반려 동물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 그리고, 자신의 반려 동물과 대화하기이다. 실제 반려 동물의 짖는 소리 등을 분석해 반려 동물의 의사를 파악해보는 기술도 등장하였지만 아직 실제 반려 동물의 생각을 알아내거나 실제 반려 동물과 대화를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With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demand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live with humans as a family is increasing. The common interest of people who have companion animals is to know what their companion animal is thinking and to talk with their companion animal. A technology that analyzes the barking of an actual companion animal to determine the intention of the companion animal has also appeared, but it is still technically difficult to find out the thoughts of the actual companion animal or to have a conversation with the actual companion animal.

최근 메타버스(metaverse)의 가상 현실 관련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 세계를 뜻하는 용어이다. 메타버스로 인하여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현실 세계에서 수행하는 여러가지 행동을 가상 세계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Recently, the virtual reality-related technology of the metaverse is attracting attention.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means processing and abstraction, and universe, which means the real world, and is a term that means the virtual world. Due to the metaverse,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is gradually blurring. This is because various actions performed in the real world can be per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in the virtual world.

메타버스의 가상 현실에서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행동 패턴, 성격이 유사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고 실제 꾸준한 데이터 누적과 강화 학습을 통해 내 반려 동물의 생각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반려 동물과 대화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면 사용자에게 새로운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반려 동물의 사후에도 이를 지속적으로 서비스하여 살아 생전 반려 동물과 함께 했던 놀이 또는 대화를 지속시키는 서비스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After creating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that is similar in appearanc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in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the user creates a companion animal avatar and thinks of my companion animal through continuous data accumulation and reinforcement learning. If you predict and configure a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companion animals based on this, you will be able to give users a new sense of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ill be valuable as a service that continues to service the companion animal even after the death of the companion animal and continue the play or conversation with the companion animal during life.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메타버스의 가상 현실 내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고,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companion animal avatars that are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real companion animals in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are created, and the companion animal avatar's behavior and personality are learned according to the user's feedback, so that the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with similar behavioral patterns and personalities, and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and the user to have a voice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behavioral patterns and personalities formed as described above.

대한민국 등록특허 번호 제10-2199843호 (2020.12.31.) (증강현실에서 가상의 반려 동물 제공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99843 (2020.12.31.) (Virtual companion animal provision system i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메타버스의 가상 현실 내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mpanion animal avatar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in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with behavioral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by learning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a companion animal avatar according to a user's feedback in a communication system. aims to do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companion animal and a user in a virtual reality to have a conversation by voice according to the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formed as described abov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반려 동물의 이미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의 가상 공간 내 동작에 대한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한 동작이 상기 반려 동물의 실제 동작과 유사함을 나타내는 제1 입력 또는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대한 상기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입력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includes a transceiver, a memory, a processor,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amera. The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n image of a companion animal obtained using the camera to a server, and receiving first motion information about a motion of a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 a virtual space from the server.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output device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hrough the input device. A process of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a first input indicating similarity to the actual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or a second input indicating that it is not similar to the actual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2 inputs, the process of receiving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hrough the output device based on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spa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includes a memory, a processor,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amera,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 user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 computer program is configured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메타버스의 가상 현실 내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mpanion animal avatar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in the virtual reality of the metavers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행동 및 성격에 대한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with behavioral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by learning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a companion animal avatar according to a user's feedback in a communication system. can do.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companion animal and a user in virtual reality can have a conversation by voice according to th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form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및 행동 특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 사용자와 반려 동물 아바타 간 상호 작용 이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및 행동 특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내 사용자를 자동으로 매칭하고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having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generating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having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having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having a voice conversation according to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formed between a companion animal and a user i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nteraction event between a user and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metaverse virtual reality based on th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automatically matching users in the metaverse and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animal avata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 서버(200),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100-1, 100-2, ..., 100-n), a server 200,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300).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은 오프라인에서 실제 반려 동물을 키우는 사람인 반려인, 즉, 사용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서버(200)에게 반려 동물의 특성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가상 현실 내 반려 동물 아바타의 정보, 반려 동물 아바타가 속한 가상 현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은 퍼스널 컴퓨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송수신이 가능한 VR(virtual reality)용 HMD(head mount display) 장치 등과 같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전면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100-1, 100-2, ..., 100-n) is a terminal operated by a companion, that is, a user who actually raises companion animals offline. The user terminal (100: 100-1, 100-2, ..., 100-n) transmit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and the server 200 )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ompanion animal avatar information in virtual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formation to which the companion animal avatar belongs. User terminals 100: 100-1, 100-2, ..., 100-n are personal computers, cellular phones,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head mount display (HMD) devices for VR (virtual realit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an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information,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a camera capable of taking an image of an object in the foreground, and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ransceiver and at least one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information calculation.

서버(200)는 메타버스 가상 현실 플랫폼 기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이다. 서버(2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에 의하여 제공되는 실제 반려 동물의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행동 패턴, 성격이 동일 또는 유사한 가상 현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성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서 가상 현실 동물 아바타의 행동 패턴 및 성격을 훈련 또는 수정하고, 생성된 외모, 행동 패턴, 성격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가상 현실 아바타 간 시청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서버(20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The server 200 is a server operated by an online service provider based on a metaverse virtual reality platform. The server 200 is actual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ctual companion animal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s 100 (100-1, 100-2, ..., 100-n)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A virtual reality animal avatar having the same or similar appearanc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as the companion animal is created, th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of the virtual reality animal avatar are trained or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r feedback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generated appearance is created. It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oviding the user terminal 100 with information on a service that performs audio-visual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and a virtual reality avatar based on a user's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The server 2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a transcei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information calculation.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 및 서버(200)가 서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 예에 따라 적절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초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 및 서버(200)가 이동 통신 단말로서 구현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provides a communication path through which user terminals 100: 100-1, 100-2, ..., 100-n, and the server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to each other. to provide.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not limited to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and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For example, when configured as an Internet protocol (IP) based system,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s 100: 100-1, 100-2, ..., 100-n), and when the server 200 is implement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network. there is.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은 송수신기(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입력 장치(110), 출력 장치(120), 및 카메라(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a user terminal (100: 100-1, 100-2, ..., 100-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110, a memory 120, a processor 130 , an input device 110 , an output device 120 , and a camera 160 .

송수신기(11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1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110)는 유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xx 시스템, IEEE Wi-Fi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 NR(new radio) 시스템, 3GPP2 시스템,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11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0 and transmits and/or receives signals. All or part of the transceiver 11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a receiver, or a transceiver. The transceiver 110 is a wired access system and a wireless access system, such as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xx system, an IEEE Wi-Fi system,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ystem, and 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 3GPP 5G new radio (NR) system, 3GPP2 system, at least one of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may be supported.

메모리(120)는, 송수신기(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입력 장치(140), 출력 장치(150)와 연결되고, 입력 장치(140)를 통해 입력된 정보, 송수신기(110)의 통신을 통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카메라(16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프로세서(130)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mory 120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110, the memory 120, the processor 130, the input device 140, and the output device 150,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40, the transceiver 110 )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rough communication. Also, the memory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60 . In addition, the memory 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0 and may store data such as basic programs for operation of the processor 130, application programs, sett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enerated by operation of the processor 130. . The memory 12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ies. Also, the memory 120 may provide stored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processor 130 .

프로세서(1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송수신기(110)를 통해 정보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입력 장치(140)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출력 장치(140)를 통해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60)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한다.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ocedures and/or method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1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transmits or receives information or the like through the transceiver 110 . Also, the processor 130 writes data to and reads data from the memory 120 . Also, the processor 130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device 140 . Also, the processor 130 outputs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device 140 . Also, the processor 130 captures an image through the camera 160 .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입력 장치(14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입력 장치(140)는 송수신기(130)를 통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0)는 터치 디스플레이, 키 패드,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4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0 and may input informa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device 140 may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through the transceiver 130 . The input device 140 may include a touch display, a keypad, and a keyboard.

출력 장치(15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정보 등을 영상/음성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출력 장치(150)는 송수신기(1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300)로 연결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device 15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0 and can output information in the form of video/au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utput device 150 may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through the transceiver 110 . The output device 150 may include a display, a speaker, and the like.

카메라(16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전방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미지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mera 16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30 and may capture an image of a front object.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는 송수신기(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a server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ransceiver 210 , a memory 220 and a processor 230 .

송수신기(210)는, 프로세서(230)와 연결되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210)는 유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xx 시스템, IEEE Wi-Fi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 NR(new radio) 시스템, 3GPP2 시스템,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21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30 and transmits and/or receives signals. All or part of the transceiver 210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tter, a receiver, or a transceiver. The transceiver 210 is a wired access system and a wireless access system, such as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xx system, an IEEE Wi-Fi system,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ystem, and 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 3GPP 5G new radio (NR) system, 3GPP2 system, at least one of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may be supported.

메모리(220)는, 송수신기(220)와 연결되고, 송수신기(220)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 또는 서비스 단말(300: 300-1, 300-2, ..., 300-n)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프로세서(230)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mory 220 is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220, and through communication of the transceiver 220, a user terminal 100: 100-1, 100-2, ..., 100-n, or a service terminal 300: Information received from 300-1, 300-2, ..., 300-n) may be stored. In addition, the memory 2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30 and may store data such as basic programs for operation of the processor 230, application programs, sett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enerated by operation of the processor 230. . The memory 22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of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ies. Also, the memory 220 may provide stored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processor 230 .

프로세서(2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송수신기(210)를 통해 정보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3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ocedures and/or method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server 2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230 transmits or receives information or the like through the transceiver 210 . Also, the processor 230 writes data to and reads data from the memory 220 . The processor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having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의 실제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성격이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하여 형성되도록 사용자가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반려 동물 아바타의 행동 패턴, 성격에 대하여 직접 창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a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reinforce a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similar to that of a user's actual companion animal through continuous feedback so that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is formed.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create the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을 통해 서버(200)에게 반려 동물 아바타 관련 설정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반려 동물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을 통해 사용자(100)에게 사용자 단말(100: 100-1, 100-2, ..., 100-n)에서 출력될 수 있는 반려 동물 아바타의 이미지 및 동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반려 동물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100 transmits companion animal avatar-related setting information or feedback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s 100: 100-1, 100-2, ..., 100-n, thereby simulating companion animals. can create In addition, the server 200 sends information to the us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s 100: 100-1, 100-2, ..., 100-n. ., 100-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ulation of a companion animal by providing an image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hat can be output.

사용자(100)와 서버(200) 간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형성되는 반려 동물 아바타 특성 시뮬레이션 세트는 서버(200) 내에서 누적 데이터 통한 아바타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 옵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panion animal avatar characteristic simulation set formed through mutua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user 100 and the server 200 enables avatars to be created through accumulated data within the server 200 and diversity of simulations and options to be secured.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형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한 초기 값을 전송하면 사용자(100)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결과 값을 전송함으로써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한 지속적인 강화 학습이 수행되고, 궁극적으로 사용자(100)의 실제 반려 동물과 유사한 내면, 즉, 성격 및 행동 패턴을 가진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itial value for the companion animal avatar formed to the user, the user 100 transmits the resulting value through feedback thereto, thereby performing continuous reinforcement learning o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and ultimately, the user 100 ) can form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that has a similar inner side, that is, a personality and behavior pattern, to that of a real companion animal.

서버(200)는 사용자(100)로부터 수신한 반려 동물의 종합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반려 동물의 유형 정보를 저장한다. 서버(200)는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반려 동물의 추후 행동 또는 의사 수행 등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200 stores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user 100 and stores the type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e server 200 may make predictions about the companion animal's future behavior or intention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서버(200)는 사용자(100)로부터 수신한 반려 동물 관련 정보에 대하여 머신 러닝을 수행함으로써, 기형성된 외모, 성격, 행동 패턴 등에 기반하여 특정 상황에서 반려 동물 아바타가 실제 반려 동물이라면 할 법한 행동, 성격, 대화 내용 등을 자동으로 예측하여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생성한 행동, 성격, 대화 내용을 통해 사용자(100)에게 동작하는 반려 동물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00)는 살아서 스스로 생각하고 반응하는 듯한 반려 동물을 가상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다.The server 200 performs machine learning on the companion animal-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100, and based on the preformed appearance, personality, behavior pattern, etc. Personality, conversation content, etc. can be automatically predicted and generated. The server 200 provides the user 100 with imag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generated behavior, personality, and conversation content, so that the user 100 can experience a living companion animal that seems to think and react on its own in the virtual world. there is.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반려 동물과 외모 및 성격이 유사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generating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similar in appearance and personality to a real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은 실제 반려 동물에 대하여 단말 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생성을 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user's terminal may start generating a companion animal avatar by taking a photograph of an actual companion animal using a camera in the terminal.

단말은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반려 동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아지인지, 고양이인지, 또는 금붕어인지 등에 관하여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반려 동물의 종류는 반려 동물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 틀을 형성하기 위한 기반 정보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can identify the type of companion anima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For example, it can identify whether it is a dog, cat, or goldfish. The identified companion animal type may serve as basic information for forming a basic frame for generating an avatar of the companion animal.

단말은 결정된 반려 동물의 종류에 기반하여 반려 동물의 세부 종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 동물의 종류가 강아지로 결정된 경우, 반려 동물의 세부 종이 치와와인지, 비숑프리제인지, 또는 말티즈인지 등에 관하여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반려 동물의 세부 종은 반려 동물의 기본 틀에 더하여 세부적인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기반 정보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may identify the detailed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determined type of companion animal.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companion animal is determined to be a puppy, whether the detailed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is a Chihuahua, a Bichon Frize, or a Maltese can be identified. The detailed species of the identified companion animal can be basic information for forming a detailed form in addition to the basic frame of the companion animal.

단말은 결정된 반려 동물의 종류 및 세부 종에 기반하여 반려 동물 아바타의 기본적인 형태를 샘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output the basic shape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o the user based on the sample based on the determined type and detailed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단말은 추가적으로 세부적인 외관상 특징을 반영함으로써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한 세부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털 색깔, 눈 크기 및 거리, 코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음으로써 추가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perform detailed correc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by additionally reflecting detailed external features. For example, information on hair color, eye size and distance, and nose size may be additionally reflected by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생성 과정의 각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와 실제 반려 동물의 외관의 비교에 기반한 확정 입력을 받음으로써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In each step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ion process, the cre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may be completed by receiving a confirmation input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generated companion animal avatar and the actual companion animal's appearance from the user.

최종적으로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는 3차원의 형태로 가상 세계에서 동작할 수 있다. The finally created companion animal avatar can operate in a virtual world in a three-dimensional form.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having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은 반려 동물의 행동 특성에 대하여 반려 동물 아바타를 강화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 동물 아바타가 외관뿐만 아니라 내면도 실제 반려 동물과 유사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user's terminal may reinforce the companion animal avatar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is, companion animal avatars can be similar to actual companion animals not only in appearance but also inside.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게 임의의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함께 각 상황에 대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현재 형성된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성격 정보에 기반한 동작 정보가 전송된다.Motio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ty information including a currently formed behavior patter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for each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server along with a simulation of an arbitrary situation.

사용자는 단말 속 출력 장치를 통해 해당 상황에서 반려 동물 아바타가 행동하는 모습을 보고 이에 대하여 긍정(Buy in) 또는 부정(Buy out)의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see how the companion animal avatar behaves in a corresponding situation through the output device in the terminal and input positive (Buy in) or negative (Buy out) feedback.

예를 들어, 밥 그릇에 사료가 가득 담겨 있는 상황이 주어지고, 이 때 반려 동물 아바타가 할 수 있는 행동으로 1) 배가 불러도 다 먹는다, 2) 자율 배식을 한다, 3) 먹을만큼 먹고 나머지는 남이 못먹게 지킨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given a situation where a rice bowl is full of food, the companion animal avatar can 1) eat all of it even when full, 2) serve food autonomously, 3) eat as much as he can eat, and let others do the rest. You can perform more than one action of keep from eating.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긍정 또는 부정의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피드백은 서버가 추후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의 기초가 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positive or negative feedback on this. The feedback input by the user may be the basis for determining how the server will behave in a similar situation with respect to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future.

사용자가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독려하기 위하여, 서버는 사용자가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지급된 코인은 사용자가 물건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재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코인을 통해 반려 동물 아바타와 관련된 아이템 등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기타 금융 플랫폼 등을 이용하여 코인을 화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encourage the user to input feedback information, the server may provide coins as a reward whenever the user inputs feedback information. Coins paid to the user can be used as goods for the user to purchase goods or services. For example, a user can use coins to purchase items related to companion animal avatars. Alternatively, the user may use the coin as currency by using an online shopping mall or other financial platform.

사용자는 피드백 정보의 입력을 넘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반려 동물 아바타가 동작할 상황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상황에서 현재 반려 동물에게 기설정된 성격 정보에 기반할 경우 어떻게 행동하는지 여부를 보고 사용자는 추가적인 피드백을 하고, 반려 동물 아바타를 점차 실제 반려 동물과 유사하게 학습할 수 있다.Beyond inputting feedback information, the user may more actively create a simul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avatar will operate. In a specific situation set by the user, by seeing how the current companion animal behaves based on the preset personality information, the user can provide additional feedback and gradually lear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o be similar to the actual companion animal.

사용자가 시뮬레이션을 생성할 때에도 사용자에게 서버로부터 보상의 코인이 제공될 수 있다.Even when the user creates a simula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ins of compensation from the server.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피드백은 시뮬레이션의 종료 후 서버에 의하여 반려 동물 아바타에게 반영될 수 있다.Feedback input from the user may be refl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avatar by the server after the simulation is finished.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반려 동물과 유사한 행동 패턴 및 성격의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forming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having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similar to those of an actual user's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은 반려 동물의 성격 특성에 대하여 반려 동물 아바타를 강화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 동물 아바타가 외관뿐만 아니라 내면도 실제 반려 동물과 유사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user's terminal may reinforce the companion animal avatar for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is, companion animal avatars can be similar to actual companion animals not only in appearance but also inside.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게 임의의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함께 각 상황에 대한 반려 동물 아바타의 현재 형성된 성격 정보에 기반한 동작 정보가 전송된다.Mo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ly formed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for each situ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long with a simulation of an arbitrary situation.

사용자는 단말 속 출력 장치를 통해 해당 상황에서 반려 동물 아바타가 행동하는 모습을 보고 이에 대하여 긍정(Buy in) 또는 부정(Buy out)의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see how the companion animal avatar behaves in a corresponding situation through the output device in the terminal and input positive (Buy in) or negative (Buy out) feedback.

예를 들어, 산책 중에 반려 동물 아바타보다 큰 강아지를 만나는 상황이 주어지고, 이 때 반려 동물 아바타가 할 수 있는 행동으로 1) 못 본 체하고 지나간다, 2) 공격적으로 짖는다, 3) 궁금해하고 가서 인사하며 냄새를 맞는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given a situation where you encounter a dog that is bigger than your companion animal avatar on a walk, the actions that your companion animal avatar can 1) ignore and pass by, 2) bark aggressively, 3) be curious and go to say hello You can perform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ctions: smell and smell.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긍정 또는 부정의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피드백은 서버가 추후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의 기초가 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positive or negative feedback on this. The feedback input by the user may be the basis for determining how the server will behave in a similar situation with respect to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future.

사용자가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독려하기 위하여, 서버는 사용자가 피드백 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지급된 코인은 사용자가 물건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위하여 재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코인을 통해 반려 동물 아바타와 관련된 아이템 등의 구매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기타 금융 플랫폼 등을 이용하여 코인을 화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encourage the user to input feedback information, the server may provide coins as a reward whenever the user inputs feedback information. Coins paid to the user can be used as goods for the user to purchase goods or services. For example, a user can use coins to purchase items related to companion animal avatars. Alternatively, the user may use the coin as currency by using an online shopping mall or other financial platform.

사용자는 피드백 정보의 입력을 넘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반려 동물 아바타가 동작할 상황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상황에서 현재 반려 동물에게 기설정된 성격 정보에 기반할 경우 어떻게 행동하는지 여부를 보고 사용자는 추가적인 피드백을 하고, 반려 동물 아바타를 점차 실제 반려 동물과 유사하게 학습할 수 있다.Beyond inputting feedback information, the user may more actively create a simul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avatar will operate. In a specific situation set by the user, by seeing how the current companion animal behaves based on the preset personality information, the user can provide additional feedback and gradually lear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o be similar to the actual companion animal.

사용자가 시뮬레이션을 생성할 때에도 사용자에게 서버로부터 보상의 코인이 제공될 수 있다.Even when the user creates a simula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ins of compensation from the server.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피드백은 시뮬레이션의 종료 후 서버에 의하여 반려 동물 아바타에게 반영될 수 있다.Feedback input from the user may be refl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avatar by the server after the simulation is finished.

반려동물 아바타에 그동안 학습한 반려동물의 외모 및 신체 조건, 행동 특성, 성격 특성이 누적되어 메타버스 가상 현실 내에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반려 동물 아바타는 해당 특성을 반영해 행동한다.Appearance, body conditio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animals that have been learned so far are accumulated in companion animal avatars, and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with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avatar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act.

예를 들어, 성격 특성에서, 새로운 개를 만났을 때 맹렬하게 짖으며 공격적인 강아지는 메타버스 내에서 우연히 다른 강아지를 만나면 그렇게 행동한다.For example, in personality traits, a dog that barks furiously when meeting a new dog and is aggressive will behave that way if it happens to encounter another dog within the metaverse.

예를 들어, 성격 특성에서, 주인이 외출하면, 즉, 사용자가 단말 내 반려 동물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않으면, 문 앞에서만 기다리는 강아지는 주인이 앱에 접속하지 않는 동안 해당 행동 패턴으로 기다린다.For example,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en the owner goes out,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access the companion animal application in the terminal, a dog waiting at the door waits with the corresponding behavior pattern while the owner does not access the app.

예를 들어, 행동 특성에서, 간식이 있으면 배가 부르더라도 계속 먹는 강아지는 계속해서 아이템 간식을 과섭취하다가 탈이 난다.For example, in term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 dog that continues to eat treats even when full will get sick from overeating item snacks.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과 사용자가 형성된 행동 패턴 및 성격에 따라서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having a voice conversation according to behavior patterns and personalities formed between a companion animal and a user i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구체적으로, 도 8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행동 패턴, 성격 등이 형성된 반려 동물이 해당 성격에 기반하여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다면 어떤 감정으로 어떻게 대화할 수 있을지를 가정하여,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가 사용자와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학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다.Specifically, FIG. 8 is a companion animal in virtual reality, assuming that if a companion animal having a behavior pattern, personality, etc. 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can communicate with a pers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personality, how and with what emotion it can communicate. A process for learning so that the avatar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by voice is shown.

형성된 행동 패턴, 성격 등에 기반하여 챗봇(chatbot, chatter robot)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와 상호 교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feel mutual sympathy with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by operating as a chatbot (chatter robot) based on the formed behavior pattern and personality.

화면 상으로 무언의 동작, 반응만을 교환하는 것보다는 형성된 성격(personality)에 기반하여 실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반려 동물을 키움으로써 누군가와 함께 한다는 느낌을 강하게 제공할 수 있다.Rather than exchanging only silent actions and reactions on the screen, if actual conversation can be conducted based on the formed persona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strong feeling of being with someone by raising a companion animal.

도 8의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만약 반려 동물 아바타가 사용자와 대화를 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실제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인 경우, 특정 대화 상황에서 어떻게 대답을 할지 여부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반려 동물 아바타가 추후 대화를 할 때 어떤 방향으로 대화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하여 서버가 학습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Through the process of FIG. 8 , i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if the user's actual companion animal avatar has a personality, by providing feedback on how to respond in a specific conversation situation,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avatar has a later conversation, it provides a basis for the server to learn in which direction the conversation will proceed.

S801 단계에서, 서버는 단말에게 반려 동물 아바타의 기설정된 성격 정보에 기반한 챗봇 시나리오 세트를 제시한다.In step S801, the server presents a chatbot scenario set based on preset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o the terminal.

S802 단계에서, 서버는 단말에게 몇 가지 예시 답변들을 제시하고 사용자에게 해당 답변들 중 가능한 답변들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도록 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대화 상황에서 사용자의 실제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인 경우 어떻게 대답을 할지 여부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In step S802, the server may present several example answers to the terminal and suggest to the user to select possible answers among the corresponding answers in order of priority. That is, the user provides feedback on how to respond in the case of the user's real companion animal avatar's personality in a specific conversation situation.

S803 단계에서, 서버는 단말에게 사용자 답변이 추가되는지 여부를 질문한다. 사용자가 기본 제공된 답변들 외에 추가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경우, S804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에게 코인이 제공될 수 있다.In step S803, the server asks th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answer is added. When the user provides additional answers in addition to the default answers, coi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step S804.

사용자가 기본 제공된 답변들 외에 추가적인 답변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S805 단계에서, 반려 동물 아바타에게 특정된 대화 세트가 완성된다.When the user does not provide additional answers other than the default answers, a conversation set specific to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completed in step S805.

서버는 완성된 대화 세트에 기반하여 반려 동물 아바타가 추후 대화를 할 때 어떤 방향으로 대화를 진행할지 여부에 대하여 학습을 할 수 있다.Based on the completed conversation set, the server may learn in which direction the conversation will proceed whe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has a conversation later.

또한, 단말 내 프로세서의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 내 마이크를 통해 음성으로 반려 동물 아바타에게 이야기한 메시지가 텍스트 변환되어 서버에게 전송되면, 서버는 기존에 학습된 대화 세트에 기반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 후 단말에게 전송하고, 단말에서는 출력 장치를 통해 반려 동물 아바타가 실제 말하듯이 해당 응답 메시지를 음성 변환하여 출력하면서 움직이는 화면 및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message spoken by a user to a companion animal avatar by voice through a microphone in the device is converted into tex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using the STT (speech to text) function of the processor in the device, the server converts the previously learned conversation set into text. Based on this, a response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vert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response message through an output device as i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actually speaks, while outputting a moving screen and sound.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의 출력 장치에 표시되는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와 대화를 하는 경험을 가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have the experience of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virtual reality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반려동물과 대화할 수 있는 공간에서 대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rsation system can be established in a space where companion animals can communicate.

이를 위하여, 반려동물 대화 시뮬레이션과 강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담소 또는 카페처럼 구현된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용자는 반려 동물과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 예상 질문에 대해서 사용자의 반려 동물이 대답할 법한 대사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To this end, companion animal conversation simulation and reinforcement learning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a metaverse space implemented like a counseling center or cafe, users can try to talk with companion animals. The user may select a line that the user's companion animal would likely respond to the expected question.

서버로부터 단말에게 질문과 선택 가능한 답변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 제시] 엄마 사랑해? 에 대하여, [선택지 제시] 1) 너무 사랑해! 영원히 엄마만 쫓아 다닐거예요 2) 맛있는 거 줄 때만 사랑해요 3) 사랑하는게 뭔데요? 4) 산책을 많이 해주면 더 사랑할거예요 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답변 선택]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답변을 선택하여 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답변의 중복 선택도 허용될 수 있다.Questions and selectable answers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from the server. For example, [propose a question] Do you love mom? About, [Present options] 1) I love you so much! I will only follow you forever 2) I love you only when you give me something delicious 3) What do you love? 4) I will love you more if you take a walk a lot is provided, and the user can select the most likely answer [Select Answer] through the terminal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and duplicate selection of answers may be allowed.

챗봇 시나리오를 내 반려동물에 맞게 구성하는 셋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보이스 톤으로 반려 동물의 대사에 음성을 입힐 수 있다.You can complete a set that configures the chatbot scenario to suit your pet. In addition, the voice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voiced with the voice tone selected by the user.

상술한 챗봇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음성으로 말을 걸면 반려 동물 아바타가 음성으로 답을 할 수 있다.Based on the chatbot scenario described above, when a user speaks by voice, the companion animal avatar can respond by voice.

즉, 사용자의 음성을 단말이 STT(speech to text)로 인식하여 서버에게 전송함으로써 반려 동물 아바타의 챗봇에서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recognizes the user's voice as STT (speech to text)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so that the chatbot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can recognize the user's voice message.

사용자가 긍정(buy-in) 또는 부정(buy-out)의 피드백을 통해 선택한 반려동물의 예상 답변 챗봇에 따라 반려 동물 아바타의 답변이 선택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예상 답변에 기반하여 학습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avatar's answer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mpanion animal's expected answer chatbo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positive (buy-in) or negative (buy-out) feedback. The server may learn based on the expected answer selected by the user.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의 답변이 단말에서 TTS(text to speech)로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와 대화를 하는 듯한 경험을 가질 수 있다.The answer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y the server may be output as a voice in text to speech (TTS) from the terminal. Through this, users can have the experience of having a conversation with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및 행동 특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 사용자와 반려 동물 아바타 간 상호 작용 이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nteraction event between a user and a companion animal avatar in metaverse virtual reality based on th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기계학습 클라이언트(1)은 이벤트 루틴을 생성하여 메타버스 서버(4)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client 1 may create an event routine and provide it to the metaverse server 4.

기계학습 클라이언트(1)은 루틴 이벤트를 랜덤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client 1 may randomly provide routine events.

기계학습 모델 강화자로서의 사용자(2)는 메타버스 서버(4)에게 새로운 형태의 이벤트 생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2 as a machine learning model reinforcer can provide the metaverse server 4 with a new type of event generation.

기계학습 모델 강화자로서의 사용자(2)는 반려 동물 간 상호 작용의 이벤트(3)에 대하여 사용자(2)의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한 특성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2 as a machine learning model reinforcer may generate and provid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of the user 2 with respect to the event 3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mpanion animals.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및 행동 특성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내 사용자를 자동으로 매칭하고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automatically matching users in the metaverse and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based on th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animal avata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에서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가 다른 반려 동물 아바타들과 접촉 시 기설정된 각 아바타의 행동, 성격 특성이 내재화되어 상호 작용한다.When a companion animal avatar created 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es into contact with other companion animal avatars, the preset behavior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ach avatar are internalized and interacted with.

구체적으로, 반려 동물의 성격 유형에 따라서, 반려 동물 아바타들간 상호 동작이 인공지능 이벤트로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companion animal, the interaction between avatars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event.

반려동물의 성격 유형은, 예를 들어, 사람의 성격을 16개의 한정된 유형으로 구분한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Type Indicator, MBTI)와 같이,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성격 유형들 중 하나의 성격 유형으로 행동, 성격 특성에 따라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아바타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다. 이 후, 서버에 의하여 성격 유형이 결정된 각각의 반려 동물 아바타들이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이벤트들이 생성될 수 있다.A companion animal's personality type is one of a set number of multiple personality types, such as the Myers-Briggs-Type Indicator (MBTI), which classifies human personality into 16 limited types. With the personality type of , each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s 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behavior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reafter, events in which companion animal avatars whose personality types are determined by the server interact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이벤트 1) 소심한 집멍이 유형 반려 동물 아바타와, 자유로운 연예인 유형 반려 동물 아바타처럼 상극으로 분류된 반려 동물 아바타들이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 애견 카페에서 만났을 때 서로 싸움을 해서 병원에 가게 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t 1) An event in which a timid dog-type companion animal avatar and a companion animal avatar classified as opposites, such as a free celebrity-type companion animal avatar, fight each other and go to the hospital when they meet at a dog cafe 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may occur.

예를 들어, 이벤트 2) 친밀한 외교관 유형 반려동물 아바타가 산책로에서 같은 유형의 반려동물 아바타를 만났을 때 구애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t 2) When an intimate diplomat-type companion animal avatar meets a companion animal avatar of the same type on a promenade, a courtship event may occur.

예를 들어, 이벤트 3) 파괴왕 유형 반려 동물 아바타가 메타버스 유치원에서 적응을 하지 못하고 기물을 파손하여 사용자가 코인으로 보상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t 3) An event may occur in which the destruction king type companion animal avatar fails to adapt to the Metaverse Kindergarten and destroys property, requiring the user to compensate with coin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반려동물 아바타의 상호 작용과 사용자의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interaction between a companion animal avatar and a user may be matched.

예를 들어,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유형에 따라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 반려 동물 훈련소에서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각 반려 동물 아바타의 주인을 매칭시켜주는 그룹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메타버스 가상 현실 속에서 각 사용자들의 반려동물 아바타들을 매개로 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호 동작을 수행하고,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a group function that matches the owner of each companion animal avatar with the creator at the center of the companion animal training center 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hat is, in the metaverse virtual reality, each user performs a mutual action through the companion animal avatars of each user, and an event that can be matched can be performed.

또한, 예를 들어, 해당 그룹에 대해 특화된 반려 동물 훈련, 교육, 케어에 관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selecting and providing contents related to companion animal training, education, and care specialized for a corresponding group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반려 동물의 이미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의 가상 공간 내 동작에 대한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한 동작이 상기 반려 동물의 실제 동작과 유사함을 나타내는 제1 입력 또는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대한 상기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입력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he terminal includes a transceiver, a memory, a processor,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amera. The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n image of a companion animal obtained using the camera to a server, and receiving first motion information about a motion of a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 a virtual space from the server. A process of outputting the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output device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hrough the input device. A process of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a first input indicating similarity to the actual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or a second input indicating that it is not similar to the actual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2 inputs, the process of receiving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hrough the output device based on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sp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는,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에 대한 동물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동물 종류 중 상기 반려 동물에 대한 세부 종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동물 종류 및 상기 결정된 세부 종에 기반한 기본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상 상기 반려 동물의 세부 특징에 기반하여 상기 기본 아바타를 수정함으로써 최종적인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cludes a process of determining an animal type for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mage,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a detailed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among the animal types based on the image. And, through a process of generating a basic avatar based on the determined animal type and the determined detailed species, and a process of generating a final companion animal avatar by modifying the basic avatar based on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in the image. can be cre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에게 상기 반려 동물의 신체 특성, 행동 특성, 성격 특성을 포함하는 기본 특성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특성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격 정보는 미리 결정된 복수의 성격 유형 중 하나의 성격 유형으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asic characteristic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server.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 setting information. Also, the personality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one personality typ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ersonality typ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정보가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성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새로운 상기 제2 동작 정보가 생성되고 수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may be modifi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there is. Based on the personality information, new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may be generated and receiv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가 처한 제1 상황에 대한 임의의 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제1 동작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상황에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한 동작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황과 유사한 제2 상황의 시뮬레이션 정보가 상기 제2 동작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동작 정보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from the server, arbitrary simulation information about a first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ogether with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st input or a second input for a motion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first situation. When simul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situation similar to the first situation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장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성격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답변 메시지를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가 말하듯이 영상 및 음성으로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microphone.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a voice message about the companion animal avatar of the user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voice message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from the server based on the personality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and outputting the response message in video and audio through the output device as the companion animal avatar speak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답변 메시지가 상기 반려 동물의 실제 성격과 유사함을 나타내는 제3 입력 또는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4 입력의 대화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답변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제3 입력 또는 상기 제4 입력의 상기 대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정보가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성격 정보에 기반하여 이후 상기 서버에게 전송된 새로운 음성 메시지에 대한 새로운 답변 메시지가 생성 및 수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includes conversation feedback of a third input indicating that the response message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similar to the actual personality of the companion animal or a fourth input indicating that it is not similar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ialog feedback information of the third input or the fourth input for the response message to the server.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may be modified based on the conversation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information, a new reply message to a new voice messag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reafter may be generated and receiv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에게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 지급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coin payment information as compensation for the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fter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serv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includes a memory, a processor,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amera,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 user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 computer program is configured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에 구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hardw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or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configured to perform the present invention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etc.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Program storage devices, which may be used to describe a storage device containing executable computer code for performing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cluding transitory objects such as carrier waves or signals. do.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s storage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ing media (eg, CD-ROM, DVD, etc.).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elements and/or features.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mponent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mponents or feature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can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 및 본 발명의 균등한 범위 내 가능한 모든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possible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 110: 송수신기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입력 장치 150: 출력 장치
160: 카메라 200: 서버
210: 송수신기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300: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user terminal 110: transceiver
120: memory 130: processor
140: input device 150: output device
160: camera 200: server
210: transceiver 220: memory
230: processor 300: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0)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반려 동물의 이미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된 반려 동물 아바타의 가상 공간 내 동작에 대한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한 동작이 상기 반려 동물의 실제 동작과 유사함을 나타내는 제1 입력 또는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대한 상기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입력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of a us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terminal includes a transceiver, a memory, a processor,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amera,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image of a companion animal acquired using the camera to a server;
receiving, from the server, first motion information about a motion of a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 a virtual space;
outputting a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output device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A process of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f a first input indicating that a motion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similar to an actual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or a second input indicating that the motion is not similar to the actual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irst input or the second input for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Receiving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mo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output device based on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는,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에 대한 동물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동물 종류 중 상기 반려 동물에 대한 세부 종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동물 종류 및 상기 결정된 세부 종에 기반한 기본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상 상기 반려 동물의 세부 특징에 기반하여 상기 기본 아바타를 수정함으로써 최종적인 반려 동물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nion animal avatar,
determining an animal type for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mage;
determining a detailed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among the animal types based on the image;
generating a basic avatar based on the determined animal type and the determined detailed species;
Created through a process of generating a final companion animal avatar by modifying the basic avatar based on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on the image,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게 상기 반려 동물의 신체 특성, 행동 특성, 성격 특성을 포함하는 기본 특성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본 특성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성격 정보는 미리 결정된 복수의 성격 유형 중 하나의 성격 유형으로 결정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basic characteristic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serv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generated bas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 setting information;
The personality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one personality typ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ersonality types,
metho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정보가 수정되고,
상기 성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새로운 상기 제2 동작 정보가 생성되고 수신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modifi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information, the new second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generated and received.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가 처한 제1 상황에 대한 임의의 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제1 동작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상황에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한 동작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황과 유사한 제2 상황의 시뮬레이션 정보가 상기 제2 동작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동작 정보에 따라서 동작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server, arbitrary simulation information about a first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together with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The feedback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input or a second input for a motion based o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n the first situation,
When simul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situation similar to the first situation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the companion animal avatar operates according to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메시지 및 상기 성격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답변 메시지를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가 말하듯이 영상 및 음성으로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input device includes a microphone,
transmitting a voice message for the companion animal avatar of the user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server;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generated based on the voice message and the personality information from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the answer message through the output device in video and audio as the companion animal avatar speaks,
metho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상기 답변 메시지가 상기 반려 동물의 실제 성격과 유사함을 나타내는 제3 입력 또는 유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4 입력의 대화 피드백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답변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제3 입력 또는 상기 제4 입력의 상기 대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 동물 아바타의 성격 정보가 수정되고,
상기 성격 정보에 기반하여 이후 상기 서버에게 전송된 새로운 음성 메시지에 대한 새로운 답변 메시지가 생성 및 수신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conversation feedback information of a third input indicating that the response message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similar to the actual personality of the companion animal or a fourth input indicating that it is not similar to the actual personality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input device;
Transmitting the dialogu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third input or the fourth input for the reply message to the server;
Personality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vatar is modified based on the conversation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information, a new response message to a new voice messag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reafter is generated and received.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게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 지급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ransmi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coin payment information as compensation for the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server,
metho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서버.
In a user'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transceiver, memory, processor, input device, output device, camera,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server.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KR1020210194700A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036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700A KR20230103666A (en)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700A KR20230103666A (en)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666A true KR20230103666A (en) 2023-07-07

Family

ID=8715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700A KR20230103666A (en)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66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843B1 (en) 2019-10-12 2021-01-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pet providing system in augmented rea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843B1 (en) 2019-10-12 2021-01-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pet providing system in augmented re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2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logue management
US201902064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Driven Automated Companion
US20190206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initiation of a man-machine dialogue based on multi-modal sensory inputs
US114688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sational agent via adaptive caching of dialogue tree
US20190206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dialogue based on user's appearances
CN112262024B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robot configuration for enhanced digital experience
US201902053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Preferences in Dialogue Personalization
CN110998725A (en) Generating responses in a conversation
US11267121B2 (en) Conversation output system, conversation outpu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201902519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on based preemptive generation of dialogue content
CN112204563A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scene construction based on user communication
WO2021030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dialogue via scene modeling using combinational neural networks
KR202301036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through learning about beavior and persona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036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taverse virtual reality companion animal capable of forming a relationship based on a user's emo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17712A (en)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speaker capable of sharing feeling and emotion between speaker and user
Lehmann et al. Artists as HRI pioneers: a creative approach to developing novel interactions for living with robots
JP2003108376A (en) Response message generation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thereof
JP7331349B2 (en) Conversation output system, server, conversation output method and program
KR102315243B1 (en) Apparatus for Adult Cont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50120389A (en) Multi-chatting system between user and character in the client and its method
US20230351142A1 (en) Relationship graph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models
WO202321216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 models with goal-oriented behavior
KR202300122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raining program in virtual reality of metaverse for a pet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