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622A -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622A
KR20230103622A KR1020210194624A KR20210194624A KR20230103622A KR 20230103622 A KR20230103622 A KR 20230103622A KR 1020210194624 A KR1020210194624 A KR 1020210194624A KR 20210194624 A KR20210194624 A KR 20210194624A KR 20230103622 A KR20230103622 A KR 2023010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il
electromotive force
motor
counter electromo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1019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622A/ko
Publication of KR2023010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1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모터의 락 상태를 판단할 수 모터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모터 드라이버는 3상 BLDC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고,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락 검출부를 포함하고, 락 검출부는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락 검출 신호를 컨트롤러로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MOTOR DRIVER,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CK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모터의 락 상태를 판단할 수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는 정류용 브러시를 이용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높은 브러시리스 직류(Brushless Direct Current, 이하 BLDC) 모터를 이용하고 있다.
BLDC 모터는 전기자의 코일들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방향을 바꾸는 전자 정류(commutation)를 수행하고, 회전자의 위치와 정류 시점이 일치할 때,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연속적인 회전 자계를 형성할 수 있다.
BLDC 모터 시스템은 BLDC 모터의 전류를 센싱하여 역기전력을 예측하고, 모터 상수를 계산하여, 모터 상수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모터의 회전자(rotor)가 락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BLDC 모터 시스템은 모터 전류 센싱과 모터 상수를 계산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가 필요하고, 모터 파라미터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 및 IC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터의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모터의 락 상태를 판단할 수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는 3상 BLDC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고,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락 검출부를 포함하고, 락 검출부는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락 검출 신호를 컨트롤러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은 제1 코일, 제2 코일, 제3 코일을 포함하는 BLDC 모터, 제1 내지 제3 코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터 드라이버, 제1 내지 제3 코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코일 각각에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을 이용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 인버터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모터 드라이버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고,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락 검출부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상기 락 검출 신호가 공급되면 전원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부는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과, BLDC 모터로부터 상기 3상 코일의 중성점 전압을 공급받고, 특정 코일의 전압과 중성점 전압의 차이를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 및 역기전력 전압을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의 락 검출 방법은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는 단계,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락 검출 신호가 출력되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검출된 역기전력이 상기 기준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BLDC 모터의 락 상태로 판단하고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모터의 락 검출 방법은 특정 코일의 구동 기간에 플로팅 기간을 삽입하여 역기전력 전압을 직접 검출하고 역기전력 전압을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모터의 락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방법 및 모터 구동 시스템은 모터의 락 검출을 위한 회로 구성이 단순하고 모터 파라미터의 변화에 둔감하여 모터 환경의 영향없이 모터의 락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리스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의 락 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기전력 전압을 이용하여 락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예에 따른 모터의 락 검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의 락 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기전력 전압을 이용하여 락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리스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구동 시스템(100)는 BLDC 모터(200), 인버터(300), 전원부(400), 모터 드라이버(500),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Controller Unit; 이하 MCU)(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리스 BLDC 모터(200)는 서로 다른 상(Phase)을 갖는 3상 코일(UC, VC, WC)을 포함하는 고정자(stator)와,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회전자(rotor)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서 회전자는 생략되어 있다.
센서리스 BLDC 모터(200)의 고정자는 U상(제1 상)을 갖는 제1 코일(UC), V상(제2 상)을 갖는 제2 코일(VC), W상(제3 상)을 갖는 제3 코일(WC)을 포함할 수 있다.
BLDC 모터(200)는 인버터(300)로부터 3상 코일(UC, VC, WC) 각각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코일(UC, VC, WC)에서 발생된 자기력이 BLDC 모터(200)의 회전자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인버터(300)는 모터 드라이버(5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제1 내지 제3 노드(U, V, W) 각각을 통해 센서리스 BLDC 모터(200)의 3상 코일(UC, VC, WC) 각각에 제1 전원 전압(VBB)을 공급하거나, 제2 전원 전압(VSS)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VBB)은 고전위 전원 전압이고, 제2 전원 전압(VSS)은 저전위 전원 전압일 수 있다.
특히, 인버터(300)는 모터 드라이버(500)의 제어에 따라 3상 코일(UC, VC, WC)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에 제1 및 제2 전원 전압(VDD, VSS)의 공급없이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킬 수 있다.
인버터(300)는 전원부(400)로부터 제1 전원 전압(VBB) 및 제2 전원 전압(VSS)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인버터(300)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제1-1 및 제1-2 코일 제어 신호(UP, UN), 제2-1 및 제2-2 코일 제어 신호(VP, VN), 제3-1 및 제3-2 코일 제어 신호(WP, WN)를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코일 제어 신호들(UP, UN, VP, VN, WP, WN)은 펄스 폭 변조(Pulse With Modulation; PWM) 신호일 수 있다.
인버터(300)는 센서리스 BLDC 모터(200)의 제1 코일(UC)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1 구동부는 제1 전원 전압(VBB)의 공급 라인과 제2 전원 전압(VSS)의 공급 라인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 풀업(pull-up) 트랜지스터(Tup) 및 제1 풀다운(pull-down) 트랜지스터(Tu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up) 및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un) 사이의 접속 노드는 제1 노드(U)를 통해 제1 코일(UC)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up)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1-1 코일 제어 신호(UP)가 게이트-온 전압인 기간에 턴-온되어 제1 전원 전압(VBB)을 제1 노드(U)를 통해 제1 코일(UC)로 인가할 수 있다.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un)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1-2 코일 제어 신호(UN)가 게이트-온 전압인 기간에 턴-온되어 제2 전원 전압(VSS)을 제1 노드(U)를 통해 제1 코일(UC)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1-1 및 제1-2 코일 제어 신호(UP, UN)가 모두 게이트-오프 전압일 때 제1 풀업 트랜지스터(Tup) 및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un)가 모두 턴-오프되어 제1 노드(U)와 제1 코일(UC)은 플로팅 상태가 될 수 있다.
인버터(300)는 센서리스 BLDC 모터(200)의 제2 코일(VC)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2 구동부는 제1 전원 전압(VBB)의 공급 라인과 제2 전원 전압(VSS)의 공급 라인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Tvp)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vn)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풀업 트랜지스터(Tvp)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vn) 사이의 접속 노드는 제2 노드(V)를 통해 제2 코일(VC)과 접속될 수 있다.
제2 풀업 트랜지스터(Tvp)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2-1 코일 제어 신호(VP)가 게이트-온 전압인 기간에 턴-온되어 제1 전원 전압(VBB)을 제2 노드(V)를 통해 제2 코일(VC)로 인가할 수 있다.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vn)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2-2 코일 제어 신호(VN)가 게이트-온 전압인 기간에 턴-온되어 제2 전원 전압(VSS)을 제2 노드(V)를 통해 제2 코일(VC)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2-1 및 제2-2 코일 제어 신호(VP, VN)가 모두 게이트-오프 전압일 때 제2 풀업 트랜지스터(Tvp)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vn)가 모두 턴-오프되어 제2 노드(V) 및 제2 코일(VC)은 플로팅 상태가 될 수 있다.
인버터(300)는 센서리스 BLDC 모터(200)의 제3 코일(WC)을 구동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3 구동부는 제1 전원 전압(VBB)의 공급 라인과 제2 전원 전압(VSS)의 공급 라인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3 풀업 트랜지스터(Twp) 및 제3 풀다운 트랜지스터(Twn)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풀업 트랜지스터(Twp) 및 제3 풀다운 트랜지스터(Twn) 사이의 접속 노드는 제3 노드(W)를 통해 제3 코일(WC)과 접속될 수 있다.
제3 풀업 트랜지스터(Twp)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3-1 코일 제어 신호(WP)가 게이트-온 전압인 기간에 턴-온되어 제1 전원 전압(VBB)을 제3 노드(W)를 통해 제3 코일(WC)로 인가할 수 있다. 제3 풀다운 트랜지스터(Twn)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3-2 코일 제어 신호(WN)가 게이트-온 전압인 기간에 턴-온되어 제2 전원 전압(VSS)을 제3 노드(W)를 통해 제3 코일(WC)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공급되는 제3-1 및 제3-2 코일 제어 신호(WP, WN)가 모두 게이트-오프 전압일 때 제3 풀업 트랜지스터(Twp) 및 제3 풀다운 트랜지스터(Twn)가 모두 턴-오프되어 제3 노드(W) 및 제3 코일(WC)은 플로팅 상태가 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MCU(600)의 제어에 따라 코일 제어 신호들(UP, UN, VP, VN, WP, WN)의 PWM 듀티(Duty)를 조절함으로써 BLDC 모터(20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인버터(300)로 출력하는 코일 제어 신호들(UP, UN, VP, VN, WP, WN) 중 특정 코일의 제어 신호를 모두 게이트-오프 전압으로 오프시킴으로써, 3상 코일(UC, VC, WC)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킬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인버터(300)로부터 제1 내지 제3 노드(U, V, W) 중 특정 노드를 통해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Vu)를 공급받아 역기전력(Back-Electro Motive Force: BEMF) 전압을 직접 검출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모터 드라이버(500)는 BLDC 모터(200)에서 3상 코일(UC, VC, WC)이 공통 접속된 중성점 전압을 더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Vu)과 BLDC 모터(200)의 중성점 전압과의 차를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검출된 BEMF 전압과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BLDC 모터(200)의 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검출된 역기전력 전압을 기준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모터(200)의 락 상태로 검출하고 락 검출 신호(Lock)를 MCU(6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터 드라이버(500)는 락 검출부(510)를 내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락 검출부(510)는 역기전력(BEMF) 검출부(520) 및 비교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역기전력 검출부(520)는 인버터(300)로부터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Vu)를 공급받고, BLDC 모터(200)로부터 3상 코일(UC, VC, WC)의 중성점 전압을 더 공급받을 수 있다. 역기전력 검출부(520)는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Vu)과 BLDC 모터(200)의 중성점 전압과의 차를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역기전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비교부(530)는 역기전력 검출부(520)로부터 공급받은 역기전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범위(UREF, LREF)와 비교하여 락 상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부(530)는 특정 코일의 플로팅 영역에서 역기전력 검출부(520)를 통해 검출된 역기전력 전압과 기준 전압 범위(UREF, LREF)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부(530)는 역기전력 전압이 기준 전압 범위(UREF, LREF)를 벗어난 경우 BLDC 모터(200)의 락 상태로 판단하고 락 검출 신호(Lock)를 생성하여 MCU(600)로 출력할 수 있다.
MCU(600)는 모터 드라이버(500)의 PWM 듀티를 조절하거나 전원부(400)의 구동 전압(VBB)을 조절함으로써 센서리스 BLDC 모터(20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MCU(600)는 컨트롤러로 정의될 수 있다.
MCU(600)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락 검출 신호(Lock)가 공급되면 전원부(400)를 오프시킴으로써 BLDC 모터(2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에서의 모터의 락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인버터(300)로 출력하는 코일 제어 신호들(UP, UN, VP, VN, WP, WN) 중 특정 코일의 제어 신호를 모두 게이트-오프 전압으로 오프시킴으로써, 3상 코일(UC, VC, WC)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킬 수 있다(S402).
모터 드라이버(500)는 인버터(300)로부터 제1 내지 제3 노드(U, V, W) 중 특정 노드를 통해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Vu)를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역기전력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S404). 모터 드라이버(500)는 BLDC 모터(200)에서 3상 코일(UC, VC, WC)이 공통 접속된 중성점 전압을 더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Vu)과 BLDC 모터(200)의 중성점 전압과의 차를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500)는 검출된 BEMF 전압과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BLDC 모터(200)의 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406).
모터 드라이버(500)는 검출된 역기전력 전압을 기준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모터(200)의 락 상태로 검출하고 락 검출 신호(Lock)를 생성하여 MCU(600)로 출력할 수 있다(S406)
MCU(600)는 모터 드라이버(500)로부터 락 검출 신호(Lock)가 공급되면 전원부(400)를 오프시키고(S410),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모터의 락 검출 방법은 특정 코일의 구동 기간에 플로팅 기간을 삽입하여 역기전력 전압을 직접 검출하고 역기전력 전압을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모터의 락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방법 및 모터 구동 시스템은 모터의 락 검출을 위한 회로 구성이 단순하고 모터 파라미터의 변화에 둔감하여 모터 환경의 영향없이 모터의 락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BLDC 모터 구동 시스템 200: 센서리스 BLDC 모터
300: 인버터 400: 전원부
500: 모터 드라이버 510: 락 검출부
520: 역기전력 검출부 530: 비교부

Claims (11)

  1. 3상 BLDC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고,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락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락 검출 신호를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모터 드라이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역기전력이 상기 기준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BLDC 모터의 락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드라이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검출부는
    상기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과, 상기 BLDC 모터로부터 상기 3상 코일의 중성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특정 코일의 전압과 상기 중성점 전압의 차이를 상기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 및
    상기 역기전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모터 드라이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인버터에서 상기 특정 코일과 연결된 특정 노드를 통해 제1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특정 노드를 통해 제2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모두 턴-오프시켜서 상기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는 모터 드라이버.
  5. 제1 코일, 제2 코일, 제3 코일을 포함하는 BLDC 모터;
    제1 내지 제3 코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터 드라이버;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각각에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을 이용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고,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락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락 검출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전원부를 오프시키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락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역기전력이 상기 기준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BLDC 모터의 락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락 검출부는
    상기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과, 상기 BLDC 모터로부터 상기 3상 코일의 중성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특정 코일의 전압과 상기 중성점 전압의 차이를 상기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하는 역기전력 검출부; 및
    상기 역기전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인버터에서 상기 특정 코일과 연결된 특정 노드를 통해 제1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특정 노드를 통해 제2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모두 턴-오프시켜서 상기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
  9. 3상 코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코일을 플로팅시키는 단계;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을 공급받아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역기전력을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락 검출 신호가 출력되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의 락 검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역기전력이 상기 기준 전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BLDC 모터의 락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의 락 검출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플로팅된 특정 코일의 전압과, 상기 BLDC 모터로부터 상기 3상 코일의 중성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특정 코일의 전압과 상기 중성점 전압의 차이를 상기 역기전력 전압으로 검출하는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의 락 검출 방법.
KR1020210194624A 2021-12-31 2021-12-31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KR20230103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624A KR20230103622A (ko) 2021-12-31 2021-12-31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624A KR20230103622A (ko) 2021-12-31 2021-12-31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622A true KR20230103622A (ko) 2023-07-07

Family

ID=8715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624A KR20230103622A (ko) 2021-12-31 2021-12-31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6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204B2 (en) Startup control method of brushless DC motor
US6064175A (en) Sensorless three-phase brushless DC motor drive circuit
US20200112275A1 (en) Operational mode control of a motor
TWI731413B (zh) 具有拴鎖保護模式的馬達驅動裝置
JP2019103369A (ja) 半導体装置、モータ駆動システム、およびモータ制御プログラム
TW202107836A (zh) 馬達驅動電路及方法
US20150102758A1 (en) Motor drive controller, motor drive control method and motor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103622A (ko)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락 검출 방법
US11863110B2 (en) Motor driver and method of driving motor
JP2007074834A (ja) センサレスモータの起動装置
US20240072706A1 (en) Motor driver,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motor
US20240072693A1 (en) Motor driver,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motor
US20240056004A1 (en) Motor driver
US20240056005A1 (en) Motor driver and method of driving motor
KR101910012B1 (ko) 센서리스 bldc 모터의 재기동 장치 및 방법
KR20230103620A (ko)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모터 구동 방법
KR100282366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방법
KR20230103619A (ko) 모터 구동 장치 및 모터의 리드 앵글 제어 방법
KR20240077416A (ko) 모터 구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자 기기
CN109429544B (zh) 用于确定电动机位置的方法和系统
KR20230103621A (ko) 모터 드라이버 및 모터 구동 시스템
KR20240077417A (ko) 모터 구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자 기기
JP2000083393A (ja) センサレスモータの回転子位置検出装置
KR101803384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 모터 시스템 및 센서리스 비엘디씨 모터의 구동 방법
KR20240021568A (ko) 모터 드라이버,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모터 구동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