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116A -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 Google Patents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116A
KR20230103116A KR1020210193738A KR20210193738A KR20230103116A KR 20230103116 A KR20230103116 A KR 20230103116A KR 1020210193738 A KR1020210193738 A KR 1020210193738A KR 20210193738 A KR20210193738 A KR 20210193738A KR 20230103116 A KR20230103116 A KR 2023010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llable
thin film
stent
swelling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321B1 (ko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고성원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2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37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43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스텐트의 끝 부분에 수용성 고분자 섬유를 코팅하여 신체의 혈관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되면 스텐트의 끝 부분과 혈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극을 감소시켜 혈관과 스텐트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몸체부, 원통형 몸체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및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각각의 제1 둘레에 결합되고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1 팽윤성의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MOISTURE ABSORPTION SWELLING STENT}
본 발명은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스텐트의 끝 부분에 수용성 고분자 섬유를 코팅하여 신체의 혈관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되면 스텐트의 끝 부분과 혈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극을 감소시켜 혈관과 스텐트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 시술은 중재의학의 대표적인 시술법으로 첨단 영상장비와 미세 의료기구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약물 주입과 외과적 시술을 하지 않고 시술 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최소 침습적 시술 방법이다.
스텐트 시술은 인체 내 폐색된 도관을 개통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수술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만 수 만 건 이상의 스텐트 삽입 시술이 진행되었다.
스텐트는 병변 부위와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혈관 스텐트와 비혈관 스텐트로 구분하고 있다. 스텐트는 병변 부위에 시술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 내에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스텐트의 끝 단이 혈관 조직과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스텐트의 끝 단과 혈관 조직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텐트의 끝 단과 혈관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발생하여 부작용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21266호(2004.03.1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스텐트의 끝 부분에 수용성 고분자 섬유를 코팅하여 신체의 혈관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되면 스텐트의 끝 부분과 혈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극을 감소시켜 혈관과 스텐트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 내에 삽입된 수용성 고분자 섬유가 시간 경과에 따라 스스로 팽윤되어 스텐트의 강한 팽창력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고, 세포의 괴사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는 금속 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몸체부, 원통형 몸체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및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각각의 제1 둘레에 결합되고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1 팽윤성의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각각의 제1 둘레에 결합되는 제1 결합층 및 제1 결합층 위에 형성되고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솜털형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1 팽창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이 23~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cellulose acetare)가 38~77wt%일 수 있다.
또한,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제11 팽윤성을 가지는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11 팽윤성 보다 낮은 팽윤성의 제12 팽윤성을 가지는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 및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12 팽윤성 보다 낮은 팽윤성의 제13 팽윤성을 가지는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20~2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75~80wt%이고,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0~4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55~60wt%이며,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60~6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5~40wt%일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몸체부의 제2 둘레에 결합되어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2 팽윤성의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더 포함하고,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제2 팽윤성은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제1 팽윤성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1~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8~59w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스텐트의 끝 부분에 수용성 고분자 섬유를 코팅하여 신체의 혈관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되면 스텐트의 끝 부분과 혈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극을 감소시켜 혈관과 스텐트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혈관 내에 삽입된 수용성 고분자 섬유가 시간 경과에 따라 스스로 팽윤되어 스텐트의 강한 팽창력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고, 세포의 괴사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의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의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팽윤도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의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팽윤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 내지 도11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의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팽윤 전 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텐트(100)는 형상기억 와이어(110)가 교차로 엮여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텐트(100)는 혈관(1) 내에 삽입된 후 원 형상으로 복원되기 위해 팽창하면 중간 부분이 끝 부분보다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끝 부분이 혈관(1)과 밀착되지 못해 공극(G)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극(G)에는 이물질 등이 축적되어 혈관(1) 내의 세포가 괴사할 수 있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텐트(100)의 끝 부분과 혈관(1) 사이의 공극(G)으로 인해 스텐트(100)와 혈관(1)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스텐트(100)가 혈관(1) 내에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스텐트의 양 끝 부분에 수용성 고분자 섬유를 코팅하고, 수용성 고분자 섬유가 혈관 내에서 팽윤되면 스텐트의 끝 부분과 혈관 사이의 공극을 밀폐시키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10, 20, 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금속 와이어(111, 211, 311)를 엮거나 편조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10, 20, 30)를 개략적인 정면도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스텐트와 혈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형성되는 공극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미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10)는 원통형 몸체부(11), 원통형 끝단부(1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몸체부(11)는 금속 와이어(111)를 엮어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111)는 형상기억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와이어(111)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일 수 있다.
원통형 몸체부(11)는 금속 와이어(111)를 복수개 교차로 엮어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와이어(111)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12)는 금속 와이어(111)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마름모 형태 공극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끝단부(12)는 원통형 몸체부(11)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끝단부(12)는 한 쌍일 수 있다. 원통형 끝단부(12)는 원통형 몸체부(11)와 동일하게 금속 와이어(111)를 엮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끝단부(12)에는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의 결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원통형 몸체부(11)와 원통형 끝단부(12)를 나눠 설명하였으나, 원통형 몸체부(11)와 원통형 끝단부(12)를 나누는 위치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12) 각각의 제1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전기방사장치(미도시됨)를 통해 분사되어 원통형 끝단부(12)의 제1 둘레에 코팅될 수 있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제1 결합층(131) 및 제1 팽창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131)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11) 각각의 제1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층(131)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11) 각각의 제1 둘레에 밀착되는 층일 수 있다.
제1 결합층(131)에는 제1 팽창층(13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팽창층(132)은 제1 결합층(131)의 위에 형성되고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솜털형 나노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팽창층(132)은 혈관(1) 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이 제1 결합층(131)과 제1 팽윤층(132)으로 나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설명을 위해 나눈 것으로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모두 제1 팽윤층(132)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1 팽윤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이 23~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cellulose acetare)가 38~77wt%일 수 있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폴리카프로락톤의 비율이 높을수록 팽윤성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폴리카프로락톤이 23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77wt%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1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59wt%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폴리카프로락톤이 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8wt%일 수 있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혈관(1) 내에 삽입되면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할 수 있다. 이때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상하좌우, 즉 전체적으로 팽윤될 수 있다.
이에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12)와 혈관(1) 사이에 형성된 공극(G)을 밀폐시켜 공극(G)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20)는 원통형 몸체부(21), 원통형 끝단부(2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부(21), 원통형 끝단부(2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부(11), 원통형 끝단부(1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은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 및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의 제11 둘레에 결합되고, 제11 팽윤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은 폴리카프로락톤이 20~2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75~80wt%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은 폴리카프로락톤이 23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77wt%일 수 있다.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은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의 제12 둘레에 결합되고, 제11 팽윤성 보다 낮은 제12 팽윤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0~4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55~60wt%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1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59wt%일 수 있다.
제12 둘레는 제11 둘레보다 원통형 몸체부(21)에 가깝게 위치하고, 이에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은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보다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에서 원통형 몸체부(2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은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의 제13 둘레에 결합되고, 제12 팽윤성 보다 낮은 제13 팽윤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은 폴리카프로락톤이 60~6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5~40wt%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은 폴리카프로락톤이 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8wt%일 수 있다.
제13 둘레는 제12 둘레보다 원통형 몸체부(21)에 가깝게 위치하고, 이에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은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보다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에서 원통형 몸체부(2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 및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은 서로 다른 팽운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은 3406%의 팽윤도를 가지고,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은 2303%의 팽윤도를 가지며,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은 1678%의 팽윤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의 팽윤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 및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 순으로 팽윤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1a는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의 팽윤 전 표면이고, 도 11b는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의 팽윤 후 표면으로, 팽윤 후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의 공극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c는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의 팽윤 전 표면이고, 도 11d는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의 팽윤 후 표면으로, 팽윤 후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의 공극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e는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의 팽윤 전 표면이고, 도 11f는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의 팽윤 후 표면으로, 팽윤 후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의 공극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은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팽윤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박막을 결합하여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에서 원통형 몸체부(21)에 가까워질수록 혈관(1) 사이의 공극(G)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극(G)이 작을수록 팽윤도가 낮아도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을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이 가장 큰 부분에서 가장 큰 팽윤성을 가지는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1)을 결합하고,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이 중간인 부분에서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2)을 결합하며,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이 가장 작은 부분에서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233)을 결합하여,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22)와 혈관(1) 사이의 공극(G)을 보다 조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를 혈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30)는 원통형 몸체부(31), 원통형 끝단부(3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부(31), 원통형 끝단부(3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몸체부(11), 원통형 끝단부(12) 및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30)는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원통형 몸체부(31)의 제2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전기방사장치(미도시됨)를 통해 분사되어 원통형 몸체부(31)의 제2 둘레에 코팅될 수 있다.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솜털형 나노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제2 결합층(미도시됨) 및 제2 팽창층(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층 및 제2 팽창층은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13)의 제1 결합층(131) 및 제1 팽창층(132)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2 팽윤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의 제2 팽윤성은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3)의 제1 팽윤성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1~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8~59w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1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59wt%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폴리카프로락톤이 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8wt%일 수 있다.
한편,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의 제2 팽윤성이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3)의 제1 팽윤성보다 낮은 이유는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32)보다 원통형 몸체부(31)에서 혈관(1) 사이의 공극(G)이 줄어들기 때문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에서 기재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은 원통형 몸체부(31)와 혈관(1)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극(예를 들면, 동맥류나 굴곡지관 부위 등)에서 팽윤될 수 있는 것으로, 원통형 몸체부(3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32)에서는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3)으로 혈관(1) 사이의 공극(G)을 밀폐하고, 원통형 몸체부(31)에서는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34)으로 혈관(1) 사이의 공극(G)을 밀폐하여,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32)와 원통형 몸체부(31) 각각에서 공극(G)을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종래의 스텐트
1: 혈관
10, 20, 30: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11, 21, 31: 원통형 몸체부
12, 22, 32: 원통형 끝단부
13, 23, 33: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
34: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

Claims (7)

  1. 금속 와이어를 엮어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 몸체부;
    상기 원통형 몸체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각각의 제1 둘레에 결합되고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1 팽윤성의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포함하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상기 한 쌍의 원통형 끝단부 각각의 상기 제1 둘레에 결합되는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솜털형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제2 팽창층을 포함하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이 23~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cellulose acetare)가 38~77wt%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제11 팽윤성을 가지는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 상기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1 팽윤성 보다 낮은 팽윤성의 제12 팽윤성을 가지는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 및 상기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2 팽윤성 보다 낮은 팽윤성의 제13 팽윤성을 가지는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포함하는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20~2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75~80wt%이고,
    상기 제1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0~4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55~60wt%이며,
    상기 제13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60~65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5~40wt%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부의 제2 둘레에 결합되어 수분 흡수로 팽창되는 제2 팽윤성의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제2 팽윤성은 상기 제1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의 상기 제1 팽윤성보다 낮은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윤성 나노섬유 박막은 폴리카프로락톤이 41~62wt%이고 아세트산 셀룰로스가 38~59wt%인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KR1020210193738A 2021-12-31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KR102664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38A KR102664321B1 (ko) 2021-12-31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38A KR102664321B1 (ko) 2021-12-31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16A true KR20230103116A (ko) 2023-07-07
KR102664321B1 KR102664321B1 (ko) 2024-05-0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266A (ko)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266A (ko)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760B2 (en) Medical devices including metallic films
EP1534178B1 (en) Device to create proximal stasis
US10028745B2 (en) Advanced endovascular clip and method of using same
JP6993465B2 (ja) 塞栓デバイス
EP2802273B1 (en) Implantable shape-memory occlusion devices
US20090318941A1 (en) Self-Expandable Endovascular Device For Aneurysm Occlusion
US20110093058A1 (en) Graft including expandable materials
DE102006056283A1 (de) Okklusionsvorrichtung und Einführvorrichtung für diese sowie System aus Okklusionsvorrichtung und Einführvorrichtung
CN107126244A (zh) 取出系统及其使用方法
EP3213716A1 (de) Reduktion von paravalvulärer leckage durch kontrollierten thrombusaufbau
CN104068905B (zh) 制造可调整式闭塞装置的方法
WO2013112446A1 (en) Occluding device
DE102018110591A1 (de) Medizinische Vorrichtung und Beschichtung mit Haftvermittler
JP2020516350A (ja) 血管内動脈瘤修復中のリーク防止のための血管プロテーゼ
CN103381101A (zh) 用于脉管内夹持并修补内腔和组织缺陷的方法和系统
DE102019100530B4 (de) Okkluder und System zur Einführung eines Okkluders
KR20230103116A (ko)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KR102664321B1 (ko) 수분흡수 팽윤 스텐트
CN216676047U (zh) 支架
EP3723663A1 (en) Urological stent
CN212699237U (zh) 栓塞保护装置
EP4122401A1 (en) Biodegradable occluder of parachute design
US20220054139A1 (en) Embolic basket, 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10149926B2 (en)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16568242A (zh) 用于治疗动脉瘤的医用植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