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960A -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960A
KR20230102960A KR1020210193469A KR20210193469A KR20230102960A KR 20230102960 A KR20230102960 A KR 20230102960A KR 1020210193469 A KR1020210193469 A KR 1020210193469A KR 20210193469 A KR20210193469 A KR 20210193469A KR 20230102960 A KR20230102960 A KR 20230102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ortable terminal
unit
main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박준범
황민석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960A/ko
Publication of KR2023010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8Combinations of handles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5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adjustable in rotation to a tow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서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본체에 삽입되며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본체의 상부로 전개되는 주손잡이,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휠로 이루어지는 휠유닛, 본체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주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SMART CARRIER}
본 발명은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여행용 가방인 캐리어는 견고한 외관을 지니고, 그 내부에는 많은 양의 짐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대체로 캐리어는 먼 곳을 방문하거나 여행이나 출장과 같은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캐리어는 쉽게 도난 당하지 않도록 보안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자물쇠로 캐리어를 잠그거나, 테이핑을 하는 등 다른 이가 쉽게 열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인 보안 수단이었다.
하지만, 자물쇠나 테이핑과 같은 잠금 수단은 타인이 쉽게 개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캐리어를 타인이 가지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었다.
대체로 낯선 곳을 방문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이므로 정해진 사용자만 캐리어를 개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또한, 화물을 맡기거나 찾는 과정에서 본인의 캐리어를 식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고, 사람이 붐비는 장소에서 캐리어를 놓았던 장소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들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제안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가 부재 시 도난에 무방비하였던 종래 캐리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경사진 곳이나 차량에 탑승 중인 경우에 캐리어가 움직이지 않도록 사용자가 잡고 있어야만 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캐리어의 잠금장치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고, 잠금장치의 비밀번호를 잊은 경우 캐리어를 열 수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서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본체에 삽입되며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본체의 상부로 전개되는 주손잡이,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휠로 이루어지는 휠유닛, 본체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주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와 본체와의 거리인 가동거리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가동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일 때 회전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주손잡이를 잠금상태로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휠유닛의 회전휠의 회전을 단속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NFC신호를 감지하는 NFC감지부, NFC감지부에 NFC신호가 입력될 때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NFC감지부에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NFC신호가 감지되면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주손잡이로 공급하여 주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가 접근하면 사용자를 인식해 자동으로 주손잡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NFC태그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2차전지를 내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주손잡이나 회전휠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손쉽게 캐리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주손잡이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휠유닛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에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는 본체(100), 주손잡이(200), 보조손잡이(300), 휠유닛(4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는 각각 본체(100)의 배면부와 전면부를 이루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해 수납공간을 이룬다.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는 일측이 다수 개의 경첩(130)을 통해 결합되고, 서로 경첩(1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리거나 닫힌다.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는 경첩(130)의 맞은편에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로이루어진 본체(100)는 외력에도 외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주손잡이(200) 및 보조손잡이(300)가 구비된다.
먼저 보조손잡이(3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주손잡이(200)는 본체(100)의 일측(도 1에서는 제1케이스(110))에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주손잡이(200)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본체(100)의 상부로 전개된다. 즉, 주손잡이(200)가 본체(100)의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사용자가 주손잡이(200)의 파지부(220)를 손으로 잡고 본체(100)를 끌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에서 주손잡이(200)와 휠유닛(400)은 제어부(600)를 통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우선, 통신부(500)는 외부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는다. 구체적으로, 통신부(500)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의 위치정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A)을 통해 입력되는 작동명령,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의 접근정보 등을 수집한다.
통신부(500)는 NFC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NFC감지부 및 NFC감지부에 NFC신호가 입력될 때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NFC감지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의 NFC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600)로 송출하고, 제어부(600)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주손잡이(200) 및/또는 휠유닛(400)으로 인가하여 주손잡이(200) 및/또는 휠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손잡이(200) 및/또는 휠유닛(400)의 작동은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잠금상태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무선충전 모드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C)가 통신부(500)에 인접하는 경우 휴대단말기(C)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너지가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NFC신호의 감지, 주손잡이(200)나 휠유닛(400)의 작동을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5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송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와 블루투스로 통신을 수행하고, 휴대단말기(C)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으로부터 작동정보를 수신하고, 주손잡이(200)나 휠유닛(400)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송수신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0)의 위치정보를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로 송신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C)의 어플리케이션(A)에서는 휴대단말기(C)와 캐리어(10)의 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A)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주손잡이(200) 및/또는 휠유닛(400)을 구동하는 전기에너지도 커패시터 뿐만 아니라, 본체(100)에 내장된 1차전지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에서 주손잡이(200)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에서 주손잡이(200)는 가로바(210)와 파지부(220)를 포함한다. 가로바(210)는 한 쌍이 구비되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두 개의 바로 이루어진다. 파지부(220)는 두 개의 가로바(210) 상단을 이어서 형성된다.
가로바(210) 및 파지부(220)는 제1케이스(110)의 배면에 내장될 수 있다. 파지부(220)는 제1케이스(110)의 상단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부로 전개되어 본체(100) 상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가로바(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공(212)이 형성되고, 잠금공(212)에는 걸림부재(232)가 삽입될 수 있다. 잠금공(212)에 걸림부재(232)가 삽입되면 가로바(210) 및 파지부(220)가 본체(100)의 상부로 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를 주손잡이(200)의 잠금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걸림부재(232)는 잠금유닛(230)에 결합된다. 잠금유닛(230)은 제어부(600)를 통해 제어되며, 걸림부재(232)를 잠금공(212)에 삽입하거나 잠금공(212)으로부터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를 통해 주손잡이(200)가 잠금상태에 놓이면 걸림부재(232)가 잠금공(212)에 삽입됨으로써 가로바(210) 및 파지부(22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반면에 제어부(600)를 통해 주손잡이(200)가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면 걸림부재(232)가 잠금공(212)으로부터 제거되고, 파지부(220)를 윗쪽으로 당기면 파지부(220)가 상부로 이동한다.
가로바(210)의 사이에는 통신부(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통신부(500)에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해 제어부(600)가 주손잡이(2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휠유닛(400)의 잠금상태 또한 해제할 수도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통신부(500)를 통해 수신하여 주손잡이(200) 및/또는 휠유닛(4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에서 휠유닛(400)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유닛(400)은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휠유닛(400)은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저면 네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네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휠유닛(400)은 회전휠(410), 리니어모터(420), 왕복이송바(430) 및 스토퍼(440)를 포함한다.
회전휠(410)은 지면과 닿아 회전하는 바퀴이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토퍼(440)가 닿으면 회전이 불가하게 된다.
스토퍼(440)는 왕복이송바(4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왕복이송바(43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며, 회전휠(410)과 접하여 회전휠(410)이 회전하지 못하게 하거나, 회전휠(410)로부터 이격되어 회전휠(410)을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한다.
왕복이송바(430)는 리니어모터(420)와 연결되고, 리니어모터(420)는 제어부(600)를 통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리니어모터(420)는 커패시터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에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C)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A)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10)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C)를 통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C)에는 어플리케이션(A)이 설치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A)은 주손잡이(200)와 휠유닛(4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A)은 휴대단말기(C)와 캐리어(10)의 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C)와 캐리어(10)의 거리를 가동거리라고 한다면, 가동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일 때 회전휠(410)과 스토퍼(440)가 접촉해 회전휠(410)이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상태로 놓일 수 있다.
반대로, 가동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하로 감소하면 회전휠(410)과 접했던 스토퍼(440)가 회전휠(4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휠유닛(400) 뿐 아니라 주손잡이(2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동거리에 따라 주손잡이(200)나 휠유닛(400)의 잠금상태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캐리어 100: 본체
110: 제1케이스 120: 제2케이스
130: 경첩 200: 주손잡이
210: 가로바 212: 잠금공
220: 파지부 230: 잠금유닛
232: 걸림부재 300: 보조손잡이
400: 휠유닛 410: 회전휠
420: 리니어모터 430: 왕복이송바
440: 스토퍼 500: 통신부
600: 제어부
C: 휴대단말기 A: 어플리케이션

Claims (5)

  1.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서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삽입되며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본체의 상부로 전개되는 주손잡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휠로 이루어지는 휠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주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와 상기 본체와의 거리인 가동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동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일 때 상기 회전휠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손잡이를 잠금상태로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휠유닛의 회전휠의 회전을 단속하는,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NFC신호를 감지하는 NFC감지부; 및
    상기 NFC감지부에 NFC신호가 입력될 때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감지부에 미리 정해진 휴대단말기의 NFC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주손잡이로 공급하여 상기 주손잡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KR1020210193469A 2021-12-30 2021-12-30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KR20230102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69A KR20230102960A (ko) 2021-12-30 2021-12-30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69A KR20230102960A (ko) 2021-12-30 2021-12-30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960A true KR20230102960A (ko) 2023-07-07

Family

ID=8715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469A KR20230102960A (ko) 2021-12-30 2021-12-30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9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55B2 (en) Luggage
US20160028429A1 (en) Smart case for mobile devices
US20110242303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unlocking an opening member of a motor vehicle for a hands-free syste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40104771A1 (en) Universal Keyless Entry System
CN105378195A (zh) 用于与电子钥匙一起使用的商品安全装置
US9460571B2 (en) Backup key for multiple backup key integration into a mobile device case
US10794092B2 (en) Lock box
JP6316840B2 (ja) 据置型非常停止ボタンおよび可搬型非常停止ボタンを含む制御システム
TW202006230A (zh) 便攜式鎖
KR101876923B1 (ko) 컨테이너 전자 봉인장치
WO2014043601A1 (en) Rolling briefcase
CN207979169U (zh) 一种智能指纹旅行箱
KR102634070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잠금기능을 실행하는 자전거 자물쇠
KR20230102960A (ko) 사용자 인식기능을 갖는 캐리어
WO2011070603A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collection of urban solid wastes and device to controllably open a container intended to the collection of solid wastes used in the said system
CN107130860B (zh) 一种带usb接口的箱包锁
GB2515832A (en) Receptacle
CN210094897U (zh) 一种容纳装置
CN209908166U (zh) 智能挂锁
CN206217772U (zh) 车外钥匙储藏装置及汽车
JP2017025697A (ja) キャリーボックス付きオートバイ
WO2008090571A1 (en) Suitcase with an integrated transport carrier
CN207411718U (zh) 一种智能钱包及基于该智能钱包的系统
CN104886905B (zh) 物品防盗装置
JP3135266U (ja) 指紋認証機能を備えた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