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708A -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 Google Patents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708A
KR20230102708A KR1020210193054A KR20210193054A KR20230102708A KR 20230102708 A KR20230102708 A KR 20230102708A KR 1020210193054 A KR1020210193054 A KR 1020210193054A KR 20210193054 A KR20210193054 A KR 20210193054A KR 20230102708 A KR20230102708 A KR 2023010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ase
lecturer
teaching mea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제완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채움플러스
에스시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채움플러스, 에스시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채움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9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708A/en
Publication of KR202301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7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원격 교육 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며, 강의자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송신하며, 수강자의 교육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강습 수단(200); 복수의 수강자가 상기 강습수단(200)의 정보를 수신하며, 수강자의 학습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교습수단(300); 을 포함하는 원격 교육 장비 및 이의 보정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related to remote education equipmen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the case 100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Lecture means 200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case 100,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information of the lectur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student; a teaching means (30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means (200) by a plurality of students and transmitting lear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It is a remote education equipment and its calibration method comprising a.

Description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및 이의 보정 방법{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본 발명은 원거리의 강의자와 수강자 사이에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장비 및 이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mote education equipment capable of conducting education between a remote lecturer and students,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same.

특허발명 001 내지 004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는 본 출원의 출원전 공개된 선행문헌을 제시한다. Patent Inventions 001 to 004 present prior art published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has technical relevance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허문헌 001은 티칭서버에 원격교육을 신청하고 교육대상인 학생 정보 및 교육진도정보를 제공하는 학교 또는 교육청의 교육기관서버와,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서버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presents technical details about an educational institution server of a school or education office that applies for remote education to a teaching serv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students subject to education and educational progress information, and a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특허문헌 002는 복수의 교육과목에 각각 할당된 가상의 가상현실 교육공간을 웹(Web) 기반으로 제공하는 가상현실 교육 관리서버; 및 원격지에서 상기 웹(Web) 기반의 가상현실 교육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가상현실 교육공간에서 제공하는 교육 컨텐츠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2 is a virtual reality education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a virtual virtual reality education space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education subjects on a web basis; And by connecting to the web-based virtual reality education management server from a remote location,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education space are presented.

특허문헌 003은 복수개의 실습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실습과정을 녹화 및 녹음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로 구성되는 레코딩수단; 중앙서버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선택된 실습공간의 카메라 및 마이크의 작동과, 녹화되는 영상과 녹음되는 음성 및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실시간 재생과, 체크리스트에 대한 평가결과 입력시 영상, 체크리스트, 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입력시간이 동기화되면서 저장되게 하는 북마킹 기능을 실습공간별로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제어수단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003 includes a recording means composed of a camera and a microphone that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ractice spaces and record and record the practice proces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nd microphone in the selected practice space, real-time playback of recorded video and audio, and checklist for evaluation, video, checklist, and evaluation when inputting evaluation results for the checklist It presents technical details on the mobile control means that can control the bookmarking function for each practice space, which allows the input time of results and evaluation results to be synchronized and saved.

특허문헌 004는 학습정보와, 교수정보 및 학사정보가 저장된 원격교육서버부와; 상기 원격교육서버부에 접속하여 학습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하는 학습자단말기와; 상기 원격교육서버부에 접속하여 교수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하는 교수자단말기와; 상기 원격교육서버부에 접속하여 학사정보를 수신 또는 입력하는 학사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교육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includes a remote education server unit in which learning information, professor information, and academic information are stored; a learner terminal for receiving or inputting learning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remote education server unit; an instructor terminal for receiving or inputting teaching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remote education server unit; A technology related to a distance education system including an academic manager terminal for receiving or inputting academic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remote education server unit is proposed.

KR 10-1829814 B1 (2018년02월09일)KR 10-1829814 B1 (February 09, 2018) KR 10-2021-0097268 A (2021년08월09일)KR 10-2021-0097268 A (August 09, 2021) KR 10-1443125 B1 (2014년09월16일)KR 10-1443125 B1 (September 16, 2014) KR 10-2014-0096890 A (2014년08월06일)KR 10-2014-0096890 A (06 Aug. 2014)

본 발명은 원거리의 강의자와 수강자 사이에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장비 및 이의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education device capable of conducting education between a remote lecturer and a student,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원격 교육 장비에 관한 발명이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며, 강의자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송신하며, 수강자의 교육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강습 수단(200); 복수의 수강자가 상기 강습수단(200)의 정보를 수신하며, 수강자의 학습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교습수단(300); 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related to remote education equipmen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the case 100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Lecture means 200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case 100,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information of the lectur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student; a teaching means (30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means (200) by a plurality of students and transmitting lear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강습수단(200) 및 교습수단(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에 형성되며, 교육자료 및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저장장치(41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4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teaching means 200 and the teaching means 300 by wire or wirelessly; A storage device 410 formed in the server 400 and contain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operating programs;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110); 를 포함한다.Th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1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n internal storage space;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강습수단(200)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10);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의 음향을 녹화하는 제1 마이크(220);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에게 빛을 조사하는 램프(230); 를 포함한다.The lecture mea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the first camera 210 for taking an image of the lecturer; A first microphone 220 formed of one or a plurality of microphones for recording a lecturer's sound; One or a plurality of lamps 23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ecturer;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제1 카메라(210), 제1 마이크(220) 및 램프(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위 제어기;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210, the first microphone 220 and the lamp 23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교습수단(300)은 수강자가 휴대하며, 내장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카메라, 내장용 마이크, 내장용 통신장치가 내장되는 교육용단말기(310); 를 포함한다.The teaching mean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by students and includes an educational terminal 310 having a built-in display, a built-in camera, a built-in microphone, and a built-in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본 발명은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을 설치하는 임시설치단계(S10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하울링을 측정하는 제1 측정단계(S210); 상기 제1 측정단계(S210) 후, 하울링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강습수단(200)을 보정하는 제1 보정단계(S22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강의자의 그림자를 판단하는 제2 측정단계(S310); 상기 제2 측정단계(S310) 후, 조명의 조도 및 조명의 위치를 변경하여 그림자를 제거하는 제2 보정단계(S32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반사조명을 측정하는 제3 측정단계(S410); 상기 제3 측정단계(S410) 후, 프로그램에 의해 반사조명을 제거하는 제3 보정 단계(S42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alibrating a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comprising: a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of installing the teaching means (200);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first measuring step (S210) of measuring howling; After the first measuring step (S210), a first correction step (S220) of correcting the teaching means (200) by measuring the amount of howling;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second measurement step (S310) of determining the shadow of the lecturer; After the second measuring step (S310), a second correction step (S320) of removing shadows by changing the illuminance and position of lighting;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third measuring step (S410) of measuring reflected light; After the third measurement step (S410), a third correction step (S420) of removing reflected light by a program; includes

본 발명으로 인하여, 원거리상의 강의자와 수강자 사이에서도 교육 시스템을 상호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utually provide an education system between a lecturer and a student at a distance.

또한 수강자의 학습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습 자료의 집중도를 강의자가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student's learning state, the lecturer can recogniz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he currently ongoing learning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교육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 및 강습 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교습수단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 교육 장비 장비의 보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tance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case and assaul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ach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calibration method of th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referenced subject and can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 The high-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sub-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며, 강의자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송신하며, 수강자의 교육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강습 수단(200); 복수의 수강자가 상기 강습수단(200)의 정보를 수신하며, 수강자의 학습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교습수단(300); 을 포함한다.(Embodiment 1-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cludes a case 100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Lecture means 200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case 100,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information of the lectur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student; a teaching means (30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means (200) by a plurality of students and transmitting lear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tudents; includes

본 발명은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 강습수단(200) 및 교습수단(300)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00)와 교습수단(300)은 이동형이므로, 강습자와 수강자는 이를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 따라서, 강의자와 수강자는 장소에 대한 공간적인 제약 없이 해당 커리큘럼을 강의하거나 수강할 수 있다. 이는 비대면 원격강의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a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Specifically, it consists of a case 100, a teaching means 200, and a teaching means 300, and since the case 100 and the teaching means 300 are mobile, the lecturers and students can carry them. Therefore, the lecturer and the students can lecture or take the corresponding curriculum without spatial restrictions on the place. This can increase the positive effect of non-face-to-face remote lectures.

(실시예 2-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 및 교습수단(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에 형성되며, 교육자료 및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저장장치(410); 를 포함한다.(Embodiment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server 400; A storage device 410 formed in the server 400 and contain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operating programs; includes

본 발명은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에 대한 발명이다. 서버(400)가 추가적으로 포함됨에 따라,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관리 효율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a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s the server 400 is additionally includ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mobile remote education equipment and obtain an effect of increasing management efficiency.

원격을 목적으로 하는 강습수단(200) 및 교습수단(300)은 인터넷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선으로 연결되는 서버(4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The teaching means 200 and the teaching means 300 for remote purposes are made in an Internet environment. Therefore, it can be managed by the server 400 connected wirelessly.

강의자 및 수강자는 서버(4000에 등록된 아이디 인증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강의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진행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Lecturers and students can access the server (4000) through ID authentication registered, and the administrator can manage the overall progress of the lecture status.

또한, 서버(400)는 대용량의 저장장치(41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저장장치(410)는 다양한 강의용 참고영상 등의 자료를 수록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강의자 및 수강자에게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장치(410)는 강의자의 강의형태를 저장하며, 저장된 강의형태를 정량 또는 정성적인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강의프로그램을 수강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400 can be interlocked with the large-capacity storage device 410, and the storage device 410 can record various materials such as reference videos for lectures, and can transmit the data to lecturers and students in real time. . The storage device 410 stores the lecture form of the lecturer, and provides the optimal lecture program to the student through quantitative o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tored lecture form.

(실시예 3-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11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1-1, the case 100 includes a cover 11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n internal storage space; includes

(실시예 3-2)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외부에 외치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하는 패널거치대; 를 포함한다.(Embodiment 3-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3-1, the case 100 is externally placed and includes a panel holder for holding a display panel; includes

(실시예 3-3)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1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3-1, the case 100 includes a handle 130 located outside; includes

(실시예 3-4)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외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캐스터; 를 포함한다.(Embodiment 3-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3-1, the case 100 includes a caster formed at an outer lower end; includes

(실시예 3-5)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커버(110)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힌지(15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3-1, the case 100 includes a hinge 150 coupled to the cover 110 and rotating; includes

(실시예 3-6)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힌지(150)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3-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s 3-5, the hinge 15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e according to a user's need.

(실시예 3-7)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Embodiment 3-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3-1, the case 1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실시예 3-8)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측에 개재되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장비를 보호하는 내충격재(16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8)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3-1, the case 100 is interposed on the inside to protect the equipmen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60); includes

(실시예 3-9)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내충격재(160)는 다공형 폼으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3-9)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s 3-8, the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is formed of porous foam; includes

(실시예 3-10)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내충격재(160)는 복수의 단위블럭(161)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3-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s 3-8, the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161; includes

본 발명은 케이스(100)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한다. 케이스(100)는 강습수단(200)을 내장하므로, 다수의 다양한 장비를 일체로 수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embodies the contents of the case 100. Since the case 100 has a built-in assault means 200, it accommodates a number of various equipment integrally.

본 발명은 내부 장비의 원활한 인출 및 장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자 커버(110)를 두고 있다. 커버(110)는 판재 형태 또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커버(110)는 힌지방식으로 펼쳐질 수 있거나, 분리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2개의 박스로 구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힌지방식 및 분리형식을 동시에 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ver 110 to facilitate the smooth withdrawal and installation of internal equipment. Cover 110 is preferably made in the form of a plate or box. The cover 110 can be unfolded in a hinged manner, or can take a separate form, and can be divided into two boxes. Preferably, a hinge type and a separate type may be taken at the same time.

커버(110)는 명칭상 '커버'로 지칭할 수 있으며, 케이스(100)가 이분화된 형태로 커버(110)를 제시할 수 있다.The cover 110 may be referred to as a 'cover' in name, and the case 100 may present the cover 110 in a bifurcated form.

케이스(100)의 이동 편이성을 구현하고자, 외부에 손잡이(130) 및/또는 캐스터를 장착한다. 또한 시건장치를 장착하여, 케이스(100) 내측 수용 공간에 대한 보안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ease of movement of the case 100, a handle 130 and/or casters are mounted on the outside. In addition, by mounting a locking device, security for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100 can be further improved.

케이스(100) 내부에는 다수의 장비가 내장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케이스(100)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에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내충격재(160)가 수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장비는 형태에 따라 홈이 파여진 내충격재(160)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Since a number of devices are built into the case 100, it must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To implement this, the case 100 may be made of metal or high-strength plastic. An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for absorbing external impact may be accommodated inside, and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having grooves cut according to the shape.

또한, 내충격재(160)는 다공성 폼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는 내충격재(160)의 충격 흡수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is preferably made of a porous foam, which is to effectively absorb shock of the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

내충격재(160)는 표준화된 블록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블럭 조합에 의한 수용물의 형상 및 수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impact resistant material 160 takes a standardized block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ary the shape and quantity of objects by combining blocks.

(실시예 4-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10);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의 음향을 녹화하는 제1 마이크(220);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에게 빛을 조사하는 램프(2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1 camera 210; A first microphone 220 formed of one or a plurality of microphones for recording a lecturer's sound; One or a plurality of lamps 23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ecturer; includes

(실시예 4-2)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은 일측이 상기 제1 카메라(210)와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스(100)와 고정되는 제1 거치대(241); 를 포함한다.(Embodiment 4-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In Embodiment 4-1, one side of the teaching means 200 is fixed to the first camera 210, and the other side a first holder 241 fixed to the case 100; includes

(실시예 4-3)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은 일측이 상기 제1 마이크(220)와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스(100)와 고정되는 제2 거치대(242); 를 포함한다.(Embodiment 4-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In Embodiment 4-1, the teaching means 200 has one side fixed to the first microphone 220 and the other side a second holder 242 fixed to the case 100; includes

(실시예 4-4)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은 일측이 상기 램프(230)와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스(100)와 고정되는 제3 거치대(243); 를 포함한다.(Embodiment 4-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In Embodiment 4-1, the teaching means 200 has one side fixed to the lamp 230 and the other side to the a third holder 243 fixed to the case 100; includes

(실시예 4-5)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210) 및 램프(2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4-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4-1, the first camera 210 and the lamp 230 are integrally formed; includes

(실시예 4-6)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210), 램프(230) 및 제1 마이크(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4-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4-1, the first camera 210, the lamp 230, and the first microphone 220 are integrated formed by; includes

(실시예 4-7)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램프(230)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제2 카메라가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4-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In Embodiment 4-1, the lamp 230 is formed in a donut shape and a second camera is formed in the center. ; includes

(실시예 4-8)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은 교육환경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 상기 조도측정기의 신호를 계측하며, 상기 램프(230)이 광도를 제어하는 조도제어기; 를 포함한다.(Embodiment 4-8)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4-1, the teaching means 200 includes an illuminance meter for measuring the illuminance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 illuminance controller that measures the signal of the illuminance meter and controls the light intensity of the lamp 230; includes

본 발명은 강습수단(200)의 구성을 구체화한다. 케이스(100) 내부에 내장된 장치는 강습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수량으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embodies the configuration of the teaching means (200). Devices built into the case 100 can be easily positioned by the instructor. It is also provided in various quantities and can be selectively used as needed.

제1카메라(210)의 경우, 촬영 위치에 따라 강의자의 얼굴과 손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램프(230)도 필요한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강습수단(200)은 내부에 복수의 거치대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first camera 210, the lecturer's face and hands should be able to b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In addition, the lamp 230 should be able to selectively illuminate a required pos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is, the teaching means 200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therein.

거치대는 케이스(100) 내부와 결합된 형태를 취하여, 회동하는 회동힌지(244)에 의해 회동바(245)를 구동하며, 회동바(245)에 장착된 클램프(246)에 의해 설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cradle takes a form coupled with the inside of the case 100, drives the pivoting bar 245 by the pivoting hinge 244, and adjusts the setting position by the clamp 246 mounted on the pivoting bar 245. can

또한, 필요에 따라 회동바(245)는 회동힌지(244)와 분리되며, 별도의 받침대(247)를 회동바(245)에 부착하여, 강의자가 원하는 위치에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rotation bar 245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hinge 244, and a separate pedestal 247 is attached to the rotation bar 245 so that the lecturer can install the device at a desired location.

제1 카메라(210), 제1 마이크(220) 및 램프(230)는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화되어 하나의 설비에 복수의 장치를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램프(230)는 주변환경의 조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램프(230)의 광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조도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210, the first microphone 220, and the lamp 230 may not only be separately installed, but may also be integral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complexly installed in one facility. In particular, the lamp 230 measures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of the lamp 230, which can be performed by an illuminance controller.

(실시예 5-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210), 제1 마이크(220) 및 램프(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위 제어기; 를 포함한다.(Embodiment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4-1,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210, the first microphone 220, and the lamp 230 A unit controller for controlling; includes

(실시예 5-2)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제어기는 하울링을 감지하며 제어하는 하울링 자동 조절부; 를 포함한다.(Embodiment 5-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5-1, the unit controller includes a howling automatic control unit that senses and controls a howling; includes

(실시예 5-3)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제어기는 영상의 그림자 및 반사광을 감지하며, 복수의 램프(230)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영상 조절부; 를 포함한다.(Embodiment 5-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 first image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includes

(실시예 5-4)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제어기는 상기 제1 카메라(210)의 송출 영상을 선정하는 제2 영상 조절부; 상기 제2 영상 조절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를 포함한다.(Embodiment 5-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wealth; a switch selectively activating the second image control unit; includes

본 발명은 케이스(100)에 장착된 단위 제어기를 구체화한다. 단위 제어기는 내부에 하울링 자동 조절부, 제1 영상 조절부 및 제2 영상 조절부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mbodies the unit controller mounted on the case 100. The unit controller has a howling automatic control unit, a first image control unit, and a second image control unit built in, which can be selectively combined.

제1 마이크(220)와 스피커가 동시에 포함됨에 따라, 케이스(100) 내에 구비된 강습수단(200)에서는 하울링이 발생될 수 있으며, 하울링을 감지할 경우에 스피커와 제1 마이크(220)의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하울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first microphone 220 and the speaker are included at the same time, howling may occur in the assault means 200 provided in the case 100, and when the howling is detected, the function of the speaker and the first microphone 220 Howling can be prevented by controlling automatically.

또한 화면에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그림자를 판별하며, 판별된 그림자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조명의 조도 변경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제1 영상 조절부를 갖게 된다. 이 때, 제1 영상 조절부는 바닥판에 투영되는 조명의 반사광을 판단하여, 조명의 정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In addition, it has a first image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shadow from an image captured on the screen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illuminance of lighting to remove or minimize the determined shadow. At this time, the first image controller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illumination by determin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illumination projected onto the floor plate.

제2 영상 조절부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강의자가 지정하는 영상으로 송출하는 작동을 갖는다. 강의자는 스위치를 구동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선정할 수 있으며, 스위치는 탁상에 올려놓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다. 즉,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는 무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mage control unit transmits an image designated by the lecturer among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using a switch. The lecturer can select one or multiple cameras by driving a switch, and the switch can be placed on a tabletop or placed on the floor.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a camera using the hand or foot. Also, the switch is preferably formed wirelessly.

단위제어기에 의해 제어하는 시계열적 단계는 실시예 7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한다.The time-sequential steps controlled by the unit controller are specifically presented in Example 7.

(실시예 6-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교습수단(300)은 수강자가 휴대하며, 내장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카메라, 내장용 마이크, 내장용 통신장치가 내장되는 교육용단말기(310); 를 포함한다.(Embodiment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In Embodiment 1-1, the teaching means 300 is carried by a student, and includes a built-in display, a built-in camera, and a built-in camera. An educational terminal 310 having a built-in microphone and a built-in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실시예 6-2)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교습수단(300)은 상기 교육용단말기(310)에 내장되는 교육 상태 감지부; 를 포함한다.(Embodiment 6-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6-1, the teaching means 300 includes an education state sensor built into the educational terminal 310; includes

본 발명의 교습수단(300)은 통상의 교육용단말기(310)에 해당되며, 컴퓨터, 태블릿PC, 휴대폰을 대상으로 한다. 이는 수강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용이하게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aching mean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normal educational terminal 310, and targets computers, tablet PCs, and mobile phones. This enables students to easily take lectures at a desired location.

교육용단말기(310)의 내부에는 교육상태 감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교육상태 감시 프로그램은 허용하지 않은 타 프로그램의 동시 구동을 제한하며, 특히 카메라에 의해 교육자의 교육상태를 감시한다.An educational state monitoring program is embedded in the educational terminal 310 . The educational status monitoring program restricts simultaneous operation of other disallowed programs, and in particular, monitors the educational status of educators by means of a camera.

카메라는 수강자의 시선 및 수강자의 이석여부, 수강자의 신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수강자의 학습 상태를 분석한다.The camera measures the student's gaze,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sitting, and the student's body movement in real time, and analyzes the student's learning status.

분석된 학습 상태는 실시간으로 서버(400)에 전송되며, 서버(400)에 전송된 학습 상태 정보는 강의자에게도 동시에 전송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육용단말기(310)는 교육 상태 감지부가 내장되며, 이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analyzed learning stat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in real time, and the learning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lecturer. In order to implement this, the educational terminal 310 has a built-in education state detector, which is made in the form of a program.

(실시예 6-3)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단말기(3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프레임(311); 상기 프레임(311)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절곡부를 형성하는 귀 거치대(312); 상기 프레임(311) 일면에 설치되어, 수강자의 눈을 촬영하는 제1 교육용 카메라(313); 상기 프레임(311)의 타면에 설치되어, 수강자의 시선을 촬영하는 제2 교육용 카메라(314); 상기 귀 거치대(312)에 설치되어, 음향을 송출하는 스피커(315); 상기 프레임(311)에 설치되어, 투명판에 영상을 투시하는 디스플레이(316); 상기 프레임(311) 또는 귀 거치대(31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제2 마이크(317); 상기 프레임(311) 또는 귀 거치대(312)에 설치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318); 를 포함한다.(Embodiment 6-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and in Embodiment 6-1, the educational terminal 310 includes a frame 31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ser's face; Ear holders 312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311 and forming a bent portion; A first educational camera 313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311 to photograph the eyes of the student; a second educational camera 314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311 to capture the student's gaze; a speaker 315 installed on the ear holder 312 to transmit sound; a display 316 installed on the frame 311 and projecting an image on a transparent plate; a second microphone 317 installed on the frame 311 or the ear holder 312 to recognize a user's voice; An antenna 318 installed on the frame 311 or the ear holder 312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clude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되는 교육용단말기(310)를 구체화한다.The present invention embodies the educational terminal 310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구체적으로 프레임(311)과 귀 거치대(312)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이는 통상의 안경과 유사한 형태를 취한다. 프레임(311)에는 코 받침대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frame 311 and an ear holder 312, which takes a similar shape to a normal pair of glasses. A nose support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frame 311 .

프레임(311)은 양면에 제1 교육용 카메라(313) 및 제2 교육용 카메라(314)를 위치시키며, 제1 교육용 카메라(313)에 의해 수강자의 눈을 촬영하고, 제2 교육용 카메라(314)에 의해 수강자의 시선을 촬영한다. 즉, 복수의 교육용 카메라(313,314)는 수강자의 눈동자 움직임과 시선을 촬영하여, 학습의 집중도를 판단한다.A first educational camera 313 and a second educational camera 314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311, the eyes of the student are photographed by the first educational camera 313, and the second educational camera 314 Take a picture of the student's gaze by That is, the plurality of educational cameras 313 and 314 capture the movement of the students' pupils and their gaze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learning.

귀 거치대(312)는 스피커(315)를 인접 설치하여, 강의자의 강의 내용을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The ear holder 31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peaker 315, so that the lecturer can audibly perceiv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프레임(311) 또는 귀 거치대(312)에 설치되는 제2 마이크(317)에 의해, 수강자의 음성을 송출할 수 있으며, 프레임(311)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316)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6)는 배경이 투명한 형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icrophone 317 installed on the frame 311 or the ear holder 312 can transmit the student's voice, and a separate display 316 can be mounted on the frame 311. The display 316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head-up display structure having a transparent background.

귀 거치대(312)는 뇌파 측정 센서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수강자의 뇌파를 측정하며, 이는 수강자의 학습 집중도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e ear holder 312 additionally mounts an EEG measurement sensor to measure the student's brain wave, which can be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the student's learning concentration.

(실시예 7-1) 본 발명은 원격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장비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기 강습수단(200)을 설치하는 임시설치단계(S10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하울링을 측정하는 제1 측정단계(S210); 상기 제1 측정단계(S210) 후, 하울링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강습수단(200)을 보정하는 제1 보정단계(S22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강의자의 그림자를 판단하는 제2 측정단계(S310); 상기 제2 측정단계(S310) 후, 조명의 조도 및 조명의 위치를 변경하여 그림자를 제거하는 제2 보정단계(S32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반사조명을 측정하는 제3 측정단계(S410); 상기 제3 측정단계(S410) 후, 프로그램에 의해 반사조명을 제거하는 제3 보정 단계(S42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librating equipment for conducting education remotely, including a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of installing the teaching means 200 presented above;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first measuring step (S210) of measuring howling; After the first measuring step (S210), a first correction step (S220) of correcting the teaching means (200) by measuring the amount of howling;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second measurement step (S310) of determining the shadow of the lecturer; After the second measuring step (S310), a second correction step (S320) of removing shadows by changing the illuminance and position of lighting;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third measuring step (S410) of measuring reflected light; After the third measurement step (S410), a third correction step (S420) of removing reflected light by a program; includes

본 발명은 원격 교육 장비의 보정 방법에 대한 방법 발명을 제시한다. 원격 교육을 위하여,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은 필수 구성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됨에 따른 문제가 존재하며, 하울링 현상, 그림자 현상 및 반사광이 이들의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비 설정에 앞서 보정 단계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method invention for a calibration method of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For remote education, cameras, microphones, speakers, etc. are used as essential components. However, there are problems due to the complex use of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howling phenomena, shadow phenomena, and reflected ligh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s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alibration step must be necessarily accompanied prior to equipment setting.

따라서, 장비를 임시 설치한 이후, 각각의 단계에 따라 하울링, 그림자, 반사광의 정도를 계측하며, 최적의 강의 조건으로 환경을 보정한 이후에 강습이 실시되어야 한다.Therefore, after the equipment is temporarily installed, the degree of howling, shadow, and reflected light is measured according to each step, and the lecture should be conducted after correcting the environment to the optimal lecture condition.

100 : 케이스 110 : 커버
130 : 손잡이 150 : 힌지
160 : 내충격재 161 : 단위블럭
200 : 강습 수단 210 : 제1 카메라
220 : 제1 마이크 230 : 램프
241 : 제1 거치대 242 : 제2 거치대
243 : 제3 거치대
300 : 교습수단 310 : 교육용단말기
311 : 프레임 312 : 귀 거치대
313 : 제1 교육용 카메라 314 : 제2 교육용 카메라
315 : 스피커 316 : 디스플레이
317 : 제2 마이크 318 : 안테나
400 : 서버 410 : 저장장치
100: case 110: cover
130: handle 150: hinge
160: impact resistant material 161: unit block
200: assault means 210: first camera
220: first microphone 230: lamp
241: first cradle 242: second cradle
243: third cradle
300: teaching means 310: educational terminal
311: frame 312: ear holder
313: first educational camera 314: second educational camera
315: speaker 316: display
317: second microphone 318: antenna
400: server 410: storage device

Claims (7)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며, 강의자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송신하며, 수강자의 교육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강습 수단(200);
복수의 수강자가 상기 강습수단(200)의 정보를 수신하며, 수강자의 학습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교습수단(300);을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In mobile remote education equipment,
A case 100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Lecture means 200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case 100,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information of the lecturer,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student;
A mobile distance education device comprising a teaching means (30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means (200) for a plurality of students and transmitting lear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tud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 및 교습수단(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에 형성되며, 교육자료 및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저장장치(410);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A server 4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teaching means 200 and the teaching means 300 by wire or wirelessly;
Mobile remote education equipment including a storage device 410 formed in the server 400 and storing educational data and operating program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110);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100 includes a cover 11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n internal storag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습수단(200)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10);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의 음향을 녹화하는 제1 마이크(220);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며, 강의자에게 빛을 조사하는 램프(230);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lecture means 200 is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the first camera 210 for taking an image of the lecturer;
A first microphone 220 formed of one or a plurality of microphones for recording a lecturer's sound;
Mobile remote education equipment including; lamps 230 formed of one or a plurality of lamps 230 for irradiating light to a lectur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210), 제1 마이크(220) 및 램프(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위 제어기(500);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The method of claim 4,
Mobile remote education equipment comprising a; unit controller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210, the first microphone 220 and the lamp 2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습수단(300)은 수강자가 휴대하며, 내장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카메라, 내장용 마이크, 내장용 통신장치가 내장되는 교육용단말기(310); 를 포함하는 이동형 원격 교육 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teaching means 300 includes an educational terminal 310 carried by the student and equipped with a built-in display, a built-in camera, a built-in microphone, and a built-in communication device; Mobile remote education equipment including a.
원격 교육 장비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의 강습수단(200)을 설치하는 임시설치단계(S10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하울링을 측정하는 제1 측정단계(S210);
상기 제1 측정단계(S210) 후, 하울링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강습수단(200)을 보정하는 제1 보정단계(S22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강의자의 그림자를 판단하는 제2 측정단계(S310);
상기 제2 측정단계(S310) 후, 조명의 조도 및 조명의 위치를 변경하여 그림자를 제거하는 제2 보정단계(S320);
상기 임시설치단계(S100) 후, 반사조명을 측정하는 제3 측정단계(S410);
상기 제3 측정단계(S410) 후, 프로그램에 의해 반사조명을 제거하는 제3 보정 단계(S420); 를 포함하는 원격 교육 장비 보정 방법.
In the method of calibrating the remote education equipment,
Temporary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teaching means 200 of claim 1 (S100);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first measuring step (S210) of measuring howling;
After the first measuring step (S210), a first correction step (S220) of correcting the teaching means (200) by measuring the amount of howling;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second measurement step (S310) of determining the shadow of the lecturer;
After the second measuring step (S310), a second correction step (S320) of removing shadows by changing the illuminance and position of lighting;
After the temporary installation step (S100), a third measuring step (S410) of measuring reflected light;
After the third measurement step (S410), a third correction step (S420) of removing reflected light by a program;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calibra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210193054A 2021-12-30 2021-12-30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KR202301027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54A KR20230102708A (en) 2021-12-30 2021-12-30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54A KR20230102708A (en) 2021-12-30 2021-12-30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708A true KR20230102708A (en) 2023-07-07

Family

ID=8715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054A KR20230102708A (en) 2021-12-30 2021-12-30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708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890A (en) 2013-01-29 2014-08-06 주식회사 아이톡 Remote education system
KR101443125B1 (en) 2014-02-25 2014-09-26 주성주 Remote medical pratice education system with selective control function
KR101829814B1 (en) 2016-11-29 2018-02-1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metho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KR20210097268A (en) 2020-01-29 2021-08-0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890A (en) 2013-01-29 2014-08-06 주식회사 아이톡 Remote education system
KR101443125B1 (en) 2014-02-25 2014-09-26 주성주 Remote medical pratice education system with selective control function
KR101829814B1 (en) 2016-11-29 2018-02-1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metho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KR20210097268A (en) 2020-01-29 2021-08-0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252928U (en) Interactive fitness system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demonstration
US20140333773A1 (en) Portable audio/ video mask
CN104575137A (en) Split-type scene interaction multimedia intelligent terminal
US20100216107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tance Learning at Multiple Locations Using the Internet
US20100289906A1 (en) Interactive Student Response And Content Sharing System
KR101538660B1 (en) Stereoscopic device
KR101443125B1 (en) Remote medical pratice education system with selective control function
Castillo et al. Production processes for creating educational videos
KR102290339B1 (en) VR type wearable treatment device
KR20180115619A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live video streaming from a welding helmet
US11450233B2 (en) Systems for simulating joining operations using mobile devices
CN104575139B (en) Scene interaction formula multi-medium intelligent terminal and its application
KR20190125597A (en) the lecture system using the iris scanning type head mounted display
CN108389438A (en) A kind of writing on the blackboard acquisition system
KR20230102708A (en) Mobile distance education equipmen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equipment
US20140210689A1 (en) Glasses and media playing function
CN204650604U (en) A kind of interactive recording and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cloud education services platform
CN205883416U (en) Net cast recording system in interactive classroom
CN210324659U (en) Big data interactive teaching practical training platform
Seidel et al. Standardized guidelines–How to collect videotapes
CN113691690A (en) Wireless high definition video collector
KR20130092941A (en) Method and system for e-learn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JP6849228B2 (en) Classroom system
KR102645569B1 (en) Apparatus for cyber education, Cyber education method with cyber education apparatus
Mahling et al. Building an audio/video-feedback system for simulation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