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673A -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673A
KR20230102673A KR1020210193000A KR20210193000A KR20230102673A KR 20230102673 A KR20230102673 A KR 20230102673A KR 1020210193000 A KR1020210193000 A KR 1020210193000A KR 20210193000 A KR20210193000 A KR 20210193000A KR 20230102673 A KR20230102673 A KR 20230102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real world
information
i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210193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673A/ko
Publication of KR2023010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체불가토큰으로 보호되고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이 메타버스상의 가상현실에서 실시간 구현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NCHRONIZED SYSTEM AND METHOD BETWEEN REAL WORLD AND METAVERSE}
본 발명은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체불가토큰으로 보호되고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이 메타버스상의 가상현실에서 실시간 구현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으로, 디지털 자산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기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한 응용 프로그램인 토큰(Token) 형태로 디지털 자산을 관리한다. 디지털 자산을 토큰화하여 관리하면, 불변성, 빠른 접근성 및 높은 유동성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된다.
토큰은 대체가능(Fungible) 토큰과 대체불가능(Non-Fungible) 토큰으로 분류된다. 대체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하지만 대체불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대체불가능 토큰(NFT)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유일한 물품 자체나 그 물품의 상태 등을 특정하고 이를 인증하여 가치를 부여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블록체인에서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한편, 미래 사회의 핵심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교육, 경제 및 문화 등의 전반적인 행동을 수행하며, 혼합 현실 환경에서 캐릭터(아바타)나 공간 등을 자유롭게 제작, 판매, 개발 및 공유한다.
혼합 현실 환경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 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상술한 혼합 현실 환경(mixedreality environment)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메타버스는 사용자의 참여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여 캐릭터, 환경 및 공간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분리로 인해 현실 세계의 물품을 가상의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45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0741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0358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6859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체불가토큰으로 보호되고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이 메타버스상의 가상현실에서 실시간 구현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은 대체불가토큰(NFT)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물품정보 추출부와; 상기 물품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는 플랫폼 접속부와;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객체(object)로 변환하는 객체 매핑부; 및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를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하도록 명령하는 메타버스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토큰(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체불가토큰에 포함된 현실세계 물품의 정보를 상기 객체로 변환하여 메타버스상에서 구현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실세계 물품에 대한 정보는 물품 종류, 물품 형상, 물품 위치, 물품 거래, 물품 교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방법은 물품정보 추출부에서 대체불가토큰(NFT)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물품정보 추출단계와; 플랫폼 접속부에서 상기 물품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는 메타버스 접속단계와; 객체 매핑부에서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객체로 변환하는 객체 매핑단계; 및 메타버스 연동부에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를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하도록 명령하는 메타버스 연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해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을 분석하고 이를 가상세계의 메타버스 환경에서 구현되도록 함으로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실시간 연동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연동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특징들을 설명한다.
메타버스(metaverse)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형태이다.
본 발명은 현실세계의 물품이나 그 물품의 상태 등을 메타버스상의 가상세계에 투영시킬 수 있도록 메타버스 엔진 환경에서 동작하며,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이 부여된 물품에 대해서 두 세계간 연동이 이루어진다.
동일한 가치와 기능을 가지고 1:1 교환이 가능한 대체가능(fungible)한 토큰과 다르게, 대체불가능(non-fungible)한 토큰들은 각기 고유성을 지니며,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현실세계의 물품을 가상세계의 메타버스에 반영한다.
즉, 본 발명은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해 부여된 대체불가토큰을 분석하고 이를 가상세계의 메타버스 환경에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실시간 연동되도록 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100)은 실시예로 사용자측의 클라이언트 단말(10), 대체불가토큰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서버(20),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20)와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간 접속을 위한 API(40)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장치나 PC 등을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에 의해 물품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20)에 업로드하여 대체불가토큰을 생성시키고, 메타버스의 가상세계를 제공받는다.
물품 정보는 형상, 재질 및 용도 등으로 특정되는 물품 자체나 물품 종류는 물론, 물품의 현재 위치, 물품 거래 내역 및 물품 교체 정보를 비롯한 물품의 상태와 관련된 여러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품 정보는 대체불가토큰의 생성이 가능한 모든 물품 및 그 물품의 상태를 포함하며, 동시에 메타버스 상의 가상세계에서 구현 가능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블록체인 서버(20)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으로 다수의 블록체인 노드(피어 서버)를 포함하여 디지털 자산의 트랜잭션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버(20)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한 응용 프로그램인 토큰(Token) 형태로 현실 세계의 물품과 관련된 디지털 자산을 관리한다. 따라서, 물품 정보를 대체불가토큰인 'NFT'로 생성하고 관리한다.
API(40,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블록체인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자원을 지정하고 명령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일 예로 블록체인 서버(20)와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 사이에서 이들간 접속이 가능하도록 미들웨어(middlewar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불가토큰이 생성된 물품 정보는 가상세계인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정보에 대해 대체불가토큰이 생성되면 이를 반영하여 메타버스에서 실시간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현실세계에서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상점의 간판을 교체('A 마트' -> 'B 마트')한 경우, 그 상점을 가상세계에서 구현한 메타버스에서도 간판이 교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에서 확인되는 상점의 지리적 위치, 교체 날짜, 상호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현실세계에서 악세서리(팔찌나 시계 등)를 구매하고 이를 장착한 사진을 찍어 대체불가토큰을 생성시킨 경우, 메타버스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의 아바타에도 해당 악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로 변경된다. 이를 위해, 구매 일자, 장착 일자, 물품 종류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점 주인이 판매할 상품을 들여와 이를 현실세계의 진열대에 배치한 경우, 메타버스 상에 구현된 상점에서도 동일/유사한 진열대에 해당 상품에 대응하는 객체가 진열된다. 이를 위해, 진열대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상품 종류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현실세계의 물품이 가상세계인 메타버스에 반영되는 경우와 반대로, 메타버스 상에서의 변동이 현실세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메타버스 상에서의 중고 물품이나 부동산 거래가 블록체인에서 인증 후, 현실세계에서도 계약의 효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은 도 3과 같이물품정보 추출부(110), 플랫폼 접속부(120), 객체 매핑부(130) 및 메타버스 연동부(14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블록체인 서버(20),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 및 API(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정보 추출부(110), 플랫폼 접속부(120), 객체 매핑부(130) 및 메타버스 연동부(140)는 별도의 서버에서 구현되거나, 이들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블록체인 서버(20) 및/또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 내에 구현되어 컴퓨팅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품정보 추출부(110)는 대체불가토큰(NFT)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메타버스 상의 가상현실에 반영시키기 위한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한다.
물품 정보는 블록체인 서버(2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토큰(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 및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정보에는 물품 자체는 물론 물품 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롯한 여러 데이터를 포함한다. 물품 정보는 대체불가토큰의 발급시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내에서 메타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수집된다.
대체불가토큰에서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메타버스 상의 가상세계에서 물품을 구현하기 위한 필요 단계이므로,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진행될 수 있으며, 개인키와 공개키의 제시가 요구될 수 있다.
플랫폼 접속부(120)는 물품과 연관(예: 소유자나 이용자 등)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그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접속한다.
실시예로 플랫폼 접속부(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관리부(31)에 접속한다. 사용자 관리부(31)는 메타버스 서버(30)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로그인을 관리하도록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는 현실세계 물품의 정보를 객체(object)로 변환하여 메타버스상에서 구현하는 것으로, 탑재된 메타버스 엔진(33)에서 가상세계를 구현하며, 이때 현실세계의 물품을 반영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 접속부(1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로그 기록부(11)_로부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의 URL이나 IP 주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접속 승인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등도 제공받을 수 있다.
객체 매핑부(130)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물품 정보를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객체(object)로 변환하는 것으로, 실시예로서 물품정보 추출부(110)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의 객체 데이터베이스(32)를 검색한다.
현실세계의 물품은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객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객체 데이터베이스(32)에 해당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현실세계의 물품과 가상세계의 객체는 서로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반면, 객체 데이터베이스(32)에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다른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 정보와 동일하지 않지만 최대한 유사한 객체를 검색하거나 프로그래밍을 통해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메타버스 연동부(140)는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를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하도록 명령하는 것으로, 실시예로서 메타버스 연동부(140)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구축된 메타버스 엔진(33)에 명령을 전달한다.
명령 전달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요청하는 것과 같이,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아바타(캐릭터)나 공간에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가 부가되거나 변경된 상태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물품 종류, 물품 형상, 물품 위치, 물품 거래, 물품 교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실세계 물품에 대한 정보는 가상세계에서의 객체로서 사용자의 아바타나 그 주변 환경 등에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업데이트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세계는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토큰이 발급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제공된다. 즉,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10)의 3D GUI(12)를 통해 단말기 화면에 제공된다.
물론, 메타버스 환경의 특성상 현실세계와 연동된 메타버스 가상세계는 해당 사용자는 물론 제3자에게도 변경(업데이트)된 상태로 보여지며,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그룹간 가상세계에서의 소통 역시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시예의 하나로서 위에서 설명한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방법은 물품정보 추출단계(S110), 메타버스 접속단계(S120), 객체 매핑단계(S130) 및 메타버스 연동단계(S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정보 추출단계(S110)에서는 물품정보 추출부(110)를 통해 대체불가토큰(NFT)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한다. 즉, 메타버스 상의 가상현실에 반영시키기 위한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한다.
물품 정보는 블록체인 서버(2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토큰(NFT)을 생성 및 관리한다.
물품 정보에는 물품 자체는 물론 물품 상태에 대한 정보를 비롯한 여러 데이터를 포함하며, 대체불가토큰의 발급시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내에서 메타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수집된다.
대체불가토큰에서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메타버스 상의 가상세계에서 물품을 구현하기 위한 필요 단계이므로,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진행될 수 있으며, 개인키와 공개키의 제시가 요구될 수 있다.
다음, 메타버스 접속단계(S120)에서는 플랫폼 접속부(120)를 통해 현실세계의 물품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접속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 접속부(120)는 물품과 연관(예: 소유자나 이용자 등)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그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접속한다.
실시예로 플랫폼 접속부(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관리부(31)에 접속한다. 사용자 관리부(31)는 메타버스 서버(30)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로그인을 관리하도록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 접속부(1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로그 기록부(11)_로부터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의 URL이나 IP 주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접속 승인을 위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 등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 객체 매핑단계(S130)에서는 객체 매핑부(130)를 통해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객체로 변환(S133)한다. 이를 위해 물품정보 추출부(110)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의 객체 데이터베이스(32)를 검색한다.
현실세계의 물품은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객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객체 데이터베이스(32)에 해당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현실세계의 물품과 가상세계의 객체는 서로 서로 일치하므로 객체 매핑(S131)을 완료한다.
반면, 객체 데이터베이스(32)에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가 없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다른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 정보와 동일하지 않지만 최대한 유사한 객체를 검색하거나 프로그래밍을 통해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 제공(S132)할 수 있다.
다음, 메타버스 연동단계(S140)에서는 메타버스 연동부(140)를 통해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를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하도록 명령한다. 실시예로 메타버스 연동부(140)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구축된 메타버스 엔진(33)에 명령을 전달한다.
명령 전달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요청하는 것과 같이,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아바타(캐릭터)나 공간에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가 부가되거나 변경된 상태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물품 종류, 물품 형상, 물품 위치, 물품 거래, 물품 교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현실세계 물품에 대한 정보는 가상세계에서의 객체로서 사용자의 아바타나 그 주변 환경 등에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업데이트된 메타버스 상의 가상세계는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토큰이 발급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제공된다. 즉,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10)의 3D GUI(12)를 통해 단말기 화면에 제공된다.
물론, 메타버스 환경의 특성상 현실세계와 연동된 메타버스 가상세계는 해당 사용자는 물론 제3자에게도 변경(업데이트)된 상태로 보여지며,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그룹간 가상세계에서의 소통 역시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클라이언트 단말
20: 블록체인 서버
30: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40: API
110: 물품정보 추출부
120: 플랫폼 접속부
130: 객체 매핑부
140: 메타버스 연동부

Claims (5)

  1. 대체불가토큰(NFT)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물품정보 추출부(110)와;
    상기 물품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접속하는 플랫폼 접속부(120)와;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객체(object)로 변환하는 객체 매핑부(130); 및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를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하도록 명령하는 메타버스 연동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현실세계의 물품에 대한 대체불가토큰(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 서버(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불가토큰에 포함된 현실세계 물품의 정보를 상기 객체로 변환하여 메타버스상에서 구현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현실세계 물품에 대한 정보는 물품 종류, 물품 형상, 물품 위치, 물품 거래, 물품 교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5. 물품정보 추출부(110)에서 대체불가토큰(NFT)에 포함되어 있는 현실세계의 물품 정보를 추출하는 물품정보 추출단계(S110)와;
    플랫폼 접속부(120)에서 상기 물품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로 로그인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30)에 접속하는 메타버스 접속단계(S120)와;
    객체 매핑부(130)에서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객체로 변환하는 객체 매핑단계(S130); 및
    메타버스 연동부(140)에서 상기 물품에 대응하는 객체를 상기 메타버스 상에서 구현하도록 명령하는 메타버스 연동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방법.
KR1020210193000A 2021-12-30 2021-12-30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2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00A KR20230102673A (ko) 2021-12-30 2021-12-30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00A KR20230102673A (ko) 2021-12-30 2021-12-30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673A true KR20230102673A (ko) 2023-07-07

Family

ID=8715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000A KR20230102673A (ko) 2021-12-30 2021-12-30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67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419A (ko) 2009-07-16 2011-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KR20120003588A (ko) 2010-07-05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버스 연동 기능을 구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8593A (ko)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융합형 메타버스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4571B1 (ko) 2019-11-15 2021-08-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419A (ko) 2009-07-16 2011-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KR20120003588A (ko) 2010-07-05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버스 연동 기능을 구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8593A (ko)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융합형 메타버스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4571B1 (ko) 2019-11-15 2021-08-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US8245241B2 (en) Arrangements for interactivity between a virtual universe and the world wide web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CN102360480B (zh) 一种链接网上支付及记录链接的方法和系统
KR102432524B1 (ko) 메타버스 하이브리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030174178A1 (en) System for presenting differentiated content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20150134547A1 (en) Belongings visualization and record system
KR100932431B1 (ko) 3d 랜더링 기술을 이용한 쇼핑 지원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CN111488615A (zh) 业务数据区块链的跨链实现方法及装置
US9586149B2 (en) Collaborative virtual business objects social sharing in a virtual world
KR20200048170A (ko) 캐릭터 컨텐츠 라이선스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230102673A (ko) 현실세계와 메타버스 연동 시스템 및 방법
JP2023158656A (ja) 暗号デジタル資産管理システム
KR20230102674A (ko) Nfc 태그를 이용한 가상세계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N113313840A (zh) 实时虚拟系统及实时虚拟交互方法
Kleedorfer et al. A linked data based messaging architecture for the web of needs
KR20230114540A (ko) 물품 거래 메타버스 플랫폼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거래 방법
KR102557545B1 (ko) 증강 현실 기반의 구매 물품 리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572970B1 (ko)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이벤트 발생시점을 확인 가능토록 하는 자동로깅방법
KR102621749B1 (ko) 입주 박람회 시스템
WO2023178178A2 (en) Computerized system with asset registry server
US202302468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product certification via non-fungible token
US20230419612A1 (en) Virtual gallery spac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