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500A - 냉장고 및 가전 기기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가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500A
KR20230102500A KR1020210192685A KR20210192685A KR20230102500A KR 20230102500 A KR20230102500 A KR 20230102500A KR 1020210192685 A KR1020210192685 A KR 1020210192685A KR 20210192685 A KR20210192685 A KR 20210192685A KR 20230102500 A KR20230102500 A KR 20230102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door
pattern
plate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도연
정혜선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500A/ko
Publication of KR2023010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를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는 배면 둘레를 따라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가전 기기{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는 실내에 배치되며,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전 기기의 외관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의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는 배치되는 환경, 주위의 가구 또는 다른 가전 기기들과의 조화를 위해서 상기 전면의 외관을 다양하게 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전 기기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특허 8789900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패널이 장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데코 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사용자가 외관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데코 패널 전체를 분리 후 교체하여야 하며, 교체 전의 데코 패널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사용자가 외관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데코 패널 전체를 분리 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국특허 103250018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반사층과 투명 패널이 구비되고, 반사층의 양측단에 색상을 가지는 발광부재가 장착되어 투명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 전면으로 빛이 투과됨으로써, 도어 내부의 구조물들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전면에서 도어 내부의 구조물들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는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배면에는 둘레를 따라 패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를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는 배면 둘레를 따라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 기기는,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배면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패턴부를 형성하여, 프론트 플레이트 후방으로 배치된 구조물들이 도어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은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을 보인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을 보인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9-9' 단면도이다.
도 10은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서 빛이 투과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원격기기를 이용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전 제품들의 색상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라이팅 장치가 오프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5는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1)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2)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101)와 아웃 케이스(102) 사이에는 저장 공간(11, 12)을 단열시키는 본체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11, 12)은 배리어(13)에 의해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 공간(11, 12)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상부 저장공간에 냉장실(11)이 형성되고, 하부 저장공간에는 냉동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저장공간의 분할은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각각의 저장공간은 상기의 설명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저장 공간(11, 12)은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는 상부 저장공간(11)을 개폐하는 한 쌍의 상부 도어(201)와, 하부 저장공간(12)을 개폐하는 한 쌍의 하부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201)와 하부 도어(202)는 각각 개방된 캐비닛(1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상부 도어(201) 또는 하부 도어(202) 중 어느 하나는 힌지 장치(204)에 의해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도어(201) 또는 하부 도어(202) 중 어느 하나는 인출입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공간(11)과 하부 저장공간(12)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는 전면이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전면의 색상을 선택하면, 라이팅 장치는 도어(20)의 전면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으로 밝게 빛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20)를 분리 또는 교체하지 않고도 도어(20) 전면 색상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하여 냉장고의 전체적인 외관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한 도어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 도어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나머지 하부 도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명을 생략한 하부 도어에도 상부 도어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결합되어 도어(2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도어 바디(40)를 포함한다.
도어 바디(40)는 전면을 형성하는 바디 플레이트(41)와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44)는 바디 플레이트(41)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좌우 양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도어 바디(40)는 도어 바디(4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와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45)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캡데코(43)는 사이드 데코(44)의 상단과 바디 플레이트(41)의 상단 및 도어 라이너(4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캡데코(45)는 사이드 데코(44)의 하단과 바디 플레이트(41)의 하단 및 도어 라이너(42)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어 바디(40) 내부 공간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으며, 도어(20)를 통해 저장 공간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어 바디(40)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패널 어셈블리(30)가 수용되는 패널 수용공간(410)이 형성된다. 사이드 데코(44)와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전단은 바디 플레이트(41)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패널 수용공간(41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30)는 패널 수용공간(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 수용공간(410)의 둘레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는, 도어 바디(40)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도어 바디(40)를 전방에서 차폐하여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가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어 패널 또는 외장 패널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는 도어 바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디 플레이트(41)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패널 어셈블리(30)는 로어 캡데코(45)의 하단과, 어퍼 캡데코(43)의 전면 상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널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은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30)는 내부에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될 수 있다. 라이팅 장치(36)에 의해서 도어 전면이 밝게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패널 어셈블리(30)는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31)와, 프론트 플레이트(31)가 빛나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36) 및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3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31)는 도어(2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31)는 라이팅 장치(36)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 플레이트(31)는 투명판, 또는 아웃 플레이트 또는 패널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일례로,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청유리, 백유리, 증착유리와 같은 유리소재 또는 ABS, PMMA, PC등과 같이 빛의 투과가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색상 또는 특정 무늬나 패턴이 인쇄되거나, 이를 인쇄된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자체 색상 또는 무늬를 가질 수 있다. 라이팅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프론트 플레이트(31) 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냉장고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서는 라이팅 장치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냉장고 전면이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유리 재질 또는 빛이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전방에서 도어를 바라봤을 때,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다른 구조물들이 시인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구조물로 도광판(33)을 도어(2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또는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또는 라이팅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등이 있다.
이러한 구조물들이 도어 전방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론트 플레이트(31)에 패턴부(3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37)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배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37)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어(20) 내부에는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도광판(33)이 구비될 수 있다.
도광판(33)은 프론트 플레이트(31) 후방에 배치된다. 도광판(33)은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광판(33)은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33)은,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전면 전체가 균일한 밝기로 빛날 수 있도록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33)은 백 커버(39)에 의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은 상기 백 커버(39)의 중앙에서 돌출되는 커버 돌출부(391)에 의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의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 둘레부(392) 중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과 각각 접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는 도광판(33) 및 프론트 플레이트(31) 사이에 지지부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2)는 프론트 플레이트(31)에 고정 장착되어, 도광판(33)이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2)는, 도광판(33)이 패널 어셈블리(30) 내부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2)는 도광판(33)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2)는 전체가 단일 구성으로 사출 또는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재(32)는 프론트 플레이트(31) 장착되는 전면부(321)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2)는 전면부(321)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부(322)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고정부(3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부와 고정부(324) 사이에 양 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고정되는 후면부(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의 전면부(321) 전면에는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지지부재(32)에 장착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일례로, 전면부(321)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 접착제(323)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지지부재의 전면부(321) 둘레를 따라 실런트(323)가 도포될 수 있다. 또는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배면 둘레를 따라 실런트(323)가 도포될 수 있다.
실런트(323)는 투명하거나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서,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배면 중 실런트(323)가 도포된 부분이 실런트(323)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과 균일하게 빛날 수 있다.
지지부재의 전면부(321) 후면에는 도광판(33)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의 측면부(322)는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단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는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브라켓(34)과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브라켓(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는,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되는 로어 브라켓(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팅 장치(36)는 로어 브라켓(35)에 장착된 상태로 로어 브라켓(35)과 함께 조립되어 도어(20)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라이팅 장치(36)는 일례로 기판(361)과 광원(36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로어 브라켓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로어 브라켓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에는 다수의 광원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은 일례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RGB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30)는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39)는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과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39)의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 둘레부(392) 중 좌우 양측단은 상기 지지부재(32)의 측면부(322)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둘레부(392) 중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과 각각 접할 수 있다.
백 커버(39) 일측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 연결홀(398)이 형성되어 라이팅 장치(36)에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플레이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을 보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을 보인 배면도이다.
프론트 플레이트(31)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므로, 전방에서 도어를 바라봤을 때, 도어 내부의 구조물들이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지지부재(32)를 고정 장착하기 위해서, 프론트 플레이트(31) 또는 지지부재(32)의 둘레를 따라 접착제(323)를 도포하여, 이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라이팅 장치가 온 된 상태에서 프론트 플레이트(31) 방향으로 빛이 투과되면서, 전방에서 도어(20)를 바라봤을 때, 접착제(323)가 도포된 부분에 이질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플레이트의 배면에 패턴부(37)를 형성할 수 있다.
패턴부(37)는 일례로, 프론트 플레이트 배면(3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37) 프론트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그라데이션(gradation) 패턴이 형성된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밝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37)를 이루는 그라데이션 패턴은 색상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선(line)이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단부에 위치한 패턴부(37) 일단(371)의 선 색상이 가장 어두운 색상을 가지며,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선의 색상이 점차 밝아질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플레이트(31)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패턴부(37) 타단(372)의 선 색상이 가장 밝을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명도가 낮게 형성되고,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명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부(37)의 경계선이 도어 전방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의 명도 값이 0%인 검정색을 가진다면, 프론트 플레이트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명도 값이 100%인 흰색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 또는 단계적으로 명도 값이 증가될 수 있다. 즉,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패턴부(37)가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311)의 상단부(31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부(37)는 상단의 색상이 가장 낮은 명도 값을 가지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색상의 명도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패턴부(37)의 하단의 색상은 상단 색상의 명도 값보다는 높은 명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프론트 플레이트(31) 상단부에 형성된 패턴부(37)는 상단이 가장 어두운 색을 갖는다. 그리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밝아지며, 패턴부(37)의 하단에서는 상단에서 보다 밝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패턴부(37)가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의 양 측단부(313)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부(37)는 양 측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색상이 가지는 명도값이 커질 수 있다. 패턴부(37)는 양 측단부의 색상의 명도 값이 내측단의 색상의 명도 값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 양 측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색상이 점차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의 하단부(314)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부(37)는 하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색상이 가지는 명도값이 커질 수 있다. 패턴부(37)는 하단에서의 색상의 명도 값이 상단의 색상의 명도 값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 하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색상이 점차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부(37)가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적용되는 폭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지지부재(32)에 접착제(323)가 도포된 경우, 접착제(323)가 도포된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부(37)를 이루는 그라데이션 패턴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37)를 이루는 그라데이션 패턴은 색상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점(Dot)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의 크기 또는 개수가 줄어들도록 배열되어 그라데이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패턴부(37)를 이루는 점의 색상을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일례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가장 점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점의 개수를 최대로 하여, 프론트 플레이트의 내측보다 단부가 보다 어둡게 보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그라데이션 패턴은, 프론트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밝아지도록 구현 가능하면 패턴의 형상 및 배열 방식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직접 인쇄되거나, 패턴부(37)가 형성된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패턴 인쇄방식으로는, 패드(Pad) 인쇄방식 또는 실크(Silk) 인쇄방식과 같은 일반적인 인쇄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패턴부(37)는 1도 인쇄 또는 2도 인쇄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의 가장자리부에 1도 인쇄로 그라데이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2도 인쇄로 그라데이션 페턴을 구현하는 것이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서, 도어 후방의 다른 구조물들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1도 인쇄 시에는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 전체를 설정된 색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는 1도 인쇄 시, 프론트 플레이트(31)에서 패턴부(37)가 형성되는 영역에 설정된 색상으로 인쇄할 수도 있다. 또는, 1도 인쇄시, 패턴부(37)가 형성되는 영역에 그라데이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도 인쇄 시에는 패턴부(37)가 형성되는 영역에 그라데이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부(37)가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에 형성되어, 도어 내부의 구조물들이 도어 전방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37)가 그라데이션 패턴으로 형성됨에 따라, 패턴부(37)의 경계선이 도어 전방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도 4의 9-9'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서 빛이 투과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프론트 플레이트(31)와, 지지부재(32)는 접착제(323)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2) 양 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394)에 의해서, 도광판(33)의 후면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라이팅 장치(36)는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방에 장착될 수 있다. 라이팅 장치(36)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은 도광판(33)에 의해 확산되어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투과하여 도어 전방에서 밝게 빛날 수 있다.
라이팅 장치(36)가 온된 상태에서 빛이 프론트 플레이트(31)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접착제(323)가 도포된 부분이 도어 전방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플레이트(31)의 패턴부(37)가 접착제(323)가 도포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접착제(323)가 도포된 부분을 가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턴부(37)는 프론트 플레이트(31)의 외측단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밝은 색상을 가지거나, 투명해지도록 그라데이션 페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패턴부(37)의 라인이 도어 전방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패턴부(37)는 도어 내부의 다른 구조물들이 도어 전방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에 적용된 패턴부(37)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30)는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31)와, 도광판(33) 및 프론트 플레이트(31)와 도광판(33) 사이를 이격시키고, 도광판(3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60)를 포함한다.
패널 어셈블리(30)는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60)는, 프론트 플레이트(31)의 배면과 접하는 전면부(601)와, 도광판(33) 양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측면부(602)를 포함한다. 또한, 도광판(33)의 후방에서 도광판(33)을 지지하는 후면부(6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의 전면부(601)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31) 양 측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의 전면부(601)는 프론트 플레이트(31) 양 측단에서 연장되어 설정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플레이트(31)는 양 측단에서 일부분이 고정부재의 전면부(601)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플레이트(31)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에는 앞서 설명한 패턴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부(37)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전면부(60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어 전방에서 제1 고정부재의 전면부(601)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30)는 패널 어셈블리(30)의 둘레를 감싸는 아웃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웃 플레이트(50)는 프론트 플레이트(31) 전면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웃 플레이트(50)는 프론트 플레이트(31) 전면 일부와 접하는 전면부(381)와, 전면부(381)에서 후방으로 절곡 연장된 측면부(382) 및 백 커버(39)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된 후면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 플레이트(50)는 패널 어셈블리(30)가 외부 충격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부(501)와 프론트 플레이트(31)가 접하는 영역이 최소로 형성되어, 아웃 플레이트(50)가 도어 전방에서 최소한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부(501)의 좌우 방향의 너비가 최소로 형성되어 제1 고정부재의 전면부(381)의 좌우 방향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부(37)에 의해 제1 고정부재의 전면부(381)가 도어 전방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어셈블리(30)는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31)와, 도광판(33) 및 프론트 플레이트(31)와 도광판 사이를 이격시키고, 도광판(3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61)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재(61)는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전면부(611)와, 전면부(611)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측면부(612) 및 도광판(33) 후면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후면부(613)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재의 전면부(611)와 측면부(612)로 이루어진 공간에 도광판(33)의 양 측면이 삽입되어 도광판(33)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의 측면부(612)는 도광판(33)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광판(33) 양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부(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61)는 전면부(611)의 좌우 폭의 길이보다, 후면부(613)의 좌우 폭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에는 앞서 설명한 패턴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부(37)는 제2 고정부재의 전면부(6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어 전방에서 제2 고정부재의 전면부(611)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재의 측면부(612)에 위치한 고정부(614)가 패턴부(37)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써, 빛의 투과 등으로 인해 고정부(614)가 전방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어셈블리(30)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39)는 제2 고정부재의 후면부(613)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백 커버(39)는 도광판(33) 후면부 일부와 접하도록 일부면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원격기기를 이용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전 제품들의 색상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에 의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가전 기기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외관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1), 에어컨(5), 식기 세척기(6), 의류 관리기(7), 세탁기(8) 또는 조리기기(9)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어 전면의 외관 색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전 기기는, 사용자가 상기 원격 기기(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원격 기기는 메뉴 화면(2b)를 먼저 출력하게 되며, 상기 메뉴 화면(2b)을 통해 패널 색상 변경 메뉴(2b1)를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패널(31)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라이팅 장치는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라이팅 장치가 오프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에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20)의 전면은 빛나지 않게 된다.
이때, 도어(20)의 전면 색상은 패널 어셈블리(30)가 가지는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패널 어셈블리(30)에 형성된 질감과 패턴이 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도어 내부의 구성들이 패널 어셈블리(30)로 투시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에 형성된 패턴부(37)에 의해서 도어 내부의 구성들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장치(36)가 온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으로 빛나게 된다.
일례로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20)의 전면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제어부는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하여 도어(20)의 전면이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라이팅 장치(36)의 제어에 따라 상부 도어(201)와 하부 도어(202) 각각 동일한 색상으로 빛날 수 있으며, 또는 상부 도어(201)와 하부 도어(202) 각각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또한, 라이팅 장치(36)가 온된 상태에서, 프론트 플레이트(31) 배면에 형성된 패턴부(37)에 의해서 도어 내부의 구성들이 외부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3)

  1.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를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는
    배면 둘레를 따라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이 형성된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전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일면의 테두리를 따라 도포된 가전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최단부와 가장 인접한 일단이 가지는 색상은 명도가 가장 낮은 값을 가지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중심과 가장 인접한 타단이 가지는 색상은 명도가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가전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최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색상이 가지는 명도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가전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최단부에서 가장 어두운 색상을 가지고,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색상이 점차 밝아지는 가전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이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도트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배열되는 가전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복수개의 도트 형상이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트의 개수가 감소되도록 배열되는 가전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0 보다 큰 명도를 갖는 가전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배면에 1도 또는 2도 인쇄로 형성되는 가전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배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측단에서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부와,
    후면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지지부재 전면부가 형성되는 영역 내에 형성되는 가전 기기.
  13.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배면에는 둘레를 따라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패턴이 형성된 가전 기기.
KR1020210192685A 2021-12-30 2021-12-30 냉장고 및 가전 기기 KR20230102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85A KR20230102500A (ko) 2021-12-30 2021-12-30 냉장고 및 가전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85A KR20230102500A (ko) 2021-12-30 2021-12-30 냉장고 및 가전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500A true KR20230102500A (ko) 2023-07-07

Family

ID=8715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685A KR20230102500A (ko) 2021-12-30 2021-12-30 냉장고 및 가전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5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292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US20230243580A1 (en) Home appliance
EP4310424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20230152030A1 (en) Refrigerator
KR20230102500A (ko) 냉장고 및 가전 기기
CN111664647B (zh)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及冰箱的抽屉的组装方法
KR20230174138A (ko) 냉장고 및 가전 기기
KR20230075701A (ko) 가전 기기
KR102596929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71625A (ko) 가전 기기
KR20230173566A (ko) 냉장고
KR102640325B1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20230011148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CN111076489B (zh)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抽屉及冰箱
KR20230117498A (ko) 가전 기기
CN111664646B (zh)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抽屉及冰箱
US20230015832A1 (en) Panel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therewith
KR20230168938A (ko) 냉장고
US20230014764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EP4179950A1 (en) Home appliance
EP4357707A1 (en) Refrigerator
KR20230011154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71577A (ko) 가전 기기
KR20220030124A (ko) 냉장고
KR20230151767A (ko) 가전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