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395A -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 Google Patents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395A
KR20230102395A KR1020210192486A KR20210192486A KR20230102395A KR 20230102395 A KR20230102395 A KR 20230102395A KR 1020210192486 A KR1020210192486 A KR 1020210192486A KR 20210192486 A KR20210192486 A KR 20210192486A KR 20230102395 A KR20230102395 A KR 2023010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er
cellulose
cigarette
nano
smok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민
이동현
최익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19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395A/ko
Priority to JP2023519118A priority patent/JP2024506770A/ja
Priority to EP22893974.0A priority patent/EP4233575A1/en
Priority to PCT/KR2022/019007 priority patent/WO2023128319A1/ko
Priority to CN202280006812.XA priority patent/CN116685629A/zh
Priority to TW111150470A priority patent/TW202333587A/zh
Publication of KR2023010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2Oxycellulose; Hydrocellulose; Cellulosehydrate, e.g. microcrystalline cellulose
    • C08B15/04Carboxycellulose, e.g. prepared by oxidation with nitroge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08L1/04Oxycellulose; Hydrocellulose, e.g. microcrystalline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0Bleaching ;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18Highly hydrated, swollen or fibrilla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20Chemically or biochemically modified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7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및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종에 사용되는 종이 궐련지의 지취 발생 및 찌는 냄새를 최소화하며, 흡연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저감시키고 흡연 충족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A cigarette wrapper using nano cellulose film}
본 발명은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쌍떡잎 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을 말하지만, 최근에는 담배의 잎을 궐련지로 싸고 일측에 필터부가 구성되어 흡연을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을 통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담배는 전세계적으로 수천 종에 이르며, 다양한 모양이나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궐련은 담배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궐련은 종이 궐련지(래퍼)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이 궐련지는 셀룰로오스를 제외한 리그닌, 헤미 셀룰로오스 등 여러 성분들이 혼재되어 있다.
전통형 궐련 및/또는 전자 담배에서 사용되는 종이 궐련지는 그 소재의 특수성 및 셀룰로오스 외 다른 여러 성분들(특히, 리그닌, 헤미 셀룰로오스 등)이 혼재됨에 따라, 흡연시 '지취'라 불리는 불쾌취가 발생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불쾌한 인식을 주게 되며, 전자 담배에 사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담배 스틱) 또한, 가열 과정에서 그을음이 생길 뿐만 아니라 '찌는 냄새'가 발생되어, 지취와 함께 소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 궐련지의 제작 과정 중 목재 펄프의 표백 과정에서 상기 성분들을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한 셀룰로오스만을 얻는 것은 어려우며, 또한 셀룰로오스는 결정 구조와 비정질 구조가 혼재된 상태로 존재하여, 결정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다른 고분자 필름 대비 낮은 인장강도를 갖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종이 궐련지에 의해 발생하는 지취를 낮추어, 흡연자의 불쾌감을 낮추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기존 기술의 문제점 및/또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를 제공한다.
일 측에 따르면, 담배 매질부, 필터부 및 래퍼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목재 펄프를 표백하는 단계;
2) 상기 표백된 목재 펄프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체를 고압으로 충돌시켜 나노 입자화 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나노 입자화된 유체를 도포 및 건조하여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목재 펄프를 표백하는 단계;
b) 상기 표백된 목재 펄프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체를 물리적으로 분산시키는 단계;
c) 황산 또는 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TEMPO)를 처리하여, 나노 입자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 및 건조하여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는 전통형 궐련에 있어서 종이 특유의 지취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담배에 있어서는, 필름의 높은 내열성으로 인해, 가열시 그을음을 방지하여 불쾌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이와 동일한 원재료(목재, 초목 등)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성분 또한 종이와 동일한 셀룰로오스로서 생분해성을 가지므로, 친환경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셀룰로오스의 나노 입자화를 통한, 강한 인장 강도 및 높은 내열성 등의 새로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전통형 궐련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한 래퍼를 사용하여, 기존의 궐련지를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기존 전자 담배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담배 스틱)의 최종 외피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한 래퍼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 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 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 물질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류' 또는 '상류 방향' 은 흡연 물품을 흡연하는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 물품을 흡연하는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흡연 물품에 있어서, 각초부(003)는 필터부(002)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직접적 연소가 아닌 전기에너지로 간접 가열하는 비연소식 담배 물품으로서, 비연소식 담배 물품에는 가열식과 비가열식 담배 물품이 존재하며, 가열식 담배 물품의 경우, 전기에너지를 통해 가열된 주위의 공기를 빨아들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에어로졸이 사용자에게 흡입된 후 방출되는 방식에 의해 흡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품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기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래퍼에 포함되는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은, 높은 셀룰로오스 함량과 비정질 부분이 없이 거의 순수한 셀룰로오스 결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종이와 같은 셀룰로오스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결정 구조간 강한 수소결합으로 인해 강한 인장 강도 및 높은 내열성을 나타낸다.
또한, 나노 셀룰로오스는 최대 90% 가 넘는 순수한 결정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로 만들어진 필름이 기존의 궐련지를 대체하는 경우, 지취의 발생원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지취로 발생하는 불쾌취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담배로 사용되는 경우 나노 입자간 강한 결합과 결정 구조로 인해 열에 대한 내열성이 더 강하며, 기존의 종이보다 더 강한 열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므로, 소재의 탄화 현상을 막고, 찌는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래퍼를 구성하는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은 5 내지 15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이 상술한 수치 범위를 가짐으로써, 흡연 물품의 형태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담배 매질부(각초부)의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담배 래퍼가 도 2 에서와 같이, 흡연 물품의 전체를 감싸는 경우에는, 보습제 등의 액상 성분들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중 하나 이상의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나노결정이 각각 단독으로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쓰이는 경우, 각각의 결정화도는 80%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결정화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기존 목재 펄프 등의 상태에서 나노 셀룰로오스화로 잘 진행되지 않아, 셀룰로오스의 나노 입자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높은 인장강도, 나노 입자간의 강한 결합이나, 정렬성 등과 같은 나노 셀룰로오스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이 포함되는 담배 래퍼는 별도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충전제 및 조연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백색도나 불투명도를 증진시키고, 기공도를 조절하며, 촉감과 인쇄적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지취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상기 충전제의 일 예로서는, 탄산칼슘(CaCO3)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연제는 연소를 촉진하거나 연소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예로서, Na-시트레이트 또는 K-시트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충전제 및 조연제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궐련의 끽미감, 연소성, 소화성, 및 궐련의 제조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매질부, 필터부 및 래퍼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담배 매질부는 통상적으로 잎담배와 같이 니코틴을 포함하는 담배 물질을 포함하며, 바인더나 기타 첨가제, 향미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담배 매질부에 포함되는 담배 매질은 담배 물질 및 부형제 등을 포함하는 과립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배 물질은 에어로졸 생성하는 물질로서,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담배 처리 중 발생된 담배 분진 및/또는 담배 잎의 엽편 스트립일 수 있다. 담배 잎은 황색종, 버어리종, 오리엔트 종, 시가엽 및 토스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향을 담지한 캡슐을 포함하거나,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의 래퍼는 담배 매질부 래퍼, 필터부 래퍼, 티핑 래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통형 궐련 및 전자 담배의 흡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취나 찌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래퍼는 담배 매질부 래퍼 또는 흡연 물품 전체를 감싸는 래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은 전통형 궐련 또는 전자 담배의 스틱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연소형 또는 비연소 가열식 궐련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담배 래퍼는, 하기 1) 내지 3) 단계의 물리적 방법, 또는 하기 a) 내지 d) 단계의 화학적 방법을 포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1) 목재 펄프를 표백하는 단계;
2) 상기 표백된 목재 펄프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체를 고압으로 충돌시켜 나노 입자화 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나노 입자화된 유체를 도포 및 건조하여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얻는 단계;
a) 목재 펄프를 표백하는 단계;
b) 상기 표백된 목재 펄프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체를 물리적으로 분산시키는 단계;
c) 황산 또는 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TEMPO)를 처리하여, 나노 입자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 및 건조하여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얻는 단계;
일반적으로, 벌크한 셀룰로오스 덩어리가 주를 이루는 목재 펄프의 경우 표백 과정을 거침으로써, 탈색과 함께 함유되어 있는 리그닌, 만노오스, 자일로스 등 헤미 셀룰로오스와 같이 혼재되어 있는 성분들이 일부 저감되나, 이들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나노 셀룰로오스의 경우 상기 단계 1) 내지 3) 또는 단계 a) 내지 d)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표백 뿐만 아니라 나노 입자화를 시키는 과정에서 순수한 셀룰로오스 결정을 제외한 비정질 셀룰로오스 부분, 리그닌, 헤미 셀룰로오스 등 다른 혼재된 성분들이 대부분 제거된다. 이처럼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지니는 것은 종이 궐련지와 변함이 없으나, 다른 혼재된 성분들이 제거된 나노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진 필름은 인장 강도와 생분해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b) 및 c)를 진행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의 크기를 나노 입자와 같은 작은 크기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분쇄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3) 또는 단계 d)에 있어서의 나노 셀룰로오스는 일반적인 고분자 필름 제조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고분자 필름 제조 방식의 예로서는, 드랍 캐스팅(drop casting), 롤 코팅(roll coating), 나이프 코팅 및 바(bar)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나열된 예들은 대표적인 예일 뿐, 소재 분산액을 넓은 면적에 얇게 도포한 후 건조 과정을 거쳐 나노 입자간 결합을 형성하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분산액은 수용성으로 제조 가능하기에 다른 유기 용매가 사용되는 석유계 고분자와 달리 작업시 안정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지닐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은 기존 궐련지 제조에 사용되는 폭과 길이로 재단된 roll이 제조된다면 궐련 및 전자 담배 흡연 물품 제조 공정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001 :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
002, 004, 005 : 필터부
003 : 담배 매질부(각초부)

Claims (13)

  1.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중 하나 이상의 나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셀룰로오스 나노결정의 결정화도는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래퍼는, 충전제(Mineral filler) 및 조연제(Burning Chemica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이고, 상기 조연제는 Na-시트레이트 또는 K-시트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
  7. 담배 매질부, 필터부 및 래퍼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래퍼는 담배 매질부 래퍼 또는 흡연 물품 전체를 감싸는 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보습제 또는 향을 담지한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연소형 궐련 또는 비연소 가열식 궐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물품.
  11.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목재 펄프를 표백하는 단계;
    2) 상기 표백된 목재 펄프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체를 고압으로 충돌시켜 나노 입자화 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나노 입자화된 유체를 도포 및 건조하여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
  12.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목재 펄프를 표백하는 단계;
    b) 상기 표백된 목재 펄프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유체를 물리적으로 분산시키는 단계;
    c) 황산 또는 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TEMPO)를 처리하여, 나노 입자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나노 입자 분산액을 도포 및 건조하여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드랍 캐스팅(drop casting), 롤 코팅(roll coating), 나이프 코팅 및 바(bar)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래퍼의 제조 방법.
KR1020210192486A 2021-12-30 2021-12-30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KR20230102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86A KR20230102395A (ko) 2021-12-30 2021-12-30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JP2023519118A JP2024506770A (ja) 2021-12-30 2022-11-28 ナノセルロースフィルムを活用したタバコラッパー
EP22893974.0A EP4233575A1 (en) 2021-12-30 2022-11-28 Cigarette wrapper using nano-cellulose film
PCT/KR2022/019007 WO2023128319A1 (ko) 2021-12-30 2022-11-28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CN202280006812.XA CN116685629A (zh) 2021-12-30 2022-11-28 使用纳米纤维素膜的卷烟包装纸
TW111150470A TW202333587A (zh) 2021-12-30 2022-12-28 使用奈米纖維素膜的捲煙包裝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86A KR20230102395A (ko) 2021-12-30 2021-12-30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395A true KR20230102395A (ko) 2023-07-07

Family

ID=8699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486A KR20230102395A (ko) 2021-12-30 2021-12-30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33575A1 (ko)
JP (1) JP2024506770A (ko)
KR (1) KR20230102395A (ko)
CN (1) CN116685629A (ko)
TW (1) TW202333587A (ko)
WO (1) WO20231283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189A2 (en) * 2003-06-13 2004-12-23 Philip Morris Products S.A. Cigarette wrapper with catalytic filler and methods of making same
FR2960133B1 (fr) * 2010-05-20 2012-07-20 Pvl Holdings Papier pour un article a fumer presentant des proprietes de reduction du potentiel incendiaire
JP2016106182A (ja) * 2013-03-19 2016-06-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巻紙
WO2018179278A1 (ja) * 2017-03-30 2018-10-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の紙及び喫煙物品
US11324249B2 (en) * 2019-03-06 2022-05-1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nanocellulose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85629A (zh) 2023-09-01
WO2023128319A1 (ko) 2023-07-06
JP2024506770A (ja) 2024-02-15
EP4233575A1 (en) 2023-08-30
EP4233575A8 (en) 2023-12-06
TW202333587A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282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1236034B1 (ko) 향 발현 궐련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류연 감소 담배
KR20230043952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소모품
KR102386078B1 (ko) 클로브 부산물이 함유된 판상엽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JP7474320B2 (ja) 非燃焼加熱式たばこ製品のカートリッジ及び非燃焼加熱式たばこ製品
KR20230102395A (ko) 나노 셀룰로오스 필름을 활용한 담배 래퍼
JP7238245B2 (ja) 穀物ハスクが含有された喫煙物質ラッパーとこれを含む喫煙物品、および前記喫煙物品の製造方法
KR20230051697A (ko) 연소 지연 특성들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이의 용도들
KR20230051695A (ko) 연소 지연 재료 및 이의 용도들
TWI825207B (zh) 吸煙替代品耗材及系統、使用該系統的方法、煙霧形成基材及用於製造煙霧形成基材的方法
TWI838005B (zh) 添加香脂類香料的吸煙材料包裝物以及包含其之吸煙製品
CN111035042B (zh) 含莱赛尔纤维的再造烟叶及加热不燃烧烟草制品
US20220279835A1 (en) High Strength Wrapping Material Containing Extracted Tobacco
KR20230104397A (ko) 폐기성 감귤박을 활용한 슬러리 판상엽 제조
JPH04228059A (ja) シガレット
KR20230168303A (ko) 순면 부직포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JP2023548685A (ja) タバコ抽出物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喫煙物品
KR20230100309A (ko) 발삼계 향이 첨가된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JP2024507241A (ja) エアロゾル送達製品用の包装材料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送達製品
JP2024509189A (ja) 音発生香料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喫煙物品
JP2024514603A (ja) 香持続性が増進された喫煙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035251A (zh) 具有阻燃性能的包装材料及其用途
KR20230142895A (ko) 저극성 용매를 첨가하여 제지식 판상엽을 제조하는 방법
JP2024504401A (ja) タバコ媒質、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物品
JP2023521075A (ja) 非燃焼加熱式スティック用の不燃性ラ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