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045A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045A
KR20230102045A KR1020210191804A KR20210191804A KR20230102045A KR 20230102045 A KR20230102045 A KR 20230102045A KR 1020210191804 A KR1020210191804 A KR 1020210191804A KR 20210191804 A KR20210191804 A KR 20210191804A KR 20230102045 A KR20230102045 A KR 2023010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iter
disposed
reinforcing
display pan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코이치 아베
김영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045A/ko
Priority to US17/972,092 priority patent/US20230209743A1/en
Priority to CN202211569112.XA priority patent/CN116405841A/zh
Priority to EP22212468.7A priority patent/EP4207799A1/en
Publication of KR2023010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19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1Diaphragms comprising cellulose-like materials, e.g. wood, paper, lin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7Diaphragms comprising metall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배면부 및 상기 배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에워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후방 커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배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익사이터, 및 소리를 출력하는 수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소정의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익사이터는 상기 보강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에서 상기 보강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영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의 진동을 통해 표시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 및 이와 다른 방향(독립적인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하여 입체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배면부 및 상기 배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에워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후방 커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배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익사이터, 및 소리를 출력하는 수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소정의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익사이터는 상기 보강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에서 상기 보강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제1 측 엣지에 인접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상기 제1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2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1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면을 바라본 방향에서, 상기 제1 측 엣지는 상기 제2 측 엣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제3 측 엣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상기 제3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4 측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제3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4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4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3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을 향해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면을 바라본 방향에서, 상기 제3 측 엣지 및 상기 제4 측 엣지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배면부는 일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배면부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및 덕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진동된 공기에 의해 진동되고 금속 물질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패시브 진동부 및 상기 패시브 진동부를 둘러싸고 고무를 포함하는 엣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에는 덕트 개구가 정의되고, 상기 덕트 개구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변을 가진 비 정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인 마그네트,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배면부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스틱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이고,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표시패널, 상기 후방 커버, 및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에 의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1 측벽부 및 제1 배면부를 포함하는 제1 후방 커버,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서 제1 서브 공간 및 제2 서브 공간을 포함하는 제2 내부 공간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격벽부들,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측벽부 및 제2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측벽부에는 소정의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2 후방 커버, 상기 제1 서브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메인 익사이터, 상기 메인 익사이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서브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보강 익사이터,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공간과 상기 보강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3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전달부,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수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제1 측 엣지,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2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3 측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측 엣지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3 측 엣지는 각각 상기 표시패널의 양 측부에 위치한다.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보강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에서 상기 메인 익사이터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1 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1 측 엣지에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3 측 엣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3 측 엣지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후방 커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 익사이터와 평면 상에서 중첩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익사이터는 복수 개이고, 상기 메인 익사이터들은 상기 제2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3 측 엣지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메인 익사이터, 제2 메인 익사이터, 및 제3 메인 익사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 개이고, 상기 회로기판들은 상기 제1 메인 익사이터와 중첩하는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3 메인 익사이터와 중첩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공간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서브 공간들은 상기 제1 메인 익사이터가 배치되는 제1 공간, 제2 메인 익사이터가 배치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제3 메인 익사이터가 배치되는 제3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상기 제2 공간, 및 상기 제3 공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익사이터들은 상기 제2 메인 익사이터의 하측에 배치된 제4 메인 익사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공간들은 상기 제4 메인 익사이터를 수용하는 제4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4 공간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4 메인 익사이터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상기 제1 메인 익사이터, 상기 제2 메인 익사이터, 및 상기 제3 메인 익사이터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익사이터, 상기 전달부, 및 상기 보강 개구부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보강 익사이터들은 상기 제2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3 측 엣지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보강 익사이터 및 제2 보강 익사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전달부 및 제2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개구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보강 개구부 및 제2 보강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 및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 각각은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강 개구부 및 상기 제2 보강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1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2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3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 및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들은 각각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 및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들은 각각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 및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커버는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상기 제2 후방 커버의 상기 제2 배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익사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1 진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스틱에 연결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에는 제1 커버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커버 개구부를 정의하는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격벽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에 정렬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1 후방 커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 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3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3 측벽부 및 제3 배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의 상기 제3 측벽부에는 상기 보강 개구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브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서브 보강 개구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기 제3 배면부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제2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스틱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에는 제2 커버 개구부가 정의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격벽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는 상기 제2 커버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달부의 일단 부분은 상기 제2 커버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의 타단 부분은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 커버는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상기 제2 후방 커버의 상기 제2 배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제2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스틱에 연결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및 덕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이고, 서로 연결된 상기 제2 서브 공간 및 상기 제3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후방 커버, 상기 격벽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공간을 정의하는 격벽부, 상기 전달부, 및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에 의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일 측에 수동소자를 배치함으로써, 전자장치는 수동소자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독립적인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피커 장치 없이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IV-IV’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IV-IV’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V-V'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AA'의 영역을 확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EA)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전자장치(EA)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전자장치(EA)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의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자장치(EA)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전자장치(EA)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장치(EA)는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EA)는 표시면(IS)으로부터 제3 방향(DR3), 즉, 전방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는 전자장치(EA)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즉,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는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익사이터(ET), 지지스틱(ST), 및 수동소자(P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무기 발광 표시패널(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및 양자점 표시 패널(quantum-dot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FS) 및 이에 대향되는 제2 면(B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은 도 1에서 설명한 표시면(IS)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은 영상(IM, 도 1 참조)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표시패널(DP)은 제2 면(BS)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이때, 표시면(IS)은 제2 면(BS)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표시패널(DP)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을 포함하면 충분하고, 표시면(IS)의 위치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DP)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표시패널(D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장치(EA)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후방 커버(BC)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커버(BC)는 배면부(BP) 및 측벽부(WP)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과 함께 소정의 내부 공간(P, 도 3a 참조)을 제공한다.
배면부(BP)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배면부(BP)는 표시패널(DP)로부터 후술할 내부 공간(P, 도 3a 참조)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배면부(BP)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배면부(B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DP)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측벽부(WP)는 배면부(BP)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측벽부(WP)는 각각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에서 대향하는 제1 측벽(W1)과 제2 측벽(W2), 각각이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에서 대향하는 제3 측벽(W3)과 제4 측벽(W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W1)은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를 따라 정렬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W2)은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2 측 엣지를 따라 정렬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벽(W3)은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를 따라 정렬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4 측벽(W4)은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4 측 엣지를 따라 정렬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바라본 평면을 기준으로, 제1 측은 상측과 대응되고, 제2 측은 하측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측 엣지 및 제2 측 엣지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바라본 평면을 기준으로, 제3 측은 좌측과 대응될 수 있고, 제4 측은 우측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제3 측 엣지 및 제4 측 엣지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바라본 평면 상에서, 제1 내지 제4 측들이 각각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부(WP)에는 소정의 보강 개구부(OP-R)가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개구부(OP-R)는 측벽부(WP) 중 제1 측벽(W1)을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보강 개구부(OP-R)는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로부터 제1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으로 제1 측벽(W1)을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내부 공간(P)에는 익사이터(ET)와 지지스틱(ST)이 배치될 수 있다.
익사이터(ET)는 표시패널(DP) 및 후방 커버(BC)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P)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익사이터(ET)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소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익사이터(ET)는 진동부(VP) 및 지지부(SP)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VP)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상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진동부(VP)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부(VP)는 영상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의 소리 신호와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진동부(VP)는 표시패널(DP)에 접촉하여 표시패널(DP)을 진동시킴으로써 전자장치(EA)의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이 전방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부(SP)는 지지스틱(ST)에 연결되어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SP)는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해 지지스틱(ST)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수단은 너트 및 스크류 등일 수 있다.
지지스틱(ST)은 내부 공간(P)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스틱(ST)은 익사이터(ET)와 배면부(BP) 사이에 배치되어, 익사이터(ET)와 배면부(BP)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스틱(ST)은 복수로 제공되고, 각각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스틱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지지스틱(ST)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스틱(ST)의 단면은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지지스틱(ST)은 별도의 접착부재에 의해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상에 부착되는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스틱(ST)은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와 일체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수동소자(PE)는 후방 커버(BC)의 측벽부(WP)에 배치될 수 있다. 수동소자(PE)는 후방 커버(BC)의 측벽부(WP)에 정의된 보강 개구부(OP-R)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소자(PE)는 제1 측벽(W1)에 정의된 보강 개구부(OP-R)에 배치될 수 있다.
수동소자(PE)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R, 도 3c 참조) 및 덕트(DT, 도 5a 참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는 수동소자(PE)가 패시브 라디에이터(PR)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수동소자(PE)는 출력되는 소리 중 저음 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를 보강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는 저음역대가 보강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수동소자(PE)는 전자장치(EA)의 내부 공간(P)으로부터 전자장치(EA)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 즉, 보강 개구부(OP-R)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소자(PE)는 전자장치(EA)로부터 상부 방향, 즉, 제2 방향(DR2)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는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익사이터(ET), 지지스틱(ST), 및 패시브 라디에이터(P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익사이터(ET)는 내부 공간(P)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익사이터(ET)는 보강 개구부(OP-R)를 관통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에서, 보강 개구부(OP-R)에 중첩할 수 있다.
익사이터(ET)는 지지부(SP) 및 진동부(VP)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 제2 지지 플레이트(PT2), 댐퍼 고정부(DF), 배선부(L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PT1)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및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PT1)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과 마주하는 하면(LS) 및 이에 대향되며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와 마주하는 상면(U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상면(US)은 지지스틱(ST)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 개구부(OP-M)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PT2)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에 정의된 중앙 개구부(OP-M)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PT2)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중앙 개구부(OP-M)를 정의하는 내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PT2)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PT2)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평면 상에서 원형일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PT2)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단면 상에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2 지지 플레이트(PT2)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 고정부(DF)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하면(L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댐퍼 고정부(DF)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와 일체의 구성일 수 있고,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하면(LS)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일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부(LP)는 배선 고정부(LF) 및 배선들(LN)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 고정부(LF)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상면(U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선 고정부(LF)는 배선들(LN)을 고정할 수 있다. 배선들(LN)은 후술할 코일(CL)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배선들(LN)의 일부는 제1 지지 플레이트(PT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PT2)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VP)는 마그네트(MG), 센터 폴(CP), 보빈 링(BR), 진동판(VPT), 코일(CL), 및 댐퍼(DMP)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VP)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상에 제1 지지 플레이트(PT1)에 정의된 중앙 개구부(OP-M)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MG)는 제2 지지 플레이트(PT2)의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MG)는 제2 지지 플레이트(PT2)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센터 폴(CP)은 제2 지지 플레이트(PT2)의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폴(CP)은 마그네트(MG) 상에 배치되어 마그네트(MG)를 고정시킬 수 있다. 센터 폴(CP)은 마그네트(MG)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모아줄 수 있다.
보빈 링(BR)은 센터 폴(CP) 및 마그네트(MG)의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보빈 링(BR)은 외주면에 코일(CL)이 권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진동판(VPT)은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판(VPT)은 접착 부재(AM)에 의해 표시패널(DP)의 제2 면(BS)에 결합될 수 있다. 진동판(VPT)의 일단은 보빈 링(BR)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판(VPT)은 보빈 링(BR)의 진동을 표시패널(DP)로 전달할 수 있다.
코일(CL)은 보빈 링(BR)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코일(CL)은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CL)에 음향 발생용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CL)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코일(CL), 센터 폴(CP), 마그네트(MG), 및 코일(CL)로 연결되는 폐루프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CL)은 코일(CL)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마그네트(MG)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보빈 링(BR)과 연결된 진동판(VPT)에 전달되어, 표시패널(DP)을 진동시킬 수 있다.
댐퍼(DMP)는 진동판(VPT) 및 제1 지지 플레이트(PT1)의 하면(LS) 사이에 연결되어 보빈 링(BR)의 진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댐퍼(DMP)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주름진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 링(BR)의 진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 링(BR)의 진동을 조절 및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댐퍼(DMP)는 복원력을 통해 보빈 링(BR)의 진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익사이터(ET)는 표시패널(DP)을 직접 진동시킴으로써, 표시패널(DP)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의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와 음향이 발생되는 위치가 일치될 수 있어, 전자장치(EA)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소자(PE)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R)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패시브 진동부(PV) 및 엣지부(EG)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시브 진동부(PV)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평면 상에서 라운드진 엣지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판일 수 있다. 패시브 진동부(PV)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변들 및 단변들 중 서로 인접한 장변 및 단변을 연결하는 엣지들은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패시브 진동부(PV)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시브 진동부(PV)는 종이 및 금속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부(EG)는 패시브 진동부(PV)를 둘러쌀 수 있다. 엣지부(EG)는 제1 지지영역(A), 돌출영역(B), 및 제2 지지영역(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영역(A)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브 진동부(PV)의 하부에 배치되어 패시브 진동부(PV)를 지지할 수 있다. 돌출영역(B)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돌출영역(B)은 패시브 진동부(PV)를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지지영역(C)은 적어도 일부가 보강 개구부(OP-R) 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영역(C)의 끝단 부분은 측벽부(WP)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영역(C)은 보강 개구부(OP-R)를 정의하는 측벽부(WP)의 내측면 일부를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보강 개구부(OP-R) 내에 배치되며, 제2 지지영역(C)에 의해 보강 개구부(OP-R)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표시패널(DP) 및 후방 커버(BC)에 의해 제공된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다만, 제2 지지영역(C)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패시브 라디에이터(PR)가 보강 개구부(OP-R) 내에 배치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엣지부(EG)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패시브 라디에이터(PR)에 있어서 엣지부(EG) 외에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엣지부(EG)는 생략될 수도 있다.
패시브 진동부(PV)가 진동됨에 따라, 엣지부(EG) 또한 진동될 수 있다. 엣지부(EG)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보강 개구부(OP-R)를 관통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에서 익사이터(ET)에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P)은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및 패시브 라디에이터(PR)에 의해 에워싸여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익사이터(ET)에 의해 진동되는 표시패널(DP)에 의해 내부 공간(P) 내의 공기가 진동되고, 진동된 공기가 패시브 진동부(PV)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패시브 진동부(PV)는 진동된 공기에 공명하여 저음역대가 보강된 소리를 전자장치(EA)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별도로 음향 발생용 전류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패시브 진동부(PV)의 질량 및 강성을 달리하여 패시브 진동부(PV)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의 패시브 진동부(PV)는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로부터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예를 들어, 하측 엣지로부터 상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이하, 상부 방향으로 지칭함)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시브 라디에이터(PR)에 의해 전자장치(EA)의 상부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상부 방향으로 출력된 음향은 천장에 반사되어 전자장치(EA)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머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음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는 오버헤드(overhead) 음향을 구현할 수 있고, 보다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장치(EA) 자체에서 오버헤드 음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오버헤드 음향을 구현하는 별도의 스피커 장치를 배치시키지 않더라도, 전자장치(EA)는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EA)의 제2 면(BS) 상에 별도의 스피커를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전자장치(EA)가 적용되는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스피커 장치를 배치시키지 않음으로써, 장소적인 제약이 따르는 공간 내에서도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장치(E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1)는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익사이터(ET), 지지스틱(ST), 및 패시브 라디에이터(P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커버(BC)의 측벽부(WP-A)는, 도 3a 및 도 3b와 달리,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WP-1) 및 제2 부분(WP-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WP-A)의 제1 부분(WP-1)은 제1 내지 제4 측벽들(W1, W2, W3, W4, 도 2 참조) 중 보강 개구부(OP-R)가 정의된 측벽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부(WP-A)의 제1 부분(WP-1)은 제1 측벽(W1, 도 2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부분(WP-1)은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A)의 제1 부분(WP-1)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WP-1)은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패시브 라디에이터(PR)를 지지할 수 있다.
측벽부(WP-A)의 제2 부분(WP-2)은 제1 내지 제4 측벽들(W1, W2, W3, W4) 중 보강 개구부(OP-R)가 정의된 측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들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부(WP-A)의 제2 부분(WP-2)은 제2 내지 제4 측벽들(W2, W3, W4, 도 2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부분(WP-2)은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WP-2)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분(WP-2)은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부분(WP-2)은 제1 부분(WP-1)보다 강성이 낮은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표시패널(DP)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표시패널(DP)의 진동에 의한 전자장치(EA-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는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익사이터(ET), 지지스틱(ST), 및 덕트(D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소자(PE, 도 2 참조)는 덕트(DT)일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덕트(DT)는 내부가 관통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덕트(DT)는 덕트 개구(OP-D)를 정의하는 내부면(IS-D) 및 이에 대향되는 외부면(OS-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개구(OP-D)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덕트 개구(OP-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반경을 갖고,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단반경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 개구(OP-D)는 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개구(OP-DA)는 S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 개구(OP-DA)의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곡선변을 갖는 비 정형 형상이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방향(DR1)에서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덕트(DT-A)를 기준으로, 덕트 개구(OP-DA)가 S자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덕트 개구(OP-D)가 타원 형상인 경우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짐으로써, 덕트(DT-A)는 주파수가 더 낮은 저음역대의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T)는 제1 측벽(W1)에 정의된 보강 개구부(OP-R)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덕트(DT)의 외부면(OS-D)은 보강 개구부(OP-R)를 정의하는 후방 커버(BC)의 내측면을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덕트(DT)는 보강 개구부(OP-R)를 관통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에서 익사이터(ET)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익사이터(ET)에 의해 출력된 진동은 표시패널(DP)과 내부 공간(P)을 순차적으로 거쳐 덕트(DT)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덕트(DT)는 공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대역의 음이 증폭된 공명음을 덕트 개구(OP-D)로 방출하여, 전자장치(EA')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덕트(DT)는 저음역대의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덕트(DT)는 전자장치(EA')의 내부로부터 덕트 개구(OP-D)를 관통하여 전자장치(EA')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는 오버헤드(overhead) 음향을 구현할 수 있고, 보다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헤드 음향을 구현하는 별도의 스피커 장치를 배치시키지 않더라도, 전자장치(EA')는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적인 제약이 따르는 공간 내에서도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장치(E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1)는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익사이터(ET), 지지스틱(ST), 및 덕트(D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커버(BC)의 측벽부(WP-A)는, 도 5a에 도시된 측벽부(WP)와 달리,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WP-1) 및 제2 부분(WP-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WP-1)은 제1 측벽(W1, 도 2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부분(WP-1)은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 커버(BC)의 배면부(BP) 및 측벽부(WP-A)의 제1 부분(WP-1)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부분(WP-2)은 제2 내지 제4 측벽들(W2, W3, W4, 도 2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부분(WP-2)은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WP-2)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분(WP-2)은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부분(WP-2)은 표시패널(DP)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표시패널(DP)의 진동에 의한 전자장치(EA'-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III-II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2)는 표시패널(DP), 후방 커버(BC), 및 수동소자(P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소자(PE)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관통된 개구부를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2)는 제3 방향(DR3) 및 제1 방향(DR1)을 향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a에는 수동소자(PE)의 실시예로 패시브 라디에이터(PR)가 채택된 실시예(EA-2)를 도시하였고, 도 8b에는 덕트(DT)가 채택된 실시예(EA'-2)를 도시하였다.
도 8a를 참조하면, 보강 개구부(OP-R1)는 제4 측벽(W4)에 정의될 수 있다. 보강 개구부(OP-R1)는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로부터 제4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예를 들어, 좌측 엣지로부터 우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DR1)을 따라 제4 측벽(W4)을 관통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제4 측벽(W4)에 형성된 보강 개구부(OP-R1)에 배치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의 엣지부(EG)는 제4 측벽(W4)에 결합되어, 패시브 진동부(PV)를 익사이터(ET)로부터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4 측벽(W4)에 형성된 보강 개구부(OP-R1)에는 덕트(DT)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개구(OP-D)의 관통방향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덕트(DT)의 외부면(OS-D)은 보강 개구부(OP-R1)를 정의하는 제4 측벽(W4)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시브 라디에이터(PR) 또는 덕트(DT)에 의해 전자장치(EA-2, EA'-2)의 측부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측부 방향으로 출력된 음향은 벽에 반사되어 전자장치(EA-2, EA’-2)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측부 방향으로 음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2, EA'-2)는 서라운드(surround) 음향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2, EA'-2)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IV-IV’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IV-IV’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EA-3)는 복수 개의 수동소자들 수동소자들(PE-1, PE-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소자들(PE-1, PE-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수동소자(PE-1) 및 제2 수동소자(P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동소자들(PE-1, PE-2)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관통된 개구부들을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동소자(PE-1)는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하고, 제2 수동소자(PE-2)는 제1 방향(DR1)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10a에는 수동소자들(PE-1, PE-2)의 실시예로 패시브 라디에이터들(PR-1, PR-2)이 채택된 실시예(EA-3)를 도시하였고, 도 10b에는 덕트들(DT-1, DT-2)이 채택된 실시예(EA'-3)를 도시하였다.
도 10a를 참조하면, 후방 커버(BC)의 측벽부(WP)에는 복수 개의 보강 개구부들(OP-R21, OP-R22)이 정의될 수 있다. 보강 개구부들(OP-R21, OP-R22)은 제3 측벽(W3)에 정의된 제1 보강 개구부(OP-R21) 및 제4 측벽(W4)에 정의된 제2 보강 개구부(OP-R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강 개구부들(OP-R21, OP-R22)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제3 및 제4 측벽들(W3, W4)을 관통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들(PR-1, PR-2)은 제1 패시브 라디에이터(PR-1) 및 제2 패시브 라디에이터(P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시브 라디에이터(PR-1)는 제1 보강 개구부(OP-R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시브 라디에이터(PR-1)의 엣지부(EG)는 제3 측벽(W3)에 결합되어, 제1 패시브 라디에이터(PR-1)의 패시브 진동부(PV)를 익사이터(ET)로부터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패시브 라디에이터(PR-2)는 제2 보강 개구부(OP-R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시브 라디에이터(PR-2)의 엣지부(EG)는 제4 측벽(W4)에 결합되어, 제2 패시브 라디에이터(PR-2)의 패시브 진동부(PV)를 익사이터(ET)로부터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3 측벽(W3)에 형성된 제1 보강 개구부(OP-R21)에는 제1 덕트(DT-1)가 배치되고, 제4 측벽(W4)에 형성된 제2 보강 개구부(OP-R22)에는 제2 덕트(DT-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덕트(DT-1)의 덕트 개구(OP-D1) 및 제2 덕트(DT-2)의 덕트 개구(OP-D2)는 제1 방향(DR1)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제1 덕트(DT-1)의 외부면(OS-D, 도 5b 참조)은 제1 보강 개구부(OP-R21)를 정의하는 제3 측벽(W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제2 덕트(DT-2)의 외부면(OS-D, 도 5b 참조)은 제2 보강 개구부(OP-R22)를 정의하는 제4 측벽(W4)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덕트(DT-1) 및 제2 덕트(DT-2)는 서로 제1 방향(DR1)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시브 라디에이터들(PR-1, PR-2) 또는 덕트들(DT-1, DT-2)에 의해 전자장치(EA-3, EA'-3)의 양 측부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양 측부 방향으로 출력된 음향은 벽에 반사되어 전자장치(EA-3, EA’-3)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양 측부 방향으로 음향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3, EA'-3)는 서라운드(surround)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장치(EA-3, EA'-3)는 시청자에 전방 및 양 측부 방향으로 방출된 음향을 전달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EA-3, EA'-3)는 양 방향 대칭으로 음향을 전달함으로써 보다 더 입체적이며 균형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3, EA'-3)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장치(EA-A)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EA-A)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EA-A)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장치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른 전자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A-A)는 텔레비전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장치(EA-A)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 도 1 참조)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전자장치(EA-A)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EA-A)는 전자모듈(EM), 하우징(HS), 및 지지대(SPP)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모듈(EM-A)은 전방으로 영상(IM)을 방출할 수 있다. 동시에, 전자모듈(EM-A)은 전방으로 소리를 방출하며,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EA-A)는 별도의 스피커 장치 없이도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하우징(HS)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HS)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소정의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전자모듈(EM)은 하우징(HS)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하우징(HS)은 전면 프레임(HS-F) 및 후면 프레임(HS-L)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전면 프레임(HS-F)은 후술할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커버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HS-F)은 오픈된 전면 개구부(OP-HF)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HS-F)은 전면 개구부(OP-HF)를 통해 표시패널(DP)을 노출시킨다. 사용자는 전면 개구부(OP-HF)를 통해 표시패널(DP)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후면 프레임(HS-L)은 전자모듈(EM-A)을 사이에 두고 전자모듈(EM-A)의 배면에 배치되어 전면 프레임(HS-F)과 결합된다. 후면 프레임(HS-L)과 전면 프레임(HS-F)은 결합되어 전자모듈(EM-A)이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모듈(EM-A)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수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후면 프레임(HS-L)에는 후면 개구부(OP-HL)가 정의될 수 있다. 전자모듈(EM-A)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방출된 소리는 후면 개구부(OP-HL)를 통과하여 전자장치(EA-A)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후면 개구부(OP-HL)의 형상은 소리가 전자장치(EA-A)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자장치(EA-A)는 지지대(SP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SSP)는 하우징(HS)을 지지하여 전자장치(EA-A)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한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지지대(SPP)는 하우징(HS)과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V-V’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AA’의 영역을 확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EM-A)은 표시패널(DP), 제1 후방 커버(BC1), 격벽부(PW), 메인 익사이터(ET1), 보강 익사이터(ET2), 전달부(TP1, TP2), 수동소자(PE1, PE2), 회로기판(CB1, CB2), 및 제2 후방 커버(BC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FS, 도 13a 참조) 및 이에 대향되는 제2 면(BS, 도 13a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은 전술한 전자장치(EA-A)의 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DP)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표시패널(D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DP)은 제1 측 엣지, 제2 측 엣지, 제3 측 엣지, 및 제4 측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 엣지 및 제4 측 엣지는 서로 마주하고, 제2 측 엣지 및 제3 측 엣지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DP)의 제2 면(BS)을 바라본 평면을 기준으로, 제1 측은 상측에 대응되고 제4 측은 하측에 대응되며, 제2 측은 좌측에 대응되고, 제3 측은 우측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 엣지는 표시패널(DP)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측 및 제3 측 엣지들은 표시패널(DP)의 양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DP)의 제2 면(BS)을 바라본 평면 상에서, 제1 내지 제4 측들이 각각 상측, 좌측, 우측, 하측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후방 커버(BC1)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후방 커버(BC1)는 제1 배면부(BP1) 및 제1 측벽부(W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면부(BP1)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면부(BP1)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2 배면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면부(BP1)에는 지지 개구부들(OP-S)이 정의될 수 있다. 지지 개구부들(OP-S)은 제1 후방 커버(BC1)의 제1 배면부(BP1)가 제3 방향(DR3)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지지 개구부들(OP-S)은 표시패널(DP)의 제2 면(BS)을 바라본 평면 상에서(이하, ‘평면 상에서’의 평면은 표시패널(DP)의 제2 면(BS)을 바라본 평면을 의미함)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지지 개구부들(OP-S)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면부(BP1)에는 커버 개구부들(OP-C1, OP-C2)이 정의될 수 있다. 커버 개구부들(OP-C1, OP-C2) 각각은 제1 후방 커버(BC1)의 제1 배면부(BP1)가 제3 방향(DR3)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커버 개구부들(OP-C1, OP-C2)은 지지 개구부들(OP-S)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커버 개구부들(OP-C1, OP-C2)은 제1 커버 개구부(OP-C1) 및 제2 커버 개구부(OP-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 개구부들(OP-C1, OP-C2) 각각은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 예를 들어, 상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 개구부들(OP-C1, OP-C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개구부들(OP-C1, OP-C2)은 평면 상에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커버 개구부들(OP-C1, OP-C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벽부(WP1)는 제1 배면부(BP1)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제1 측벽부(WP1)는 각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면부(BP1)와 제1 측벽부(WP1)는 표시패널(DP)과 결합되어 제1 내부 공간(PP1)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PP1)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내부 공간들(PP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부 공간들(PP2)은 제1 서브 공간들(PP2-1) 및 제2 서브 공간들(PP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들(PP2)은 각각 격벽부들(PW)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들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서브 공간들(PP2-1)은 서로 이격되어 정의되는 제1 공간(P1-L), 제2 공간(P1-C), 제3 공간(P1-R), 및 제4 공간(P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P1-L), 제2 공간(P1-C), 및 제3 공간(P1-R)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공간(P1-L) 및 제3 공간(P1-R)은 제2 공간(P1-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간(P1-C)은, 평면 상에서, 표시패널(DP)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P1-L)은 제2 공간(P1-C)의 좌측(제3 방향(DR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공간(P1-R)은 제2 공간(P1-C)의 우측(제3 방향(DR3)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공간(P1-D)은 제2 공간(P1-C)의 하측(제2 방향(DR2)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제4 공간(P1-D)의 제1 방향(DR1)에서의 길이는 제2 공간(P1-C)의 제1 방향(DR1)에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4 공간(P1-D)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는 제2 공간(P1-C)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간(P1-L), 제2 공간(P1-C), 제3 공간(P1-R), 및 제4 공간(P1-D) 각각은 지지 개구부들(OP-S) 중 대응되는 지지 개구부와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서브 공간들(PP2-2)은 제1 서브 공간들(PP2-1)의 상측(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공간들(PP2-2)은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 예를 들어, 상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서브 공간들(PP2-2)은 제5 공간(P2-L) 및 제6 공간(P2-R)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공간(P2-L)은 제1 공간(P1-L)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6 공간(P2-R)은 제3 공간(P1-R)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2에는 격벽부들(PW)이 평면 상에서 사각 형상을 갖는 제2 내부 공간들(PP2)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격벽부들(PW)이 형성하는 제2 내부 공간들(PP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익사이터(ET1)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익사이터(ET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메인 익사이터들(ET1)은 제1 메인 익사이터(E1-L), 제2 메인 익사이터(E1-C), 제3 메인 익사이터(E1-R), 및 제4 메인 익사이터(E1-D)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익사이터들(ET1) 각각은 제1 서브 공간들(PP2-1) 중 대응되는 제1 서브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익사이터(E1-L)는 제1 공간(P1-L)에 배치되며, 제2 메인 익사이터(E1-C)는 제2 공간(P1-C)에 배치되고, 제3 메인 익사이터(E1-R)는 제3 공간(P1-R)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인 익사이터(E1-L), 제2 메인 익사이터(E1-C), 및 제3 메인 익사이터(E1-R)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메인 익사이터(E1-D)는 제4 공간(P1-D)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메인 익사이터(E1-D)는 제2 메인 익사이터(E1-C)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메인 익사이터(E1-L), 제2 메인 익사이터(E1-C), 및 제3 메인 익사이터(E1-R)는 중고음역대의 소리가 전방으로 방출되도록 표시패널(DP)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고음역대의 소리는 200 Hz 이상 20000 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소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메인 익사이터(E1-L), 제2 메인 익사이터(E1-C), 및 제3 메인 익사이터(E1-R)는 전 음역대의 소리가 전방으로 방출되도록 표시패널(DP)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메인 익사이터(E1-L)는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바라봤을 때, 표시패널(DP)의 우측에서 방출되는 영상의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제3 메인 익사이터(E1-R)는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바라봤을 때, 표시패널(DP)의 좌측에서 방출되는 영상의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제2 메인 익사이터(E1-C)는 표시패널(DP)의 제1 면(FS)을 바라봤을 때, 표시패널(DP)의 중앙에서 방출되는 영상의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A)의 영상의 발생 위치를 세분화하고 그에 대응되는 소리를 방출함으로써, 전자장치(EA-A)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메인 익사이터(E1-D)는 저음역대의 소리가 전방으로 방출되도록 표시패널(DP)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저음역대의 소리는 20 Hz 이상 200 Hz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소리일 수 있다. 제4 메인 익사이터(E1-D)로부터 방출된 소리의 주파수는 제4 메인 익사이터(E1-D)의 마그네트(MG)의 자력 또는 제4 공간(P1-D)의 평면 상에서의 너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강 익사이터(ET2)는 표시패널(DP)의 제2 면(B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익사이터(ET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보강 익사이터들(ET2)은 메인 익사이터들(ET1)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보강 익사이터들(ET2) 각각은 제2 서브 공간들(PP2-2) 중 대응되는 제2 서브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익사이터들(ET2)은 제1 보강 익사이터(E2-L) 및 제2 보강 익사이터(E2-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 익사이터(E2-L)는 제5 공간(P2-L)에 배치되고, 제1 메인 익사이터(E1-L)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보강 익사이터(E2-R)는 제6 공간(P2-R)에 배치되고, 제2 보강 익사이터(E2-R)는 제3 메인 익사이터(E1-R)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전달부(TP1, TP2)는 제1 후방 커버(BC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TP1, TP2)에는 서브 보강 개구부(OP-T)가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보강 개구부(OP-T)는 전달부(TP1, TP2)가 제2 방향(DR2)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보강 개구부(OP-T)는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 예를 들어, 상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부(TP)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전달부들(TP)은 제1 전달부(TP1) 및 제2 전달부(T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는 제1 보강 익사이터(E2-L) 및 제5 공간(P2-L)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달부(TP2)는 제2 보강 익사이터(E2-R) 및 제6 공간(P2-R)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소자(PE1, PE2)는 전달부(TP1, TP2)에 정의된 서브 보강 개구부(OP-T)에 배치될 수 있다. 수동소자(PE1, PE2)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R) 및 덕트(D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동소자(PE1, PE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수동소자들(PE1, PE2)은 제1 수동소자(PE1) 및 제2 수동소자(P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동소자(PE1)는 제1 전달부(TP1)에 정의된 서브 보강 개구부(OP-T)에 배치되고, 제2 수동소자(PE2)는 제2 전달부(TP2)에 정의된 서브 보강 개구부(OP-T)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동소자들(PE1, PE2)은 서로 제1 방향(DR1)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CB1, CB2)은 제1 후방 커버(BC1) 상에 제1 후방 커버(BC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CB1, CB2)은 제1 후방 커버(BC1) 상에 배치된 회로 지지스틱(ST-C)에 연결되어, 제1 후방 커버(BC1)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회로기판(CB)이 고정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후방 커버(BC1)에 접촉하며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기판(CB1, CB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회로기판들(CB1, CB2)은 제1 회로기판(CB1) 및 제2 회로기판(C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B1)은 제1 메인 익사이터(E1-L)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CB2)은 제3 메인 익사이터(E1-R)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CB1, CB2)은 서로 제1 방향(DR1)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B1)은 제1 전달부(TP1)와 제2 방향(DR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CB2)은 제2 전달부(TP2)와 제2 방향(DR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로기판(CB1)은 영상 보드이고, 제2 회로기판(CB2)은 파워 보드일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B1)은 표시패널(DP)과 메인 익사이터(ET1) 및 보강 익사이터(ET2) 각각의 진동부에 포함된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CB1)은 표시패널(DP)에 영상 제공에 관한 신호를 전달하고, 메인 익사이터(ET1) 및 보강 익사이터(ET2)에 음향 제공에 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후방 커버(BC2)는 제1 후방 커버(BC1)의 제1 배면부(BP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후방 커버(BC2)는 제2 배면부(BP2) 및 제2 측벽부(W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면부(BP2)는 제1 후방 커버(BC1)의 제1 배면부(BP1)와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면부(BP2)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2 배면부(BP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측벽부(WP2)는 제2 배면부(BP2)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제2 측벽부(WP2)는 각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측벽부(WP2)에는 보강 개구부(OP-R1, OP-R2)가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개구부(OP-R1, OP-R2)는 제2 후방 커버(BC2)의 제2 측벽부(WP2)의 일부가 제3 방향(DR3)으로 제거되어 그루브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개구부(OP-R1, OP-R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보강 개구부들(OP-R1, OP-R2)은 제1 보강 개구부(OP-R1) 및 제2 보강 개구부(OP-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 및 제2 보강 개구부(OP-R2)는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 예를 들어, 상측 엣지에 인접한 측벽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 및 제2 보강 개구부(OP-R2)는 서로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개구부들(OP-R1, OP-R2)을 관통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에서 제1 보강 익사이터(E2-L)는 제1 메인 익사이터(E1-L)와 이격되고, 제2 보강 익사이터(E2-R)는 제3 메인 익사이터(E1-R)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는 제1 전달부(TP1)가 수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보강 개구부(OP-R2)는 제2 전달부(TP2)가 수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1 후방 커버(BC1) 및 제2 후방 커버(BC2)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2 후방 커버(BC2)의 제2 배면부(BP2) 및 제2 측벽부(WP2)는 제1 후방 커버(BC1)와 결합되어 소정의 수용 공간(AP)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익사이터들(ET1, 도 12 참조), 회로기판들(CB1, CB2), 및 회로 지지스틱들(ST-C)은 수용 공간(AP)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익사이터(E1-L), 제2 메인 익사이터(E1-C), 제3 메인 익사이터(E1-R) 각각은 제1 후방 커버(BC1)에 정의된 지지 개구부들(OC-S) 중 대응되는 지지 개구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익사이터(E1-L)의 일부는 제1 공간(P1-L)에 수용되고, 제1 메인 익사이터(E1-L)의 나머지 일부는 수용 공간(AP)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익사이터(E1-L)는 제1 회로기판(CB1)과 이격되며 제1 회로기판(CB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인 익사이터(E1-C)의 일부는 제2 공간(P1-C)에 수용되고, 제2 메인 익사이터(E1-C)의 나머지 일부는 수용 공간(AP)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메인 익사이터(E1-C)는 회로기판들(CB1, CB2)과 비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메인 익사이터(E1-R)의 일부는 제3 공간(P1-R)에 수용되고, 제3 메인 익사이터(E1-R)의 나머지 일부는 수용 공간(AP)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3 메인 익사이터(E1-R)는 제2 회로기판(CB2)과 이격되며 제2 회로기판(CB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메인 익사이터(E1-L)는 지지부(SP) 및 진동부(VP)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1 후방 커버(BC1, 도 13a 참조)의 제1 배면부(BP1) 상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AP)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플레이트(PT1)가 제1 배면부(BP1)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제1 지지스틱(ST1)에 연결됨으로써, 지지부(SP)는 제1 후방 커버(BC1)에 고정될 수 있다.
진동부(VP)는 지지 개구부(OP-S)를 관통하며 배치되어, 진동판(VPT)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공간(P1-L)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판(VPT) 중 표시패널(DP)에 인접한 일단 부분은 제1 공간(P1-L)에 수용될 수 있다. 진동판(VPT) 중 보빈 링(BR)에 인접한 타단 부분 및 진동부(VP)의 나머지 구성들은 수용 공간(AP)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제1 커버 개구부(OP-C1)를 정의하는 내측면은 격벽부들(PW) 중 제5 공간(P2-L)을 형성하는 격벽부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5 공간(P2-L)은 제1 후방 커버(BC1)에 의해 커버되지 않을 수 있다.
전달부들(TP1, TP2, 도 12 참조)은 수용 공간(AP)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들(TP1, TP2) 각각은 제1 후방 커버(BC1) 및 제2 후방 커버(B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3c에 도시한 제1 전달부(TP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전달부(TP1)는 제1 후방 커버(BC1)에 정의된 제1 커버 개구부(OP-C1)를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는 소정의 제3 내부 공간(PP3)을 형성하는 제3 배면부(BP3) 및 제3 측벽부(W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개구부(OP-C1)에 의해 노출된 제5 공간(P2-L)은 제3 방향(DR3)에서 제3 내부 공간(PP3)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면부(BP3)의 일부는 제1 커버 개구부(OP-C)로부터 노출된 표시패널(DP)의 제2 면(BS)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배면부(BP3)의 나머지 일부는 제1 배면부(BP1)와 마주할 수 있다.
제3 배면부(BP3)에는 제2 지지스틱들(ST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스틱들(ST2)은 제1 보강 익사이터(ET2-L)의 지지부(SP, 도 3a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 익사이터(ET2-L)는 제2 지지스틱들(ST2)에 의해 제3 배면부(BP3)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배면부(BP3)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3 배면부(BP3)의 형상은 제2 내부 공간(PP2)과 연결된 소정의 제3 내부 공간(PP3)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측벽부(WP3)는 제3 배면부(BP3)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 측벽부(WP3)는 제3 배면부(BP3)의 엣지들을 따라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벽부(WP3)의 측벽들은 제3 내부 공간(PP3)을 에워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측벽부(WP3)는 평면 상에서 제1 커버 개구부(OP-C1)를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측벽부(WP3)의 일부는 제1 커버 개구부(OP-C1)를 정의하는 제1 후방 커버(BC1)의 내측면에 정렬될 수도 있다.
서브 보강 개구부(OP-T)는 제1 전달부(TP1)의 제3 측벽부(WP3)에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보강 개구부(OP-T)는 제3 측벽부(WP3)가 제2 방향(DR2)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보강 개구부(OP-T)는 제1 보강 개구부(OP-R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보강 개구부(OP-T)는 서브 보강 개구부(OP-T)를 관통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에서 제1 보강 익사이터(E2-L)와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동소자(PE1, 도 12 참조)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R)일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서브 보강 개구부(OP-T)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공간(P2-L) 및 이에 연결된 제3 내부 공간(PP3)은 표시패널(DP), 격벽부들(PW) 중 제5 공간(P2-L)을 정의하는 격벽부, 후방 커버(BC1), 전달부(TP1), 및 패시브 라디에이터(PR)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보강 익사이터(E2-L)에 의해 진동된 제5 공간(P2-L) 내의 공기는 제1 커버 개구부(OP-C1)를 통해 제3 내부 공간(PP3)으로 전달되어, 패시브 라디에이터(PR)의 패시브 진동부(PV)를 제2 방향(DR2)에 대하여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전자모듈(EM-A)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에는 도 13c와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13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EM-1A)은 덕트(DT)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DT)는 제1 전달부(TP1)에 정의된 서브 보강 개구부(OP-T)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DT)의 외부면(OS-D, 도 5b 참조)은 서브 보강 개구부(OP-T)를 정의하는 제1 전달부(TP1)의 내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T)는 서브 보강 개구부(OP-T)를 관통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에서 제1 보강 익사이터(E2-L)에 중첩할 수 있다.
덕트(DT)는 전자모듈(EM-1A)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모듈(EM-1A)은 시청자에 오버헤드(overhead) 음향을 구현할 수 있고, 별도의 스피커 장치를 배치시키지 않더라도 보다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하는 전자장치(EA-A, 도 11a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A)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a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2의 VI-VI’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에는 도 13c와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후방 커버(BC1')의 제1 배면부(BP1')에는 제1 커버 개구부(OP-C1')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3c와 달리, 제1 커버 개구부(OP-C1')는 평면 상에서 격벽들(PW) 중 제5 공간(P2-L)을 형성하는 격벽에 에워싸이며, 제1 보강 익사이터(E2-L)와 비-중첩할 수 있다.
제1 배면부(BP1')에는 지지 개구부들(OP-S')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3c와 달리, 지지 개구부들(OP-S')은 제1 메인 익사이터(E1-L) 뿐만 아니라 제1 보강 익사이터(E2-L)도 관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제1 보강 익사이터(E2-L)의 진동부(VP, 도 13b 참조)는 대응되는 지지 개구부(OP-S')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익사이터(E2-L)의 지지부(SP, 도 3a 참조)는 제1 배면부(BP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익사이터(E2-L)의 지지부(SP)는 제1 지지스틱(ST1')에 연결되어 제1 후방 커버(BC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달부(TP1')는 전달 개구를 정의하는 내부면(IS-T) 및 이에 대향되는 외부면(OS-T)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개구는 제3 내부 공간(PP3')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달부(TP1')는 제1 커버 개구부(OP-C1')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이로부터 제1 보강 개구부(OP-R1)까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PP3')은 단면 상에서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 전달부(TP1')의 형상은 제5 공간(P2-L) 내의 공기를 제1 보강 개구부(OP-R1)로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형태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달부(TP1')는 각진 부분 없이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는 통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의 일단은 제1 커버 개구부(OP-C1') 내에 배치되고, 제1 전달부(TP1')의 타단은 제1 보강 개구부(OP-R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달부(TP1')의 외부면(OS-T) 중 일단 부분은, 제1 커버 개구부(OP-C1')를 정의하는 제1 후방 커버(BC1')의 내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의 외부면(OS-T) 중 타단 부분은, 제1 보강 개구부(OP-R1)를 정의하는 제2 후방 커버(BC2)의 내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달부(TP1')는 제5 공간(P2-L) 내의 진동된 공기를 제1 보강 개구부(OP-R1)로 전달하는 제3 내부 공간(PP3')을 제공할 수 있다.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제1 보강 개구부(OP-R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도 13c와 달리, 제1 보강 개구부(OP-R1) 내에 배치된 전달부(TP1')의 타단을 커버하며 제2 후방 커버(BC2)의 제2 측벽부(WP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공간(P2-L) 내의 진동된 공기는 제1 전달부(TP1')를 통해 제3 내부 공간(PP3')에 전달되고, 제3 내부 공간(PP3')에 전달된 공기는 제1 보강 개구부(OP-R1)에 전달될 수 있다. 패시브 진동판(PV, 도 3c 참조)이 제2 방향(DR2)에서 진동함으로써, 패시브 라디에이터(PR)는 전자모듈(EM'-A)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EM'-1A)은 덕트(DT)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DT)는 제1 보강 개구부(OP-R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DT1)는 제1 보강 개구부(OP-R1) 내에 배치된 전달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DT)의 외부면(OS-D)은 전달 개구를 정의하는 제1 전달부(TP1')의 내부면을 커버할 수 있다.
덕트(DT)는 덕트 개구를 통해 제1 전달부(TP1')에 의해 전달된 진동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전자모듈(EM'-1A)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AA)는 전자모듈(EM-AA) 및 하우징(H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EM-AA)은, 격벽부들(PW-A) 중 일부가 제5 공간(P2-LA) 및 제6 공간(P2-RA)을 포함한 제2 서브 공간들(PP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공간(P2-LA)은 제1 공간(P1-L)의 좌측(제1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6 공간(P2-RA)은 제3 공간(P1-R)의 우측(제1 방향(DR1)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익사이터들(ET2-A)은 제1 보강 익사이터(E2-LA) 및 제2 보강 익사이터(E2-R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 익사이터(E2-LA)는 제1 메인 익사이터(E1-L)의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보강 익사이터(E2-RA)는 제3 메인 익사이터(E1-R)의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후방 커버(BC2-A)의 제2 측벽부(WP2)에는 보강 개구부들(OP-R1A, OP-R2A)이 정의될 수 있다. 보강 개구부들(OP-R1A, OP-R2A)은 제1 보강 개구부(OP-R1A) 및 제2 보강 개구부(OP-R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A) 및 제2 보강 개구부(OP-R2A) 각각은 제2 후방 커버(BC2-A)의 제2 측벽부(WP2)가 제1 방향(DR1)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A)는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 예를 들어, 좌측 엣지에 인접하고, 제2 보강 개구부(OP-R2A)는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 예를 들어, 우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A) 및 제2 보강 개구부(OP-R2A)는 서로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개구부들(OP-R1A, OP-R2A)을 관통하는 방향, 즉, 제1 방향(DR1)에서 제1 보강 익사이터(E2-LA)는 제1 메인 익사이터(E1-L)와 이격되고, 제2 보강 익사이터(E2-RA)는 제3 메인 익사이터(E1-R)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들(TP1-A, TP2-A)은 제1 전달부(TP1-A) 및 제2 전달부(TP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A)는 평면 상에서 제1 보강 익사이터(E2-LA) 및 제5 공간(P2-LA)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A)는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 예를 들어, 좌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달부(TP2-A)는 평면 상에서 제2 보강 익사이터(E2-RA) 및 제6 공간(P2-RA)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전달부(TP2-A)는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 예를 들어, 우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A) 및 제2 전달부(TP2-A) 각각의 제3 측벽부(WP3)에는 서브 보강 개구부(OP-TA)가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보강 개구부(OP-TA)는 제3 측벽부(WP3)가 제1 방향(DR1)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달부(TP1-A)에 정의된 서브 보강 개구부(OP-TA)는 제1 보강 개구부(OP-R1A) 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 예를 들어, 좌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전달부(TP2-A)에 정의된 서브 보강 개구부(OP-TA)는 제2 보강 개구부(OP-R2A) 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 예를 들어, 우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7에는, 전달부들(TP1-A, TP2-A)이 제3 배면부(BP3, 도 12 참조) 및 이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절곡된 제3 측벽부(WP3, 도 12 참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달부들(TP1-A, TP2-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5에서 설명한 전달부들(TP')의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수동소자들(PE1-A, PE2-A) 각각은 패시브 라디에이터(PR, 도 3c 참조) 및 덕트(DT, 도 5a 참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동소자들(PE1-A, PE2-A)은 제1 수동소자(PE1-A) 및 제2 수동소자(PE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동소자(PE1-A)는 제1 보강 개구부(OP-R1A)에 배치되어 전자모듈(EM-AA)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제2 수동소자(PE2-A)는 제2 보강 개구부(OP-R2A)에 배치되어 전자모듈(EM-AA)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AA)는 서라운드(surround) 음향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AA)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AB)는 전자모듈(EM-AB) 및 하우징(H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EM-AB)은, 격벽부들(PW) 중 일부가 제5 공간들(P2-LB) 및 제6 공간들(P2-RB)을 포함하는 제2 서브 공간들(PP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공간들(P2-LB)은 제1 보강 공간(R1) 및 제2 보강 공간(R2)을 포함하고, 제6 공간들(P2-RB)은 제3 보강 공간(R3) 및 제4 보강 공간(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 공간(R1)은 제1 공간(P1-L)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제2 보강 공간(R2)은 제1 공간(P1-L)의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보강 공간(R3)은 제3 공간(P1-R)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제4 보강 공간(R4)은 제3 공간(P1-R)의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보강 익사이터들(ET2-B)은 제1 익사이터(T1) 및 제2 익사이터(T2)를 포함하는 제1 보강 익사이터들(E2-LB)과 제3 익사이터(T3) 및 제4 익사이터(T4)를 포함하는 제2 보강 익사이터들(E2-R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익사이터(T1)는 제1 메인 익사이터(E1-L)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제2 익사이터(T2)는 제1 메인 익사이터(E1-L)의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익사이터(T3)는 제3 메인 익사이터(E1-R)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제4 익사이터(T4)는 제3 메인 익사이터(E1-R)의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전달부들(TP-B)은 제1 내지 제4 전달부들(P1, P2, P3, 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부(P1)는 평면 상에서 제1 익사이터(T1) 및 제1 보강 공간(R1)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전달부(P2)는 평면 상에서 제3 익사이터(T3) 및 제3 보강 공간(R3)에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달부들(P1, P2)은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 예를 들어, 상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전달부(P3)는 평면 상에서 제2 익사이터(T2) 및 제2 보강 공간(R2)에 중첩할 수 있다. 제3 전달부(P3)는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 예를 들어, 좌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전달부(P4)는 평면 상에서 제4 익사이터(T4) 및 제4 보강 공간(R4)에 중첩할 수 있다. 제4 전달부(P4)는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 예를 들어, 우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달부(P1) 및 제2 전달부(P2) 각각에는 제1 서브 보강 개구부(OP-T1)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서브 보강 개구부(OP-T1)는 제1 전달부(P1) 및 제2 전달부(P2) 각각의 제3 측벽부(WP3)가 제2 방향(DR2)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제3 전달부(P3) 및 제4 전달부(P4) 각각에는 제2 서브 보강 개구부(OP-T2)가 정의될 수 있다. 제2 서브 보강 개구부(OP-T2)는 제3 전달부(P3) 및 제4 전달부(P4) 각각의 제3 측벽부(WP3)가 제1 방향(DR1)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도 19에는, 전달부들(TP-B)이 제3 배면부(BP3, 도 12 참조) 및 이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절곡된 제3 측벽부(WP3, 도 12 참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달부들(TP-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5에서 설명한 전달부들(TP')의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 후방 커버(BC2-B)의 제2 측벽부(WP2)에는 보강 개구부들(OP-R1B, OP-R2B, OP-R3B, OP-R4B)이 정의될 수 있다. 보강 개구부들(OP-R1B, OP-R2B, OP-R3B, OP-R4B)은 제1 내지 제4 보강 개구부들(OP-R1B, OP-R2B, OP-R3B, OP-R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강 개구부들(OP-R1B, OP-R2B) 각각은 제2 측벽부(WP2)가 제2 방향(DR2)으로 관통되어 정의되고, 표시패널(DP)의 제1 측 엣지, 예를 들어, 상측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보강 개구부(OP-R1B)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익사이터(T1)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보강 개구부(OP-R2)는 제2 방향(DR2)에서 제3 익사이터(T3)에 중첩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보강 개구부들(OP-R3B, OP-R4B) 각각은 제2 측벽부(WP2)가 제1 방향(DR1)으로 관통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제3 보강 개구부(OP-R3B)는 표시패널(DP)의 제2 측 엣지, 예를 들어, 좌측 엣지에 인접하고, 제1 방향(DR1)에서 제2 익사이터(T2)에 중첩할 수 있다. 제4 보강 개구부(OP-R4B)는 표시패널(DP)의 제3 측 엣지, 예를 들어, 우측 엣지에 인접하고, 제1 방향(DR1)에서 제4 익사이터(T4)에 중첩할 수 있다.
수동소자(PE-B)는 제1 내지 제4 수동소자들(S1, S2, S3, S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수동소자들(S1, S2)은 각각 제1 및 제2 보강 개구부들(OP-R1B, OP-R2B)에 배치되어, 전자모듈(EM-AB)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제3 수동소자(S3)는 제3 보강 개구부(OP-R3B)에 배치되어 전자모듈(EM-AB)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제4 수동소자(S4)는 제4 보강 개구부(OP-R4B)에 배치되어 전자모듈(EM-AB)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AB)는 상부 방향 및 양 측부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EA-AB)는 오버헤드(overhead) 음향 및 서라운드(surround) 음향을 모두 구현함으로써, 상부 방향 및 측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소리를 방출하는 경우보다 더 입체적인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EA-AB)는 “Dolby atmos”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A: 전자장치
DP: 표시패널
BC: 후방 커버
ET: 익사이터
PE: 수동소자
OP-R: 보강 개구부
PR: 패시브 라디에이터
DT: 덕트
VP: 진동부
SP: 지지부
EM-A: 표시모듈
CB1, CB2: 회로기판
BC1: 제1 후방 커버
PW: 격벽부들
BC2: 제2 후방 커버
ET1: 메인 익사이터
ET2: 보강 익사이터
TP: 전달부
E1-L: 제1 메인 익사이터
E1-C: 제2 메인 익사이터
E1-R: 제3 메인 익사이터
E1-D: 제4 메인 익사이터
E2-L: 제1 보강 익사이터
E2-R: 제2 보강 익사이터

Claims (33)

  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배면부 및 상기 배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에워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후방 커버;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배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익사이터; 및
    소리를 출력하는 수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소정의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익사이터는 상기 보강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에서 상기 보강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된 전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제1 측 엣지에 인접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상기 제1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2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1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면을 바라본 방향에서, 상기 제1 측 엣지는 상기 제2 측 엣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전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제3 측 엣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상기 제3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4 측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제3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4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4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3 측 엣지를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을 향해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1 면을 바라본 방향에서, 상기 제3 측 엣지 및 상기 제4 측 엣지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전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배면부는 일체의 형상을 갖는 전자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배면부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및 덕트 중 어느 하나인 전자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는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진동된 공기에 의해 진동되고 금속 물질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패시브 진동부 및 상기 패시브 진동부를 둘러싸고 고무를 포함하는 엣지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덕트 개구가 정의되고,
    상기 덕트 개구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변을 가진 비 정형 형상인 전자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인 마그네트,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배면부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스틱에 연결된 전자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이고,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표시패널, 상기 후방 커버, 및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에 의해 밀폐된 전자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1 측벽부 및 제1 배면부를 포함하는 제1 후방 커버;
    상기 제1 내부 공간 내에서 제1 서브 공간 및 제2 서브 공간을 포함하는 제2 내부 공간들을 정의하는 복수의 격벽부들;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제2 측벽부 및 제2 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측벽부에는 소정의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는 제2 후방 커버;
    상기 제1 서브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메인 익사이터;
    상기 메인 익사이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서브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보강 익사이터;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공간과 상기 보강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3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전달부;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수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엣지들 중 제1 측 엣지,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2 측 엣지와 마주하는 제3 측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측 엣지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3 측 엣지는 각각 상기 표시패널의 양 측부에 위치하는 전자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보강 개구부를 관통하는 방향에서 상기 메인 익사이터와 이격되어 배치된 전자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1 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1 측 엣지에 정의된 전자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3 측 엣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2 측 엣지 및 상기 제3 측 엣지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전자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후방 커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 익사이터와 평면 상에서 중첩하여 배치된 전자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익사이터는 복수 개이고,
    상기 메인 익사이터들은 상기 제2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3 측 엣지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메인 익사이터, 제2 메인 익사이터, 및 제3 메인 익사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 개이고,
    상기 회로기판들은 상기 제1 메인 익사이터와 중첩하는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3 메인 익사이터와 중첩하는 제2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자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공간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서브 공간들은 상기 제1 메인 익사이터가 배치되는 제1 공간, 제2 메인 익사이터가 배치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제3 메인 익사이터가 배치되는 제3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상기 제2 공간, 및 상기 제3 공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자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익사이터들은 상기 제2 메인 익사이터의 하측에 배치된 제4 메인 익사이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공간들은 상기 제4 메인 익사이터를 수용하는 제4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4 공간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제2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짧은 전자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인 익사이터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상기 제1 메인 익사이터, 상기 제2 메인 익사이터, 및 상기 제3 메인 익사이터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전자장치.
  2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익사이터, 상기 전달부, 및 상기 보강 개구부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보강 익사이터들은 상기 제2 측 엣지로부터 상기 제3 측 엣지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보강 익사이터 및 제2 보강 익사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전달부 및 제2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개구부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보강 개구부 및 제2 보강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 및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 각각은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강 개구부 및 상기 제2 보강 개구부 각각은 상기 제1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전자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2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개구부는 상기 제3 측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전자장치.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 및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 각각은 복수 개이고,
    상기 제1 보강 익사이터들은 각각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 및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익사이터들은 각각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상측 및 상기 메인 익사이터의 우측에 배치되는 전자장치.
  2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커버는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상기 제2 후방 커버의 상기 제2 배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익사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1 진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스틱에 연결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에는 제1 커버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커버 개구부를 정의하는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내측면은 상기 격벽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에 정렬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1 후방 커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 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3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제3 측벽부 및 제3 배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의 상기 제3 측벽부에는 상기 보강 개구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브 보강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수동소자는 상기 서브 보강 개구부에 배치되는 전자장치.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기 제3 배면부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제2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스틱에 연결된 전자장치.
  3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에는 제2 커버 개구부가 정의되고,
    평면 상에서 상기 격벽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는 상기 제2 커버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전달부의 일단 부분은 상기 제2 커버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부의 타단 부분은 상기 보강 개구부에 배치되는 전자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 커버는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로부터 상기 제2 후방 커버의 상기 제2 배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익사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키는 제2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후방 커버의 상기 제1 배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스틱에 연결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 및 덕트 중 어느 하나인 전자장치.
  3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는 패시브 라디에이터이고,
    서로 연결된 상기 제2 서브 공간 및 상기 제3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후방 커버, 상기 격벽부들 중 상기 제2 서브 공간을 정의하는 격벽부, 상기 전달부, 및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에 의해 밀폐된 전자장치.
KR1020210191804A 2021-12-29 2021-12-29 전자장치 KR20230102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04A KR20230102045A (ko) 2021-12-29 2021-12-29 전자장치
US17/972,092 US20230209743A1 (en) 2021-12-29 2022-10-24 Electronic apparatus
CN202211569112.XA CN116405841A (zh) 2021-12-29 2022-12-08 电子装置
EP22212468.7A EP4207799A1 (en) 2021-12-29 2022-12-09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04A KR20230102045A (ko) 2021-12-29 2021-12-29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45A true KR20230102045A (ko) 2023-07-07

Family

ID=8448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804A KR20230102045A (ko) 2021-12-29 2021-12-29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9743A1 (ko)
EP (1) EP4207799A1 (ko)
KR (1) KR20230102045A (ko)
CN (1) CN116405841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745B1 (ko) * 2017-11-13 2022-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501B1 (ko) * 2017-12-20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898685A (zh) * 2018-12-31 2022-08-12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323652B2 (en) * 2019-06-21 2022-05-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9743A1 (en) 2023-06-29
EP4207799A1 (en) 2023-07-05
CN116405841A (zh)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6661B2 (ja)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JP693216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536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10993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2119914A (ja) 表示装置
US9866969B2 (en) Handheld device
KR102663292B1 (ko)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2692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104104B2 (ja) 表示装置
JP750495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6308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40592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106794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11962972B2 (en) Display device and speaker
KR20230102045A (ko) 전자장치
JP733655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
CN115623391A (zh) 一种用于输出声音的设备
KR102622979B1 (ko) 표시 장치
JP2009232297A (ja) 表示装置
KR20240005566A (ko) 장치
JP2009147570A (ja) スピーカ装置
JP2009246705A (ja) 情報端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