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796A - 신속한 결과 및 진단 테스트 결과 보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속한 결과 및 진단 테스트 결과 보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796A
KR20230101796A KR1020237011056A KR20237011056A KR20230101796A KR 20230101796 A KR20230101796 A KR 20230101796A KR 1020237011056 A KR1020237011056 A KR 1020237011056A KR 20237011056 A KR20237011056 A KR 20237011056A KR 20230101796 A KR20230101796 A KR 2023010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ata
test
sample
re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즈반 디마
Original Assignee
애보트 래피드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포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보트 래피드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포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애보트 래피드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포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환자 정보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다. 환자 식별자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고 환자 정보와 연관된다. 환자 식별자 및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에 의해 제공된 샘플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 현장(POC) 테스트 기기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결과가 시스템으로 통신된다.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식별자는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와 상관된다.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바코드로서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바코드 생성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동작하는 포털로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속한 결과 및 진단 테스트 결과 보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제63/072,758호(발명의 명칭: "System and Method for Rapid Results and Reporting of Diagnostic Test Results", 출원일: 2020년 8월 31일)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내용은 전문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개시내용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COVID-19 환자 테스트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와 같은 진단 테스트 데이터의 정부 보건 기관으로의 자동 보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몇 가지 예를 들면, COVID-19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H1N1pdm09 바이러스,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등과 같은 감염성 질환(예를 들어, 바이러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등)의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감염성 질환은 종종 전염성이 있으며,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람 간에 또는 물체와 표면을 통한 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쉽게 전염된다. 감염성 질환의 확산을 억제하고 감염성 질환 팬데믹에 대한 공중 보건의 신속한 대응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 공중 보건 기관은 표준화된 테스트 결과, 관련 인구 통계 상세 및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테스트 결과 보고를 의무화했다. 이러한 정부 명령의 예는 미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조, 구호 및 경제 안보(Coronavirus Aid, Relief, and Economic Security: CARES) 법이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여,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방법은,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에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환자 식별자는 환자 데이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환자 식별자는 환자 정보와 연관된다. 환자 식별자는, 환자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현장(POC) 테스트 기기로 전송된다. 환자 식별자는, 환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환자 식별자를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에 있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된다. 환자 식별자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POC 테스트 기기에서 수신되고, 샘플은 POC 테스트 기기에서 테스트되어 테스트 결과를 생성한다. 테스트 결과는 환자 식별자와 함께 POC 테스트 기기로부터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된다. 이어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는 테스트 결과를 동일한 환자 식별자와 연관되는 환자 정보와 결합한다.
일 양상에서,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상의 포털이다.
다른 양상에서, 환자 식별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로 표시되며, 원격 기기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으로부터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 환자 식별자를 수신한다.
다른 양상에서,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스캐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환자와 연관되고 신분증 상에 인코딩된 환자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를 갖는 신분증을 스캐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환자 정보는 원격 서버와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다. 환자 식별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다. 환자 식별자는 환자 정보와 연관된다. 환자 식별자는 POC 테스트 기기로 전송된다. 환자 식별자는 환자 정보와 함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서버로 전송된다. 테스트는 진단 기기에서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실행되어 테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식별자는 기기로부터 원격 서버로 전송된다. 원격 서버는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정보를 동일한 환자 식별자와 상관시킨다.
다른 양상에서, 공중 보건 기관으로 전송될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함유하는 보고서가 생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환자 정보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다. 환자 식별자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고, 여기서 환자 식별자는 환자 정보와 연관된다. 환자 식별자 및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에 의해 제공되는 샘플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 POC 테스트 기기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결과가 수신되고, 테스트 결과와 환자 식별자는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와 상관된다.
다른 양상에서, 상기 방법은 공중 보건 기관으로 전송될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정보와 연관된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은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환자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질의를 디스플레이하고, 환자 데이터와 연관된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환자 데이터를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환자 데이터 리포터는 컴퓨터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컴퓨터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Figure pct00001
현장 진료(POC) 테스트 기기로부터 환자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샘플이 POC 테스트 기기에 의해 테스트될 때 환자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환자 샘플과 연관된 환자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Figure pct00002
환자 테스트 결과를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 데이터와 연관시키도록;
Figure pct00003
공중 보건 기관에 보고하기 위해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04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 보건 기관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환자 테스트 결과 및 대응하는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공중 보건 기관에 환자 테스트 결과 및 대응하는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바코드의 형태인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생성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인코딩된 개인 데이터를 갖는 개인 신분증을 스캐닝하고 환자 데이터의 적어도 서브세트로서 인코딩된 개인 데이터를 포맷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대한 포털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포털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 계정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계정 생성기를 포함하고, 사용자 계정을 갖는 각각의 사용자는 POC 테스트 기기에서 테스트하기 위한 샘플을 제공하는 환자를 위한 환자 데이터 입력을 수행한다.
다른 양상에서, 포털은 사용자 계정을 갖는 사용자의 목록을 포털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목록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목록은 샘플이 수집된 각각의 환자에 대한 환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 샘플에 관한 데이터 및 수집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포털은, 환자 데이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이용 가능한 경우 환자 ID, 테스트 상태 및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환자 데이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환자 데이터 구성요소는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및 테스트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포털은 사용자 계정을 갖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홈 화면을 포함한다. 홈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선택된 기능을 호출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기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 및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선택된 수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상에서, 선택된 환자 데이터의 수집 및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가진 선택된 환자 데이터의 보고는 테스트 결과가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의해 수신될 때 자동으로 수행된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예시적인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따를 수 있는 작업 흐름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따를 수 있는 고객 관리자 관점에서의 작업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테스트 결과 및 환자 데이터를 공중 보건 당국에 보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른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의 예시적인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샘플을 제공하는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샷을 도시한다.
도 3e 내지 도 3g는 샘플을 제공하는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포털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샷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의 예시적인 진단 기기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의 예시적인 원격 서버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독립체 또는 개인이 진단 테스트에 대한 공중 보건 보고법을 준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제조 물품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구현예는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자동 진단 기기를 포함하는 진단 테스트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진단 테스트 디바이스는 샘플이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위치 또는 그 근처에서 진단 테스트가 수행되는 현장 진료("POC") 진단 테스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는 예를 들어 현장 테스트 시설, 의료 사무실 또는 진료소, 환자의 집 또는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응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구축된 테스트 장소와 같은 임시 테스트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 테스트 장소는 예를 들어 공항, 주차장, 이벤트 장소 또는 테스트가 필요한 위험이 있는 기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테스트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COVID-19 팬데믹과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테스트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위한 예시적인 배경 및 병원균으로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또한 다른 병원균 또는 병원균의 유형을 포함하는 다른 응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환자의 샘플이 SARS-CoV-2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지 결정하도록 사용되는 POC 진단 기기는 짧은 시간 내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또한 테스트 프로세스 및 의무적인 공중 보건 당국 보고 프로세스의 병목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통상의 식별 정보 외에, 환자 인구 통계 데이터, 특정 환자 질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도록 활용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각각의 환자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사용하여 테스트 장소에서 등록되거나 테스트 주문을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격 서버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또한 진단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고 해당 테스트 결과를 원격 서버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종래의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 외부에서 환자 및 진단 테스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고 시스템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및 보고를 위해 LIMS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원격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예를 들어, iPhone 등), 태블릿 디바이스 또는 기타 유사한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인터페이스("모바일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원격 데이터 수집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또한 예를 들어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대한 포털일 수 있으며, 이어서, 포털은 데스크톱 컴퓨터, 랩탑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동작할 수 있다. 테스트 장소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POC 진단 기기, 및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원격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를 갖는 조작자가 있는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의사 사무실 및 진단 연구실과 같은 전통적인 진단 테스트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COVID-19 팬데믹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에 대한 높은 수요에 응답하여, 본 발명은 또한 현재 약국, 백화점 및 전술한 유형의 기타 임시 테스트 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테스트 장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환자 데이터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또는 포털일 수 있는 원격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집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또는 포털)는 인구 통계 정보 및 공중 보건 당국에 의해 의무화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특정 환자 정보(아래에 자세히 설명됨)에 대해 조작자에게 프롬프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또는 포털)는 또한 특정 환자의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고유한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유한 환자 식별자는 환자 데이터 입력 항목을 다른 환자 데이터 입력 항목과 구별하고,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다른 코드 또는 숫자의 세트로부터 고유한 코드 또는 숫자의 세트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환자 식별자는 바코드, 2-D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예를 들어 다른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코드 또는 코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일부 데이터 입력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에서, 특정 관할권은 이름 및 주소와 같은 카드 소유자의 식별 정보를 통합하는 바코드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운전 면허증과 같은 신분증을 발급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또한 의무화된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유리하게 가속화하기 위해 이러한 인코딩된 정보를 갖는 신분증으로부터 인구 통계 및 환자 정보를 스캐닝하기 위해 기계 판독 가능 코드를 이미지화하도록 카메라 또는 다른 광학 판독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테스트 장소가 LIMS에 연결된 경우와 같은 일부 예에서, 환자 데이터 또는 인구 통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의사 사무실에서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특정 데이터가 수집된 원격 데이터 수집에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또는 포털은 환자 데이터 및 인구 통계 정보를 전자적으로 검색하고, 이를 환자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환자 데이터 및 인구 통계 정보를 환자 식별자와 함께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가 모바일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프로세스는 또한 포털과 사용될 수 있다.
테스트 장소에서 환자 등록 프로세스 동안, 조작자는 또한 환자 샘플을 채취한다. POC 진단 기기는 환자 샘플이 POC 진단 기기에 로딩되어 테스트를 수행할 때 환자의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식별자로서 환자 ID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POC 진단 기기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상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로부터 환자 식별자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환자의 데이터(인구 통계 데이터 및 공중 보건 당국이 답변을 원하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를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식별자는 환자 식별자 및 POC 진단 기기에 의한 테스트 결과의 통신과 독립적으로 업로드된다. 이어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수신된 환자 데이터와 테스트 결과를 상관시킨다. 다른 예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 또는 포털은 환자 식별자가 생성되기 전에 보고를 위한 모든 의무화된 데이터가 것을 보장하기 위해 원격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가 환자 데이터를 검사하는 데이터 검증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환자 식별자는 환자의 샘플이 테스트되었으면 환자의 테스트 결과를 식별하기 위해 POC 진단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모바일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환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환자 데이터, 및 POC 진단 기기로부터의 환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환자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환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환자 데이터를 환자의 테스트 결과와 상관시킬 수 있다. 이어서, 환자 데이터와 테스트 결과는 공중 보건 당국에 통신하기 위해 포맷될 수 있다.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어서, 정보를 공중 보건 당국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쉽고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중 보건 당국으로의 통신은 공중 보건 당국에 직접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공중 보건 당국에 결과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중개자를 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공중 보건 기관에 보고하는 것은 보고 데이터를 AIMS(APHL 정보학 메시징 서비스)로 전송하고 이는 이어서 데이터를 관련 공중 보건 기관에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공중 보건 기관과 정보를 통신하는 것으로서 여러 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테스트 및 결과 관련 정보가 다른 정부 기관, 고용주, 학교, 공공 및 민간 기업 및 비영리 단체와 같은 비공중 보건 법인으로 전송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용주는 선별 프로그램에 등록된 직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별하고 수집하기를 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예시적인 공중 건강 보고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a에서의 시스템(100)은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테스트 장소, 및 적어도 하나의 POC 테스트 기기(11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및/또는 포털(104)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 포털(104) 및 POC 테스트 기기(110)는 각각 공중 보건 당국(PHA) 정보 시스템(140)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시스템(120)과 (직접적으로 또는 위에서 설명한 중개자를 통해) 통신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 포털(104),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 클라우드 서비스(120), POC 테스트 기기(110) 및 POC 미들웨어(12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동작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아래에 설명된 기능은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공중 보건 당국(140)은 서버 및 기타 프로세서 기반 구성요소를 경유하여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프로세서 제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포털(104)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브라우저 페이지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라우저 페이지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요소는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데스크탑 등)에서 동작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데이터 입력 화면(그 예가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됨), 환자 식별자 생성기, 데이터 포맷 프로그램, 및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스마트폰 또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화면은 이름, 주소, 나이 등과 같은 정보를 조작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이터 입력 형식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데이터 입력 화면은 완전한 실험실 테스트 데이터를 CDC 또는 장관의 피지명인에게 전송하기 위해 SARS-CoV-2 실험실 테스트에 대해 수집 및 보고될 데이터 요소를 조작자에게 프롬프트한다. 의무화된 보고를 위한 이러한 데이터의 예는 아래 표 A에 나열되어 있다.
표 A
Figure pct00005
일부 구현예에서, 데이터 입력 화면은 예를 들어 수집되어 주 또는 지역 공중 보건 부서에 보고되어야 하는 인구 통계 데이터 요소와 같은 추가 정보에 대한 프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구 통계 데이터 요소는 아래 표 B에 나열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B
Figure pct00006
COVID-19 팬데믹을 해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특수 정보를 요청하는 데이터 입력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 표 C에 나열된 데이터 필드는 SARS-CoV-2에만 해당되며, 전통적인 전자 건강 기록 또는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주문 입력 요청"(AOE) 질문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요소는 수집되어야 하고, 공중 보건 당국과 통신하도록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준수해야 한다(예를 들어, HL7 버전 2.5.1 검사실 주문 인터페이스 구현 가이드):
표 C
Figure pct00007
예를 들어, 텐트 아래의 주차장에서와 같은 임시 테스트 장소에서의 구현예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102)의 조작자는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를 동작시키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예를 들어 의사 사무실과 같은 전통적인 테스트 환경에서의 테스트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환자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LIMS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의 표 A, B 및 C에 나열된 유형의 환자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또한 바코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바코드 판독기와 인터페이스하거나 이를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바코드 판독기는 환자의 신분증(150) 상의 바코드로서 인코딩된 정보를 스캐닝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많은 관할권에서는 운전 면허증과 같은 신분증이 바코드(예를 들어, PDF 417 바코드)에 있는 신분증의 식별 및 인구 통계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의무화했다. ID 카드 바코드(150)는 필수 데이터의 일부를 검색하도록 사용되어,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 식별자 생성기는 바코드 생성기, 또는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요소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식별 생성기일 수 있다. 환자 식별자는 몇 가지 예로서 예를 들어 QR 코드, 코드 128 및 3of9를 일부 예로서 포함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및 바코드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장소는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및 POC 테스트 기기(110)에 대한 데이터 접속성을 조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통적인 테스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임시 장소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및 POC 테스트 기기(110)에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120)에 연결하기 위해 Wi-Fi 액세스 포인트, 셀룰러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인터넷과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대한 Wi-Fi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된 POC 기기에 대해,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과 추가로 통신하는 POC 기기 관련 미들웨어(128)를 포함할 수 있다. POC 미들웨어(128)는 POC 기기(110)와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2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네트워킹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수의 POC 테스트 기기(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무선 또는 유선)를 통해 인터넷에 대한 브리지 또는 게이트웨이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예에서, Abbott Laboratories에서 제공하는 RALS™ Link는 POC 기기를 클라우드 기반 서버와 같은 원격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에 대한 셀룰러 연결을 포함하는 통신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또한, 한 예에서, 상이한 기관 또는 회사는 테스트를 실행하고 관련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를 공중 보건 당국에 제출하기 위해 그들 자신의 POC 테스트 기기(1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에 대해, 도시된 다수의 POC 테스트 기기(110)는 그들 각각의 데이터를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에 보고하는 상이한 기관 또는 회사의 기기 및 미들웨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시된 다수의 POC 테스트 기기(110)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에 그들의 데이터를 보고하는 동일한 기관 또는 회사의 상이한 위치를 나타낸다.
POC 미들웨어(128)는 단일 테스트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POC 기기(110)에 대한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POC 기기(110)는 테스트 장소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POC 미들웨어(128) 디바이스는 단일 테스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POC 미들웨어(128)는 세계 어느 곳으로부터의 환자 데이터 및 테스트 결과를 수집할 수 있는 능력을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에 제공하는 전 세계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테스트 장소(예를 들어, 다수의 POC 테스트 기기, 다수의 조작자 등)를 지원하는 위치에서, 포털(104)은 다른 데이터 입력 메커니즘으로서, 또는 테스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보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포털(104)은 테스트 위치에서 사용되는 POC 테스트 기기(110) 및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털(104)은 예를 들어 표 A, B, 또는 C에서의 임의의 데이터와 같은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털(104)은 또한 테스트 결과, 또는 조작자 또는 POC 테스트 기기(110)와 관련된 품질 관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100)은 예시적인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서 환자 데이터의 수집 및 환자 테스트를 위한 환자 ID의 생성을 허용한다. 시스템(100)은 소규모 진료소 환경, 진료소가 아니거나 의료 절차를 위한 설비가 갖춰진 환경, 또는 대규모 환자 샘플 수집 및/또는 테스트 환경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1a에서의 시스템(100)의 유연성은 그 사용을 통해 이용 가능한 작업 흐름의 유형에 대한 설명에 의해 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따를 수 있는 작업 흐름(15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따를 수 있는 고객 관리자 관점에서의 작업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b 및 도 1c에서의 작업 흐름은 도 1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환자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2) 또는 포털(104)을 사용하여 (152)에서 수집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에서, 데이터 입력은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은 데이터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하여 프롬프트될 수 있다. 포털(104)에서, 유사한 데이터 입력 양식이 도 3e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152)에서의 데이터 입력 단계는 주치의 이름, 환자 인구 통계 정보, 및 공중 보건 기간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의 유형, 예를 들어, CARES 법 명령 하에 수집된 데이터 유형과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한 프롬프트 또는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바코드의 형태로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환자 ID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전, 후 또는 이와 동시에, 환자 샘플은 단계(154)에서 수집될 수 있다. 단계(156)에서, 환자 샘플은 예를 들어 POC 테스트 기기(110)(도 1a에서)와 같은 테스트 시스템에 로드될 수 있다. POC 테스트 기기(110)는 환자 ID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메커니즘 및 환자 ID를 환자 샘플과 관련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환자 ID는 바코드의 형태로 디스프레이되고, POC 테스트 기기(110)에 의해 스캐닝되어 환자 ID를 환자 샘플과 관련시킬 수 있다. POC 테스트 기기(110)가 테스트 샘플로부터 결과를 생성한 후, 결과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도 1a에서)과의 통신을 위해 환자 ID와 연관된다. 결과 및 환자 ID는 (158)에서 정부 기관에 보고하기 위해 인터넷(160)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도 1c는 예를 들어 조직 중심(organization-driven) 또는 다중 사용자 테스트 프로그램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고객 관리자 작업 흐름(162)을 도시한다. 도 1c의 작업 흐름(162)의 단계(164)에서, 주문 의사의 목록은 테스트받을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사에 대한 연락처 및 기타 정보(예를 들어, (165)에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단계(166)에서, 사용자 계정은 테스트 절차 동안 환자로부터 정보를 얻는 일을 맡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로 환자 샘플을 얻는 책임이 있는 사람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단계(166)에서의 사용자 계정 설정은 인터넷에서 이용 가능한 리소스에 대한 임의의 전형적인 사용자 계정 생성 도구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사용자 계정 생성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블록(167)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 유형을 나열한다. 계정이 생성되면, 각각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 하에서 환자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계정 하에서 데이터 수집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을 허용한다. 이러한 것은 수행 모니터링, 작업 수행 방식에서의 일관성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한 사용자와 샘플을 수집한 환자의 환자 식별자를 상관시키는 기록 보관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168)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도 1a)은 관리자 또는 테스트 프로그램 관리자가 (169)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환자 테스트 데이터를 질의하고 보는 것을 허용하도록 데이터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69)에서 표시된 특징은 가능한 데이터 보기 유형의 예이다. 20일 이상 또는 미만으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일수가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데이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질의되고 적절한 형식(예를 들어, 엑셀 등)으로 엑스포팅될 수 있다.
단계(170)에서, 데이터 대시보드는 상이한 조직 테스트 장소로부터의 환자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c에서의 텍스트 블록(171)은 데이터를 보기 위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지난 7일간으로부터 로드되거나 (예를 들어) 매시간 리프레시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 일수는 7일 이상이거나 또는 선택 가능할 수 있다. 데이터는 다른 간격으로 리프레시될 수 있다.
도 2는 테스트 결과 및 환자 데이터를 공중 보건 당국에 보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200)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하드웨어 플랫폼으로서 도 1a에서의 시스템(100)의 사용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환자가 진단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 장소에 접근할 때 시스템(100)의 동작을 도시한다.
프로세스는 전형적으로 환자가 조작자에게 접근하고 조작자가 환자 데이터를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또는 포털(104)에 입력할 때 도 2에서의 단계(2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환자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는 도 3a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환자가 스스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 A, B 또는 C에 열거된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는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환자 데이터는 단계(208)에서 클라우드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으로 전송된다. 단계(204)에서, 조작자는 환자 샘플을 수집하고, 이는 POC 테스트 기기(110)의 요건에 의존할 수 있다. SARS-CoV-2 바이러스에 대한 테스트와 관련하여, POC 테스트 기기(110)는 환자의 기도를 면봉으로 닦은 것으로부터 환자 샘플을 받는 유형일 수 있다. POC 테스트 기기(110)는 동작하도록 구성된 방식으로 환자 샘플을 받을 수 있다. 단계(206)에서, 조작자는 이어서 테스트 기기를 동작시킨다. 테스트가 완료되고 결과가 이용 가능할 때, 테스트 결과 및 환자 ID는 단계(208)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으로 통신될 수 있다.
단계(210)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은 환자의 테스트 결과를 단계(202)에서 수집된 환자 데이터와 상관시킨다. 데이터 및 테스트 결과는 단계(212)에서 공중 보건 당국에 보고하기 위해 적절하게 포맷된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 내용에 따른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의 단계(30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데이터는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도 1) 또는 포털(104)(도 1)을 사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단계(304)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또는 포털(104)(도 1)은 환자의 테스트를 위해 입력되는 주문을 위해 환자 ID를 생성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또는 포털(104)은 바코드로서 환자 ID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환자 ID는 다른 적합한 형식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모바일 솔루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2)(도 1)는 환자로부터 특정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도 3b에 도시된 화면(310)과 같은 홈 화면(310)을 제공할 수 있다. 홈 화면(3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환자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환자 데이터 수집 버튼 또는 선택기(312)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환자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는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된 화면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보류 중인 결과 버튼(314)은 데이터가 입력되었지만 여전히 테스트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환자에 대한 기록에 액세스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보류 중인 결과 버튼(314)은 환자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결과가 준비되기 전에 수정을 요구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입력 또는 수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홈 화면(310)은 데이터를 보거나 데이터 구성 방식을 수정하기 위해 화면(316) 영역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 데이터가 입력될 때, 환자 ID는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 동안 생성될 수 있다. 환자 ID는 바코드 생성 화면(320)에서 바코드(322)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c에서, 환자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의 일부는 예를 들어 주문 의사의 화면(324)을 사용하여 주문 의사 식별자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324)은 검색 도구(326) 및 결과 섹션(328)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인구 통계 양식(330)은 환자 ID(332)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도 1a)는 스캐닝 코드 또는 바코드로 프로그래밍된 환자 데이터가 있는 ID 카드와 같은 식별자를 스캐닝하기 위해 스캐닝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메라)를 호출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스캐닝 기능은 스캐닝 버튼(334)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또한 요청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양식(336)이 제시될 수 있다. 데이터는 전화기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캐닝 디바이스는 스캐닝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캐닝 데이터로 환자 양식을 채우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화면(330)은 양식의 다른 섹션으로 진행하기 위한 다음 및 이전 버튼과 같은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 탐색 컨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음 버튼(337)을 눌러 도 3d의 사전 화면 설문지 양식(340)과 같은 다른 양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모든 정보가 반드시 신분증에서 이용 가능한 것이 아님에 따라서, 일부 정보는 양식에 입력될 수 있다. 추가 정보 양식(338)은 예를 들어 고용 정보, 인구 통계 정보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확인 화면(348)은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의 마지막에 제시될 수 있다. 확인 화면(348)은 환자 ID, 이름, 테스트 패널,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e 내지 도 3g는 데이터 입력을 위해 포털을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e는 사용자를 위한 홈 화면(350)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사용하여 전형적인 로그인 절차를 사용하여 먼저 로그인하도록 프롬프트될 수 있다. 홈 화면(350)은 사용자(352)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다른 데이터를 보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기능 또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포털 기능은 관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털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사용자 목록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데이터 관리자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f에서의 사이트 사용자 데이터 화면(364)은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계정을 가진 사용자를 나열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및 사이트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세부 정보는 선택될 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자는 또한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데이터가 입력된 각각의 환자를 나열하기 위해 환자 데이터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된 환자 데이터 화면(368)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368)은 환자 ID, 상태(예를 들어, 보류 중인 결과, 취소, 보고됨 등), 보고된 경우 보고 날짜, 테스트 결과, 관련된 경우 조직,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및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정보의 임의의 기타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306)에서, 조작자는 환자 ID를 인코딩된 형식으로 POC 테스트 기기(110)(도 1)에 제공할 수 있다. POC 테스트 기기(110)는 바코드 판독기, 또는 인코딩된 환자 ID를 디코딩할 수 있는 대안적인 코드 판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POC 테스트 기기(110)는 테스트를 위해 POC 테스트 기기(110)에 로딩된 샘플과 환자 ID를 상관시킨다. 단계(308)에서, 보고 요건에 부합하는 환자 식별자 및 환자 데이터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통신된다. 보고 요건에 부합하는 환자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 동안 언제든지 환자 데이터와 통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인터페이스(102)는 데이터가 모바일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고 입력됨에 따라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통신되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환자 데이터가 수집되었을 때, 환자 데이터는 포맷되고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통신될 수 있다. 환자 데이터가 통신되는 시기 또는 방법에 관계없이, 환자 식별자는 단계(306)에서 POC 기기에 제공된 동일한 환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도록 환자 데이터를 식별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공중 보건 보고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진단 기기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POC 테스트 기기(110)(도 1에서)는 예를 들어 SARS-CoV-2 바이러스와 같은 관심 병원균에 대해 환자 샘플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진단 테스트 시스템일 수 있다. 조작자는 단계(402)에서 샘플을 수집한다. 샘플 수집은 환자 신체의 관심 영역을 면봉으로 닦거나, 혈액 또는 기타 체액을 수집하거나, 또는 체표(body metric)의 측정치를 취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샘플 수집 단계는 사용되는 POC 테스트 장비의 능력에 의존한다.
단계(404)에서, POC 기기는 단계(306)에서 POC 테스트 기기에 입력된 환자 ID를 수신한다. 한 예에서, 환자 ID는 POC 테스트 기기에 연결된 바코드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다. 다른 예에서, 환자 ID는 POC 테스트 기기의 일부인 경우 예를 들어 키패드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수동 입력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POC 테스트 기기는 검정(assay)이 실행될 테스트 샘플과 환자 ID를 상관시키도록 구성된다. 단계(406)에서, POC 테스트 기기는 검정을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도록 제어된다. 테스트 결과는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포털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시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테스트 결과는 또한 환자 ID와 상관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POC 미들웨어를 통해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도 1)에 통신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서 구성된 공중 건강 보고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원격 서버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서버 또는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 실험실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LIMS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소와 별개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기존 LIMS 시스템을 활용한다. 각각의 경우에,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은 단계(502)에서 POC 테스트 기기로부터의 테스트 결과를, 그리고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또는 포털(104)(도 1에서)로부터 환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은 환자 ID에 의해 식별되는 POC 테스트 기기로부터의 테스트 결과 및 환자 ID에 의해 식별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102) 또는 포털(104)로부터의 환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도 5에서의 단계(503)에서 환자 식별자와 환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는 표 A, B 및 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보고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의해 통신되는 환자 데이터로서 환자 데이터를 언급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예시적인 구현예는 COVID-19 팬데믹을 해결하기 위한 보고 요건에 중점을 두고 설명되지만, 특정 보고 요건은 다른 관련 테스트에 대한 테스트 결과와 함께 수집되고 보고될 다른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는 다른 응급 상황에 대해 제정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기는 단계(504)에서 환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테스트 결과와 환자 데이터를 상관시킬 수 있다. 단계(506)에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보고될 특정 환자 데이터 요소를 식별 및 포맷하고,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와 함께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다. 데이터는 데이터를 요구하는 공중 보건 기관에 의한 사용을 위해 적합한 양식의 보고서로 포맷될 수 있다. 단계(508)에서, 보고서는 공중 보건 기관에 전자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중 보건 당국으로의 통신은 공중 보건 당국에 직접 통신되거나 결과를 공중 보건 당국에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중개자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공중 보건 기관에 보고하는 것은 보고 데이터를 AIMS(APHL 정보학 메시징 서비스)로 전송하고 이는 이어서 데이터를 관련 공중 보건 기관에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130)과 연관된 관리자가 시스템을 관리하고 시스템의 동작 및 결과와 연관된 보고서를 보는 것을 허용하는 데이터 관리자 포털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관리자 포털에서, 시스템의 관리자는 시스템 사용자를 생성 및 관리하고, 시스템에 대해 승인된 기기를 생성 및 관리하고, 주문 의사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일부 데이터를 채운다. 관리자는 또한 환자 테스트 데이터를 보고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VID-19 데이터의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및/또는 사용자 액세스에 대해 활성화된 조직 사이트로부터 모든 COVID-19 환자 테스트 데이터를 보고 및 질의하고, 기본적으로 지난 20일간의 데이터를 로드하고, 데이터를 질의하고 엑셀 스프레드시트로 엑스포팅할 수 있다. 관리자는 또한 환자 및/또는 테스트 데이터의 요약을 제공하는 대시보드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COVID-19 데이터의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및/또는 사용자 액세스에 대해 활성화된 조직 사이트로부터의 모든 COVID-19 환자 테스트 데이터의 대시보드를 보고, 기본적으로 지난 7일간의 환자 및/또는 테스트 데이터를 로드하고 매시간 레프레시된 이러한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본 발명은 전통적인 LIMS 시스템을 위한 PHA에 대한 보고 형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LIMS 시스템은 관련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를 집계하고, 이를 공중 보건 보고에 적합한 보고서 형식으로 만든다. 이어서, PH 데이터는 LIMS 시스템으로부터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으로 PH 보고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어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정보를 PHA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PHA에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PHA에 데이터를 보고하기 위한 편리한 전선관 및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는 다른 소스로부터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에 의해 수신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집계, 포맷하고 그리고/또는 PHA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보고 형식은 전통적인 LIMS 시스템을 위한 PHA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LIMS 시스템은 관련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를 집계하고, 이를 공중 보건 보고에 적합한 보고서 형식으로 만든다. 이어서, PH 데이터는 LIMS 시스템으로부터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으로 PH 보고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어서,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정보를 PHA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PHA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은 추가적인 방식으로 병원 및 병원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있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LIMS 시스템을 위한 PHA에 대한 보고 형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는 병원 또는 병원 의료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관련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를 집계하고, 이를 공중 보건 보고에 적합한 보고서 형식으로 만들고, 이어서, 정보를 PHA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는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LIMS에 의해 이미 서로 상관될 수 있거나, 또는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는 데이터를 상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 정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POC 테스트 또는 가정 내 테스트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 정보는 POC 또는 가정 내 테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는 이미 서로 상관되었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관련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를 집계하고, 이를 공중 보건 보고에 적합한 보고서 형식으로 만들고, 이어서, 정보를 PHA에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 및 테스트 데이터는 데이터를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로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미 서로 상관될 수 있거나, 또는 원격 데이터 수집 센터는 데이터를 상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내용은 그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관점에서 특징을 설명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수많은 다른 실시형태, 수정 및 변경이 본 개시내용의 검토로부터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Claims (20)

  1.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프로세서를 통해,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에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환자 데이터 입력 애플리케이션에서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환자 식별자는 상기 환자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환자 식별자를, 상기 환자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현장(POC) 테스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 식별자를, 상기 환자 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에 있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POC 테스트 기기에서 수신되고;
    상기 샘플은 상기 POC 테스트 기기에서 테스트되어 테스트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는 상기 환자 식별자와 함께 상기 POC 테스트 기기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되고, 이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테스트 결과를 동일한 환자 식별자와 연관되는 환자 정보와 결합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상의 포털인,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로 표시되며, 상기 원격 기기는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으로부터 상기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환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스캐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며, 상기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환자와 연관되고 신분증 상에 인코딩된 환자 정보의 적어도 서브세트를 갖는 상기 신분증을 스캐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5.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원격 서버와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환자 식별자는 상기 환자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환자 식별자를 POC 테스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환자 정보와 함께 상기 환자 식별자를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테스트가 진단 기기에서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실행되어 테스트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및 상기 환자 식별자는 상기 기기로부터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정보를 동일한 환자 식별자와 상관시키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공중 보건 기관으로 전송될 상기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정보와 관련된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7.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프로세서를 통해,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환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환자 식별자는 상기 환자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환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식별자 및 상기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에 의해 제공되는 샘플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 POC 테스트 기기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식별자를 상기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와 상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공중 보건 기관으로 전송될 상기 테스트 결과 및 환자 정보와 관련된 보고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9.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
    환자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질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환자 데이터와 연관된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환자 데이터를 상기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 리포터
    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현장 진료(POC) 테스트 기기로부터 환자 테스트 결과, 및 상기 환자 샘플이 상기 POC 테스트 기기에 의해 테스트될 때 상기 환자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환자 샘플과 연관된 환자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상기 환자 테스트 결과를 상기 환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환자 데이터와 연관시키도록;
    공중 보건 기관에 보고하기 위해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공중 보건 기관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상기 환자 테스트 결과 및 대응하는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중 보건 기관에 상기 환자 테스트 결과 및 대응하는 선택된 환자 데이터를 보고하도록
    구성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바코드의 형태인 환자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바코드 생성기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인코딩된 개인 데이터를 갖는 개인 신분증을 스캐닝하고 환자 데이터의 적어도 서브세트로서 인코딩된 개인 데이터를 포맷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대한 포털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포털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 계정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계정 생성기를 포함하고, 사용자 계정을 갖는 각각의 사용자는 상기 POC 테스트 기기에서 테스트하기 위한 샘플을 제공하는 환자를 위한 환자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은 사용자 계정을 갖는 사용자의 목록을 상기 포털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목록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목록은 샘플이 수집된 각각의 환자에 대한 환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환자 샘플에 관한 데이터 및 수집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은, 환자 데이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이용 가능한 경우 환자 ID, 테스트 상태 및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환자 데이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환자 데이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데이터 구성요소는 환자의 이름, 생년월일 및 테스트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은 사용자 계정을 갖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홈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홈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선택된 기능을 호출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기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 및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선택된 수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환자 데이터의 수집 및 대응하는 테스트 결과를 가진 선택된 환자 데이터의 보고는 테스트 결과가 상기 원격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의해 수신될 때 자동으로 수행되는,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37011056A 2020-08-31 2021-08-30 신속한 결과 및 진단 테스트 결과 보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17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72758P 2020-08-31 2020-08-31
US63/072,758 2020-08-31
PCT/US2021/048177 WO2022047284A1 (en) 2020-08-31 2021-08-30 System and method for rapid results and reporting of diagnostic test resul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796A true KR20230101796A (ko) 2023-07-06

Family

ID=8035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056A KR20230101796A (ko) 2020-08-31 2021-08-30 신속한 결과 및 진단 테스트 결과 보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8088A1 (ko)
EP (1) EP4204947A1 (ko)
JP (1) JP2023539892A (ko)
KR (1) KR20230101796A (ko)
CN (1) CN116615710A (ko)
WO (1) WO2022047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588B2 (en) * 2001-05-04 2006-05-02 Draeger Medical Infant 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point-of-care data management
FI121213B (fi) * 2004-10-18 2010-08-31 Medixine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erveystiedon valvomiseksi
US8019622B2 (en) * 2005-10-24 2011-09-13 CellTrak Technologies, Inc. Home health point-of-care and administration system
US20110257990A1 (en) * 2009-12-09 2011-10-20 Bryan Dangott Internet based interface for automatic differential counting and medical reporting
US9412089B2 (en) * 2011-09-12 2016-08-09 CSC Holdings, LLC Method for securely linking hospital patients to their service provider accou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7284A1 (en) 2022-03-03
CN116615710A (zh) 2023-08-18
JP2023539892A (ja) 2023-09-20
US20230238088A1 (en) 2023-07-27
EP4204947A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04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porting and education for laboratory test results
US202103264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uthenticating and transmitting digital health information and records
US10515718B2 (en) Point-of-care testing system
US10382442B2 (en) Secure data transmission
Hassell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adoption of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hecklists in electronic format: perspectives and experience of Reporting Pathology Protocols Project (RPP2) participant laboratories
US20120245954A1 (en) Medical Record Collection System
US20150012300A1 (en) Methods for Establishing a Cloud-based, Interactive Medical Pre-Registration System
US11308433B2 (en) Point-of-care testing system
Blumenthal The use of clinical registries in the United States: a landscape survey
US20230153458A1 (en) Secure data transmission
JP2006518081A (ja) 自動化された薬学、生物医学および医療装置の研究およびレポート作成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699917A1 (en) Management and tracking solution for specific patient consent attributes and permissions
WO2017049405A1 (en) System for managing medical consultations
KR20230101796A (ko) 신속한 결과 및 진단 테스트 결과 보고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235467A (ja) 医療連携システム
Shaw et al. Integrating patient-generated digital health data into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in ambulatory care settings: EHR vendor survey and interviews
Nwaokorie et al. Over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Nigerian medical laboratories
US20140100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Laboratory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EP4213160A1 (en) Personal medical record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noncontact screening treatment for large-scale infectious disease
KR102523227B1 (ko)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Beckwith et al. Laboratory Interoperability Best Practices
JP2001282920A (ja) 医事会計システム
JP2022187061A (ja) 動態解析情報管理装置、動態解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Faught et al. New Means of Data Collection and Accessibility
Paul A Study on Usefull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in Father Muller Medical College Hospital, Mangal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