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387A -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387A
KR20230101387A KR1020210191455A KR20210191455A KR20230101387A KR 20230101387 A KR20230101387 A KR 20230101387A KR 1020210191455 A KR1020210191455 A KR 1020210191455A KR 20210191455 A KR20210191455 A KR 20210191455A KR 20230101387 A KR20230101387 A KR 2023010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fety management
strap
work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506B1 (ko
Inventor
성백섭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06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위급상황 발생 시 매몰되거나 실종된 작업자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추적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위급상황 발생 시 매몰되거나 실종된 작업자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경우 안내 또는 경고멘트를 송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모를 올바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실시간으로 경보 및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며, 이를 통해 인명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마다 상이한 작업정보 및 위험요인을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의 불안전 행동을 최소화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를 안전모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안전모를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모를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Smart helme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ccident avoidance}
본 발명은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위급상황 발생 시 매몰되거나 실종된 작업자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 및 산업 현장을 출입하는 자는 반드시 안전 헬멧(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법제화되어있다. 이러한 안전 헬멧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작업자들은 이와 같은 안전 헬멧이 자신의 생명을 지켜주는 중요한 장비인 줄 알면서도, 착용이 부자연스럽고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는 이유 등으로 착용을 기피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산업 현장에서는 안전 헬멧 미착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산업 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사 현장이나 산업 현장의 관리는 일반적으로 본사에서 파견된 관리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관리자는 수많은 작업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와 작업 상황을 일일이 확인하고, 공사 현장이나 산업 현장에서의 업무 진척에 관한 보고를 본사로 직,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현장에서의 작업량이나 스케일이 방대해 질수록 투입되는 관리자의 인원은 점점 늘어나게 되지만, 관리자 수만 늘인다고 하여 관리자들이 작업자들의 근태를 비롯한 인사 관리를 정확히 파악 및 처리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늘어만 가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고, 작업 진척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여 분석 및 보고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일 뿐더러 불가능한 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설 회사나 산업체가 현장 관리를 위해 부담하는 인력 및 비용은 상당하지만, 그 투자 만큼의 관리 성과를 기대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위험 지역 또는 건설 현장의 근로자의 안전 사고는 추락사, 감전사, 쇼크사, 심장 마비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안전을 위한 안전 관리자의 투입에도 불구하고, 완벽한 안전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서, 매년 작업장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안전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사고 원인을 위한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반복되는 사고도 많아서 안전 관리 보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현 상황에서 위험 지역 또는 건설 현장에서는 근로자 출입 시스템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이는 근로자의 출근, 퇴근, 정보를 기록, 관리 정도의 한정적인 사용에 그치고 있다.
안전모의 착용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더라도 작업자들은 미착용한 상태로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건설현장의 특성상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독관이 실시간 감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안전모 착용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이는 방안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72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14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1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68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현장에서 위급상황 발생 시 매몰되거나 실종된 작업자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경우 안내 또는 경고멘트를 송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모를 올바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실시간으로 경보 및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마다 상이한 작업정보 및 위험요인을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의 불안전 행동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를 안전모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안전모를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안전모와;
상기 안전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위치 추적을 위한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태그부와, 작업현장에 대한 작업정보 및 위험요소정보를 작업자에게 안내하는 알림모듈과,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센서부와, 작업정보 신호 및 위험요소정보 신호를 수신 및 상기 생체정보 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할 수 있게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모듈과;
상기 안전관리모듈과 무선통신 가능하고, 상기 태그부의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도록 작업현장에 적어도 셋 이상 설치되며 고유식별주소정보가 각각 부여되고 상기 태그부에서 송출되는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수신할 시 해당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와 기부여된 고유식별주소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 및 상기 생체정보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중계부와;
상기 무선중계부에서 송출되는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태그부들 각각의 위치를 추적 및 모니터링하는 위치모니터링부와, 상기 생체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 각각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건강모니터링부와, 상기 작업정보 및 위험요소정보를 저장및 업데이트하며, 상기 작업정보 신호 및 위험요소정보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관리서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정보센서부는 작업자의 체온, 맥박, 혈압, 산소포화도, 맥박,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상기 관리서버부는 상기 생체정보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상태정보를 판정하며, 판정된 상태정보를 상기 안전관리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관리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서버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장에 대한 안전도를 판정하는 -안전도분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관리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유해물질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물질검출부에서 측정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된 기준농도를 상회할 시, 상기 알림모듈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서로 대향되는 본체 또는 머리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본체의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중앙 부분이 작업자의 귀 하부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제1고정끈 및 제2고정끈과, 상기 제1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제1체결부가 마련된 제1체결끈과, 상기 제2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상기 제1체결부와 탈착 결합 가능한 제2체결부가 마련된 제2체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리모듈은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 및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착용감지부는 상기 제1체결끈의 일 면에 설치되는 제1접촉전극과, 상기 제2체결끈의 일 면에 설치되는 제2접촉전극과, 상기 제1접촉전극과 상기 제2접촉전극이 함께 피부에 접촉될 시 작업자의 생체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서로 대향되는 본체 또는 머리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본체의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중앙 부분이 작업자의 귀 하부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제1고정끈 및 제2고정끈과, 상기 제1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제1체결부가 마련된 제1체결끈과, 상기 제2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상기 제1체결부와 탈착 결합 가능한 제2체결부가 마련된 제2체결끈을 포함하고, 작업자가 머리를 숙일 시 상기 본체가 기울어져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립방지끈은 일 단이 상기 본체의 후단 측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추적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위급상황 발생 시 매몰되거나 실종된 작업자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경우 안내 또는 경고멘트를 송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모를 올바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실시간으로 경보 및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며, 이를 통해 인명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마다 상이한 작업정보 및 위험요인을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의 불안전 행동을 최소화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를 안전모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안전모를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모를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립방지끈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머리를 숙이더라도 안전모가 기울어져 시야를 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의 안전모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의 안전모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모(100)와, 송풍기(150)와, 안전관리모듈(200)과, 무선중계부(300)와, 관리서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모(100)는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110), 본체(110)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외피부와 내피부 및 지지부로 구성되며, 외피부는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내피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완충소재로 형성된다.
외피부 표면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이 더 구비되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부에 저장된다.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력은 센서 및 통신에 활용된다.
지지부는 작업자의 머리와 내피부 사이에 일정한 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작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다.
고정부(120)는 서로 대향되는 본체(110) 또는 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본체의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중앙부분이 작업자의 귀 하부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제1고정끈(121) 및 제2고정끈과, 제1고정끈(121)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제1체결부(123)가 마련된 제1체결끈(122)과, 제2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제1체결부(123)와 탈착 결합 가능한 제2체결부(126)가 마련된 제2체결끈(125)을 포함한다. 제1체결부(123)와 제2체결부(126)는 통상의 원터치식 버클을 적용할 수 있다.
송풍기(150)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10) 외부의 공기를 본체(110)의 수용공간으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상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송풍기(15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작업자의 머리를 향해 흐를 수 있도록 송풍기(150)가 설치된 내피부의 일부 영역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관리모듈(200)은 장착부(210)와, 태그부(220)와, 알림모듈(230)과, 생체정보센서부(240)와, 통신부(250)와 제어부(260)를 구비한다.
장착부(210)는 안전관리모듈(200)을 본체(110)에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밴드 타입을 적용하였다. 장착부(210)는 본체(110)의 둘레보다 약간 작은 둘레를 갖고, 탄성을 가져 사이즈를 조절 할 수 있게 형성된다.
장착부(210)의 일 측에는 태그부(220), 알림모듈(230), 통신부(250), 제어부(260) 및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등과 같은 각종 장치들을 내장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211)이 결합되어 있다.
태그부(220)는 장착부(210)에 내장 설치되고 위치 추적을 위한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한다. 태그부(220)는 저전력 동작을 위한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을 적용하여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무선 송출할 수 있다.
알림모듈(230)은 작업현장에 대한 작업정보 및 위험요소정보를 작업자에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스피커를 적용하였다.
생체정보센서부(240)는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체온, 맥박, 혈압, 산소포화도, 맥박,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한다. 생체정보센서부(24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들은 실시간으로 제어부(260)에 전송된다.
통신부(250)는 후술하는 관리서버부(400)에서 무선 송출되는 작업정보 신호 및 위험요소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정보센서부(24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 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한다.
무선중계부(300)는 본체(110)의 위치 즉, 태그부(220)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관리모듈(200)과 무선통신 가능하고, 태그부(220)의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도록 작업현장에 적어도 셋 이상 설치된다.
무선중계부(300)는 고유식별주소정보가 각각 부여되고 태그부(220)에서 송출되는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수신할 시 해당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와 기부여된 고유식별주소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 및 안전관리모듈(200)에서 전송된 생체정보 신호를 관리서버부(40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무선중계부(300)는 통신 가능한 범위(일 예로, BLE의 통신 가능 범위인 50m~70m)내에 위치한 태그부(220)들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무선중계부(300)는 태그부(220)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통해 태그부(220)와의 거리를 감지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무선중계부(300)에서 어느 하나의 태그부(220)에 대한 거리를 각각 감지할 수 있으면, 후술하는 관리서버부(400)에서 해당 태그부(220)의 위치를 정밀하게 특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부(400)는 무선중계부(300)에서 송출되는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작업정보 및 위험요소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며, 작업정보 신호 및 위험요소정보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관리서버부(400)는 위치모니터링부(410)와, 건강모니터링부(420)를 구비한다.
위치모니터링부(410)는 수신된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태그부(220)들 각각의 위치를 추적 및 모니터링한다.
건강모니터링부(420)는 생체정보 신호를 수신 및 수집하여 작업자 각각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건강상태가 미리 저장된 기준상태 또는 평상상태와 현저하게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관리자와 해당 작업자에게 이벤트 신호를 송출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부(400)는 생체정보센서부(24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상태정보를 판정하며, 판정된 상태정보를 안전관리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관리모듈(200)에서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알림모듈(230)을 통해 해당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음성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70)를 더 구비한다. 카메라(270)는 작업자의 시야에 대응되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관리서버부(400)로 전송된다.
그리고, 관리서버부(40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카메라(27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장에 대한 안전도를 판정하는 안전도분석부(43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안전관리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유해물질검출부(28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유해물질검출부(280)에서 측정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된 기준농도를 상회할 시, 알림모듈(230)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유해물질은 카드뮴 및 그 화합물, 염소 및 염화수소, 플루오르, 플루오르화수소 및 플루오르화규소, 납 및 그 화합물, 질소 산화물 등을 유해 물질의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모듈(200)은 본체(110)의 착용 여부 및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290)를 더 구비한다. 착용감지부(290)는 작업자가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체결끈(122)의 일 면에 설치되는 제1접촉전극과, 제2체결끈(125)의 일 면에 설치되는 제2접촉전극과, 제1접촉전극과 제2접촉전극이 피부에 접촉시 작업자의 생체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안전모(100)를 착용할 시, 고정부(120)에 부착된 양측의 제1접촉전극과 제2접촉전극이 작업자의 턱이나 뺨 주위의 피부에 의해 도통되고, 이때 작업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생체전류가 전류센서에 감지되며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안정적으로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다르게 고정부(120)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안전모(100)를 머리 위에 쓰는 경우 제1접촉전극과 제2접촉전극 사이게 개방되므로 전류센서에서 생체전류가 감지되지 않고 이 경우 착용감지부(290)는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부적절하게 착용 또는 미착용한 상태로 판정한다. 이 경우, 알림모듈(230)을 통해 고정부(120)를 통해 안전모(100)를 안정적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안내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작업자가 머리를 숙일 시 본체(100)가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져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끈(130)을 더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립방지끈(130)은 일 단이 본체(100)의 후단 측 또는 본체의 후단 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 단이 고정부(120)의 일 측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슬립방지끈은 지지부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본체의 후단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슬립방지끈(130)은 2개가 구비되며, 일 측 슬립방지끈(130)은 제1고정끈(121)과 제1체결끈(122)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되고, 타 측의 슬림방지끈(130)은 제2고정끈과 제2체결끈(125)이 만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일 측 슬립방지끈(130)은 제1체결부(123)와 인접하는 제1체결끈(122)의 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타 측 슬립방지끈(130)은 제2체결부(126)와 인접하는 제2체결끈(125)의 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슬립방지끈(130)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소재 또는 탄성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립방지끈(130)은 본체(100)를 머리에 착용시 특정 위치에서 고정부(120)가 위치하므로 작업자가 머리를 숙이더라도 본체(100)의 후단 측을 지지하여 본체(1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시야가 차단되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의 관리서버부는 안전관림모듈에서 검출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위험요소에 의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요소에 의한 사고 발생 가능성은 작업자의 위치, 위험요소의 위치, 작업환경정보의 위험 요소에 대한 이동 방향 등의 정보들을 반영한 딥러닝을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정보들을 반영한 딥러닝 자체 기술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관리서버부는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반으로 작업자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데이터러닝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러닝모듈은 작업자의 정상 활동 정보, 이상 활동 정보 및 위험 지각 정보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한다. 데이터러닝모듈에서 이루어지는 기계 학습 방식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딥 러닝일 수도 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데이터러닝모듈은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머신 러닝을 통하여 작업자의 정상 활동 정보, 이상 활동 정보 및 위험 지각 정보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신경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할 수도 있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데이터러닝모듈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딥러닝 모델의 입력으로 처리하여 건강상태 및 병리증상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딥러닝 모델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함수를 포함하며, 학습 입력 데이터 세트 및 학습 출력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 세트를 통해 학습되고, 그리고 학습 입력 데이터 세트는, 복수의 작업자 각각으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복수의 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며, 학습 출력 데이터 세트는, 상기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학습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안전모
150 : 송풍기
200 : 안전관리모듈
300 : 무선중계부
400 : 관리서버부

Claims (6)

  1.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안전모와;
    상기 안전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위치 추적을 위한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태그부와, 작업현장에 대한 작업정보 및 위험요소정보를 작업자에게 안내하는 알림모듈과,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정보센서부와, 작업정보 신호 및 위험요소정보 신호를 수신 및 상기 생체정보 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할 수 있게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안전관리모듈과;
    상기 안전관리모듈과 무선통신 가능하고, 상기 태그부의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도록 작업현장에 적어도 셋 이상 설치되며 고유식별주소정보가 각각 부여되고 상기 태그부에서 송출되는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를 수신할 시 해당 고유식별아이디정보 신호와 기부여된 고유식별주소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 및 상기 생체정보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중계부와;
    상기 무선중계부에서 송출되는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추적감지정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태그부들 각각의 위치를 추적 및 모니터링하는 위치모니터링부와, 상기 생체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 각각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건강모니터링부와, 상기 작업정보 및 위험요소정보를 저장및 업데이트하며, 상기 작업정보 신호 및 위험요소정보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관리서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센서부는 작업자의 체온, 맥박, 혈압, 산소포화도, 맥박,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상기 관리서버부는 상기 생체정보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상태정보를 판정하며, 판정된 상태정보를 상기 안전관리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서버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장에 대한 안전도를 판정하는 안전도분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유해물질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물질검출부에서 측정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설정된 기준농도를 상회할 시, 상기 알림모듈을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서로 대향되는 본체 또는 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본체의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중앙 부분이 작업자의 귀 하부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제1고정끈 및 제2고정끈과, 상기 제1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제1체결부가 마련된 제1체결끈과, 상기 제2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상기 제1체결부와 탈착 결합 가능한 제2체결부가 마련된 제2체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관리모듈은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 및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착용감지부는 상기 제1체결끈의 일 면에 설치되는 제1접촉전극과, 상기 제2체결끈의 일 면에 설치되는 제2접촉전극과, 상기 제1접촉전극과 상기 제2접촉전극이 함께 피부에 접촉될 시 작업자의 생체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서로 대향되는 본체 또는 지지부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본체의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중앙 부분이 작업자의 귀 하부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제1고정끈 및 제2고정끈과, 상기 제1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제1체결부가 마련된 제1체결끈과, 상기 제2고정끈의 중앙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에 상기 제1체결부와 탈착 결합 가능한 제2체결부가 마련된 제2체결끈을 포함하고,
    작업자가 머리를 숙일 시 상기 본체가 기울어져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립방지끈은 일 단이 상기 본체의 후단 측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KR1020210191455A 2021-12-29 2021-12-29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KR10261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455A KR102615506B1 (ko) 2021-12-29 2021-12-29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455A KR102615506B1 (ko) 2021-12-29 2021-12-29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387A true KR20230101387A (ko) 2023-07-06
KR102615506B1 KR102615506B1 (ko) 2023-12-19

Family

ID=8718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455A KR102615506B1 (ko) 2021-12-29 2021-12-29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50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28Y1 (ko) * 2004-03-31 2004-07-01 주식회사 범홍 방탄헬멧용 턱끈 조절구
KR20110077295A (ko) 2009-12-30 2011-07-07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 신호 감지형 안전모를 포함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196802B1 (ko) 2011-11-04 2012-11-05 김인희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20130021060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402120B1 (ko) 2010-04-20 2014-06-03 (주)모토넷 무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
KR101431424B1 (ko) 2014-03-05 2014-08-18 (주)우주텔레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33118B1 (ko) * 2018-05-31 2019-10-16 (주)엠디자인 작업 현장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51978B1 (ko) * 2019-07-24 2020-09-04 (주)영신디엔씨 근로자 안전모 정상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56936B1 (ko) * 2020-12-01 2021-05-27 (주)스토리포유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28Y1 (ko) * 2004-03-31 2004-07-01 주식회사 범홍 방탄헬멧용 턱끈 조절구
KR20110077295A (ko) 2009-12-30 2011-07-07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 신호 감지형 안전모를 포함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402120B1 (ko) 2010-04-20 2014-06-03 (주)모토넷 무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
KR20130021060A (ko) *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196802B1 (ko) 2011-11-04 2012-11-05 김인희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431424B1 (ko) 2014-03-05 2014-08-18 (주)우주텔레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33118B1 (ko) * 2018-05-31 2019-10-16 (주)엠디자인 작업 현장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51978B1 (ko) * 2019-07-24 2020-09-04 (주)영신디엔씨 근로자 안전모 정상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56936B1 (ko) * 2020-12-01 2021-05-27 (주)스토리포유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506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224B1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US10665087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76848B1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8368B1 (ko) 작업장 환경 및 근로자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20160015089A (ko) 소방관용 스마트 보호 헬멧 시스템 및 장치
US11013288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KR102221811B1 (ko) 뇌파기반 스마트 안전모 관리 시스템
CN209915106U (zh) 一种头盔佩戴监测装置及安全监测系统
KR20180125851A (ko) 스마트 안전관리 기기 및 이를 활용한 안전관리시스템
KR102359204B1 (ko) 근로자의 근무상태 및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20220074996A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10077295A (ko) 생체 신호 감지형 안전모를 포함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KR102615506B1 (ko) 사고 회피를 위한 스마트 안전모 안전관리시스템
JP7015655B2 (ja) 頭部保護帽体用内装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頭部保護帽体
KR101995631B1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CN113243606A (zh) 具备远程通信功能的防护安全帽及安全管理方法
KR101592830B1 (ko)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217743282U (zh) 基于传感器的安全帽佩戴检测系统
CN212994764U (zh) 一种安全帽
CN114121282A (zh) 一种智慧安全帽的检测方法及系统
KR20220135396A (ko)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CN214384926U (zh) 一种基于随机森林的安全帽检测仪
KR102549306B1 (ko)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감전사고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