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27A - Line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Line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227A
KR20230101227A KR1020210191155A KR20210191155A KR20230101227A KR 20230101227 A KR20230101227 A KR 20230101227A KR 1020210191155 A KR1020210191155 A KR 1020210191155A KR 20210191155 A KR20210191155 A KR 20210191155A KR 20230101227 A KR20230101227 A KR 2023010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unit
rail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227A/en
Publication of KR2023010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2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Abstract

라인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라인 관리 장치는 라인내 레일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 탑승을 위해 상기 프레임유닛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레일과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이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레일과 연동설치되는 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모듈과, 상기 핸들모듈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모듈과, 상기 레일과 접촉되며 상기 기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구동력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을 포함한다.A line management device is provided. The line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frame unit installed on a rail within the line; a base unit installed under the frame unit for boarding; and an opera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rail and the frame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rame unit on the rail, wherein the frame unit includes the rail and the frame unit so as to be movable on the frame unit in a sliding manner. It includes a sliding module interlockingly installed,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handle module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a gea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of the handle module, and contact with the rail. and a roller module for moving the frame on the rail throug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gear module.

Description

라인 관리 장치{Line management apparatus}Line management apparatus {Line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라인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 management device.

라인 내 OHT 레일 설치 구간에 사전 설치된 설비 등으로 레일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지그재그 베이(Bay)에 배열된 설비 레일 상단에 설치된 STB (Side Track Buffer) 및 고장이 발생된 OHT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 It is often difficult to install rails due to pre-installed facilities in the OHT rail installation section in the line. In this case, it is not easy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a side track buffer (STB) installed on top of a facility rail arranged in a zigzag bay and a failed OHT.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337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337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라인 내 OHT 레일 설치 구간에 사전 설치된 설비 등으로 레일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installation of the rails with facilities pre-installed in the OHT rail installation section in the line.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STB (Side Track Buffer), 고장이 발생된 OHT 등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facilitate maintenance work for STB (Side Track Buffer) and OHT with a failure in various situations.

또한 일반적인 롤링 타워 및 사다리 방식과 대비하여 라인 내 구조물에 대한 보다 신속한 유지 보수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enable quick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tructures within the line in contrast to the general rolling tower and ladder method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라인 관리 장치는 라인내 레일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 탑승을 위해 상기 프레임유닛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레일과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이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레일과 연동설치되는 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모듈과, 상기 핸들모듈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모듈과, 상기 레일과 접촉되며 상기 기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구동력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을 포함한다.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unit installed on a rail in the line; a base unit installed under the frame unit for boarding; and an opera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rail and the frame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rame unit on the rail, wherein the frame unit includes the rail and the frame unit so as to be movable on the frame unit in a sliding manner. It includes a sliding module interlockingly installed,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handle module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a gea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of the handle module, and contact with the rail. and a roller module for moving the frame on the rail throug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gear module.

또한 상기 베이스유닛은, 다수의 플레이트모듈과, 상기 플레이트모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간에 회동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식 개폐를 통해 개구된 개구영역은 풉(FOUP)이 위치되는 이적재구역과 대응한다.In addition, the bas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modules and a rotation module for enabling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some of the plate modules with each other, and the opening area opened through the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is a FOUP It corresponds to the transfer loading area where it is located.

또한 상기 베이스유닛은, 다수의 플레이트모듈과, 상기 플레이트모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간에 회동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식 개폐를 통해 개구된 개구영역은 풉(FOUP)이 위치되는 이적재구역과 대응한다.In addition, the bas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modules and a rotation module for enabling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some of the plate modules with each other, and the opening area opened through the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is a FOUP It corresponds to the transfer loading area where it is located.

또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OHT유닛이 상기 풉을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상기 이적재구역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이적재구역으로부터 상기 풉을 수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se unit allows the OHT unit to transfer the FOUP to the transfer area through the opening area or to collect the FOUP from the transfer area.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이 회동되어 개구되면 회동된 상기 플레이트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파지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모돌은, 상기 프레임모듈상에 설치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모듈측으로 설치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몸체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모듈과 접촉하여 접촉부가 구비된다.It is provided on the fram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gripping module for fixing the rotated plate module when the base unit is rotated and opened, wherein the gripping module includes a support body installed on the frame module, and the support It includes an extension body installed from the body toward the plate module, and the extension body has an end portion having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late module.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이 회동되어 개구되면 회동된 상기 플레이트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상에 설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상에서 진퇴방식으로 상기 베이스유닛에 장착 또는 해제되는 진입체를 포함한다.It is provided on the fram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module for fixing the rotated plate module when the base unit is rotated and opened, the fixing module comprising: a fixing body installed on the frame module; It includes an entry body that is mounted on or released from the base unit in a forward and backward manner on the body.

또한 상기 레일은 양측면에 내부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설치되는 중앙패널부과, 상기 중앙패널부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들 각각의 내벽에서 설치되는 제2롤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제2롤러모듈이 상기 함입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ail includes recessed portions on both side surfaces, and the sliding module includes a central panel portion installed in the frame unit, a pair of wall portions provided upwar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nel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and a second roller module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each of the parts, and the sliding module is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roller module enters the recessed part.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부에 위치되는 가로형프레임모듈과, 높이방향상의 교차면을 기반으로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과 교차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형프레임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형프레임모듈은, 상기 교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높이방향상에서 장착상태 혹은 탈거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탈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레일 주행시 주행경로상의 돌출된 저촉물로 인한 주행불능 상황을 해소하도록 상기 탈거상태로 주행된다.In addition, the frame unit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module positioned above the base unit and one or more vertical frame modules installed above the base unit so as to cross the horizontal frame module based on an intersection surface in a height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module includes a removal module provided to be installed or removed in a height direction of an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intersection surface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surface, and the frame unit includes the rail When driving, it travels in the disengaged state to solve the driving impossibility situation due to the protruding obstacle on the driving route.

또한 상기 저촉물은 상기 프레임유닛이 상기 레일의 커브구간 주행에 따라 상기 레일 자체에 구비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llision object includes a structure provided on the rail itself as the frame unit travels in the curving section of the rail.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으로부터 외부로 탑승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앙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 또는 세로형프레임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유닛 사이에 설치된다.Further, a support unit for preventing occupants from escaping from the frame unit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upport unit is a support unit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module or the vertical frame modul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unit. Further,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it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se unit.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 상호간에 설치되는 제1형태와, 상기 프레임유닛 사이에 중간매개체를 통해 다수로 설치되는 제2형태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s are installed in any one of a first type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its and a second type installed in plurality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between the frame units.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일측을 이루는 바 형상의 제1지지체과, 상기 제1지지체에 삽입설치되어 출몰되는 제2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지지체외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가압고정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bar-shaped first support that forms one side, a second support that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to the first support, and pressurized to press and fix the outside of the second support via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contains a fixture.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레일상에서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유닛 상호간의 사이공간으로 대상물을 이송 또는 수거하기 위한 승하강작업유닛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ame units are provided as a pair to face each other on the rail, and further include a lifting and lowering work unit for transferring or collecting an object to a space between the frame unit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라인 관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line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라인 내 OHT 레일 설치 구간에 사전 설치된 설비 등으로 레일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easy installation of rails with pre-installed facilities in the OHT rail installation section in the line.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STB (Side Track Buffer), 고장이 발생된 OHT 등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maintenance work for STB (Side Track Buffer) and OHT with a failure in various situations.

또한 일반적인 롤링 타워 및 사다리 방식과 대비하여 라인 내 구조물에 대한 보다 신속한 유지 보수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quick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tructures within the line, as compared to general rolling tower and ladder metho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관리 장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라인 관리 장치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도 1에 따른 라인 관리 장치 작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3에 따른 라인 관리 장치와 대비되는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FIG. 1 .
4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 .
14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working states of the 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FIG. 1 .
16 is a reference view contrasted with the 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FIG. 13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대상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대상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대상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대상을 뒤집을 경우, 다른 대상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대상은 다른 대상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대상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objects or components with other objec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objec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n object shown in a drawing, an objec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objec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objec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Objec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대상,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대상,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대상,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대상,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대상,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대상,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objec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objec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objec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object, component or section.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first object, a first component or a first section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object, a second component or a second section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대상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대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objec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objec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관리 장치는 프레임유닛(110), 베이스유닛(120), 조작유닛(130), 파지모듈(140), 중간매개체(152), 고정모듈(160), 지지유닛(170) 및 가압고정모듈(180)을 포함한다. (도 1, 도4 및 도 9 참조)Referring to FIG. 1, the 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10, a base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 gripping module 140, an intermediate medium 152, and a fixing module ( 160), a support unit 170 and a pressure fixing module 180. (See Figs. 1, 4 and 9)

상기 프레임유닛(110)은 프레임모듈 및 슬라이딩모듈(115)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모듈은 가로형프레임모듈(111) 및 세로형프레임모듈(112)를 포함한다. 세로형프레임모듈(112)은 탈거구조체(112S)를 포함한다. (도 1 참조 도 7 내지 도 8 참조)The frame unit 110 includes a frame module and a sliding module 115. The frame module includes a horizontal frame module 111 and a vertical frame module 112 . The vertical frame module 112 includes a removal structure 112S. (See FIG. 1, see FIGS. 7 and 8)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은 중앙패널부(1151), 벽체부(1152,1154) 및 제2롤러모듈(115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20)은 플레이트모듈(121) 및 회동모듈(122)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4참조)In addition, the sliding module 115 includes a central panel part 1151, wall parts 1152 and 1154, and a second roller module 1154. The base unit 120 includes a plate module 121 and a rotation module 122 . (See Figures 1 and 4)

상기 조작유닛(130)은 핸들모듈(131), 기어모듈(132) 및 롤러모듈(133)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모듈(140)은 지지몸체(141), 연장몸체(142) 및 접촉부(143)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10 참조)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handle module 131, a gear module 132 and a roller module 133. The gripping module 140 includes a support body 141 , an extension body 142 and a contact part 143 . (See FIGS. 1 and 10)

이러한 상기 고정모듈(160)은 고정몸체(161) 및 진입체(16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170)은 제1지지체(171), 제2지지체(172) 및 가압고정체(173)를 포함한다. (도 11 참조)The fixing module 160 includes a fixing body 161 and an entry body 162. The support unit 170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171, a second support body 172 and a press fixture 173. (See Fig. 11)

상기 프레임유닛(110)은 라인내 레일(R)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유닛(120)은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상기 프레임유닛(110) 하부에 설치된다.상기 조작유닛(130)은 상기 레일(R)과 상기 프레임유닛(110)에 연동된다. (도 1 및 도 5 참조)The frame unit 110 is installed on the rail (R) in the line. The base unit 120 is installed below the frame unit 110 for a worker to board. The control unit 130 is interlocked with the rail R and the frame unit 110 . (See Figs. 1 and 5)

이때 상기 조작유닛(130)은 상기 연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유닛(110)이 상기 레일(R)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1, 도 4 및 도 5 참조)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rame unit 110 on the rail R through the linkage. The sliding module 115 of the frame unit 110 is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frame unit 110 in a sliding manner. (See Figs. 1, 4 and 5)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은 상기 슬라이딩방식을 통해 상기 레일(R)과 연동설치된다. 상기 조작유닛(130)의 상기 핸들모듈(131)은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참조)The sliding module 115 is interlocked with the rail R through the sliding method. The handle module 131 of the control unit 130 serves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See Fig. 4)

한편 상기 조작유닛(130)의 상기 기어모듈(132)는 상기 핸들모듈(13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작유닛(130)의 상기 롤러모듈(133)은 상기 레일(R)과 접촉된다. (도 4, 도 5, 도 12 및 도 13 참조)Meanwhile, the gear module 132 of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handle module 131 . The roller module 133 of the control unit 130 is in contact with the rail R. (See FIGS. 4, 5, 12 and 13)

상기 조작유닛(130)의 상기 롤러모듈(133)은 상기 기어모듈(132)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구동력을 통해 상기 프레임유닛(110)을 상기 레일(R)상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 도 5, 도 12 및 도 13 참조)The roller module 133 of the control unit 130 serves to move the frame unit 110 on the rail R throug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gear module 132 . (See FIGS. 4, 5, 12 and 13)

여기서 상기 베이스유닛(120)의 상기 프레이트모듈(121)은 유사 혹은 타종의 규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유닛(120)의 상기 회동모듈(122)은 상기 플레이트모듈(121)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간에 회동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2 참조)Here, a plurality of the plate modules 121 of the base unit 120 are installed in a similar or different standard. The rotation module 122 of the base unit 120 serves to enable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some of the plate modules 121 with each other. (See Figures 1 and 2)

아울러 상기 베이스유닛(120)의 상기 회동식 개폐를 통해 개구된 개구영역(OL)은 풉(Foub)(F)이 위치되는 이적재구역(DL)과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2 참조)In addition, the opening area OL opened through the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base unit 12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ransfer area DL where the Foub F is located. (See Figures 1 and 2)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은 상기 OHT유닛이 상기 풉(F)을 상기 개구영역(OL)을 통해 상기 이적재구역(DL)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이적재구역(DL)으로부터 상기 풉(F)을 수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2 참조)In the plate module 121, the OHT unit transfers the FOUP F to the transfer area DL through the opening area OL, or transfers the FOUP F from the transfer area DL. Available for collection. (See Figures 1 and 2)

한편 상기 파지모듈(140)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상의 중간매개체(150)에 구비된다. 상기 파지모듈(140)은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이 회동되어 개구되면 회동된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을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10 참조)Meanwhile, the gripping module 140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member 150 on the frame unit 110 . The holding module 140 serves to fix the rotated plate module 121 when the plate module 121 is rotated and opened. (See FIGS. 1 and 10)

상기 파지모듈(140)의 상기 지지몸체(141)는 상기 프레임모듈상에 설치된다. 상기 파지모듈(140)의 상기 연장몸체(142)는 상기 지지몸체(141)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측으로 설치된다. (도 1 및 도 10 참조)The support body 141 of the gripping module 140 is installed on the frame module. The extension body 142 of the gripping module 140 is installed toward the plate module 121 from the support body 141 . (See FIGS. 1 and 10)

상기 파지모듈(140)의 상기 연장몸체(142)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모듈(121)과 접촉하여 접촉부(14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160)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상의 중간매개체(150)상에 구비된다. (도 1 및 도 10 참조)The extension body 142 of the gripping module 140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143 in contact with the plate module 121 at an end. The fixing module 160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member 150 on the frame unit 110 . (See FIGS. 1 and 10)

여기서 상기 고정모듈(160)은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이 회동되어 개구되면 회동된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을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모듈(160)의 상기 고정몸체(150)는 상기 중간매개체(150)상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9 참조)Here, the fixing module 160 serves to fix the rotated plate module 121 when the plate module 121 is rotated and opened. The fixing body 150 of the fixing module 160 is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member 150. (See Figs. 1 and 9)

상기 고정모듈(160)의 상기 진입체(162)는 상기 고정몸체(161)상에서 진퇴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모듈(121)에 장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1 및 도 9 참조)The entry body 162 of the fixing module 160 is provided to be mounted on or released from the plate module 121 in a forward and backward manner on the fixing body 161 . (See Figs. 1 and 9)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의 상기 중앙패널부(1151)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의 상기 벽체부(1152,1153)은 상기 중앙패널부(1151)부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한 쌍으로 구비된다. (도 4, 도 5 및 도 13 참조)In addition, the central panel part 1151 of the sliding module 115 is installed on the frame unit 110. The wall parts 1152 and 1153 of the sliding module 115 are provided as a pair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anel part 1151 toward the top. (See FIGS. 4, 5 and 13)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의 상기 제2롤러모듈(1154)은 상기 벽체부(1152,1153)들 각각의 내벽에서 설치된다. 상기 레일(R)은 양측면에 내부로 함입된 함입부(D)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모듈(115)은 상기 제2롤러모듈(1154)이 양측의 상기 함입부(D)로 각각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도 4, 도 5 및 도 13 참조)The second roller module 1154 of the sliding module 115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each of the wall parts 1152 and 1153. The rail (R) includes a recessed portion (D) recessed into the inside on both side surfaces. The sliding module 115 is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roller module 1154 enters the recessed part D on both sides, respectively. (See FIGS. 4, 5 and 13)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111)은 상기 베이스유닛(120)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세로형프레임모듈(112)은 높이방향상의 교차면을 기반으로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111)과 교차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120)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 (도 1 및 도 5 참조)The horizontal frame module 111 of the frame module is located above the base unit 120 . At least one vertical frame module 112 is installed above the base unit 120 so as to cross the horizontal frame module 111 based on an intersection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See Figs. 1 and 5)

아울러 상기 세로형프레임모듈(112)의 상기 탈거구조체(112S)는 상기 교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높이방향상에서 장착상태 혹은 탈거상태가 되도록 구비된다. (도 1, 도 5 및 도 6 차 참조)In addition, the detachable structure 112S of the vertical frame module 112 is provided so as to be mounted or detach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p or bottom of the intersection surface based on the intersection surface. (See FIGS. 1, 5 and 6)

상기 프레임유닛(110)은 상기 레일(R) 주행시 주행경로상의 돌출된 저촉물(b)로 인한 주행불능 상황을 해소하도록 상기 탈거상태로 주행된다. 상기 저촉물(b)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이 상기 레일(R)의 커브구간 주행에 따라 상기 레일(R) 자체에 구비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 도 7 및 도 8 참조)The frame unit 110 travels in the dismounted state to solve a situation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travel due to the protruding object b on the travel path when the rail R travels. The object (b) includes a structure provided on the rail (R) itself as the frame unit (110) travels in a curve section of the rail (R). (See Figs. 1, 7 and 8)

한편 상기 가압고정모듈(180)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을 상기 레일(R)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고정모듈(180)의 가이드블록(181)은 상기 프레임모듈상에 설치된다. (도 6 및 도 12 참조)Meanwhile, the pressure fixing module 180 serves to fix the frame unit 110 on the rail R. The guide block 181 of the pressure fixing module 180 is installed on the frame module. (See FIGS. 6 and 12)

상기 가압고정모듈(180)의 상기 관통바(182)는 상기 가이드블록(181)을 관통하여 상하 유동된다. 상기 가압고정모듈(180)의 상기 취급부(183)는 상기 관통바(182)의 일방에 설치되 상기 관통바(182)를 취급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12 참조)The through-bar 182 of the pressing and fixing module 180 passes through the guide block 181 and moves up and down. The handling part 183 of the pressure fixing module 18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rough bar 182 and serves to handle the through bar 182 . (See FIGS. 6 and 12)

여기서 상기 가압고정모듈(180)의 상기 가압체(184)는 상기 관통바(182)의 타방에 설치되며 상기 취급부(183)의 취급을 기반으로 상기 레일을 가압한다. 상기 관통바(182)는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일부를 경유하거나 상기 프레임유닛(110)과 별개로 유동된다. (도 6 및 도 12 참조)Here, the pressing body 184 of the press fixing module 18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bar 182 and presses the rail based on the handling of the handling unit 183 . The through bar 182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frame unit 110 or flows separately from the frame unit 110 . (See FIGS. 6 and 12)

상기 지지유닛(170)은 상기 프레임유닛(110)으로부터 외부로 탑승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유닛(170)은 상기 베이스유닛(120)의 앙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111) 또는 세로형프레임모듈(112) 사이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11 참조)The support unit 170 serves to prevent an occupa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unit 110 to the outside. The support unit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module 111 or the vertical frame module 112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unit 120 . (See FIGS. 1 and 11)

상기 지지유닛(170)은 상기 베이스유닛(120)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유닛(110) 사이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11 참조) 상기 지지유닛(170)은 상기 프레임유닛(110) 상호간에 설치되는 제1형태와, 상기 프레임유닛(110) 사이에 중간매개체(150)를 통해 다수로 설치되는 제2형태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된다. (도 1, 도 2 및 도 10 참조)The support unit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its 110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se unit 120 . (See FIGS. 1 and 11 ) The support units 170 include a first type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its 110 and a second type installed in plurality through an intermediate member 150 between the frame units 110. It is installed in one of two forms. (See Figs. 1, 2 and 10)

한편 상기 지지유닛(170)의 상기 제1지지체(171)는 일측을 이루는 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유닛(170)의 상기 제2지지체(172)는 상기 제1지지체(171)에 삽입 설치된다. (도 11 참조)Meanwhile, the first support body 171 of the support unit 170 is provided in a bar shape forming one side. The second supporter 172 of the support unit 17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first supporter 171 . (See Fig. 11)

상기 제2지지체(172)는 상기 제1지지체(171)에 삽입 설치되어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유닛(170)의 상기 가압고정체(173)는 상기 제1지지체(171)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지지체(172)의 외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11 참조)The second support 172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to the first support 171 so as to be able to emerge and exit. The pressure fixture 173 of the support unit 170 serves to pressurize and fix the outside of the second support 172 via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171 . (See FIGS. 1 and 11)

여기서 상기 프레임유닛(110)은 상기 레일(R)상에서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대상물(OP)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유닛(15)을 통해 상기 프레임유닛(110) 상호간의 사이공간으로 대상물(OP)이 전달받는다. (도 2 및 도 3 참조)Here, the frame units 110 are provided as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rail R, an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15 that lifts and lowers the object OP, the frame units 110 move to the space between each other. The object (OP) is delivered. (See Figs. 2 and 3)

도 14 내지 도 15에 따른 상기 라인관리장치에 따르면 도 16의 일반적인 롤링타워방식의 구조물과 대비하여 이동형 고소 작업방식인 상기 라인관리장치 는 하부에 위치되는 작업인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in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FIGS. 14 to 15, compared to the general rolling tower type structure of FIG. 16, the line management device, which is a mobile high-altitude work method,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at the bottom.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10: 프레임유닛
120: 베이스유닛
130: 조작유닛
140: 파지모듈
150: 중간매개체
160: 고정모듈
170: 지지유닛
180: 가압고정모듈
R: 레일
D: 함입부
RC: 마감체
110: frame unit
120: base unit
130: operation unit
140: gripping module
150: intermediate
160: fixed module
170: support unit
180: pressure fixing module
R: rail
D: indentation
RC: closed body

Claims (10)

라인내 레일에 설치되는 프레임유닛;
탑승을 위해 상기 프레임유닛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레일과 상기 프레임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이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레일과 연동설치되는 슬라이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모듈과,
상기 핸들모듈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모듈과,
상기 레일과 접촉되며 상기 기어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구동력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상기 레일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모듈을 포함하는, 라인관리장치.
A frame unit installed on a rail in the line;
a base unit installed under the frame unit for boarding; and
And an operat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rail and the frame unit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rame unit on the rail,
The frame unit,
It includes a sliding module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ail so as to be movable on the frame unit in a sliding manner,
The control unit is
A handle module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A gea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based on rotation of the handle module;
and a roller module contacting the rail and moving the frame on the rail throug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gea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다수의 플레이트모듈과, 상기 플레이트모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간에 회동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식 개폐를 통해 개구된 개구영역은 풉(FOUP)이 위치되는 이적재구역과 대응하는 것인,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unit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modules and a pivoting module that allows at least some of the plate modules to be pivotally opened and closed with each other,
The lin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opening area opened through the rotational opening and closing corresponds to the transfer area where the FOUP is loc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OHT유닛이 상기 풉을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상기 이적재구역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이적재구역으로부터 상기 풉을 수거되도록 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ase unit allows the OHT unit to transfer the FOUP to the transfer area through the opening area or to collect the FOUP from the transfer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이 회동되어 개구되면 회동된 상기 플레이트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파지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모돌은,
상기 프레임모듈상에 설치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모듈측으로 설치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몸체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모듈과 접촉하여 접촉부가 구비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It is provided on the fram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gripping module for fixing the rotated plate module when the base unit is rotated and opened,
The phagemodol,
A support body installed on the frame module;
An extension body installed from the support body toward the plate module,
The extension body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late module at the end, the line manage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이 회동되어 개구되면 회동된 상기 플레이트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상에 설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상에서 진퇴방식으로 상기 베이스유닛에 장착 또는 해제되는 진입체를 포함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It is provided on the fram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module for fixing the rotated plate module when the base unit is rotated and opened,
The fixed module,
A fixed body installed on the frame module;
A lin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n entry body mounted on or released from the base unit in a forward and backward manner on the fixe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측면에 내부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설치되는 중앙패널부과, 상기 중앙패널부 양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들 각각의 내벽에서 설치되는 제2롤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제2롤러모듈이 상기 함입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includes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to the inside on both sides,
The sliding module,
A central panel part installed in the frame unit, and a pair of wall parts provide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anel part;
And a second roller modul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each of the wall parts,
The sliding module is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roller module enters the recessed portion, the line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상부에 위치되는 가로형프레임모듈과,
높이방향상의 교차면을 기반으로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과 교차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형프레임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형프레임모듈은,
상기 교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교차면의 상부 또는 하부의 높이방향상에서 장착상태 혹은 탈거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탈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레일 주행시 주행경로상의 돌출된 저촉물로 인한 주행불능 상황을 해소하도록 상기 탈거상태로 주행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unit,
A horizontal frame module positioned above the base unit;
A frame module including one or more vertical frame modules installed above the base unit so as to intersect the horizontal frame module based on an intersection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module,
It includes a removal module provided to be in a mounting state or a removal state in a height direction of an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intersection surface based on the intersection surface,
The lin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frame unit travels in the detached state to solve a situation in which a vehicle is unable to travel due to a protruding object on the travel path when the rail trave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촉물은 상기 프레임유닛이 상기 레일의 커브구간 주행에 따라 상기 레일 자체에 구비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obstacle includes a structure provided on the rail itself as the frame unit travels in a curved section of the rai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으로부터 외부로 탑승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앙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가로형프레임모듈 또는 세로형프레임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unit for preventing the occupa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unit to the outside,
The support unit i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unit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module or the vertical frame modul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unit,
The support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it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se unit, the line managemen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 상호간에 설치되는 제1형태와, 상기 프레임유닛 사이에 중간매개체를 통해 다수로 설치되는 제2형태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되는, 라인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upport unit is
A line management devic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irst form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its and the second form installed in plurality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between the frame units
KR1020210191155A 2021-12-29 2021-12-29 Line management apparatus KR202301012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155A KR20230101227A (en) 2021-12-29 2021-12-29 Line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155A KR20230101227A (en) 2021-12-29 2021-12-29 Line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227A true KR20230101227A (en) 2023-07-06

Family

ID=8718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155A KR20230101227A (en) 2021-12-29 2021-12-29 Line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22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373A (en) 2006-05-30 2009-03-04 코네 코퍼레이션 Arrangement in the drive machinery of a travelator, method for changing the drive bel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and support elemen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373A (en) 2006-05-30 2009-03-04 코네 코퍼레이션 Arrangement in the drive machinery of a travelator, method for changing the drive bel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and support elemen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9880B (en) Upper and lower path switching device for traveling body for transportation
US7461598B2 (en)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CN101081421B (en) Workpiece gripper device for automatic tooling change
CN100551750C (en) Platform door device and method to set up thereof
US20140190774A1 (en) Circulation transport system
JP4970473B2 (en) Platform shielding door device
KR100809040B1 (en) A self rerailing device of railway motor car
CN102137806A (en) Carrying device for moving a car of an elevator
JP4647219B2 (en) Stop bar to create a temporary safety space in the elevator hoistway
WO2013144953A1 (en) Vehicle alignment system for battery switch station
CN102311060A (en) Jacking system
WO20070271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n elevator car drive machine
US7498541B2 (en) Method of assembling motor vehicle body
JP4549286B2 (en) Transport cart
KR20230101227A (en) Line management apparatus
KR101699449B1 (en) Stacker crane
CN101160232A (en) Process and device for exchanging wheelsets of railway vehicles by means of a travelling unit
EP1559642B1 (en) Method of assembling motor vehicle body
CN115783950A (en) Assembling device at bottom of elevator car
EP1621510A2 (en) Modular System for opening automatic elevator doors
JP2006508802A (en) Rolling mill having means for exchanging rolls
JP4029962B2 (en) lift device
JP2006232542A (en) Lift device for vehicle maintenance
KR101261169B1 (en) Outer wall climbing apparatus and having function of automatic water supply
KR101251847B1 (en) Outer wall climb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