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979A -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979A
KR20230100979A KR1020210190705A KR20210190705A KR20230100979A KR 20230100979 A KR20230100979 A KR 20230100979A KR 1020210190705 A KR1020210190705 A KR 1020210190705A KR 20210190705 A KR20210190705 A KR 20210190705A KR 20230100979 A KR20230100979 A KR 2023010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mirror
object recogni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윤
김세연
이예지
이은경
연승욱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979A/ko
Publication of KR2023010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4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객체 인식 거울이 개시된다. 상기 객체 인식 거울은, 객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고,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에 따라, 촬상된 객체 이미지가 정상적인 쌍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이미지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OBJECT RECOGNITION MIRROR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이미지를 활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이미지를 활용하는 거울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마트 거울은 음성 인식과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단순 거울의 기능 이외에 지도, 날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심지어 요가 등 여가 생활에도 도움을 주어 IoT 기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 거울의 기능이 시각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능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보다는 사람들이 거울 앞에서 하는 생각,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시각 장애인들도 거울 앞에서 비 시각 장애인들과 똑같이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 음성 안내 휴대용 거울인 '미러-미'가 공개되었으며, 카메라와 정밀 센서로 얼굴, 치아, 의상, 머리를 확인하여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외모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립스틱이 번졌는지, 오염 물질이 붙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외출 준비에 초점을 맞추어 의류 정보 전달과 관련해서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의 외출 준비에 초점을 맞추어 가장 필수적인 부분인 의복을 입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9916호(2020.11.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각 장애인의 외출 준비를 돕는 보조 기기로 거울을 포함하는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I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객체 검출과 색 검출 기술을 사용해 사용자 의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옷 매칭과 짝 맞추기 기능을 통해 외부의 도움 없이 시각 장애인들이 스스로 외출 준비를 할 수 있게 있도록 하는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인식 거울이 제공된다. 상기 객체 인식 거울은, 객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그리고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에 따라, 촬상된 객체 이미지가 정상적인 쌍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이미지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 인식 거울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거울은,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실외의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상기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거울은, 코디 명과, 상기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디 명에 따라 의류를 추천하는 제3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사용자가 지정한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묘사하는 제4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의류의 색깔, 질감, 디자인, 액세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거울은,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의류 착상 상태를 확인 받기 위한 제5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사용자 이미지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객체 인식 방법은, 객체를 촬상하는 단계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에 따라, 촬상된 객체 이미지가 정상적인 쌍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방법은,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실외의 날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모드에 따라,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상기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방법은, 코디 명과, 상기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디 명에 따라 의류를 추천하는 제3 모드에 따라,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사용자가 지정한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묘사하는 제4 모드에 따라, 촬상된 의류의 색깔, 질감, 디자인, 액세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인식 방법은, 사용자 의류 착상 상태를 확인 받기 위한 제5 모드에 따라, 촬상된 사용자 이미지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인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객체 인식 시스템은, 객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 및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울 모듈과;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센서, 상기 거울 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에 따라, 촬상된 객체 이미지가 정상적인 쌍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실외의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모드에 따라, 상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상기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코디 명과, 상기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코디 명에 따라 의류를 추천하는 제3 모드에 따라,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사용자가 지정한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의 외출 준비를 돕는 보조 기기로 거울을 포함하는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I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객체 검출과 색 검출 기술을 사용해 사용자 의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옷 매칭과 짝 맞추기 기능을 통해 외부의 도움 없이 시각 장애인들이 스스로 외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1 모드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2 모드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3 모드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4 모드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5 모드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도면(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거울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인식 거울은 카메라(10), 거리 센서(20), 음성 센서(30), 음성 출력부(40), 거울(90)을 포함하는 객체 인식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객체 인식 거울은 이미지 분석부(50), 통신 모듈(60), 저장부(70) 및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인식 거울은 시각 장애인의 외출 준비를 돕는 보조 기기로 사용될 수 있고, 거울은 외출 전 마지막 확인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객체 인식 장치에 거울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거울(90)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90)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거울 없는 객체 인식 장치로도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는 구현될 수 있다.
객체 인식 거울은 객체,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 또는, 의류, 액세서리, 양말, 신발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물건을 감지 및 촬영하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객체를 촬상하여 이미지 분석부(50)로 출력하고, 거리 센서(20)는 카메라(10)와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 센서(20)는 객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카메라(10)에서 적절히 촬상될 수 있는 거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카메라(10)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센서(3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음성 출력부(40)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분석 결과 또는 안내 사항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인식 거울은 음성 센서(30)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거나 수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이 객체 인식 장치의 전원을 쉽게 온 오프하고, 여러 가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50)는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이미지 분석부(50)는 카메라(10)와 제어부(80)와 연동하여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분석하고, 다양한 모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을 수행한다.
이미지 분석부(50)는 AI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미지 분석부(50)는 카메라(10)와 머지되거나, 제어부(80)와 머지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60)은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실외의 날씨 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60)은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근거리 또는 장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60)을 통하여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날씨, 기온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단말,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또는 다른 개인 PC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 모듈(60)을 통하여 개인 SNS를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이미지 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70)는 객체 인식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코디 명과,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신 모듈(60)을 통하여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7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자동적으로 갱신될 수 있고, 갱신된 데이터는 이미지 분석부(50)의 AI 모델의 러닝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이미지 분석부(50)를 제어하고, 분석 결과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음성 출력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그 외에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객체 인식을 전반적으로 주도하고 분석 데이터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80)는 이미지 분석부(50)와 머지될 수 있고, AI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이들이 기능을 탑재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통하여 객체 인식 방법의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각 모드에 대한 객체 인식 방법을 구체화한다.
우선, 카메라(10)는 객체를 촬상한다(S210).
이미지 분석부(50)는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S220).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분석부(50)는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S230),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음성 출력부(40)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S24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객체 인식 모드 5개가 설명된다. 예를 들어, 객체 인식 거울은 양말과 신발 그리고 장갑과 같이 한 쌍으로 착용해야 하는 것의 짝을 맞춰 주는 모드, 사용자가 이전에 저장한 옷 데이터와 현재 입고 있는 옷을 비교하여 알려 주는 옷 매칭 모드, 현재 날씨에 맞는 옷을 입고 있는지 알려 주는 모드, 그리고 현재 입고 있는 옷을 색깔을 중심으로 묘사하는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센서(30), 또는 움직임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객체 인식 거울을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고, 동작되기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1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310). 제1 모드에 따르면, 객체 인식 거울은 색깔과 형태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분석하여 카메라(10)에 인식된 객체가 한 짝인지 아닌지에 대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는 신발, 양말, 귀걸이, 장갑, 머리 핀 등이 될 수 있다.
이 때, 일 예예 따라, 객체 인식 거울은 짝 맞출 제품을 보여주세요." 라는 음성이 출력될 수도 있다.
카메라(10)에 의하여 사용자가 착용 중이거나 들고 있는 제품이 감지, 즉 촬상되고(S320), 1차적으로,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가 정상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30).
1차 검증 과정에서 객체, 즉 액세서리가 동일한 종류라고 검증되면, 동일한 색상인지 여부에 대한 색상 검출 과정인 2차 검증 과정을 수행될 수 있다(S340).
이 때, 색상 검출을 위하여 openCV라는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가 정상적으로 구성되고, 색상도 동일하다면, 음성 출력부(40)는 분석 결과, 예를 들어 "동일한 OO색의 ㅁㅁ입니다""와 같은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S350).
반면,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가 정상적으로 구성되지 않거나, 색상이 동일하지 않다면 음성 출력부(40)는 액세서리가 정상적으로 구성되지 않았고, 다른 액세서리를 촬영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2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410). 제2 모드에 따르면, 객체 인식 거울은 외투와 상의를 중심으로 현재 날씨에 따른 옷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이 때,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실외의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60)이 활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 모듈(60)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open-API를 사용하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제2 모드가 실행되기 위하여 각 기온 별 옷차림 데이터가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 이하인 경우에는 패팅, 두꺼운 코트, 기모 제품이 날씨에 알맞은 옷으로 미리 등록 또는 저장될 수 있다.
제2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가 카메라(10)로부터 적정 거리에 위치 했는지 초음파 센서와 같은 거리 센서(20)가 이를 측정할 수 있고, 적정 거리보다 앞에 있거나 뒤에 있으면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하라는 안내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미지가 촬상되면, 제어부(80)는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상기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430), 판단 결과는 음성 출력부(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440).
도 5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3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옷을 매칭해 주는 제3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520).
제3 모드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사전에 코디 명과,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S510).
제3 모드에 따르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현재 의류와 비교하고 싶은 데이터 명, 즉 코디 명이 입력되고, 제어부(80)는 이미지 분석부(5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와 현재 사용자 의류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의 색깔이 현재는 검은색, 저장된 데이터 A에서는 흰색입니다." 등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제3 모드는 현재 착용한 의류와 기존에 저장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하게 의류를 입고 있는지 판단해 주는 모드이다.
제3 모드가 실행되면, 객체 인식 거울은 사용자가 코디명을 등록하는지 또는 코디 서비스를 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선택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530).
사용자가 코디 등록을 원한다면, 사용자의 의류 또는 착장된 모습이 촬상되고(S540), 코디 명과 함께 의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55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디 등록을 원하는 경우, '상의, 하의, 둘다’ 중 등록하고 싶은 것을 선택할 수 있고, 카메라(10)로 사용자의 모습이 촬상되면 GrabCut 알고리즘과 Deep fashion 데이터셋을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한해 제품 종류, 색, 질감 등이 추출될 수 있다. 객체 인식 거울의 안내에 따라 코디 이름과 특징을 말하면 저장이 완료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를 수정 및 삭제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등록이 아닌 코디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음성 센서(30)는 코디명을 수신하고(S560), 제어부(80)는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사용자가 지정한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70).
코디 명에 부합되는지 여부 어떤 부분이 일치되지 않는지에 대한 정보가 음성 출력부(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580).
예컨대, 코디 서비스가 선택된 후, 객체 인식 거울에 의해 "어떤 코디를 보시겠습니까?"라는 음성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등록했던 코디명을 입력할 수 있다. 카메라(10)로 사용자의 모습이 촬상되고 등록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품 종류, 색, 질감 등이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데이터와 저장부(70)에 코디로 저장된 정보가 같으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주고, 다른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일치하지 않는지 음성으로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4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묘사하는 제4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610). 제4 모드에 따르면, 음성 안내에 따라 카메라(10)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사용자가 촬상되면, 색깔을 중심으로 현재 입고 있는 옷을 음성으로 묘사될 수 있다.
제4 모드가 실행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적정 거리가 안내되고(S620), 촬상된 의류의 상의에서 하위 순으로 색깔, 질감, 디자인, 액세서리 중 적어도 하나가 묘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S63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5 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의류 착상 상태를 확인 받기 위한 제5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S710). 제5 모드는 현재 사용자의 의류 착용 상태를 다른 사람에게 피드백 받을 수 있는 모드로써, 의류 사진을 찍어 기존에 등록한 연락처로 카카오톡 메시지와 같은 SNS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고, 이미지를 수신한 사람으로부터 피드백이 오면 음성으로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다.
제5 모드가 실행되면, 카메라(10)로부터 적정 위치에 있는 사용자가 촬상되고(S720), 피드백을 받을 사람, 보다 정확히 피드백 받을 사람의 단말이 지정될 수 있다(S730).
촬상된 사용자 이미지가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로 전송되고(S740), 제어부(80)는 해당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한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 모듈(100)과, 거울 모듈(100)과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울 모듈(100)은 도 1의 객체 인식 거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인용 모바일 전화기 또는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거울 모듈(100)은 객체를 촬상하는 카메라(110), 카메라(110)와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120),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130) 및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센서(210), 거울 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220),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230), 및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울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을 제어하고, 이미지 분석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울 모듈(100)과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구성은 도 1의 객체 인식 거울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들의 기능과 대동 소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객체 인식 시스템은 일 예에 따른 객체 인식 거울 단독이 아닌 거울 모듈(100)과 이미지 분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거울 모듈(100)에는 사용자 또는 객체의 이미지를 인식 및 촬영하는 최소한의 구성만이 포함되고, 이미지 분석 및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구성은 별도의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을 포함하고, 이미지를 분석하고, 기본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모드에 따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구성은 외부의 별도의 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구현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AI 모델링을 위한 데이터가 방대해지고 이미지 분석이 더 지능적으로 발전한다면, 저장부는 외부의 데이터 서버 또는 이미지 분석은 이미지 데이터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외부의 서버에서 이루질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시각 장애인이 도우미의 도움 없이 자신이 원하거나 날씨에 적합한 의류를 착용할 수 있다. 즉, 시각 장애인이 제대로 짝이 갖춰 진 양말, 신발, 장갑 등을 착용할 수 있고, 외출을 위해 도움을 주는 다른 사람이 없을 때에도 다른 사람이 있을 때처럼 외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이 외출 준비를 할 때 입는 의류에 대해 어떤 색인지 적절한 상태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객체 인식 거울 또는 객체 인식 시스템 등) 일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객체 인식 거울에 있어서,
    객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고,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에 따라, 촬상된 객체 이미지가 정상적인 쌍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이미지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와;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 및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거울.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실외의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상기 날씨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거울.
  4. 제1항에 있어서,
    코디 명과, 상기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디 명에 따라 의류를 추천하는 제3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사용자의 의류가 사용자가 지정한 코디 명에 대응하는 의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거울.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묘사하는 제4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의류의 색깔, 질감, 디자인, 액세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거울.
  6.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의류 착상 상태를 확인 받기 위한 제5 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사용자 이미지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거울.
  7.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에 있어서,
    객체를 촬상하는 단계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객체 이미지가 쌍으로 존재하는 액세서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모드에 따라, 촬상된 객체 이미지가 정상적인 쌍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인식 방법.
  8. 객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객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객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 및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거울 모듈과;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센서, 상기 거울 모듈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촬상된 객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류 또는 액세서리의 형태, 색,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기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이미지로부터 특정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객체 인식 시스템.
KR1020210190705A 2021-12-29 2021-12-29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KR20230100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05A KR20230100979A (ko) 2021-12-29 2021-12-29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05A KR20230100979A (ko) 2021-12-29 2021-12-29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79A true KR20230100979A (ko) 2023-07-06

Family

ID=8718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705A KR20230100979A (ko) 2021-12-29 2021-12-29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9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16B1 (ko) 2018-10-29 2020-11-17 (주)임픽스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16B1 (ko) 2018-10-29 2020-11-17 (주)임픽스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8246B2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image including 3D avatar reflecting face motion through 3D avatar corresponding to fa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664688B1 (ko) 가상 캐릭터 기반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3615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tem according to attribute of avatar
US7454216B2 (en) in-facilit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acility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2020040230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ustom object on basis of avatar
TW201907350A (zh) 線下導購方法和裝置
JP20180848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46652A (ko) 얼굴 인식 기반의 헤어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5577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21193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50018023A1 (en) Electronic device
KR20190115722A (ko) 이미지 내에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08703A1 (en) Augmented mirror
EP3394709A1 (en) Augmented mirror
KR20210076373A (ko)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20046653A (ko) 얼굴 및 스타일 인식 기반의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6211B1 (ko) 미용실 운영 및 고객 관리 시스템
KR20180077680A (ko) 얼굴 표정 인식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00979A (ko) 객체 인식 거울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JP7206741B2 (ja) 健康状態判定システム、健康状態判定装置、サーバ、健康状態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66892B1 (ko) 메이크업 평가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108702A1 (en) Augmented mirror
KR20200107619A (ko) 응대 방법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150944B1 (ko) 매칭 가능성에 기반한 타겟 탐색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2022094784A (ja) コンテンツ提案装置、感情測定端末、コンテンツ提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