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263A -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 Google Patents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263A
KR20230100263A KR1020210189991A KR20210189991A KR20230100263A KR 20230100263 A KR20230100263 A KR 20230100263A KR 1020210189991 A KR1020210189991 A KR 1020210189991A KR 20210189991 A KR20210189991 A KR 20210189991A KR 20230100263 A KR20230100263 A KR 20230100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ring
brace
fixing pa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4893B1 (en
Inventor
이찬주
강성욱
윤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893B1/en
Publication of KR2023010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는, 이중배관의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브레이스,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결합부 및 상기 브레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접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double pip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ace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in the space between the exterior and the inner pipe of the double pip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and a plurality of braces ar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A coupling bod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dy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 fix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body and a bearing connected to the brac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the brace The end of may b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Description

이중배관용 서포트{SUPPORT FOR DOUBLE WALL PIPE}Support for double piping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본 발명은 이중배관용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double piping.

일반적으로, LNG, LPG 등을 연료가스로 사용하는 선박은 연료가스를 엔진에 공급하기 위해서 외관(Outer pipe)과 내관(Inner pipe)으로 구성된 이중배관으로 저장탱크에서 엔진 또는 저장탱크에서 보일러에 설치하게 된다.In general, a ship using LNG, LPG, etc. as fuel gas is installed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engine or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boiler with a double pipe composed of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to supply fuel gas to the engine. will do

이러한 파이프 형태의 외관 내부에 파이프 형태의 내관이 수용되는 이중배관의 경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내관을 지지할 수 있는 서포트 구조를 구성하여 내관이 움직이거나 외관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ouble pipe in which the pipe-shaped inner tube is accommodated inside the pipe-shaped exterior,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inner tub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exterior and the inner tube to prevent the inner tube from moving or colliding with the exterior.

그러나, 엔진성능 향상을 위한 연료공급시스템의 작동압력이 증가하면서 이를 견디기 위해 내관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서포터의 요구강성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fuel supply system for improving engine performance increases,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inner tube increase to withstand it, and accordingly, the required stiffness of the supporter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성도가 향상되어 외관 및 내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이중배관용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pipe support that can firmly support between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tube and easily absorb external impact by improving rigid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는, 이중배관의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브레이스,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결합부 및 상기 브레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접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double pip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ace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in the space between the exterior and the inner pipe of the double pip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and a plurality of braces ar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A coupling bod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dy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 fix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body and a bearing connected to the brace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the brace The end of may b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관의 내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베어링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e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pressurizing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to which the bearing is coupled.

상기 브레이스는, 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brace may have an end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art form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nd the fixing part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coupling part.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hrough the fixing part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nd the fixing part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coupling part.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관과 마주보는 면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exterior.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press an end of the brace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베어링은, 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에 관통 연결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ring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brace through.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어링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상기 베어링은, 길이방향 일단에서 길이방향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The bearing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브레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스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코킹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에 의해 상기 베어링 및 상기 브레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The caulking part is formed as one end of the protrusi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race, is pressed toward the brace, and the bearing and the brace may be coupled by the caulk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는, 강성도가 향상되어 외관 및 내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The support for double pi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rigidity, so that it can firmly support the outer and inner tubes and easily absorb extern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및 베어링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al pip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pip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or double pi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pipe support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pipe support shown in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dified example of a dual pip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pip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dual pip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pipe support shown in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pipe support shown in FIG. 5;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a protrusion of a bearing is var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bearing shown in FIG. 10 is varied.
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a brace and a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below"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part exists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for doubl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pip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or doubl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shown in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uble pipe suppor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uble pipe support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이중배관의 내관(P1) 및 외관(P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복수개가 내관(P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서포트(10)는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내관(P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포트(10)에 의해 내관(P1) 및 외관(P2)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double pipe suppo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P1) and the outer pipe (P2) of the double pipe, a plurality of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P1) They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pipe P1 while being rotated at different angles, and the inner pipe P1 and the outer pipe P2 may be firmly supported by these supports 10 .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브레이스(100), 결합부(200), 베어링(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support 10 for a doubl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ace 100, a coupling part 200, a bearing 300 and a fastening member 400. .

브레이스(100)는 복수개가 내관(P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스(100)는 2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은 결합부(200) 및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races 100 may be arranged at a constant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P1). For example, two braces 10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each may be connected by a coupling part 200 and a fastening member 400 .

브레이스(100)는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 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e 1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110 , a second support member 120 and a connection member 130 .

제1 지지부재(110)는 평판 형상으로, 일면에 체결부재(400)가 관통연결되는 제1 체결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110)는 체결부재(400)에 의해 결합부(200)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10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first fastening hole 111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400 is penetrate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may be fastened to the coupler 200 by the fastening member 400 .

제2 지지부재(120)는 곡면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내관(P1)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관(P1)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20)는 일면에 제1 연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재(120)는 제1 연결홀(121)에 삽입되는 돌기부(330)에 의해 후술할 베어링(3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120)는 탄성력에 의해 베어링(300)을 외관(P2)의 내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서포트(10)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has a plate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and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nner tube P1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P1. 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hole 1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may be coupled to a bearing 300 to be described later by a protrusion 330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21 .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can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10 by bringing the bearing 3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P2 by means of an elastic force.

연결부재(13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30)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또는 내관(P1)의 진동 시 탄성력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내관 및 외관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하고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130 has a predetermined plate shape and may connect end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 The connection member 130 can easily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absorb shock while being bent by an elastic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the inner tube P1 vibrates.

결합부(200)는 복수개가 내관(P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는 2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은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0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P1. For example, two couplers 20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may be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400 .

결합몸체(210), 고정부(220), 삽입홈(230) 및 제2 체결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upling body 210, a fixing part 220, an insertion groove 23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240.

결합몸체(210)는 곡면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내관(P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몸체(210)의 곡률은 내관(P1) 외측면의 곡률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Coupling body 210 has a plate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tube (P1). For example, the curvature of the coupling body 2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P1).

고정부(220)는 결합몸체(210)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20)는 결합몸체(210)의 단부로부터 외관(P2) 측을 향해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20)는 외관(P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220 ma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coupling body 210 . For example, the fixing part 220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oupling body 210 toward the exterior (P2) side.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2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P2).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외측면에서 외관(P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홈(230)은 고정부(220)로부터 결합몸체(210)까지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홈(230)에는 체결부재(400)의 머리부(410)가 수용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23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 For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230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exterior (P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As another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230 may extend from the fixing part 220 to the coupling body 210. The head 410 of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230 .

제2 체결홀(240)은 삽입홈(23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220)의 타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홀(240)에는 체결부재(400)가 관통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may be formed through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3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through-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

전술한 브레이스(100) 및 결합부(200)의 체결구조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brace 100 and coupling part 2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브레이스(100)의 제1 지지부재(110)를 서로 이웃한 결합부(200) 사이에 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110)를 어느 하나의 결합부(200)에 형성된 고정부(220)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200)에 형성된 고정부(220) 사이에 끼울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First,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of the brace 100 may be inserted between coupling parts 200 adjacent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art 220 formed on one coupling part 200 and the fixing part 220 formed on the other adjacent coupling part 200 .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may be matched.

이후, 체결부재(400)를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이를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에 관통시키고 이를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스(100)가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브레이스(100)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n,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a bolt, which may pas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and fasten it with a nut. Accordingly, the brace 1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00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braces 100 are connected.

한편, 베어링(300)은 가이드레일(310), 슬라이딩홈(320) 및 돌기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earing 300 may include a guide rail 310 , a sliding groove 320 and a protrusion 330 .

베어링(30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2 지지부재(12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관(P2)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300)은 제2 지지부재(12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The bearing 300 has a plate sha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P2. At this time, the bearing 300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

또한, 베어링(300)은 일면에 슬라이딩홈(320)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32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310)이 베어링(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120)는 슬라이딩홈(3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레일(310) 사이에 끼워져 베어링(300)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ding groove 3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earing 300, and guide rails 310 may be forme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300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groove 32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guide rails 310 and connected to the bearing 3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320 in a sliding manner.

돌기부(330)는 슬라이딩홈(320)의 일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300)이 제2 지지부재(120)에 결합될 때, 돌기부(330)는 제2 지지부재(120)의 제1 연결홀(121)에 관통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330)에 의해 베어링(300)이 제2 지지부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30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320 . When the bearing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 the protrusion 330 may be through-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 Accordingly, the bearing 3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by the protrusion 33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dified example of a support for doubl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pipe,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support for doubl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uble pipe support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uble pipe support shown in FIG.

변형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의 구성 대부분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의 구성과 동일 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10 for double piping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10 for dual pipin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결합부(200)는 복수개가 내관(P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는 2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은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0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P1. For example, two couplers 20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may be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400 .

결합몸체(210), 고정부(220), 삽입홈(230), 제2 체결홀(240) 및 고정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upling body 210, a fixing part 220, an insertion groove 230, a second fastening hole 240, and a fixing plate 250.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외측면에서 외관(P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홈(230)은 고정부(220)로부터 결합몸체(210)까지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groove 23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 For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230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exterior (P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As another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230 may extend from the fixing part 220 to the coupling body 210.

또한, 삽입홈(230)의 너비는 제1 지지부재(110)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30)에는 체결부재(400)의 머리부(410), 고정플레이트(250) 및 제1 지지부재(110)가 수용될 수 있다.Also, the width of the insertion groove 2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 The head 410 of the fastening member 400 , the fixing plate 250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230 .

제2 체결홀(240)은 삽입홈(23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220)의 타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홀(240)은 한 쌍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홀(240)에는 체결부재(400)가 관통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may be formed through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3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 For example, a pair of second fastening holes 2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through-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

고정플레이트(25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제3 체결홀(25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체결홀(251)은 제2 체결홀(24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250)는 삽입홈(230)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홈(230)에 안착되어 있던 제1 지지부재(1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plate 250 has a predetermined plate shape, and a third fastening hole 251 may be formed therethrough. For example, the third fastening hole 25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 As the fixing plate 2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0,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230 may be pressurized and fixed.

전술한 브레이스(100) 및 결합부(200)의 체결구조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brace 100 and coupling part 2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브레이스(100)의 제1 지지부재(110)를 삽입홈(230)의 일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First,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of the brace 100 may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230 .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may be matched.

이후, 고정플레이트(250)를 삽입홈(230)에 삽입하여 제1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홀(251)을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의 위치와 일치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fixing plate 2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0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10 .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third fastening hole 251 may coincide with the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

이후, 체결부재(400)를 제1 체결홀(111), 제2 체결홀(240) 및 제3 체결홀(251)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이를 제1 체결홀(111), 제2 체결홀(240) 및 제3 체결홀(251)에 관통시키고 이를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스(100)가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브레이스(100)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n,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251 .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be a bolt, which may be passed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11, the second fastening hole 240,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251, and may be fastened with a nut. Accordingly, the brace 1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00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braces 100 are connec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a protrusion of a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shown bearing is varied.

한편, 서포트(10)가 이중배관 내에 설치될 경우 제2 지지부재(120)가 외관(P2)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 될 수 있는데, 이때 가압력에 의해 제2 지지부재(120)가 내관(P1)측으로 굽혀지면서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제2 지지부재(120)의 곡률변화를 보상함으로써 베어링(300) 및 제2 지지부재(120) 간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베어링(300)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10 is installed in the double pipe,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may be press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P2.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s pushed by the inner pipe P1. ) side, the curvature may change.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bearing 30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by compensating for the change in curvatur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the bearing 300 has a variable curvature as shown in FIG. can be formed

도 9를 참고하면, 베어링(300)의 길이방향 일측의 제1 단부(300a)는 제2 지지부재(120)의 끝단과 인접하고, 베어링(300)의 길이방향 타측의 제2 단부(300b)는 연결부재(130)와 인접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300)의 곡률은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end 300a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300 is adjacent to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end 300b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300 may be adjacent to the connecting member 130. In this case, the curvature of the bearing 300 may decrease from the first end 300a to the second end 300b.

또한, 베어링(300)의 두께는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측 두께(Ta)보다 제2 단부측 두께(Tb)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thickness of the bearing 300 may increase from the first end 300a to the second end 300b. 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end side thickness Tb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end side thickness Ta.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120)가 외관(P2)에 의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베어링(300) 및 제2 지지부재(120)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P2)에 대한 베어링(3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서포트(10)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s bent by the exterior (P2), the gap between the bearing 30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s prevented from occurring, so that the bearing for the exterior (P2) As the contact area of the 300 is increased, the stiffness of the support 10 can be improved.

또한, 도 9를 참고하면,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1 단부(300a)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도 9(b)와 같이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2 단부(300b)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 the protrusion 33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3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protrusions 33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300 toward the first end 300a, and as shown in FIG. 9(b), the protrusions 330 are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300b.

이때, 도 9(a)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1 단부(300a)측으로 이동될 경우 제2 지지부재(120) 끝단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탄성한계굽힘량이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a), when the protrusion 330 is moved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300a, it is deflected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so that the bending 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becomes longer. Depending on the elastic limit bending amount can be increased.

도 9(b)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2 단부(300b)측으로 이동될 경우 연결부재(130) 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강성도가 증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b), when the protrusion 330 is moved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300b, it is deflected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130, so that the bending 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s shortened and thus the stiffness is increased. can

따라서, 서포트(10)에 요구되는 굽힘량 또는 강성도에 맞게 돌기부(3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33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mount or stiffness required for the support 10 .

한편, 도 10를 참고하면 변형예에 따른 베어링(300)은 가이드레일(310), 슬라이딩홈(320), 제2 연결홀(340) 및 돌기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 the bearing 3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may include a guide rail 310 , a sliding groove 320 , a second connection hole 340 , and a protrusion 330 .

베어링(300)은 슬라이딩홈(320)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2 연결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홀(34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돌기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베어링(300) 및 돌기부(330)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고, 제2 연결홀(340)을 통해 돌기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The bearing 300 may have a second connection hole 340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320 . At this time, a rod-shaped protrusion 3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 That is, the bearing 300 and the protrusion 330 may b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the protrusion 33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

이때,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제2 연결홀(34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제1 연결홀(121)에 관통연결되어, 베어링(300)이 제2 지지부재(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330 is through-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of the bearing 300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1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so that the bearing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 120) can be prevented.

또한, 도 11을 참고하면, 베어링(300)의 곡률은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베어링(300)의 두께는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1 , the curvature of the bearing 300 decreases from the first end 300a to the second end 300b, and the thickness of the bearing 300 varies from the first end 300a to the second end. It may increase toward (300b).

즉, 베어링(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 지지부재(120)가 외관(P2)에 의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베어링(300) 및 제2 지지부재(120)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P2)에 대한 베어링(3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서포트(10)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bearing 300 is formed to have a variable curvature as described above, and even when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s bent by the exterior (P2), there is a gap between the bearing 30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10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aps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bearing 300 with respect to the exterior (P2).

또한, 제2 연결홀(340)은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제2 연결홀(340)은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1 단부(300a)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도 11(b)와 같이 제2 연결홀(340)은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2 단부(300b)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홀(340)에는 돌기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3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300 toward the first end 300a, and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hole 34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300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300b. A protrusion 3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

이때, 도 11(a)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1 단부(300a) 측으로 이동될 경우 제2 지지부재(120) 끝단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탄성한계굽힘량이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a), when the protrusion 330 is moved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300a, it is deflected toward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so that the bending 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becomes longer. Depending on the elastic limit bending amount can be increased.

도 11(b)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2 단부(300b)측으로 이동될 경우 연결부재(130) 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강성도가 증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b), when the protrusion 330 is moved toward the second end portion 300b, it is deflected toward the connection member 130, so that the bending s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is shortened and thus the stiffness is increased. can

따라서, 서포트(10)에 요구되는 굽힘량 또는 강성도에 맞게 제2 연결홀(340) 및 돌기부(3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s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340 and the protrusion 33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mount or stiffness required for the support 10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및 베어링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a brace and a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코킹부(331)를 통해 브레이스(100) 및 베어링(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double pipe support 10 may couple the brace 100 and the bearing 300 through the caulking portion 331 .

먼저, 베어링(300)을 브레이스(100)와 연결시킴에 따라, 돌기부(330)를 브레이스(100)의 제1 연결홀(121)에 관통시킬 수 있다.First, as the bearing 300 is connected to the brace 100 , the protrusion 330 may pas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121 of the brace 100 .

돌기부(330)를 코킹(calking) 가공할 수 있다. 코킹(calking)작업은 리벳의 머리, 금속판의 이음부를 끝이 뭉툭한 코킹정으로 두들겨서 기밀하게 하는 작업을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330)는 브레이스(100)에 관통 연결된 후 노출된 부위를 코킹정(미도시)과 같은 도구로 두들겨져 가압됨에 따라, 돌기부(330)의 일단부에는 눌린 형태의 코킹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30 may be processed by caulking. The caulking operation refers to the operation of beating the head of a rivet and the joint of a metal plate with a caulking tablet with a blunt end to make it airtight. As it is beaten and pressed with a tool such as a caulking tablet (not shown), a pressed caulking portion 33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330 .

이때, 돌기부(330)는 브레이스(100)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코킹부(331)는 브레이스(100)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베어링(300)과 브레이스(100)는 코킹부(331)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protrusion 330 is pressed toward the brace 100, the caulking portion 331 may adhere to one surface of the brace 100. That is, the bearing 300 and the brace 100 may be mutually coupled by the caulking part 331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복수개의 브레이스(100), 결합부(200), 베어링(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브레이스(100)는 결합부(200) 및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되면서 복수개의 브레이스(100)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브레이스(100)가 2개인 구조뿐만 아니라, 3개, 4개, 5개인 구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10 for double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races 100, coupling parts 200, bearings 300, and fastening members 400, and braces adjacent to each other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braces 100 are connected while being connected by the coupling part 200 and the fastening member 400. This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brace 100 is two, as well as a structure in which there are three, four, or five brace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복수개의 브레이스(100)에 베어링(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중배관의 내관(P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외관 및 내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브레이스(100) 및 베어링(300)의 구조로 인해 서포트(10)의 강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uble pipe suppo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pipe P1 of the double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bearing 30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races 100,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the inner tube can be firmly supported and external impact can be easily absorbed, and the rigidity of the support 10 is improv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race 100 and the bearing 3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ese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중배관용 서포트
100: 브레이스 110: 제1 지지부재
111: 제1 체결홀 120: 제2 지지부재
121: 제1 연결홀 130: 연결부재
200: 결합부 210: 결합몸체
220: 고정부 230: 삽입홈
240: 제2 체결홀 250: 고정플레이트
251: 제3 체결홀 300: 베어링
300a: 제1 단부 300b: 제2 단부
310: 가이드레일 320: 슬라이딩홈
330: 돌기부 331: 코킹부
340: 제2 연결홀 400: 체결부재
410: 머리부
10: Support for double piping
100: brace 110: first support member
111: first fastening hole 120: second support member
121: first connection hole 130: connection member
200: coupling part 210: coupling body
220: fixing part 230: insertion groove
240: second fastening hole 250: fixing plate
251: third fastening hole 300: bearing
300a: first end 300b: second end
310: guide rail 320: sliding groove
330: projection 331: caulking
340: second connection hole 400: fastening member
410: head

Claims (10)

이중배관의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브레이스;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결합부; 및
상기 브레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접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 plurality of brace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and inner pipes of the double pipe;
A coupl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tub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bodie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fixing portions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coupling body; and
It is connected to the brace and includes a bear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An end of the brac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for a double pip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관의 내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베어링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e,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A support for double piping comprising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and to which the bearing is coup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 사이에 삽입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e,
A support for double pipe having an end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art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nd the fixing part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1,
Support for double piping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hrough the fixing part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and the fixing part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관과 마주보는 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Support for double piping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exteri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5,
The coupling part,
Support for double piping including a fixing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press the end of the brace seated in the insertion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에 관통 연결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1,
the bearing,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support for double piping including a protrusion connected through the br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어링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7,
The protrusion,
A support for a double pip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bearing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r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길이방향 일단에서 길이방향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인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7,
the bearing,
A support for double piping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브레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스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코킹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에 의해 상기 베어링 및 상기 브레이스가 결합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According to claim 7,
The protrusion,
As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race is pressed toward the brace, a caulk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bearing and the brac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aulking portion.
KR1020210189991A 2021-12-28 2021-12-28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KR102644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991A KR102644893B1 (en) 2021-12-28 2021-12-28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991A KR102644893B1 (en) 2021-12-28 2021-12-28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63A true KR20230100263A (en) 2023-07-05
KR102644893B1 KR102644893B1 (en) 2024-03-07

Family

ID=8715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991A KR102644893B1 (en) 2021-12-28 2021-12-28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8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39Y1 (en) * 2013-01-23 2013-07-12 양성연 Spacer for pipe cover
KR20160112207A (en) * 2015-03-18 2016-09-28 강종민 Flexible support
CN107725904A (en) * 2017-10-19 2018-02-23 大连海洋大学 External series gap supporting support in both arms pipe
JP2019010675A (en) * 2017-07-03 2019-01-24 ダイソウ工業株式会社 Joining method of plate member
KR20200129415A (en) * 2019-05-08 2020-11-18 (유)성문 Support unit for inner pipe of gas transper l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39Y1 (en) * 2013-01-23 2013-07-12 양성연 Spacer for pipe cover
KR20160112207A (en) * 2015-03-18 2016-09-28 강종민 Flexible support
JP2019010675A (en) * 2017-07-03 2019-01-24 ダイソウ工業株式会社 Joining method of plate member
CN107725904A (en) * 2017-10-19 2018-02-23 大连海洋大学 External series gap supporting support in both arms pipe
KR20200129415A (en) * 2019-05-08 2020-11-18 (유)성문 Support unit for inner pipe of gas transper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893B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6949A (en) Elastic pipe-connecting component for pipes or pipelines, or the like
EP2096259B1 (en) Steam turbine
US10006565B2 (en) Fuel supply apparatus
US1420671A (en) Pipe joint
KR101703234B1 (en) Flexible support
KR20230100263A (en)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JP4533360B2 (en) Buckling-restrained brace, load-bearing frame using buckling-restrained br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uckling-restrained brace
KR20100081064A (en) Reinforcing member for corrugated membrane, membrane assembly having the reinforcing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230037903A (en) Support for double pipe
KR20230045985A (en) Support for double wall pipe
CN210440778U (en) Non-fixed bidirectional direct-buried internal pressure ripple compensator
KR20130044906A (en) Clamp and bracket devices for a pipe
JP2019148068A (en) Buckling restraint brace
KR101379273B1 (en) Multi-axis automobile exhaust pipe joint connection
WO2014125634A1 (en) Connecting piping and steam turbine system
JP5719063B1 (en) U bolt unit
CN114645990A (en) Sliding support structure in double-wall pipe
CN215806893U (en) Vacuum pipelin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2159268B1 (en) Telescopic Crimp Joint for Ship Piping
KR101691586B1 (en) Non-metallic Expansion Joint Device
US11199277B2 (en) Non-welded type branch piping reinforcement apparatus
CN216242914U (en) Pull rod shaft transverse corrugated compensator
JP2022178889A (en) Coupling member
JP2603591B2 (en) Thin metal flexible tube
CN219492410U (en) External pipeline support structure of gas turbine and suppor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