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95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51A
KR20230099951A KR1020210189415A KR20210189415A KR20230099951A KR 20230099951 A KR20230099951 A KR 20230099951A KR 1020210189415 A KR1020210189415 A KR 1020210189415A KR 20210189415 A KR20210189415 A KR 20210189415A KR 20230099951 A KR20230099951 A KR 2023009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guide duct
storage compartment
partition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찬
황인용
배일성
송진영
윤수빈
장원호
유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951A/ko
Priority to PCT/KR2022/015253 priority patent/WO2023128165A1/ko
Priority to US18/070,806 priority patent/US20230204275A1/en
Publication of KR2023009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을 포함하는 본체, 제1저장실,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파티션, 제3저장실에 배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연통홀, 제1연통홀을 향하도록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2연통홀,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제1연통홀에서 제2연통홀로 가이드 하도록 제1파티션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덕트 및 제1가이드덕트로 유동된 냉기를 제2저장실로 가이드 하도록 제2파티션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덕트로서, 제2연통홀을 통해 제1가이드덕트와 연결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냉기 공급 유로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은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저장실은 상실과, 중실 및 하실로 구획되며 상실은 냉장실로 사용되고 중실은 변온실로 사용되고 하실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실의 경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배치되는 냉기 공급장치에 의해 냉기가 간접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중실 외의 공간에 설치된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중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 냉기 공급 과정에서 냉기가 비효율적으로 유동되어 냉기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선된 냉기 공급 구조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을 포함하는 본체, 제1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상기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파티션, 상기 제3저장실에 배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상기 내상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연통홀, 상기 제1연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상기 내상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2연통홀,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1연통홀에서 상기 제2연통홀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파티션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덕트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로 유동된 냉기를 상기 제2저장실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파티션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덕트로서, 상기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연결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내상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냉기가 유동되는 제1유동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내상은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 및 상기 제3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상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제2내상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내상은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3저장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내상에 절개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2가이드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내상에 절개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상기 제3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가이드덕트로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2내상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1내상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연통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홀을 통과한 냉기가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되는 제2유동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파티션은 상기 제1가이드덕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덕트가 결합되는 단열바디로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함께 냉기가 유동되는 제1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단열바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단열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제1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는 제1냉기유입부 및 상기 제1냉기유입부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제2가이드덕트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1냉기유입부의 위에 형성되는 제1냉기토출부로서, 상기 제1냉기유입부와 편향 배치되는 제1냉기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파티션은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파티션은 상기 내상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파티션의 하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파티션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어 상기 제1저장실의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상기 전선이 수용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파티션은 상면에 워터 탱크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워터 탱크 안착부로서, 상기 전선수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워터 탱크 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덕트로의 냉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장착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제1가이드덕트 및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제1내상과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제1내상에 의해 형성되는 제1저장실, 상기 제1내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상기 제2내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제2내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상기 제1내상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 상기 제3저장실에 장착되어 냉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파티션과 연통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제1파티션에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동되는 제1유동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이드덕트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연통되게 상기 제2파티션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덕트로서, 상기 제1유동공간을 따라 가이드된 냉기가 유동되는 제2유동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기 제2저장실의 후방에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유동공간으로 가이드된 냉기는 상기 제2저장실로 토출 된다.
상기 제2내상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연결하는 제1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상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2가이드덕트를 연결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제1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및 상기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제3저장실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내상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파티션으로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냉기 공급장치와 연통되는 제1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제1파티션 및 상기 내상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으로서, 일 단이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연통되고 타 단이 상기 제2저장실과 연통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제2파티션을 포함한다.
상기 내상은 상기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내상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2가이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내상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한다.
각 파티션 자체에 가이드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냉기가 최단 경로로 유동되어 저장실의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온도센서와 연결된 전선을 커버하는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지 않고도 전선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구조와 관련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장치, 제1파티션 및 제2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파티션을 분해하여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파티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파티션을 분해하여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파티션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냉기 공급 장치를 분해하여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장치, 제1파티션 및 제2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제1파티션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C부분을 확대하여 후방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구조와 관련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개략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저장실이 수평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F(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가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 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 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상측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FDR형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내상(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은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상(11a)은 내상(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 2 내상(11b)은 내상(1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내상(11a)은 제 1 저장실(31)과 제 2 저장실(3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내상(11b)은 제 3 저장실(33)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은 서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상(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상(12)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는 저장실(3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발포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저장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30)은 제 1 저장실(31), 제 2 저장실(32) 및 제 3 저장실(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실(31)은 냉장고(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저장실(31)은 냉장실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저장실(32)은 제 1 저장실(31)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저장실(32)은 변온실로 마련될 수 있다.
제 3 저장실(33)은 제 2 저장실(32)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 저장실(33)은 냉동실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복수의 저장실(3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21, 22, 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21, 22, 23, 24)는 제 1 도어(21), 제 2 도어(22), 제 3 도어(23) 및 제 4 도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어(21)와 제 2 도어(22)는 제 1 저장실(31)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21)와 제 2 도어(22)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문형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21)와 제 2 도어(22)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도어 가드(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도어(21)는 제 1 저장실(31)의 개방된 전면 중 좌측 일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 2 도어(22)는 제 1 저장실(31)의 개방된 전면 중 우측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 도어(21)와 제 2 도어(22)의 배면 테두리에는 제 1 도어(21)와 제 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가스켓(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 3 도어(23)는 제 2 저장실(32)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도어(23)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 3 도어(23)는 전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1 손잡이(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저장실(33)에는 제 3 도어(23)와 함께 인입 및 인출되도록 물품을 보관하는 바스켓(3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4 도어(24)는 제 3 저장실(33)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4 도어(24)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 4 도어(24)는 전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 2 손잡이(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도어(23)와 제 4 도어(24)는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제 1 도어(21) 내지 제 4 도어(24)의 개폐 방식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 1 냉기 공급 장치(90) 및 제 2 냉기 공급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와 제 2 냉기 공급 장치(80)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팽창밸브(미도시), 증발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제 3 저장실(3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냉기 공급 장치(80)는 제 1 저장실(3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냉기를 생성하고 제 3 저장실(33)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제 2 저장실(32)로 냉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냉기 공급 장치(80)는 냉기를 생성하고 제 1 저장실(31)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 1 저장실(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40)에는 냉장이 필요한 물품이 배치될 수 있다. 선반(4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 1 드로워(71), 제 2 드로워(72) 및 워터 탱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드로워(71)와 제 2 드로워(72)는 내부에 신선식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드로워(71)와 제 2 드로워(72)는 제 1 저장실(31)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60)는 제 1 드로워(71)와 제 2 드로워(72)의 사이에 배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드로워(71)와 제 2 드로워(72) 및 워터 탱크(60)의 상부에는 선반(40) 등이 배치되어 제 1 드로워(71), 제 2 드로워(72) 및 워터 탱크(6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제 1 파티션(100)과 제 2 파티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티션(100)은 제 2 저장실(32)과 제 3 저장실(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제 1 저장실(31)과 제 2 저장실(32)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티션(100)은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파티션(100)은 일종의 단열재로서, 단열 성능이 뛰어나고 가벼운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파티션(100)은 일부는 EPS재질로 형성되어 제 2 저장실(32)과 제 3 저장실(33) 사이를 단열하고, 다른 일부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제 1 유동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상면이 제 1 저장실(31)을 향하고 하면이 제 2 저장실(32)을 향하도록 제 1 저장실(31)과 제 2 저장실(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의 일부는 EPS재질로 형성되어 제 1 저장실(31)과 제 2 저장실(32) 사이를 단열하고, 일부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제 2 유동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파티션(200)은 전체가 EPS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제 3 저장실(33)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 1 파티션(1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제 3 저장실(33)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제 1 파티션(100)의 제 1 유동 공간(S1)과 제 2 파티션(200)의 제 2 유동 공간(S2)을 통해 제 2 저장실(32)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장치, 제 1 파티션 및 제 2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 2 저장실(32)의 냉기 공급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제 1 파티션(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파티션(100)은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제 1 파티션(100)의 제 1 가이드 덕트(110)로 유동될 수 있다.
제 1 파티션(100)의 제 1 가이드 덕트(110)로 유동된 냉기는 제 2 파티션(200)의 제 2 가이드 덕트(231)로 유동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제 1 파티션(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로 유동된 냉기는 제 1 파티션(100)과 제 2 파티션(200)의 사이로 토출되어 제 2 저장실(32)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냉기 유동은 대략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상방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으며 냉기 유동이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후방으로 우회되지 않도록 냉기 공급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저장실(32)로의 냉기 공급을 수행하는 제 1 냉기 공급 장치(90), 제 1 파티션(100) 및 제 2 파티션(200)의 세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 파티션을 분해하여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파티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파티션(200)은 제 1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20) 및 제 3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은 사이에 제 3 하우징(230)이 배치되도록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0)은 로어 바디(211) 및 연장 하우징(212)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11)는 제 2 파티션(200)의 하면을 형성하고 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 하우징(212)은 로어 바디(2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 하우징(212)은 로어 바디(211)의 후방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하우징(212)은 덕트 커버부(2121) 및 제 2 냉기 토출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커버부(2121)는 후술할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냉기 토출부(2122)는 제 2 저장실(32)을 향해 형성되어 제 2 저장실(32)과 후술할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제 2 냉기 토출부(2122)는 제 2 가이드 덕트(231)로 유동된 냉기가 제 2 저장실(32)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어 바디(211)는 센서 수용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111)에는 온도 센서(81)가 수용되어 제 2 저장실(3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2111)는 로어 바디(211)의 하방으로 함몰되어 온도 센서(8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수용부(2111)의 일부는 절개되어 온도 센서(81)가 제 2 저장실(32)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81)는 제 2 파티션(20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20)은 어퍼 바디(22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226)는 제 2 파티션(200)의 상면을 형성하고 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어퍼 바디(226)는 제 1 저장실(3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바디(226)는 워터 탱크 안착부(223) 및 드로워 안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안착부(224)는 제 1 저장실(31)에 배치되는 제 1 드로워(71)와 제 2 드로워(72)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로워 안착부(224)는 어퍼 바디(226)의 후방을 향해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드로워(71)와 제 2 드로워(72)가 제 1 저장실(31)의 전방으로 불측의 상황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워터 탱크 안착부(223)는 드로워 안착부(2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워터 탱크 안착부(223)에는 워터 탱크(60)가 안착될 수 있다. 워터 탱크 안착부(223)는 대략 제 2 파티션(20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226)는 절개부(221) 및 전선 수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21)는 온도 센서(81)와 연결되는 전선이 제 1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절개부(221)를 통과하여 제 1 저장실(31)의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어퍼 바디(226)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개부(221)는 어퍼 바디(226)의 측면과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수용부(222)는 절개부(221)를 통과한 전선이 어퍼 바디(226)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21) 및 전선 수용부(222)와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 2 파티션(200)은 제 3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하우징(230)은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종의 단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하우징(230)은 EPS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3 하우징(230)의 일부는 EPS재질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하우징(230)은 미들 바디(232) 및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바디(232)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 사이에 수용되어 제 1 저장실(31)과 제 2 저장실(32)이 각각 단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들 바디(232)는 제 1 하우징(210)의 로어 바디(211)와 제 2 하우징(220)의 어퍼 바디(22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바디(232)의 후방에는 함몰부(2321)가 형성되어 온도 센서(81)와 연결되는 전선이 제 2 하우징(220)의 절개부(221)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미들 바디(232)의 후방에서 아래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후술할 제 1 가이드 덕트(110)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는 제 2 냉기 유입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연장 하우징(2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냉기 유입부(2311)로 유입된 냉기는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유동하여 연장 하우징(212)의 제 2 냉기 토출부(2122)를 통해 제 2 저장실(32)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가이드 덕트(231)와 연장 하우징(21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디바이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더(240)는 제 2 가이드 덕트(231)와 연장 하우징(2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냉기 유입부(2311)로 유입된 냉기가 좌우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 1 파티션을 분해하여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파티션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파티션(100)은 단열 바디(120) 및 제 1 가이드 덕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바디(120)는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 덕트(11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열 바디(120)는 상기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함께 냉기가 유동되는 제 1 유동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 바디(120)는 덕트 장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덕트 장착부(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덕트 장착부(121)는 단열 바디(120)의 후방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장착부(121)는 커버 플랜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랜지(1211)는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마주보게 마련되어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함께 제 1 유동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덕트 장착부(121)는 돌기 수용홈(1212) 및 덕트 안착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수용홈(1212)은 커버 플랜지(1211)의 일 측에 형성되고, 덕트 안착홈(1213)은 커버 플랜지(1211)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 수용홈(1212)과 덕트 안착홈(1213)은 단열 바디(12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수용홈(1212)은 후술할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결합 돌기(116)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 안착홈(1213)은 후술할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바디 안착부(113)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베이스(111) 및 유로 형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12)는 베이스(111)로부터 단열 바디(120)를 향해 연장되어 내부에 제 1 유동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유로 형성부(112)로부터 단열 바디(120)를 향해 연장되는 결합 돌기(116) 및 바디 안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116)는 단열 바디(120)의 돌기 수용홈(1212)에 수용되고, 바디 안착부(113)는 단열 바디(120)의 덕트 안착홈(1213)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돌기(116)와 바디 안착부(113) 중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단열 바디(1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냉기 유입부(114) 및 제 1 냉기 토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냉기 유입부(114)는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냉기 토출부(115)는 제 1 냉기 유입부(114)로 유입된 냉기가 제 2 가이드 덕트(231)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 1 냉기 유입부(114)의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냉기 유입부(114)는 제 1 유동 공간(S1)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 2 냉기 유입부(2311)는 제 2 유동 공간(S2)의 상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로부터 공급된 냉기를 제 2 가이드 덕트(231)로 가이드하는 제 1 유동 공간(S1)을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12)는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유동 공간(S1)은 제 1 가이드 덕트(110) 내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냉기 토출부(115)는 제 1 냉기 유입부(114)와 냉장고(1)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편향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구조와 관련한 것으로써, 송풍팬(94)이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송풍팬(94)에 의해 댐퍼(93)로 유동되는 공기는 송풍팬(94)에 의한 기류 형성에 의해 일 측으로 편심되는 경향이 있다.
만일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제 1 유동 공간(S1)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 1 유동 공간(S1)을 따라 유동되어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통해 제 2 저장실(32)로 냉기가 토출되는 경우에도 기류가 일 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제 2 저장실(32) 내부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유로 형성부(112)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제 1 유동 공간(S1)을 유동하는 냉기의 흐름 방향을 어느 정도 보정하여 제 2 저장실(32)의 균일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송풍팬(94)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유로 형성부(112)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으며, 유로 형성부(112)가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고 상하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냉기 공급 장치를 분해하여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전방 커버(91) 및 후방 커버(9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커버(91)는 제 3 저장실(33)에 노출되는 구성으로써 냉기를 제 3 저장실(33)로 토출하도록 복수의 냉기공급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커버(92)는 전방 커버(91)와 결합되어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는 전방 커버(91) 및 후방 커버(92)의 사이에 수용되는 송풍팬(94) 및 댐퍼(9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94)은 제 3 저장실(33)의 냉기를 흡입하여 전방 커버(91)와 후방 커버(92)의 사이로 유동시키도록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94)은 전방 커버(91)의 팬 장착부(912) 및 후방 커버(92)의 팬 커버부(922)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94)은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댐퍼(93)는 전방 커버(91)의 댐퍼 장착부(911) 및 후방 커버(92)의 댐퍼 커버부(921)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전방 커버(91)의 댐퍼 장착부(911)는 전방 커버(9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댐퍼(9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장착부(911)의 상부에는 제 1 냉기 유동홀(9111)이 형성되어 냉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방 커버(92)의 댐퍼 커버부(921)는 댐퍼 장착부(9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 커버부(921)는 댐퍼(93)의 후방을 커버하고, 댐퍼 장착부(9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댐퍼 커버부(921)는 제 2 냉기 유동홀(9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냉기 유동홀(9211)은 댐퍼 장착부(911)의 제 1 냉기 유동홀(9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1 냉기 유동홀(91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냉기 유동홀(9111)로 유동된 냉기는 제 2 냉기 유동홀(9211)로 유동될 수 있다.
댐퍼(93)는 제 1 가이드 덕트(110)로의 냉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댐퍼(93)는 제 1 가이드 덕트(110)로 냉기가 유동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냉기 공급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댐퍼(93)는 장착 프레임(933), 모터부(932) 및 개폐 부재(93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프레임(933)은 전방 커버(91)의 댐퍼 장착부(911)에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933)의 일 측에는 모터부(932)가 마련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 프레임(933)의 상면에는 냉기 토출홀(9331)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 토출홀(9331)은 전방 커버(91)의 제 1 냉기 유동홀(9111) 및 후방 커버(92)의 제 2 냉기 유동홀(9211)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931)는 장착 프레임(933)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931)는 모터부(932)와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 부재(931)는 냉기가 냉기 토출홀(9331), 제 1 냉기 유동홀(9111) 및 제 2 냉기 유동홀(9211)로 유동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댐퍼(93)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93)는 제 3 저장실(33)로부터 제 2 저장실(32)을 따라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 내부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공급 장치, 제 1 파티션 및 제 2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내상(11)은 제 1 연통홀(111b) 및 제 2 연통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통홀(111b)은 제 3 저장실(33)을 형성하는 내상(11)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통홀(111a)은 제 2 저장실(32)을 형성하는 내상(11)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통홀(111a)은 제 1 연통홀(111b)을 향하도록 내상(11)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내상(11b)은 제 1 연통홀(111b)을 포함하고 제 1 내상(11a)은 제 2 연통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통홀(111b)과 제 2 연통홀(111a)은 제 2 내상(11b)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로부터 제 1 내상(11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저장실(32)로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연통홀(111b)과 제 2 연통홀(111a)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냉기 공급 장치(90)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제 1 연통홀(111b)에서 제 2 연통홀(111a)로 가이드 하도록 제 1 파티션(1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제 1 가이드 덕트(110)로 유동된 냉기를 제 2 저장실(32)로 가이드 하도록 제 2 파티션(2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제 2 연통홀(111a)을 통해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파티션(100)이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립 됨에 따라,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연통홀(111b)과 제 2 연통홀(111a)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연통홀(111b)과 제 2 연통홀(111a)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연통홀(111b)은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제 3 저장실(33)이 연통되도록 제 2 내상(11b)에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통홀(111a)은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제 2 가이드 덕트(231)가 연통되도록 제 1 내상(11a)에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통홀(111b)은 제 2 내상(11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내상(11b)의 후방 상면에는 제 2 덕트 안착부(112b)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연통홀(111b)은 제 2 덕트 안착부(112b)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덕트 안착부(112b)에는 제 1 가이드 덕트(110)가 안착될 수 있고,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하부가 제 2 덕트 안착부(11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연통홀(111b)은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제 1 냉기 유입부(114)와 연통될 수 있다.
제 2 연통홀(111a)은 제 1 내상(11a)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상(11a)의 후방 하면에는 제 1 덕트 안착부(112a)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연통홀(111a)은 제 1 덕트 안착부(112a)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덕트 안착부(112a)에는 제 1 가이드 덕트(110)가 안착될 수 있고,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상부가 제 1 덕트 안착부(11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연통홀(111a)은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제 1 냉기 토출부(115)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상(11a)의 내부에는 제 2 가이드 덕트(2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덕트(2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냉기 유입부(2311)는 제 2 연통홀(111a)과 연통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파티션(100)의 후방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내상(11)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제 1 가이드 덕트(110)는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은 냉기가 유동되는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연통되기 위한 제 1 연통홀(111b)과 제 2 연통홀(111a)을 구비한다.
따라서 댐퍼(93) 개방 상태에서,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에서 생성되어 제 1 연통홀(111b)을 통과한 냉기는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제 1 냉기 유입부(114)로 유동되고,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제 1 유동 공간(S1)을 따라 제 1 냉기 토출부(115)로 유동된다.
이후 냉기는 제 2 연통홀(111a)을 통과하고 제 2 가이드 덕트(231)의 제 2 냉기 유입부(2311)를 통해 제 2 유동 공간(S2)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후, 제 2 유동 공간(S2)으로 안내된 냉기는 제 2 냉기 토출부(2122)를 통해 제 2 저장실(32)로 토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 1 가이드 덕트(110)의 제 1 유동 공간(S1)은 내상(11)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덕트(110)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제 2 연통홀(111a)과 연통되고, 제 2 연통홀(111a)을 통과한 냉기가 제 2 저장실(32)로 유동되는 제 2 유동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유동 공간(S2) 역시 내상(11)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냉기 공급 장치(90), 제 1 가이드 덕트(110) 및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냉장고(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제 1 파티션(100)에 제 1 가이드 덕트(110)를 형성하고, 제 2 파티션(200)에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형성하여 제 1 파티션(100) 및 제 2 파티션(200)과 간섭을 피해 우회되는 별도 덕트 없이도 제 2 저장실(32)로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에서 생성되어 제 2 저장실(32)로 유동되는 냉기의 유동 경로가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어 냉기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 사이에서 냉기 유동 경로가 전후 방향으로 우회되지 않고 냉장고(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리니어하게 유동됨으로써 냉기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연결 덕트 없이 제 1 파티션(100)의 일부를 통해 냉기가 유동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댐퍼(93)를 제 1 냉기 공급 장치(90)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냉기 공급 유로의 비교적 상류 측에서 냉기 토출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제 2 가이드 덕트(231) 내부에서 냉기가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저장실(32)로 냉기를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덕트(231)가 제 2 파티션(200)의 후방 하부로 연장됨으로써 제 2 파티션(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저장실(31)의 크기가 보다 여유롭게 확보될 수 있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제 1 파티션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C부분을 확대하여 후방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제 2 저장실(32)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제 2 파티션(200)의 하면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81,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온도 센서(81)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어 제 1 저장실(31)의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절개부(221)를 통과한 전선이 수용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 수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200)은 상면에 워터 탱크(60)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워터 탱크 안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탱크 안착부(223)는 전선 수용부(222)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워터 탱크(6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여과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워터 탱크(6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상(11)의 외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냉장고(1)의 내부에는 이와 같은 호스 등의 워터 탱크(60) 부속품을 커버하기 위한 워터 탱크 커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워터 탱크 커버(미도시)는 워터 탱크(6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저장실(31)은 냉장실로서, 절개부(221)를 통해 전선 수용부(222)에 수용된 전선이 냉장실의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면 전선을 타고 냉기가 전도되어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미도시)과 전선하우징(미도시)를 커버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별도의 커버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전선 수용부(222)를 워터 탱크 안착부(223)의 후방에 형성하여 워터 탱크(60)의 후방에 마련되는 워터 탱크 커버로 전선과 전선하우징을 동시에 커버함으로써 보다 단순화된 커버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 1 파티션(100)과 제 2 파티션(200)의 위치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상(11)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제 1 저장실(31)에 배치되는 제 2 냉기 공급 장치(80)로부터 제 2 저장실(32)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내상(11a)은 제 1 저장실(31)을 포함하고 제 2 내상(11b)은 제 2 저장실(32), 제 3 저장실(33)을 포함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파티션(100)은 제 1 내상(11a)과 제 2 내상(11b)의 사이에 배치되되 제 1 저장실(31)과 제 2 저장실(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파티션(200)은 제 2 저장실(32)과 제 3 저장실(33)을 구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저장실(31)의 제 2 냉기 공급 장치(80)가 제 2 저장실(32)로 냉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 1 파티션(100)과 제 2 파티션(200)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티션(100)은 제 2 냉기 공급 장치(80)로부터 냉기를 공급받고 제 2 파티션(200)과 연통되는 제 1 가이드 덕트(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파티션(200)은 제 1 가이드 덕트(110)와 연통되어 냉기를 제 2 저장실(32)로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덕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파티션(200)의 제 2 가이드 덕트(231)는 제 2 저장실(32)의 후방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형태일 것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1; 내상
11a; 제1내상
11b; 제2내상
111b; 제1연통홀
111a; 제2연통홀
31, 32, 33; 제1, 제2, 제3저장실
100; 제1파티션
200; 제2파티션
90; 제1냉기공급장치
80; 제2냉기공급장치
110; 제1가이드덕트
120; 단열 바디
210, 220, 230; 제1, 제2, 제3하우징
231; 제2가이드덕트
221; 절개부
222; 전선수용부
223; 워터탱크 안착부
S1, S2; 제1유동공간, 제2유동공간

Claims (20)

  1. 내상을 포함하는 본체;
    제1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상기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파티션;
    상기 제3저장실에 배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상기 내상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연통홀;
    상기 제1연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상기 내상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2연통홀;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1연통홀에서 상기 제2연통홀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파티션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덕트;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로 유동된 냉기를 상기 제2저장실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파티션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덕트로서, 상기 제2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연결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내상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냉기가 유동되는 제1유동공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 및
    상기 제3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상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제2내상의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3저장실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내상에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2가이드덕트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내상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상기 제3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가이드덕트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2내상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1내상의 하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연통홀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홀을 통과한 냉기가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되는 제2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은
    상기 제1가이드덕트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덕트가 결합되는 단열바디로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함께 냉기가 유동되는 제1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단열바디;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단열바디를 향해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제1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냉기가 유입되는 제1냉기유입부; 및
    상기 제1냉기유입부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제2가이드덕트로 유동되도록 상기 제1냉기유입부의 위에 형성되는 제1냉기토출부로서, 상기 제1냉기유입부와 편향 배치되는 제1냉기토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파티션은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파티션은 상기 내상의 내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파티션의 하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파티션은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어 상기 제1저장실의 후방으로 가이드되도록 절개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상기 전선이 수용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수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티션은
    상면에 워터 탱크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워터 탱크 안착부로서, 상기 전선수용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워터 탱크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덕트로의 냉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장착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제1가이드덕트 및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정렬되는 냉장고.
  16. 제1내상과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제1내상에 의해 형성되는 제1저장실;
    상기 제1내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상기 제2내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제2내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파티션;
    상기 제1내상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
    상기 제3저장실에 장착되어 냉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파티션과 연통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제1파티션에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동되는 제1유동공간을 포함하는 제1가이드덕트;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연통되게 상기 제2파티션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덕트로서, 상기 제1유동공간을 따라 가이드된 냉기가 유동되는 제2유동공간을 포함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기 제2저장실의 후방에서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유동공간으로 가이드된 냉기는 상기 제2저장실로 토출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상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연결하는 제1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상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2가이드덕트를 연결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1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저장실 및 상기 제2저장실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제3저장실에 장착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내상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파티션으로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냉기 공급장치와 연통되는 제1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제1파티션; 및
    상기 내상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으로서, 일 단이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연통되고 타 단이 상기 제2저장실과 연통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하는 제2파티션;을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상기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내상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1가이드덕트와 상기 제2가이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내상의 후면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189415A 2021-12-28 2021-12-28 냉장고 KR20230099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15A KR20230099951A (ko) 2021-12-28 2021-12-28 냉장고
PCT/KR2022/015253 WO2023128165A1 (ko) 2021-12-28 2022-10-11 냉장고
US18/070,806 US20230204275A1 (en) 2021-12-28 2022-11-2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15A KR20230099951A (ko) 2021-12-28 2021-12-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51A true KR20230099951A (ko) 2023-07-05

Family

ID=8699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15A KR20230099951A (ko) 2021-12-28 2021-12-28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9951A (ko)
WO (1) WO20231281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5837B2 (en) * 2006-12-28 2010-03-30 General Electric Company Freezer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20110089573A (ko) * 2010-02-01 201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턴덕트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670086B1 (ko) * 2010-02-26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41450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워터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
JP2015158278A (ja) * 2012-06-06 2015-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165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35B1 (ko) 냉장고
KR101390448B1 (ko) 냉장고
KR100512677B1 (ko) 냉장고
KR102412189B1 (ko) 냉장고
EP3109581B1 (en) Refrigerator
WO2009061070A2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83212B1 (ko) 냉장고
US10775093B2 (en) Refrigerator
US11994322B2 (en) Refrigerator
JP6000919B2 (ja) 冷蔵庫
KR20210026471A (ko) 냉장고
KR102375122B1 (ko) 냉장고
JP2015042909A (ja) 冷蔵庫
KR20070031721A (ko) 냉장고
KR20190121437A (ko) 냉장고
KR20190127027A (ko) 냉장고
KR102615061B1 (ko) 냉장고
JP2023111954A (ja) 遮蔽装置
KR20230099951A (ko) 냉장고
US20230204275A1 (en) Refrigerator
KR100528289B1 (ko) 냉장고
KR20110035416A (ko) 냉장고
JP2007113800A (ja) 冷蔵庫
US20240175619A1 (en) Refrigerator
KR20240079977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