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457A -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 Google Patents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457A
KR20230099457A KR1020210188816A KR20210188816A KR20230099457A KR 20230099457 A KR20230099457 A KR 20230099457A KR 1020210188816 A KR1020210188816 A KR 1020210188816A KR 20210188816 A KR20210188816 A KR 20210188816A KR 20230099457 A KR20230099457 A KR 20230099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layer
shoe
us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25233B1 (ko
Inventor
신병민
이진혁
배종우
최명찬
윤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신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신병민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523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888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252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의 흡수는 물론이고 지면을 차고 나갈 때의 추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에 관한 것이며, 제2레이어가 복수개로 구성됨으로써 각 구성의 독립적 변형 및 회복이 가능하며, 서로 간의 구조 변형에 대한 방해가 없으므로 보다 탄력적인 변형 회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는 갑피; 및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상기 갑피에 결합되되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하는 신발은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제1레이어; 및 상기 제1레이어 하측에 구비되되, 높이 방향으로 오그제틱(auxetic)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충격흡수 및 탄성반발시키는 제2레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footwear including midsole with resilience structure}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의 흡수는 물론이고 지면을 차고 나갈 때의 추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충격 완화 또는 흡수 기전 이외에 발과 지면과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발을 보호해야 하고 발의 부상예방에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신발은 기본적으로 주된 외관 디자인과 형태를 이루는 상부 부분인 갑피(Upper)와 그 하부에 부착되어 체중을 지탱하는 하부 부분인 솔(Sole)을 포함한다.
상기 솔은 인솔(Insole), 미드솔(Midsole) 및 아웃솔(Outsole)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솔은 직접 발과 접촉하는 부분이고, 아웃솔은 지면과 접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은 인솔과 아웃솔의 사이에 개재되며, 주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분산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보행 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신발 내측에 깔창을 구비하거나 탄성복원체를 아웃솔에 내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탄성복원체로 이용되는 에어백 또는 스프링 등의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데 반해 반발탄성력을 저하시켜 장기간 보행 시 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발에 피로감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미드솔에 EVA(Ethyl Vinyl Acetate)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그리고 TPE(Thermoplastic Elastomer)와 같이 가볍고, 점탄성(Viscous-elastic)의 특성을 지니는 반발탄성의 소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KR 1933660 B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의 반발탄성력 향상을 위해 미드솔의 소재를 변경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미드솔의 높이 방향으로 오그제틱(Auxetic) 구조를 형성하여, 지면에 발이 닿을 때 미드솔이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고 지면으로부터 발이 떨어질 때 미드솔이 신장함으로써 추진력이 향상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그제틱 구조 적용 시 3D 프린팅이 아닌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2레이어가 사용자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는 갑피; 및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상기 갑피에 결합되되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하는 신발은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제1레이어; 및 상기 제1레이어 하측에 구비되되, 높이 방향으로 오그제틱(auxetic)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충격흡수 및 탄성반발시키는 제2레이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좌우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경도부와 상기 제1경도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경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레이어는 신발 앞축에서 뒷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어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서 신발 뒷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의 길이에 따라 신발 사이즈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제2레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 각각의 구성들이 폭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신발 사이즈 폭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그제틱 구조는 신발의 앞축에서 뒷축까지 하나의 열로 형성되되, 신발의 앞축에서 뒷축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진다.
아울러,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오그제틱 구조로 이루어진 열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이어는 높이 방향으로 오그제틱 구조가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력의 흡수는 물론이고 지면을 차고 나갈 때의 추진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레이어가 사용자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됨으로써 각 구성의 독립적 변형 및 회복이 가능하며, 서로 간의 구조 변형에 대한 간섭이 없으므로 보다 탄력적인 변형 회복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레이어의 안착부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신발 사이즈 길이가 조절되고, 제2레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 각각의 구성들이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신발 사이즈 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신체 하중이 주로 작용되는 중심부를 저경도화함으로써 반발탄성 및 충격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배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반발공간에 삽입되는 필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신발은 주된 외관 디자인과 형태를 이루며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는 상부 부분인 갑피(Upper)와 그 하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하부 부분인 솔(Sole)을 포함한다.
상기 솔은 미드솔(Midsole), 아웃솔(Outsole) 및 인솔(Ins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솔은 갑피 하부에 구비되어 보행 시 발에 걸리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아웃솔은 미드솔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하므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솔은 갑피와 미드솔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신발의 내부 바닥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발의 피로를 방지하거나 땀으로 인해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발의 앞축과 뒷축을 잇는 직선에 나란한 방향을 신발의 길이 방향, 이러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신발의 폭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미드솔은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제1레이어(100) 및 충격흡수 및 탄성반발시키는 제2레이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레이어(100)는 하부에 상기 제2레이어(2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가이드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2레이어(200)는 상기 제1레이어(100) 하부에 구비되되, 높이 방향으로 오그제틱(auxetic)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오그제틱 구조는 복수의 단위 구조를 통해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계적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 기계적 메타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 메타 물질에 관련한 오그제틱 구조는 통상적인 자연계 연신에 정반대인 수직 방향으로 팽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오그제틱 구조는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진다.
포아송 비(Poisson′s Ratio)란, 재료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인장되는 가로 방향의 변형도와 세로 방향의 변형도 사이의 비율인 횡방향과 종방향 간의 변형률을 의미한다.
대부분은 재료들은 단축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경우, 재료의 인장 방향과 측면 방향 변형률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양의 포아송 비를 갖는다. 다만, 재료가 특정한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설계할 경우, 구성물질이 양의 포아송 비를 가지더라도 거시적으로 음의 포아송 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논-오그제틱(non-auxetic) 구조는 횡방향의 응력이 가해지면, 해당 방향으로 신장함과 동시에 종방향으로의 수축이 발생한다. 즉, 재료 내부에 생기는 수직 응력에 의한 종방향의 변형과 횡방향의 변형 간의 포아송 비가 양수일 수 있다.
반면, 오그제틱(auxetic) 구조는 횡방향의 응력이 가해지면,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로 신장될 수 있다. 즉, 재료 내부에 생기는 수직 응력에 의한 포아송 비가 음수일 수 있다.
이러한 오그제틱 구조로는 리엔트런트(re-entrant) 구조, 키랄(Chiral) 구조, 회전 강체(Rotating rigid Unit) 구조 등이 있다.
상기 회전 강체 구조는 외력을 받게 되면 힘이 분산되어 종방향과 횡방향의 변위가 동시에 일어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회전 강체 구조로는 삼각형, 사각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이어(200)에는 삼각형 오그제틱 구조가 적용되며, 상기 삼각형 오그제틱 구조는 사각형에 비해 더 큰 절대값의 포아송 비를 가지고, 외력에 대한 체적 탄성률도 더 크다.
즉, 상기 삼각형 오그제틱 구조는 동일한 종방향 외력에 대해서 사각형에 비해 횡방향 변위가 더 크게 나타남으로, 횡방향으로 힘이 더 많이 분산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은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의 흡수는 물론이고 지면을 차고 나갈 때의 추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어(2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의 앞축에서 뒷축까지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오그제틱 구조를 가지되, 상기 열이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은 상기 오그제틱 구조로 이루어진 열이 2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보행 시 발생하는 압축에 대한 탄성 저항 및 충격 흡수, 신발의 운동 특성이 향상된다.
오그제틱 구조로 이루어진 열이 3개 이상 형성될 경우, 성형 공정상의 문제와 함께 오그제틱 구조의 크기가 과도하게 감소하여 탄성이 감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그제틱 구조는 신발의 앞축에서 뒷축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보행 시 발생하는 족저압은 뒤꿈치 부분에 집중되어지므로, 신발의 뒷축으로 갈수록 오그제틱 구조의 크기를 크게하고 두께를 두껍게함으로써, 족저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신발의 운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제1레이어(100)는 신발 앞축에서 뒷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어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110)와 상기 사용자 발의 뒷꿈치를 지지하는 안착부(110)의 후단에서 신발 뒷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10)의 길이와 연장부(120)의 길이 합은 제1레이어(100)의 길이가 되며, 상기 제1레이어(100)의 길이는 상기 제2레이어(200)의 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110)의 길이는 사용자의 발 길이에 따른 신발 사이즈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0)의 길이는 신발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되, 제1레이어(100)의 길이는 동일하므로 상기 연장부(120)의 길이는 안착부(110) 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0)의 각도는 연장부(120)의 길이 즉, 상기 안착부(110) 후단에서 신발 뒷축까지의 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장부(120)의 각도는 상기 안착부(110) 후단의 상부에서 신발 뒷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선의 각도를 의미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20)의 길이가 짧을수록 각도가 커지고, 연장부(120)의 길이가 길수록 각도가 작아진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제2레이어(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레이어(200)는 길이 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경도부와 상기 제1경도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경도부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경도부는 상기 제2레이어(200)의 가장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경도부 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중이 주로 작용하는 중심부에 위치한 제2경도부가 제1경도부 보다 경도가 낮음으로써 신발의 반발탄성력 및 충격흡수력이 향상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배면도가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제2레이어(200)는 좌우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경도부(210,240)와 상기 제1경도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2경도부(220,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반발 구조를 갖는 미드솔은 상기 제2레이어(200)가 복수개로 구획됨으로써 각 구성의 독립적 변형 및 회복이 가능하며, 서로 간의 구조 변형에 대한 간섭이 없으므로 보다 탄력적인 변형 회복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레이어(20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구획됨으로써, 3D 프린팅이 아닌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레이어(200)는 각 구성의 독립적 변형으로 인해 신발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한 비틀림이 방지되고, 접지력이 증대되어 착화감이 향상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배면도가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두 개의 상기 제1경도부와 하나 이상의 상기 제2경도부는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상기 제1경도부 및 제2경도부는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레이어(200)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되는 각각의 구성 간 이격되는 거리 간격 조절을 통하여 신발 사이즈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제2레이어(200)를 통해 신발 사이즈 폭을 조절하고, 제1레이어(100)를 통해 신발 사이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어(200)의 경우, 오그제틱 구조 적용으로 인해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 비용이 크다. 따라서, 사이즈별로 금형을 갖출 시에는 큰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 제1레이어(100)의 경우, 제2레이어(200)와 같이 복잡한 형상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제2레이어(200) 사출 금형 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저렴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2레이어(200)의 폭 조절에 따라 가변되는 신발 사이즈에 맞춰 제1레이어(100)의 안착부(110) 및 연장부(120) 길이 및 폭을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상기 제2레이어(200)의 폭 조절을 통해 신발 사이즈가 약 4문(9.6cm)까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 사이즈 200mm용으로 제작된 제2레이어(200)는 폭 조절을 통해 최대 약 300mm까지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반발공간에 삽입되는 필러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제2레이어(200)는 상기 오그제틱 구조로 인해 내부에 탄성반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반발공간에 삽입되어 신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필러(Filler)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러(300)는 상기 탄성반발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발 사용자의 족저압 분석에 따라 검출되는 압력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반발공간에 상기 필러가 삽입되면 동일한 크기의 족저압이 발생하더라도 지지력이 커짐에 따라 그 변형의 정도가 작아 꺼짐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신발 사용자가 과내전일 경우에는 신발의 내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의 탄성반발공간에 상기 필러(300)가 삽입됨으로써 과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른발에 착용되는 신발의 좌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의 탄성반발공간과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는 신발의 우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의 탄성반발공간에 상기 필러(300)가 삽입된다.
신발 사용자가 과외전일 경우에는 신발의 외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의 탄성반발공간에 상기 필러(300)가 삽입됨으로써 과외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른발에 착용되는 신발의 우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의 탄성반발공간과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는 신발의 좌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의 탄성반발공간에 상기 필러(300)가 삽입된다.
이처럼, 상기 필러(300)는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경도부(210,240)에 형성되는 탄성반발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신발 사용자의 보행 시 발이 치우치는 부분에 위치하는 탄성반발공간에 상기 필러(300)를 삽입함으로써 해당 부분에 대한 지지력을 상승시켜 보행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300)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교체하거나 삽입 대상 공간을 바꿀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필러(300)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경도부와 제2경도부에 형성되는 오그제틱 구조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도부와 제2경도부에 형성되는 오그제틱 구조의 위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 시 발생하는 족저압에 의한 오그제틱 구조의 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족저압 분산 및 오그제틱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레이어
110 : 안착부
120 : 연장부
200 : 제2레이어
210, 240 : 제1경도부
220, 230 : 제2경도부
300 : 필러

Claims (6)

  1.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는 갑피; 및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상기 갑피에 결합되는 미드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제1레이어; 및
    상기 제1레이어 하측에 구비되되, 높이 방향으로 오그제틱(auxetic)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충격흡수 및 탄성반발시키는 제2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어는,
    길이방향으로 좌우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경도부와,
    상기 제1경도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경도부를 포함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어는,
    신발 앞축에서 뒷축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되어 사용자 발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서 신발 뒷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그제틱 구조는,
    신발의 앞축에서 뒷축까지 하나의 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그제틱 구조는,
    신발의 앞축에서 뒷축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오그제틱 구조로 이루어진 열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KR1020210188816A 2021-12-27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KR102725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16A KR102725233B1 (ko) 2021-12-27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16A KR102725233B1 (ko) 2021-12-27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457A true KR20230099457A (ko) 2023-07-04
KR102725233B1 KR102725233B1 (ko) 2024-11-0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660B1 (ko) 2018-05-21 2018-12-31 이호형 전후방 탄성체 미드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660B1 (ko) 2018-05-21 2018-12-31 이호형 전후방 탄성체 미드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53B2 (en) Energy return sole
US6487796B1 (en) Footwear with lateral stabilizing sole
US6944972B2 (en) Energy return sole for footwear
CN101505624B (zh) 用于鞋类物品和其它脚部容纳装置的冲击减弱系统
CA1338231C (en) Athletic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EP2023760B1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with lateral and shear force stability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767339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late and indentations formed therein
CN101505623B (zh) 具不同方位冲击减弱元件的鞋类物品和其它脚部容纳装置
CN112423616B (zh) 鞋尤其运动鞋的鞋底
US20070271818A1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EP0741529B1 (en) Elastomer midsole shoe structure
US20050108897A1 (en) Footwear with a heel plate assembly
JPH04231906A (ja) 運動靴における踵緩衝安定装置
US10687583B2 (en) Shock absorbing member for sole of shoe and shoe including shock absorbing member
US10932518B2 (en) Sole structure and shoe including same
US20160316852A1 (en) Heel Suspend Footbed With Pronation Adapting Mechanism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20230099457A (ko)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KR102725233B1 (ko) 반발탄성 구조를 갖는 미드솔을 포함한 신발
KR200400116Y1 (ko)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CN113498910A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880228B1 (ko) 신발
CN218418650U (zh) 一种具有稳定支撑功能的运动鞋底及运动鞋
CN215270890U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