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094A -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094A
KR20230099094A KR1020210188178A KR20210188178A KR20230099094A KR 20230099094 A KR20230099094 A KR 20230099094A KR 1020210188178 A KR1020210188178 A KR 1020210188178A KR 20210188178 A KR20210188178 A KR 20210188178A KR 20230099094 A KR20230099094 A KR 2023009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pad
height
pressure
sen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이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우 filed Critical 이시우
Priority to KR102021018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094A/ko
Publication of KR2023009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4Foo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2Healthy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bjects of a marketing surv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Nur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는, 인솔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와 탈부착되며,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하는 아치부와,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압력감지정보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바닥의 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아치 높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MEASURING PAD OF FOOT ARCH HEIGHT AND ANALYZING APPARATUS USING THE PAD}
본 발명은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바닥의 아치 높이에 따른 압력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인솔이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발의 피로감소 및 아치를 지지하는 다양한 기능성 인솔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성 인솔이 사용자의 발에 맞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맞춤형 인솔의 경우 사용자 발에 최적화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개당 비용이 비싸고 제작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한계가 있다. 특히, 평발과 같이 발의 아치가 낮은 경우에는 발의 통증을 줄이기 위해 정확한 아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3654호(2018년 02월 07일 공개)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마트 인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 내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행시 보행자의 발바닥에 작용하는 압력인 족저압을 복수의 위치에 대하여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상기 인솔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보행자의 발바닥에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 발생부, 및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족저압의 분포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족저압 분포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경우이면 족저압이 집중된 영역에 자극을 발생시켜 상기 족저압의 분포가 정상이 되도록 상기 자극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족저압의 분포에 따라 족저압이 정상이 되도록 자극을 발생하는 것이나, 사용자의 발바닥 아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분석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바닥의 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아치 높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패드부에 아치부를 탈착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아치부를 교체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아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부를 적층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아치와 접촉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아치 높이를 정확히 분석하여 최적의 인솔 모델을 추천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는, 인솔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와 탈부착되며,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하는 아치부와,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압력감지정보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치부의 상부에 기 설정된 높이로 적층되어 결합하며, 일측에 상기 압력감지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부는 움직임감지정보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정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치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미세전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패드를 이용한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는 인솔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와 탈부착되며,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하는 아치부와,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압력감지정보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와 통신하며, 상기 압력감지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감지정보관리부와, 제1 높이의 상기 아치부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정보와, 제2 높이의 상기 아치부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아치의 높이를 계산하는 아치분석부와, 계산된 상기 아치의 높이에 따라 상기 아치부의 모델을 추천하는 모델추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바닥의 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아치 높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에 아치부를 탈착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아치부를 교체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아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부를 적층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아치와 접촉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아치 높이를 정확히 분석하여 최적의 인솔 모델을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중 패드부와 아치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중 아치부와 압력감지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에 적층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에 움직임감지부와 미세전류감지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에서 인솔 모델을 추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중 패드부와 아치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중 아치부와 압력감지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는 패드부(110), 아치부(120), 압력감지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패드부(110)는 인솔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한다. 패드부(11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실리콘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패드부(110)는 발바닥이 미끄럽지 않도록 논슬립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부(110)는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바닥 크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패드부(110)는 신발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드부(110)는 후술하는 아치부(120)와 결합한다. 이 경우, 패드부(110)에는 아치부(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치부(120)는 패드부(110)와 탈부착되어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한다. 아치부(120)는 실리콘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치부(120)의 높이는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아치부(120)는 패드부(110)와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치부(120)는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치부(120)의 표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치부(120)에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치부(120)는 패드부(110)의 결합공(111)에 결합하도록 제1 걸림돌기(121)와 같은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치부(120)가 패드부(110)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치부(120)는 패드부(110)와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패드부(110)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아치부(120)의 제1 걸림돌기(121)가 이를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아치부(120)는 패드부(110)와 자성결합을 통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아치부(120)와 패드부(110)에는 각각 자석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드부(110)에 아치부(120)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압력감지부(130)는 패드부(110) 또는 아치부(120)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압력감지부(130)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압력감지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감지부(130)는 내부에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압력감지정보를 통신부(140)로 출력한다. 압력감지부(130)는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감지되면 압력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부(130)는 아치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아치부(120)에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패드부(110)에 제1 압력감지부가 형성되고, 아치부(120)에 제2 압력감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감지부의 압력감지정보와 제2 압력감지부의 압력감지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이 아치부(120)와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압력감지부에 압력감지정보가 생성되나, 제2 압력감지부에 압력감지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아치부(120)에 발바닥이 접촉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압력감지정보를 외부의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외부의 분석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석장치(200)는 통신부(140)로부터 수신한 압력감지정보에 따른 사용자 발바닥의 아치의 높이를 분석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아치부(120)가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경우 각 사이즈에 따른 고유정보와 함께 압력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아치부(120)의 높이에 따른 압력감지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 발바닥의 아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에 적층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는 적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부(150)는 아치부(120)의 상부에 기 설정된 높이로 적층되어 결합한다. 적층부(150)는 아치부(12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부(150)는 표면이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바닥 아치에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부(150)는 아치부(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걸림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적층부(150)는 그 높이 및 면적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적층부(150)는 서로 결합하여 그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층부(1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치부(120)에 적층부(150)를 추가하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감지정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적층부(150)의 고유정보와 함께 압력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적층부(150)가 적층되는 경우 각 적층부(150)에 가해지는 압력감지정보를 용이하게 구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적층부(150)의 적층 여부 및 적층 높이에 따라 압력감지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발바닥 아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에 움직임감지부와 미세전류감지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는 움직임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감지부(160)는 패드부(110) 또는 아치부(120)에 형성되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감지부(16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G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움직임감지부(160)는 움직임의 감지 여부에 따른 움직임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사용자가 정지상태인지 혹은 이동중인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감지정보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발바닥의 아치높이와 이동중인 상태에서 발바닥의 아치높이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압력감지부(130)는 움직임감지정보에 따른 압력감지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의 분석장치(200)로 출력한다. 압력감지부(130)는 측정패드(100)의 움직임이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정지상태의 압력감지정보를 출력한다. 압력감지부(130)는 측정패드(100)의 움직임이 기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움직임상태의 압력감지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움직임에 따른 압력감지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발바닥 아치 높이의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는 미세전류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전류감지부(170)는 아치부(120)에 형성되어 미세전류를 감지한다. 미세전류감지부(170)는 일종의 전극으로 피부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를 감지한다. 미세전류감지부(170)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아치부(120)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미세전류감지부(170)는 미세전류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분석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부(120)에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치부(120)에 감지되는 압력감지정보와 미세전류정보를 이용하여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정보를 감지되나 미세전류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양말을 신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는 발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180)는 패드부(110) 또는 아치부(120)에 형성되어 압력이 가해지면 전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발전부(180)는 주변의 진동, 움직임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해주는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발전부(180)는 사용자가 신발을 내부에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를 안착하고 사용하는 경우에 자체 발전을 통해 감지신호나 통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100)를 장시간 사용하면서 아치 높이를 측정하는 경우 자체 전력 생산에 의해 감지정보나 통신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에서 인솔 모델을 추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200)는 측정패드(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석장치(200)는 단독 서버나, 사용자단말(1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측정패드(100)는 인솔(insole)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하는 패드부(110)와, 패드부(110)와 탈부착되며,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하는 아치부(120)와, 패드부(110) 또는 아치부(120)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130)와, 압력감지정보를 분석장치(200)로 전송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측정패드(10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200)는 감지정보관리부(210), 아치분석 및 모델추천부(230)를 포함한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압력감지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압력감지정보가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인지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아치부(120)의 높이정보와 함께 압력감지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아치부(120)에 따른 압력감지정보를 구분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한 아치부(120)에 대한 압력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압력감지정보에 대한 평균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측정패드(100)의 움직임감지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움직임감지정보는 사용자가 측정패드(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된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사용자가 정지한 상태인지 움직임 상태인지 구별한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압력감지정보와 함께 움직임감지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움직임감지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움직임 상태인 경우, 경사진 곳을 이동하는지, 이동속도구간에 따라 구별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환경 상태에서의 아치 높이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측정패드(100)로부터 미세전류감지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미세전류감지정보는 특히 측정패드(100)의 아치부(120)에서 감지되는 미세전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아치부(120)에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어 있는지 혹은 맨발 상태인지 여부를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신은 양말의 두께 등에 의해 아치의 높이가 부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감지정보관리부(210)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미세전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효한 정보로 판단하고 압력감지정보 및/또는 움직임감지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관리한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상태의 압력감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치분석부(220)는 압력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아치 높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아치분석부(220)는 제1 높이의 아치부(120)에 따른 압력감지정보와, 제2 높이의 아치부(120)에 따른 압력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아치의 높이를 계산한다. 이 경우, 아치부(120)는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치부(120) 외에 적층부(150)가 적층되어 측정되는 것도 포함한다. 아치분석부(220)는 압력감지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압력범위에 위치하게 되도록 아치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압력범위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발의 크기, 평발도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모델추천부(230)는 계산된 사용자 발바닥의 아치 높이에 따라 아치부(120)의 모델을 추천한다. 이 경우, 아치부(120)는 측정패드(100)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인솔 형태로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델추천부(230)는 다양한 높이로 형성되는 아치부(120)를 패드부(110)와 함께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모델추천부(230)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족저압을 분산시켜 발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아치부(120) 모델을 적어도 하나 이상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발에 맞는 아치부(120)를 추천하여 패드부(110)와 결합하여 인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델추천부(230)는 사용자의 움직임감지정보에 따른 압력감지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아치부(120)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반보행용, 산악용, 런닝용 등 다양한 활동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의 아치부(120)를 추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동일한 사용자에게 여러 종류의 아치부(120)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활동내역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아치부(120)를 추천받을 수 있어 활동별 최적의 아치부(120)가 장착된 인솔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200)는 평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단말(10)을 통해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예를 들어, 평가부(240)는 정량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한 평가정보와, 정성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한 평가정보를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평가부(240)는 아치부(120)의 압력감지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정량적인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기간에 따른 압력감지정보를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발바닥의 압력이 골고루 분산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240)는 추천된 아치부(120)를 이용한 인솔을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평점이나, 리뷰와 같은 텍스트 등의 형태의 정성적인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부(240)는 사용자가 추천된 아치부(120)를 사용자단말(10)로 인증한 경우, 사용기간에 따른 평가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평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240)는 정량적인 평가정보나 정성적인 평가정보를 기초로 아치부(120)의 교체 여부를 결정한다. 평가부(240)는 아치부(120)에 대한 평가정보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모델추천부(230)를 통해 새로운 아치부(120)에 대한 모델을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아치부(120) 모델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측정패드
110 : 패드부
111 : 결합공
120 : 아치부
121 : 돌기
130 : 압력감지부
140 : 통신부
150 : 적층부
151 : 제2 걸림돌기
160 : 움직임감지부
170 : 미세전류감지부
180 : 발전부
200 : 분석장치
210 : 감지정보관리부
220 : 아치분석부
230 : 모델추천부
240 : 평가부

Claims (5)

  1. 인솔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와 탈부착되며,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하는 아치부;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및
    압력감지정보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상부에 기 설정된 높이로 적층되어 결합하며, 일측에 상기 압력감지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부를 더 포함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부는,
    움직임감지정보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정보의 변화를 감지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미세전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5. 인솔 형태로 형성되어 발바닥과 접촉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와 탈부착되며,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하는 아치부와, 상기 패드부 또는 상기 아치부에 형성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압력감지정보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와 통신하는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감지정보관리부;
    제1 높이의 상기 아치부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정보와, 제2 높이의 상기 아치부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아치의 높이를 계산하는 아치분석부; 및
    계산된 상기 아치의 높이에 따라 상기 아치부의 모델을 추천하는 모델추천부를 포함하는 측정패드를 이용한 발바닥 아치높이 분석장치.
KR1020210188178A 2021-12-27 2021-12-27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KR20230099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78A KR20230099094A (ko) 2021-12-27 2021-12-27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78A KR20230099094A (ko) 2021-12-27 2021-12-27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94A true KR20230099094A (ko) 2023-07-04

Family

ID=8715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78A KR20230099094A (ko) 2021-12-27 2021-12-27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6095B2 (en)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TWI736797B (zh) 用於自動鞋件的繫帶引擎
US10914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KR102110305B1 (ko) 운동량 체크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KR101119904B1 (ko) 보행진단용 밑창 시트, 이를 이용한 보행 진단용 신발 시스템 및 보행자세 진단 서비스 시스템
KR20200067878A (ko) 모든 밑창에 통합 가능한 소형 전자 박스
US20210145318A1 (en) System for detecting a gait disorder of a user and associated methods
KR20150080688A (ko) 스마트 신발 및 스마트 신발의 센서 정보 제공 방법, 스마트 디바이스 및 스마트 디바이스의 가이드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20160042262A (ko) 족압정보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인솔정보 제공방법
KR102646496B1 (ko) 속도를 이용하는 발 존재 신호 처리
KR20230099094A (ko) 발바닥 아치높이 측정패드 및 이를 이용한 분석장치
KR102214513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인솔 시스템
KR20190087136A (ko) 족압을 이용한 스마트 신발 시스템
KR101708462B1 (ko) 보행정보 측정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2109680B1 (ko) 스마트 보행 관리 시스템
KR102177647B1 (ko) 개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보행패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EP3771357A1 (en) Insole for a shoe
KR20200079631A (ko) 보행자의 족압 분포 정보를 측정하는 인솔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2674166B1 (ko) 속도를 이용하는 발 존재 신호 처리
KR102312674B1 (ko) 족압 측정이 가능한 인장방식의 스마트 신발 유닛
KR102337525B1 (ko) 낙상 사고 방지 및 걸음 걸이 교정용 신발
US20230371652A1 (en)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WO2022129153A1 (en)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and analyze human locomotion for feedback and prevention of progressive diseases or related medical conditions
TW202416854A (zh) 用於鞋件的電容式足部存在感測
CN115886391A (zh) 一种智能跑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