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998A -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998A
KR20230098998A KR1020210188025A KR20210188025A KR20230098998A KR 20230098998 A KR20230098998 A KR 20230098998A KR 1020210188025 A KR1020210188025 A KR 1020210188025A KR 20210188025 A KR20210188025 A KR 20210188025A KR 20230098998 A KR20230098998 A KR 20230098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upport
connection
bed
day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수연
Original Assignee
정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연 filed Critical 정수연
Priority to KR102021018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998A/en
Publication of KR2023009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9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3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는 복수의 연결지점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연결부, 상반신 및 하반신를 지지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체지지부 및 상기 신체지지부가 연결된 연결지점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체지지부가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된다.In the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form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a radially formed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body support par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nection point to which the body support part is connected. A leg suppo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includes a leg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on the ground, wherein the conn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varies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connecting the body support to the connection point. do.

Description

침대 겸용 의자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Daybed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본 발명은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각도에 따라 다리를 지지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된 조립식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combination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bed combination chair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supporting the legs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user's body is supported.

최근에는 의자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침대 겸용 의자가 있다.Recently, a variety of products having not only the function of a chair but also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released,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bed chair.

상술한 종래의 침대 겸용 의자는 의자의 구성 중 하나인 받침대의 적당한 곳에 등받이를 고정하되, 등받이를 앞뒤로 회동하게 마련하여 등을 기댈 수도 있으며 간이 침대로서도 활용하고 있다.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bed combination chair, the backrest is fixed to an appropriate place of the pedestal, which is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hair, but the backrest is provided to rotate back and forth so that the back can be leaned on or used as a simple bed.

그러나 이와 같은 침대 겸용 의자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등받이만 앞뒤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해 극히 제한된 자세만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의 고정이 곤란하며, 눕게 되는 경우에는 시트부의 앞뒤 길이가 짧은 관계로 사용자에게 비좁은 느낌을 주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상하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제품가격이 고가일 수밖에 없으며 제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각도 변경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고장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However, such a combination bed chair can provide only a very limited posture because only the backrest fixed in a certain position can be adjusted back and forth,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fix the desired posture. In some cases, it gives a cramped feeling to the user, and a separate device for adjusting the backrest up and down at a certain angle is required, so the product price is inevitably expensive, manufacturing is complicated, and a separate device for changing the angle is broken. is occurring frequently.

또한 침대 겸용 의자를 강가나 해변가, 낚시터, 및 캠핑장 등에서 휴식을 취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이식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일반적으로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벤딩된 복수의 프레임을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고,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침대 또는 의자 형태로 변형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a bed chair is prepared in a folding form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st at a riverside, beach, fishing ground, or camping site, a plurality of frames bent in a preset shape are generally combined to be rotated with each other, and the frame The method of transforming into a bed or chair for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hair is widely used.

그러나 회동 결합되는 프레임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장기간 사용할 경우 프레임의 회동 결합 부위가 파손되어 원하는 형태로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지 않아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안정적인 지지가 불가능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pivoting frame,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ivoting part of the frame is damaged and does not fold or unfold in a desired shape, so that the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or it is tilted in one direction, resulting in a situation in which stable support for the user is im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frequ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반신 및 하반신를 지지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의 연결지점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에 연결하고,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체지지부가 연결된 연결지점과 다른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리지지부를 포함하되, 신체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침대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re connected to a connection part formed in a radial shape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a connection point to which a plurality of body support uni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re connec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dside chair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user by including leg supports that are conn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but providing a variable position at which the leg supports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the body support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는 복수의 연결지점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연결부; 상반신 및 하반신를 지지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체지지부; 및 상기 신체지지부가 연결된 연결지점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d combination chair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radially formed connection portion; a plurality of body support uni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s at predetermined angle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bodies; and a leg suppo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nection point to which the body support unit is connected to support the connection unit on the ground.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체지지부가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osition at which the leg support part is connected varies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connecting the body support part to the connection point.

또한 상기 신체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지점 중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와의 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 또는 하반신 전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지점 중 상기 상부 부재와 연결된 연결지점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support unit may support an upper member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oints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ints to support the user's hips or the entire lower body according to an angle with the upper member. It may include a lower member connected to another connection point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from the connection point connected to the member.

여기서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 및 완충하도록 상기 삽입관 외주면에 연결되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nclude an insertion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a sheet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to support and cushion the user's body.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상부 부재가 연결된 제1 지점을 기준으로, 동축선상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부재를 연결하여 침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다리지지부를 연결하여 의자로 사용하는 제2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int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a coaxial line based on the first point to which the upper member is connected, and the second point is used as a bed by connecting the lower member or used as a chair by connecting the leg support. can include

또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하부 부재가 상기 제1 지점에 연결된 상기 상부 부재와 수평이 아닌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의자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하부 부재가 연결되는 제3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may include a third point to which the lower member is connected when the lower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set angle that is not horizontal to the upper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and is used as a chair.

이때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100도 내지 120도가 되도록,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point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based on the first point such that an angle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100 degrees to 120 degrees.

또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동축선에 수직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제4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may include a fourth point to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perpendicular to the coaxial lin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

또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4 지점과 대칭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침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제5 지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is formed to have an angle symmetrical to the fourth point bas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and may further include a fifth point to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when used as a bed.

뿐만 아니라 침대로 사용할 경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신체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신체지지부에 삽입 연결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ed as a be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body support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to support the body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신체지지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일측이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되, 일측이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타측이 펼쳐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지지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an insertion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body support portion;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by being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unfolded, it may include a pedestal capable of varying the support height.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의자는 착석하거나 누운 상기 사용자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신체지지부 및 상기 다리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외부에서 상기 공간으로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bed combination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support part and the leg support part so that a space surrounding the seated or lying user is formed, and pests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pace from the outside. It may further include an insect repellent to prevent it.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ed combination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신체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간편하고 견고하게 마련함으로써,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상하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By simply and firmly preparing the position where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body support, a separate device for adjusting the backrest up and down at a certain angle is not required, which can lower the product price and solve the breakdown problem caused by this. It can be effective.

또한 조립식으로 마련됨으로써 강가나 해변가, 낚시터, 및 캠핑장 등에서 휴식을 취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접이식이 가진 지면에 대한 지지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rovided in a prefabricated manner, it can be easily used when taking a break at a riverside or beachside, a fishing ground, and a camping site, and ha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support stability on the ground with the above-mentioned folding typ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전체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의자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신체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 정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보조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에서 보조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방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part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ir shape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dy support of the be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d side shape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ront shape of a bed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support unit in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ect repellent unit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전체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의자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신체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 측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 정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보조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에서 보조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방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hair shape of the chair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dy support part of the chair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d front shape of a be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d side shape of a be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in the bed combination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insect repellent part of the bed 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는 크게, 연결부(100), 신체지지부(200), 다리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connection part 100, a body support part 200, and a leg support part 300.

먼저 연결부(100)는 신체지지부(200)와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지점이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in the connection part 100,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to which the body support part 200 and the leg support part 300 can be connected may be radially formed.

이때 연결부(100)는 후술할 신체지지부(200)가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1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leg support part 300 is connected varies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connecting the body support part 200 to the connection poi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연결부(100)는 연결된 신체지지부(200)와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되어 기설정된 형태로 가변됨으로써 침대 겸용 의자(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재질에 대해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Here, the connection part 100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f the connected body support part 200 and the leg support part 300 are connected and vari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ed chair 10 can be performed. It will be taken for gran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다만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연결부(100)는 연결된 신체지지부(200)와 다리지지부(300)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경질로 마련될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as an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00 may be provided with a rigid structure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connected body support part 200 and the leg support part 300 do not change.

예를 들어 연결부(100)는 철제프레임 형태로 마련되고, 관통홀 형태의 연결지점이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eel frame, and connection points in the form of through holes may be radially formed.

또한 연결부(100)는 후술할 신체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신체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하겠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100 can be connected to both sides with the body support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based on the connected body suppor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신체지지부(200)는 복수개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연결부(100)의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를 지지할 수 있다.Next, a plurality of body support units 200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unit 100 to support the user's upper and lower body.

예를 들어 신체지지부(200)는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로 마련되어, 상부 부재(220)가 연결부(100)의 연결지점 일측에 연결되고, 하부 부재(240)가 연결지점 타측에 연결됨으로써 의자의 형태 또는 침대의 형태로 마련되고 사용자는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에 의해 신체의 일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support 200 is provided with an upper member 220 and a lower member 240, the upper member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part 100, and the lower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int. Being connected to,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hair or a bed, and a part of the user's body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예를 들어 의자로 사용할 경우 상부 부재(2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하부 부재(24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ed as a chair, the upper member 220 may support the user's back, and the lower member 240 may support the user's buttocks.

반면 침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부 부재(220)가 사용자의 등을 포함한 상반신 전체를 지지하게 되고, 하부 부재(24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다리 부분을 포함한 하반신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ed as a bed, the upper member 220 supports the entire upper body including the user's back, and the lower member 240 can support the entire lower body including the user's hips and legs.

또한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곡률을 가지도록 절곡되거나, 복수의 마디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변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may be bent to have a curvature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joints may be hinged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뿐만 아니라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는 각각 연결관에 삽입되는 삽입관(201)에 시트(202)가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eat 202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201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ube,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in some cases. will be.

여기서 시트(202)가 삽입관(20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나, 시트(202)는 두께가 일정한 직물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Here, if the seat 202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201 and can stably support the user's body, its shape and material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due to this, but the seat (202) will be convenient to be provided with a fabric material having a constant thickness.

뿐만 아니라 시트(202)는 사용자의 신체에 형상 대응되는 스펀지, 라텍스와 우레탄폼 및 메모리폼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안락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at 202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a sponge, latex, urethane foam, and memory foa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body, thereby improving comfort felt by the user.

마지막으로 다리지지부(300)는 신체지지부(200)가 연결된 연결지점과 다른 방향으로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연결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Finally, the leg support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connection point to which the body support part 200 is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100 can be supported on the ground.

구체적으로 다리지지부(300)는 신체지지부(200)가 연결된 연결부(100)를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리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재질, 형상, 구조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g support 300 may vary in material, shape, and structure if it can play a role of a leg stably supporting the connection portion 100 to which the body support 200 is connected on the ground.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일단과 타단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중공관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중공관으로 마련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as hollow tubes having the same diameter, even if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provided as hollow tub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ll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뿐만 아니라 다리지지부(300)에서 지면과 접하는 일측은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거나, 지면과 접하는 일면에 스펀지, 라텍스와 우레탄폼, 메모리폼 및 경화형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마련된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야외에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leg support 300 is formed wide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to widen the contact area, or sponge, latex, urethane foam, memory foam, and cured rubber are us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attaching a pad provided with,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stable support even outdoors.

후술하기로 한 연결부(100)의 연결지점에 대하여 도 2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connection point of the connection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먼저 연결지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00)에 관통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지점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20)가 연결되는 제1 지점(120)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connection poi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in the connection part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point may include the first point 120 to which the upper member 220 is connect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이때 연결지점은 제1 지점(120)을 기준으로, 동축선상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지점(14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oint may include a second point 140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coaxial line with respect to the first point 120 .

다시 말하면 연결지점은 제1 지점(120)과, 제1 지점(120)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제2 지점(140)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oint may include the first point 120 and the second point 140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oint 120 .

이때 제2 지점(140)에 하부 부재(240)가 연결될 경우에 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지점(140)에 다리지지부(300)를 연결하게 되면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ower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int 140, it can be used as a bed, and when the leg suppor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int 140, it can be used as a chair.

또한 연결지점은, 제3 지점(160)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nection point may include a third point 160 .

제 3지점은 의자로 사용할 경우에 하부 부재(240)가 제1 지점(120)에 연결된 상부 부재(220)와 수평이 아닌 기설정된 각도도록 마련될 수 있다. When used as a chair, the third poin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ower member 240 is not level with the upper member 220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120, but at a preset angle.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지점(160)은 의자로 사용할 경우 하부 부재(240)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제3 지점(160)에 연결된 하부 부재(240)에 엉덩이가 지지되고, 제1 지점(120)에 연결된 상부 부재(220)에 등이 지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point 160 is used as a chair, the lower member 240 is connected, so that the user's hip is supported by the lower member 240 connected to the third point 160, and the first point 120 ) The back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member 220 connected to.

이때 제3 지점(160)은 구체적으로 상부 부재(220) 및 상기 하부 부재(240)가 이루는 각도가 100도 내지 120도가 되도록, 제1 지점(120)을 기준으로 연결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point 160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00 based on the first point 120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is 100 degrees to 120 degrees. there is.

예를 들어 제3 지점(160)의 중심축은 제1 지점(120)의 중심축과 110도 각도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지점(120)과 제3 지점(160)에 각각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가 연결될 경우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가 이루는 각도 110도를 이루게 된다.For example, the central axis of the third point 160 is formed at an angle of 110 degrees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oint 120, and accordingly, the upper member 220 is formed at the first point 120 and the third point 160, respectively. ) When the lower member 240 is connected,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form an angle of 110 degrees.

즉 제3 지점(160)은 제1 지점(120)과 이루는 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를 의자 형태로 사용할 경우 상부 부재(220)와 하부 부재(240)가 이루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point 160 is formed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with the first point 120 when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form of a chair,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The angle formed by can be determin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지점은, 제4 지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point 170 .

제4 지점(170)은 구체적으로 연결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지점(120)과 제2 지점(140)의 중심축, 다시 말하면 상술한 동축선에 수직되는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연결부(100)의 하부를 향해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제4 지점(170)에는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point 170 is specifically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oint 120 and the second point 14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100, that is, a virtual center line A perpendicular to the above-described coaxial line. As a standard, it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00, and at this time, the leg support portion 30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point 170.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지점은 제5 지점(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ifth point 180 .

제5 지점(180)은 구체적으로 상술한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제4 지점(170)과 대칭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침대로 사용할 경우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The fifth point 180 may be specifically formed to have an angle symmetrical to the fourth point 17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maginary center line (A), and when used as a bed, the leg support 300 may be connected. there is.

또한 연결지점은 제6 지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nection point may further include a sixth point 190 .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체지지부(200)를 기준으로 연결부(100)가 대칭 형성된 경우에, 한쌍의 연결부(100)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6 지점(190)이 형성되고, 제6 지점(190)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part 100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body support part 200, the sixth point 190 facing each other is formed at the pair of connection part 100, and the sixth point 190 ) A connection frame may be coupled between th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를 의자로 사용할 경우 상술한 연결지점들이 이루는 각을 다시 한번 설명하면, 제3 지점(160)은, 상부 부재(220) 및 하부 부재(240)가 이루는 각도(R1)가 100도 내지 120도가 되도록, 제1 지점(120)을 기준으로 연결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hair, the angle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points will be described once again, and the third point 160 is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00 based on the first point 120 so that the angle R1 formed is 100 degrees to 120 degrees.

이때 제1 지점(120)과 제4 지점(170)이 이루는 각(R2)는 110도 내지 130도 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120도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R2 formed by the first point 120 and the fourth point 170 may be 110 degrees to 130 degrees,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120 degrees.

이때 제4 지점(170)과 제5 지점(180)은 따라서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제1 지점(120)과 제5 지점(180)이 이루는 각(R3)은 50도 내지 70도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0도일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ourth point 170 and the fifth point 18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center line A, the angle R3 formed by the first point 120 and the fifth point 180 is 50 degrees. to 70 degrees, for example, 60 degrees.

따라서 의자로 사용될 경우에 제1 지점(120)에 상부 부재(220)가 연결되고, 제3 지점(160)에 하부 부재(240)가 연결되며, 제2 지점(140)과 제4 지점(170)에 각각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when used as a chair, the upper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120, the lower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third point 160, and the second point 140 and the fourth point 170 ), respectively, the leg support 300 may be connected.

도 4를 통해 신체지지부(200)에 대해 다시한번 자세하게 설명하면, 신체지지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20), 하부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the body support 20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body support 200 may include an upper member 220 and a lower member 240 as described above.

상부 부재(2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연결지점 중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부 부재(220)는 제1 지점(1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oints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specifically, the upper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120 .

이때 하부 부재(240)는 상부 부재(220)와의 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여 의자로 사용하거나 하반신 전체를 지지하여 침대로 사용하도록, 연결지점 중 상기 상부 부재(220)와 연결된 연결지점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연결지점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부 부재(240)는 의자로 사용할 경우 제3 지점(160)에 연결되며, 침대로 사용할 경우 제2 지점(140)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member 240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uses it as a chair or supports the entire lower body to use it as a bed, depending on the angle with the upper member 220, at the connection point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220 among the connection points. It may be connected to other connection points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and specifically, the lower memb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oint 160 when used as a chai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int 140 when used as a bed.

이때 상부 부재(220) 및 하부 부재(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삽입관(201), 시트(20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member 220 and the lower member 240 may include the insertion tube 201 and the seat 20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삽입관(201)은 소정 길이를 가지고 연결지점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지점이 관통홀 형상인 경우에 중공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sertion tube 201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point has a through hole shape, it may be provided in a hollow tube shape.

이때 시트(202)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 및 완충하도록 삽입관(201)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202)는 삽입관(20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나, 시트(202)는 두께가 일정한 직물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seat 202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201 to support and cushion the user's body, and as described above, the seat 202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201 to stably support the user's body. If there is, the shape and material may vary,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f course, but it will be convenient for the sheet 202 to be made of a fabric material having a constant thickness.

뿐만 아니라 시트(202)는 사용자의 신체에 형상 대응되는 스펀지, 라텍스와 우레탄폼 및 메모리폼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안락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at 202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a sponge, latex, urethane foam, and memory foa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body, thereby improving comfort felt by the user.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를 침대로 사용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ase of using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bed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S. 5 and 6.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로 사용할 경우에 제1 지점(120)에 상부 부재(220)가 연결되고 제2 지점(140)에 하부 부재(240)가 연결되며, 제4,5 지점에 각각 다리지지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used as a bed, the upper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120, the lower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int 140, and the legs are connected to the fourth and fifth points, respectively. The support part 300 may be connected.

여기서 제4,5 지점이 이루는 각을 상술한 각도범위보다 넓게 가져간다면 신체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한쌍의 연결부(100)만으로도 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Here, if the angle formed by the 4th and 5th points is wider than the above-mentioned angular range, it will be obvious that only a pair of connection parts 100 facing each other based on the body support part 200 can serve as a bed.

그러나 더욱 안정적인 침대 형태를 갖추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는 신체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인 한쌍의 연결부(100)가 신체지지부(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반대측인 타측에 또 다른 한쌍의 연결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have a more stable bed shape, as shown in FIG. 7 ,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ymmetrical connection parts 100 with the body support part 200 therebetween.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00 and another pair of connection part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support part 200 .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의자(10)의 어느 한 측면에서 바라보면, 신체지지부(200)의 상부 부재(220)를 기준으로 일단에 연결된 연결부(100)와 그 반대측인 타단에 연결된 연결부(100)도 상부 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대칭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viewed from one side of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100 connected to one end based on the upper member 220 of the body support part 200 and the opposite side The connecting portion 10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osphorus may also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upper member 220 interposed therebetween.

구체적으로 신체지지부(200)의 상부 부재(220)의 일단에는 한쌍의 제1,2 연결부가 각각 상부 부재(220)의 좌우측에 연결되고, 반대측 타단에는 또 다른 한쌍의 제3,4 연결부가 좌우측에 연결된다고 가정하면, 같은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제3 연결부는 중앙측 상부 부재(220)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으며, 같은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와 제4 연결부도 중앙측 상부 부재(220)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t one end of the upper member 220 of the body support unit 200,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member 220, respectively, and at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another pair of third and fourth connection parts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ssuming that they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same left side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side upper member 2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same right side are also formed on the center side. It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member 22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는 안정성을 위해 보조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art 400 for stability.

구체적으로 보조지지부(400)는 침대로 사용할 경우, 지면에 대하여 신체지지부(200)를 지지하도록 신체지지부(200)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used as a bed, the auxiliary support unit 400 may b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body support unit 200 to support the body support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ground.

예를 들어 보조지지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420), 받침대(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부재(420)는 신체지지부(20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되며, 받침대(440)는 일측이 삽입부재(420)에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auxiliary support 400 may include an insertion member 420 and a pedestal 440, and the insertion member 4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body support 200 and coupled. , Support 440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420.

이때 받침대(440)는 일측이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타측이 펼쳐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지지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destal 440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unfolded, so that the support height can be varied.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침대 겸용 의자(10)는 방충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d combination chair 10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n insect repellent unit 500.

예를 들어 방충부(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하거나 누운 상기 사용자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신체지지부(200) 및 다리지지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외부에서 상술한 공간으로의 해충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insect repellent unit 500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support unit 200 and the leg support unit 300 so as to form a space surrounding the user who is seated or lying down. It can also prevent pests from entering the sp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 겸용 의자는, 신체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간편하고 견고하게 마련함으로써,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상하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어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d combination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and firmly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varies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body support, so that a separate device for adjusting the backrest up and down at a certain angle is not required. The product price can be lowered and the breakdown problem caused by this can be solved.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마련됨으로써 강가나 해변가, 낚시터, 및 캠핑장 등에서 휴식을 취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지면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refabricated, it can be easily used when taking a break at a riverside or beach, a fishing ground, or a camping site, and can improve support stability on the groun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s a matter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침대 겸용 의자
A: 가상의 중심선
100: 연결부
120: 제1 지점
140: 제2 지점
160: 제3 지점
170: 제4 지점
180: 제5 지점
190: 제6 지점
200: 신체지지부
201: 삽입관
202: 시트
220: 상부 부재
240: 하부 부재
300: 다리지지부
400: 보조지지부
420: 삽입부재
440: 받침대
500: 방충부
10: Daybed
A: imaginary center line
100: connection part
120: first point
140: second point
160: third point
170: fourth point
180: fifth point
190: sixth point
200: body support
201: insertion tube
202: sheet
220: upper member
240: lower member
300: leg support
400: auxiliary support
420: insertion member
440: pedestal
500: insect repellent

Claims (10)

복수의 연결지점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연결부;
상반신 및 하반신를 지지하도록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체지지부; 및
상기 신체지지부가 연결된 연결지점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체지지부가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are radially formed;
a plurality of body support uni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s at predetermined angles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bodies; and
A leg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art on the groun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connection point to which the body support part is connected,
The connec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connecting the body support to the connection point.
dayb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지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지점 중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와의 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 또는 하반신 전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지점 중 상기 상부 부재와 연결된 연결지점에서 일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support part,
An upper member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oints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member connected to another connection point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from the connection point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among the connection points to support the user's buttocks or the entire lower body according to the angle with the upper member.
dayb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연결지점에 연결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 및 완충하도록 상기 삽입관 외주면에 연결되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re
an insertion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eet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to support and cushion the user's body,
dayb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상부 부재가 연결된 제1 지점을 기준으로, 동축선상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부재를 연결하여 침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다리지지부를 연결하여 의자로 사용하는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point is
Based on the first point to which the upper member is connected, it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coaxial line, and includes a second point that is used as a bed by connecting the lower member or used as a chair by connecting the leg support. to do,
dayb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하부 부재가 상기 제1 지점에 연결된 상기 상부 부재와 수평이 아닌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의자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하부 부재가 연결되는 제3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member includes a third point to which the lower member is connected when the lower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not horizontal with the upper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and is used as a chair,
dayb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점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100도 내지 120도가 되도록,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5,
The third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based on the first point so that the angle formed is 100 degrees to 120 degrees,
dayb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동축선에 수직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제4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ourth point to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perpendicular to the coaxial lin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dayb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점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4 지점과 대칭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침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다리지지부가 연결되는 제5 지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7,
The connection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 angle symmetrical to the fourth point bas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and further comprises a fifth point to which the leg support is connected when used as a bed.
daybed.
제1항에 있어서,
침대로 사용할 경우, 지면에 대하여 상기 신체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신체지지부에 삽입 연결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1,
When used as a bed,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body support to support the body support with respect to the ground,
dayb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신체지지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일측이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되, 일측이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타측이 펼쳐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지지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According to claim 9,
The auxiliary support,
an insertion memb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body support part;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destal capable of varying the support height by being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unfolded.
daybed.
KR1020210188025A 2021-12-27 2021-12-27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KR202300989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025A KR20230098998A (en) 2021-12-27 2021-12-27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025A KR20230098998A (en) 2021-12-27 2021-12-27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998A true KR20230098998A (en) 2023-07-04

Family

ID=8715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025A KR20230098998A (en) 2021-12-27 2021-12-27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9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1217B2 (en) Ergonomic Göbelek chair
CN217137286U (en) Folding chair
CN102892332B (en) There is the foldable chair of folding back support
US6752459B2 (en) Adjustable chair
GB2120538A (en) Furniture construction
ES2459723T3 (en) Seating arrangement
JPS6399809A (en) Chair
US9867472B2 (en) Active dynamic chair
US6048029A (en) Swivel beach chair
KR20230098998A (en) Prefabricated chair that also serves as a bed
JP2005034645A (en) Chaise longue
EP1295582A2 (en) Self-supporting sitting support and wheelchair equipped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910002209Y1 (en) Multiple-use bed
CA2803505A1 (en) Chaise longue with tilting seat part
KR101854427B1 (en) Height adjustable folding type the chair
CN219249628U (en) Folding portable chair
US11751689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US20100295350A1 (en) Ergonomic musician's stool
CN219920637U (en) Folding swing chair
CN218304101U (en) Sun-shading chair
KR20110067613A (en) Upper body health chair
JPH08336437A (en) Chair for health promotion
EP2807956A1 (en) Folding chair
CN207519895U (en) A kind of seat
KR20230106466A (en) Folding bed with load distribution structure of air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