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661A -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661A
KR20230098661A KR1020237019188A KR20237019188A KR20230098661A KR 20230098661 A KR20230098661 A KR 20230098661A KR 1020237019188 A KR1020237019188 A KR 1020237019188A KR 20237019188 A KR20237019188 A KR 20237019188A KR 20230098661 A KR20230098661 A KR 20230098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evel
display component
level
brightness
triggerin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후이 웬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9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예시적인 장치는 제1 밝기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동작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동작은 또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부가적으로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
본 명세서는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밝기 레벨은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발산되는 인지되는 빛의 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는 밝기 레벨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말 모드는 제곱미터당 0-500 칸델라의 밝기 레벨에 해당할 수 있고, 높은 밝기 모드는 제곱미터당 800-900 칸델라의 밝기 레벨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밝기 레벨은 다른 전력 사용량을 요구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컴퓨팅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여러 밝기 모드 간에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다중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링 이벤트에 따라, 컴퓨팅 장치의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인증할 때, 컴퓨팅 장치는 노멀 모드에서 높은 밝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인증이 수행된 후에 컴퓨팅 장치는 노말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를 인증할 때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다른 부분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포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제1 밝기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또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동작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동작은 또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부가적으로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제1 밝기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또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된다. 이 방법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제조 물품이 제공된다. 제조 물품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동작은 또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작은 부가적으로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기 위한 수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 및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 실시예 및 구현은 적절한 경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감마 곡선을 예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와 환경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 대 그레이 레벨을 예시하는 그래프 및 표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휘도 전환(brightness transitions)을 예시하는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휘도 전환을 예시하는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예" 및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원에서 "예, 실례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특징은 반드시 다른 실시예 또는 특징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주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태는 매우 다양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또한, 문맥상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도면에 예시된 특징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예시된 특징이 각각의 실시예에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이해와 함께, 도면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체 실시예의 컴포넌트 양태로 보아야 한다.
I. 개요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UDFPS: under display fingerprint sensor)는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아래에 적층되는 광학 센서이다. 핑거프린트 인증 중에 센서가 동작하려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서 방출되는 빛이 인증할 손가락에서 센서로 다시 반사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낮은 밝기 레벨에 해당하는 노멀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밝기 레벨(Brightness levels)은 평방 미터당 칸델라 값 또는 니트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500니트 이하에 해당하는 노멀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핑거프린트를 인증할 때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대한 높은 밝기 모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요구 사항을 충족하려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900니트 이상에서 동작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노멀 모드에서 높은 밝기 모드로 변경하면 깜박임(플리커(flicker))과 같은 광학적 결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
노멀 모드와 높은 밝기 모드는 광학적 특성이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멀 모드와 높은 밝기(고밝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휘도(luminance) 및 컬러이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노멀 모드에서 높은 밝기 모드로(또는 그 반대로) 전환될 때 이러한 광학적 차이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광학적 결함으로 나타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광학적 결함은 매우 뚜렷해지고 사용자의 경험에 해로울 수 있다. 또한, 인간의 눈은 낮은 밝기 설정에서 휘도 및/또는 컬러 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광학적 결함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밝기가 낮을 때 및/또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둘러싼 환경의 주변 광이 낮을 때 특히 두드러진다.
여기에 설명된 일부 기술은 핑거프린트 인증이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부분과 핑거프린트 인증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을 기반으로 밝기 모드 전환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고, 핑거프린트 인증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에 제1 밝기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고 값 오프셋(value offset)을 제2 밝기 레벨에 대한 그레이 레벨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환경 광 강도와 같은 다른 환경 측정도 동적으로 밝기 전환을 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광학적 결함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면서 다중 밝기 레벨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장점도 고려되며 본 명세서의 설명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II. 예시 장치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를 도시한다. 컴퓨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감마 회로(120), 하나 이상의 주변광 센서(130), 하나 이상의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140),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1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 제어기(170), 값 오프셋 회로(180) 및 투명도 조정 회로(190)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데스크탑 장치, 서버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환경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 주변 환경으로부터 핑거프린트(fingerprint)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 주위의 환경과 연관된 환경 상태 측정치(예를 들어, 주변광 측정치 등)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터치 스크린 포함),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지털 광 처리(DLP) 기술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기타 유사한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또한 스피커, 스피커 잭, 오디오 출력 포트, 오디오 출력 장치, 이어폰 및/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와 같은 가청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진동 및/또는 터치 및/또는 컴퓨팅 장치(100)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검출 가능한 다른 출력과 같은 햅틱 출력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햅틱 컴포넌트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주어진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밝기 레벨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DFPS가 활성화될 때,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800 또는 900니트(nit)에 대응하는 밝기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낮은 환경 광 강도를 고려하기 위해 2니트에 대응하는 낮은 밝기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500니트에 대응하는 정상 밝기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컬러 채널을 이용하는 컬러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다른 가능성 중에서 RGB(red, green, and blue) 컬러 채널, 또는 CMYK(cyan, magenta, yellow, and black) 컬러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감마 회로(12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각각의 컬러 채널에 대한 감마 특성(gamma characteristics)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복수의 행 및 열을 정의하는 픽셀 어레이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1024×600의 해상도를 가졌다면, 어레이의 각 열은 600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어레이의 각 행은 1024개의 픽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그룹은 적색, 청색 및 녹색 픽셀을 포함하므로 행당 총 3072개의 픽셀이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특정 픽셀의 컬러는 픽셀 위에 배치된 컬러 필터에 의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제어기(17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신호를 픽셀 어레이에 상응하게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어기(170)는 먼저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수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각각의 픽셀에 대응하는 다양한 이미지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의 각 이미지 픽셀은 특정 지점에서의 디지털 이미지의 휘도(luminance)(예를 들어, 밝기(brightness) 또는 어둠(darkness))를 나타내는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치를 "그레이 레벨"이라고 한다. 그레이 레벨의 수는 수치 값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비트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 값을 나타내기 위해 8비트가 사용된 경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256 그레이 레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치 값 0은 풀 블랙(full black)에 해당하고 수치 값 255는 풀 화이트(full white)에 해당한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기(170)는 24비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8비트는 픽셀 그룹의 각각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채널에 대한 그레이 레벨에 해당한다.
일부 경우에,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휘도 특성은 사용자가 인지할 때 부정확하게 묘사될 수 있다. 그러한 부정확성은 육안의 비선형 응답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상의 컬러/휘도의 부정확한 묘사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한 부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100)는 감마 회로(120)를 사용할 수 있다.
감마 회로(12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이미지를 표시할 때 발생하는 부정확성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마 회로는 하나 이상의 감마 곡선(gamma curves)/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곡선/표의 값은 입력 그레이 레벨의 범위에 걸쳐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투과율 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도 2는 다양한 감마 곡선을 포함하는 그래프(200)를 도시한다. 각각의 감마 곡선은 DBV(Display Brightness Value) 대역에 해당할 수 있다. 특정 DBV 대역(및 따라서 특정 감마 곡선)의 사용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밝기 조정 바(brightness adjustment bar)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최대 밝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 최대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발생하는 부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해 대응하는 DBV 대역(따라서 대응하는 감마 곡선)을 선택할 수 있다.
그래프(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감마 곡선은 입력 그레이 레벨(x축)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시 이미지의 휘도(y축)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계는 비선형적이다. 예를 들어 밴드 7에서 200의 입력 그레이 레벨은 300니트의 휘도 값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입력 그레이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감마 곡선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입력 그레이 레벨 관계에 대해 비선형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볼 때 인간의 눈의 반응은 표시되는 이미지가 휘도와 입력 그레이 레벨 사이에 선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용자가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감마 곡선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입력 그레이 레벨 및 휘도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선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변 광 센서(들)(130)는 컴퓨팅 장치(100)의 환경(예를 들어, 1미터(m), 5m 또는 10m 이내)으로부터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광 센서(들)(130)는 하나 이상의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etectors), APD(avalanche photodiodes),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검출기 및/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광 센서(들)(130)는 약 1550 나노미터(nm) 파장의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인듐 갈륨 비소(InGaAs) AP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주변 광 센서(들)(130)가 여기에서 가능하고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광 센서(들)(130)는 1차원 어레이 또는 2차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광검출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광 센서(들)(130)는 단일 열(예를 들어, 선형 어레이)에 배열된 16개의 검출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 요소는 기본 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거나 적어도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손가락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캡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핑거프린트를 인증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나 이상의 이미지 캡처 장치에 의해 캡처된 손가락의 이미지는 인증을 위해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된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로부터의 광은 손가락으로부터 다시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로 반사된다.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빛의 손실과 낮은 반사로 인한 손실이 있을 수 있다. SNR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디스플레이 및/또는 반사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을 적절하게 비추려면 일반적으로 높은 밝기 레벨이 필요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시간 임계값으로 구성된다. 시간 임계값 내에 인증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으면 인증 프로세스가 실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핑거프린트를 재인증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그러한 반복적인 인증 프로세스는 높은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광학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센서(들)(150)는 컴퓨팅 장치(100) 내의 조건 및/또는 컴퓨팅 장치(100)의 환경(예를 들어, 1m, 5m 또는 10m 이내)의 조건을 측정하고 이들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센서(들)(150)는, (i) 컴퓨팅 장치(1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 컴퓨팅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배터리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배터리 센서와 같은(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컴퓨팅 장치(100)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센서, 및/또는 컴퓨팅 장치(100)의 상태를 측정하는 다른 센서; (ii)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판독기, 근접 센서, 1차원 바코드 판독기, 2차원 바코드(예: Quick Response (QR) 코드) 판독기 및/또는 레이저 추적기, 여기서 식별 센서는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및/또는 판독되도록 구성된 다른 장치 및/또는 물체와 같은 식별자를 판독하고 적어도 식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iii) 기울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도플러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소나 센서와 같은(이에 제한되지 않음) 컴퓨팅 장치(100)의 위치 및/또는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레이더 장치, 레이저 변위 센서 및/또는 나침반; (iv) 컴퓨팅 장치(100)의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얻기 위한 환경 센서, 적외선 센서, 광학 센서, 바이오 센서, 정전식 센서, 터치 센서, 온도 센서, 무선 센서, 무선 센서, 이동 센서, 근접 센서, 레이더 수신기, 마이크로폰, 사운드 센서, 초음파 센서 및/또는 연기 센서; 및/또는 (v) 컴퓨팅 장치(100)에 대해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힘(예를 들어, 관성력 및/또는 관성력)을 측정하는 힘 센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차원의 힘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이에 제한되지 않음), 토크, 지면력, 마찰 및/또는 ZMP 및/또는 ZMP의 위치를 식별하는 ZMP(Zero Moment Point)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센서(들)(150)의 많은 다른 예들이 또한 가능하다.
주변 광 센서(들)(130), 언더 디스플레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 및 다른 센서(들)(15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제어기(170)로 전달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Bluetooth™ 트랜시버, Zigbee® 트랜시버, Wi-Fi™ 트랜시버, WiMAX™ 트랜시버,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 가능한 다른 유사한 유형의 무선 트랜시버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송신기, 수신기 및/또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트랜시버, USB(Universal Serial Bus) 트랜시버 또는 트위스트 페어 와이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링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 가능한 유사한 트랜시버(송수신기), 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유사한 물리적 연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선 송신기, 수신기 및/또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신뢰할 수 있고, 보안되고 및/또는 인증된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각 통신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예: 보장된 메시지 전달)가 아마도 메시지 헤더 및/또는 푸터(footer)의 일부로 제공될 수 있다 (예: 패킷/메시지 시퀀싱 정보, 캡슐화 헤더 및/또는 푸터, 크기/시간 정보, 순환 중복 검사(CRC) 및/또는 패리티 검사 값과 같은 전송 확인 정보).
통신은 DES(Data Encryption Standard),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RSA(Rivest-Shamir-Adelman) 알고리즘, Diffie-Hellman 알고리즘,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및/또는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와 같은 보안 소켓 프로토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암호화 프로토콜 및/또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보안(예: 인코딩 또는 암호화) 및/또는 해독/디코딩될 수 있다. 다른 암호화 프로토콜 및/또는 알고리즘이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그리고 암호 해독/디코딩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나열된 것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17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 및 메모리(17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72)는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특수 목적 프로세서를 포함한다(예: DDIC(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텐서 처리 장치(T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등). 프로세서(들)(172)는 메모리(174)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및/또는 여기에 설명된 다른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74)는 프로세서(들)(172)에 의해 판독 및/또는 액세스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들)(172) 중 적어도 하나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광학, 자기, 유기 또는 기타 메모리 또는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스토리지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메모리(174)는 단일 물리적 장치(예를 들어, 하나의 광학, 자기, 유기 또는 기타 메모리 또는 디스크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메모리(174)는 둘 이상의 물리적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들)(172)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74)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작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제1 밝기 레벨(예를 들어, 노말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fingerprint authentication triggering event)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500니트의 일반 밝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이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동작은 또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예를 들어, 900니트의 높은 밝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멀 모드 또는 높은 밝기 모드에 대한 밝기 값은 상대적인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값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총 가능한 밝기의 백분율(예를 들어, 45% 또는 5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밝기 값은 절대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값은 평방 미터당 칸델라 값 또는 니트(예를 들어, 60니트 또는 80니트)로 표현되는 값일 수 있다.
동작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예를 들어, 일반 밝기 모드)에서 제2 밝기 레벨(높은 밝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500니트 밝기 레벨에서 900니트 밝기 레벨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은 또한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제2 부분에 마스킹 레이어(masking layer)를 적용하여 일반 밝기인 500nits로 표시하고, 제1 부분은 핑거프린트 인식 및/또는 인증이 가능하도록 900nits의 고밝기 레벨(high brightness level)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제2 밝기 레벨에 대한 그레이 레벨에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제2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값 오프셋 회로(18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상의 제2 밝기 레벨에 대한 그레이 레벨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값 오프셋 회로(180)는 하나 이상의 감마 곡선/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곡선/표의 값은 입력 그레이 레벨의 범위에 걸쳐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투과율 감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투명도 조정 회로(19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이미지를 표시할 때 발생하는 부정확성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명도 조정 회로(190)는 하나 이상의 투명도 백분율을 결정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백분율은 노말 모드 및 높은 밝기 모드에 대한 밝기 레벨의 범위에 걸쳐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감마 회로(120)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와 환경(300)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환경(300)은 컴퓨팅 장치(100)를 둘러싼 환경을 나타낼 수 있고 그리고 핑거프린트 소스(322) 및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근처의 손가락 검출)를 포함한다.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컴퓨팅 장치(100) 외부의 이벤트를 나타낼 수 있다.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사용자가 핑거프린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핑거프린트 인증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위로 손가락을 가져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밝기 변경 트리거 이벤트(brightness change trigger event)(320)를 제어기(170)에 전달하게 할 수 있고, 제어기는 밝기 변경 트리거 이벤트(320)에 기초하여 동작(들)(314)을 응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현재 디스플레이 밝기(316) 및 현재 휘도(318)를 제어기(170)에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변경 트리거 이벤트(320)를 수신하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예를 들어, 500니트)에서 제2 밝기 레벨(예를 들어, 900니트)로 전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낮은 밝기(저밝기) 모드에서 높은 밝기 모드로 갑자기 전환하면 광학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밤에 화면을 볼 때 밝기 레벨을 900nit로 변경하면 화면이 매우 밝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주변 광 센서(들)(130)는 컴퓨팅 장치(100)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주변 광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고, 노멀 모드에 대한 밝기 레벨은 2nits로 설정될 수 있다. 한 가지 해결책은 핑거프린트 검출 영역을 900nits로 유지하면서 화면의 나머지 부분을 2nits로 표시하는 것이다(밤에 낮은 환경 조명 조건과 호환 가능).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벤딩(bending)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부드러운 방식(smooth manner)으로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시켜 검출된 벤딩(perceived bending), 깜박임(flicker) 또는 다른 광학적 결함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밝기(316) 및 현재 휘도(318)를 수신하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로 하여금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제2 부분에 제1 밝기 레벨의 마스킹 레이어(masking layer)를 적용하고 제1 부분(즉, 핑거프린트 인증 부분)을 제2 또는 높은 밝기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레이 레벨과 휘도 값(luminance value) 사이의 관계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값 오프셋은 제어기(170)에 의해 수신된 현재 디스플레이 밝기(316) 및 현재 휘도(318)의 값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인간의 눈은 낮은 밝기 설정에서 휘도 및/또는 컬러 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시각적 깜박임(visual flickering)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밝기가 낮을 때 및/또는 컴퓨팅 장치(100)를 둘러싼 환경의 주변광이 낮을 때 특히 두드러진다. 특히, 주변 조도가 40룩스 미만이고 디스플레이 밝기가 30% 미만인 경우 시각적 깜박임이 매우 눈에 띄고 사용자 경험에 유해한하다. 주변 조명이 40lux~60lux 사이로 증가하거나 디스플레이 밝기가 30%~60% 사이로 증가하면 사용자가 깜박임 효과를 약간만 인지할 수 있으므로 깜박임이 어느 정도 허용된다. 주변 조도가 60럭스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디스플레이 밝기가 60% 이상으로 증가하면 사용자가 깜박임 효과를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으므로 깜박임이 문제가 되지 않고 허용 가능해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현재 주변광 및 현재 디스플레이 밝기는 정상 동작 모드에 대한 그레이 레벨 및 휘도 값 설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한 후, 디스플레이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조정한 후, 제어기(170)는 밝기 변경 알림(통지)(324)을 핑거프린트 센서(들)(140)에 전달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환경(300)에 광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 내의 핑거프린트 센서(들)(140)의 배열은 핑거프린트 센서(들)(140)가 환경(300)의 시야(FOV: field of view)로부터 핑거프린트 소스(322)에서 손가락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밝기 변경 알림(324) 수신에 응답하여 핑거프린트 소스(322)에서 손가락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소스(322)는 인증될 손가락을 포함할 수 있고,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환경(300)에서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밝기 레벨은 SNR 요구 사항을 준수한다. 이미지 캡처 시,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핑거프린트 인증을 시도할 수 있고 핑거프린트 인증(312)으로서 제어기(170)에 그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310)는 제어기(170)가 내부 클록(internal clock)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내부 클록은 핑거프린트 인증(312)이 완료되어야 하는 허용 가능한 시간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임계 시간 내에 핑거프린트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기(170)는 내부 클록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핑거프린트 인증이 시간 임계치 내에 완료되지 않으면, 내부 클록은 정지할 수 있고 제어기(170)는 인증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핑거프린트 센서(들)(140)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의 이미지 해상도가 SNR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임계 시간 내에 핑거프린트 인증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및/또는 대체 요인으로 인해 시간 임계값 내에 핑거프린트 인증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요인은 주변 광의 강도,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핑거프린트 소스(322)까지의 거리, 및/또는 저장된 핑거프린트과 일치하지 않는 핑거프린트 소스(322)로부터의 핑거프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프로세스의 종료 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제2 밝기 레벨에서 제1 밝기 레벨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마스킹 레이어를 적용한 경우 인증 프로세스 종료 시 마스킹 레이어를 제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가 값 오프셋을 그레이 레벨에 적용하는 경우, 인증 프로세스의 종료시, 제어기(170)는 제1 밝기 레벨 또는 노멀 모드에서 휘도 값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3은 요소의 특정 배열을 보여주지만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컴퓨팅 장치(100) 및 환경(300)의 일부 요소는 결합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밝기 전환의 예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 대 그레이 레벨을 예시하는 그래프(400) 및 표(405 및 410)를 도시한다. 즉, 도 4의 그래프(400) 및 표(405 및 41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밝기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기(17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그래프 및 표의 예로서 제공된다.
그래프(400)의 가로축은 0에서 280까지의 그레이 레벨를 표시하고 세로축에는 해당 휘도를 표시한다. 그래프(400)는 2개의 곡선을 포함한다. 노멀 곡선(Normal curve)(415)은 0 내지 500니트 범위의 디스플레이 휘도 값으로 노말 모드에서 휘도 대 그레이 레벨을 디스플레이한다. 고밝기(HB: High Brightness) 곡선(410)은 높은 밝기 모드(HBM)에서 휘도 대 그레이 레벨을 표시하며, 디스플레이 휘도 값은 0에서 900니트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멀 곡선(normal curve)(415) 및 HB 곡선(420)은 컴퓨팅 장치(100)에 대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곡선(415) 및 HB 곡선(420)은 각각 γ=2.2인 다음 수학식 1 및 2에 대응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일부 실시예에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DDIC: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에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γ의 다중 값에 대응하는 곡선은 DDIC에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99니트의 제1 밝기/휘도 값(425)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9니트의 제1 밝기/휘도 값(425)은 노멀 곡선(415)에 대한 그레이 레벨 120에 대응하고 HB 곡선(420)에 대한 그레이 레벨 90에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어기(170)는 또한 표(405 및 415)로부터 이들 값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노멀 모드 및 HB 모드에 대한 각각의 그레이 레벨에 대응하는 그레이 레벨을 120에서 90으로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그레이 레벨에 제1 값 오프셋(430)을 적용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로 하여금 190니트의 제2 밝기/휘도 값(435)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0니트의 제2 밝기/휘도 값(435)은 노멀 곡선(415)에 대한 그레이 레벨 160에 대응하고 그리고 HB 곡선(420)에 대한 그레이 레벨 120에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어기(170)는 또한 표(405 및 415)로부터 이들 값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노멀 모드 및 HB 모드에 대한 각각의 그레이 레벨에 대응하는 그레이 레벨을 160에서 120으로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그레이 레벨에 제2 값 오프셋(440)을 적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룩업 테이블은 메모리(174)에 저장될 수 있고, 룩업 테이블은 γ의 상이한 값에 대해 상이한 밝기 레벨에 대응하는 휘도 값과 그레이 레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표(405) 및 표(410)은 각각 노멀 곡선(415) 및 HB 곡선(420)에 기초한 룩업 테이블을 나타낸다. 표 4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멀 모드에서 120의 그레이 레벨 값은 99니트의 휘도 값에 대응한다. 또한, 예를 들어 노멀 모드에서 160의 그레이 레벨 값은 190니트의 휘도 값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표(410)은 HB 모드에서 90의 그레이 레벨 값이 99니트의 휘도 값에 대응함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HB 모드에서 120의 그레이 레벨 값은 190니트의 휘도 값에 해당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표(405) 및 표(410)과 같은 룩업 테이블은 메모리(174)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γ의 다중 값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은 메모리(174)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기(170)는 그래프(400)와 같은 그래프를 이용함으로써 및/또는 표(405) 및 표(410)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휘도 및/또는 그레이 레벨을 직접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밝기 전환의 예: 값 오프셋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밝기 전환을 예시하는 컴퓨팅 장치(100)를 도시한다. 컴퓨팅 장치(100)에 대한 3개의 단계, 즉 사전 인증 단계(500), 인증 단계(505) 및 사후 인증 단계(5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전 인증 단계(500)에서 컴퓨팅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인증 단계(505)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응하고, 사후 인증 단계(510)에서 컴퓨팅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잠금 해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전 인증 단계(500)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노멀 모드에 대응하는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밝기 레벨은 500니트일 수 있다. 노말 모드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그레이 레벨이 120이 되도록 구성하고 휘도 값이 99니트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도 4의 표(405)과 같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이들 값을 검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밝기 레벨은 주변 광 강도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밝기 레벨은 표시되는 이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밝기 레벨은 개별 픽셀 레벨에서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픽셀 그룹 레벨에서 변경될 수 있다.
사전 인증 단계(500)에서 제어기(170)는 핑거프린트 센서 영역에 해당하는 제1 부분(515)에서 발생하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손가락이 검출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일부를 제1 부분(515)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손가락이 검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기(170)는 대응하는 핑거프린트 센서가 인증 프로세스를 위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1 부분(515)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제1 부분(515) 외부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일부를 제2 부분(520)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부분(520)은 제1 부분(515)에 근접한 부분(예를 들어, 제1 부분(515)을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노멀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부분(515)과 제2 부분(520)의 그레이 레벨은 120이고, 휘도 값은 99니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SNR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증 단계(505)에서, 제어기(170)는 예를 들어 800니트 또는 900니트와 같은 높은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동작시켜야 한다. 따라서, 인증 단계(505)에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예를 들어, 500니트의 노멀 모드)에서 제2 밝기 레벨(예를 들어, 900니트의 HB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HB 모드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그레이 레벨을 120으로 구성하고 휘도 값을 190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도 4의 표(410)과 같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이들 값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은 벤딩 및/또는 깜박임과 같은 표시된 이미지의 광학적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낮은 밝기 설정에서 높은 밝기 설정으로의 빠른 전환은 컴퓨팅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70)는 제2 부분(520)에서 제2 밝기 레벨에 대한 그레이 레벨에 값 오프셋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밝기 설정을 따르기 위해, 제어기(170)는 제1 부분(515)을 120의 그레이 레벨 및 190니트의 대응 휘도 값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제2 부분(520)에 대해 제어기(170)는 값 오프셋을 적용한다. 값 오프셋을 결정할 때, 제어기(170)는 제1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제1 휘도 값을 결정하고, 제1 휘도 값에 기초하여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값 오프셋을 결정할 때, 제어기(170)는 노말 모드에 대한 입력 그레이 레벨이 120임을 식별한다. 제어기(170)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400) 및/또는 표(405)에 도시된 관계를 이용할 수 있고 대응 휘도 값이 노말 모드에서 99니트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기(170)는 그래프(400) 및/또는 표(410)에 도시된 관계를 이용하여 HB 모드에서 99니트의 휘도 값에 대응하는 그레이 레벨이 90임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제어기(170)는 값 오프셋(예를 들어, 제1 값 오프셋(430))을 120에서 90까지의 그레이 레벨에 적용할 수 있고, 제2 부분(520)에 대한 그레이 레벨이 90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500니트의 밝기 설정에서, 노멀 모드는 160의 그레이 레벨과 190니트의 해당 휘도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밝기 설정으로 전환할 때, 제어기(170)는 그래프(400)에 도시된 관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가 320니트의 휘도 값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적 결함을 방지하고 인증 프로세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기(170)는 제1 부분(515)을 160의 그레이 레벨 및 320니트의 대응 휘도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분(520)에 대해, 제어기(170)는 값 오프셋을 적용한다. 값 오프셋을 결정할 때, 제어기(170)는 노멀 모드에 대한 입력 그레이 레벨이 160이 되도록 식별한다. 제어기(170)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400) 및/또는 표(405)에 도시된 관계를 이용할 수 있고 대응 휘도 값이 노말 모드에서 190니트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기(170)는 그래프(400) 및/또는 표(410)에 도시된 관계를 이용하여 HB 모드에서 190니트의 휘도 값에 대응하는 그레이 레벨이 120임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제어기(170)는 값 오프셋(예를 들어, 제2 값 오프셋(440))을 160에서 120까지의 그레이 레벨에 적용할 수 있고, 제2 부분(520)에 대한 그레이 레벨이 120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래프(400) 및 표(405 및 410)는 γ=2.2의 값에 기초한다. 그러나, 노멀 모드와 HB 모드에 대한 서로 다른 감마 곡선 쌍(pairs of gamma curves)은 γ의 서로 다른 값에 대해 획득될 수 있고, 해당 값 오프셋은 특정 감마 곡선 쌍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레이 레벨 및 휘도 값은 서로 다른 DBV 대역에 대한 감마 곡선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값 오프셋은 특정 DBV 대역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한 후,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됨 및/또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만료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70)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2 밝기 레벨에서 제1 밝기 레벨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후 인증 단계(510)에서, 제어기(170)는 잠금 해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그레이 레벨 및 휘도 값을 사전 인증 단계(500)의 설정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밝기 전환의 예: 마스킹 레이어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밝기 전환을 예시하는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컴퓨팅 장치(100)에 대한 3개의 단계, 즉 사전 인증 단계(600), 인증 단계(605) 및 사후 인증 단계(610)가 도시되어 있다. 사전 인증 단계(600)에서 컴퓨팅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인증 단계(605)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응하고, 사후 인증 단계(610)에서 컴퓨팅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잠금 해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전 인증 단계(600)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노멀 모드에 대응하는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밝기 레벨은 500니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밝기 레벨은 주변 광 강도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밝기 레벨은 표시되는 이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밝기 레벨은 개별 픽셀 레벨에서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픽셀 그룹 레벨에서 변경될 수 있다. 노말 모드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그레이 레벨이 120이 되도록 구성하고 휘도 값이 99니트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도 4의 표(405)과 같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이들 값을 검색할 수 있다.
사전 인증 단계(600)에서, 제어기(170)는 핑거프린트 센서 영역에 해당하는 제1 부분(615)에서 발생하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손가락이 검출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일부를 제1 부분(615)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센서(들)(14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손가락이 검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기(170)는 제1 부분(615)을 식별하여 대응하는 핑거프린트 센서가 인증 프로세스를 위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제1 부분(615) 외부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일부를 제2 부분(620)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부분(620)은 제1 부분(615)에 근접한 부분(예를 들어, 제1 부분(615)을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노멀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부분(615)과 제2 부분(620)의 그레이 레벨은 120이고, 휘도 값은 99니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SNR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증 단계(605)에서, 제어기(170)는 예를 들어 800니트 또는 900니트와 같은 높은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동작시켜야 한다. 따라서, 인증 단계(605)에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예를 들어, 500니트의 노멀 모드)에서 제2 밝기 레벨(예를 들어, 900니트의 HB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HB 모드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에 대한 그레이 레벨을 120으로 구성하고 휘도 값을 190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도 4의 표(410)과 같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이들 값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은 벤딩 및/또는 깜박임과 같은 표시된 이미지의 광학적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낮은 밝기 설정에서 높은 밝기 설정으로의 빠른 전환은 컴퓨팅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70)는 가상 레이어, 마스킹 레이어(625)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의 제2 부분(620)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밝기 설정을 따르기 위해, 제어기(170)는 제1 부분(615)을 120의 그레이 레벨 및 190니트의 상응하는 휘도 값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제2 부분(520)에 대해, 제어기(170)는 마스킹 레이어(625)를 적용한다. 제어기(170)는 제1 밝기 레벨에 대한 설정에 대응하도록 마스킹 레이어(625)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모드의 설정에 따라 마스킹 레이어(625)의 그레이 레벨은 120으로 설정되고 휘도 값은 99nit로 설정될 수 있다. 마스킹 레이어(625)는 제1 부분(615)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특정 레벨의 투명도를 갖도록 마스킹 레이어(625)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도(transparency)는 수학식 3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예를 들어, 노멀 모드에 대한 제1 밝기 레벨의 휘도가 500니트이고 그리고 HB 모드에 대한 제2 밝기 레벨의 휘도가 900니트일 때, 수학식 3은 수학식 4와 같이 마스킹 레이어(625)에 대한 투명도를 얻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다양한 휘도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 백분율이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투명도 백분율에 대응하는 마스킹 레이어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컴퓨팅 장치(100)의 사용자가 투명도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상호작용 투명도 조정 바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도 백분율이 수학식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55.6%로 결정될 때, 투명도 조정 바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50-60%와 같은 백분율 범위에 걸쳐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다. 마스킹 레이어(625)가 제1 부분(615)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투명도의 변화가 핑거프린트 인증 프로세스에 필요한 높은 밝기 설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7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한 후,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됨 및/또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만료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70)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를 제2 밝기 레벨에서 제1 밝기 레벨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후 인증 단계(610)에서 제어기(170)는 잠금 해제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기(170)는 마스킹 레이어(625)를 제거하고 그레이 레벨 및 휘도 값을 사전 인증 단계(600)의 설정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킹 레이어(625)을 적용하면 광학적 결함이 제거되고 휘도 값과 그레이 레벨이 조정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감소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10)는 마스킹 레이어(625)의 적용을 부담스럽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가상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스킹 레이어(625)의 적용은 DDIC 및 디스플레이 패널 한계를 극복한다. 일반적으로 DDIC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한은 비용이 많이 들고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에서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마스킹 레이어(625)는 UDFPS를 갖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마스킹 레이어(625)의 검출은 인증 단계(605) 동안 이용되는 이미지 콘텐츠 및 전력(예를 들어, ELVDD, ELVSS 출력 전압)을 확인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밝기 레벨에 대한 제1 휘도 값은 픽셀 레벨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밝기 레벨에 대한 제1 휘도 값은 픽셀 그룹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상이한 그레이 레벨을 갖는 상이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밝기 레벨에 대한 제1 휘도 값은 이러한 상이한 그레이 레벨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부분(515)(각각 제1 부분(615)) 및/또는 제2 부분(520)(각각 제2 부분(620))에 대한 그레이 레벨 및 휘도 값, 값 오프셋 등은 픽셀 그룹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함을 위해, 여기서의 설명은 제1 부분(515)(각각 제1 부분(615)) 및/또는 제2 부분(520)(각각 제2 부분(620))이 각각 단일 그레이 레벨 및 휘도 값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VI. 예시 방법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700)을 도시한다. 방법(700)은 다양한 블록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또는 단계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블록 또는 단계는 임의의 순서 및/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또는 단계는 생략되거나 방법(700)에 추가될 수 있다.
방법(700)의 블록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방법(700)은 도 2 및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그래프(200 및/또는 400) 및/또는 표(405 및/또는 410)에 도시된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블록(710)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간의 물리적 상호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물리적 상호 작용에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밝기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밝기 레벨은 500니트이고 제2 밝기 레벨은 900니트일 수 있다. 다른 밝기 레벨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광 조건에 기초하여, 제1 밝기 레벨은 2니트일 수 있다.
블록(720)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이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730)은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740)은 (1)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1 밝기 레벨에서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한 후, 일부 실시예는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이들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제2 밝기 레벨에서 제1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는 핑거프린트 검출이 수행되었음을 결정함으로써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는 핑거프린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만료되었음을 결정함으로써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제1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밝기 레벨에 대한 그레이 레벨 오프셋 값은 제1 휘도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감마 값에 대해 제1 밝기 레벨 및 제2 밝기 레벨에 대응하는 감마 곡선 쌍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값 오프셋은 감마 곡선 쌍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다중(다수의) 감마 값 및 다수의 감마 곡선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제2 부분 위에 가상 레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제2 부분에 제1 밝기 레벨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상 레이어는 특정 레벨의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는 제1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이들 실시예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휘도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레벨의 투명도는 제1 휘도 값과 제2 휘도 값의 비율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레벨의 투명도는 가능한 값의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특정 레벨의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고,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통해 투명도 조정 바를 제공하여 선호하는 투명도 레벨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일부 실시예는 가상 레이어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대해 픽셀 그룹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픽셀 그룹에 대해 제1 밝기 레벨에서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밝기 레벨은 제1 밝기 레벨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밝기 레벨은 0 내지 500니트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밝기 레벨은 600에서 900니트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는 장치 주변 환경과 연관된 환경 상태 측정치에 기초하여 제1 밝기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광 센서는 장치 주변 환경으로부터 주변 광 측정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환경 상태 측정치에는 장치 주변 환경으로부터 주변 광 센서가 수신한 현재 주변 광 측정치가 포함된다.
도면에 도시된 특정 배열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다른 실시예는 주어진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요소를 더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시된 컴포넌트 중 일부는 결합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의 처리를 나타내는 단계 또는 블록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또는 기술의 특정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회로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정보 처리를 나타내는 단계 또는 블록은 모듈, 세그먼트 또는 프로그램 코드의 일부(관련 데이터 포함)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방법 또는 기술에서 특정 논리적 기능 또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관련 데이터는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또는 기타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와 같은 임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레지스터 메모리, 프로세서 캐시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이 짧은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장기간 동안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광학 또는 자기 디스크, CD-ROM(compact-disc read only memory)과 같은 보조 또는 영구 장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시스템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유형의 저장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다양한 예 및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다른 예 및 실시예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양한 개시된 예 및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진정한 범위는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다.

Claims (20)

  1.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제1 밝기(brightness)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그리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동작; 그리고
    (1) 상기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상기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한 후,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 그리고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1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핑거프린트 검출이 수행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핑거프린트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만료된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은 상기 제1 휘도 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감마 값에 대해, 상기 제1 밝기 레벨 및 상기 제2 밝기 레벨에 대응하는 감마 곡선 쌍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값 오프셋은 상기 감마 곡선 쌍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다중 감마 값 및 다중 감마 곡선 쌍(multiple pairs of gamma curve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2 부분 위에 가상 레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밝기 레벨을 상기 제2 부분에 적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레이어는 특정 레벨의 투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휘도 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특정 레벨의 투명도는 상기 제1 휘도 값 대 상기 제2 휘도 값의 비율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레벨의 투명도는 가능한 값의 범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레벨의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며, 상기 동작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통해, 투명도 조정 바(transparency adjustment bar)를 제공하여 선호하는 투명도 레벨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가 종료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레이어를 제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대해, 픽셀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 그리고
    상기 픽셀 그룹에 대해,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의 각각의 픽셀에 대해,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1 휘도 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밝기 레벨은 상기 제1 밝기 레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밝기 레벨은 0 내지 500니트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장치의 주변 환경과 연관된 환경 상태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밝기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주변광 측정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주변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 상태 측정치는 상기 장치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상기 주변광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현재 주변광 측정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밝기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1) 상기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상기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0.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으로서, 상기 동작들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가 제1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밝기 레벨 또는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밝기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핑거프린트 인증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상기 제1 밝기 레벨에서 상기 제2 밝기 레벨로 전환하는 동작; 그리고
    (1) 상기 제1 밝기 레벨, 또는 (2) 상기 제2 밝기 레벨의 그레이 레벨에 대한 값 오프셋 중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
KR1020237019188A 2020-11-13 2020-11-13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 KR20230098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0/060413 WO2022103399A1 (en) 2020-11-13 2020-11-13 Seamless transition for multiple display brightness m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661A true KR20230098661A (ko) 2023-07-04

Family

ID=7374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188A KR20230098661A (ko) 2020-11-13 2020-11-13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43267A1 (ko)
EP (1) EP4233038A1 (ko)
JP (1) JP2024502534A (ko)
KR (1) KR20230098661A (ko)
CN (1) CN116438593A (ko)
DE (1) DE112020007766T5 (ko)
WO (1) WO2022103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959B2 (en) * 2021-05-17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ximity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217B1 (en) * 2000-12-22 2002-05-2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Brightness offset error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play device
CN107728979A (zh) * 2017-09-30 2018-02-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510460B1 (ko) * 2017-12-18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679030B2 (en) * 2018-03-08 2020-06-09 Synaptics Incorporated Optical fingerprint sensor illumination using a display
WO2019183786A1 (zh) * 2018-03-26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提示信息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00065324A (ko) * 2018-11-30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07455A (ko) * 2019-07-11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43267A1 (en) 2023-10-26
EP4233038A1 (en) 2023-08-30
WO2022103399A1 (en) 2022-05-19
JP2024502534A (ja) 2024-01-22
DE112020007766T5 (de) 2023-08-31
CN116438593A (zh)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002B2 (en) RGB-IR sens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3D image by using same
US9344450B2 (en) Detecting phishing of a matrix barcode
US20240096256A1 (en) Seamless Transition for Multiple Display Refresh Rates
US20220006940A1 (en) Exposure Change Control In Low Light Environments
KR20230098661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밝기 모드를 위한 원활한 전환
WO2017169782A1 (ja) 距離画像処理装置、距離画像取得装置、及び距離画像処理方法
TWI816266B (zh) 用於顯示之電子系統、方法及電腦實施方法
US20230274678A1 (en) Predictive Gamma Algorithm for Multiple Display Refresh Rates
TW202326693A (zh) 用於顯示器面板之改良畫面補償演算法
EP4374363A1 (en) Smart algorithm for seamless transition with under display fingerprint sensors
TWI820670B (zh) 用於在多顯示器刷新率中之無縫轉換之重新校正伽瑪(Gamma)曲線的方法及電腦實施方法、及顯示系統
US10969865B2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eye tracking information, head mounted display and computer device
US11900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calibration of a head-mounted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