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408A -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 Google Patents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408A
KR20230098408A KR1020210187107A KR20210187107A KR20230098408A KR 20230098408 A KR20230098408 A KR 20230098408A KR 1020210187107 A KR1020210187107 A KR 1020210187107A KR 20210187107 A KR20210187107 A KR 20210187107A KR 20230098408 A KR20230098408 A KR 2023009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door
vehicle
ope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기욱
송현우
우희민
김태형
최준희
최종혁
Original Assignee
남기욱
송현우
최준희
최종혁
우희민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욱, 송현우, 최준희, 최종혁, 우희민, 김태형 filed Critical 남기욱
Priority to KR102021018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408A/en
Publication of KR2023009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4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차량 도어의 전방측에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개폐 감지부 및 제2개폐 감지부와, 차량 도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차체에 결합된 제1기어와 치합되게 마련되고, 작동에 따라 차량 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 구동부와, 제1개폐 감지부를 통해 차체와의 접촉이 감지되고, 제2개폐 감지부를 통해 차체와의 비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에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도어가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A vehicle door open/clo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en/close sensor and a second open/close sensor that ar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a vehicle door and generate electrical signals by contact with a vehicle body, respectively. ,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s sensed through a door drive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provided to engage with a first gear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rotating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operation, and a first open/close detector, and a secon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when non-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and operates the door driving unit to rotate the vehicle door.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차량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내부공간을 갖는 차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차체와의 록킹 여부에 따라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 도어를 구비한다. 차량 도어는 차체와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밀거나 당기는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내부공간을 개폐한다.In general, a vehicle includes a vehicle body having an interior space in which a user can ride, and a vehicle door having a structur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rotatabl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locked with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door opens and closes the interior space by pivoting around the hinge according to the user's external force that is pushed or pulled while the vehicle door is unlocked from the vehicle body.

그런데, 이와 같은 수동 개폐 방식은 손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 개폐 조작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맞게 구동부를 작동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제어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손을 이용한 버튼 조작이 필수적인 한계가 있다.However, such a manual opening/closing method has difficulty in opening/closing operation when a user has difficulty using hands. Recently, a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through a button and opens and closes a vehicle door by operating a drive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has been developed, but there is still a limitation in that the button operation using a hand is essential.

따라서, 센서를 통해 차량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따라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vehicle door through a sensor and opens and closes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detected state.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49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449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센서를 통해 차량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따라 차량 도어를 회동시키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door open/close control device that detects a state of a vehicle door through a sensor and rotates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detected sta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체와 힌지 결합된 차량 도어에 적용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전방측에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개폐 감지부 및 제2개폐 감지부와, 차량 도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차체에 결합된 제1기어와 치합되게 마련되고, 작동에 따라 차량 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 구동부와, 제1개폐 감지부를 통해 차체와의 접촉이 감지되고, 제2개폐 감지부를 통해 차체와의 비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에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도어가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pplied to a vehicle door hinged with a vehicle body, which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respectively, to contact the vehicle body A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and a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generating electrical signals by a first open/close sensor and a door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to engage with a first gear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rotating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operation. Whe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and non-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and the door driver is configured to rotate the vehicle door. Provided is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 구동부는 차량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샤프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와, 샤프트에 결합되며 회전축을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모터와, 회전축에 결합되는 싱크로나이저와, 제1기어와 치합되며, 리니어 모터에 의한 샤프트의 직선 이동에 따라, 싱크로나이저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리니어 모터를 작동시켜 싱크로나이저와 제2기어를 치합시키고, 회전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driving unit includes a linear motor installed inside a vehicle door and linearly moving a shaft, a rotational m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rotationally moving a rotational shaft, and a synchronizer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It meshes with the first gear and includes a second gear that meshes with the synchronizer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by the linear motor.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it operates the linear motor to control the 2 gears can be meshed and the rotation motor can be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차량 도어와 차체 사이 이물체를 감지하는 이물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이물체 감지부를 통해 이물체의 유무를 판단하고,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이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to detect a foreign object between the vehicle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the controller detects the foreign o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reign object is determined through the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object is present, the door driving unit is operated so that the vehicle door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door driving unit can be operat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도어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거리 감지부를 작동시켜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격 거리에 따라 회동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oor is installed to face outward and further includes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separation distance from an adjacent object,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foreign object exists, operates the distance sensor It can detec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adjacent objects and adjust the degree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separation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출력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tification output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visually or audibly to the outsid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may activate the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 도어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state of the vehicle door and rotates the vehicle door,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도어와 차체 사이에 이물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차량 도어의 회동 방향을 결정하고,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인접한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회동 정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reign object between the vehicle door and the vehicle body, and adjusts the rot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object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vehicle, user safety is improved.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단면도로서, 제1기어와 도어 구동부가 연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단면도로서, 제1기어와 도어 구동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도어 구동부 작동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ear and a door driving unit are disconnect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ear and a door driving unit are connected.
5 is an exemplary application diagram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 chart embodying steps of operating the door driving unit of FIG. 6 .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도1, 도 3 내지 도 4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차체(B)와 차량 도어(D)의 일부를 함께 도시한다.In addition, FIGS. 1, 3 and 4 show a vehicle body (B) and a part of a vehicle door (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의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는 차체(B)와 힌지 결합된 차량 도어(D)의 내부에 마련되어 차량 도어(D)의 상태에 따라 차량 도어(D)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개폐 감지부(10), 제2개폐 감지부(20), 도어 구동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is provided inside a vehicle door D hinged with a vehicle body B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door D, and a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a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a door driving unit 30, and a control unit 40 may be included.

제1개폐 감지부(10)는 차체(B)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차량 도어(D)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D)의 닫힘에 따라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개폐 감지부(10)는 차량 도어(D)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도어(D)의 정방측은 힌지가 위치한 측일 수 있다. The first open/close detector 1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by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door D,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when the vehicle door D is closed to the control unit. It can be sent to (40). In this case,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Here,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D may be the side where the hinge is located.

제2개폐 감지부(20)는 차체(B)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차량 도어(D)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D)의 닫힘에 따라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개폐 감지부(20)는 차량 도어(D)의 후방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도어(D)의 후방측은 힌지가 위치한 측의 반대측일 수 있다. The second open/close detector 2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by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door D,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when the vehicle door D is closed to the control unit. It can be sent to (40). At this time,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Here,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D may be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where the hinge is located.

제1개폐 감지부(10) 및 제2개폐 감지부(20)는 스위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누름에 의한 압력 발생 시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and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may be implemented as switch sensors, and may generate electrical signals due to contact when pressure is generated by pressing.

도어 구동부(30)는 작동에 따라 차량 도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차량 도어(D)에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체(B)에 결합된 제1기어(b1)와 치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구동부(30)가 적어도 일부 외부로 노출되어 제1기어(b1)와 치합되거나, 제1기어(b1)가 차량 도어(D)의 내부로 인입되어 도어 구동부(30)와 치합될 수 있다.The door driver 30 rotates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operation,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may be provided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b1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 . At this time, the door driver 30 may be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engaged with the first gear b1, or the first gear b1 may be drawn into the vehicle door D and engaged with the door driver 30. there is.

제어부(40)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차량 도어(D)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within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door D,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capable of input, calculation, and output.

본 발명에서 제어부(40)는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고, 제2개폐 감지부(20)를 통해 차체(B)와의 비접촉이 감지되면,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 도어(D)가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detects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or 10 and detects non-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or 20, the vehicle door It may be determined that (D) is not completely closed, and the door driver 30 may be operated to rotate the vehicle door (D).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구동부(30)는 리니어 모터(31), 회전 모터(32), 싱크로나이저(33) 및 제2기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door driving unit 30 may include a linear motor 31 , a rotary motor 32 , a synchronizer 33 and a second gear 34 .

리니어 모터(31)는 작동에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되는 샤프트(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도어(D)의 전방측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리니어 모터(31)는 고정 하우징(312)에 의해 차량 도어(D)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linear motor 31 may include a shaft 311 that linearly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operation,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D. At this time, the linear motor 31 may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door D by the fixed housing 312 .

회전 모터(32)는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3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도어(D)의 전방측 내부에 마련되어 샤프트(3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리니어 모터(3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모터(32)는 이동 하우징(322)에 의해 샤프트(3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 하우징(322)은 고정 하우징(312)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샤프트(311)가 관통 결합되는 중공이 마련될 수 있다. The rotation motor 32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321 that rotates according to opera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311,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near motor 31 I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operation. At this time, the rotary motor 3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311 by the moving housing 322, and the moving housing 322 may be provided to slide vertically on the fixed housing 312, A hollow through which the shaft 311 is coupled may be provided.

싱크로나이저(33)는 회전축(321)과 결합되어 회전 모터(32)의 작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하 이동에 따라 제2기어(34)와 치합 또는 치합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싱크로나이저(33)는 상부를 향해 개구된 개구홈(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홈(331)에는 복수의 치합돌기가 마련딜 수 있다. The synchronizer 33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21 and can be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32, and can engage or disengage with the second gear 34 as it moves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synchronizer 33 may have an opening groove 331 that opens upward,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groove 331.

제2기어(34)는 차량 도어(D)의 전방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기어(b1)와 치합될 수 있다. 이때, 제2기어(34)는 외주연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 평기어일 수 있으며, 하부에 싱크로나이저(33)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개구홈(331)으로 삽입되어 치합돌기와 치합되는 돌출부(341)가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gear 34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may be meshed with the first gear b1.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34 may be a spur gear having gear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protrusion 341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331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ynchronizer 33 at the bottom and engaged with the meshing protrusion. can be provided.

즉, 제2기어(34)는 리니어 모터(31)에 의해 싱크로나이저(33)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싱크로나이저(33)와 치합될 수 있으며, 회전 모터(32)의 작동 시 싱크로나이저(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제2기어(34)는 리니어 모터(31)에 의해 싱크로나이저(33)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싱크로나이저(33)와 치합 해제될 수 있으며, 회전 모터(32)의 작동 시 함께 회전할 수 없다. That is, the second gear 34 may be meshed with the synchronizer 33 in a state in which the synchronizer 33 is moved upward by the linear motor 31, and when the rotation motor 32 operates, the synchronizer ( 33) can be rotated. Conversely, the second gear 34 can be disengaged from the synchronizer 33 in a state in which the synchronizer 33 is moved downward by the linear motor 31,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rotation motor 32 operates. Can not.

이에 따라, 제어부(40)는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리니어 모터(31)를 작동시켜 싱크로나이저(33)와 제2기어(34)를 치합시키고, 회전 모터(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량 도어(D)를 회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D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linear motor 31 to engage the synchronizer 33 and the second gear 34, and rotates the rotation motor 32 The vehicle door D may be rotated by rotating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는 차량 도어(D)와 차체(B) 사이에 위치한 이물체를 감지하는 이물체 감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that detects a foreign object located between the vehicle door D and the vehicle body B.

이물체 감지부(50)는 차량 도어(D)의 후방측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D)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물체 감지부(5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광센서, 비전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이물체 감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rear side edge of the vehicle door D. In addition,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may be implemented a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 vision senso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tects any type of foreign object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portion 50 may be included.

여기서, 제어부(40)는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이물체의 유무를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D)의 회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D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foreign object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and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door D according to the result. can decide

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40)는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차량 도어(D)와 차체(B) 사이에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도어(D)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도어 구동부(30)의 리니어 모터(31)의 샤프트(311)가 상승 이동되게 작동된 후, 회전 모터(3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a foreign object exists between the vehicle door D and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the vehicle door D is opened. The door driving unit 30 may be operat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That is, after the shaft 311 of the linear motor 31 of the door driving unit 30 is operated to move upward, the rotary motor 32 may be operated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반대로, 제어부(40)는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차량 도어(D)와 차체(B) 사이에 이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도어(D)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도어 구동부(30)의 리니어 모터(31)가 샤프트(311)가 상승 이동되게 작동된 후, 회전 모터(3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foreign object between the vehicle door D and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the vehicle door D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driving unit 30 can be operated. That is, after the linear motor 31 of the door driving unit 30 is operated to move the shaft 311 upward, the rotary motor 32 may be operated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한편, 도어 구동부(30)의 작동이 종료 시, 리니어 모터(31)의 샤프트(311)는 하강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operation of the door driving unit 30 ends, the shaft 311 of the linear motor 31 may move downward.

즉, 차량 도어 개폐 장치(1)는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고, 차량 도어(D)와 차체(B) 사이에 이물체 존재 여부에 따라 차량 도어(D)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door D is not completely closed, and opens or closes the vehicle door D depending on whether a foreign object exists between the vehicle door D and the vehicle body B. can be 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 장치(1)는 차량 도어(D)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detection unit 60 install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vehicle door D and detecting a separation distance from an adjacent object. .

거리 감지부(60)는 차량 도어(D)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의 측면 방향에 위치한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감지부(6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거리 감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ance detection unit 60 may be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vehicle door 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and may detect a distance to an adjacent object located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distance sensor 60 may be implemented a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type of distance sensor 60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 is.

여기서, 제어부(40)는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차량 도어(D)와 차체(B) 사이에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거리 감지부(60)를 작동시켜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격 거리에 따라 회동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회전 모터(32)를 제어하여 회전축(321)의 정방향 회전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Here, when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a foreign object exists between the vehicle door D and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ng unit 50, the controller 40 operates the distance detecting unit 60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object and the vehicle.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detected, and the degree of rot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separation distance. That is, 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rotation motor 32 to adjust the degree of forward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21 .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감지된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가 제1거리 이내인 경우, 회전축(321)이 30° 정방향 회전하도록 회전 모터(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감지된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가 제1거리를 초과하고 제2거리 이내인 경우, 회전축(321)이 60° 정방향 회전하도록 회전 모터(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거리는 제1거리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 may operate the rotation motor 32 so that the rotating shaft 321 rotates 30°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djacent object detected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is within the first distance. can make it work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rotation motor 32 so that the rotating shaft 321 rotates 60°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djacent object detected by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exceeds the first distance and is within the second distance. ) can work. In this case, the second distanc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 장치(1)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출력부(70)는 차량 도어(D)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발광 소자 또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output unit 70 that visually or audibly outputs a notification to the outside. The notification output unit 70 may be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vehicle door 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a light emitting device, or a speaker.

여기서, 제어부(40)는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출력부(70)를 작동시켜 기설정된 시간동안 외부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출력부(70)를 우선 작동시킨 후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D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control unit 40 may operate the output unit 70 to output a notification to the outsid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may first operate the output unit 70 and then operate the door driving unit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1)는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도어(D)를 회동시킬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may not only rotate the vehicle door D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door D is not completely closed, but also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의 적용 예시도이다. 5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vehicle door open/close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기어(b1)는 차체(B)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일부가 잘려나간 평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기어(b1)의 반경은 제2기어(34)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gear b1 may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B,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pur gear with a part cut off. At this time, the radius of the first gear (b1)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gear (3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1)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40)는 S10단계에서 대기상태일 수 있다. 이때, 대기상태(S10)는 제어부(40)가 제1개폐 감지부(10) 및 제2개폐 감지부(20)를 작동한 상태로, 제1개폐 감지부(10)의 접촉 감지를 대기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 may be in a standby state in step S10. At this time, in the standby state (S10), the control unit 4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pen/close sensor 10 and the second open/close sensor 20 are operated, and the first open/close sensor 10 waits for the touch detection. can

제어부(40)는 S20단계에서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S30단계에서 제2개폐 감지부(2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whether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or 10 in step S20, and if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or 10, S30 In this step,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sensed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

제2개폐 감지부(20)를 통해 차체(B)와의 비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40)는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S40단계에서 알림 출력부(70)를 작동하여 외부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S40단계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1) 내 알림 출력부(7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When non-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detected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and operates the notification output unit 70 to notify the outside in step S40. can be printed out. In this case, step S40 may be omitted when the notification output unit 70 in the vehicle door open/close control device 1 does not exist.

알림 출력 후, 제어부(40)는 S50단계에서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켜 차량 도어(D)를 회동시킬 수 있다. After outputting the notification, the control unit 40 may rotate the vehicle door D by operating the door driving unit 30 in step S50.

한편, 제어부(40)는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고, 제2개폐 감지부(2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키지 않으며, S20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때, 차량 도어(D)가 완전히 닫힌 상태는 차체(B)와 차량 도어(D)가 이루는 각이 0°인 상태로, 차체(B)와 차량 도어(D)가 록킹을 이루는 상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40 detects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and detects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the vehicle door ( When it is determined that D) is completely closed, the door driving unit 30 is not operated, and the step S20 may be returned. At this time, the completely closed state of the vehicle door D may be a state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body B and the vehicle door D is 0°, and the vehicle body B and the vehicle door D are locked. .

제어부(40)는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차체(B)와의 비접촉이 감지되면, 차량 도어(D)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키지 않으며, S20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때, 차량 도어(D)가 완전히 열린 상태는 차체(B)와 차량 도어(D)가 이루는 각이 10° 이상인 상태로, 차체(B)와 차량 도어(D)가 록킹을 이루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When non-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door D is open, does not operate the door driving unit 30, and returns to step S20. I can go. At this time, the fully open state of the vehicle door D may be a state in which the angle formed by the body B and the vehicle door D is 10° or more, and the vehicle body B and the vehicle door D are not locked. there is.

도 7은 도 6의 도어 구동부(30) 작동 단계(S50)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 chart embodying the operation step (S50) of the door driving unit 30 of FIG. 6 .

제어부(40)는 S51단계에서 대기상태일 수 있다. 이때, 대기상태(S51)는 제어부(40)가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상태로, 이물체 감지부(50)를 작동한 상태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may be in a standby state in step S51. At this time, the standby state (S51) may be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and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is operated.

제어부(40)는 S52단계에서 이물체 감지부(50)를 통해 차체(B)와의 차량 도어(D)와 차체(B) 사이에 이물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이물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거리 감지부(60)를 작동시켜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a foreign object is detected between the vehicle body B and the vehicle door D and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50 in step S52, and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When the existence of a foreig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 the distance detecting unit 60 may be operated to detect a separation distance from an adjacent object.

이격 거리 감지 후, 제어부(40)는 S54단계에서 차량 도어(D)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회전 모터(32)의 작동 시간을 조정하여 차량 도어(D)의 회동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After detecting the separation distance, the control unit 40 may operate the door driving unit 30 to rotate the vehicle door D in the opening direction in step S54.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may adjust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vehicle door D by adjus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rotation motor 32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djacent object.

도어 구동부(30) 작동 후, 제어부(40)는 S55단계에서 작동 시간을 모니터링 하며, S54단계에서 결정된 작동 시간에 도달 시 도어 구동부(30)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After the door driver 30 operates, the control unit 40 monitors the operating time in step S55, and may terminate the operation of the door driver 30 when the operating time determined in step S54 is reached.

한편, 제1개폐 감지부(10)를 통해 이물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제어부(40)는 S56단계에서 차량 도어(D)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도어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existence of the foreign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10, the controller 40 may operate the door driving unit 30 to rotate the vehicle door D in the closing direction in step S56.

도어 구동부(30) 작동 후, 제어부(40)는 S57단계에서 제2개폐 감지부(20)를 통해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차체(B)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S56단계로 진행하여 도어 구동부(30)의 작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After the door driving unit 30 operates, the control unit 40 can determine whether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detected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20 in step S57, and when the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B is detected, In step S56, the operation of the door driving unit 30 may be termina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 : 차체
D : 차량 도어
1 :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
10 : 제1개폐 감지부
20 : 제2개폐 감지부
30 : 도어 구동부
40 : 제어부
B : Body
D : vehicle door
1: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0: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20: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30: door driving unit
40: control unit

Claims (5)

차체와 힌지 결합된 차량 도어에 적용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의 전방측에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차체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개폐 감지부 및 제2개폐 감지부와,
상기 차량 도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에 결합된 제1기어와 치합되게 마련되고, 작동에 따라 상기 차량 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 구동부와,
상기 제1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체와의 접촉이 감지되고, 상기 제2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체와의 비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 도어가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pplied to a vehicle door hinged with a vehicle body,
a first open/close detection unit and a second open/close detection unit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to generate electrical signals by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a door driving unit installed at a front side of the vehicle door to engage with a first gear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rotating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operation;
Whe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open/close detector and non-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second open/close detector,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and the vehicle door is rotated. A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door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는,
상기 차량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샤프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회전축을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싱크로나이저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싱크로나이저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리니어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싱크로나이저와 상기 제2기어를 치합시키고, 상기 회전 모터를 작동시키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drive unit,
A linear moto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door and linearly moving the shaft;
A rotary m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rotating the rotary shaft;
A synchroniz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and meshed with the synchronizer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shaft by the linear motor;
The control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linear motor is operated to engage the synchronizer and the second gear, and the rotation motor is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도어와 상기 차체 사이 이물체를 감지하는 이물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물체 감지부를 통해 이물체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도어가 열림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이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vehicle door to detect a foreign object between the vehicle door and the vehicle body;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oreign object is determined through the foreign object detection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object is present, the door driving unit is operated to rotate the vehicle door in the opening direction.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object does not exist,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the door driving unit to rotate the vehicle door in the closing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거리 감지부를 작동시켜 상기 인접 물체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격 거리에 따라 회동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the vehicle door to face outward and detecting a separation distance from an adjacent object,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object exists,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distance sensor to detect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djacent object and adjust a degree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separation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출력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output unit for visually or audibly outputting a notification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oor is not completely closed,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the output unit.
KR1020210187107A 2021-12-24 2021-12-24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KR202300984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107A KR20230098408A (en) 2021-12-24 2021-12-24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107A KR20230098408A (en) 2021-12-24 2021-12-24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408A true KR20230098408A (en) 2023-07-04

Family

ID=8715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107A KR20230098408A (en) 2021-12-24 2021-12-24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40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492A (en) 2009-09-28 201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door automatic open and clos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492A (en) 2009-09-28 201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door automatic open and clos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24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unshade sunroof
KR101537377B1 (en) Automatic Open And Shut Apparatus For Refrigerator Door
JP2018071339A (en) Motor assemblies for architectural coverings
CN107386862A (en) Kinetic swing door actuator with articulated linkage mechanism
US20080047199A1 (en) Intuitive Handle Switch Operation for Power Sliding Doors
US11486198B2 (en) Motor assemblies for architectural coverings
KR101999202B1 (en) Driving device for swing-type automatic door
KR20230098408A (en) Controll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door
JP7309924B2 (en) refrigerator
JP2001280001A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JP4823677B2 (en) Control device for building electrical switchgear
JPH05337283A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5279180A (en) Electric washing machine
KR20210006669A (en)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window
KR10095619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 and shutting angle of door checker for automobile and method thereof
JP6207126B2 (en) Door opener
KR20070008237A (en) Inside handle module
JP5470573B2 (en) Automatic sliding door with forced pushing means
KR102670954B1 (en) Motor assemblies for architectural coverings
JP5396226B2 (en) Semi-automatic sliding door
CN116928501A (en) Support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ccessory,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JP2005030155A (en) Door open/close system
KR20240082297A (en) Motor assemblies for architectural coverings
CN108570816B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pplied to household appliance,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CN117145302A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