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229A - 안정적인 항균 제형 농축물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항균 제형 농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229A
KR20230098229A KR1020237017224A KR20237017224A KR20230098229A KR 20230098229 A KR20230098229 A KR 20230098229A KR 1020237017224 A KR1020237017224 A KR 1020237017224A KR 20237017224 A KR20237017224 A KR 20237017224A KR 20230098229 A KR20230098229 A KR 20230098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lycol
hydroxyacetophenone
antimicrob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알. 키슈닉
에이미 엘. 반덴 헤우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9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2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cetophenone;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93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안정화된 항균 제형 농축물을 제공하는 조성물이 기술된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은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갖는 제1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서,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적인 항균 제형 농축물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 제형 농축물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항균 제형 농축물이 개시된다. 희석 후, 항균 조성 농축물은 와이프(wipe) 같은 용품에 사용 또는 혼입될 수 있거나, 또는 용액, 연고(ointment), 로션, 크림, 고약(salve), 에어로졸, 겔, 현탁액, 분무제, 발포체, 세척제 등에 혼입될 수도 있다.
보존제는 제품이 선반 상에 신선한 상태로 머무르고, 부패를 경험하지 않고, 세균 생장으로부터 자유롭게 남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화장품, 제약, 가정용, 산업용 및 개인용 위생 제품에 종종 사용되는 성분이다. 특히, 개인 위생 제품은 제품에서 소비자로의 물질들의 전달 가능성이 관심사일 수도 있는 신체 오리피스 주변과 같이 피부 또는 점막을 직접 접촉하도록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가능한 방식으로 제품의 오염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은 관행이다. 미생물 생장을 제어할 필요성은 비-이온성 수중유 유화액과 같은 수계 제품에서, 및 습윤 와이프와 같은 미리-함침된 와이프에서 특히 심각하다.
포름알데히드 공여자 또는 파라벤 등의 미생물 생장을 예방하는 항균제를 위한 다수의 옵션이 역사를 통틀어 존재해 왔으며, 이들 항균제가 매우 효과적이고 개인 위생 제품의 비교적 용이한 보존을 가능하게 했다. 최근에, 전통적인 항균제는 새로운 규제 및 소비자 인식의 관점에서 개인 위생 제품에서 덜 바람직한 구성성분이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제품에서 미생물 생장을 예방하기 위한 옵션을 제한해 왔다.
대체 항균제를 탐색해 왔지만, 각각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유기산 및 이들의 유도체는 그들의 항균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지만, 유기산은 고유한 냄새를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적인 후각 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는 농도를 제한한다. 또한, 유기산은 종종 산 형태로만 효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좁고 낮은 pH 범위를 갖는 조성물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며, 또한 제한된 수용성을 갖는다. 카프릴히드록삼산(Caprylhydroxamic Acid) 또한 대안적인 항균제로서 탐구되고 (카프릴히드록삼산은 냄새 문제가 없고 더 넓은 pH 범위에 걸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몇 가지 문제점들 중 일부를 다루지만, 카프릴히드록삼산은 대략 0.14%이라는 매우 제한된 수용해도를 갖는다. 이러한 제한된 수용해도는 카프릴히드록삼산이 제한된 성분을 갖는 조성물에서 더 높은 백분율로 사용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항균 성분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이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A. brasiliensisC. albicans와 같은, 사멸하기 어려운 유기체를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효능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효능은 pH 의존성이 거의 없으며, 이는 매우 다양한 제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고 일반적인 유기산 보존제보다 더 많은 제형 유연성을 제공한다. 항균 효과 외에도,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항산화 및 자극방지 효과를 포함하는 다른 효과도 제공한다. 따라서, 제품에서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고 더 낮은 냄새를 가지고, 미생물 생장에 대한 효능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더 넓은 pH 범위에 걸쳐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고, 선행하는 대안적인 항균제보다 큰 수용해도를 가질 수 있는, 대안적인 항균제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항균 제형에 혼입시키는 데 있어서 단점과 도전 과제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점은 순수한 형태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이 전형적으로 결정질 고형분 또는 분말로서 생산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계량하고 추가하기 위해 수작업을 사용하거나(잠재적 노동 비용을 추가할 수 있음), 특수 고형물 처리 장비(자본 비용을 초래하고 제조 시설에서 추가 바닥 공간을 요구할 수 있음)를 활용하기 위한 배합 시설을 필요로 한다.
또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제한된 수용성(22 ℃에서 1%)을 가지며, 이는 많은 개인 위생 제품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도로 수성인 제형에서 용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항균력에 효과적인 수준으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완전히 용해시키는 것은 종종 격렬하고 연장된 배합 시간을 필요로 하며/하거나 배합 공정 동안 배치를 높은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가열 기능이 없는 제조 시설의 경우, 이는 효율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처리량을 제한하는 긴 배치화 시간을 초래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함유하는 제형의 배합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한 가지 옵션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더 큰 배합/가열 능력을 갖는 위치에서 떨어져 잠재적으로 배합될 수 있는 다른 제형 성분과 농축물로 사전 배합한 다음, 최종 제조 위치로 배송하고, 여기서 최종 희석된 항균 제형을 생산하기 위해 희석하고 다른 제형 성분과 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또한 여러 가지 도전 과제를 제공한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제한된 수용성을 가지기 때문에, 성분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용해하는 것을 더욱 더 어렵게 하며, 특히 배송 중에 직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낮은 온도에서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종종 초래할 것이다.
계면활성제 및 용매가 농축물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용해도를 개선하는 데 일조하도록 사용될 수 있지만, 소비자는, 이들 성분이 물로서 "순수" 또는 "천연"이 아닌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낮은 수 및 농도의 비-물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을 점점 더 요구하고 있다. 또한, 다른 가용화제를 첨가하는 것은 전체 제형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임의의 농축물의 경우, 농축물 배합 시설에서 최종 제조 시설로 농축물의 배합 및 배송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합물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농도를 최대화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농축물 내에 최소 수의 다른 성분을 가지고, 고농도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고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에 비해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농축물을 생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농축물 배합물은 제조 유연성, 자본 지출, 제품 비용 및 소비자 만족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측면에서, 조성물이 제공된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은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갖는 제1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다른 조성물이 제공된다. 조성물은 제1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리콜은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제2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조성물이 제공된다.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1 중량%로 제1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의 제2 중량%로 카프릴릴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량% 및 제2 중량%는 조성물의 총 글리콜 중량%를 제공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의 양으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양에 대한 총 글리콜 중량 백분율의 비는 4.0 초과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항균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이 조성물의 10중량% 초과가 되도록 농축물의 형태일 수 있다. 농축 조성물은 나중에 (예를 들어, 물로 희석하는 것과 같이) 희석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기능성 및 비기능성 성분으로 희석될 수 있어 화장품, 제약, 가정용품, 식품, 산업 및 개인 위생 제품과 같은 매우 다양한 제품에 유용한 항균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제품은 샴푸, 컨디셔너, 비누, 보습제, 피부 보호, 피부 복원 및 피부 강화 제품, 손 세정제, 피부 및 신체 세정제, 데오도란트, 썬스크린, 립 밤, 립스틱, 소독제, 경질 표면 세정제, 식기 비누, 세탁 세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제품은 수박화(water-thin) 액체, 수성 용액, 겔, 밤(balm), 로션, 연고, 현탁액, 크림, 밀크, 고약, 연고, 페이스트, 분말, 에어로졸, 스프레이, 미스트, 무스, 유화액, 오일, 발포체, 세척액, 고형 스틱, 에어로졸, 물, 오일 또는 실리콘 용액 또는 유중수(water in oil), 수중유(oil in water), 수 중 실리콘(silicone in water), 실리콘 중 수(water in silicone)을 포함한, 유화액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제품 형태들은 기재와 함께 사용되어서, 전달을 위해 용액이 기재에 첨가될 수도 있다. 적절한 기재 기반 제품은 와이프, 미용 티슈, 욕실용 티슈, 종이 타월, 냅킨, 기저귀, 기저귀 팬티, 여성용 위생 제품 (탐폰, 패드), 장갑, 양말, 마스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상된 각각의 제품 내에서, 조성물은 희석되어 화장품, 제약, 가정용, 산업용 및 개인용 위생 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적절한 성분은 수성 용매, 비수성 용매, 습윤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빌더(builder), 분리제(sequestrant), 킬레이트제, 보존제, pH 조절제, 조합 보존제/항균제, 살균제, 착색제, 리올로지 조절제, 항산화제, 항기생충제, 항소양제(antipruritics), 항진균제, 항균제, 생물학적 활성제, 수렴제, 각질용해 활성제, 국소 마취제, 항-자통제(anti-stinging agent), 붉은기 방지제, 피부진정제, 외부 진통제, 필름 형성제, 피부 각질제거제, 선스크린, 데오도란트, 항발한제, 향료, 및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다양한 기타 선택적 성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넓은 분류 범위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항균제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일 수 있는 항균제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그것의 항균 특성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무색 결정질 고형분의 형태를 취하는 단순 방향족 케톤이다. 일반적으로 완제품에서 0-1.0%(중량 기준)의 수준으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항균 및 보존제 부스팅 이점 외에도 항산화 및 자극방지 활성과 같은 개인 위생 제품에서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하기의 구조로 나타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효과적인 광범위 항균제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제한된 수용성을 가지며, 이는 많은 개인 위생 제품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도의 수성 제형으로 배합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p-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p-hydroxyacetophenone)
농축물 형태의 항균 조성물에 초점을 맞춘 본 개시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조성물의 12 중량% 초과, 15 중량% 초과, 또는 심지어 농축물 형태의 조성물의 20 중량%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농축물이 희석된 후,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조성물의 약 1.0% 미만, 또는 약 0.5% 미만,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조성물의 중량 기준 약 0.2% 미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용화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가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용화제는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액체 농축물로 용해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연구된 가용화제는 글리세레스-7 벤조에이트, 헥시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PPG-2 페닐 에테르, 페녹시이소프로판올, 프로판디올, 부틸렌 글리콜, 1,2-헥산디올, 이소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부틸옥탄올 및 카프릴릴 글리콜을 포함하였다.
초기 연구는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실험은 고농도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상대적으로 적은 수 및 농도의 가용화제와 같은 다른 제형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농축물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배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형화된 제품의 포장에 기재된 성분에 첨가되는 성분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2개 또는 3개 이하의 추가 성분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한 성분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용화제였다. 안정성 시험은 본원의 시험 방법 섹션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초기 안정성 시험은 다양한 가용화제를 50℃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2:1의 비율로 조합한 다음, 침전물이 형성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샘플이 실온에서 수일 동안 방치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물로 쉽게 희석될 수 있는 가용화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장된 보관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최종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조사된 가용화제 중, 실온에서 4일 보관 후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2:1의 비율로 조합했을 때 2개만이 침전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가용화제는 부틸렌 글리콜 및 이소프렌 글리콜이었다. 다른 가용화제, 심지어 펜틸렌 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및 1,2-헥산디올과 같은 다른 글리콜 가용화제는 실온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표 1은 평가된 많은 조합을 기술한다. 25℃에서 4일 안정성 시험 중에 코드가 침전물을 생성하면, 그 코드는 5℃에서 1개월 시험되지 않았으며, "N/T"로 표시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1에 기록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가용화제는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혼합할 수 없었고 25℃에서 4일 동안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가용화제 부틸렌 글리콜 및 이소프렌 글리콜을 각각 포함하는 코드 G 및 J는 25℃에서 4일 동안 보관한 후 용액에 침전물이 없을 가능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실온에서 단기 에이징을 거친 이들 배합물은 실온에서 1개월 동안 계속 보관되었고, 또한 5℃ 냉장고에 1개월 동안 두었다. 이 시간 후, 부틸렌 글리콜을 갖는 코드 G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 가용화된 이소프렌 글리콜을 갖는 코드 J 둘 다 침전물을 나타냈으므로, 안정성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
효과적인 농축 배합물은 침전 없이 광범위한 온도에서 생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저온에서 농축 배합물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농축물에서 가용화제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농도를 감소시키면 결국 안정적인 배합물이 생성되지만, 가용화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최종 희석 용액에서 해당 물질의 비례적 증가를 초래한다. 이는 최종 용액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또한 최종 제형에서 비-물 성분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이는 최소의 첨가제를 갖는 고-수분 생성물에 대한 많은 소비자의 요구와는 상반된다. 따라서, 단순히 가용화제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보다는, 농축물에 추가 성분을 첨가하지만, 최종 제형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있는 성분에 초점을 맞추도록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용 증가 없이 또는 최종 제품에서 비-물 성분의 농축 없이 농축물의 안정성은 개선될 수 있다.
많은 개인 위생 제형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오일을 용해시키고 세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첨가함으로써 제형에 대한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향료 및 식물성 오일을 가용화하는 데 흔히 사용되며, 종종 저렴하고,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보다 최종 제형에서 호환성 문제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초기에 선택되었다.
개인 위생 제품에 흔히 사용되는 하나의 특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BASF사의 Eumulgin SML-20)이다. 표 1의 코드 K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소르베이트-20을 비수성 배합물 중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부틸렌 글리콜과 10:20:9의 중량비로 조합하였다(부틸렌 글리콜/폴리소르베이트 20/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코드 K는 5℃ 내지 55℃의 매우 다양한 온도에서 침전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안정성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였다. 20:15:10, 10:15:10, 및 10:25:10의 부틸렌 글리콜/폴리소르베이트-20/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비율을 포함하여, 이들 3가지 성분의 다른 비율을 시험하였고, 적어도 1개월 동안 5℃ 및 25℃ 모두에서 안정적으로 또한 유지되었다. 그러나, 20:5:10 및 20:15:20의 비율은, 농축 배합물로부터 침전이 발생하였으므로, 이들 조건 하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폴리소르베이트-20 이외의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부틸렌 글리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또한 시험하였다. 표 2에 기록된 바와 같이, 26%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51% 부틸렌 글리콜을 갖는 23%의 다양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1개월 및 3개월 안정성 시험을 완료하였다. 이러한 안정성 시험을 5℃, 25℃, 및 40 ℃에서 완료하였다.
Figure pct0000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상이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5℃ - 40℃에서 1개월 및 3개월 동안 안정성 시험을 통과하였다.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최종 제형에서 호환성 문제의 위험이 훨씬 더 높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탐구하지 않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농축된 조성물은 (중량 기준) 조성물의 적어도 25%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중량 기준) 조성물의 30% 초과, 35% 초과, 40% 초과, 45% 초과, 또는 심지어 50%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일부 실시예에서 최종 희석된 항균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30%, 또는 10 내지 30%, 또는 0.05 내지 20%, 또는 0.10 내지 15%의 범위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최종 희석된 항균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10.0%, 또는 0.01 내지 5.0%, 또는 0.01 내지 1.0%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다른 글리콜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가 안정성 시험을 완료하였다. 표 3은 20:10:9 비율(51%:26%:23%)의 글리콜: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폴리소르베이트 20으로 다양한 글리콜 가용화제에 대한 안정성 시험 결과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표 3에 기록된 결과로부터, 다양한 글리콜이 적절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리세린, 1,2-헥산디올, 및 카프릴릴 글리콜은 적절한 안정성을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메틸프로판디올은 모두 적절한 안정성 결과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적절한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하는 글리콜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표 3에 기록된 안정성 시험의 결과는 폴리소르베이트-20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조성물로부터 제거되면 적절한 안정성이 달성되지 않았음을 또한 제공한다. 따라서, 일부 조성 및 양의 글리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안정적인 농축물 조성물을 달성하는 데 유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부틸렌 글리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배합물에 더하여, 제2 항균 성분의 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의 더 큰 사슬 길이 글리콜이 농축물에 첨가될 수 있다. 카프릴릴 글리콜(Inolex의 Lexgard O 또는 Symrise의 Hydrolite CG)은 알려진 항균 특성을 갖는 1,2-디올이다. 이는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조합하여 효과적인 공항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카프릴릴 글리콜은 제한된 수용성을 가지므로, 수성 제형 농축물에서 고농도로 혼입하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부틸렌 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농축물에 첨가하면, 장기간 동안 매우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적인 농축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부의 카프릴릴 글리콜을 부틸렌 글리콜/폴리소르베이트-20/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20:9:10 배합물에 혼입하면 5℃ - 40℃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농축물이 생성된다.
실제로, 다른 단쇄 글리콜과 함께 카프릴릴 글리콜을 혼입한 배합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없는 경우에도, 또는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원의 목적을 위해, 농축된 조성물은 1% 미만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표 4는 카프릴릴 글리콜, 단쇄 글리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조합을 요약한 것으로, 상응하는 안정성 결과와 함께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5
표 4에 기록된 바와 같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코드에서,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에 비해 카프릴릴 글리콜의 유의한 농도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프릴릴 글리콜/부틸렌 글리콜/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30/20/10 혼합물은 카프릴릴 글리콜/메틸프로판디올/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30/20/10 혼합물(코드 Q)과 마찬가지로 5℃ 및 2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이었다(코드 R). 이러한 결과는, 카프릴릴 글리콜이 저온에서 고형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지 카프릴릴 글리콜을 용매로서 이용하는 농축물의 성능에 대한 개선점이다. 예를 들어, 3부의 카프릴릴 글리콜 대 1부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배합물(코드 T)은 5℃에서 며칠 후에 완전히 고형화되어, 제조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우 취급상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농축 조성물의 일부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로 적절히 제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은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글리콜은 (중량 기준) 농축 조성물의 20% 초과,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 25% 초과, 30% 초과, 35% 초과, 또는 40%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이한 글리콜이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이한 글리콜은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갖는 제1 글리콜 및 제2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글리콜은 카프릴릴 글리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총 글리콜 중량 백분율(예를 들어, 조합된 제1 글리콜 중량 백분율 및 제2 글리콜 중량 백분율)은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양에 대한 총 글리콜 중량 백분율의 비율은 4.0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글리콜, 예컨대 카프릴릴 글리콜의 중량% 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중량%의 비는 2.5를 초과할 수 있다.
최종 희석된 형태에서, 항균 조성물은 일부 실시예에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 또는 약 0.1% 내지 약 0.5%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담체
본 개시내용의 항균 농축 조성물은 이후 희석되고 하나 이상의 종래의 상용성 담체 물질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일단 희석되면, 항균 조성물은 제한 없이, 수용액, 겔, 밤(balm), 로션, 현탁액, 크림, 밀크, 고약, 연고, 분무제, 유화액, 오일, 수지, 발포체, 고형 스틱, 에어로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합한 액체 담체 물질은 화장품, 제약 및 의학 기술분야에서 연고, 로션, 크림, 고약, 에어로졸, 겔, 현탁액, 분무제, 발포체, 세척액 등에 대한 베이스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것들의 수립된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희석 후, 담체는 사용된 담체에 따라서 약 0.01% 내지 약 99.98%(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담체 물질은 극성 용매 물질,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한다. 다른 잠재적인 담체는 연화제, 습윤제, 폴리올, 계면활성제, 에스테르, 퍼플루오로탄소, 실리콘, 및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물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담체는 휘발성이며, 건조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전반적인 사용 경험을 개선하면서 원하는 표면에 대한 항균 성분을 즉시 피착시킬 수 있다. 이들 휘발성 담체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5cst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메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에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 및 에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를 포함한다.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같은 종래의 휘발성 담체와는 달리, 이 담체는 항균 효과가 없다.
일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진정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매끄럽게 하고 그리고/또는 보습하도록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적합한 연화제는 오일, 예컨대 알킬 디메티콘, 알킬 메티콘, 알킬디메티콘 코폴리올, 페닐 실리콘, 알킬 트리메틸실란, 디메티콘, 디메티콘 가교중합체, 사이클로메티콘, 라놀린 및 그 유도체, 지방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유도체, 알콕실화 카르복실산, 알콕실화 알코올, 지방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항균 조성물의 일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연화제를 약 0.01%(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2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05%(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1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1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5%(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에스테르는 세틸 팔미트산염, 스테아릴 팔미트산염, 세틸 스테아르산염, 이소프로필 라우르산염,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염,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지방 알코올은 옥틸도데칸올,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지방산은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드산 및 베헨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칼립톨,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디메틸 이소소르브 폴리글리세릴-3 세틸 에테르, 폴리글리세릴-3 데실테트라데카놀, 프로필렌 글리콜 미리스틸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에테르도 연화제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항균 조성물 또는 본 개시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에스테르 화합물은 국제 화장품 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1판, CTFA (2006년 1월) ISBN-10: 1882621360, ISBN-13: 978-1882621361, 및 2007 화장품 벤치 레퍼런스(Cosmetic Bench Reference), Allured Pub. Corporation (2007년 7월 15일) ISBN-10:1932633278, ISBN-13: 978-1932633276에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범위 내에서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에서 담체로서 적합한 습윤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글리세린 유도체,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유도체, 베타인, 베타인 유도체,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글리콜, 폴리올, 당류, 당 알코올, 수소화 전분 가수분해물, 하이드록시 산, 하이드록시 산 유도체, PCA 염, 기타 등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습윤제의 특정 예로는 꿀, 소르비톨,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베타인, 락트산,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글리콜산, 글리콜산 나트륨, 락트산 나트륨, 우레아,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메틸 글루세스-10, 메틸 글루세스-20,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2 내지 PEG 10과 같이 국제 화장품 원료집에 나열됨), 프로판디올, 자일리톨, 말티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습윤제를 약 0.01%(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2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05%(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1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1%(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5.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농축된 항균 조성물은 담체, 예컨대 물로 희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균 조성물이 습식 와이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습윤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농축된 항균 조성물을 희석하기 위해서 물을 포함할 것이다. 항균 조성물은 적절하게는 물을 약 0.01%(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99.98%(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1.0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99.98%(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50.0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99.98%(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75.0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99.98%(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은 약 50.0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70.0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은 90.0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초과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항균 조성물이 세척액 (예, 샴푸; 표면 세정제; 또는 손, 얼굴 또는 신체 세척액)으로 작용하는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것이다. 항균 조성물이 와이프에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또한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들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이온성 및 쌍성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최종 희석된 항균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30%, 또는 10 내지 30%, 또는 0.05 내지 20%, 또는 0.10 내지 15%의 범위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컨대 습윤 조성물이 와이프와 함께 사용될 때, 계면활성제는 최종 희석된 습윤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5% 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8 내지 C22 알칸 황산염, 에테르 황산염 및 설폰산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설폰산염으로는 1차 C8 내지 C22 알칸 설폰산염, 1차 C8 내지 C22 알칸 디설폰산염, C8 내지 C22 알켄 설폰산염, C8 내지 C22 하이드록시알칸 설폰산염, 또는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폰산염이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암모늄 라우릴 황산염, 암모늄 라우레스 황산염, 트리에틸아민 라우릴 황산염, 트리에틸아민 라우레스 황산염,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염,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스 황산염,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염,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레스 황산염, 디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염, 디에탄올아민 라우레스 황산염, 라우르산 모노글리세리드 나트륨 황산염, 나트륨 라우릴 황산염, 나트륨 라우레스 황산염, 칼륨 라우레스 황산염,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염,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신산염, 칼륨 라우릴 황산염, 나트륨 트리데세스 황산염, 나트륨 메틸 라우로일 타우린산염, 나트륨 라우로일 이세티온산염, 나트륨 라우레스 설포숙신산염, 나트륨 라우로일 설포숙신산염, 나트륨 트리데실 벤젠 설폰산염, 나트륨 도데실 벤젠 설폰산염, 나트륨 라우릴 암포아세트산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8 내지 C22 아실 글리신산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글리신산 염은 나트륨 코코일글리신산염, 칼륨 코코일글리신산염, 나트륨 라우로일글리신산염, 칼륨 라우로일글리신산염, 나트륨 미리스토일글리신산염, 칼륨 미리스토일글리신산염, 나트륨 팔미토일글리신산염, 칼륨 팔미토일글리신산염, 나트륨 스테아로일글리신산염, 칼륨 스테아로일글리신산염, 암모늄 코코일글리신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글리신산 염을 형성하는 양이온성 반대 이온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알카놀암모늄 및 이들 양이온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디메틸아민, 알킬 아미도프로필아민, 알킬 이미다졸린 유도체, 4급 아민 에톡실레이트 및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산, 아미드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와 단독으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함께 반응하는 알킬 페놀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비이온성 물질은 C6 내지 C22 알킬 페놀-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C8 내지 C13 지방족 일차 또는 이차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물,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디아민의 반응 생성물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이다. 다른 비이온성 물질은 장쇄 3차 아민 옥사이드, 장쇄 3차 포스핀 옥사이드 및 디알킬 술폭시드, 알킬 폴리사카라이드, 아민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캐스터 오일 에톡실레이트, 세토-올레일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데실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디노일 페놀 에톡실레이트, 도데실 페놀 에톡실레이트, 말단-캡핑 에톡실레이트, 에테르 아민 유도체, 에톡실화 알카놀아미드, 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지방 알코올 알콕실레이트, 라우릴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단일 분지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천연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옥틸 페놀 에톡실레이트, 올레일 아민 에톡실레이트, 랜덤 공중합체 알콕실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실레이트, 스테아르산 에톡실레이트, 스테아릴 아민 에톡실레이트, 합성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톨 유 지방산 에톡실레이트, 탤로우 아민 에톡실레이트 및 트리드 트리데칸올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양쪽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알킬 아민 옥사이드, 알킬 하이드록시설테인, 실리콘 아민 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양쪽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 예로는, 예를 들면, 4-[N,N-디(2-하이드록시에틸)-N-옥타데실암모니오]-부탄-1-카르복실레이트, S-[S-3-하이드록시프로필-S-헥사데실설포니오]-3-하이드록시펜탄-1-설페이트, 3-[P,P-디에틸-P-3,6,9-트리옥사테트라데옥소프실포스포니오]-2-하이드록시프로판-1-포스페이트, 3-[N,N-디프로필-N-3-도데콕시-2-하이드록시프로필암모니오]-프로판-1-포스포네이트,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니오)프로판-1-설포네이트,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니오)-2-하이드록시프로판-1-설포네이트, 4-[N,N-디(2-하이드록시에틸)-N-(2-하이드록시도데실)암모니오]-부탄-1-카르복실레이트, 3-[S-에틸-S-(3-도데콕시-2-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니오]-프로판-1-포스페이트, 3-[P,P-디메틸-P-도데실포스포니오]-프로판-1-포스포네이트, 5-[N,N-디(3-하이드록시프로필)-N-헥사데실암모니오]-2-하이드록시펜탄-1-설페이트,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테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쌍성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지방족 4급 암모늄, 포스포늄, 및 설포늄 유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방족 라디칼은 직쇄이거나 분지쇄일 수 있으며, 여기서 지방족 치환기 중 하나는 약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하나의 치환기는 카르복시기, 설포네이트기, 설페이트기 또는 포스페이트기와 같은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쌍성이온성 물질은 코코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베타인, 올레일 베타인, 세틸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 에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스테아릴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올레일 디메틸 감마-카르복시프로필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다. 설포베타인은 스테아릴 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설포에틸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설포프로필 베타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올로지 조절제(Rheology Modifier)
선택적으로, 증점제(thickener)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올로지 조절제가 항균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적절한 리올로지 조절제는 항균제와 상용성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상용성(compatible)"은, 항균제와 혼합되었을 때, 그의 항균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증점 시스템이 항균 조성물에서 사용되어 조성물의 점도 및 안정도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증점 시스템은 조성물의 분배 및 사용 동안 조성물이 손 또는 신체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항균 조성물이 와이프 제품과 함께 사용될 때, 조성물이 와이프 기재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 두꺼운 제형이 사용될 수 있다.
증점 시스템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화합물과 상용성이어야 하고; 즉, 증점 시스템은 항균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되었을 때, 침전되지 않아야 하거나,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를 형성하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컨디셔닝 이점(또는 다른 원하는 이점)을 사용자가 감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증점 시스템은 이 증점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증점 효과 및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 양쪽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는 셀룰로오스, 검, 아크릴레이트, 전분 및 다양한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예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크산탄 검, 구아 검, 감자 전분, 및 옥수수 전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PEG-150 스테아레이트, PEG-150 디스테아레이트, PEG-175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디스테아레스-100 IPDI,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 술폰산, 부틸화 PVP 및 이들의 조합이 적절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점도는 통상적으로 사용된 증점제 및 조성물의 다른 성분에 의존하지만, 조성물의 증점제는 1cP 초과 내지 약 30,000cP 이상의 범위의 점도를 갖는 조성물을 위해 적절하게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증점제는 약 100cP 내지 약 20,000cP의 점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증점제는 약 200cP 내지 약 15,000cP의 점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조성물이 와이프에 포함되는 실시예들에서, 점도는 약 1cP 내지 약 2000cP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성물의 점도가 500Cp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최종 희석된 형태로 약 20% 이하(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01%(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2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으로 증점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증점 시스템은 최종 희석된 형태로 약 0.1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10%(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25%(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5%(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또는 약 0.5%(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내지 약 2%(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으로 항균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유화제
일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소수성 및 친수성 성분, 예컨대 로션 또는 크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유화액은 분산상 및 연속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가변하는 친수성/친유성 균형 (HLB)을 갖는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의 조합의 첨가로 형성된다. 적합한 유화제는 0 내지 20, 또는 2 내지 18의 HLB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세테아레스-20,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세테스-10, 세테스-2, 세테스-20, 코카미드 MEA,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레스-20, 라우레스-23, 라우레스-4, 레시틴, ,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올레스-10, 올레스-2, 올레스-20, PEG-100 스테아레이트, PEG-20 아몬드 글리세리드, PEG-20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PEG-25 수소화 캐스터 오일,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PEG-4 디라우레이트, PEG-40 소르비탄 퍼올레이트, PEG-60 아몬드 글리세리드, PEG-7 올리베이트,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PEG-8 디올레이트, PEG-8 라우레이트, PEG-8 올레이트,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85,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올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스테아르아미드 MEA, 스테아레스-100, 스테아레스-2, 스테아레스-20, 스테아레스-21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액정 네트워크 또는 리포솜 네트워크를 생성시키는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OLIVEM 1000 (INCI: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HallStar Company(일리노이주 시카고)로부터 입수 가능)); ARLACEL LC (INCI: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틸 라우레이트, Croda(뉴저지주 에디슨)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 CRYSTALCAST MM (INCI: 베타 시토스테롤 (및) 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및) 수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및) 세틸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 MMP Inc.(뉴저지주 사우쓰 플레인필드)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 UNIOX CRISTAL (INCI: 세테아릴 알코올 (및)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Chemyunion(브라질 상파울로)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을 포함한다. 다른 적절한 유화제는 레시틴, 수소화 레시틴, 리소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인지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부속 성분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은 확립된 방식 및 확립된 수준으로 화장품, 약학, 의학, 가정용, 산업용 또는 개인용 위생 조성물/제품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부속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일반적으로 항균 조성물의 최종 희석된 형태로 첨가된다. 예를 들어, 항균 조성물은 항산화제, 항기생충제, 항소양제(antipruritics), 항진균제, 살균 활성제, 생물학적 활성제, 수렴제, 각질용해 활성제, 국소 마취제, 항-자통제(anti-stinging agent), 붉은기 방지제, 피부진정제, 외부 진통제, 필름 형성제, 피부 각질제거제, 선스크린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병용 요법용으로 추가적인 상용성 약학 활성 및 상용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첨가제는 상용성 착색제, 탈취제, 유화제, 포밍 방지제(발포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윤활제, 피부 컨디셔닝제, 피부 보호제 및 피부 유익제(예를 들어, 알로에 베라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용매(예를 들어, 수용성 글리콜 및 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수용성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용성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수용성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수용성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디메틸이소소르비드), 가용화제, 현탁제, 빌더, (예를 들어, 탄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인산 수소, 인산 이수소, 황산 수소 황산염의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염), 습윤제, pH 조정 성분 (조성물의 적절한 pH 범위는 3.5 내지 약 8일 수 있음), 킬레이터, 추진제, 염료 및/또는 안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항균 조성물에 첨가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은 향료이다. 모든 상용성 향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향료는 조성물의 최종 희석된 형태로 약 0% (조성물의 중량 기준) 내지 약 5% (조성물의 중량 기준), 보다 통상적으로 약 0.01% (조성물의 중량 기준) 내지 약 3% (조성물의 중량 기준)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향료는 최종 소비자를 위한 매력적인 전달 비히클(vehicle)을 생성하기 위해 깨끗하고, 신선하고 및/또는 중성적인 향을 가질 것이다.
항균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유기 선스크린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아보벤존, 옥토크릴렌, 벤조페논-4,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호모살레이트, 옥시벤존, 벤조페논-3,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논의된 항균제에 더하여, 항균 조성물은 다양한 조합 항균제를 포함하여 저장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일부 적절한 조합 항균제는 전통적인 항균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항균제"는 항균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규제 조직에 의해 역사적으로 인식되어 온, 화장품 제품에 허용되는 보존제의 EU 부속서 V 리스트에 열거된 것들과 같은, 화합물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항균제로는 프로피온산 및 그의 염; 살리실산 및 그의 염; 소르브산 및 그의 염; 벤조산 및 그의 염 및 그의 에스테르; 포름알데히드; 파라포름알데히드; o-페닐페놀 및 그의 염; 아연 피리티온; 무기 아황산염; 수소 아황산염; 클로로부탄올; 벤조 파라벤, 예컨대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벤질파라벤, 나트륨 메틸파라벤 및 나트륨 프로필파라벤; 데히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포름산 및 그의 염; 디브로모헥사미딘 이세티오네이트; 티메로살; 페닐수은 염; 운데실렌산 및 그의 염; 헥세티딘;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디클로로벤질 알코올; 트리클로카르반; p-클로로-m-크레졸; 트리클로산; 클로로옥실에놀;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페녹시에탄올, 메텐아민; 쿼터늄-15; 클림바졸; DMDM 히단토인; 벤질 알코올; 피로옥톤 올아민; 브로모클로로펜; o-시멘-5-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클로로펜; 클로로아세트아미드;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페녹시이소프로판올; 알킬(C12-C22)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클로라이드; 디메틸 옥사졸리딘;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헥사미딘; 헥사미딘 디이세티오네이트; 글루타랄; 7-에틸비시클로옥사졸리딘; 클로르페니신; 나트륨 하이드록시메틸글리시네이트; 은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브로마이드; 벤질헤미포르말;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에틸 라우로일 아르기네이트 HCl;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 은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다른 조합 항균제는 이의 주요 기능에 더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EU 부속서 V 리스트와 같은) 규제 조직에 의해 역사적으로 항균제로 인식되지 않은 비전통적인 항균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전통적인 항균제의 예로는 카프릴릴 글리콜, 나트륨 코코-PG 디모늄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페닐프로판올, 락트산 및 그의 염, 카프릴히드록삼산, 레불린산 및 그의 염, 나트륨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페네틸 알코올, 소르비탄 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레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p-아니스산 및 그의 염, 글루코노락톤, 데실렌 글리콜, 1,2-헥산디올,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 및 락토퍼옥시다아제, 류코노스톡/무 뿌리 발효 여과액 및 글리세릴 라우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균 조성물 중 조합 항균제의 양은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양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조합 항균제는 항균 조성물의 최종 희석된 형태로 약 0.001% 내지 약 5%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일부 실시예에서 약 0.01 내지 약 3%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일부 실시예에서 약 0.05% 내지 약 1.0%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합 항균제는 항균 조성물의 최종 희석된 형태로 0.2%(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미만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임의의 조합 항균제가 실질적으로 없지만,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글리콜을 포함함으로써 여전히 세균 생장에 대한 적절한 효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전통적인 항균제 또는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카프릴릴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이외의 임의의 다른 비전통적 항균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는 보다 간단한 제형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개선된 소비자 매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달 비히클(Delivery Vehicle)
본 개시내용의 항균 조성물은 항균 조성물에 대한 전달 비히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제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와이프 기재, 흡수 기재, 직물 또는 천 기재, 티슈 또는 종이 타월 기재 등과 같은 기재 내에 또는 기재 상에 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습식 와이프를 형성하도록 와이프 기재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분산될 수 있는 와이프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습윤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은 습식 와이프, 손 와이프, 얼굴 와이프, 화장품 와이프, 천 등과 같은 와이프 내에 혼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항균 조성물은 흡수 용품과 같은 다수의 개인 위생 제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관심 대상의 흡수 용품은 기저귀, 훈련 팬티, 성인 실금 제품, 여성 위생 제품 등; 욕실용 또는 세안용 티슈; 및 종이 타월이다. 관심 대상의 개인 보호 장비 용품은 마스크, 가운, 장갑, 캡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습식 와이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그 조성물로 완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습윤 조성물"이라 지칭되는 수용액으로 습윤된 부직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부직포 물질은 섬유 물질 또는 기재를 포함하며, 섬유 물질 또는 기재는 매트같은 방식으로 무작위로 배열된 개별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구조를 갖는 시트를 포함한다. 부직포 물질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에어레이드 공정,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티슈 또는 타월에 의한 습식(wet-laid) 공정, 수력엉킴 공정, 스테이플 섬유 카딩 및 본딩, 멜트 블로운 및 용액 스피닝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섬유 물질을 형성하는 섬유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각종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섬유의 선택은 예를 들면 의도하는 최종 기재의 최종 용도 및 섬유 비용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합한 섬유는 면, 아마, 황마, 대마, 모, 목재 펄프 등과 같은 천연 섬유를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적합한 섬유는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예를 들면 비스코스 레이온 및 구리암모늄(cuprammonium) 레이온; 변성된 셀룰로오스계 섬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는,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한대로, 모든 그 변형물 뿐만 아니라 라이오셀(Lyocell)과 같이, 재생 셀룰로오스 및 용매-방사된 셀룰로오스를 비롯한 화학적으로 변성된 셀룰로오스 또는 비스코스로부터 유도된 기타 섬유를 포함한다. 목재 펄프 섬유들 중에서는, 연질목 및 경질목 섬유를 비롯한 임의 공지된 제지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섬유는 예를 들면, 화학적으로 펄프화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펄프화되거나, 표백되거나 또는 표백되지 않거나, 미사용이거나 또는 재활용이거나, 고수율이거나 또는 저수율, 등일 수 있다. 화학적으로 처리된 천연 셀룰로오스계 섬유, 예를 들면 머서가공된 펄프, 화학적으로 강성화된 또는 가교결합된 섬유, 또는 술포네이트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셀룰로오스 및 다른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셀룰로오스계"는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를 갖는,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용어는 면, 전형적인 목재 펄프, 비목질 셀룰로오스계 섬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레이온, 열기계적 목재 펄프, 화학적 목재 펄프, 박리된 화학적 목재 펄프, 유액분비식물(milkweed) 또는 세균성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임의의 상기한 섬유들 중 1종 이상의 블렌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섬유 물질은 단일층 또는 다수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수 층의 경우, 층들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또는 표면-대-표면 관계로 위치하고, 모든 또는 일부의 층들이 인접 층들에 결합될 수 있다. 섬유 물질은 또한 복수의 분리된 섬유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분리된 섬유 물질은 상이한 유형의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특히 습식 와이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에어레이드 부직포에 대한 평량은 약 20 내지 약 200gsm일 수 있고 이때 짧은 섬유는 약 0.5 내지 10의 데니어 및 약 6 내지 15mm의 길이를 가진다. 습식 와이프는 일반적으로 약 0.025g/cc 내지 약 0.2g/cc의 섬유 밀도를 가질 수도 있다. 습식 와이프는 일반적으로 약 20gsm 내지 약 150gsm의 평량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량은 약 30 내지 약 90gsm일 수도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평량은 약 50gsm 내지 약 75gsm일 수도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 베이스시트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6/0008621호에 기술되어 있고, 그것은 그것이 본원과 일치하는 정도로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항균 조성물이 기재에 습윤 조성물로서 사용될 때, 습윤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500%, 또는 약 125% 내지 약 400%, 또는 약 150% 내지 약 350%의 부가량 비율로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시험 방법
안정성 시험:
먼저 모든 글리콜과 계면활성제를 용기 내에서 조합하고 철저하게 혼합함으로써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농축물 조성물을 실험실에서 일괄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이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하고,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혼합하면서 서서히 혼입시켰다. 일단 모든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용해시킨 다음,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각 배치로부터의 샘플을 2온스 유리병에 넣고 선택된 온도 조건(예를 들어, 5℃, 25℃, 40 ℃ 또는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다른 조건)에서 에이징시켰다. 25℃ 초과의 온도에서 에이징된 샘플을 온도 제어 오븐에 배치한 반면, 25℃ 미만의 온도에서 저장된 샘플을 온도 제어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25℃ 샘플을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그런 다음, 샘플을 본원에 기술된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개월)으로 에이징 챔버로부터 꺼내고, 침전, 분리, 및 혼탁도의 변화를 포함하여, 물리적 불안정성의 가시적인 징후에 대해 제형을 검사하였다. 침전 또는 분리의 임의의 가시적 징후는 이 안정성 시험의 실패로 간주된다. 그런 다음, 샘플을 다음 평가 시점까지 에이징 챔버 내에 다시 배치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로서,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하는 제1 글리콜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10중량%를 포함하는,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성 시험에 따라 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조성물.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메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실시예 4: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은 제2 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리콜은 카프릴릴 글리콜인, 조성물.
실시예 6: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8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글리셀리-3 카프레이트, 트리데세스-6, 및 트리데세스-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8: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비율은 적어도 1.0인, 조성물.
실시예 9: 제1 글리콜로서, 상기 제1 글리콜은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하는, 제1 글리콜; 제2 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1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11: 실시예 9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메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실시예 12: 실시예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글리콜은 카프릴릴 글리콜인, 조성물.
실시예 13: 실시예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80, PEG-40 수소화 파마자유, 폴리글리셀리-3 카프레이트, 트리데세스-6, 및 트리데세스-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15: 실시예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성 시험에 따라 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조성물.
실시예 16: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제1 중량%의 제1 글리콜; 상기 조성물의 제2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로서, 여기서 상기 제1 중량% 및 상기 제2 중량%는 상기 조성물의 총 글리콜 중량%를 구성하는, 카프릴릴 글리콜; 및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의 양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고; 상기 총 글리콜 중량% 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양의 비는 4.0을 초과하는, 조성물.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
실시예 18: 실시예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성 시험에 따라 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조성물.
실시예 19: 실시예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20: 실시예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2 중량% 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양의 비는 2.5를 초과하는, 조성물.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조성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로서,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하는 제1 글리콜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10중량%를 포함하는,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성 시험에 따라 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메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은 제2 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리콜은 카프릴릴 글리콜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8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글리셀리-3 카프레이트, 트리데세스-6, 및 트리데세스-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비율은 적어도 1.0인, 조성물.
  9. 조성물로서,
    6개 미만의 탄소를 갖는 탄소 사슬을 포함하는 제1 글리콜;
    제2 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1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메틸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글리콜은 카프릴릴 글리콜인,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8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글리셀리-3 카프레이트, 트리데세스-6, 및 트리데세스-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20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성 시험에 따라 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조성물.
  16.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제1 중량%의 제1 글리콜;
    상기 조성물의 제2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로서, 여기서 상기 제1 중량% 및 상기 제2 중량%는 상기 조성물의 총 글리콜 중량%를 구성하는, 카프릴릴 글리콜; 및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의 양의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포함하고;
    상기 총 글리콜 중량% 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양의 비는 4.0을 초과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안정성 시험에 따라 5℃에서 적어도 1개월 동안 안정적인,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은 부틸렌 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2 중량% 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의 양의 비는 2.5를 초과하는, 조성물.
KR1020237017224A 2020-10-30 2020-10-30 안정적인 항균 제형 농축물 KR20230098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0/058110 WO2022093257A1 (en) 2020-10-30 2020-10-30 Stable antimicrobial formulation concent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229A true KR20230098229A (ko) 2023-07-03

Family

ID=8138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224A KR20230098229A (ko) 2020-10-30 2020-10-30 안정적인 항균 제형 농축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230098229A (ko)
CN (1) CN116472022A (ko)
AU (1) AU2020475267A1 (ko)
GB (1) GB2615695A (ko)
MX (1) MX2023004740A (ko)
WO (1) WO20220932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4481B1 (en) * 2013-03-08 2018-06-13 Symrise AG Antimicrobial compositions
CN104546522A (zh) * 2014-12-18 2015-04-29 广东雅威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高效广谱抑菌能力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702648B1 (ko) * 2016-05-10 2017-02-03 주식회사 엑티브온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N106726658A (zh) * 2017-03-13 2017-05-31 福州美乐莲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辛酰羟肟酸和对羟基苯乙酮的防腐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含有该防腐剂的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615695A (en) 2023-08-16
CN116472022A (zh) 2023-07-21
GB202307036D0 (en) 2023-06-28
WO2022093257A1 (en) 2022-05-05
MX2023004740A (es) 2023-07-04
AU2020475267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66030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including an acyl lactylate and a glycol and methods of inhibiting microbial growth utilizing the same
KR102626588B1 (ko) 암포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항균 증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
CN110167516B (zh) 包含苯甲酸酯的抗细菌组合物及利用该组合物抑制细菌生长的方法
KR102316163B1 (ko) 설테인을 포함하는 항균 증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
KR102431631B1 (ko) 디히드록삼산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생장 억제 방법
KR20230098229A (ko) 안정적인 항균 제형 농축물
KR102556242B1 (ko) 실리콘 중합체 연화제를 포함하는 습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와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