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132A - 금속 열교환기 튜브 - Google Patents
금속 열교환기 튜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8132A KR20230098132A KR1020237008393A KR20237008393A KR20230098132A KR 20230098132 A KR20230098132 A KR 20230098132A KR 1020237008393 A KR1020237008393 A KR 1020237008393A KR 20237008393 A KR20237008393 A KR 20237008393A KR 20230098132 A KR20230098132 A KR 202300981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rib
- heat exchanger
- protrusion
- rib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01100334009 Caenorhabditis elegans ri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4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with outside means integral with the tubular element and inside means integral with the tubular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28F13/185—Heat-exchange surfaces provided with microstructures or with porous coatings
- F28F13/187—Heat-exchange surfaces provided with microstructures or with porous coatings especially adapted for evaporator surfaces or condenser surfaces, e.g. with nucleation si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브 풋(3), 리브 플랭크(4) 및 리브 팁(5)을 갖으며 튜브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2)를 가진 금속 열교환기 튜브(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브 풋(3)은 튜브 벽(10)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고, 채널 기부(61)를 갖는 채널(6)이 리브(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채널 내에 서로 이격된 추가 구조체(7, 71, 72)가 배치된다. 추가 구조체(7, 71, 72)는 리브(2) 사이의 채널(6)을 세그먼트(8)로 세분한다. 추가 구조체(7, 71, 72)는 2개의 리브(2) 사이의 채널(6)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적어도 작동 중에 채널(6) 내의 유체 흐름을 제한한다. 제1 추가 구조체(7, 71)는 채널 기부(61)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돌출부(71)이고, 상기 돌출부는 채널 기부(61)와 리브 팁(5) 사이에 위치한 폐쇄면(713)에 의해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한정되고, 이로 인해 돌출부(71)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가 한정된다. 제2 추가 구조체(7, 72)로서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놓인 재료 돌기(72)가 돌출부(71)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재료 돌기는 리브 플랭크(4)의 재료로 형성된다. 재료 돌기(72)는 폐쇄면(713)과 리브 팁(5) 사이에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어, 채널(6)의 채널 기부(61) 위의 돌출부(71)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 주위에 리브 플랭크(4)에 측면으로 위치하는 재료 돌기(72)가 형성된다. 재료 돌기(72)는 원주 방향으로보다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금속 열교환기 튜브에 관한 것이다.
공정 및 에너지 기술뿐만 아니라 냉각 및 공조 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증발이 발생한다. 순수 물질 또는 혼합물의 액체가 튜브 외측에서 증발하고 염수 또는 물이 튜브 내측에서 냉각되는 튜브 번들 열교환기가 자주 사용된다.
튜브 외측과 튜브 내측에서 열 전달의 집중으로 인해 증발기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러한 장치의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현재 주로 사용되는 무염소 안전 냉매의 경우 전체 시스템 비용에서 무시할 수 없는 비용 부분을 차지할 수 있는 필수적인 냉매의 충전량이 줄어든다. 또한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성능 튜브는 동일한 직경의 매끄러운 튜브보다 약 4배는 더 성능이 우수하다.
만액식 증발기용으로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가장 고성능의 리브 튜브는 외측에 인치당 55 내지 60개의 리브 밀도를 갖는 리브 구조(rib structure)를 갖는다(US 5,669,441 A; US 5,697,430 A; DE 197 57 526 C1). 이는 약 0.45 내지 0.40 mm의 리브 피치에 해당한다. 또한, 리브 사이의 홈 기부(groove base)의 영역에 추가 구조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리브 피치가 일정하며 성능이 보강된 증발 구조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EP 1 223 400 B1에서 1차 홈(primary groove)을 따라 연속해서 연장되는 후방 절단된 2차 홈을 리브 사이의 홈 기부에 생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2차 홈의 단면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변경될 수 있다.
홈 기부 상의 구조의 다른 예는 EP 0 222 100 B1, US 7,254,964 B2 또는 US 5,186,252 A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공통점은 홈 기부에 있는 구조 요소가 언더컷 형태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채널의 하부 영역의 돌출부이거나 홈 기부 내로 삽입된 오목부이다. 채널 내의 유체 흐름이 바람직하지 않게 열교환을 방해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는 더 높은 돌출부가 명시적으로 배제된다.
홈 기부에서 시작되는 더 높은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른 해결 방법이 EP 3 111 153 B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체는 분할을 일으키는 채널 내의 돌출부이다. 2개의 리브 사이의 분할에 의해 채널은 원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중단되고 따라서 채널 내에서 열교환 유체 및 생성되는 기포의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된다. 채널을 따른 액체와 증기의 교환은 각각의 추가 구조체에 의해 지원이 점점 줄어들거나 전혀 지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튜브 외측에서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한 성능이 강화된 열교환기 튜브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 재현된다. 다른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및 추가적인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브 풋, 리브 플랭크 및 리브 팁을 가지며 튜브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를 가진 금속 열교환기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 풋은 튜브 벽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고, 채널 기부(channel base)를 갖는 채널이 리브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채널 내에 서로 이격된 추가 구조체들이 배치된다. 추가 구조체는 리브 사이의 채널을 세그먼트로 세분한다. 추가 구조체는 2개의 리브 사이의 채널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적어도 작동 중에 채널 내의 유체 흐름을 제한한다. 제1 추가 구조체는 채널 기부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부는 채널 기부와 리브 팁 사이에 위치한 폐쇄면에 의해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한정되고, 이로 인해 돌출부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가 한정된다.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재료 돌기가 제2 추가 구조체로서 돌출부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재료 돌기는 리브 플랭크의 재료로 형성된다. 재료 돌기는 폐쇄면과 리브 팁 사이에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리브 플랭크에 측면에 위치하는 재료 돌기는 채널의 채널 기부 위의 돌출부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 주위에 형성된다. 재료 돌기는 원주 방향으로보다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이러한 금속 열교환기 튜브는 특히 튜브 외측의 순수 물질 또는 혼합물에서 액체를 증발시키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고성능 튜브는 압연 디스크를 이용해서 일체형으로 압연된 리브형 튜브를 기반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압연된 리브형 튜브란 리브가 매끄러운 튜브의 벽 재료로 형성된 리브형 튜브를 의미한다. 튜브 외측에 형성된 전형적인 일체형 리브는 예를 들어 나선형으로 둘러싸고, 리브 풋, 리브 플랭크 및 리브 팁을 가지며, 상기 리브 풋은 실질적으로 튜브 벽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한다. 리브의 개수는 튜브의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부(bulges)를 카운트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채널 기부 상의 벽 재료 및 리브 플랭크 상의 재료를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성형하는 예리한 에지의 톱니형 압연 디스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과 주변 사이의 연결부가 기공 또는 슬릿 형태로 유지되도록, 인접한 리브 사이에 위치한 채널들을 폐쇄하는 다양한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폐쇄된 이러한 채널은 리브를 구부리거나 접음으로써, 리브를 분할하고 업세팅(upsetting)함으로써 또는 리브를 노칭(notching)하고 업세팅함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은 증발 시 열 전달을 높이기 위해 리브 간극이 추가 구조체에 의해 세분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는 것에 기초한다. 이로 인해 간극에서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고 기포 비등 과정이 강화된다. 그런 다음 주로 세그먼트 내에서 기포 형성이 이루어지며 핵 생성 부위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핵 생성 부위에서 먼저 작은 가스 또는 증기 기포가 형성된다. 성장하는 기포가 특정 크기에 도달하면, 상기 기포는 표면에서 분리된다. 기포 분리 과정에서 세그먼트 내의 나머지 공동(空洞)은 다시 액체로 채워지고 사이클이 다시 시작된다. 표면은, 기포의 분리 시 작은 기포가 남고, 상기 작은 기포는 기포 형성의 새로운 사이클을 위한 핵 생성 부위로서 이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세그먼트 내에 기포 형성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해결책에 따라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돌출부 형태의 제1 추가 구조체 영역에 제2 추가 구조체인 추가의 재료 돌기가 위치한다. 재료 돌기는 리브 플랭크에 측면으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연을 이용한 제조 공정으로 재료 돌기는 리브 플랭크의 재료로 형성되고,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으로 놓이도록 돌출부 상에 바람직하게 직접 배치된다. 재료 돌기에 의해 형성된 구조체에서 액체 열교환기 유체는 측면으로부터 인접 세그먼트로 흐름이 촉진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체 안내는 세그먼트 내의 기포 형성에 기여한다. 돌출부는 인접한 리브의 각각의 리브 풋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전체 채널 기부에 걸쳐 또는 채널 기부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는 채널 기부에서부터 2개의 리브 사이에 뻗어 있는 일종의 배리어(barrier)이고, 이것은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채널을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다시 말해서, 채널 기부 구조의 바람직하게 중실 돌출부 상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재료 돌기는 제2 추가 구조체로서 리브 플랭크의 재료로 형성되고, 아래에 놓인 돌출부의 2개의 측면으로의 유동 전이부를 각각 실질적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한다. 이것은 따라서 말하자면 측면으로부터 세그먼트 내로 액체 유체를 안내하는 유체 안내 구조이다. 돌출부의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폐쇄면은 전체 채널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 상에 배치된 이러한 재료 돌기의 위치에서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에서 액체 유체가 교환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세그먼트로부터 인접 세그먼트에 도달할 수도 있다. 배치된 재료 돌기를 갖는 돌출부는 따라서 유체 통과를 위한 배리어이다.
이 경우, 재료 돌기도 그 아래에 배치된 돌출부의 길이보다 작은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재료 돌기의 크기, 형태 및 방향으로 인해 열교환기 유체의 습윤 거동은 주로 유체 흐름 증가의 원인이 된다. 실질적으로 축방향과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하는 재료 돌기의 윤곽선도 곡선으로 또는 불규칙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개의 리브 사이의 채널의 이러한 유형의 세분화에 의해 상기 채널은 원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중단되고 따라서 채널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이동이 적어도 감소하거나 완전히 방지된다. 채널을 따른 액체와 증기의 교환은 각각의 추가 구조체에 의해 지원이 점점 줄어들거나 전혀 지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수한 장점은, 액체와 증기의 교환이 국부적으로 표적화되어 제어되고 세그먼트에서 기포 핵 생성 부위의 범람이 국부적으로 특히 측면으로부터 재료 돌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채널 세분화의 의도한 선택을 통해 증발기 튜브 구조는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효과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열 전달의 증가가 달성된다. 홈 기부의 영역에서 리브 풋의 온도는 리브 팁에서보다 높기 때문에, 구조 요소들은 홈 기부에서 기포 형성을 강화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추가 구조체는 2개의 리브 사이의 채널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감소시킨다. 전체적으로, 채널 세분화 시 개별 채널 섹션들의 점진적인 분리에 의해 증발기 튜브 구조는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추가로 열 전달의 증가에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돌출부와 재료 돌기는 2개의 리브 사이의 채널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적어도 30%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그먼트는 유체 통과를 위해 충분하게 국부적으로 한정된다.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한 채널 섹션은 이로써 인접하는 채널 섹션에 대해 유체에 관하여충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와 재료 돌기는 2개의 리브 사이의 채널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40 내지 70%만 감소시킬 수 있다.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한 채널 섹션은 인접하는 채널 섹션에 대해 유체측에 중요한 배리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채널은 개별적인 국부적 개구를 제외하고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으로 폐쇄될 수 있다. 리브는 실질적으로 T형 또는 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리브들 사이의 채널은 국부적 개구인 기공을 제외하고는 폐쇄된다. 증발 과정에서 생기는 증기 기포는 상기 개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리브 팁은 선행 기술에 제시된 방법으로 변형된다.
이와 관련하여 리브 팁도 축 방향으로 접힐 수 있거나 심지어 어느 정도 채널 기부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채널은 아래에서 그리고 측면에서 및/또는 위에서 서로를 보완하는 다수의 구조 요소의 조합으로 필요한 정도로 테이퍼링되거나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어쨌든 리브 사이의 채널은 분리된 세그먼트로 분할된다.
기공 또는 슬릿을 제외하고 폐쇄된 채널과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의 조합에 의해 작동 조건의 매우 광범위한 범위에서 액체 증발 시 매우 높은 성능을 갖는 구조가 얻어진다. 특히, 열 유속 밀도(heat flow density)나 구동 온도차(driving temperature difference)의 변화 시 구조의 열전달 계수는 변함없는 높은 수준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세그먼트당 적어도 하나의 국부적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최소 요구는 또한, 증발 과정 시 채널 세그먼트에 생기는 가스 기포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국부적인 개구의 크기 및 형상은, 액체 매질도 통과하여 채널 섹션으로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국부적인 개구에서 증발 과정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양의 액체와 증기가 개구를 통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튜브 재료를 잘 적시는 액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액체는 모세관 효과로 인해 과압에도 불구하고 외부 튜브 표면에 있는 각각의 개구를 통해 채널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 개수에 대한 국부적 개구의 개수의 비율은 1:1 내지 6:1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 비율은 1:1 내지 3:1일 수 있다. 리브 사이에 위치한 채널은 상부 리브 영역의 재료에 의해 실질적으로 폐쇄되며, 이 경우 채널 세그먼트의 이와 같이 생성되는 공동(空洞)은 개구를 통해 주변 공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개구는 또한 기공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기공은 동일한 크기이거나 2개 이상의 크기 등급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의 세그먼트에 다수의 국부적 개구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2개의 크기 등급을 갖는 기공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방식에 따르면, 채널을 따라 예를 들어 하나의 작은 개구마다 하나의 큰 개구가 뒤따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채널 내에 지향성 흐름이 생성된다. 액체는 모세관 압력의 지원으로 바람직하게 작은 기공을 통해 흡수되어 채널 벽을 적시고, 이에 의해 얇은 필름이 생성된다. 증기는 채널 중앙에 축적되고 모세관 압력이 가장 낮은 지점에서 빠져나간다. 동시에 큰 기공은, 증기가 충분히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고 채널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치수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면 더 작은 액체 기공에 대한 증기 기공의 크기와 빈도가 서로 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추가 구조체인 돌출부는 적어도 일체형으로 둘러싸는 2개의 리브 사이의 채널 기부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튜브 벽으로부터 각각의 구조 요소로의 양호한 열교환을 위해 재료 본딩 연결(Stoffschluessige Verbindung)이 유지된다. 또한 돌출부는 추가로 리브 플랭크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채널 기부의 균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채널의 세분화는 증발 과정에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추가 구조체인 돌출부는 0.15 내지 1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구조체의 이러한 치수는 고성능 리브 튜브에 특히 양호하게 매칭되고, 외부 구조의 구조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서브밀리미터 내지 밀리미터 범위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조의 비대칭은 이 경우 튜브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단면에 나타난다. 비대칭 형상은, 특히 더 큰 표면이 형성되는 경우에, 증발 과정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비대칭은 채널 기부의 추가 구조체에서는 물론 리브 팁에서 두드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돌출부는 튜브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단면에 사다리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체형으로 압연된 리브 튜브 구조와 관련하여 사다리꼴 단면은 기술적으로 제어하기 쉬운 구조 요소이다. 이 경우 사다리꼴의 그렇지 않으면 평행한 밑변의 제조로 인한 약간의 비대칭이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의 위치에 튜브 종축의 방향으로 대향하는 재료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대향하는 재료 돌기를 갖는 돌출부는 결과적으로 유체 통과를 위한 배리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략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추가 구조체에 의해 세분된 세그먼트를 갖는 열교환기 튜브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2는 접힌 리브 팁을 갖는 열교환기 튜브의 외부 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돌출부의 위치에 있는 재료 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도이다.
도 4는 돌출부의 위치에 있는 재료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도이다.
도 5는 돌출부의 위치에 있는 대향하는 재료 돌기를 갖는 열교환기 튜브의 외부 구조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접힌 리브 팁을 갖는 열교환기 튜브의 외부 구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돌출부의 위치에 있는 재료 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도이다.
도 4는 돌출부의 위치에 있는 재료 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도이다.
도 5는 돌출부의 위치에 있는 대향하는 재료 돌기를 갖는 열교환기 튜브의 외부 구조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추가 구조체(7)에 의해 세분된 세그먼트(8)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1)의 단면의 부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체형으로 압연된 열교환기 튜브(1)는 튜브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둘러싸는 리브(2)를 갖고, 리브 사이에 1차 홈이 채널(6)로서 형성된다. 리브(2)는 튜브 외측면에서 나선형 라인을 따라 중단없이 연속해서 연장된다. 리브 풋(3)은 튜브 벽(1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한다. 리브 높이(H)는 완성된 열교환기 튜브(1)에서 채널 기부(61)의 가장 깊은 지점으로부터 리브 풋(3)에서 시작해서 리브 플랭크(4)를 지나 완전히 형성된 리브 튜브의 리브 팁(5)까지 측정된다.
채널 기부(61)와 리브 팁(5) 사이에 위치한 폐쇄면(713)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제한되고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돌출부(71) 형태의 추가 구조체(7)가 채널 기부(61)의 영역에 배치된 열교환기 튜브(1)가 제안된다. 이러한 돌출부(71)는 제1 추가 구조체로 지칭되고, 채널 기부(61)로부터 튜브 벽(10)의 재료로 형성된다. 돌출부(71)는 바람직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채널 기부(61)에 배치되고, 리브(2)의 리브 풋(3)으로부터 도면 평면에 도시되지 않은 그 위에 있는 다음 리브 풋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널 경로에 대해 가로로 연장된다. 돌출부(71)의 위치에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재료 돌기(72)가 제2 추가 구조체(7)로서 배치되고, 상기 재료 돌기는 리브 플랭크(4)의 재료로 형성된다. 재료 돌기(72)는 폐쇄면(713)과 리브 팁(5) 사이에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어, 채널(6)의 채널 기부(61) 위의 돌출부(71)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 주위에 리브 플랭크(4)에 측면으로 위치하는 재료 돌기(72)가 형성된다. 재료 돌기(72)는 원주 방향으로보다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채널(6)인 1차 홈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이퍼링된다. 이로 인해 생기는 세그먼트(8)는 특수한 방식으로 유체 흐름을 위한 안내 구조인 재료 돌기(72)와 관련하여 기포 핵 형성을 촉진한다. 개별 세그먼트들(8) 사이의 액체와 증기의 직접 교환은 적어도 감소한다.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놓인 재료 돌기(72)를 갖는 채널 기부(61) 상에 돌출부(71)의 형성에 추가하여 리브(2)의 원위 영역인 리브 팁(5)은, 채널(6)을 축방향으로 접힌 리브 팁(51)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변형된다. 증기 기포가 채널(6)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채널(6)과 주변 사이의 연결부는 국부적 개구인 기공(9)의 형태로 설계된다. 리브 팁(5)은 선행 기술에 제시된 압연 방법으로 변형된다. 1차 홈(6)은 이로 인해 언더커팅된 홈이다. 추가 구조체(7)인 돌출부(71)와 재료 돌기(72)의 조합에 의해 공동 형태의 세그먼트(8)가 얻어지며, 상기 세그먼트는 또한 작동 조건의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액체의 증발 시 매우 높은 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는 세그먼트(8) 내에서 추가 유체 안내 구조인 재료 돌기(72)의 지원으로 증발한다. 생성되는 증기는 액체 유체도 계속해서 유동하는 국부적인 개구(9)에서 채널(6)로부터 배출된다. 습윤성이 좋은 튜브 표면도 유체의 후속 흐름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튜브 외측에서 열 전달 계수가 증가하는 구조화된 튜브에 관한 것이다. 열 전달 저항의 대부분이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측에서 열 전달 계수는 적절한 내부 구조체(11)에 의해 추가로 강화될 수도 있다. 튜브 번들 열교환기용 열교환기 튜브(1)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조화된 영역과 매끄러운 단부 피스(end pieces) 및 경우에 따라서는 매끄러운 중간 피스(intermediate pieces)를 갖는다. 매끄러운 단부 피스 또는 중간 피스는 구조화된 영역을 한정한다. 열교환기 튜브(1)가 문제 없이 튜브 번들 열교환기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화된 영역의 외경은 매끄러운 단부 피스 및 중간 피스의 외경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도 2는 접힌 리브 팁(51)을 갖는 열교환기 튜브(1)의 외부 구조의 일부의 사시도를 개략도적으로 도시한다. 더 나은 예시를 위해, 이해를 돕는데 가장 중요한 외부 구조의 구조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재료 돌기(72)를 갖는 채널 기부(61)에 돌출부(71)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리브(2)의 원위 영역인 리브 팁(5)은, 축 방향으로 접힌 리브 팁(51)으로 채널(6)을 방사상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채널(6)과 주변 사이의 연결부는 채널(6)로부터 증기 기포를 제거하고 채널(6) 내로 액체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국부적 개구(9)로서 설계된다. 1차 홈(6)은 이러한 방식으로 다시 언더커팅된 홈이다. 축방향으로 접힌 리브 팁(51)은 리브(2)로부터 형성되고, 따라서 채널(6)을 넘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추가 구조체(7)에 의해 2개의 리브(2) 사이의 채널(6)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이 국부적으로 특히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작동 중에 채널(6) 내의 유체 흐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3은 돌출부(71)의 위치에서 재료 돌기(72)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채널 기부 구조의 바람직하게는 중실 돌출부(71) 상에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된 재료 돌기(72)는 톱니형 압연 디스크에 의해 리브 플랭크(4)의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압연 디스크는 채널 기부(61) 상의 벽 재료와 리브 플랭크(4) 상의 재료를 형성한다. 따라서 돌출부(71) 및 재료 돌기(72)가 튜브 벽의 상이한 영역으로 형성되지만, 재료 돌기(72)는 그 아래에 있는 돌출부(71)의 2개의 측면(7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경계가 없는 전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71)는 채널 기부(61)의 부분에서만 연장되고, 튜브 축방향으로 전면(712)으로 끝난다. 재료 돌기(72)는 분리벽처럼 형성되고, 대략 방사상 방향으로 및 튜브 종축(A)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예를 들어 이러한 축방향으로 대략 채널 중앙까지 나타난다. 이 경우, 돌출부(71)의 폐쇄면(713)은 튜브 종축(A)의 방향으로 더 연장되거나 대향하는 리브 사이의 전체 채널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 영역에서 시작하여 유체 흐름은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세그먼트(8)에서 기포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배치된 재료 돌기(72)를 갖는 돌출부(71)는 결과적으로 또한 유체 통과를 위한 배리어이다.
도 3에서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료 돌기(72)의 축방향 연장부는 그 아래에 있는 돌출부(71)의 축방향 연장부보다 약간 짧다. 이로 인해 액체의 열교환기 유체를 위한 튜브 종축(A)을 향한 개구가 얻어지며, 상기 유체는 기포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측면으로부터 인접한 세그먼트(8)로 더 용이하게 안내된다.
도 4는 돌출부(71)의 위치에 있는 재료 돌기(72)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채널 기부 구조의 돌출부(71) 상에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된 재료 돌기(72)는 리브 플랭크(4)의 재료로 톱니형 압연 디스크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디스크는 채널 기부(61) 상의 벽 재료 및 리브 플랭크(4) 상의 재료를 형성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료 돌기의 윤곽선은 곡선으로 또는 불규칙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재료 돌기(72)는 축방향으로 가변 범위를 갖는다. 즉,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서 볼 때, 리브 플랭크(4)로의 경계가 없는 전이부가 실현된다. 전체적으로 재료 돌기(72)의 표면도 약간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그렇지 않으면 평평한 표면의 소정의 변형이며, 이는 표면 특성 및 액체 열교환 유체의 습윤 거동과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액체 열교환 유체를 측면으로부터 인접한 세그먼트(8)로 유도하여 기포 형성을 지원한다.
도 5는 돌출부(71)의 위치에 대향하는 재료 돌기(72)를 갖는 열교환기 튜브(1)의 외부 구조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더 나은 예시를 위해, 이해를 돕는데 가장 중요한 외부 구조의 구조 요소만이 표시된다.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놓인 재료 돌기(72)를 갖는 채널 기부(61) 상에 돌출부(71)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리브(2)의 원위 영역인 리브 팁(5)은 다시 채널(6)을 축방향으로 접힌 리브 팁(15)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채널(6)과 주변 사이의 연결부는 채널(6)로부터 증기 기포를 제거하고 채널(6) 내로 액체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국부적 개구(9)로서 설계된다. 추가 구조체(7)인 돌출부(71) 및 재료 돌기(72)에 의해, 2개의 리브(2) 사이의 채널(6)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이 특히 효과적으로 국부적으로 감소하여, 작동 중에 채널(5) 내의 유체 흐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71)는 튜브 종축(A)의 방향으로 인접한 리브들(2) 사이의 전체 채널 폭에 걸쳐 연장된다.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2개의 대향하는 재료 돌기(72)가 돌출부(71)의 위치에 형성된다. 재료 돌기(72)가 배치된 돌출부(71)는 결과적으로 유체 통과를 위한 배리어이다.
1 열교환기 튜브
2 리브
3 리브 풋
4 리브 플랭크
5 리브 팁, 리브의 원위 영역
51 축방향으로 접힌 리브 팁
6 채널, 1차 홈
61 채널 기부
7 추가 구조체
71 채널 기부에서의 제1 추가 구조체인 돌출부
711 돌출부의 측면
712 돌출부의 전면
713 돌출부의 폐쇄면
72 재료 돌기
8 세그먼트
9 국부적 개구, 기공
10 튜브 벽
11 내부 구조체
A 튜브 종축
H 리브 높이
2 리브
3 리브 풋
4 리브 플랭크
5 리브 팁, 리브의 원위 영역
51 축방향으로 접힌 리브 팁
6 채널, 1차 홈
61 채널 기부
7 추가 구조체
71 채널 기부에서의 제1 추가 구조체인 돌출부
711 돌출부의 측면
712 돌출부의 전면
713 돌출부의 폐쇄면
72 재료 돌기
8 세그먼트
9 국부적 개구, 기공
10 튜브 벽
11 내부 구조체
A 튜브 종축
H 리브 높이
Claims (10)
- 금속 열교환기 튜브(1)로서, 상기 금속 열교환기 튜브(1)는 리브 풋(rib foot: 3), 리브 플랭크(4) 및 리브 팁(5)을 가지며 상기 금속 열교환기 튜브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2)를 갖고, 상기 리브 풋(3)은 튜브 벽(10)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고, 채널 기부(61)를 갖는 채널(6)이 리브(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채널 내에 서로 이격된 추가 구조체(7, 71, 72)가 배치되며,
- 상기 추가 구조체는 리브(2) 사이의 채널(6)을 세그먼트(8)로 세분하고,
- 상기 추가 구조체는 2개의 리브(2) 사이의 채널(6)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적어도 작동 중에 채널(6) 내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고,
- 제1 추가 구조체(7, 71)는 채널 기부(61)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을 향한 돌출부(71)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채널 기부(61)와 상기 리브 팁(5) 사이에 위치한 폐쇄면(713)에 의해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한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71)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가 한정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에 있어서,
-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재료 돌기(72)가 제2 추가 구조체(7, 72)로서 상기 돌출부(71)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재료 돌기는 리브 플랭크(4)의 재료로 형성되고,
- 상기 재료 돌기(72)는 상기 폐쇄면(713)과 상기 리브 팁(5) 사이에 각각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채널(6)의 상기 채널 기부(61) 위의 상기 돌출부(71)의 방사상 방향 연장부 주위에 상기 리브 플랭크(4)에 측면으로 위치하는 상기 재료 돌기(72)가 형성되고,
- 상기 재료 돌기(72)는 축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보다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와 상기 재료 돌기(72)는 2개의 리브(2) 사이의 상기 채널(6) 내의 관류 가능한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적어도 30%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와 상기 재료 돌기(72)는 상기 2개의 리브(2) 사이의 상기 채널(6) 내의 관류 가능한 유동 단면적을 국부적으로 40 내지 70%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6)은 개별적인 국부적 개구(9)를 제외하고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으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그먼트(8)당 적어도 하나의 국부적 개구(9)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는 적어도 일체형으로 둘러싸는 2개의 리브(2) 사이의 채널 기부(61)의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는 0.15 내지 1mm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는 비대칭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는 튜브 종축(A)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단면에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1)의 위치에 대향하는 재료 돌기(72)가 튜브 종축(A)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교환기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0006684.4 | 2020-10-31 | ||
DE102020006684 | 2020-10-31 | ||
PCT/EP2021/000121 WO2022089773A1 (de) | 2020-10-31 | 2021-10-07 | Metallisches wärmeaustauscherroh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8132A true KR20230098132A (ko) | 2023-07-03 |
Family
ID=7833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8393A KR20230098132A (ko) | 2020-10-31 | 2021-10-07 | 금속 열교환기 튜브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41193A1 (ko) |
EP (1) | EP4237782B1 (ko) |
JP (1) | JP2023545916A (ko) |
KR (1) | KR20230098132A (ko) |
CN (1) | CN116507872A (ko) |
CA (1) | CA3192303A1 (ko) |
MX (1) | MX2023004840A (ko) |
WO (1) | WO2022089773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664959D1 (en) | 1985-10-31 | 1989-09-14 | Wieland Werke Ag | Finned tube with a notched groove bottom and method for making it |
JP2788793B2 (ja) | 1991-01-14 | 1998-08-20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伝熱管 |
US5597039A (en) * | 1994-03-23 | 1997-01-28 | High Performance Tube, Inc. | Evaporator tube |
DE69525594T2 (de) | 1994-11-17 | 2002-08-22 | Carrier Corp., Syracuse | Wärmeaustauschrohr |
US5697430A (en) | 1995-04-04 | 1997-12-16 | Wolverine Tube, Inc. | Heat transfer tub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
DE19757526C1 (de) | 1997-12-23 | 1999-04-29 | Wieland Werke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ärmeaustauschrohres, insbesondere zur Verdampfung von Flüssigkeiten aus Reinstoffen oder Gemischen auf der Rohraußenseite |
DE10101589C1 (de) | 2001-01-16 | 2002-08-08 | Wieland Werke Ag | Wärmeaustauscherroh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US7254964B2 (en) | 2004-10-12 | 2007-08-14 | Wolverine Tube, Inc. | Heat transfer tubes, including methods of fabrication and use thereof |
DE102009021334A1 (de) * | 2009-05-14 | 2010-11-18 | Wieland-Werke Ag | Metallisches Wärmeaustauscherrohr |
DE102014002829A1 (de) | 2014-02-27 | 2015-08-27 | Wieland-Werke Ag | Metallisches Wärmeaustauscherrohr |
-
2021
- 2021-10-07 CN CN202180073791.9A patent/CN116507872A/zh active Pending
- 2021-10-07 US US18/245,405 patent/US20230341193A1/en active Pending
- 2021-10-07 EP EP21797938.4A patent/EP4237782B1/de active Active
- 2021-10-07 CA CA3192303A patent/CA3192303A1/en active Pending
- 2021-10-07 MX MX2023004840A patent/MX2023004840A/es unknown
- 2021-10-07 JP JP2023517686A patent/JP2023545916A/ja active Pending
- 2021-10-07 WO PCT/EP2021/000121 patent/WO2022089773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0-07 KR KR1020237008393A patent/KR2023009813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45916A (ja) | 2023-11-01 |
CA3192303A1 (en) | 2022-05-05 |
US20230341193A1 (en) | 2023-10-26 |
EP4237782B1 (de) | 2024-10-23 |
EP4237782A1 (de) | 2023-09-06 |
CN116507872A (zh) | 2023-07-28 |
WO2022089773A1 (de) | 2022-05-05 |
MX2023004840A (es) | 2023-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86072B2 (en) | Method of fabricating a heat exchanger tube | |
EP0713072B1 (en) | Heat transfer tube | |
TWI583912B (zh) | An evaporator with an optimized external structure | |
KR102367582B1 (ko) | 금속 열교환기 관 | |
KR20110003498A (ko) | 윙을 가진 핀 튜브 | |
US8281850B2 (en) | Evaporator tube with optimized undercuts on the groove base | |
KR20230098132A (ko) | 금속 열교환기 튜브 | |
KR20230098133A (ko) | 금속 열교환기 튜브 | |
KR20190013719A (ko) | 열교환관 | |
KR20190011717A (ko) | 열교환관 | |
KR20190015205A (ko) | 열교환관 | |
EP3995773A1 (en) | Heat transfer tube | |
JPH07218038A (ja) | 混合冷媒用伝熱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