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054A -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 Google Patents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054A
KR20230098054A KR1020220181696A KR20220181696A KR20230098054A KR 20230098054 A KR20230098054 A KR 20230098054A KR 1020220181696 A KR1020220181696 A KR 1020220181696A KR 20220181696 A KR20220181696 A KR 20220181696A KR 20230098054 A KR20230098054 A KR 20230098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ransmission line
layer
central tension
ove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현
이재익
박지용
은승환
박찬웅
권민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211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21359A1/ko
Publication of KR2023009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가선된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도(sag)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중심인장선의 유연성이 충분하여 가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의 부식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가공송전선의 저항 증가 및 이에 따른 송전량 저감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공송전선의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Central tension member with an excellent flexibility for an overhead cable and the overhead cab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가선된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도(sag)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중심인장선의 유연성이 충분하여 가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의 부식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가공송전선의 저항 증가 및 이에 따른 송전량 저감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공송전선의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변전소를 통해 도시나 공장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에는 철탑으로 연결되는 가공송전선을 이용하는 가공 송전식과 지하에 매설된 지하 송전선을 이용하는 지중 송전식이 있으며, 가공 송전식이 국내 송전 방식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종래 가공송전선은 고장력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중심인장선 외주에 여러 가닥의 알루미늄 합금 도체를 연선한 강심 알루미늄 연선(Aluminum Conductor Steel Reinforced; ACSR) 가공송전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강심 알루미늄 연선(ACSR) 가공송전선은 중심인장선으로 사용되는 강심 자체의 하중이 커서 이도(sag)가 크며, 가공송전선의 송전량을 늘리기 위해 알루미늄 도체 중량을 늘리는데도 한계가 있고, 가공송전선의 이도를 줄이거나 동일한 이도 대비 송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심인장선에 섬유강화복합재를 사용하여 가공송전선을 경량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도 1은 섬유강화복합재를 포함하는 중심인장선을 구비한 종래 가공송전선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가공송전선은 중심인장선(10) 및 이의 둘레에 배치된 도체선(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심인장선(10)은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내층(11) 및 상기 내층(11)과 상기 도체선(20) 사이의 이종금속접촉부식, 즉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에 의한 상기 도체선(20)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체선(20)과 동일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외층(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공송전선은 상기 중심인장선(10)의 탄소섬유강화복합재로 이루어진 내층(11)의 불충분한 유연성으로 인해 가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불충분한 내열성으로 인해 도체선(20)의 발열에 의해 상기 중심인장선(10)의 인장강도가 저하되어 가선된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는 등 이도 특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중심인장선(10)의 인장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체선(20)의 발열 온도를 제한하는 경우 송전량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고, 다시 송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체선(20)을 증가시키는 경우 가공송전선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가선된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도(sag)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중심인장선의 유연성이 충분하여 가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의 부식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가공송전선의 저항 증가 및 이에 따른 송전량 저감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공송전선의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가선된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도(sag)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충분하여 가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의 부식 및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 가공송전선의 저항 증가 및 이에 따른 송전량 저감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의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둘레에 복수 개의 도체선이 배치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에 탄소 섬유가 포함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선이 연선된 소선층, 및 상기 소선층을 감싸는 바인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선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연선된 소선은 일정한 방향으로 꼬임이 적용되며, 상기 꼬임이 적용된 소선의 피치는 상기 소선층의 연선 외경의 100배 이상 50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선층은 상기 복수 개의 연선된 소선에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인장강도 대비 75% 이상의 인장강도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선층의 연선 외경은 6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소선층을 형성하는 상기 소선의 외경은 2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소선층의 유리전이온도(Tg)와 상기 도체선의 400시간 후 허용운용온도(To)의 관계는 아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To - Tg < 40℃
여기서, 상기 도체선의 400 시간 후 허용운용온도(To)는 상기 도체선을 일정 온도로 400 시간 동안 가열 후 측정한 인장강도가 가열 전 실온에서의 초기 인장강도 대비 90%가 되는 상기 일정 온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소선층의 유리전이온도(Tg)는 1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선층의 점적률은 72%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바인딩층은 일정한 방향으로 횡권된 내열 테이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열 테이프는 폭이 10 내지 25 mm, 두께가 0.001 내지 0.2 mm인 내열 테이프 2 내지 6매가 35% 이상의 랩율로 횡권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열 테이프는 융점이 200℃ 이상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내열 테이프는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실리콘 및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내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는 유리전이온도(Tg)가 140℃ 이상인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는 3 내지 35 ㎛의 직경을 가지는 고강도 연속섬유를 포함하고, 인장강도가 3.5 내지 5.0 GPa, 탄성률이 140 내지 600 GPa, 열팽창계수가 0 ㎛/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중심인장선, 상기 중심인장선을 감싸는 금속 튜브, 및 상기 금속 튜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인딩층은 상기 소선층을 형성하는 인접한 소선들 표면의 접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바인딩층과 상기 금속 튜브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속 튜브의 두께는 0.3 내지 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도체선은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알루미늄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튜브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Zr(지르코늄), Sc(스칸듐) 및 Zn(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금 원소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은 정밀하게 설계된 연선 구조 및 이러한 연선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내열 테이프를 통해 충분한 인장강도를 보유하여 가선된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도(sag)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어 가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은 우수한 내열성으로 인해 도체선의 발열시에도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도체선의 발열 온도를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송전선의 송전량 저감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은 정밀하게 설계된 연선 구조를 통해 가공송전선의 외경을 최소화함으로써 가공송전선의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가공송전선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의 횡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소선에 적용된 꼬임 피치에 따른 소선층의 인장강도 비율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종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100)은 중심에 배치된 소선층(110) 및 상기 소선층(110)을 감싸는 바인딩층(1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100) 둘레에는 송전을 위한 금속 도체선(300)이 배치되며 상기 중심인장선(100)과 상기 금속 도체선(300) 사이에는 상기 금속 도체선(300)의 이종금속접촉부식을 억제하고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금속 튜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심인장선(100)은 이의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이 철탑 사이에 가설되는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가공송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충분한 항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소선층(110)은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에 보강 섬유로서 탄소 섬유가 포함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소선이 연선되는 연선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가공송전선의 가선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의 복수 개의 소선을 포함하는 상기 소선층(110)의 유리전이온도(Tg)는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300)의 400 시간 후 허용운용온도(To)보다 낮지만, 그 차이는 40℃ 미만일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도체선(300)의 발열시에도 상기 소선층(100)의 충분한 내열성으로 인해 2.6 내지 3.6 Gpa의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선층(110)의 유리전이온도(Tg)와 상기 도체선(300)의 400시간 후 허용운용온도(To)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To - Tg < 40℃
여기서, 상기 도체선(300)의 400 시간 후 허용운용온도는 상기 도체선(300)을 일정 온도로 400 시간 동안 가열 후 측정한 인장강도가 가열 전 실온에서의 초기 인장강도 대비 90%가 되는 상기 일정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소선층(110)은 복수 개의 소선이 연선되는 연선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소선으로 형성되어 소선이 파손되면 중심인장선으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없었던 종래와 달리, 복수 개의 소선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소선을 통해 인장력을 유지하여 가공송전선이 아래로 늘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선 구조를 통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바인딩층(120)은 상기 소선층(110)을 형성하는 인접한 소선들 표면의 접선을 따라 상기 소선층(110)을 감싸게 되어상기 바인딩층(120)의 표면과 상기 금속 튜브(200) 사이에 자연스럽게 간극(S)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간극(S)에 의해 상기 금속 튜브(200)의 형성을 위한 알루미늄 로드의 컨펌 압출시의 열이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바인딩층(12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바인딩층(12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100)에 굽힙응력(bending stress)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간극(S)으로 인해 상기 소선층(110) 및 바인딩층(120)과 상기 금속 튜브(200)가 별도로 거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굽힘응력 중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큰 섬유강화플라스틱 선재를 포함하는 상기 소선층(110)에 인가되도록 하여 가공송전선의 저이도 특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낮은 알루미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금속 튜브(200)에 인가되는 응력을 최소화하여 가공송전선의 제조 또는 가설을 위한 보빈, 드럼, 풀리 등에 대한 권취시 상기 금속 튜브(20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선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고 또는 굴곡되거나 굴곡되지 않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소선층(110)은 중심 소선 및 상기 중심 소선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1층 소선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복수 개의 1층 소선은 목적한 인장강도를 유지하면서 연선된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방향으로 꼬임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꼬임이 적용된 상기 소선층(110)의 피치는 상기 소선층(110) 연선 외경의 100배 이상, 예를 들어, 100배 내지 500배일 수 있고, 상기 소선층(110)의 연선 외경이란, 복수 개의 소선에 꼬임이 적용된 소선층(110)의 최외곽에 배치된 소선들 표면에 접하는 원 중에서 외경이 가장 큰 원의 외경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피치가 100배 미만인 경우 상기 피치가 과도하게 짧아 꼬임에 의한 응력이 소선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소선층(110)의 인장강도가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500배 초과인 경우 상기 소선층(110)의 연선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피치에 의한 꼬임이 적용된 소선층(110)은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연선 구조를 갖는 소선층의 인장강도 대비 75% 이상의 인장강도를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소선층의 인장강도는 꼬임이 적용된 소선층 중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중심 소선의 인장강도이다. 소선층에 꼬임이 적용되더라도 소선층을 이루는 복수 개의 소선 중에서 중심 소선에는 꼬임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심 소선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면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소선층의 인장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1층 소선에 포함되는 소선의 수가 6개이고 각각의 소선의 외경이 2 내지 5 mm인 경우 상기 1층 소선에 적용된 꼬임 피치에 따른 소선층의 인장강도 비율, 즉 동일한 연선 구조에서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소선층의 인장강도 기준 백분율은 아래 표 1 및 도 4에 정리된 바와 같다.
피치 배수(×외경) 인장강도 비율(%) 인장강도(GPa)
10 5.0 0.176
50 30.0 1.054
70 40.5 1.421
80 54.8 1.925
90 60.5 2.124
100 75.1 2.638
110 76.9 2.699
135 79.8 2.802
140 80.9 2.841
150 82.6 2.901
180 85.7 3.01
200 87.9 3.086
230 91.1 3.201
240 93.0 3.267
250 94.3 3.312
300 97.7 3.43
500 99.8 3.505
∞(무피치) 100 3.512
상기 표 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꼬임 피치가 100배를 기점으로 짧아질수록 소선층의 인장강도가 급격히 저하됨을 확인했고, 이에 기초하여 꼬임 피치를 100배 이상으로 조절하면서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소선층의 인장강도 대비 75% 이상의 2.6 내지 3.6 GPa의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꼬임 피치의 적용에 의한 연선 구조의 안정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선층(11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소선 각각의 외경은 2 내지 5 mm일 수 있고, 상기 소선층(100) 연선 외경은 6 내지 15 mm일 수 있으며, 상기 소선층(110)의 점적률은 72% 이상, 예를 들어, 72 내지 95%일 수 있고, 상기 점적률은 상기 소선층(110)의 연선 외경의 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소선층(11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소선 각각의 면적을 합한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실제로, 상기 소선층(100) 연선 외경이 6 내지 15 mm인 경우 소선에 적용된 꼬임 피치 및 상기 소선층(110)의 점적률에 따른 중심인장선의 유연성은 아래 표 2에 정리된 바와 같다.
점적률(%) 피치 배수 (×외경) 벤딩 곡률반경(65D)
72 150 Pass
75 150 Pass
85 150 Pass
96 150 Fail
98 150 Fail
72 300 Pass
75 300 Pass
85 300 Pass
96 300 Fail
98 300 Fail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선층(110)의 연선에 적용된 꼬임 피치 배수가 연선 외경 기준 100 배 이상임을 전제로 소선층(110)의 점적률이 72% 이상 및 95% 이하인 경우 소선층(110)의 연선 외경의 65배 이하의 곡률반경을 보유하여 중심인장선(100)의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상기 소선층(110)의 점적률이 72% 미만인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의 인장강도가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95% 초과인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의 유연성이 불충분하여 가공송전선의 가선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선층(110)의 벤딩 곡률반경은 규격 ASTM B987에 준하여 측정하고 소선층(110)의 연선 외경의 65배 직경을 갖는 원통형 맨드릴에 소선층(110)을 감고 상기 소선층(110) 중 상기 맨드릴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180°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소선층(110) 일 말단에 상시 소선층(110)의 인장강도의 15%의 하중을 60초 동안 인가한 후 상기 소선층(110)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크랙이나 손상이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벤딩 곡률반경을 평가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는 유리전이온도(Tg)가 140℃ 이상인 에폭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스 말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베이스 수지,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에 경화제, 경화촉진제, 이형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가 140℃ 미만인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내열성이 불충분하여 내열도가 높은 도체를 적용한 가공송전선에 적용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DMA(Dynamic Maechanical Analyzer)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설비는 TA Instrument사의 DMA 설비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다이 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기 에폭시 수지, 다이 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F형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3종의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종의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이 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향상되고, 굴곡특성 및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메틸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MTHPA),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THPA), 헥사하이드로 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HHPA), 나딕 메틸 안하이드라이드(NMA) 같은 산무수물계 경화제, 바람직하게는 메틸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또는 나딕 메틸 안하이드라이드, 또는 멘테인다이아민(MDA), 이소프론다이아민(IPDA) 같은 지환족 폴리아민계 화합물, 다이아미노다이페닐설폰(DDS), 다이아미노다이페닐멘테인(DDM) 같은 지방족 아민계 화합물 등의 아민계 경화제로서 액상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산무수물계 경화제의 함량은 70 내지 150 중량부이고, 상기 아민계 경화제의 함량은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산무수물계 경화제의 함량이 70 중량부 미만이거나 상기 아민계 경화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경화시 불충분한 경화에 의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산무수물계 경화제의 함량이 150 중량부 초과이거나 상기 아민계 경화제의 함량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미반응 경화제가 잔존하여 불순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내열성 및 기타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상기 경화제에 의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경화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상기 경화제가 산무수물계 경화제인 경우 이미다졸계 경화촉진제를, 상기 경화제가 아민계 경화제인 경우 보론 트리플로라이드 에틸아민계 경화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1 내지 3 중량부이고, 상기 보론 트리플로라이드 에틸아민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2 내지 4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거나 상기 보론 트리플로라이드 에틸아민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완전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를 얻을 수 없는 반면,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3 중량부 초과이거나 상기 보론 트리플로라이드 에틸아민계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4 중량부 초과인 경우 빠른 반응 속도로 경화 시간이 짧아져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형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성형시 성형 다이와의 마찰력을 줄여 성형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 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형제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이형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작업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없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킬 뿐이다.
상기 탄소 섬유는 3 내지 35 ㎛의 직경을 가지는 고강도 연속섬유로서 3.5 내지 5.0 GPa의 인장강도, 140 내지 600 GPa의 탄성률, 0에 가깝거나 0 ㎛/m℃ 이하인 열팽창계수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의 직경이 3 ㎛ 미만인 경우 제조가 어려워 비경제적인 반면, 35 ㎛ 초과인 경우 인장강도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의 베이스 수지와의 상용성 향상을 위해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의 표면을 처리하는 커플링제로서는 고강도 섬유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티타네이트계, 실란계, 지르코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탄소 섬유의 표면에는 다수의 반응기가 도입되게 되는데, 이러한 반응기들은 고분자 수지와 반응함으로써 섬유간의 뭉침현상을 막아주어 최종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기포나 결점을 제거하게 되고, 이로써 고강도 탄소 섬유와 열경화성 수지와의 계면 결합성 및 고강도 탄소 섬유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의 총 체적율은 상기 소선층의 총 체적을 기준으로 75% 초과 85% 미만,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3%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 섬유의 총 체적율은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탄소섬유의 총 체적율(%) = (탄소섬유의 총 체적/소선층의 총 체적) × 100
여기서, 상기 탄소 섬유의 체적율이 75% 이하인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인장강도가 불충분하여 가공송선전의 이도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85% 이상인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유연성이 불충분하여 가공송전선의 가선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탄소 섬유간의 뭉침현상이 증가되어 상기 소선층(110) 내부에 기포나 갈라짐 현상이 일어나 물성과 작업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딩층(120)은 상기 소선층(110)을 형성하도록 연선된 복수 개의 소선들의 연선 구조가 풀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둘레에 배치된 도체선(300)의 발열로부터 상기 중심인장선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추가로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바인딩층(120)은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바인딩층(120) 위에 금속 튜브(200)가 컨펌 압출로 형성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바인딩층(120)이 열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선층(110)의 인장강도 등 물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딩층(120)은 융점이 200℃ 이상인 소재,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특히 아라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실리콘, 테프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내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층 이상, 예를 들어 2 내지 6의 복층으로 횡권된 내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열 테이프는 폭이 10 내지 25 mm, 두께가 0.001 내지 0.2 mm일 수 있고, 상기 내열 테이프가 복층으로 횡권시 상층의 내열 테이프의 지폭이 하층의 내열 테이프의 지폭을 덮는 랩율이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열 테이프의 횡권시 랩율이 35%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인딩층(120)의 내열성이 불충분하고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굴곡시 상기 내열 테이프에서 오버랩되는 부분이 벌어지거나 서로 충돌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튜브(200)는 상기 중심인장선(100)과 상기 도체선 사이의 접촉 및 마찰에 의해 상기 도체선(300)이 손상되는 것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이 55 내지 64%IACS인 금속 소재, 바람직하게는 도체선(300)과 동일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둘레에 배치되는 도체선(300)과 통전함으로써 가공송전선의 전체 저항을 저감시키고 결과적으로 송전량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튜브(200)의 두께는 0.3 내지 2.5 mm일 수 있고, 상기 금속 튜브(200)의 두께가 0.3 mm 미만인 경우 가공송전선의 전체 저항 저감효과가 미미한 반면, 2.5 mm 초과인 경우 중심인장선(100)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동일 외경의 중심인장선(100)을 기준으로 상기 소선층(110) 및 상기 바인딩층(120)의 외경이 작아지므로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저이도 특성이 구현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금속 튜브(200)는 알루미늄 같은 금속 로드(rod)를 컨펌 압출(conform extrusion)하거나 알루미늄 같은 금속 테이프를 용접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알루미늄 로드의 컨펌 압출을 통해 상기 금속 튜브(2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장조장으로 상기 금속 튜브(200)를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컨펌 압출을 하는 경우, 용접부 등의 이음매가 없이 연속 형성된 면을 가지는 금속 튜브(20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중심인장선(100) 또는 이를 구비한 가공송전선의 제조, 가설 내지 가설 후에 상기 중심인장선(100)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bending stress)에 의해 이음매 부분이 파손되어 갈바닉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튜브(200)는 금속 소재 등을 튜브 형태로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인장선(100)을 둘러싸며 상기 중심인장선(1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상기 금속 소재를 튜브형태로 압출하여 형성한 후, 단계적으로 축경하여 금속 튜브(20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송전을 위한 상기 도체선(300)은 1050, 1070, 1100, 1200 등 1000계 알루미늄 또는 Zr(지르코??), Sc(스칸듐), Zn(아연) 등의 합금 원소를 포함하는 내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선재를 포함할 수 있고, 열처리 전의 인장강도는 약 15 내지 25 kgf/㎟이고 신율은 약 5% 미만이며, 열처리 후의 인장강도는 약 9 kgf/㎟ 미만이고 신율은 약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합금 원소는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알루미늄 선재의 인장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여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으며,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 단면이 원형인 가공송전선의 알루미늄 선재에 비해 도체의 점적율이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가공송전선의 송전량 및 송전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단면이 원형인 알루미늄 선재를 포함하는 도체의 점적율은 약 75%인 반면, 단면이 사다리꼴인 알루미늄 선재를 포함하는 도체의 점적율은 약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 알루미늄 선재는 사다리꼴형 다이스를 이용하는 컨펌 압출 또는 신선가공에 의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컨펌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압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열처리되기 때문에 별도의 열처리가 불필요하나 신선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열처리가 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컨펌 압출 과정에서 열처리 되거나 신선 후 후속적으로 열처리 됨으로써, 압출 또는 신선 과정에서의 비틀림 등에 의해 알루미늄 조직 내부에 형성되고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응력이 집중된 영역을 풀어줄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전기전도도가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가공송전선의 송전량 및 송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단면적 및 갯수는 상기 가공송전선의 규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단면적은 3.14 내지 50.24 ㎟일 수 있고, 단면이 사다리꼴인 알루미늄 선재를 동일한 단면적을 갖고 단면이 원형인 알루미늄 선재로 환산한 경우 상기 환산된 알루미늄 선재의 단면 직경은 2 내지 8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갯수는 예를 들어 12 내지 40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층에 8개, 외층에 12개가 포함되는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기전도도 향상을 위해 열처리될 수 있는데, 이렇게 열처리되는 경우 연질화됨으로써 표면이 스크래치에 취약해짐에 따라, 상기 가공송전선의 제조, 운송, 가설 과정에서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표면에 다수의 스크래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가공송전선의 운용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해 고주파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표면의 스크래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표면에 표면경도 보강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의 두께는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를 초과하고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의 두께가 5 ㎛ 미만인 경우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표면경도가 충분히 향상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가공송전선의 제조, 이송, 가설 등의 과정에서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 선재의 표면에 다수의 스크래치가 생성될 수 있는 반면, 50 ㎛ 초과인 경우 상기 가공송전선이 보빈에 권취되는 등 굴곡시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이 국소적으로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이의 표면에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공송전선의 인장강도가 추가로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가공송전선의 이도(sag)가 추가로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은 상기 가공송전선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선재 전체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알루미늄 선재 중 최외층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선재들 각각의 전체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외층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선재들 각각의 표면 중 상기 가공송전선의 외주를 형성하는 외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은 상기 알루미늄 선재 표면의 경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스크래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산화알루미늄 피막, 또는 니켈(Ni), 주석(Sn) 등의 도금 피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선재 표면의 아노다이징 처리방법은 상기 알루미늄 선재 표면에 존재하는 유지 등 유기오염물을 제거하는 탈지(cleaning), 상기 알루미늄 선재 표면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는 수세(rinsing), 상기 알루미늄 선재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알루미늄을 수산화나트륨 등으로 제거하는 에칭(etching), 에칭 후 알루미늄 선재 표면에 잔존하는 합금성분을 용해 및 제거하는 디스멋(desmutting), 알루미늄 선재 표면을 다시 깨끗한 물로 세척하는 수세(rinsing), 알루미늄 선재 표면에 치밀하고 안정된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20 내지 40 V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수행하는 아노다이징(anodizing), 알루미늄 선재(10) 표면을 다시 깨끗한 물로 세척하는 수세(rinsing), 상온에서 에어 건조하는 건조(drying) 등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이 아노다이징 처리에 의한 산화알루미늄 피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의 절연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선재 사이의 절연효과로 인하여 전력손실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의 높은 복사 특성에 의해 송전 중 발생하는 줄(Joule)열을 신속하게 대기로 방출함으로써 전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은 불소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에 의해 추가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에 초발수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공송전선 표면에 대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흡착되거나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얼음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은 아노다이징 처리에 의한 산화알루미늄 피막과 니켈(Ni), 주석(Sn) 등의 도금 피막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경도 보강층이 산화알루미늄 피막과 도금 피막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금 피막은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과 상기 도금 피막의 두께비는 약 3:1 내지 5:1일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피막과 상기 도금 피막의 두께비가 3:1 내지 5:1인 경우, 상대적으로 두껍고 상대적으로 표면경도 향상효과가 우수한 산화알루미늄 피막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 선재 표면의 경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측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굴곡에 대한 크랙, 파손 등이 발생할 위험이 적은 상기 도금 피막에 의해 상기 가공송전선이 보빈 등에 권취되는 등 굴곡되는 경우 표면경도 보강층의 국소적인 크랙,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중심인장선 200 : 금속 튜브
300 : 도체선

Claims (18)

  1. 둘레에 복수 개의 도체선이 배치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에 탄소 섬유가 포함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선이 연선된 소선층, 및
    상기 소선층을 감싸는 바인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소선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연선된 소선은 일정한 방향으로 꼬임이 적용되며,
    상기 꼬임이 적용된 소선의 피치는 상기 소선층의 연선 외경의 100배 이상 50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층은 상기 복수 개의 연선된 소선에 꼬임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인장강도 대비 75% 이상의 인장강도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층의 연선 외경은 6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층을 형성하는 상기 소선의 외경은 2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층의 유리전이온도(Tg)와 상기 도체선의 400시간 후 허용운용온도(To)의 관계는 아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To - Tg < 40℃
    여기서, 상기 도체선의 400 시간 후 허용운용온도(To)는 상기 도체선을 일정 온도로 400 시간 동안 가열 후 측정한 인장강도가 가열 전 실온에서의 초기 인장강도 대비 90%가 되는 상기 일정 온도를 의미한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층의 유리전이온도(Tg)는 1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층의 점적률은 72%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층은 일정한 방향으로 횡권된 내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테이프는 폭이 10 내지 25 mm, 두께가 0.001 내지 0.2 mm인 내열 테이프 2 내지 6매가 35% 이상의 랩율로 횡권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테이프는 융점이 200℃ 이상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테이프는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실리콘 및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내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매트릭스는 유리전이온도(Tg)가 140℃ 이상인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는 3 내지 35 ㎛의 직경을 가지는 고강도 연속섬유를 포함하고, 인장강도가 3.5 내지 5.0 GPa, 탄성률이 140 내지 600 GPa, 열팽창계수가 0 ㎛/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중심인장선,
    상기 중심인장선을 감싸는 금속 튜브, 및
    상기 금속 튜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층은 상기 소선층을 형성하는 인접한 소선들 표면의 접선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바인딩층과 상기 금속 튜브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튜브의 두께는 0.3 내지 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은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알루미늄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튜브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선재는 Zr(지르코늄), Sc(스칸듐) 및 Zn(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금 원소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
KR1020220181696A 2021-12-24 2022-12-22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20230098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21106 WO2023121359A1 (ko) 2021-12-24 2022-12-22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021 2021-12-24
KR20210187021 2021-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054A true KR20230098054A (ko) 2023-07-03

Family

ID=8715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696A KR20230098054A (ko) 2021-12-24 2022-12-22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0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6183C1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несущий сердечник для внешних токоведущих жил проводов воздушных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KR20100014418A (ko) 전기 컨덕터 및 전기 컨덕터용 코어
US1030458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ergy efficient electrical conductor
CN201877158U (zh) 高导电性、超高强度10kV架空绝缘电缆
KR102605243B1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20190119392A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CN112102981B (zh) 一种金属包复合材料型线绞合加强芯架空导线及其制作方法
CN113871058A (zh) 一种翻车机用特种电缆的制造方法及电缆
KR102449116B1 (ko) 가공송전선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2193B1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가공송선전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16231B1 (ko) 고용량 송전케이블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114348A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20230098054A (ko)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JP3475433B2 (ja) 絶縁被覆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47701B1 (ko) 가공 송전선용 중심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송전선
KR102594531B1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101785890B1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WO2023121359A1 (ko) 유연성이 향상된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102461640B1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102449183B1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EP4354466A1 (en) Central tension line for overhead power transmission cable having damage detection function and overhead power transmission cable comprising same
TWI694651B (zh) 用於高架電纜的中心張力構件、包含中心張力構件的高架電纜、包含高架電纜的高架輸電系統,以及構建高架輸電系統的方法
KR20220162070A (ko) 파손 검출 기능을 갖는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KR20180116580A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CN216487463U (zh) 一种具有复合加强芯的架空导线